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시대 한류의 정체성과 방향

        서은숙(Seo Eun-Suk) 인문콘텐츠학회 2009 인문콘텐츠 Vol.0 No.14

        본고는 현대 다문화, 다 가치 사회에서 한류의 정체성과 그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류는 지금으로부터 약 10 여 년 전 시작되었고, 한류에 대한 많은 연구에서 한류는 주로 경제적 가치로 이해되었다. 본고에서는 한류에 대한 연구들에서 한류의 실태와 그 구체적 내용을 정리하였고, 한류를 문화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류의 정체성과 방향을 논하였다. 이러한 다문화사회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한국 문화의 정체성 확립 문제이며, 한국 문화 정체성의 기반에는 다시 인문학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이 점에서 한류를 현재 한국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대안과 인문학 위기에 대한 문제 해결이라는 관점에서, 한국의 문화정체성, 아시아 문화공동체 네트워크 형성 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여, 한류의 전개, 한류의 정체성-유교 문화, 풍류정신, 한류의 발전 방향-문화콘텐츠 개발 등을 논의하였다. 문화보편성으로서의 한류의 정체성에는 仁과 和 그리고 風流精神(대조화) 등으로 볼 수 있고, 이를 현대 사회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류 발전의 방향에는, 첫째, 인문학이 한국 문화의 기반이 되는 철학, 윤리, 문학, 역사 등을 다루며, 한국 문화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는 이러한 인문학적인 배경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그것을 발전시키는데 있을 것이라는 의미에서 인문학 부흥의 필요성, 둘째,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연계 연구, 셋째, 열려있는 한국문화콘텐츠의 개발, 넷째, 문화콘텐츠 교과목의 개설, 다섯째, 문화 원형으로서의 다양한 한류 콘텐츠 개발 - 유교 사상, 학자 및 선비의 일대기, 향교, 서원 등의 유교문화재, 복식, 건축, 음식 등의 생활 문화, 음악, 미술 등의 예술 분야 등의 디지털 복원- 등이다. I studied on the direction and identity of Korean-Wave(韓流, Hallu) in a multi-cultural society. Korean-Wave arose about 10 years ago and researches interpreted it as a economic value. Based on many studies and researches of Korean-Wave, I summarized thoroughly about actual condition and concrete contents of Korean-Wave. And I discussed the direction and identity of Korean-Wave(韓流, Hallu) from a cultural point of view. I understood Korean-Wave as a altern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a solution to establish Korean cultural identity and a formation of network between Korean culture's identity and Asian community. Based on my understanding, I discussed about Korean-Wave's development, identity(Confucian culture, and Pungnew), and direction, as well as cultivation of cultural contents. As a cultural universality, Korean-Wave's identity includes benevolence(仁), harmony(和) and elegance(風流精神, the great harmony) and these can be applied to the modern society. Firstly, direction of Korean culture contents lise in development of Humanities. Relating to the crisis of Humanities since 2006, I think problems of multi-cultural society are also problems to the Korean culture's establishment of its identity. Because the base of Korean culture is Humanities which studies philosophy, ethics, literature and history. In order to establish Korean culture's identity, the understanding of Humanities' background and its development is needed. Secondly, to develop Hallu, we cultivate Hallu as a Korean cultual archetype. Korean-Wave should be not only understood as a economic value but also interpreted as a cultural concept. As one of cultural archetypes, Korean culture, especially Confucian thoughts and Pungnew, should be studied and developed much more in the fields of development of culture contents.

      • KCI등재

        한국 문화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서은숙(Eun-Sook Seo)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현대 한국의 다문화, 다가치 사회로의 변화에 대처하고, 최근에 제기된 인문학 위기와 관련하여 이들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한다는 의미에서, 한국 문화의 정체성 확립과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 문화콘텐츠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을 논의한다. 본 연구는 두 가지 방향에서 문제의식을 갖고 연구된다. 그 하나는 오늘날과 같은 다문화, 다가치 사회에서 한국 문화의 정체성과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최근 제기되고 있는 인문학의 위기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문화의 기저에 있는 인문학적 지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한국 전통 사상을 재정립하고 그것을 문화콘텐츠와 연계하여, 문화보편성으로서의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함과 동시에 그것의 발전 방향을 모색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문화의 핵심 내용을 한국 전통 사상으로 부터 대략, 仁(사랑), 和(萬物一體), 풍류정신으로 보았다. 또한 이러한 한국 문화의 핵심 개념을 문화콘텐츠와 연계하여 영화, 음악, 만화, 에니메이션, 게임, 케릭터 개발, 한국 문화재의 디지털 복원 그리고 한국 문화 체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획 등의 방향을 제시한다. This article studies on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and the direction of Korean culture contents. Our Korean society goes on to value-pluralism and cultural diversity. In this point, we need to confirm the identity of our Korean culture. And we meet with the crisis of Humanities. Humanities is the core of our culture. It is the key point to make identity of our Korean culture as cultural universality and to apply it to develop Korean culture contents for the revival of Humanities. The core contents of Korean culture lies in the ancient myth, the thought of Hwarang, Confucianism, Neo-Confucianism, Buddhism, Taoism, the practical thought, thought of Yangmyeong study and the thought of East study and so on. On the basis of these thoughts, the core of Korean culture are humanity, harmony, the spirit of Punglyu, thought of life- esteem, ethics of environment etc. I suggest that we can apply our cultural core ideas those I analyzed above to develop Korean culture contents in the fields of cinema, music, cartoon, animation, game, character, digitalization, cultivation of experience programs of Korean culture etc. In addition, I suggest their commercial application like e-learning and culture contents education.

      • KCI등재

        글로벌 환경에서 미국 거주 한국인들의 문화 정체성이 한국 미디어 콘텐츠 이용에 미치는 영향

        전종우(Jong Woo JUN)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7 언론과 사회 Vol.25 No.1

        본 연구는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문화 정체성에 따라 한국 미디어 콘텐츠 소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본 것이다. 문화 정체성은 문화적응과 자문화 정체성이라는 두 가지로 구분되었고 미국 미디어 이용이 함께 독립변인으로 사용되었다. 종속변인으로는 TV프로그램, 영화, 음악이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변인, 인터넷사이트와 뉴스 콘텐츠가 정보 콘텐츠 변인으로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자기문화 정체성이 높은 사람들이 한국에서 제작된 TV프로그램, 영화, 음악을 더 많이 소비하고 있었고 자기문화 정체성과 문화적응, 그리고 자기문화 정체성과 미디어 소비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각각 발견되었다. 또한 자기문화 정체성이 높은 사람들과 문화적응 정도가 낮은 사람들이 인터넷사이트와 뉴스콘텐츠를 더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여기서도 자기문화 정체성과 문화적응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문화적 다양성과 관련한 학문적인 시사점과 함께 한국 미디어 콘텐츠의 글로벌 마케팅에 실무적인 시사점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d roles of cultural identity on ethnic media content consumptions. Applying the 2X2X2 research design, ethnic identity, acculturation, and US media use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Korean residents in the United States. The ANOVA results showed that ethnic identity influenced Korean media content uses. further interaction effects between ethnic identity and acculturation and another interaction effects between ethnic identity and US media uses were found. In addition, for Korean Internet and news content, people who hold strong ethnic identity were found to use Korean Internet sites and news more, and people who are more acculturated to US culture were found to use Korean Internet sites and news less. Interaction effects between ethnic identity and acculturation were also found. These results could provide academic implications of cultural diversity, and provide managerial implications for content marketers.

      • 공연예술 콘텐츠를 활용한 도시문화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 스코틀랜드의 에든버러 축제 도시를 중심으로

        서정미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에든버러시는 도시 전역을 공연예술 콘텐츠 장소로 활용하고 있다. 공연예술 콘텐츠의 활용은 도시의 문화, 정체성, 도시를 이끌어가는 도시민들의 지속 가능한 축제 콘텐츠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도시에 축제 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에든버러의 세계 공연예술 축제가 지금까지 이어온 과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에든버러시가 축제로 성공할 수 있는 배경은 다양하지만 축제형 모델로만 분석할 것이 아니라 거버넌스의 체제의 시스템이 민간이 주도하고 관이 서포터 하는 형태로서 오늘날의 공연예술 축제의 도시 에든버러 도시문화 유형에 대해서 접근하고자 했다. 이에 다음과 같이 에든버러의 공연예술 콘텐츠를 활용한 도시 문화적 지속성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첫째, 에든버러 공연예술 축제의 배경과 전개를 통한 콘텐츠 확장 둘째, 에든버러 도시 전역을 활용한 공연장의 특성과 축제 도시의 정체성 셋째, 에든버러 공연예술 콘텐츠를 활용한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지속 가능한 도시다. 에든버러만의 도시 특성들을 통해서 공연예술 콘텐츠를 활용한 도시 문화의 지속성에 관한 논의는 새로운 도시문화를 창출하는 도시 공동체 성장기반에 기초가 될 것으로 본다.

      • 불교문화 콘텐츠의 개발현황

        조현철 동국대학교 전자불전연구소 2005 전자불전 Vol.7 No.-

        Culture can upgrade the national and local image, and is the best medium to gather many people in short time. Specially, buddhist culture has infinite power to move human mind such as bamboo ghost sweep the yard because of its originality and science. The excavation and preservation and popularity of buddhist culture establish the real form of nationality as well as being the past way to construct culture power Korea. In this paper, the following contents are reviewed and proposed to popularize and industrialize buddhist culture. First, the originality and science of our buddhist culture is reviewed. Second, the developmental present condition of Buddhist Culture Contents is reviewed. Third, the development and upgrade of Buddhist Culture Contents to consider consumer sensitivity is proposed. Fourth, the developmental environment of original Buddhist Culture Contents and the training specialist are proposed. 문화란 국가 및 지역의 이미지를 고급화시키고 많은 사람들을 단시간에 모을 수 있는 최고의 매개체이다. 특히 우리의 불교문화는 독창성과 과학성 때문에 마치 대나무 그림자로 마당을 쓸 듯이 우리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우리의 전통문화를 발굴하고 보존함을 넘어 대중화시킨다는 것은 민족의 정체성 확립뿐만 아니라 ‘문화강국 대한민국’을 건설하는 지름길임은 틀림이 없다.

      • KCI등재

        역사문화콘텐츠로서 세종대왕을 활용한 지역정체성 확립

        이영준(Young-Jun Lee),김진영(Jin-Young Kim)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2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1

        지역개발 또는 지역활성화에서 있어서 지역정체성은 논의조차 필요 없을 만큼 중요하며, 셰익스피어의 사례가 단적으로 증명하듯 지역정체성에서 역사문화콘텐츠, 그중에서도 특히 인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막대하다. 따라서 1990년대 중반지방자치제 수립이래,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의 연고성을 바탕으로 역사적 인물을 발굴하여 그 인물을 통해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역활성화에 활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우리나라에서 세종대왕의 위상은 여타의 역사적 인물들을압도한다. 그것은 세종이 남긴 업적이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삶에 한글을 비롯하여 각종 과학 기술, 리더십, 음악 등다방면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지역 활성화와 정체성 확립을 위해 세종과 인연을 맺고 있는지자체들은 태어난 곳이라고, 묘가 있다고, 자손의 태실이 봉안되었다고, 치료를 위해 행차했다고, 도시명과 이름이 같다는 이유로 저마다 연고성을 주장하며 세종을 행사나 축제 등의 콘텐츠로 활용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지역정체성과 역사적 인물 간의 관계를 이론적 배경으로 삼아 세종을 문화콘텐츠로 활용하고 있는 지자체의 사례를 살펴본후 세종의 능이 위치하고 있는 경기도 여주시를 사례로, 역사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지역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There might be nothing more important than local identity when discussing local development or local revitalization. Especially, as a case of Shakespeare (Stratford-on-Avon) clearly underpins this statement, a human resource makes up a very large portion of local resources. Accordingly, since the autonomous local government system was launched in the mid-1990s, each region has tried to discover historical figures based on locality and established regional identity through them while utilizing related resources in order to vitalize the region. King Sejong has overwhelmed other historical figures in Korea. That is because his accomplishment has influenced a variety of fields including Hangeul (the Korean alphabet), technology, leadership, and even music in our life. Therefore, the autonomous governments which are somewhat related to Sejong strive to utilize him as a cultural resource and in festivals and events on the grounds that he was born, or his tomb is located in their region, or the umbilical cords of his descendants were buried, or Sejong once visited their region to cure his disease, or the city name takes after his name.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regional identity and historical figure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n does how the autonomous governments involved with Sejong are using him as cultural contents. Henceforth, we will discuss how and what Yeoju-si, which can be said to have a strong relation with Sejong, should do to improve their region.

      • KCI등재후보

        다문화 시대에서의 민족문화콘텐츠 ‘태권도’: 가치와 전망을 중심으로

        강재원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3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ound theoretical basis for traditional Korean cultural contents. This was done by finding ideal values and possibilities of taekwondo as ethno-cultural content in global and multicultural contexts. The functional, educational and social values of taekwondo have become core elements of traditional and modern products of taekwondo around the world. The study also concluded that a number of taekwondo values as ethno-cultural contents that can be very useful for developing (1) a new paradigm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s between local and global dimensions; (2) national economic growth through global taekwondo families and the Korean diaspora networks; and (3) international education contents. 민족문화콘텐츠인 태권도는 다문화 시대에서 희석되어 가고 있는 민족문화 정체성 유지와 고유문화로 계승 발전된 한국의 문화가치를 세계화하는데 있어 독창적이며 창의적인 자산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태권도의 세계화에 따른 기능적, 교육적, 사회적인 측면에서 민족문화콘텐츠로서 태권도의 가치는 세계적 성장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태권도콘텐츠는 세계화와 다문화 시대에서 세계문화와 한국문화의 가치를 동시에 포용하며 글로벌 경쟁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새로운 한국문화 발전 패러다임을 창출해 나갈 수 있는 시너지역할이 가능하다. 둘째, 전 세계 7천만 이상의 태권도인들과 700만 한인 디아스포라 등 충분한 글로벌 인적 네트워크는 태권도콘텐츠의 지속적인 생산 보급을 촉진하고 유통·마케팅 비용절감에 실효를 거둘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다. 또한 무주 태권도원(園)과 국기원 등의 태권도관련 문화시설콘텐츠와 이벤트콘텐츠는 전통문화와 역사 체험 및 관광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한국문화 보급과 국가경제 활성화에 큰 가능성을 열어 두고 있다. 셋째, 이미 미국과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태권도가 정식교과과목을 채택되어 운영되고 있는 시점에서 인성 교육의 가치를 지향하는 태권도는 전 세계 태권도교육콘텐츠와 에듀테인먼트 및 캐릭터 개발 사업에 큰 파급 효과를 줄 것으로 전망된다.

      • 문화콘텐츠학과 기존 학문분류체계의 충돌과 공존 가능성

        이종훈 ( Lee Jong-hun ) 콘텐츠문화학회 2020 콘텐츠문화연구 Vol.2 No.-

        1990년대에 ‘문화콘텐츠’라는 용어가 등장하고 빠르게 확산, 성장해왔지만 아직 학문적으로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기존의 다른 분과학문들과의 관계에서 여전히 적지 않은 문제점들이 있다. 지금까지 고려되어 온 문화콘텐츠학의 학문적 연구대상은 ‘문화’라는 말이 담아내는 의미만큼이나 광활하다. 연구자들이 제시하는 연구 목적과 학문배경을 종합해보면 실로 거의 모든 학문분야를 총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것은 문화콘텐츠학이 학문적으로 자리잡는 과정에서 기존의 분과학문들과 충돌하는 또 다른 지점을 형성한다. ‘상호 학문적 연구’나 ‘복합학’이 문화콘텐츠학의 정체성으로 제시되었지만, 이 또한 충분한 해결방법으로 보이지 않는다. 문화콘텐츠학이 학문적 정체성의 차원에서 기존의 학문체계와 충돌하는 지점을 정리하면, (1) 문화콘텐츠학의 연구대상과 방법을 공유하는 기존의 여러 분과학문들은 학문적으로 이미 매우 공고하다. (2) 현재의 문화콘텐츠학은 차이에 따른 분류를 목적으로 하는 기존의 학문체계에 안정적으로 들어갈 자리를 찾기 힘들다. (3) 현재의 문화콘텐츠학은 기존의 학문체계 대부분과 연관되기에 일정한 영역으로 협소화하여 분과학문으로 진입하기 어렵다. 종합하면, 문화콘텐츠의 성격은 현재의 분류와 일정한 방식의 체계화를 역사적으로 쌓고 반영해온 현 학문체계와는 부합하기 어렵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충돌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충돌을 극복한 실마리로 세 가지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다. 첫째 근대적인 위계중심의 선형적 학문분류체계를 입체적으로 재구성한다. 둘째, 새로운 연구 영역과 방향의 설정으로 문화콘텐츠학의 돌파구를 찾을 수도 있다. 셋째, 현재의 학문체계와 독자적인 분과학문으로 요구되는 조건들을 현실적인 제한이나 문제로 받아들여 연구 문제와 방향을 인위적으로 협소화하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 In the 1990s, the term “cultural contents” has appeared and rapidly spread and grew, but it still suffers from academic difficulties. In particular, there are a number of problems in relation to other existing acdemic disciplines. The academic research subject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that has been considered so far is as broad as the meaning of the word 'culture'.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if you put together the research purpose and the academic background suggested by the researchers, you are in charge of almost all academic fields. This forms another point where cultural contents studies collide with existing disciplines in the process of academic establishment. Alth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composite studies” have been suggested as the identity of cultural contents, this also does not appear to be a sufficient solution. In the aspect of academic identity, the point where cultural contents studies collide with the existing academic system is as follows: (1) Several existing divisions that share the subjects and methods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are already academically very strong. (2) Current cultural contents studies find it difficult to look out for a place to stably enter an existing academic system aimed at classifying according to differences. (3) Since the current cultural contents studies is related to most of the existing academic systems, it is difficult to narrow it down to a certain area and enter the academic discipline. In sum, the nature of cultural contents is difficult to match with the current academic system that has historically accumulated and reflected the current classification and systematization in a certain way. And there is no choice but to continue to collide. As a clue to overcoming this conflict, three methods can be considered. First, the modern hierarchical linear academic classification system is reconstructed in three dimensions. Second, it is possible to find a breakthrough in cultural contents studies by setting new research areas and directions. Third, it is possible to consider ways to artificially narrow research problems and directions by accepting the conditions required by the current academic system and independent academic disciplines as realistic limitations or problems.

      • KCI등재

        문화 기억을 활용한 문화콘텐츠의 장소성(場所性) 분석과 방향성 고찰 -대중음악 가사 속 지명(地名)을 중심으로-

        노창현(Chang hyun Noh)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9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8 No.-

        문화콘텐츠 향유자에게 가장 친숙한 분야 중 하나인 대중음악은 가사를 통해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표현한다. 특히 지명이 포함된 음악 속 가사는 해당 지역에 대한 현실적 이해뿐만 아니라 다양한 감성적 경험을 공유하게 된다. 지명에 대한 직간접적인 경험은 사람들의 문화 기억으로 저장되었다가 소환되며 이 과정에서 문화적 정체성이 발생한다. 이 정체성은 해당 장소의 감성적 경험의 산물, 즉 장소성이 된다. 장소성은 다양한 노래 가사를 통해 드러난다. 한국의 경우, 집단 중심의 시대에서 개인 중심의 시대를 거치며 문화 기억의 장소성 또한 변화하고 있다. 즉, 거대 담론으로부터 일상의 영역으로 장소성의 중심이 옮겨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향후 문화 기억을 통한 장소성이 감성적 차원뿐만 아니라 현실적 차원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더불어 대중음악은 물론 다양한 문화콘텐츠 분석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Pop music, one of the most familiar areas for cultural contents enjoyers, expresses various cultural meanings through lyrics. In particular, the lyrics in the music, which include geographical names, share not only a realistic understanding of the places but also a variety of emotional experiences.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of geographical names are stored in people"s cultural memories and then recalled, resulting in cultural identity. This identity becomes the product of place"s emotional experience, that is, placeness. Placeness is revealed through various song lyrics. In Korea, the placeness of cultural memory is also changing from the group-centered to the individual-centered age. In other words, we could see that the center of placeness was shifting from the giant discourse to the realm of everyday life. Through this discussion, we have confirmed that the placeness of cultural memory can function as a realistic as well as emotional dimension.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tool for analyzing various cultural contents as well as pop music.

      • KCI등재

        특집논문 : 제주와 미래가치 ; 제주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방안 연구

        허남춘 ( Nam Choon Heo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4 탐라문화 Vol.0 No.44

        ‘세계화’가 시대적 소명이 되어가면서 한국문화의 세계화는 문화산업의 근간처럼 말하고 있다. 국가와 민족 단위의 문화를 논하는 단계에서 하위 단위의 지역을 중시하는 경향도 나타나 세방화(세계지방화, Glocalization)가 함께 추진되고 있다. 그래서 제주문화도 세계화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한국문화의 세계화 전략이 예술·전통·생활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색되었고, 지난 세기에 비하면 비약적인 성공을 보인 점도 인정되지만 아직 초보 수준이다. 음악·드라마·영화에서 ‘한류’를 형성하고 그 상승기류를 타고 한식이 부상하고 있다. 전통문화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생산에도 심혈을 기울이면서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진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제주문화의 세계화 전략도 그 정체성 규명에서 시작돼야 하고, 제주문화의 힘 내부에 작동하는 원리를 찾아야 한다. 문화의 이론화가 선행 작업이어야 한다. 그래서 문화 연구를 위한 연구자 양성이 필수적이다. 다음으로 문화의 이미 지화·정보화·기호화를 통해 이미지를 제고해야 한다. 아울러 문화를 활용하여 기획하고 연출하고 공연할 인력양성과 문화 확산에 주력해야 한다. 삶의 총체적 현상으로서의 문화를 산업화하는 데도 나서야 하니 문화콘텐츠 개발 전략이 21세기 화두다. 제주는 콘텐츠의 기반이 되는 이야기가 풍부하다. 특히 구비 신화는 세계적인 수준이어서 스토리텔링을 통한 문화콘텐츠 산업의 전망은 매우 밝다. 장수식품과 음식문화, 해녀를 위시한 해양문화, 돌하르방과 돌담과 같은 돌 문화도 세계인에 친숙하면서도 제주만의 독특함을 간직하고 있어 세계화가 폭넓게 진척될 수 있다. 세계화의 단서가 있으니, 문화 연구자 양성과 이론화 작업과 같은 문화 토대 사업이 전제조건임을 밝혔다. While ‘globalization’ becomes the calling of the times,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n culture says like the basis of the culture industry. The tendency to make much of the area that was a national low rank unit appeared, and Glocalization became a target of the interest. So the Jeju culture has begun to establish interest for the globalization, too. A globalization strategy of the Korean culture was groped for in various fields for example Art· Tradition·Life culture. There was success that was more rapid than a last century, but still a beginner level. ‘Korean wave’ was formed in a Music· Drama·Movie, and Korea food succeed in a globalization with such situation. Korea put the energe to the culture contents production that utilized traditional culture, and the study to think of identity of the Korean culture consisted lively. The globalization strategy of the Jeju culture must begin with the identity searching too. And we must look for a principle to operate in the power inside of the Jeju culture. There must be theorization of the culture by the precedent work. So the researcher training for culture studies is required. Next, we must improve an image of the culture. We must concentrate power on the talented person training and culture diffusion at the same time. If it comes to look like this, ability to plan culture, and to direct it, and to give a performance grows up. A development strategy of culture contents to make culture industry is a topic of the 21st century. A story to become the base of contents is rich in Jeju. The possibility of the culture contents industry is very bright because the folklore myth is a global standard. Also food culture, marine culture, the stone culture can be made the world. There is not only familiarity to cosmopolitan but also uniquity in Jeju culture. The handhold of the globalization is in Jeju. Therefore operation based on culture such as the culture researcher training and the theorization must be perfo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