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접변과 미디어: 결혼이주여성들의 미디어 이용 경험과 다문화미디어교육 인식에 대한 연구

        이상훈 ( Sang Hoon Lee ),김은규 ( Eun Gyoo Kim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5 언론과학연구 Vol.15 No.4

        이 연구는 기본적으로 다문화주의와 문화접변의 관점을 취하고 있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미디어 이용과 효능감은 문화접변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다문화미디어교육의 경험이 이를 강화시키고 있는지, 나아가 이를 위한 다문화미디어교육의 방향성은 어떠해야 하는지를 결혼이주여성들의 목소리를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미디어는 결혼이주여성들의 문화접변 과정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결혼이주여성들은 주로 스마트폰, TV, 인터넷과 같은 미디어를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결혼이주여성들의 문화접변 영향 요인인 개인적 차원의 자기지배력 강화에 관여하고 있었다. 둘째, TV의 다문화 프로그램 역시 결혼이주여성들의 미디어 이용 범주에 포함되고 있는데, 이는 주로비공식적 차원의 사회적지지를 이끌어내는데 작용하고 있었다. 셋째, 결혼이주여성들의 미디어교육 경험은 미디어 이용 능력을 촉진시킴으로써 결혼이주여성들의 문화접변 과정에서 개인적 차원의 자기지배력 강화 및 비공식적 차원의 사회적지지에 도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넷째, 결혼이주여성들은 다문화미디어교육의 방향성으로 미디어를 통해 자기표현이 가능토록 하는 실용교육과 더불어 다문화사회 내에서 서로의 차이를 이해토록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결혼이주여성의 미디어 이용과 미디어교육은 문화접변 과정에서 주로 개인적 차원의 자기지배력과 비공식적 차원의 사회적지지 요인에 긍정적 관여를 보이고 있었다. This study focus on Acculturation and Media. So, this study examine an interrelation between media use and media efficacy of marriage migrant women and acculturation, how can media education impower their media ability and acculturation, and what is the best direction of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Summary of this study is below; First, media use have affected positively on the marriage migrant women’s acculturation, and it is involved in self-controlling power. Second, multicultural TV program also encourage unofficial social support in the process of marriage migrant women’s acculturation. Thirds, the experience of media education facilitate media competence of marriage migrant women, and it help self-controlling power and unofficial social support in the process of marriage migrant women’s acculturation. Fourth, marriage migrant women want practical media use education for self-express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o understand the multiculturalism.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some conclusions to activate and substantiality of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First, multicultural TV channel should be build based on systematically multicultural media policy. Second,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practice side by side not only to the migrant but also indigenous people. Third, muilticultural media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 in public school system. and Fourth, muilticultural media education contents should consist of IT training, media capacity building training,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식민지 시기 차(茶)의 문화접변

        김동명(Kim Dong-Myung) 한일관계사학회 2008 한일관계사연구 Vol.31 No.-

        본고는 일본제국주의의 지배하 식민지 조선에서 이루어진 문화 접변 중에서 차(茶)에 초점을 맞추어 그 실태를 규명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조선 후기에 이르러 침체상태로 구평형을 유지하던 차문화는 개항 이후 근대화의 물결 속에서 침체상태를 벗어나 새롭게 차문화를 도입하려는 부분적인 해체를 시작하고 있었다. 다음에 한일병합을 전후해서 일본인이 조선에 대거 이주하면서 일본 등에서 다량의 차가 이입되고 조선에서 근대적인 차재배가 시작됨으로써 기존의 조선의 차문화에 외래문화요소가 전파, 선택되었다. 그리고 여전히 소수이기는 하지만 일상생활에서 차를 마시는 조선인이 증가하면서 외래문화요소인 차문화가 마침내 조선에 수용되었다. 그러나 일본인이 일본식 다도를 조선인에게 널리 보급하려 하자 앉는 자세와 건축과 의복 등의 형식을 둘러싸고 조선인의 저항이 일어났다. 한편, 차문화의 경우 기존에 조선에 존재하는 문화요소였다는 점에서 순조롭게 문화접변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격적인 문화접변이 조선인의 자발적인 필요성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았고, 일본제국주의 세력의 조선에의 팽창에 따른 이주 일본인에 의해 강제적인 상황에서 차문화요소가 전파, 선택되었다.또한 일부 조선인 사이에 차문화가 수용되기는 했지만,일본식 다도의 보급이 상징하듯 조선에서의 차의 문화접변은 일본제국주의의 지배를 강화하는 수단의 일환으로 일방적으로 진행됨으로써, 이에 대해 전면적인 형태는 아니지만 다도의 형식을 둘러싸고 조선인이 저항했던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realities of acculturation in Colonial Korean under the Japanese rule, focusing primarily on the green tea. The result was as follows. First, in the late Chosun dynasty era, did tea culture start spreading out of the inactive old stereotypical balance to introduce the new wave of tea culture since the port opening. Since the Korea was amalgamated by Japan, with the influx of Japanese people, new foreign tea types were brought in along with the new cultures and even Korea started cultivating those tea crops to adopt new things. Very few at first though, as the more people gradually started drinking teas, the foreign tea culture was gradually being adopted in Chosun. However, as Japanese tried to spread the Japanese teaism among Chosun people widely, the Chosun people were opposing to it’s formulas such as sitting posture, architectures and costumes. Meanwhile, since teaism was already existing culture in Chosun, very smooth acculturation was expected in the first place. However, the actual acculturation wasn’t in Chosun people’s necessity and with the expansion of Japanese imperialism in Chosun, teaism was being spread and adopted by Chosun people in the begrudging manner. The tea culture was accepted by some Chosun people though,as the tea acculturation was being exploited and forced by means of Japan Imperialism enhancement, some Chosun people were showing resistant attitude towards it, not that directly though

      • KCI등재

        문화 정체성 형성과 문화접변 과정:

        타마라 체르키에스(Tamara Czerkies)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6 동유럽발칸연구 Vol.40 No.3

        본고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일부 학자들이 주장하는 문화 정체성 개념과 문화접변(acculturation)의 개념을 제시하면서 자민족중심주의(ethnocentrism)와 민족상대주의(ethnorelativism)에 대해 설명하였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폴란드어를 학습하고 있는 한국 학생들의 간문화능력 향상과 이해 및 습득을 도모하고 자국문화 정체성 강화와 비교에 도움을 주고자 만든 폴란드 문학 텍스트 선집 교과서에 대한 아이디어를 소개하였다. 언어 수업을 계획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있어서 학습자들이 어떤 텍스트를 읽을 것인지, 이것으로써 어떻게 또는 무엇을 대화/토론을 해야 할 것인지, 이것이 독해 및 개념 습득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인지에 대한 교육자의 판단만큼이나 정체성과 문화접변의 개념 또한 중요하다. 베로니카 빌췬스카(Weronika Wilczynska)는 자신의 책(2005)에서 교사들이 특히 주목해야 하는 이 문화 정체성 개념은 우리가 ‘우리’ 안에 있을 때가 아닌 ‘이방인들’ 속에 있을 때 발현되는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공동체에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있거나 자연스러운 것으로 간주했던 무엇인가가 결핍되었다고 느끼는 바로 그 때 집단의 정체성이 더 강하게 느껴지는 것이다. 따라서 문화간 접촉은 자신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일종의 모험과 도전이며 상호 존중과 존엄성에 대한 인정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문화적 교두보 형성은 현대의 간문화/문화간 능력 발달 과정의 목표가 되어야만 한다. 문화접변 개념은 문화 정체성과 연관되어있다. 크쉬슈토프 폴로크(Krzysztof Polok)는 문화접변 개념을 상술하면서 이 현상에 대해 규규정한 바 있다(2006). 그는 문화접변이 새로운 문화, 새로운 환경에서 자신의 위치를 찾는 성숙형태의 문화적 정체성이라고 규정한다. 본고에서는 교육자가 학습자의 개인, 집단적 정체성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관찰하면서 볼 수 있는 자민족중심주의(ethnocentrism)부터 민족상대주의(ethnorelativism)에 이르는 문화 접변 과정 단계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최근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한국 학생들을 대상으로 발간된 교재 󰡔텍스트에 가까이(B1.2-B2.2 수준의 한국 학생들을 위한 폴란드 문학 텍스트 선집과 과제)󰡕 (Bliżej tekstów (wybór polskich tekstów literackich z zadaniami dla studentów koreańskich – poziom B1.2–B2.2) 대하여 간략히 서술하였다. 이 교재에는 폴란드 문학 텍스트 선집과 과제가 포함되어 있다. 이질적인 문화를 접하고 자국의 문화 정체성과 그 힘, 가치를 함양하고 인지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이 책은 학생들에게 문학을 통해서 자신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며 폴란드처럼 멀고도 가까운 나라의 문화를 조망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article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is characterized by the notion of cultural identity and acculturation described by some researchers, it also clarifies what ethnocentrism and ethnorelativism are. The second describes the concept of the manual, which includes a selection of Polish literary texts, and aims to help Korean students in learning Polish language and developing intercultural competence. It also strives to facilitate the process of building, accepting and strengthening their own cultural identity and cultural comparisons.

      • KCI등재

        한국 거주 경험 중국인의 문화접변 양상 고찰

        한종완(韓宗完) 동아인문학회 2013 동아인문학 Vol.25 No.-

        한국 사회에서 해결해야 할 시급한 문제 중의 하나는 문화적 다양성과 다문화사회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수용 자세이다. 이에 한국에서 1년 이상 거주하고 생활한 외국인들이 본국으로 귀국한 후에 한국에서의 경험과 문화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본국에서의 활동과 어떤 연계성이 있는 지에 대한 사후적 고찰이 시급히 요구된다. 이들의 한국 거주 경험에 대한 사후적 조사와 연구는 현재 한국사회의 다문화 현상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하나의 해답을 찾을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 거주 경험의 중국인들이 귀국한 후, 중국에서 겪고 있는 문화접변 양상과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국내거주 중국 이주민과 유학생들에 대한 효율적 다문화교육과 정책 수립에 적절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다문화사회 문화접변에 대한 연구 배경과 현황을 살펴보고, 그동안 진행했던 설문 결과를 정리하여 중국인 이주민들이 한국생활에서 겪고 있는 문화접변으로 인한 갈등문제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해보았다. 본고에서 사용된 설문조사는 한국 거주 후 귀국한 중국인 유학생,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2012년 중국 현지방문과 온라인을 통해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은 기본현황 파악을 위한 일반 인적사항 관련 10개 항목과 한국어, 한국문화, 한국생활 등 세 분야 총 45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대상 중국인들의 한국 문화에 대한 수용과 이해 정도, 그리고 그들이 바라본 한국인들의 타문화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해 보았다.

      • KCI등재

        부서마을 당산제의 변화양상에 나타난 문화의 접변현상

        박흥주(Park, Heung-Ju) 한국민속학회 2015 韓國民俗學 Vol.61 No.-

        인위적인 환경조건의 변화와 그에 따른 문화의 접변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변산반도에 위치한 부서마을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부서마을은 변산만 하구로 유입되는 동진강의 지류인 고부천변에 위치한다. 부서마을에서 여전히 전승력을 이어가고 있는 마을굿으로서의 당산제를 살펴본 결과 서로 이질적인 3가지 속성의 문화가 발견되었다. 하나는 바닷가 어로문화로서의 속성을 갖는 문화였다. 치성일, 뒷전의례에서 드러나는 헌식굿의 잔영, ‘기명기’라는 명칭의 풍물굿 존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하나는 농경을 기반으로 한 문화였다. 줄다리기를 통해 드러났다. 이 두 가지 속성의 문화가 접변하여 부서마을만의 독특한 의례문화를 창출시켜낸 결과도 보였다. 오곡밥을 잡귀잡신에게 뿌리며 마을을 도는 의례, 군기로서의 기명기굿이 두레풍장으로서의 성격을 적극 수용한 모습, 이제는 헌식굿이라 할 수 없는 뒷전의례였다. 이런 결과를 가져온 것은 감조하천으로서의 성격을 20세기초반까지 유지했던 고부천의 존재였다. 고부천의 감조구간이 상류까지 연장됨으로서 밀물을 이용하여 하천 깊숙이 배가 드나들 수 있어 부서마을이 포구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를 방증할 수 있는 지명유래담이 부서마을에 존재한다. 감조하천으로서의 고부천은 농업과 어업을 공존?교차시켜주는 환경적 요인이었으며, 농경지확보를 위한 수리사업과 간척사업의 영향으로 현재는 완전한 농촌으로 변화한 상태다. 세 번째는 농업생산력의 저하로 생긴 이농과 주민들의 노령화가 가져온 현대적 요소의 급격한 수용이었다. 이를 실질적으로 주도하는 전승주체는 노령에 접어든 여성들이었다. 이런 변화와 접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변화하지 않고 있는 요소도 발견됐다. 바로 당산할아버지 할머니에 대한 당신앙이었으며, 이 신앙에 기저를 둔 생명에 대한 믿음이었다. 마을의 존폐와 문화의 전승을 기약할 수 없는 현시점에서 주목한 것은 인위적인 환경조건을 변화시키는 상황에서 이에 대응할 유용한 문화의 창출이 이뤄졌다는 사실과 그 창출을 이끌어낸 접변원리였다. 부서마을의 지속적인 존립과 문화의 전승에 기여할 바람직한 모습을 상정하면서, 접변과 불변 모두를 가능하게 했던 기저로서의 당신앙과 그 생명성을 가치적 차원에서 규명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is thesis focuses on Bu-SeoMaeul in Byeonsan Peninsulato figure out changes of artificial condition and the phenomenon of cultural assimilation. Bu-SeoMaeul locates on a riverside of Dongjingang which flows into Byeonsan bay. Dangsanje which is still passed down in Bu-SeoMaeul contains 3 characteristic cultures. One of the cultures has characters of fishery culture in the seaside. It appear in the day of Chi-Seong, vestiges of HeonSin-Kut which is performed in the ritual of Dwijion, and existence of the word, ‘Gui-myeong-gui’. The other one is agricultural culture, which appears as Juldaligi. There are also the assimilation of these two cultures, so that Bu-SeoMaeul has specific ritual culture. This character is identified by the ritual that turns around town while people are scattering Ogockbob to SamGui-Samsin, the adoption of Kut as martial performance and Durea-Pungjang, the changes of in the ritual of Dwijion which no longer has HeonSin-Kut’s characters. These culture assimilation occurred by Koboocheon, which had characters of tidal river until the early 20’s century. As the tidal section of Koboocheon extends to upper region of river, Bu-Seo Maeul might be a port that boats could be passed by rising tide. The history about the name of Bu-Seo Maeul proves this presumption. Koboocheon as tidal river made environmental condition to coexist and across fishery and agriculture. Because of irrigation and reclamation, these days Bu-Seo Maeul changed to totally agricultural town. Also the exodus from country to city caused by decreasing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aging phenomenon make people in Bu-Seo Maeul rapidly adopt modern culture. The aged women lead this alteration. Though these alteration and assimilation of cultures, the belief in Dang for grandfather and grandmother of Dang-san and the belief in life based on the belief in Dang still exist. When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town and transmit cultures, this thesis focused on the fact that they create a useful culture to be able to cope with changes and on the principle of cultural assimilation. While we suppose a desirable figure which could contribute toward maintenance of Bu-Seo Maeul and transmission of cultures, it is necessary that the investigation about the belief in Dang, which is basement of discontinuity and maintenance, and its belief for life.

      • KCI등재

        중국 조선족과 한국인의 텃밭 활용형태 비교 -중국 수남촌과 한국 금계마을의 사례-

        최유정 비교민속학회 2019 비교민속학 Vol.0 No.68

        This study conducted a field study of the uses of vegetable gardens of the Korean-Chinese and Koreans, analyzed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and revealed acculturation aspects that appear in the vegetable garden uses of the Korean-Chinese. After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vegetable garden uses of the Korean-Chinese and Koreans, uses of the Korean-Chinese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3 periods and during each period, vegetable garden use aspects differed. During the first period, Sunam Village residents grew crops in vegetable gardens to cover food shortages. During the second period, vegetable gardens were cultivated to support the family, and these tendencies continued on into the third period. However, a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periods was that some residents grew commercial produce in vegetable gardens to gain household earnings. On the other hand, with Koreans, vegetable garden use aspects appeared differently for each house and there were no large changes according to different periods. Geumgye Village residents placed their vegetable gardens in their house yards or close by outside their fences and spaces with an area of approximately 50 pyeong (165㎡) were perceived as vegetable gardens. Unlike these perceptions, the actual circumstances of the vegetable garden use of the Geumgye Village residents show large differences. Since yards had long been considered spaces where articles for farming were stored and where crops were stored and managed, there were rarely any cases in which there were vegetable gardens inside house fences. If there were no fields attached around the house or if the farmers were wealthy, they did not have vegetable gardens. Also, some residents planted home-consuming crops in spaces where commercial crops were grown, using those spaces like vegetable gardens. When the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of the vegetable garden use aspects of the Korean-Chinese and Koreans are compared, the following differences are shown. Common traits are that vegetable gardens are used as spaces that provide everyday home-consuming crops and as places that are used for pastimes and to fulfill family relationships. Differences appeared in garden sizes and forms, the status and gravity of vegetable gardens in the family, and perceptions of vegetable gardens due to differences in economic structures and natural environments and the influence of food culture determined vegetable garden cultivation methods and crops. Differences between the vegetable garden use of the Korean-Chinese and Koreans display the acculturation phenomena between the Chinese Hans and the Korean-Chinese in a socialist system. Such phenomena largely has aspects that lie upon a socialist system and aspects that lie upon food culture and these two do not have identical levels of acceptance. With regard to the size, form, and perceptions of vegetable gardens, the Korean-Chinese can be considered to have assimilated to a socialist system. On the other hand, from aspects of food culture, the Korean-Chinese have shared in the food culture of the Chinese Han and the Koreans. Further, the Korean-Chinese fused the food culture of these two peoples to create their own new food culture. 이 연구는 중국 수남촌의 조선족과 한국 금계마을 사람들의 텃밭 이용 실태를 현지조사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고, 중국 조선족의 텃밭 활용에서 나타나는 문화접변 양상을 밝혔다. 중국 조선족과 한국인의 텃밭 활용에 대해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 조선족의 텃밭 활용에 대해서는 크게 3시기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제1시기에 수남촌 주민들은 부족한 식량을 충당하기 위한 목적에서 텃밭에 작물을 재배하였다. 제2시기에는 가계에 보탬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텃밭을 경작했다. 제3시기에도 이러한 경향은 지속되었지만, 제2시기와 조금 다른 점이 있다면 일부 주민들은 텃밭에 상품작물을 재배하여 가계 수익을 얻었던 것이다. 이에 반해 한국인의 텃밭 활용 양상은 집집마다 다르게 나타나며, 시기에 따라 큰 변화가 없었다. 금계마을 주민들의 경우 텃밭이 집 마당 혹은 울타리 밖 가까이 붙어있고, 넓이는 50평(165㎡) 정도인 경작지를 텃밭으로 인식하였다. 금계마을 주민들의 이러한 텃밭 인식과 텃밭 활용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텃밭을 가꾸는 집은 대체로 텃밭이 울타리 밖에 있었다. 텃밭이 없는 집은 집 주변에 딸린 밭이 없는 경우나 부유해서 굳이 텃밭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한다. 금계마을 주민들은 주로 텃밭에 자급작물을 재배한다. 하지만 일부 주민들의 경우 상품작물을 재배하는 경작지에 자급작물을 심어 텃밭처럼 이용하기도 한다. 중국 조선족과 한국인의 텃밭 활용 양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양자의 공통점은 텃밭을 일상적 자급작물을 재배하는 토지로 이용한다는 점과 소일거리의 공간으로서 활용한다는 점, 가족관계 실천의 장으로 이용한다는 점이다. 반면에 차이점은 경제체제의 차이로 인해 형성된 텃밭에 대한 인식, 텃밭의 규모와 형태, 가계 내 텃밭의 위상과 비중 등이다. 그리고 자연환경과 음식문화의 영향이 텃밭 경작의 방식과 작물을 결정하였다는 사실도 차이점이다. 중국 조선족의 텃밭 활용 양상에 대한 중요한 특징은 중국 한족과 중국 조선족 사이의 문화접변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은 크게 사회주의 체제 성립과 수용에 의한 문화접변과 음식문화 차이에 의한 문화접변이다. 이 두 가지의 문화접변은 서로 다른 양상을 띤다. 텃밭의 규모와 형태, 인식에 관한 한 중국 조선족들이 사회주의 체제에 동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음식문화 차이에 의한 문화접변을 보면 중국 조선족은 중국 한족과 한민족의 음식문화를 공유하고 있었다. 나아가 중국 조선족은 두 민족의 음식문화를 합쳐 그들만의 새로운 음식문화를 창출하였다.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접변에 대한 정책지원의 효과

        김렬 한국정책과학학회 2011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5 No.4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접변을 이중문화의 통합 관점에서 보고, 정책적 지원이 ‘고유문화의 유지’와 ‘주류문화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것이 결혼이주여성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및 그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접변에 대한 정책지원의 직접 효과를 보면, 고유문화 유지에 대한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나 주류문화 수용에 대해서는 매우 강한 정(+)의 효과를 보였다. 이는 현행 정책이 양문화의 ‘통합’보다는 주류문화에의 ‘동화’ 관점을 강하게 띠면서 한국문화의 습득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짐작케 한다. 둘째, 문화접변에 대한 정책지원의 효과에서 자기지배력과 가족지지가 매우 중요한 매개변수로 등장하였다. 특히 자기지배력이 두 형태의 문화접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다는 점에서 자기지배력 향상을 도모하는 정책내용의 수립·추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가족의 지지도 매우 중요한 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친구·이웃의 지지는 고유문화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주류문화 수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향후 가족관계 증진을 위한 정책을 다양하게 개발하고, 동일 국가 출신자들의 커뮤니티에 대한 정책지원을 강화하여 한국 문화에 대한 적응수준을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 넷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정책지원의 효과가 일부 차이를 보인다는 점에서 거주지역이나 교육 수준, 출신국적 등을 고려하여 세부 사업이나 프로그램을 차별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In the era of globalization, Korean society has experienced the significant increas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which takes over 0.4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of 2011. The influx of the immigrant brides requires various social and cultural policy changes in dealing with their settlements in Korea.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not only to examine the effects of policy support on their acculturation to both mainstream culture and heritage culture, but also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support and accultur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19 Asian brides living in the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of Korea. The major findings show that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between policy support and mainstream acculturation were significantly positive, though policy support was indirectly related to heritage acculturation as well. With the moderating effect of demographic variables between policy support and acculturation,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country of origin, level of education, place and length of residency in Korea were parti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uture policies and programs on multiculturalism.

      • KCI등재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접변에 관한 질적 연구

        김광수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6

        본 연구는 국제결혼을 통해서 모국을 떠나 한국으로 이주한 여성들이 한국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고유문화와 한국의 주류문화 간의 이질성을 조율하고 적응해 가는 과정에서 겪었던 문화접변의 경험을 분석하여 그들의 문화접변의 유형과 차이의 근거를 밝히고, 국제결혼 여성들의 문화접변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지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J. W. Berry가 범주화한 문화접변 네 유형에 근거하여 연구참여자 6명에 대한 심층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한국으로 이주한 국제결혼 여성들의 문화접변 유형은 통합과 분리의 유형에 한정되어 나타나고 있었으며, 동화와 주변화의 유형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이들이 한국사회로 이주한 이후에도 원래의 고유문화에 대한 문화적 정체성을 부정하거나 포기하지 않고 있었으며, 한국 주류문화의 수용 여부에 따라 통합과 분리의 유형으로 구분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주었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지원정책은 일방적인 동화정책보다는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면서 이들 출신국의 문화와 한국문화를 양립·조화시켜갈 수 있는 통합정책을 지향해 가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acculturation of female immigrants who migrated by marriage to Korea in the process of coordinating and overcoming the heterogeneity between her own culture and Korean mainstream culture in the process of settling in Korea, to identify the types and differences of their acculturation, and to suggest policy orientations that can support their cultural adapt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at analyzed in-depth interviews on six research participants based on J. W. Berry's categorized acculturation types, the types of acculturation of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appeared to be confined to the types of integration and separation. This result confirms that they have not denied or abandoned their native cultural identities even after they have been incorporated into Korean society.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ursue integration policy that can harmonize the culture of the native country and the Korean culture while recognizing the diversity of the culture rather than the unilateral assimilation policy.

      • KCI등재

        우즈베키스탄의 국경구조와 정치과정이 문화접변에 미치는 영향

        이영형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8 아태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phenomenon of acculturation that has been formed in Uzbekistan while investigating the national borders situation and the domestic and overseas political processes. I state that the system conversion policy of Uzbekistan gets around to stimulating the inflows of the external cultures, that the cultural elements between each other get transmitted by having the cultures tha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contact each other in such a process, and that Uzbekistan has been directly confronting the situation of the acculturation which changes to become a new culture. This writing begins while putting in order the phenomenon of the prolonged one-man rule by the President Karimov, who has been having a lot of the influences on the inflows of the external cultures and the acculturation phenomenon of Uzbekistan. While investigating the structure of the national borders of Uzbekista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external cultures are flowed in is investigated. I state that, together with the restoration of the inherent culture, the structure of the national borders has been having a certain amount of the influences in making the culture of the Middle East (Islam) get transmitted more flourishingly. And, while stating the extent of the inflows of the external cultures in the domestic and overseas political processes, the environmental factors behind Uzbekistan’s permission of the acculturation through the participation in a multilateral consultative organization are analyzed. I state that, together with this, with the external cultures penetrating, it has been showing the changeability phenomenon through which the preexistent cultural order of Uzbekistan can be dismantled. 본 글은 국경 상황과 국내외 정치과정을 조사하면서, 우즈베키스탄의 문화접변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체제전환정책이 외부문화 유입을 자극하게 되고, 내재적 문화 복원과 함께 다양한 외부문화의 유입으로 인해 새로운 문화 형태로 변모해 가는 현상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체제전환을 주도해 온 카리모프 대통령이 우즈베키스탄으로의 외부문화 유입과 문화접변 현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대통령의 장기집권 현상을 정리하면서 본 글이 시작된다. 우즈베키스탄의 국경구조가 내재적 문화 복원과 함께 중동(이슬람) 문화 등을 비롯한 외부문화가 보다 활기차게 유입되도록 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국내외 정치과정에서 외부문화가 유입되고 있는 현상의 문제를 다룬다. 특히, 우즈베키스탄이 다자협의기구에의 참여를 통해 문화접변을 허용하게 되는 환경 요인을 시기별로 정리 및 분석한다. 체제전환정책과 내재적 문화 복원, 외부문화 유입과 문화접변 현상 등으로 인해 우즈베키스탄의 기존 문화질서가 해체될 수 있는 가변성 현상을 보이고 있음을 밝힌다.

      • KCI등재

        카자흐스탄 한인 디아스포라 음식의 문화접변과 혼종성-‘꼬끄달라’마을 고려인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배영동 비교민속학회 2023 비교민속학 Vol.- No.77

        Focusing on the materials investigated about ‘Kkokkdala’, a rural village of Goryeo people near Ushtobe, the first forced migration site for Kazakhstan Goryeo people, this study examined the acculturation and hybridity of their food. The daily food of the Goryeo people inherits much of the tradition of Korean food culture including cooked rice, soybean paste soup, kimchi, or seasoned vegetables, and they call it ‘Goryeo food’. The Goryeo people have accepted food from Russia, Kazakhstan, and Uzbekistan on the basis of Goryeo food and formed their own hybrid food culture in general. As the Goryeo people accepted a lot of food from Russia, the ruling country for a long time, their daily food is distinctly characterized by great hybridity between Goryeo food and Russian food generally. This is the result of the fact that the dominance of Russia’s political, social, and linguistic hierarchy worked as a factor for acculturation and Russia’s food culture influenced the Goryeo people’s food culture. On the contrary, the Kazakhstani people who live in friendly relations with the Goryeo people have no diversity of food as they are nomadic; therefore, although Kazakhstani food is mixed in the daily food of the Goryeo people, the degree is subtle. The ritual food of the Goryeo people has inherited the food culture of the Korean people more than their everyday food. Because the Goryeo people celebrate Korean holidays, they tend to maintain Korean holiday food without being much influenced by either Russia or Kazakhstan. This contrasts with the fact that Korean-Chinese holiday food in China consists of Korean-Chinese food as well as Korean food. According to the first birthday party food of the Goryeo people investigated here, even though the one-year-old child was born between a Goryeo father and a Kazakhstani mother, the party held at his grandfather’s house in the morning maintained the tradition of Korean food to receive the guests who were mostly Goryeo people. At the first birthday party held at the hall in the evening, however, food consisting of Goryeo food, Kazakhstani food, and Russian food was served mixedly. This seems to be because not only the father’s Goryeo relatives and acquaintances but the mother’s Kazakhstani relatives and acquaintances attended the party. Also, in the Goryeo people’s table manners, eating habits, tableware, or utensils, too, cultural hybridity is widely found as a result of acculturation. It is interesting to see the cultural hybridization in which they combine their own food with other ethnic food and eat it in a newly invented way. One of the typical examples is the way of eating bread with soybean paste or to cook Kazakhstani food, ‘bisbarmak’, with chicken. Utensils have been changed into a combination of a spoon and fork, and the tableware has been changed to dishes mostly.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Kazakhstan, there has been a phenomenon that Korean food is accepted by the Goryeo people, and they distinguish Gyryeo food from Korean food within the frame of Korean people’s food. In short, the Goryeo people’s food kinds, recipes, table manners, eating habits, tableware, or utensils include the transmission of Korean elements, transformation of Korean elements, acceptance of other ethnic elements, transformation of other ethnic elements, and newly developed elements that can be hardly regarded as the elements of a particular racial group in mixed ways. All the aspects above indicate the hybridity found in the food culture of the Goryeo people who have lived in contact with several ethnic groups under the Kazakhstani regime following the Russian regime. 이 연구는 카자흐스탄 고려인들의 최초 강제 이주지 우슈토베(Ushtobe) 인근 농촌의 고려인 마을 ‘꼬끄달라’에서 조사된 자료를 중심으로 그들 음식의 문화접변과 혼종성에 대해서 살핀 것이다. 고려인들의 일상음식은 쌀밥, 된장국, 김치, 나물무침 등 한민족 음식문화의 전통을 상당 부분 계승하고 있으며, 그들은 이를 ‘고려음식’이라 한다. 고려인들은 고려음식의 토대 위에 러시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의 음식을 수용하여 전체적으로 혼종적 음식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고려인들은 오랫동안 자신들의 통치국가였던 러시아의 음식을 많이 수용하여, 일상음식에서는 전체적으로 고려음식과 러시아음식의 혼종성이 매우 뚜렷하다. 이것은 고려인들에게 러시아의 정치적ㆍ사회적ㆍ언어적 위계의 지배력이 문화접변의 요인으로 작용하여, 러시아 음식문화가 고려인 음식문화에 영향을 미친 결과이다. 그에 비해 고려인들과 우호적인 관계로 살고 있는 카자흐민족의 경우에는 유목민이라서 음식의 다양성이 없어서, 고려인의 일상음식에도 카자흐음식이 혼종되어 있지만 그 정도는 미미하다. 고려인들의 의례음식에서는 일상음식에서보다 한민족의 음식문화를 더 많이 전승하고 있다. 고려인들은 한민족의 명절을 쇠기 때문에 러시아나 카자흐스탄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고 한민족의 명절음식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사실은 중국 내 조선족의 명절음식이 한민족음식과 한족음식으로 구성되는 것과 대비된다. 금번에 조사한 고려인 돌잔치음식의 경우, 돌을 맞은 아이가 고려인 아버지와 카자흐인 어머니 사이의 혼혈임에도, 아이의 할아버지 집에서 오전에 치른 돌잔치에서 고려인 위주의 하객 접대용 음식은 한민족음식의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저녁에 회관에서 치른 돌잔치에서는 고려음식, 카자흐음식, 러시아음식이 혼종적으로 차려졌다. 돌을 맞은 아이의 부계 고려인 친척과 지인들, 그리고 아이의 모계 카자흐인 친척과 지인들이 참석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고려인들의 식탁 예절과 식습관, 식기와 식음구 등에서도 문화접변의 결과로서 문화 혼종성이 광범하게 나타난다. 타민족의 음식을 고려인의 음식과 결합하여 새로 창안한 방법으로 먹는 문화 혼종화가 흥미롭다. 그 대표적인 예가 식빵에 된장을 발라 먹는 식음법, 카자흐음식 비스바르막을 닭고기로 조리하는 법이다. 식음구는 숟가락과 포크의 조합으로 변했고, 식기는 대부분 접시류로 바뀌었다. 그리고 한국과 카자흐스탄이 수교한 이후 한국음식이 고려인들에게 수용되는 현상이 보이는데, 고려인들은 한민족음식의 테두리 안에서 고려음식과 한국음식을 구별하여 인식하고 있다. 요컨대, 고려인들의 음식 종류, 조리법, 식사예절, 식습관, 식기류와 식음기구 등에서도 한민족의 요소를 전승하는 것, 한민족의 요소를 변형한 것, 타민족의 요소를 수용한 것, 타민족의 요소를 변형한 것, 특정 민족의 요소라고 평하기 어렵지만 새로 개발한 것 등이 혼합되어 있다. 이러한 제 양상이 러시아의 통치체제에 이어 카자흐스탄 통치체제 아래서 몇몇 민족과 접촉하며 살아온 고려인 음식문화의 혼종성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