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문화적 맥락을 활용한 <사랑손님과 어머니>의 읽기 교육 방안 연구 - 루쉰의 <축복>과 비교하여 -

        왕효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5 No.-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reading education method of Love Guest and Mother using the socio-cultural context. Until now, understanding literary work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a difficulty for foreign learners. One of the causes is that foreign learners lack the socio-cultural contextual knowledge necessary to understand literary texts. However, learners have knowledge of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ir own country, although they lack knowledge of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Korea. Therefore, by activating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ir own country related to Korean literature works, learners can build a world of text while fully associating and imagining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Korea. Starting with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first conducted a theoretical review of reading novels using socio-cultural contexts.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 the applicability of practical education was sought, and the Guest and Mother and Lu Xun’s New Year Sacrifice were selected as comparative works and the socio-cultural context was compared centering on the motif of widow’s remarriage. The Guest and Mother shows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1930s, and New Year Sacrifice shows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China in the 1920s, and the two countries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studying abroad was used as a means of governance. As Confucianism was solidified, the view of virtue inherent in it was also strengthened, and under this notion, ‘mother’ gave up love to avoid home care, and ‘Mrs. Xianglin’ was forced to do so. The motifs of the two novels are different in expression, but they are attributed to similar ethical moral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mpared and analyzed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two novels, focused on the common ‘remarry’ motif, and presented a reading education plan of "the guest and mother" using the socio-cultural contex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이 연구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활용한 「사랑손님과 어머니」의 읽기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그간 외국어 교육에서 문학 작품에 대한 이해는 외국인 학습자에게 난점이 되어왔다. 그 원인 중의 하나는 바로 외국인 학습자에게는 문학 텍스트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사회문화적 맥락 지식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비록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지식은 부족하지만 풍부한 자국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다. 따라서 한국 문학 작품과 관련된 자국 사회문화적 맥락을 활성화시키면 학습자는 충분히 텍스트와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관련짓고 상상하면서 텍스트의 세계를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이 연구는 우선 사회문화적 맥락을 활용한 소설 읽기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진행하였다. 이론적 검토의 기초에서 실제 교육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사랑손님과 어머니」와 루쉰의 「축복」을 비교 작품으로 선정하고 '재가(再嫁)' 모티브를 중심으로 사회문화적 맥락을 비교하였다. 「사랑손님과 어머니」는 1930년대의 한반도, 「축복」은 1920년대 중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보여주고 있는데, 양국은 유학(儒學)을 통치 수단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유교사상이 공고화됨에 따라 그에 내재된 '정조관(貞操觀)'도 강화되었는데, 이러한 관념 하에 '어머니'는 재가를 회피하기 위해 사랑을 포기하였고, '샹린 아줌마'는 강제 재가를 당하였다. 두 소설의 '재가' 모티브는 표현 방식이 다르지만 비슷한 윤리도덕관에 연유하고 있다. 이 연구는 두 소설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비교분석하고 공통된 '재가' 모티브에 초점을 맞춰 '재가'의 표현 형식과 그 이면에 얽힌 가치관을 분석하였으며, 비교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문화적 맥락을 활용한 『사랑손님과 어머니』의 읽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사회·문화적 맥락을 통한 소설교육의 가능성

        이평전(Lee, Pyeoung-jeon)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6 No.-

        그동안 소설교육의 한계로 지적되었던 신비평 중심의 형식주의 교육의 폐단을 보완하기 위해 1990년대 이후 작가의식을 강조한 소설교육이 진행되어 왔다. 그 과정에서 지나치게 작가의 세계관을 중심으로한 나머지 당대 사회·문화적 상황에 따른 맥락의 이해를 통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실제 ‘사회·문화적 맥락’을 활용한 문학교육은 교육현장에서 여전히 그 개념적 정의의 모호성과 더불어 명확히 설명되거나 실천되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은 ‘사회·문화적 맥락’을 활용해 윤흥길 소설을 독해함으로써, 최근의 학습자들과 1970년대 시공간적 거리에서 오는 소외와 단절을 극복하고 텍스트를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이해하고 감상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 시기 산업사회의 문제와 주체의 현실 대응 태도와 방법, 당대 권력과 폭력적 현실의 문제를 작가가 어떻게 인식하고 작품 속에 재현하는가는 문학교육에서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그동안 소설교육의 결락으로 남아 있었던 사회·문화적 맥락 읽기의 가능성을 탐문하고,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국어과 교육 내용 체계와 관련한 ‘맥락’ 읽기에 대한 이해를 확장할 수 있다. 의사소통의 역영에서 사회·문화적 맥락은 가장 상위의 맥락 범주로 당대 주체의 가치관과 세계관을 제약한다. 담론으로서의 윤흥길의 소설의 사회·문화적 맥락읽기는 주체의 의미작용이 구체적인 상황맥락을 동반하고 그것이 시대적으로 사회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전제 할 때, 현재의 주체(학습자)가 1970년대를 읽는 유의미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식적인 소설의 배경 읽기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것으로 생각된다. To compensate for the negative effect of formalism education focusing on new criticism, which was pointed out as the limit of general novel education, there has been an emphasis on novel education highlighting typicality. It is true that general novel education was not adequate for understanding the social·cultural situation and context of a period due to an excessive emphasis on the authors’ view of the world. This study analyzes how a reading comprehension of Heunggil Yoon’s novel helps learners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social·cultural contexts” of 1970s, which held a certain disconnect for them. It examines the author’s recognition of the problems faced by the industrial society, mainly the attitude and the response of agents to reality and the problems of power and violence of those days, along with the author’s own reflections in the novel. Through this, the possibility of social·cultural context reading, which has been lacking in novel education so far, was explored, and the category of “context,” which was discussed in the Korean education content system of 2009 revised curriculum, was expanded and applied. The social·cultural context is the highest category in communication. It restricts the agent’s sense of value and view of the world. Considering that in the social·cultural context reading of Heunggil Yoon’s novel as discussion, the agent’s meaning function accompanies a specific situation context, which is different historically and socially, this can be a meaningful method for the current agent (learner) to read about the 1970s. Through this, rather than through a schematic study of the novel’s background, new avenues can be opened up for learners to appreciate novels.

      • KCI등재

        스토리 드라마: 사회문화적 구성주의 읽기 교육

        김주연 ( Kim Joo Yo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4

        본 사회문화적 구성주의 읽기 교육과 관련하여 제시된 원리들은 대략 3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텍스트 의미장의 확대`, `맥락 중심 의미 구성`, `성찰적, 비판적 독자 형성`이 이에 해당 한다. 이들은 서로 다른 지점을 강조하고 있어 이들 원리를 실제 교수학습 상황에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선행연구는 상황과 조건에 따라 이들 원리를 선별하여 배치하도록 제안한다. 세 종류의 읽기 교육 원리를 구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스토리드라마는 유용하다. 스토리드라마는 사회문화적 구성주의 읽기 교육의 기반인 담화공동체 구성과 근접 발달 영역의 생성을 수월하게 한다. 또한 감정, 정서, 신체를 활용한 의미의 자발적 표현, 동일시 과정을 담은 드라마적 즉흥 표현, 하나의 스토리와 여러 개의 드라마를 통해 드러나는 여러 개의 맥락들은 사회문화적 구성주의 읽기 교육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그런데 세 종류의 읽기 교육은 스토리와 드라마적 표현을 연결하는 방식의 차이에 의해 다르게 구현된다. `텍스트 의미장의 확대`는 독자들의 맥락을 드라마적 표현을 통해 드러내는 수준에서 이뤄진다. 맥락에 의한 의미의 다양성을 인식하고, 텍스트 의미망의 확대를 가져오는 차원에서 멈춘다. `맥락 중심 의미 구성`은 독자들이 드러낸 맥락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이뤄진다. 맥락을 드러내는 것에서 더 나아가, 여러 개 맥락들을 연결하여, 서로 공유하는 지점들에 대한 대화까지 아우른다. 이는 독자, 상황, 사회문화적 맥락까지 아우르는 텍스트 의미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성찰적, 비판적 독자 형성`은 스토리의 맥락과 독자들의 맥락 사이의 차이를 조명함으로써 가능하다. `맥락 중심 의미 구성`이 공유되는 부분에 대한 의미 구성이라면, `성찰적, 비판적 독자 형성`은 맥락들 사이의 차이, 거리두기를 통해 가능한 의미 구성이다. 어떤 차이가있으며, 차이가 어디서 비롯되었는가를 논하는 과정을 통해 성찰적, 비판적 독자가 형성된다. This thesis explores story drama as a socio-cultural constructivist approach to teaching reading. There are three types of socio-cultural constructivist approaches in terms of teaching reading which are `expanding meaning field of text`, `meaning making driven by context` `reflective and critical reader`. These place emphasis on different spots so that a problem is raised how to apply these different approaches. A possible answer can be that these can be deployed according to conditions and needs. This study offers story drama as a method embody these approaches. Story drama has a structure to facilitate organizing reading community and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Besides, story drama as a social medium allow dynamic social interactions and provokes spontaneous meaning making and expression through employment of feeling, body, imagination and so on. Furthermore, the dual layering of fiction and actuality makes participants discover their contexts and confronts them with difference. This enables them to reflect and crticise their subjective meaning and the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 which constitutes the subjective meaning.

      • KCI등재

        기획 주제 : 텍스트, 상호텍스트, 콘텍스트 ; 읽기의 맥락과 맥락 읽기

        김혜정 ( Hye Jeong Kim ) 한국독서학회 2009 독서연구 Vol.0 No.21

        맥락 중심 교육과정을 지향하고 있는 현재, 맥락은 읽기 교육에서 의미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제로서 읽기 교육을 연구하는 모든 사람에게 흥미있는 주제이다. 이를 위해 맥락의 역사적 전개를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복잡하고 수많은 맥락의 개념들을 몇 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해 보았다. 비록 개괄적 수준이지만 고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에 기술된 맥락의 성격이며, 어떤 지점에 있는지를 생각해 보았다. 맥락의 정의는 언어적인 것에서 점차 심리적인 것으로, 그리고 심리-사회적인 것으로 변화해 왔다. 이 과정에서 맥락을 하나의 언어적 단서로부터 기술할 수 있는 요소로서 간주하다가 점차 언어 사용자의 심리적 표상으로, 텍스트와는 별개로 항존하는 비언어적인 지식과 상황으로까지 기술되었다. 이는 인식론적 패러다임의 변화와 무관하지 않다. 또한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맥락이 지식의 속성과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영역마다 다른 배경과 용어로 기술되어 있음을 살펴보았다. 맥락의 방법론 또한 상세하지 못했다. 교육과정상에서의 맥락의 개념은 영역 내에서가 아니라, 영역 간에 재조정을 통해 개념과 용어가 통일될 필요가 있다. 요컨대, 읽기란 맥락 자체를 읽는 것이라고도 한다. 본질적으로 탈맥락적인 발화나 텍스트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맥락적 읽기는 하나의 선택적 전략이라기보다는 본질적으로 행위의 전제이다. 따라서 맥락은 세계를 인식하는 매우 중요한 통로이며, 학습자에게 자각되어야 할 매우 중요한 교육 내용이기 때문에 전략화 되어 가르쳐져야만 할 것이다. 이것이 교육과정의 한 범주로서 ‘맥락’이 설정된 의의인 것 같다. 읽기의 상황과 사회문화적 배경을 의미 구성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자신의 사회문화적 지식과 사회문화에 대한 가치를 확대, 정립해나가는 것이 읽기의 목적이기 때문이다. Context is very important pedagogical thema of context-oriented curriculum in current education. which is able to do meaning-constructing. Therefore historical development of context in definition is researched, and its concepts are divided as several standards into some types of features of contexts. And contexts`s definitions are examined which have been described in Korean-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As a result, definitions of contexts have been changed from linguistic-based to cognitve representation-based, further to social psychologistic-based. These diversities are closely connected with changes, from which strive to define as linguistic and grammatical cues, to which strive to describe as beliefs, common sense, collective sense and situation, and so on of language-users or language community. The latter is de-contextualized and historical constantly. This is also related with changes of paradigms from behaviorist to constructivst further to socio-culturalist. Contex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are mixed with concepts of ‘knowledge categories’, and are described differently as different terminologies and theoric backgrounds in each domains. and so aren`t detailed in teaching-methods. So its concepts and methodological descriptions have to be coherent in pedagogical perspectives, because understanding of context in reading make us as readers build and enlarge socio-cultural knowledges, identities and values of ourselves.

      • KCI등재

        맥락 기반 읽기 지도의 관점과 반성

        박수자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7 No.-

        This paper reviewed the various viewpoints for context meanings and functions, since constructivism. And then, it proposed that language-use viewpoints are necessary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rather than language-usage viewpoints. So, reading area of 2007 revised curriculum, that presented the context as a content class, were analyzed by that points. It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context was described separately and rare socio-cultural context items were showed. Recently reading theory and situated learning theory based on constructivism encouraged to consider not only a reading context, but also a reading instruction context, for successful reading teaching. Reading a text and meta-text of reading textbook, will be happened simultaneously in a classroom lesson. So analyzing reading textbook in 2007 revised curriculum, it found that reading strategies were presented inadequately and socio-cultural context was not realized authentically. Therefore this paper proposed to accomplish the tasks of context based reading instruction, considering ‘whole, self-directed, diversity, reading community, authenticity’. 이 연구는 구성주의 패러다임의 출현 이래 다양한 학문에서 논의된 맥락의 개념과기능을 여러 측면에서 고찰하고, 국어과 교육에서도 맥락에 대해 기존의 언어 분석적인 구심적 접근에 더하여 언어사용자 중심의 원심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현행2007 개정 교육과정의 읽기 영역 성취기준을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맥락이 분절되거나 상대적으로 사회문화적 맥락의 반영이 빈약하여 결과적으로 언어 중심의 구심적접근이 여전히 지배적이었다. 이는 교육과정 차원에서 맥락을 두 부류로 분절하여명시한 결과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교육과정 기술에 대한 보완이 요구된다. 또한 최근 읽기 이론이나 상황학습이론에 근거하여 맥락 기반 읽기 지도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려면, 읽기 맥락만이 아니라 읽기 수업의 맥락도 고려해야 한다. 교실장면에서 읽기 수업은 텍스트 읽기와 메타텍스트 읽기가 동시에 실행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읽기 수업 상황이 전제된 읽기 교과서의 맥락 실현 여부를 분석한 결과,읽기 교과서의 경우도 읽기전략의 반영이 미진하고 사회문화적 맥락의 반영도 매우불투명하게 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토대로, 읽기 교과서개발에서 ‘통합성, 자기주도성, 다양성, 해석공동체, 실제성’ 등의 측면을 고려하는맥락 기반 읽기 지도의 과제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듣기ㆍ말하기 맥락의 이론적 체계화 방안

        박창균 한국화법학회 2008 화법연구 Vol.0 No.1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of listeningㆍspeaking context. So I investigated the meaning of context through reconceptualized and categorized it, and discussed its workings. The accepted context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defined as ‘the sociocultural backgrounds which we should consider in listeningㆍspeaking, including situational context and sociocultural context.’ As an alternative, I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in listeningㆍspeaking that it is constructed psychologically by speakers and listeners in the process of listening and speaking. Thus, I reconceptualized listeningㆍspeaking context as the ‘physical(verbal/non-verbal)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construct between speakers and listeners working in the process for speakers and listeners to express their meaning.’ And I divided language users into an independent category, not as a constituent of situational context. Then, I categorized context into linguistic context, participant's context, situational context, and sociocultural context as constituent of context. Further, I divided any other aspects into potential context, representational context, and actual context as communicator's awareness. To teach listeningㆍspeaking context, I suggest how to establish the context in the areas of contents and method. 이 연구의 목적은 듣기ㆍ말하기 맥락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하는 것이다. 이에 이 연구는 듣기ㆍ말하기 맥락을 재개념화하고 범주화한 후에 그 작용 구조를 밝힘으로써 맥락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개정 교육과정의 맥락에 관한 해설에 따르면, 듣기ㆍ말하기 맥락은 ‘듣기와 말하기에서 고려해야 할 사회ㆍ문화적 배경으로 상황 맥락과 사회ㆍ문화적 맥락을 포함한다.’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 정의는 맥락에 관한 일반적인 연구 담론에 비추어 볼 때, 맥락을 객체적인 대상으로 보고 제한적으로 수용한 것이다. 따라서 듣기ㆍ말하기 맥락은 듣기와 말하기 과정에서 화자와 청자가 심리적으로 구성한다는 점을 강조하여 다음과 같이 재개념화하였다. 듣기ㆍ말하기 맥락은 ‘화자와 청자가 담화를 표현하고 이해하는 과정에 작용하는 물리적(언어적/비언어적) 환경 및 화자와 청자의 심리적 구성체’이다. 그리고 맥락의 범주는 언어 사용자를 상황 맥락의 한 구성 요소로 간주하기보다 독립적인 범주로 구분하여 언어 맥락, 참여자 맥락, 상황 맥락, 사회ㆍ문화적 맥락으로 범주화하였다. 아울러 맥락을 의사소통 참여자의 인식 과정과 실현 단계에 따라 잠재 맥락, 표상 맥락, 실현 맥락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러한 듣기ㆍ말하기 맥락을 듣기ㆍ말하기 교육 내용으로 수용할 때는 맥락의 구성 요소를 고려하여 맥락을 범주화하여 하위 요소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듣기ㆍ말하기 교육 방법 측면에서는 맥락의 인식 과정을 고려하여 맥락을 탐구하고 적용하여 이를 점검하고 조정하는 교수ㆍ학습 활동을 계획해야 한다.

      • KCI등재

        텍스트 맥락과 중한번역

        박은숙(朴恩淑) 한국중국문화학회 2021 中國學論叢 Vol.- No.70

        본 논문은 텍스트 언어학에서 언어 구조의 최대 연구 단위를 텍스트로 보는 관점에서 텍스트 분석 중 맥락적 분석 이론 을 바탕으로 중한텍스트에 적용해 연구 분석해 보았다. 개괄하자면, 맥락을 세 가지로 분류해, 즉, 상하문 맥락, 상황적 맥락, 문화적 맥락으로 나누어서 중한텍스트에 적용해 보았다. 싱하문 맥락이란 언어가 단어, 구, 문장 등의 형태로 텍스트 상에 처한 언어적 환경을 뜻한고, 상황적 맥락에서는 할리데이(Halliday)의 어역(register) 이론을 적용해 보았다. 문화적 맥락에서는 문화어와 문화함의어를 통해 중한텍스트 상에서 문화적 맥락이 갖는 양상을 대조 분석해 보았다. This paper mainly discusses the role of context in the translation of Chinese and Korean texts. The author applies Halliday s context trichotomy to the translation of Chinese and Korean texts. To sum up, context (also known as linguistic context) refers to the content before and after a word, a phrase, or even a longer text. Situational context refers to register variables, which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eld, tenor and mode. Finally, cultural context refers to the social, cultural, economic, religious and political backgrounds involved in a discourse. I divided context into context, situational context and cultural context, and probes into the context in Chinese-Korean translation. The author divides the cultural context into two parts: the influence and restriction of cultural words and cultural meaning words, and the translation strategy of cultural words. I discusses the difficulties in the translation of cultural words and the translation skills of cultural words. Through the analysis of context, we can see that the use of context factors can eliminate ambiguity in the translation practice between China and Korea; With the help of specific situational meaning in context, the meaning expressed in grammar, pragmatics and style in the original text can be reconstructed in the translation. Finally, we can judge the meaning of cultural words in the original text by cultural context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本文主要讨论了语境在中韩语篇翻译中的作用。作者把韩礼德的语境三分法,应用于中韩语篇翻译实践中。概括起来说,上下文语境(又称为语言语境)是指一个词、一个短语、乃至更长的语篇前后的内容。情景语境就是语域变量,语域变量可分为以下三种:语场、语旨和语式,最后,文化语境指语篇所涉及的社会、文化、经济、宗教和政治背景等。 作者把语境分为上下文语境、情景语境和文化语境,深入探讨了中韩翻译中的语境问题。作者把文化语境,还分为文化词和文化含义词的影响与制约和文化词的翻译战略二部分,论述了文化词翻译的难点以及文化词的翻译技巧。 通过语境分析我们可以看出,在中韩翻译实践中利用语境因素能排除歧义;借助语境中特定的情境意义在译文中重构原文中用语法、语用和语体等表现出的意义。最后,我们在翻译过程中依靠文化语境能判断在原文中文化词所含有的词义。

      • KCI등재

        맥락 관련 문법 교육 내용의 인지적 구체화 방향

        신명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3 국어교육연구 Vol.32 No.-

        This paper treated on ‘context’. Especially this paper discussed ‘the concreteness of educational contents connected with context’. That direction is embodied as follows. ○ recognize and construct your context itself. ○ grasp the appropriateness and validity of a constructed context and reflect. ○ practice and reflect your cultural context in your contextualization process. ○ judge contexts which are more important. ○ express your context in your words and sentence. ○ set up your context based on your high self-estimation. When you express your context in your language, the recognizing of the language form is important. Human have the various cognitive ability. That is expressed in own language. Student must be known that the trivial difference of language form accompanies the very big meaning difference. ‘맥락’은 그간 주요한 국어 교육 내용 중의 하나로 다루어져 왔으나 그 교육 내용의 추상성으로 말미암아 현장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고는 맥락 관련 국어 교육 내용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고찰할 뒤 그 교육 내용의 구체화 방향을 국어 교육 차원과 문법 교육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국어 교육 내용의 구체화 방향은 다음과 같다. ○ 맥락 자체 인지하고 구성하기○ 구성한(혹은 구성하고 있는) 맥락의 적절성과 타당성 성찰하기○ 맥락화 과정에서 사회문화적 실천 행위 실행하고 성찰하기○ 맥락들의 비중 판단하고 적절하게 반영하기○ 맥락을 의도에 맞게 언어화하기○ 긍정적 자아 개념 계발에 기반하여 맥락 설정하기이 중 맥락을 의도에 맞게 언어화하기에 초점을 두어 문법 교육 내용의 구체화 방향을 인지언어학의 해석 개념에 기반하여 논의하였다. 본고의 이와 같은 논의는 맥락을 심리 기제적 관점으로 파악하면서 이루어졌다.

      • KCI등재

        개별 논문 : 사회,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소설 읽기 지도

        안재란 ( Jae Ran An ) 한국독서학회 2009 독서연구 Vol.0 No.22

        현재의 문학 교육은 특정 이데올로기에 경도되지 않은 보편적인 가치를 전수하는 측면이 강조되어 학습독자의 위치가 고려되지 못하였다. 문학은 존재하는 그 순간에 이미 과거성을 지니며 이는 항상 현재적인 수용자에 의해 끊임없이 새로운 맥락 위에서 새로운 텍스트로 창조될 때 의미가 있다. 이 글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의 ``맥락`` 중 사회·문화적 맥락에 주목하여 첫째 수용자의 맥락화를 통해 구체적인 학습독자를 설정하였다. 다양성과 혼란, 그리고 갈등 속에서 현재를 살아가는 수용자는 자신의 위치를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이를 통해 텍스트와 좀 더 역동적인 관계 맺기를 할 수 있다. 둘째, 텍스트의 맥락화를 통해 텍스트에 반영된 공동체적 가치를 점검하고 동일시나 거리두기를 통해 현재의 수용자의 가치가 조정되어 공동체적자아의 실현에 기여하게 된다. 셋째, 맥락을 통해 의미를 구성해냄으로써 학습독자의 역동성을 극대화하고 현재의 ``나``의 위치에서 순간적으로 조정되는 다양한 텍스트를 경험할 수 있게 된다. The context exists as a various type of relationships between a text and a consumer. The literary education course has stressed on the aspect of succeeding the general ideas that are not inclined to stay on a particular side of ideology, regardless of the students` situation. As soon as a literature has been written, it will be already past, then repeatedly replaced with new texts on a brand-new context by a user who are always present. A user is an absolute ego that has varied background as well as a social individual that shares a common destiny in a community. We are aimed at particular readers through first user`s contextualization, seeing from social-cultural context among the revised education program. The user who is living now in diversity, confusion and conflicts can set his situation diversely and concretely, then relate to the text more dynamically by this. Secondary, contextualizing a text can check a common value in a community that is reflected in the text, so current users can devote to their self-realizations because it can have an affect on a personal value. Third, context can make up the meaning, maximize driving force of readers, and "I" at present can experience many different texts that have had a temporary blip.

      • KCI등재

        소설 재구성의 읽기 교육적 의미 연구

        정래필(Jeong Rae Pil) 동남어문학회 2016 동남어문논집 Vol.1 No.41

        이 글은 텍스트 생산과 수용에 관여하는 문화적 맥락을 규명하고, 현재 학습 독자의 의미 구성 과정을 탐구했다. 이를 위해 연재본과 단행본 〈삼대〉를 비교하면서 창작 당시의 문화적 맥락이 텍스트에 반영되는 양상을 제시하고, 학습독자의 현재 문화적 상황에 따라 재구성한 〈삼대〉를 분석했다. 〈삼대〉의 연재본과 단행본은 인물의 성격이나 스토리의 전개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단행본은 연재본의 스토리 세계를 조정함으로써 그와는 다른 문화적 의미를 생성하고 있다. 〈삼대〉는 1930년대의 고정된 텍스트가 아니다. 왜냐하면 시대, 혹은 사회문화적 조건이나 환경이 달라짐에 따라 제2의, 제3의 〈삼대〉로 다시 태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1947년의 염상섭이 그랬듯이 현재의 학습자도 자신이 속한 공동체 내의 문화적 상황이 드러나도록 또 다른 〈삼대〉를 만들 수 있다. 비록 그것이 작가의 수준에는 못 미친다고 하더라도 학습자 역시 〈삼대〉를 재구성할 수 있는 주체가 될 수 있다. 이 점에 주목하여 소설읽기 교육의 방법과 의미를 제시했다. The newspaper serial edition and the separated volume of Samdae show differences in character of figure or development of story. The separated volume creates new cultural memory by adjusting story world of the newspaper serial edition. This is because Samdae can be born again as the second and the third Samdae, not fixed text of 1930s as era, sociocultural conditions or environment changes. Like Yum Sangsub adapted Samdae in 1947, present learners also can make another Samdae so that cultural situation of learners’ community can be disclosed. Though it does not reach level of the writer, learners can do activity to reorganize Samdae by applying cultural memory too. It should be especially noticed that Samdae is an work always printed on a textbook regardless of revis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This is because learners understand and assess Korean society of the past whil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accepting view of value and world of Samdae printed on the textbook. This gives much implication in organizing activity of learners who explore cultural context in literary education, into educational contents. The study discussed on direction of literary education as cultural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