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無形文化遺産)의 보존(保存)과 활용(活用)에 대한 소고(小考) -전형(典型)의 개념을 중심으로-

        송준 ( Jun Song ) 남도민속학회 2008 남도민속연구 Vol.17 No.-

        본고에서는 우리나라의 문화재보호법에 규정된 원형(原型)보존주의의 원칙이, 무형문화재의 보존과 활용에 미치는 부정적인 부분을 지적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적용되어 오던 원형(原形) 개념 대신 전형(典型) 개념의 도입 필요성과 적합성을 제기하고자 했다. 전형(典型) 개념의 도입은 원형(原形) 개념의 단절성(斷絶性)과 고착성(固着性)을 완화하여 문화의 연속성과 내발적(內發的) 생동성을 제고함으로써 무형문화유산의 효율적인 보존과 활용의 기저(基底)를 견고히 하려는 시도이다. 본문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무형문화유산에 유형(有形)의 개념인 원형(原形)을 사용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 또 지정 당시의 형태만을 원형(原形)으로 보존하고 관리 하는 것은, 그것에 내재(內在)되어 있는 전형성(典型性)을 간과하는 것이다. 전형(典型)은 원형(原型)을 기반으로 해서 만들어진다고 상정(想定)된다. 따라서 전형성(典型性)을 보장하는 것은, 문화유산의 생성기반이 되었던 원형(原型)을 지역적·역사적·사회적 배경이나 그 구성·행위원리와 함께 고려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문에서 제기한 문화유산의 ‘무형성(無形性)’은 무형문화유산 뿐만 아니라 유형문화유산 분야에서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무형문화유산의 효율적인 보존과 활용은 유형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도 밀접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무형문화유산은 대부분 ‘구조화된 행위원리의 틀’을 기저부에 가지고 있다. 그것이 행위의 형태로 나타나면 무형의 문화유산이고, 행위의 결과물로서 나타나면 유형의 문화유산이 되는 것이다. 이런 ‘구조화된 행위원리의 틀’은 우리가 상정하는 원형(原型)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무형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이 우리 민족의 문화원형(文化原型)과 연관되어 전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면, 무형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 있어서 중심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대상은, 행위의 결과로 만들어지는 ‘형태’가 아니라 그것을 생산해내는 ‘원리’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point out that the original form protection principal prescribed by Korea``s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ha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protection and applic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to solve the problem by suggesting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 new concept such as ``typifier`` into our cultural protection policy. The purpose of Introducing a ‘typifier’ concept into the present policy is to strengthen the basis of effective protection and applic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by mitigating a sense of estrangement fixation which an original form concept innately has and by highlighting both the continuity and spontaneous vitality of culture. As described in the study, it is not logical to use the ‘original form’ concept which needs forms in protecti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addition, protecting and controlling the first designated type as an original form causes a serious problem in that it can never solves the intrinsic typific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A typifier is produced based on an archetype. Accordingly, the acceptance of the typific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helps us consider an archetype, the creation basis of cultural assets, in the regional,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s and by the structure and act principle. The formlessness of cultural assets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not only intangible cultural assets but also tangible cultural assets because they both have a great influence on each other.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have ‘a structured frame of act principle’ in their base. An act principle shown in an act i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while that in an outcome of an act is a tangible cultural asset. This structured frame of act principle is namely an archetype. If the protection and applic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should be done in relation to the cultural archetype, the most important factor we have to consider is not a ‘form,’ an outcome of an act but a ‘principle’ which produces a form.

      • KCI등재후보

        북한의 전통음악관련 무형유산의 전승과 남북한 협력 방안

        배인교 국립무형유산원 2019 무형유산 Vol.- No.7

        This article examined the North Korean leaders' perceptions of music as cultural heritages toseek future directions of the transmission of music as cultural heritages and perspectives forcooperation or mutual complementation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During the reign of Kim Il-sung , North Korea generally concentrated on the socialist or (north)Korean style succession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s. That is, North Korea did not leave themusic of the past as a thing of the past, but critically inherited it so that the music of the pastcould continue living in real life, and demanded the music of the past to melt modern senseson it. During the reign of Kim Jong Il , North Korea tended to emphasize national cultural heritagesmore than the reign of Kim Il-sung , but North Korean perceptions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especiall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hanged at the beginning of the 2000s. That is, alongwith modern succession of music as cultural heritages, North Korea began to be interested inthe preservation of the 'archetypes'. In the reign of Kim Jeong-eun , which began in December 2011, North Korea enactedthe 「National Heritage Protection Act」 (2015) in line with the global trend and it becamethe foundation for the registration of North Korean music as cultural heritages as UNESCO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of Humanity and the designation of those as national nonmaterialcultural heritages and local non-material cultural heritages. However, in contrastto the emphasis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t the national level, it can be seen that theperformance and creation of national music in the field of music were not as active as inprevious periods. Therefore, in order to inherit the national common musical heritages in the times of SouthKorea-North Korea reconciliation, the efforts to identify and match the statuses of eachcountry's music culture while referring to the designation of cultural properties or culturalheritages based on the archetypes of region-based musical heritages should be made first.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widely educate that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avecommon musical heritages. Based on the basic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musicalheritage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ce to confirm the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music as cultural heritages,and furthermore, the national homogeneity. 이 글은 북한 지도자들의 음악문화유산에 대한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남북의 음악문화유산 전승의방향과 협력, 혹은 상호 보완의 관점을 모색한 글이다. 김일성이 집권하던 시기에는 대체로 민족문화유산의 사회주의적, 혹은 (북)조선적 계승에 집중되어 있었다. 즉 과거의 음악을 과거의 것으로 남겨두지 않고 현실 생활에서 계속해서 살아 움직일 수 있도록 비판적계승을 하며, 그 위에 현대적인 감각을 녹여 낼 것을 요구하였다. 김정일 집권기에는 김일성 시대보다 더욱 민족문화유산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민족문화유산, 특히 무형유산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였다. 즉 음악문화유산의 현대적 계승과 함께 ‘원형’의 보존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2011년 12월에 시작된 김정은시대에는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추어 「민족유산보호법」(2015)을 제정하였으며, 이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와 국가비물질문화유산 및 지방비물질문화유산의 지정을 위한 기반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국가 차원의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강조와 달리 음악현장에서는 민족음악 연주와 창작이 이전 시기에 비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남북한 화해의 시대에 민족 공동의 음악유산을 전승하기 위해서는 지역에 기반한 음악유산의 원형성을 기준으로 문화재, 혹은 문화유산 지정을 참고하면서 각국 음악문화의 상태를 확인하고 맞춰가는 노력부터 시작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남북한이 공동의 음악유산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널리 교육할 필요도있다. 이러한 남북의 음악유산에 대한 기본적 인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향후 남북한 음악문화유산의 계승과발전, 나아가 민족적 동질성을 확인하는 자리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문화유산의 입법과제 : 프랑스의 접근방식

        권채리 유럽헌법학회 2019 유럽헌법연구 Vol.0 No.30

        Present paper aims to examine various aspects of legislative tasks relating to the cultural property. The French approach or model is frequently borrowed and discussed in many parts of the world, as done here too on the matter. The first thing that brings our attention to is the unique term "patriemoine culturel" and its implications. With the advent of modern statehood in France saw many articles or objects vandalized, thus causing arousing of awareness on the part of citizenry for remedial meassures. The environment of these kinds led calling for state intervention to curtail further deterioration. Outcries for movements of this nature gave rise to enactment for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Backgrounds being as such motives of legislation in the field of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differ a good deal from the case of Korea. Furthermore, the area of protecting cultural heritage poses conflicts, competition let alone coordination and adjustment with other national agendas. These are done in panoramic ways. Among the many competing national agendas, as indicated in the above, one might pose the case of ‘generation conflict’as it relates to the cultural heritage. The cultural heritages, concededly not belonging to the current generation, ought to be shared with future generation in whatever context they suit the nature of legacy. The debate over the issue poses in heated ways in Korea as well. The basic tenet, coming from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also be applied to the cultural assets, in the sense they should be handed down eventually to future generations. Another principle governing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within the context of public law may be the law of tribute. France's tribute law, which represents "non-transferability" and "no effect on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s a principle frequently relied on by the French government whenever it is faced with the issue of return of its stolen cultural assets form foreign governments. The cardinal principle of private property rights should also be noted in terms of its application to the cultural property. The two propositions - the guarantee of individual property rights on one hand and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on the other - guaranteed by constitution in both France and Korea, frequently face the delicate quagmire of compromising or harmonizing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Another implication we might draw from the Cultural Heritage Law of France is in the area related to decentralization. This is especially true in the light of our system, somewhat similar in practice. The reason is law and its practice in this area seem heavily influenced by nations of federal structure such as Germany and the U. S.. In other words, the so-called "national and local interests"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non-federal regions, especially the legal provisions of the cultural and regional decentralization protocols, have significant similarities with Korea, with leaving in-depth comparative studies on the issue for future. The paper concludes with pinpointing three basic issues pertaining to the cultural heritage in terms of law and practice. First, adjustment and coordin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Second, adjustment and coordination between national interests and local interests in case of pblic corporations. Third, coordination among past, present and future generations. It is indeed safe to say that studies on issues of this kind needs to be conducted in these perspectives 본 연구는 프랑스가 근대국가로 들어온 이래 문화유산 보호를 강화해오게 된 동력이 어디에서 나왔으며 특히 그 보호법제의 변용이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가를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문화유산에 대한 국가적 관여의 필요성이라는 인식의 대두와 그 강화의 배경에서 출발한다. ‘문화유산’에 관한 고유의 용어정립, 그리고 사회적 인식의 태동과 고양 및 국가적 개입이 비로소 보호법제의 제정으로 발전되는 과정은 각 국가마다 다른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본다. 뿐만 아니라 문화유산의 보호에서 다른 국가과제와의 경합과 갈등에 따른 전개에 대한 분석 또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그 가운데 하나로 세대 간의 이해경합과 갈등을 꼽을 수 있다. 문화유산은 비단 현 세대의 전유물이 아니며 미래세대에 물려주어야 할 유산인 까닭에 이를 둘러싼 여러 시각과 관점에서의 논의는 우리의 경우에도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지속가능한 개발의 차원에서 나온 이 개념은 본래 환경보호의 필요성에서 출발하였으나 미래세대에 물려주어야 하는 문화유산의 속성을 고려해본다면 문화유산에도 이 원칙이 기본적으로 그대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공법적 틀에서 고안해 낼 수 있는 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또 다른 원칙은 공물의 법리이다. ‘양도불가능성’과 ‘소멸시효 없음’으로 대표되는 프랑스의 공물법리는, 약탈된 자국의 문화재 반환 요청이 있을 때마다 프랑스 정부가 원용하는 원칙이다. 사유재산권에 가하여지는 제한 또한 문화재 보호의 차원에서 주목하여야 할 대목이다. 프랑스와 한국에서 모두 헌법적 가치로 보장되는 개인의 재산권 보장과 문화유산 보호라는 두 명제는 공익과 사익의 절충 내지 조화라는 숙제에 있어 빈번하게 직면하게 된다. 이에 덧붙여 프랑스 문화유산 법리가 우리에게 던지는 주요 과제로 지방분권과 관련된 분야를 들 수 있다. 특히 독일과 미국과 같은 연방국가의 법제 및 사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우리 제도에 적실성이 클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중앙정부와 비연방국가 지방 사이의 이른바 ‘국가이익과 지방이익’, 특히 문화지방분권 프로토콜의 법리전개는 우리 관련 법제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보인다. 요컨대, 이들을 정리하면 문화유산의 보호라는 공통적 목표를 둘러싼 법제와 법리상 논점은 대체로 세 가지 측면에서 이익의 조정으로 요약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첫째, 공익과 사익의 조정, 둘째, 공법인 사이의 국익과 지방이익의 조정, 셋째, 과거세대와 현재세대, 그리고 미래세대 간의 조정이 바로 그것이다. 이 같은 지향성과 관점은 이 연구 전반에 투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관광객의 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와 만족관계 -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따른 방문영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오민재 한국관광학회 2012 관광학연구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tter understand visitor segmentation at World Heritage sites based on a visitors motivation profil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representative list of World Heritage sites. A total 528 vali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1 – 26 September as the Andong Hahoe Folk Village.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cluster analysis, discriminant analysis, cross-tab and regression analysis. World Heritage motivation questions measuring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Cultural Heritage’, ‘Friendly’, ‘Tourist Attraction’, ‘Novelty’ and ‘Escape’ of the five factors were derived from EFA. Cluster analysis of tourist types according to the tourists’ motivations are ‘Escape and Socialization seekers’, ‘Cultural Heritage seekers’, ‘Relaxation seekers’ and ‘Attraction seekers’. In addition, findings indicate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he results of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which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a representative list of the World Heritage site were that the representative list is evidenced to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ts’ motivation and satisfaction.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등재된 세계문화유산을 찾은 관광객들의 동기를 파악하고, 세계문화유산의 등재와 방문 영향에 대한 관련성을 밝혀 세계문화유산에 대한 마케팅 전략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세계문화유산 관광동기 측정 문항을 요인분석 한 결과 ‘문화유산성’, ‘친화성’, ‘관광매력성’, ‘신기성’, ‘일탈성’의 5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세계문화유산 관광동기 요인을 기준으로 군집분석 실시한 결과 ‘탈일상친화형’, ‘문화유산형’, ‘기분전화형’, ‘관광자원형’의 4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관광동기 군집별 관광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교차분석결과 결혼여부를 제외한 모든 관광객 특성(인구통계적 특성 및 관광행태적 특성)에서 세계문화유산 관광동기 세분시장간 통계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세계문화유산 관광동기와 방문만족의 관계에서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대한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세계문화유산 등재로 인한 방문 영향이 관광동기와 방문만족 간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화유산 대상지가 세계문화유산의 등재로 인하여 관광객들에게 동기를 부여시키고, 그에 따르는 방문만족에도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세계유산의 등재가 갖는 관광대상에 대한 영향력과 브랜드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역사ㆍ문화 교육 관점에서 갈등 문화유산에 관한 인식과 보존ㆍ활용 - 북한산 선정비 등 역사적 갈등을 담은 비석들을 사례로 -

        류호철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3

        역사 해석과 인식을 두고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는 문화유산들이 있다. 그중에서 친일 인물이나 탐관오리의 선정비들은 대체로 허위 공적과 선정이 기록된 것들이 많은데, 북한산 선정비 등을 대표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다. 이처럼 갈등을 일으키는 유산들은 ‘부정적 문화유산’이나 ‘불편한 문화유산’ 등 으로 부르며 없애버리거나 감추어야 할 것들로 생각하는 일이 많다. 그런데 더 큰 틀에서 보면 이러한 갈등 유산은 그것이 형성되던 시대부터 오늘에 이르는 역사를 간직한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부정적 역사를 담은 유산이라도 함부로 없애버리거 나 훼손해도 되는 것들이 아니다. 문화유산의 의미와 가치 판단은 가변적인 것이 어서 어느 한 시대의 평가가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부정적 역사의 결과물이 역사ㆍ문화 교육 관점에서는 오히려 효과적인 교육 소재가 될 수 있다. 예컨대 북한산 선정비들은 현장을 정비하여 그것들이 문화유산임을 분명히 한 후, 해설사 배치, 안내문 설치와 QR코드 부착 등을 통해 그에 관한 내용을 알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비문 등 내용을 가진 문화유산이므로 그 내용 을 사실대로 나눔으로써 역사 인식을 바르게 하는 데 중점을 두는 것이다. 이처럼 갈등 문화유산을 객관적으로 보고 그 의미와 가치를 바르게 인식할 때 우리는 국 권피탈기와 역사적 아픔을 극복할 수 있다. Some cultural heritages cause social conflict over historical interpretations and perceptions. Among them, monuments exist to commemorate good rule recording achievements or exemplary governments, which may be deceptive. Examples of monuments of pro-Japanese figures or corrupt officials can be found in Bukhansan Mountain. We often consider such conflicting heritages as things to be removed or hidden, designating them as “negative cultural heritages” or “uncomfortable cultural heritages.” However, in a larger framework, these conflicting heritages are valuable in that they retain history from their inception to the present. From this standpoint, even a legacy containing negative history cannot be recklessly removed or damaged. As the criteria to judge the meaning and value of cultural heritage can vary, the evaluation of an era is not absolute. Additionally, cultural heritage resulting from negative history can be an effective educational material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and cultural education. From this standpoint, Bukhansan monuments can be utilized, centering on their contents as cultural heritage. It is effective to have commentators explain the monuments or install notices and quick response (QR) codes containing relevant information. As these monuments are cultural heritages with historical conten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n accurate version of history by sharing their meaning. Accordingly, when we objectively consider conflicting cultural heritages and recognize their meaning and value correctly, we can overcome the colonial period and historical pain.

      • KCI등재

        문화유산 인식, 지역애착도, 지역공동체 간의 구조적 관계

        채경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2 문화정책논총 Vol.36 No.3

        최근 들어 문화유산 역할이나 가치에 관한 연구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문화유산에 대한 주민의 인식이나 이것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주민의 시각에서 문화유산의 관리 인식이나 이에 대한 태도가 지역의 애착도나 공동체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했다. 이를 위해 ‘문화유산 인식 요인(문화유산 관리, 문화유산 태도)’, ‘지역애착도’, ‘지역공동체’간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해 보았다. 분석 결과, ‘문화유산 관리’는 ‘지역애착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이를 매개해 ‘지역공동체’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유산 태도’ 역시 ‘지역애착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이를 매개해 ‘지역공동체’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유산 지역주민의 인식, 지역애착도의 매개역할 등 주요 쟁점에 대해 논의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정책 및 역할의 중요성, 지역 특성을 고려한 각종 프로그램 기획 및 개발, 문화유산 경관 및 관람환경 개선을 위한 지속적 노력을 제안했다.

      • KCI등재

        문화유산학에 대한 시론적 접근 - 한국과 중국의 유적건조물을 중심으로 -

        김동일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0 민족문화논총 Vol.75 No.-

        본고에서는 문화유산학에서의 ‘문화유산’과 그 하위 개념으로 설정한 ‘유형문화재’ 및 ‘무형문화재’의 개념을 재정립하였다. 문화유산에는 유적건조물・유물・기록유산 등이 있고, 무형문화재・자연유산・국가등록문화재도 이 분류 안에 속한다. 유적건조물에는 유형의 문화유산이 포함되고, 유물의 형태는 배제된다. 실질적으로 유적, 유구는 주거지나, 무덤, 가마 등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국내에서는 유적건조물을 국가 혹은 시・도 단위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선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중국 역시 정부기관에서 이동이 불가능한 유형문화재를전국・성・시・현급 중점 문화재 보호단위로 선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문화유산은 지정과 비지정으로 구분할 수 있고, 그중 정부 혹은 지차제가지정한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대중에게 정보가 제공된다. 문화유산학의 학문적인 범주를 문화유산에 대한 조사・교육・보존・복원・활용 등으로 나누어 접근할 수 있고, 고고・역사・인류・민속・문명・예술・관광학 등 여러 학문의 융복합적인 학문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이외에 의류・건축학 등의 학문이 문화유산학에 융복합되기도 하고, 역으로 문화유산학이 이 학문들에 속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문화유산학의 개념에는 정부와 지자체가 지정혹은 등록한 문화유산이 포함되고, 지정 혹은 등록되지 않은 문화유산도 연구대상에 포함된다. 본고에서는 유적건조물을 집중적으로 탐구하였고, 그 결과 현대사회의 대중들은 지정된 문화유산에 집중하며, 비지정된 문화유산은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특히, 비지정된 지표 아래의 유적건조물은 관심도가 가장 낮다. 만약, 현대사회가 현대에 남겨진 문화유산을 보존 및 보호하지 않게 된다면 현대사회는 이전 사회의 문화유산만을 잃게 되는 것이 아니라, 현대사회의 문화와 문화유산도 잃어가게 될 것이다. 필자는 그 해결책이 문화유산학의 활성화라고 판단한다. 문화유산학의 궁극적인 목표는 현대사회 이전의 문화유산을 보존 및 보호하고, 현대사회가 남길 문화유산을 다음 세대에게 온전하게 물려주기 위함이다.

      • KCI등재

        문화 및 교육 부문 간 협력을 통한 무형문화유산교육: 아태지역 학교교육 협력사업을 중심으로

        박원모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22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7 No.3

        최근 유네스코는 문화와 교육 부문 간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유네스코는 회원국으로 하여금 학습기관과 공동체 간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문화와 교육 간 시너지를 토대로 학습성과와 문화적 다양성 증진에 대한 이점을 입증하는 새로운 학습법과 관련한 시범사업 및 관련 연구를 실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유네스코의 정책적 변화의 흐름 속에서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는 제12차 회의(제주, 2017)에서 ‘무형문화유산과 교육’을 실행 우선 과제로 채택하였다. 위원회는 ‘무형문화유산과 교육’을 위한 역량 강화에 우선 투자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결정문을 통해 형식 및 비형식 교육을 통한 전승을 촉진하기 위해 관련 유네스코 교육 프로그램 및 기관과의 파트너십을 환영한다고 화답하였다. 유네스코의 조직 내 부문 간 협력이라는 작금의 기조하에서 한국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유네스코아태무형문화유산센터(ICHCAP)는 해당 협약이 우선 과제로 하고 있는 교육 부문과의 협력을 위하여 2019년부터 유네스코방콕사무소 및 아시아태평양국제이해교육원(APCEIU) 등과 협력하며 아태지역 국가들과 함께 학교에서의 무형문화유산교육 증진을 위한 ‘아태지역 무형문화유산과 함께 하는 교수학습’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은 그동안 아태지역에서 실시되었던 무형문화유산 학교교육 협력사업에 대한 일련의 추진과정과 수행내용을 소개함으로써 교실에서의 무형문화유산교육에 대한 확장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시범사업 수행과정에서 제기된 교사, 학교 관리자, 정책결정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파악하고 아시아 태평양지역 학교에서의 무형문화유산교육을 증진하기 위한 현안 과제들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 문화유산 연구의 현황과 전망

        유동환(Yoo, Dong Hwa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3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

        1990년대 본격적으로 전개된 디지털 혁명은 전통적인 문화유산에 대한 보존과 활용 관점에도 여러 가지 다른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문화재와 문화유산이 가지고 있는 특징에서 자유롭지 않다. 문화유산의 광의성이나 현재성을 모두 담아서 정의하기가 무척 어려운 상황에서 보호 보존을 목적으로 한 문화재 지정 정책이나 유네스코의 세계유산 정책이 탄생하였다. 이제 디지털기술의 영향 아래 문화유산 가치사슬을 발전시켜 디지털문화유산(Digital Heritage)의 새로운 가치사슬 체계(Value Chain System)를 만드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정보화(Informatization)’를 통해서 단순히 정보를 저장하는 데에 멈추지 않고, 새로운 가치를 발굴하고 새로운 체험(New Experience)이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데에 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 3가지 영역을 가지고 있다. 첫째, 문화유산을 기록하여 재생산하는 영역이다. 둘째, 재생산 콘텐츠(reproduced content)와 처음부터 디지털로 만든(born-digital) 문화유산 사이의 보존과 관리의 차이를 관리하는 영역이다. 셋째, 문화유산을 공유, 해석, 진흥하는 데에 디지털 도구를 사용하는 영역이다. 각기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기반 구축, 보존 관리, 진흥 활용으로 확장해 나가며 발전하였다. 이 과정에 특히 2003년 유네스코가 을 하면서 디지털 문화유산의 지속적인 보존과 산업적인 활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디지털문화유산의 가장 중요한 문제는 먼저 ‘보존(preservation)’ 측면에서 기존 실제 유물이나 아날로그 정보와는 완전히 다른 디지털 아카이브 보존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다음으로 기능 차원에서는 그동안 접근이 쉽지 않은 문화유산 정보에 대한 ‘접근가능성(accessibility)’을 미래시간과 글로벌공간 차원으로 확장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디지털문화유산의 유형과 범주도 아날로그문화유산과 완전히 다를뿐만 아니라, 논리적인 코드-개념적인 의미-문화적 기호로서 그 의미가 계속 확장되어 디지털문화유산 가치사슬 체계를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한국의 산업발전을 이끈 정보문화기술(ICT)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문화유산을 ‘디지털화(Digitizing)-아카이빙(Archiving)-체험서비스(Service)’의 3단계 가치창출 과정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연구가 계속 지속되고 있다. Digital revolution of the 1990s had also brought about a change in perspectives regarding maintenance and preservation of cultural artifacts. However these changes were limited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artifacts itself. In a very difficult situation that Cultural artifacts have a wide interpretation and current propensity, Policy designated as the cultural artifacts purposing protection and preservation and UNESCO World Heritage Policy were initiated. Through the current digital technology, there are efforts to further the cultural artifact value chain system into a newly digitalized value chain system. The key is to further the state of informatization to incorporate new values and new experiences into its body. In close inspection, there are three parts regarding this system. First part is the area that records cultural artifacts and reproduces it into literal format. The second part governs the difference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between reproduced contents and born-digital Heritage. The last part is the area that utilizes digital technology in the reinterpretations of cultural artifacts. Each area utilized digital technology for the maintenance and sustenance as well as commercial promotion that contributed to its growth. In 2003, after UNESCO’s “digital heritage declaration”, there have been an increased awareness for the need to preserve and commercialize digital cultural heritages. The most important agenda concerning preservation of digital cultural heritages is a new approach to archiving digital contents, totally different from existing real artifact and analog information. Another concern is the question of improving ‘accessibility’ of previously inaccessible cultural heritage contents for expanding future time and level of global space. Not only is digital cultural heritages different in form from analog-cultural heritages, but also it continues to extend its boundaries as logical codes, conceptual definition, cultural symbols which contributes in the growth of the digital cultural heritage value chain system. With the help of ICT leading industry development in South Korea, research continues to investigate further advancement and value-creation of cultural heritages to the three-step process of digitizing-archivingservice.

      • KCI등재

        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 -한성백제문화유산을 중심으로-

        이상민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0 미술교육연구논총 Vol.62 No.-

        This thesis delves into how to use the cultural heritages in the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As the national curriculum was revised to combine learning and students' experience within the community, the interest in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s being grown.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students' authentic cultural participation is achieved by considering only how to link the community resources or by focusing on creating community artworks through fragmentary art activities. In addition, cultural heritages, which have high educational values for fostering cultural identity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in community, have not been meaningfully utilized. Cultural heritages have characteristics of locality, participatory, artistic quality, and extensibility, so that it can be used in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which has contextual relevance, participatory action, and openness to the community. I suggest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using cultural heritages to establish cultural identity, promote students’ cultural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and activate the communities. Through using the cultural heritages, art education about the community, for the community, and through the community are take place in four stages: understanding, exploring, participating, and expanding community culture. A case study focusing on Hanseong Baekje cultural heritages at one elementary school in Seoul showed that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using cultural heritages has several effects on students and community; 1) establishing cultural identity through internaliz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2) enhancing authentic experience on cultural heritage and participation in community culture, and 3) activating the communication among the local community centered on cultural heritages. 지역사회의 삶의 맥락 속에서 학생들의 경험과 학습이 어우러지는 방향으로 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박물관, 미술관 등의 지역사회 자원 연계에 치중되어 있거나, 산출물 중심의 단편적 활동에 그쳐 학생들의 실질적인 지역문화 참여 기회가 다소 부족하다. 또한 문화유산은 지역문화정체성 함양과 지역문화 참여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 교육적 가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유의미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지역성, 참여성, 예술성, 확장성의 특성을 가진 문화유산은 맥락적, 참여적, 개방적 성격을 띠는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에서의 활용 가치가 높고, 지역사회와 문화유산 간의 교육적 결합을 통해 교육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역문화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역문화 참여를 증진하며 지역문화공동체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을 제안하였다. 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역사회에 대한 미술교육, 지역사회를 위한 미술교육, 지역사회를 통한 미술교육은 지역문화 이해, 탐방, 참여, 확장의 4단계에 걸쳐 이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설계에 따라 한성백제문화유산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서울○○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실시한 결과 역사문화적 가치 내면화를 통한 지역문화정체성 확립, 실제적 문화유산 향유와 지역문화 참여 증진,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한 지역공동체 소통 활성화의 효과를 살펴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