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국문화원형이 재창조된 헐리우드 애니메이션 영화의 재현 기법에 대한 탐구 : 애니메이션 영화 ‘쿵푸판다’를 중심으로

        이현석 한국영상학회 2012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0 No.3

        한국은 세계화와 다원화의 시대를 맞아 국가적 지원과 함께 전통문화원형을 이용한 창작사업에 많은 투자 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 전통문화의 유, 무형의 원형을 소재로 한 ‘쿵푸판다’ (2008)는 미국의 대표 적인 애니메이션 회사인 드림웍스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세계적인 흥행과 함께 2008년 초기작이 나온 이 후 ‘쿵푸판다 2’ (2011)가 제작되었으며, 현재 ‘쿵푸판다 3’ 편이 중국과 합작으로 제작 중에 있다. 이는 기 존 서구문화 중심의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아시아 문화권인 중국의 전통문화원형을 다룬 스토리텔링이 동, 서양의 경계를 넘어 세계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헐리우드적 애니메이션 제작기법을 통해 중국문화원형과 전통사상이 재현된 쿵푸판다가 왜 세계적으로 흥행할 수 있었을까? 이에 본 논문은 문헌 자료를 중심으로 한 선행연구를 통해 ‘문화원형의 3단계 창작 개발 단계도’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쿵푸판 다’에서 재현된 중국 문화원형과 헐리우드의 제작기법을 캐릭터 구성과 장면 연출 기법을 중심으로 분석 하여 그 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동양의 감성이 서구인의 시각과 기술에 의해 제작된 ‘쿵푸판다’의 사례 분석을 통해 향후 한국의 전통문화원형을 이용한 애니메이션 영화의 글로벌적 성공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 고자 한다.

      • KCI등재

        원불교 문화원형의 의의와 활용 방안

        신광철 ( Kwang Cheol Shin ) 한국신종교학회 2009 신종교연구 Vol.21 No.-

        오늘날 문화산업은 21세기 인류 사회를 이끌어 갈 핵심 동력 산업으로 주목 받고 있다. 문화산업의 부각과 함께 중요성을 더 해 가고 있는 것이 문화콘텐츠이다. 문화콘텐츠 창작의 열쇠를 이루는 것이 그것의 원천 자료를 확보하는 것이다. 문화콘텐츠 창작을 위한 원천자료 확보 작업이 진행되면서, 문화의 원형적 요소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종교는 가장 중요한 문화원형 가운데 하나이다. 종교 문화원형의 발굴, 정리 및 활용에 대한 모색은 문화콘텐츠 창출의 토대 구축뿐만 아니라, 종교간 이해의 지평을 확대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불교, 유교, 천주교, 개신교 등 거대종교의 경우, 이미 상당한 수준에서 문화원형의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에 비해, 민족종교의 경우 상대적으로 문화원형의 활용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민족종교 문화원형에 대해서는 전체적인 관심과 함께, 개개 전통에 대한 실제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민족종교 문화원형에 대한 주제를 개괄적으로 정리하는 한편, 개별 전통 연구로서 원불교 문화원형의 발굴, 정리 및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원불교는 민족종교 가운데에서도 문화원형 관련 인프라를 잘 구축하고 있으며, 활발한 문화 활동을 펼치고 있다. 원불교역사박물관, 성지, 아카이브 등 기본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의례 및 수행에 있어서도 표준적인 체계를 정립해 가고 있다. 무엇보다도 원불교는 방송을 활용한 포교와 함께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한 문화적 활동에도 깊은 관심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논의를 실시하였다. 첫째, 원불교 문화원형의 의의를 설정하였다. 둘째, 원불교 문화원형 활용의 현황을 정리하였다. 셋째, 원불교 문화원형의 범위를 설정하고, 추가적인 문화원형 발굴 작업을 실행하였다. 넷째, 원불교 문화원형 활용의 구체적인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Current culture industry is now the center of attention as a core power of 21st century and cultural contents is becoming more important with it. The key of creating cultural contents is to secure its original source. Consequently, concern about archetypal elements is increasing. Relig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ultural archetype. To explore ways towards discovery, arrangement, and application of religious cultural archetype will help not only in establishing basis for creating cultural contents but also in extending sphere of mutual understanding among religions. While huge religions like Buddhism, Confucianism, Christianity are already utilizing cultural archetype at a high level, the application of cultural archetype is not relatively active in ethnic religions(original Korean religions). As for ethnic religions, we need to do practical research about individual traditions along with total view of ethnic religions` cultural archetypes. On the one hand, I tried to arrange issues about ethnic religions on the whole, on the other hand, I attempted to find out ways for discovery, arrangement, and application of Won Buddhism`s cultural archetype as a individual study. Won Buddhism has built up well the foundation of cultural archetype and is doing cultural activity vigorously among ethnic religions. Won Buddhism has its history museum, holy places, and archive, and is setting up standard system in ritual and self-discipline. Above all, Won Buddhism has deep interest in cultural activity through digital network along with missionary work through broadcasting. I discussed about some issues in this essay as following. First, I attempted to set up the meaning of Won Buddhism`s cultural archetype. Secondly, I arranged the current situation of applying Won Buddhism`s cultural archetype. Thirdly, I tried to establish the bounds of Won Buddhism`s cultural archetype and to find out additional cultural archetype. Fourth, I proposed concrete direction and method to make the best use of Won Buddhism`s cultural archetype.

      • KCI등재

        문화유산에서 문화콘텐츠로

        박종천(朴鍾天) 한국국학진흥원 2011 국학연구 Vol.0 No.18

        한국의 유교문화원형은 산업화사회를 거쳐 정보화사회로 진입한 20세기에는 문화유산으로서 소극적 복원과 보존의 대상이었지만, 문화지향사회로 진입하는 21세기에는 문화콘텐츠로 적극적인 향유와 활용의 주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교문화원형을 문화콘텐츠로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유교문화원형의 개념과 범위를 제시하고 현황과 실태를 분석한 기반 위에서 유교문화원형의 바람직한 활용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유교문화원형은 매체기반형 콘텐츠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으나, 전통문화의 매력과 잠재적 가능성이 높은 장소기반형+체험지향형 콘텐츠는 아직 충분히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유교문화원형의 디지털화에 기반을 둔 사업뿐만 아니라 유교문화가 살아있는 장소를 기반으로 삼은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존에 집중했던 의미 중심의 토대 위에 감성과 재미를 적절히 가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판단 위에서 유교문화원형의 문화콘텐츠 활용사업은 매체기반형 사업을 중심으로 공공 부문에서 유교문화원형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공적 기반을 구축하는 ‘유교문화 콘텐츠 기반조성사업’과 유교문화원형을 디지털 기반의 문화콘텐츠로 효율적으로 재구성하는 ‘유교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화와 체험형 프로그램 개발’의 핵심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ㆍ발전시키는 한편, 콘텐츠 기획자ㆍ생산자의 창조적 상상력이 콘텐츠 향유자/소비자의 개성적 취향과 문화적 수요를 창출할 수 있도록 ‘유교문화원형을 가공하여 활용하는 콘텐츠 개발’의 심화사업을 진행시킬 때 유교문화원형의 바람직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In the twentieth century, confucian culture archetypes in Korea had been regarded as cultural heritages. In recent times, they have changed into culture contents. Therefore, peoples’ attitudes to confucian culture archetypes have changed from passive preservation to active utilization. What is some desirable ways that utilize confucian culture archetypes actively? In order to, I clarify some concepts, categories, present situation, and some utilization patterns of confucian cultural archetypes and culture contents in Korea. In results, patterns of active utilization of confucian culture archetypes in Korea are as follows: 1) building infrastructure of confucian culture content, 2) digitalizing confucian culture archetypes by utilizing diverse multimedia platforms and development of experience programmes, and 3) various applications of culture content derived from confucian culture archetypes. By this time, main stream of utilization of confucian culture archetypes in Korea has been some media-based contents, but We need to design and develope various place-based contents and experience-oriented contents actively in future.

      • KCI등재

        민속문화와 문화원형

        이윤선(Lee Yoon Sun) 역사문화학회 2008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1 No.1

        이제까지 논의되어 온 원형담론의 층위는 原形(originality), 元型(archetype), 原型(pattern)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이들은 原本(archepattern) 등으로 심층화되어 이해되거나 논의되기도 하지만, 대개는 가변적일 뿐 아니라 중층적인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다. 무형문화재의 원형적 접근은 대개 ‘고유소 ’ 혹은 ‘민속의 원형’ 등으로, 이들을 망라하거나 적어도 중첩적 개념으로 이해된다고 볼 수 있다. 〈문화원형사업〉의 원형적 접근들은 개념 자체는 민속의 원형이라는 접근 맥락과 유사한 듯 보이지만 실제 적용되는 사례들은 문화콘텐츠 혹은 산업화에 소요되는 소재주의적 의미로 이해되고 있다. ‘原形性’ 보다 ‘典型性’, ‘類型性’ 에 초점이 있음을 말한다. 콘진에서 문화콘텐츠 개발 방안과 방향을 점검하는 프로토타입 (Prototype)도 각각의 목적과 방향에 따라 문화원형의 개념을 取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성격을 다시 세 가지의 목적과 의미에 따라 구분해보면, 첫째는 민족성 혹은 지역성이고 둘째는 원형성 혹은 목적성이며 셋째는 원본성 혹은 글로벌성이라고 나누어 볼 수 있다. 본문의 분석을 통하여 점검할 수 있는 것은 문화원형담론을 시대적 흐름속에서 조망하는 입장이 아닌가 생각한다. 곧, 심층적인 학술적 원형논의는 진행형으로 진단하는 것이 옳다는 뜻이다. 그러나 용어의 층위가 어떠했든 문화원형담론이 문화콘텐츠산업의 전제가 되어 있는 것이 불변의 현실이라는 점에서, 어떤 측면이든 문화원형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킬 의무는 우리에게 주어져 있는 셈이다. 따라서 무형문화재제도가 민족문화원형이라는 국가적 이데올로기 창출을 기반으로 하였지만 일정한 보존과 보호의 기능을 해왔듯이, 근자의 문화원형담론 또한 문화경제주의라는 국가의 산업적 전략을 기반으로 창출되었지만 또 어떤 기능을 할지, 향후의 전개과정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즉, 향후의 원형담론은 멀티유즈를 전제한 원소스로서의 문화원형이라는 소재주의적 관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삶의 본질에 천착하는 원형으로서의 의미를 회복하는 절차들을 밟아나갈 필요가 있다고 본다. The hierarchy of prototype discourses that have ever been discussed could be classified by 'originality', 'archetype', 'pattern' and so on. These has been usually used as mid-concept as well as variable one even though these would more deeply be understood or discussed as 'arche-pattern' or so. Prototypal approaches to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generally 'indigenous elements' or 'folklore prototypes', which could be understood in the concept of comprising all things or, at least, in the duplicate concept of these things. The prototypal approaches on 'Cultural Prototype Project' seem to be similar with the approach contexts, folklore prototype, but their authentic applicative cases have been understood as the materialistic meaning which utilized in Culture-contents or industrialization. This means that it has its focus in 'typicality' and 'pattern' rather than in 'prototype". It also chooses the concept of cultural prototype according to each purpose and direction to the prototype of Korea Culture & Content Agency(KOCCA) to examine a development plan of culture-content and its direction. This feature can be redivided into three part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the meaning; the first is a racial characteristic or a locality, the second is a pattern or a finality and the last is an originality or globality. It would be a point of view to look out over cultural prototype discourses in a periodical stream to be able to examine through analyzing the main text. That is, this means it is right that in-depth academic discussion on prototype would be diagnosed as a progressive pattern. Whatever the hierarchy of terms is, we should have an obligation to develope the discussion on cultural prototype in that cultural prototype discourses always becomes a premise of culture-contents industry. Therefore, the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based on the creation of national ideology, 'national cultural prototype', but the system had the function of a regular preservation and a protection. Recent cultural prototype discourses also were created in the base of Korean industrial strategy, 'cultural economism'.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how function it is and how about its further expanding process is. Conclusionally, future discourses on prototype would step on the stage to recover the meaning as the prototype to be closely related with the essence of human life, not would only stay in the materialistic point of view as the original source premised a multi-use.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無形文化遺産)의 보존(保存)과 활용(活用)에 대한 소고(小考) -전형(典型)의 개념을 중심으로-

        송준 ( Jun Song ) 남도민속학회 2008 남도민속연구 Vol.17 No.-

        본고에서는 우리나라의 문화재보호법에 규정된 원형(原型)보존주의의 원칙이, 무형문화재의 보존과 활용에 미치는 부정적인 부분을 지적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적용되어 오던 원형(原形) 개념 대신 전형(典型) 개념의 도입 필요성과 적합성을 제기하고자 했다. 전형(典型) 개념의 도입은 원형(原形) 개념의 단절성(斷絶性)과 고착성(固着性)을 완화하여 문화의 연속성과 내발적(內發的) 생동성을 제고함으로써 무형문화유산의 효율적인 보존과 활용의 기저(基底)를 견고히 하려는 시도이다. 본문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무형문화유산에 유형(有形)의 개념인 원형(原形)을 사용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 또 지정 당시의 형태만을 원형(原形)으로 보존하고 관리 하는 것은, 그것에 내재(內在)되어 있는 전형성(典型性)을 간과하는 것이다. 전형(典型)은 원형(原型)을 기반으로 해서 만들어진다고 상정(想定)된다. 따라서 전형성(典型性)을 보장하는 것은, 문화유산의 생성기반이 되었던 원형(原型)을 지역적·역사적·사회적 배경이나 그 구성·행위원리와 함께 고려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문에서 제기한 문화유산의 ‘무형성(無形性)’은 무형문화유산 뿐만 아니라 유형문화유산 분야에서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무형문화유산의 효율적인 보존과 활용은 유형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도 밀접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무형문화유산은 대부분 ‘구조화된 행위원리의 틀’을 기저부에 가지고 있다. 그것이 행위의 형태로 나타나면 무형의 문화유산이고, 행위의 결과물로서 나타나면 유형의 문화유산이 되는 것이다. 이런 ‘구조화된 행위원리의 틀’은 우리가 상정하는 원형(原型)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무형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이 우리 민족의 문화원형(文化原型)과 연관되어 전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면, 무형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 있어서 중심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대상은, 행위의 결과로 만들어지는 ‘형태’가 아니라 그것을 생산해내는 ‘원리’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point out that the original form protection principal prescribed by Korea``s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ha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protection and applic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to solve the problem by suggesting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 new concept such as ``typifier`` into our cultural protection policy. The purpose of Introducing a ‘typifier’ concept into the present policy is to strengthen the basis of effective protection and applic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by mitigating a sense of estrangement fixation which an original form concept innately has and by highlighting both the continuity and spontaneous vitality of culture. As described in the study, it is not logical to use the ‘original form’ concept which needs forms in protecti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addition, protecting and controlling the first designated type as an original form causes a serious problem in that it can never solves the intrinsic typific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A typifier is produced based on an archetype. Accordingly, the acceptance of the typific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helps us consider an archetype, the creation basis of cultural assets, in the regional,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s and by the structure and act principle. The formlessness of cultural assets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not only intangible cultural assets but also tangible cultural assets because they both have a great influence on each other.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have ‘a structured frame of act principle’ in their base. An act principle shown in an act i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while that in an outcome of an act is a tangible cultural asset. This structured frame of act principle is namely an archetype. If the protection and applic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should be done in relation to the cultural archetype, the most important factor we have to consider is not a ‘form,’ an outcome of an act but a ‘principle’ which produces a form.

      • KCI등재

        문화원형 기반 캐릭터 콘텐츠산업의 OSMU 전략연구

        임원갑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3 문화와예술연구 Vol.23 No.-

        문화원형은 전통문화와 다른 의미로 해석된다. 한 사회의 주요한 행동양식이나 상징체계를 문화라고 한다면 문화원형은 민족 또는 지역의 특징을 잘 담고 다른 것과 구별되는 원래모습에 해당되는 문화라 할 수 있고 전통문화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사회의 관습이나 행동양식 등을 일컫는다. 문화원형을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에서는 ‘한국적인 정체성, 나아가 고유성을 가진 문화에 대한 원천자료를 지칭하는 것으로 문화원형은 콘텐츠 제작을 위한 원천소스 또는 원천자료‘라고 하였다. 문화원형이라는 말이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20여년 된다. 2002년 문화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사업‘을 진행하면서 문화원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고 문화원형이라는 말이 보편화되었다. 그러나 문화원형 발굴에 대한 결과물에 치중하다보니 다양한 산업에서 원천콘텐츠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1990년대 중반부터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문화가 외국에서 인기를 얻는 한류는 우리나라의 한류(韓流)는 아시아를 넘어 국가를 초월하여 전 세계로 퍼져나가고 있다. 1990년대에 드라마와 영화를 시작으로 게임과 K-pop 등 다양한 형태의 문화를 전 세계인이 교감하고 있다. 무엇보다 한류는 소셜미디어, OTT 플랫폼들과 결합하여 동시 다발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굴사업을 통해 발굴된 문화원형과 그 밖에 무궁무진한 우리나라의 문화원형(Culture Archetype)에 대하여 더욱 다양해지고 있는 유통 채널을 활용하는 등 캐릭터 콘텐츠에 대한 OSMU(One Source Multi Use)를 확보할 수 있는 접근방법론과 활용 가능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캐릭터 콘텐츠의 IP관리 체계와 OSMU의 전개 유형을 알아보고 문화원형을 기반으로 하는 OSMU 사례 등을 분석하여 문화원형을 기반으로 하는 캐릭터 콘텐츠의 OSMU에 대하여 전략적 관점에서 진흥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Cultural archetypes are interpreted in a different way from traditional culture. If a society's main behavioral pattern or symbolic system is called culture, the cultural archetype can be said to be a culture that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a nation or region and is distinct from others, and traditional culture is the customs or customs of society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Refers to behavioral patterns, etc.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defines cultural archetypes as ‘referring to source data on culture with Korean identity and uniqueness, and cultural archetypes are the original source or source material for content production.’ The term cultural archetype has been used in earnest for about 20 years. In 2002, as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nd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carried out the ‘Cultural Archetype Digital Content Project’, interest in cultural archetypes increased, and the term cultural archetype became common. However, due to the focus on the results of discovering cultural archetypes, it is not being used as source content in various industries. Since the mid-1990s, the Korean Wave, in which Korean culture has gained popularity abroad, centering on popular culture, has spread beyond Asia and across the world. Starting with dramas and movies in the 1990s, people around the world are interacting with various forms of culture, including games and K-pop. Above all, the Korean Wave is expanding simultaneously in combination with social media and OTT platforms. Therefore, this study secured OSMU (One Source Multi Use) for character content by utilizing increasingly diverse distribution channels for the cultural archetypes discovered through the excavation project and the infinite number of other cultural archetypes in Korea. We attempted to consider possible approach methodologies and their potential for use.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P management system of character content and the development type of OSMU, analyzes cases of OSMU based on cultural archetypes, and proposes a promotion plan for OSMU of character content based on cultural archetypes from a strategic perspective.

      • KCI등재

        특집 : 한국한문학연구의 문화적 지평-콘텐츠화를 통한 현실과의 소통 ; 문화원형의 의의와 삼국유사

        고운기 ( Woon Kee Ko ) 우리한문학회 2011 漢文學報 Vol.24 No.-

        문화콘텐츠학에서 문화원형은 그 저변이자 창작소재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더불어 콘텐츠의 창작소재를 찾아나갈 때에 우리 것의 순도(純度)와 정도(精度)를 가늠하는 잣대이다. 그러나 학계와 관련 단체에서는 창작소재를 문화원형이라 불러버렸다. 창작소재는 문화원형의 의의를 가진 데서 찾는자료이다. 창작소재가 곧 문화원형은 아닌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이같은 관행을 바로 잡고자 하였다. 나아가 창작소재로서 전통문화가 어떤 문화원형의 의의를 가지는지 밝혔다. 창작소재의 문화원형으로서 성격을 다루는 것은 콘텐츠 개발의 방향을 잡을 수 있다는 데서 무척 중요하다. 그러자면 문화원형의 개념 규정을 보다 실제적인 차원에서 다시 시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소재의 검토에 입각한 귀납적 방법이 필요하다. 소재는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찾았다. 이 논문에서 자료의 검토를 통해 제시하는 문화원형의 유형은 심성원형(心性原形)과 행위원형(行爲原形)이다. 심성은 마음으로, 행위는 몸으로 현현(顯現)하는 공통적인 양태이다. 심성원형과 행위원형은 불가분의 관계 속에 하나가 되는 경우가 많다. 하나의 이야기 속에 내적으로 심성원형이 바탕을 이룬다면 행위원형은 외적으로 나타난다. 안과 밖은 결국 하나로 긴밀히 연관되는 까닭이다. Archetype implies significance since it provides the very foundation of culture contents academic area and it also possess values as sources for contents creation. In addition, it becomes a proper assessment standard of the degree of purity and precision of traditional culture. Nevertheless, the academia and the related organizations have been regarding sources for creation themselves as cultural archetypes despite of the fact that those sources actually are the materials extracted from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archetypes. So from the standpoint that cultural sources for creation is not exactly in accordance with cultural archetype, this study aims for straighten out those customary misconceptions Futhermore, the archetypal importance of traditional culture as source for creation is clarified in the study. That is, dealing with the character of sources for creation as cultural archetype is so significant that it is able to guide the right direction to further contents development. For that reason, the practical-level attempt on the definition of cultural archetype should be inevitable by priority, then inductive method based on the examination of various materials are necessary simultaneously. And the study primarily deals with the materials from Samkukyusa. The deducted categories of cultural archetype from the consideration of related documents in this study are mind-originated archetype and action-originated one, then both types have a concomitant feature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the former appears in mind and the latter in action. Both of them are mostly in an inseparable relation, and in case of a single narrative, mind-originated type formulates the internal basis, the other externally emerges. It is because that inside and outside have close correlation.

      • KCI등재

        문화원형의 개념과 활용

        김교빈(Kim Kyo-Bin) 인문콘텐츠학회 2005 인문콘텐츠 Vol.0 No.6

        문화는 인류가 자연을 지배하고 순화시키면서 자신의 이상을 실현해 가는 과정에서 얻어낸 철학, 과학, 예술, 종교, 사회, 경제와 같은 모든 산물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또한 원형(原形, originality 또는 archetype)은 고유성과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어 "본디 모양"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문화원형"은 민족 또는 지역의 특징을 잘 담고 있어서 다른 지역, 다른 민족과 구별되는 본디 모습에 해당하는 문화를 뜻한다. 이러한 문화원형은 보편성과 특수성의 두 측면을 가지고 있다. 보편성 논의는 칼 융에서 시작되었으며 인류가 지닌 집단무의식으로 존재한다. 여기에 근거한 논의가 글로벌문화원형이다. 하지만 민족 또는 지역 단위에서는 다른 민족과의 차별을 통한 주체성과 민족 구성원 사이의 공감대에 바탕을 둔 정체성을 논할 수 있다. 문화원형을 산업적 관점에서는 한국의 정체성과 고유성을 지닌 문화원형을 다양한 결과물을 구현해 낼 수 있는 One Source - Multi Use 방식으로 개발해야 한다. 또한 한국문화의 세계화와 함께 세계 여러 나라의 문화 소재를 콘텐츠로 제작해 내어야 하며, 우리 문화를 알릴 중요 대상 지역, 또는 국가의 문화지도가 만들어져야 한다. 그리고 공공적 성격의 아카이브 중심 문화원형 복원 사업도 필요하고 로드맵에 바탕한 중장기적 전략이 나와야 한다.

      • 문화원형의 개념과 범주 : 전통문화 기반 문화원형을 중심으로

        신창희,방문식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6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이 글의 목적은 문화콘텐츠 산업 소자로 두서없이 이용되고 있는 문화원형의 개념과 범주를 재단하는 것이다. 문화원형은 기존 문화산업에서 배태된 이후 학술적인 개념정립이 시도되었으나 현재도 저마다의 기준으로 서로 다른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실제 문화산업으로 이용 될 때마다 공감하기 어려운 소재로 공급자와 수용자가 유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일회성 기획으로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이 글에서는 문화원형을 집단적 무의식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침전시키고, 직접적인 문화산업 소자로써 ‘대리표상(代理表象)’을 부상시켜 보았다. 대리표상이란 용어로 기존 문화원형 목록을 모집하면서 문화원형을 구획할 수 있는 새로운 기준을 발견할 수 있었다. 기준은 공간(지역적 배경), 대상, 시간(시대적 배경)의 세 가지가 기본이 되며, 이로써 문화원형 범주의 경계를 가늠할 수 있는 잣대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것을 바탕으로 해당 문화원형 대리표상의 보편성을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이해시키기 위해서는 이야기자원이 필요하며, 이는 전통문화에서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불교문화원형, 어떻게 발굴할 것인가

        이재수 한국정토학회 2009 정토학연구 Vol.12 No.-

        본 논문은 불교문화원형을 어떻게 발굴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문화콘텐츠 각 분야에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설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한국불교문화의 특징을 통해 한국불교문화의 정체성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불교문화원형의 개념을 도출하고 불교문화원형에 대한 접근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이미 발굴되었거나 개발된 불교문화원형을 살펴보고 그 범위와 분류에 대해 다룰 것이다. 마지막으로 불교문화원형의 발굴 및 정리의 방향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본 논의에서 불교문화원형은 불교의 종교적 특징을 나타내며, 종교적 활동을 통해 역사적으로 축적된 고유한 유ㆍ무형의 문화적 산물이며, 역사, 사회, 문화적 전통으로 재창조된 문화요소라고 정의하였다. 이를 접근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공공재의 성격을 갖는 문화자원적 의미, 활용을 전제로 한 문화상품의 소재, 문화콘텐츠로 제작을 염두에 둔 다각적인 접근 등이 필요하다. 본 논의를 통해 불교문화가 한국인의 정신문화를 보다 풍요롭게 하는데 기여하며, 나아가 우리 사회의 분열과 대립을 치유하고 상호존중과 다양성을 재발견하여 새로운 문화적 흐름을 창출하는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discover Cultural Archetypes of Buddhism and organize them systematically so that application plans can be designed for a diverse and broad utilization. First, identity of the culture of Korean Buddhism was exami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Buddhism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Subsequently a concept of the Cultural Archetypes of Buddhism was defined and a plan to approach Buddhist Cultural Archetypes was suggested. Second, the previously discovered or developed Buddhist Cultural Archetypes were examined to review criteria and classification of the existing archetypes. Lastly, a desirable direction of the discovering and organization of the Buddhist Cultural Archetypes was suggested for a future research. Buddhist Cultural Archetypes in this study are defined as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Buddhism as well as unique cultural products in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form accumulated through religious activities in history. Moreover Buddhist Cultural Archetypes are a recreated cultural element based on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traditions. The methods of diverse approaches to the Cultural Archetypes of Buddhism include approaching them as a cultural resource which has elements of the public heritage, as a subject matter for cultural products which can be utilized and practically applied, and as a cultural contents production. The research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an enrichment of the spiritual culture of the Koreans through Buddhism, and to a formation of a new cultural era by healing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of the current society, and by reinventing mutual respect and cultural d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