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문화와 행동경제학 연구

        이규현(Lee, Kyu Hyun),김경진(Kim, Kyung Ji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기존의 행동경제학 연구가 대체로 미국연구자에 의해 미국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는 사실을 비판적으로 보완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소비자행동이 문화에 의해 암묵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것과, 한국문화의 독특성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주로 미국에서 연구된 행동경제학의 결과물들을 한국소비자에게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고 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행동경제학의 주요 연구영역을 기술하였고, 한국문화를 고려한 행동경제학 연구를 고찰하고 제안하였다. 그리고 한국문화를 고려한 행동경제학 연구결과의 마케팅 시사점을 논하였다. 한국문화를 고려한 행동경제학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문화적 차이를 살펴볼 수 있고, 그 차이를 넘어선 이론의 ‘법칙같은 일반화’도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한국소비자가 미국소비자보다 집단적이어서 추단의 근거가 보다 개념적이고 집단적으로 행해진다면,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속한 광고, 구전, 이벤트, 스폰서십, PPL 등은 한국소비자의 집단정체성과 집단동조를 높이면서, 브랜드자산을 높여가려는 전략이 유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한국소비자가 미국소비자보다 손실회피와 위험회피 성향이 강하게 나타난다면, 신제품의 시장확산을 시도하는 마케팅전략에서 소비자에게 지속적으로 지각된 위험요소를 줄여주고, 소유효과에서 나타나는 손실감을 덜어줄 수 있게 만드는 B2B와 B2C 거래의 협상관리가 중요할 수 있다. Consumer behavior is implicitly influenced by culture, and Korean consumers are affected by the Korean culture that may be very unique from U.S. This paper is motivated by the critical viewpoint in which most researchers in behavioral science have been done in American cultural background, and the academic findings made in U.S.A. could be difficult to apply directly Korean consumers under Korean cultural background. This paper begins with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main research themes in behavioral economics, and suggests research directions to be applied to Korean cultural background, and finally suggests marketing implications. The researches based on Korean culture will produce various meaningful findings that are not only to understand cultural differences but also to contribute to ‘the lawlike generalization’ beyond cultural differences. Korean consumers have a stronger tendency of collectivism than American consumers have.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prospected that heuristic cues of Korean consumers would be based on abstract and holistic concepts such as social stereotype and conformity more than those of Americans. So, the strategy of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in Korea needs to emphasize group identity and conformity to enhance brand equity in advertising, word of mouth, marketing events, sponsorship, and product placement. In addition, Korean consumers are more loss- or risk-aversion than Americans. To increase consumer adoption and market diffusion, marketing managers need to mitigate consumers’ perceived risk, and to manage negotiation of B2B, B2C, and to reduce the sense of loss that the endowment effect may cause. This paper suggests future research ideas in the connected areas between system I and system II thought. Through research themes and implications suggested by this study, we hope to give some insights and provocative motivation not only for academicians who are interested in theory development in behavioral economics, but also for practitioners who make constant efforts to applicate relevant theories to their practical performance. 본 연구는 기존의 행동경제학 연구가 대체로 미국연구자에 의해 미국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는 사실을 비판적으로 보완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소비자행동이 문화에 의해 암묵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것과, 한국문화의 독특성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주로 미국에서 연구된 행동경제학의 결과물들을 한국소비자에게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고 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행동경제학의 주요 연구영역을 기술하였고, 한국문화를 고려한 행동경제학 연구를 고찰하고 제안하였다. 그리고 한국문화를 고려한 행동경제학 연구결과의 마케팅 시사점을 논하였다. 한국문화를 고려한 행동경제학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문화적 차이를 살펴볼 수 있고, 그 차이를 넘어선 이론의 ‘법칙같은 일반화’도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한국소비자가 미국소비자보다 집단적이어서 추단의 근거가 보다 개념적이고 집단적으로 행해진다면,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속한 광고, 구전, 이벤트, 스폰서십, PPL 등은 한국소비자의 집단정체성과 집단동조를 높이면서, 브랜드자산을 높여가려는 전략이 유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한국소비자가 미국소비자보다 손실회피와 위험회피 성향이 강하게 나타난다면, 신제품의 시장확산을 시도하는 마케팅전략에서 소비자에게 지속적으로 지각된 위험요소를 줄여주고, 소유효과에서 나타나는 손실감을 덜어줄 수 있게 만드는 B2B와 B2C 거래의 협상관리가 중요할 수 있다. Consumer behavior is implicitly influenced by culture, and Korean consumers are affected by the Korean culture that may be very unique from U.S. This paper is motivated by the critical viewpoint in which most researchers in behavioral science have been done in American cultural background, and the academic findings made in U.S.A. could be difficult to apply directly Korean consumers under Korean cultural background. This paper begins with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main research themes in behavioral economics, and suggests research directions to be applied to Korean cultural background, and finally suggests marketing implications. The researches based on Korean culture will produce various meaningful findings that are not only to understand cultural differences but also to contribute to ‘the lawlike generalization’ beyond cultural differences. Korean consumers have a stronger tendency of collectivism than American consumers have.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prospected that heuristic cues of Korean consumers would be based on abstract and holistic concepts such as social stereotype and conformity more than those of Americans. So, the strategy of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in Korea needs to emphasize group identity and conformity to enhance brand equity in advertising, word of mouth, marketing events, sponsorship, and product placement. In addition, Korean consumers are more loss- or risk-aversion than Americans. To increase consumer adoption and market diffusion, marketing managers need to mitigate consumers’ perceived risk, and to manage negotiation of B2B, B2C, and to reduce the sense of loss that the endowment effect may cause. This paper suggests future research ideas in the connected areas between system I and system II thought. Through research themes and implications suggested by this study, we hope to give some insights and provocative motivation not only for academicians who are interested in theory development in behavioral economics, but also for practitioners who make constant efforts to applicate relevant theories to their practical performance.

      • KCI등재

        문화 경제학의 쟁점과 가능성: 트로스비와 클래머의 논의를 중심으로

        이상호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09 동향과 전망 Vol.- No.76

        Considering the gap between Culture and Economy(GCE), Cultural Economics requires the reflection on the Standard Economics(SE). This Requirement is also the Key issues relative to W. Baumol & W. Bowen(1966). But most cultural economists have applicated the SE methodology into culture, therefore fail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ulture ‘beyond price.’ They could explain only the economic value of culture and its price fluctuation. In contrast, D. Throsby and A. Klamer have considered the GCE and have tri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ulture ‘beyond price.’ Especially, A. Klamer have opened up a better form of Cultural Economics through ‘conversation model’, ‘gift model.’ But The fact that he sometimes fell into the error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value’ means that it is very difficult for harmonizing of culture and economy. 문화와 경제의 이질성을 고려할 때, 문화 경제학은 기존 경제학에 대한 반성을 요구한다. 이는 보몰·보웬의 1966년 저작에서 제기된 핵심 쟁점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문화 경제학자들은 대부분 기존 경제학을 문화 영역에 거의 그대로 적용함으로써 문화의 경제적 가치나 그 가격 변화를 설명할 뿐, ‘시장가격을 넘어서는’ 문화의 특성을 보여주지 못한다. 이에 반해 트로스비와 클래머는 문화와 경제의 이질성을 고려하면서 ‘시장가격을 넘어서는’ 문화의 특성까지 보여주고자 노력한다. 특히 클로스비는 ‘대화 모델’과 ‘선물 교환 모델’을 통해 트로스비보다도 진일보한 문화 경제학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는 종종 ‘가치판단’에 대해 오해하기도 했는데, 이는 ‘시장을 넘어서는’ 문화의 특성을 충분히 보여주는 데 성공하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이런 의미에서 트로스비와 클로스비의 문화 경제학은 문화와 경제의 이질성을 고려하면서 양자를 통합할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을 보여줌과 동시에 과학과 실증이 지배하는 경제학계에서 이러한 통합이 얼마나 어려운 과제인가를 보여준다고 판단된다.

      • 신문화사의 공간과 문화의 정치경제학

        장세룡 문화사학회 2014 역사와 문화 Vol.27 No.-

        이 연구는 기존의 담론 중심의 문화정치가 공간을 사유하며 문화의 공간 정치로 확장을 시도하고, 기존의 정치경제학이 공간에서 전개되는 기호와 일상의 담론에 주목하며 미시적 문화의 영역으로 섬세화시키는 양상을 검토했다. ‘문화적 전환’이 설득력을 확장하면서 문화 그 자체는 점차 생산과 소비, 노동과 놀이까지도 포섭하여 자율적인 수용과 전유를 통하여 창조력을 재생산하는 ‘신개척지’로 평가받고 있다. 그 결과 문화연구는 지적 ‘전위성’에 ‘일반성’까지도 인정받았고, 심지어 문화는 곧 정치라는 간결한 선언으로 새로운 정치 인식의 지형도를 제출하리라는 기대감마저 불러일으켰다. 그것은 문화정치, 나아가 공간을 성찰하는 문화의 공간 정치 영역을 열어 주었고, 사회학과 경제학의 문화적 전환까지도 자극하여 문화의 정치경제학에 관한 전망을 수립하는 데 기여했다. 밥 제솝이 주도하는 문화의 정치경제학은 문화를 인간 중심으로만 보는 한계를 넘어 물질적 공간 자체가 가지는 존재론적 현실에 관심을 기울인다. 그것은 공간의 물질성 가운데서 출현한 기호학적 양상의 문화적 의미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새로 생성되는 영향력에 주목하도록 시야를 확장시킨다. 그리하여 현실에서 작동하는 인간의 담론성과 물질성의 결합과 담론성이 물질성을 거쳐 표명되는 양상에 관심을 기울이도록 촉구한다. 그러나 이 기획이 기호와 담론에만 배타적으로 관심을 쏟는 것은 아니다. 기호와 구조화가 서로 결합하여 표명하는 권력관계, 경로의존성 및 구조적으로 새겨진 선택성을, 다양한 변형, 선택 및 유지 보존의 진화적 메커니즘의 조건에서 탐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경제활동의 행위자가 수행하는 테크놀로지의 역할을 조명한다. 문화의 정치경제학이 정치경제학 분야에서 전개되는 사건과 과정, 경향과 구조를 기호학으로 설명하는 것은, 경제와 정치의 물질성 기호의 차원으로 축소시켜 경제와 정치의 관계를 분절시킨다는 비판을 받는다. 공간 정치와 문화의 정치경제학은 기본적으로 현재진행형 이론이다. This article focused on the aspects of one that the Cultural Politics transformed to the Space Politics of Culture through reflections on spatiality and placeness, and the another that the old Political Economy transformed to Cultural Political Economy which represents delicate and detailed spirit that implied in micro realms through attentions on semiotics and everydaylife discourse in space and place. By ‘Cultural Turn’, the culture itself was estimated as a ‘new reclaimed land’ that reproduces creative forces through autonomous reception and appropriation subsuming production, consumption, labour and play. In result, cultural studies even could acquire the intellectual avant-guardness and generality. Moreover, the proclamation that “culture is politics” provoked feeling of expectations that culture would suggest newly topographical map for political cognition. It opened up more productive realm of Cultural Politics of Space which reflects on spatiality and placeness and contributed to establish the prospects of Cultural Political Economy by stimulating ‘Cultural Turn’ of Sociology and Economics. The researches for the notions of Cultural Political Economy led mainly by Bob Jessop’s group had concerns for ontological reality based on the material space itself beyond the limit of human-centered culture. It leads to focus on the newly affective forces generated in works to explore cultural meanings of semiotical aspects that emerged in the materiality of space. This urges us to get down to the aspects of conjunctions of discoursality and materiality, the discoursality expressed through materiality. For example, as such a cultural city, entrepreneurial city etc, brand city project and Knowledge-Based Economy which seek in the name of creative economy or creative industry by local governance. But this project does not only focus on the semiotics and discourse exceptionally. It searches for power relation, path- dependency and institutionally engraved selectivity on condition of evolutionary mechanism of various transformation, selection and maintenance of Political Economy. Furthermore, the technological roles in relation to the economic activities will be lightened in this context. But notions of Cultural Political Economy are criticized for their reducing economy and politics materiality to semiotics dimension and so segm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y and politics with the accounts for accidents and processes, trends and structures developed in Political Economy in terms of semiotics. The Space Politics of Culture and Cultural Political Economy are ongoing theories which are in the process of configuration, basically.

      • KCI등재후보

        문화산업론과 문화산업 연구의 계보학

        김성은(Kim, Sung-e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Adorno와 Horkheimer의 문화산업 개념 제시 이래 문화산업론의 변화와 전환, 한국에서 문화산업 연구의 전개 등을 계보학적으로 성찰하였다. 문화산업 개념은 유네스코의 연구를 계기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철학적 개념인 ‘단수로서의 문화산업’ 대신 ‘복수로서의 문화산업’, 즉 현실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산업체를 가리키게 되었으며, 문화산업론은 문화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발전 전략을 세우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1970년대 이후 문화산업 연구의 중심지는 철학, 사회학에서 경영학, 경제학 쪽으로 옮겨가게 되었으며, 특히 문화경제학이라는 새로운 분과 학문의 영향력이 커졌다. 또한 문화산업의 부가가치가 크게 증대함에 따라 각국의 정부에서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문화산업의 발전 전략 연구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문화산업의 시장가치에만 집중하는 획일적인 연구 경향을 비판하고 다원적, 학제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 역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문화산업 연구에서 경제적 분석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정하더라도 문화산업의 사회적 영향력과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문화산업 연구의 일반적 경향에 대한 다양한 비판들을 검토한 후 향후 문화산업 연구의 확장과 발전을 위해서 첫째, 실증적인 연구를 다양한 문화 이론과 결합시킬 것, 둘째, 문화산업 종사자들에 대한 연구를 강화할 것, 셋째, 연구 대상을 미디어산업에 국한하지 않고 일상의 상업화된 문화적 환경들까지 연구 범위를 확대할 것 등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flected genealogically historical changes or conversions of the theories about culture industry since Adorno and Horkheimer’s idea of ‘Culture Industry’ presented and the representative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in South Korea. It was occasioned by UNESCO’s significant studies that concept of ‘cultural industries’ pointing to various industries that exist in reality replaced ‘culture industry’, Frankfurt School’s philosophical concept. In addition the mainstream of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was changed direction to observe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industries and establish a development strategy for them. As a result, the studies of cultural industries have been led by business administration or economics instead of philosophy and sociology since 1970s. Also the new discipline called ‘cultural economics’ has grown bigger and led the studies of cultural industries. Depending on the added value of cultural industries is higher, governments began to be involved,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studies about strategy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ies. But they are still occurred the criticisms that the recent studies have only to concentrate on the market value of cultural industries and the arguments that we need more pluralistic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thembecause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eir social value and influence, even though acknowledging the fact that economic analysis is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has a few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after examining the various criticisms about the general trend of recent studies. First, empirical researches must be combined with the various cultural theory. Second, it is need to strengthen the study about workers of cultural industries. Finally, it is desirable to widen studies to the overall cultural surroundings commercialized instead of being limited to the media industries. 본 연구는 Adorno와 Horkheimer의 문화산업 개념 제시 이래 문화산업론의 변화와 전환, 한국에서 문화산업 연구의 전개 등을 계보학적으로 성찰하였다. 문화산업 개념은 유네스코의 연구를 계기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철학적 개념인 ‘단수로서의 문화산업’ 대신 ‘복수로서의 문화산업’, 즉 현실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산업체를 가리키게 되었으며, 문화산업론은 문화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발전 전략을 세우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1970년대 이후 문화산업 연구의 중심지는 철학, 사회학에서 경영학, 경제학 쪽으로 옮겨가게 되었으며, 특히 문화경제학이라는 새로운 분과 학문의 영향력이 커졌다. 또한 문화산업의 부가가치가 크게 증대함에 따라 각국의 정부에서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문화산업의 발전 전략 연구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문화산업의 시장가치에만 집중하는 획일적인 연구 경향을 비판하고 다원적, 학제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 역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문화산업 연구에서 경제적 분석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정하더라도 문화산업의 사회적 영향력과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문화산업 연구의 일반적 경향에 대한 다양한 비판들을 검토한 후 향후 문화산업 연구의 확장과 발전을 위해서 첫째, 실증적인 연구를 다양한 문화 이론과 결합시킬 것, 둘째, 문화산업 종사자들에 대한 연구를 강화할 것, 셋째, 연구 대상을 미디어산업에 국한하지 않고 일상의 상업화된 문화적 환경들까지 연구 범위를 확대할 것 등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flected genealogically historical changes or conversions of the theories about culture industry since Adorno and Horkheimer’s idea of ‘Culture Industry’ presented and the representative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in South Korea. It was occasioned by UNESCO’s significant studies that concept of ‘cultural industries’ pointing to various industries that exist in reality replaced ‘culture industry’, Frankfurt School’s philosophical concept. In addition the mainstream of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was changed direction to observe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industries and establish a development strategy for them. As a result, the studies of cultural industries have been led by business administration or economics instead of philosophy and sociology since 1970s. Also the new discipline called ‘cultural economics’ has grown bigger and led the studies of cultural industries. Depending on the added value of cultural industries is higher, governments began to be involved,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studies about strategy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ies. But they are still occurred the criticisms that the recent studies have only to concentrate on the market value of cultural industries and the arguments that we need more pluralistic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thembecause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eir social value and influence, even though acknowledging the fact that economic analysis is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has a few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after examining the various criticisms about the general trend of recent studies. First, empirical researches must be combined with the various cultural theory. Second, it is need to strengthen the study about workers of cultural industries. Finally, it is desirable to widen studies to the overall cultural surroundings commercialized instead of being limited to the media industries.

      • KCI등재

        문화예술에 대한 경제학적 접근과 문화산업화 전략,그리고 그 새로운 해석모형

        김영주 동양사회사상학회 2014 사회사상과 문화 Vol.30 No.-

        오늘날 인류는 정보화와 함께 ‘문화화’의 물결을 맞이하고 있다. 사람들이 물질의 풍 요보다도 마음의 풍요를 더 선호하게 되면서 문화적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과 소비가 널리 퍼져나가게 되었고, 이제 문화산업은 세계경제의 중요한 관심영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대형공장이나 정보화 플랫폼이 아니라 스토리와 놀이 또는 상상력이 융합하여 새 로운 생산력을 형성하는 시대요, 물건을 담을 규격화된 컨테이너가 아니라 변화무쌍한 이야기를 담아낼 소프트-콘텐츠가 더 큰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시대이다. 그런데 그 문 화적 재화와 서비스에는 문화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 사이에서 나타나는 딜레마가 있다. 이 두 측면에서 어느 쪽을 더 강조하느냐는, 주어진 연구의 목적이나 방법에 따라 달라 지겠다. 이에 대한 논의를 경제적 관점에서 접근함에는 두 가지 방향이 있다. 하나는 순수학문으로서 문화예술 분야까지 함께 논의할 수 있는 경제학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 하려는 ‘문화경제학’의 방향이고, 다른 하나는 응용학문으로서 문화예술 분야를 현실사 회에서 경제성장의 전략으로서 산업화하려는 ‘문화산업화’의 방향이다. 제2절에서는 문 화적 가치를 배려하려는 ‘문화경제학’의 방향을 살펴보았고, 제3절에서는 경제적 가치 를 경제성장의 새로운 동력으로 삼으려는 ‘문화산업화’의 방향을 살펴보았다. 이 ‘문화 경제학’의 방향과 ‘문화산업화’의 방향에서 논의의 초점을, 필자는 ‘문화적 재화라는 작 품의 개성과 창조성’ 그리고 ‘문화적 재화의 공공성과 외부효과 및 연방효과’라고 본다. 문화예술에 대한 두 가지 방향이 모두 ‘문화적 재화라는 작품의 개성과 창조성’ 그리고 ‘문화적 재화의 공공성과 외부효과 및 연방효과’를 두루 말하고 있지만, ‘문화경제학’의 방향은 ‘문화적 재화의 공공성과 외부효과 및 연방효과’에 주로 관심을 두고 있고, ‘문 화산업화’의 방향은 ‘문화적 재화라는 작품의 개성과 창조성’에 주로 관심을 두고 있어 보인다. 이에 필자는 이 두 가지 방향을 동일한 마당에 놓고 함께 아울러서 논의할 수 있는 모델로, ‘공공성과 개별성’의 관계와 ‘서열성과 평등성’의 관계를 ‘개별체․경쟁 체․공동체․집단체’라는 4가지 기본유형을 기초로 삼아서, 필자가 나름대로 만든 ‘16 가지 사회경제시스템’을 그 해석모델로 제시해 보았다. Today, We are facing a cultural wave with information. More people prefer the abundance of the heart than the abundance of material, and widespread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ultural goods and services, Cultural industry has now emerged as a major area of interest in the global economy. It is not Large plants or the information platform, the story and play or imaginative fusion age to form a new production, do not capture a standardized container but the soft-contents is the time to create greater value. But there is a dilemma that cultural goods and services appear between cultural values and economic value. Both of which do have more emphasis on the side,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method given study. In the discussion of approaches from the economic point of view, there are two directions. One is the direction of the discussion to be ‘cultural economics’ that they want to explore new areas of economics to culture&arts as a pure science, The other is the direction of ‘culture industrialization’ industrializing as a strategy for economic growth in the real society to culture&arts as applied science.

      • KCI등재

        정치경제학의 방법론적 토대들: 사상사적 흐름과 이론적 비판

        지주형 ( Joo Hyoung Ji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論叢 Vol.32 No.-

        본 연구는 정치경제학의 여러 흐름들을 사상사적, 방법론적 맥락 속에 위치지음으로써 그것들이 가능하게 된 역사적 조건을 드러내는 동시에 이론적으로 유형화하고 비판한다. 정치경제학의 역사는 정치적, 사회적, 제도적, 역사적 방법론과 추상적, 수리적, 모델링 방법론의 대결 속에서 정치와 경제의 관계를 특정한 방식으로 개념화하는 역사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치경제학의 제 조류는 정치 경제 관계라는 그 방법론적 토대의 측면에서 환원주의(경제주의, 정치주의), 절충주의를 포함한 연성경제사회학/정치경제학, 경성정치경제학, 탈일국적 지구정치경제학, 문화 정치경제학 등으로 보다 세분화될 수 있다. 정치경제학은 초기에는 자율적 경제영역의 독자적 논리에 기초한 자유주의적 통치술과 정책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으며 제한적이지만 여전히 정치적으로 유의미한 분석을 지향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후에 정치경제학은 본래와 달리, 정치를 완전히 탈각한 경제학 혹은 정치현상에 대한 경제학으로 변모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반동으로 정치의 우위성을 주장하는 정치주의/정치환원론이나 정치학-경제학의 절충론이 나오기도 하였다. 하지만 동시에 경제 및 사회질서의 정치적, 역사적, 제도적, 문화적 성격에 대한 균형 잡힌 분석과 일국 단위를 뛰어넘는 지구적 분석 또한 발전하였다. 그럼에도 종래의 경성 정치경제학은 정치분석을 상대적으로 경시할 뿐만 아니라 정치경제의 지구적 차원을 경시하는 등의 약점을 가지고 있다. 탈일국적/지구적 정치경제학은 방법론적 일국주의적 편향을 극복하고 경성정치경제학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였음에도 경제의 상징적·문화적 측면을 경시하고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경제적 범주(예:시장, 자본, 화폐, 상품, 이윤, 경쟁력, 위기 등)가 마치 자연적으로 본래부터 존재했던 것처럼 물화하는 경향이 있다. 필자는 이러한 비판에 기초해 경성정치경제학과 지구정치경제학에 가장 최근에 발전된 문화정치경제학 방법론을 결합시킨 지구문화정치 경제학을 하나의 방법론적 지향점으로 제시한다. This study locates various currents in political economy in their historical and methodological contexts to reveal their historical conditions and theoretically categorize and critique them. The history of political economy can be characterized as the struggle between political, social, institutional, and historical methods and abstract, mathematical, and modelling methods around the problem of how to relate politics and economy. Through this struggle, political economy has developed a number of competing and contrasting methodological foundations:reductionism(economism and politicism), soft economic sociology and political economy including eclecticism and separatism on the one hand, and hard political economy, post national global political economy, and cultural political economy on the other. In its earliest stage, political economy did not fully abandon political analysis although its main role was to provide theoretical grounds for liberal governmentalities and policies in line with the(supposedly) autonomous logic of the economic sphere. However, soon it broke with its origins and transformed into(allegedly) politics free economics or even economic analyses of political phenomena. Then this transformation brought about reactions such as eclecticism, politicism or political reductionism. Nonetheless, political economy also developed hard political economic methods for analyzing political, historical, institutional nature of the economic and social order as well as global analysis beyond the national scale. However, conventional hard political economy tend to neglect political analysis as well as the global dimensions of the political economy in its actual practice. Post-national or global political economy tends to neglect the symbolic and cultural dimensions of the economy and naturalize economic categories such as market, capital, money, commodity, profit, competitiveness and crisis as if they were pre-given rather than being socially constructed. From this perspective, this article suggests global cultural political economy as a methodological orientation by combining hard political economy, global political economy and cultural political economy.

      • KCI등재후보

        문화경제학의 수사학적 접근

        임상오 한국문화경제학회 2009 문화경제연구 Vol.12 No.1

        이 논문에서는 학제적 연구를 추구하는 한국문화경제학회가 향후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방안을 「국제문화경제학회 모델」과 「일본문화경제학회 모델」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찾는다. 아울러, 이 논문에서는 대화의 상속이라는 관점에서 문화경제학을 접근하면 인류의 문화유산과 문화의 가치에 눈뜬 인간과 조우하게 된다는 것을 주장한다. 그러한 과정에서 존 러스킨 사상이 학제적 연구의 좋은 소재임을 제시하는 동시에, 특히 문화경제학의 새로운 접근방식 (Throsby, Klamer, Ikegami등의 연구)과 러스킨 사상과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것이 향후 연구주제로 부상하게 될 것을 전망한다.

      • KCI등재

        한국 문화연구의 정치경제학적 패러다임에 대한 모색

        류웅재(Woong-jae Ryoo)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8 언론과 사회 Vol.16 No.4

        이 논문은 한류 현상으로 대변되는 한국 대중문화의 미디어 문화연구적 입장에서 미디어 텍스트나 콘텐츠, 혹은 수용자 중심주의에서 도출되는 문화의 흔종성, 창의적이고 저항적인 텍스트 읽기의 편재성에 보다 섬세한 결을 더하여 논의를 확장하기 위한 의도를 가지고 있다. 그 하나가 문화현상을 이해하는 분석의 엄정성과 총체성을 담보하기 위해 기존의 텍스트나 수용자에 중심을 둔 문화주의적 접근에 비판적 정치경제학(critical political economy) 시각의 접합이다. 가령 한류 현상을 분석하는 흔종성 개념의 유용함과 의의를 이전의 단선적인 시각들로부터 차별화하고 문화연구의 전통 내에서 그 장점과 공헌을 부각시키는 동시에, 그것이 만족스럽게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한 보완을 위한 하나의 틀로서 비판적 정치경제학 패러다임의 복원에 대한 이론적이며 방법론적 요청에 대해 논구하고 있다. 더 나아가 수용자의 문화적인 상상과 수용과정 등을 강조하는 미디어 문화연구가 초국적 문화자본이나 국가 그리고 문화산업 의 역할과 그들간의 상호작용을 다양한 층위에서의 접합을 통해 보다 비판적이며 동시에 실천적인 문화연구의 본래적 기능에 다가갈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pand the scope and horizon of the discourse surrounding a popular cultural phenomenon, Korean Wave, especially by complementing partial perspectives emphasizing the hybridization thesis and creative reading of the text, often found in media-oriented cultural studies. My central contention is to incorporate the critical political economy perspective with the culturalist approach focusing on text or the audiences. For example, I highlight the virtue of hybridity concept in analyzing the Korean Wave, and how it differs from more linear models. At the same time, I call for more astute attention to critical political economy paradigm as a useful framework to supplement some blind spots found in the hybridization thesis. Futhermore, I suggest a potential and progressive node for more critical, practical and holistic cultural studies by articulating the role of transnational cultural capital, state, and culture industry, and mutual relationship among them.

      • KCI우수등재

        심미적인, 너무나 심미적인 자본주의 - 문화연구의 위기와 그 비판적 전환을 위하여

        비판사회학회 2011 경제와 사회 Vol.- No.92

        <P>&nbsp;&nbsp;문화연구는 최근 학술적으로 제도화되며 가장 주목할 만한 신생 분과 학문이 되었다. 그러나 문화연구는 또한 그것의 이론적 시효를 위협하는 질문 앞에서 위협을 받고 있다 나는 문화연구가 직면한 위기적인 상황이 다름 아닌 문화연구에 내재한 근본적인 전제이자 질문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한다. ‘문화적인 것’과 ‘경제적인 것’의 관계란 질문은 문화연구를 끊임없이 괴롭혀 온 쟁점이다. 이 과정에서 주류 문화연구는 경제적인 것과는 ‘다른 것’으로서의 문화적인 것, 혹은 경제적인 것의 규정이나 영향으로부터 벗어난 문화적인 것을 획정하고 이를 자신의 연구대상으로 구성하려 애써왔다. 그렇지만 경제적인 것이 문화화되고 또 문화적인 것이 경제화 되었다는, 근년 폭증하는 담론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 그러한 ‘심미적인 자본주의’가 새로운 단계 혹은 국면의 역사적 자본주의임을 인정하여야 할까. 경제가 심미화·문화화되었음을 단언하는 다양한 문화경제 담론은, 문화연구의 이론적 기획 자체를 위협하는 것은 아닐까. 우리는 이 글에서 그 같은 추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문화와 경제의 관계라는 쟁점을 통해 문화연구의 역사를 간략히 재구성한다. 그리고 이를 최근 부상하는 문화경제론의 접근과 대조할 것이다. 이로부터 경제적인 것과 문화적인 것의 관계를 확정적으로 규정하려는 어떤 시도도 결국은 자유주의의 한계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밝혀보려 할 것이다. 그리고 결론으로 이를 문화연구의 아포리아로 규정하며 이런 아포리아를 해결하려는 시도는 곧 자유주의와의 비판적인 대결이 될 것임을 주장할 것이다. 따라서 이글은 문화연구는 과연 자유주의 비판의 기획이 될 수 있는 가란 물음을 던지며 그간의 문화연구의 이론적․정치적 가정을 검토하고 또 이를 재정식화는 데 주요한 관심을 갖는다.</P>

      • KCI등재

        문화 기관 설립이 문화예술 참여와 여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사례

        김형종,박상곤 한국응용경제학회 2021 응용경제 Vol.23 No.1

        본 연구는 문화 기관 설립이 문화예술 참여와 여가의 만족도에 미친 영향을 다룬다. 연구 대상은 한국의 대표적 문화 기관 가운데 하나인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다.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서 약 41만 개의 개인 응답 자료를 사용하여 이중차분법을 적용하였다. 추정 결과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광주 주민들의 문화 예술 참여 및 여가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동 결과는 다양한 모형설정에서 강건하다. 이는 문화 기관의 지리적 분포가 지역민의 문화예술 참여 및 여가 만족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ddresses the impact of a cultural institution's founding on leisure satisfaction and engagement in arts and culture. The study's subject is the Asia Culture Center, one of the leading cultural institutions in Korea. The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was used with about 410,000 survey responses to estimate the impact.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 Asia Culture Center positively affects leisure satisfaction and engagement of individuals living in Gwangju in arts and culture. The results are robust under various specifications. It suggests that cultural institutions' geographical distribution considerably affects both the engagement and satisfaction of individuals living in the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