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의 인용 네트워크분석

        정유경 한국문헌정보학회 202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4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cholarly communications and citation influenc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by conducting journal citation network analysis. For data collection, four major journal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were chosen and 4,471 of research papers and 18,424 of citation records were collected from Korean Citation Index. The results show tha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as the most influential journal with highest citation in LIS fields, whi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nagement influenced other research fields. 본 연구는 인용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주요 학술지간의 인용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 기재된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술지의 논문 4,471편과 이 논문들을 인용한 18,424건의 인용정보를 수집하여 학술지간 인용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인용을 가장 많이 받았던 학술지는 한국문헌정보학회지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의 주요 연구주제들이 인용을 통해 문헌정보학 내부 연구 분야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문헌정보학회지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의 상호인용이 많았으며, 정보관리학회지의 연구주제 중 연구동향분석이나 지적구조분석과 관련된 연구들이 문헌정보학 이외의 분야로부터 많은 인용을 받아, 문헌정보학 외부의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KCI등재

        어떤 국내 논문이 더 많이 인용되는가?

        조은성(Cho Eunseong),송재도(Song Jae Do) 한국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연구 Vol.28 No.4

        해외 경영학 학술지에서는 피인용횟수의 영향요인에 대한 조사가 여러 편 발표되기 시작하였으나, 아직 국내에서 는 이에 대한 조사가 발표되지 않고 있다. 한국 학계의 여러 특수한 상황을 감안하면, 국내에서 피인용횟수의 영향요인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될 것이다. 본 연구는 여러 영향요인들을 보편주의적 관점,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 제시 방식, 참고문헌 특성으로 분류하여 제시한다. 인용의 동기에 대한 보편주의적 관점은 우수한 논문일수록 자주 인용된다는 것이다. 사회적 구성주 의 관점은 정치적 동기에 초점을 맞추며, ‘누가 쓴 논문인가’가 중요한 인용의 동기라고 설명한다. 제시 방식은 연구자들이 정보탐색비용 혹은 정보처리비용을 줄이기 위한 문헌 탐색전략을 개발할 것이라고 가정한다. 참고문헌 특성은 두 가지 관점 이상으로 분류될 수 있는 참고문헌 특성을 포함하였다. 보편주의적 관점에 해당하는 영향요인으로 1)연구주제, 2)자료의 유형, 3)온라인(vs.오프라인) 여부, 4)구조 방정식 분석 여부, 5)학술지 동일 호에서 논문의 순서, 6)논문의 분량을 조사하였다. 논문의 순서와 분량은 해당 학술지의 수준에 대한 학술지 편집자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된다는 기존 연구의 주장을 따라 보편주의적 관점에 포함하였다.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 해당하는 영향요인으로 1)소속 대학의 명성, 2)수도권 대학, 3)연구실적의 양, 4)성 별, 5)저자의 수, 6)자기인용을 조사하였다. 제시 방식에 해당하는 영향요인으로 1)제목의 길이, 2)부제목 사용 여부, 3)의문형 제목 여부, 4)주제어의 수, 5)표의 수, 6)그림의 수, 7)수식의 수를 조사하였다. 참고문헌 특성에 해당하는 영향요인으로 1)국내 참고문헌의 양, 2)해외 참고문헌의 양, 3)상위 4개 학술지 (JM, JMR, JCR, MkS)의 인용비율을 조사하였다. 분석을 위해 ‘마케팅연구’, ‘마케팅관리연구’, ‘소비자학연구’의 3개 국내학술지에 2005년부터 2008년까지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피인용횟수 및 자기인용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자료를 이용 하였으며, 그 외의 변수들은 논문을 검토하면서 직접 입력하였다. 종속변수로는 자기인용을 제외한 피인용횟수를 사용하였다. 분석에는 Poisson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자료의 유형과 관련하여 서베이, 실제자료, 시뮬레이션, 정성자료가 문헌고찰에 비해 더 많이 인용 되었다. 연구주제와 관련해서는 광고, 가격, 소비자지식, 기타소비자행동, 소비행동, e-commerce의 논문들은 인용이 상대적으로 작았으며, 소비자감정을 다룬 논문들은 많이 인용되는 경향이 있었다. 분석방법으로 구조방정 식을 활용하였거나 온라인 환경을 다룬 논문들이 많이 인용되었다. 기존 연구의 결과와는 반대로, 분량이 많은 논문일수록 적게 인용되는 경향이 있었다. 자기인용을 많이 하는 저자의 논문일수록, 저자의 수가 많을수록 피인 용횟수가 많았다. 제일저자가 국내 학술지에 게재한 논문이 많을수록, 높은 순위의 대학에 근무할수록, 그리고 여성에 비해 남성 저자의 논문이 피인용횟수가 많았다. 의문형 제목을 가지거나 많은 수의 주제어를 포함할수록 피인용횟수가 많아지나, 수식은 많이 포함될수록 피인용횟수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었다. 참고문헌에서 국내문헌 및 해외문헌이 많아질수록 피인용횟수도 많아졌다. 또한, 상위 4개 학술지의 인용비율이 높아질수록 피인용횟수 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는 조사되지 않은 영향요인인 제목의 스타일(부제, 의문형)과 참고문헌의 구성(상위 4개 학술지 인용비율)을 처음으로 조사하였다. 둘째, 기존 연구들 이 모두 영어 논문을 대상으로 한 것과 달리 본 연구는 비영어권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셋째, 국내 마케팅 학계에서 내용분석 또는 인용분석을 이용한 연구는 존재하였으나 내용분석과 인용분석을 결합한 분 석은 최초로 제시되는 것이다. 본 연구가 마케팅 연구자에게 주는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인용에 보다 적극적이 되어라. 둘 째, 자신의 연구들이 서로 관련되어 있도록 하라. 셋째, 보다 많은 공저자를 포함시켜라. 넷째, 연구실적의 양이 질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인식하라. 다섯째, 떠오르는 연구주제와 분석방법에 주목하라. 여섯째, 의문형 제목으로 주목도를 제고하라. 본 연구가 학술지 편집자에게 주는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논문의 배치 순서를 결정할 때 투고자 관점 대신 독자 관점의 기준을 사용하라. 둘째, 논문의 분량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라. 셋째, 주제어 수의 최소 기준을 투고요령에 포함시켜라. 본 연구는 또한 대학 및 연구지원기관에게는 저자 수 증가에 과도한 불이익을 주지 말라는 시사점을 줄 수 있다. What makes an article to be cited by other studies?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influencing factors affecting the number of citations of articles that are written in other language than English. Exploring drivers of article impact in Korean marketing journal can provide useful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rketing researchers, journal editors, and universities. LITERATURE This study classifies independent variables into four categories; Universalism, Social constructivism, Presentation and Reference characteristics. Universalism on drivers of citation states that articles are cited because of its quality or magnitude of contributions. Social constructivism focuses on selfish or political motivations, and ‘who wrote the paper’ is the main driver of article citation. Presentation puts emphasis on literature search strategies that reduce information search cost or processing cost. Universalism consists of the following independent variables; research topic, the type of data, online settings, us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rticle order, and the number of pages. Previous studies also included article order and number of pages in Universalism because they signals article quality evaluated by journal editors and reviewers. Social constructivism includes the following independent variables; prestige of first author`s school, university in capital area, number of previous publications, gender, number of authors, self-citation. Presentation comprises the following independent variables; title length, use of sub-title, interrogativesentence title, number of key words, tables, figures, and equations. Reference characteristics involves the following independent variables; the number of Korean and English references and the ratio of TOP4 journals(JM, JMR, JCR, MkS).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and Journal of Consumer Studies from 2005 to 2008. The number of citations received and self-citations were obtained from Korea Citation Index database and other variables were coded after reading each article.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number of citations received excluding self-citations. Poisson regression was employed for analysis. RESULTS Universalis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ype of data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rticle citations. Survey, real data, simulation, qualitative studies collected more citations than review articles. We also found that research topic affects article citations. Articles on advertising, pricing, consumer knowledge, other consumer behavior, consumption behavior, and e-commerce tend to be cited less than other articles, whereas papers on consumer emotions tend to be cited more than other articles. Articles that util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llected more citations than other articles. Studies that dealt with “online” marketing received more citations than other studies. Contrary to previous studies, the number of page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itation counts. We could not fin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rticle order and the number of citations. Social constructivism: Prestige of first author`s school, the number of previous publications, number of authors, self-citation had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article citation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articles written by male authors tend to received more citations than articles written by female authors. Presentation: Interrogative-sentence title and the number of key word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article citations. Number of equation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rticle citations. Reference characteristics: Number of Korean references, English reference, and the ratio of TOP4 journals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with citation counts. DISCUSSION Theoretical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itle style(sub-title and interrogative sentence) and the contents of refere

      • KCI우수등재

        문헌정보학분야 해외 연구 동향 및 유망 주제 분석 연구

        구본진,장덕현 한국문헌정보학회 2023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7 No.3

        이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문헌정보학의 핵심 연구 영역을 파악하고 향후 유망 연구 주제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는 주제를 식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정보학 분야의 국외 학술지 5종을 대상으로 지난 30년간(1993~2022)의 학술논문 11,252건에서 40,897개의 저자 키워드를 수집하였으며, 저자 키워드를 활용한 키워드 분석을 통해 문헌정보학 분야의 핵심 연구 영역을 파악하였다. 이어서 논문수, 저자수, 공저논문 비율, 피인용 수를 활용하여 주성분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문헌정보학 분야의 미래 유망 연구 주제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향후 문헌정보학 분야의 유망 연구 주제는 ‘머신러닝/알고리즘’과 ‘연구 영향력’이었으며, 이외에도 소셜미디어와 빅데이터분석, 자연어 처리, 연구 트렌드 분석, 연구성과 평가 등이 향후 주요한 연구주제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학습분석기반 대시보드 연구동향 분석

        진성희 ( Sung Hee Jin ),유미나 ( Mi Na Yo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2

        이러닝 학습환경에서의 학습이 증가하면서 온라인에서의 학습자들의 학습행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를 처방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는 학습분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학습분석은 활용주체, 접근 관점,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활용 방법과 적용 맥락이 다양해 질 수 있으며, 이를 시각화하여 대시보드에 표상하는 방법 또한 매우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분석에 기반한 대시보드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연구동향을 정리하고 향후 학습분석 관련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연구방법론에 따라 선행연구 선정 기준 설정, 선행문헌 선정, 분석 체계 수립, 선행문헌 선정 및 분석 체계에 대한 전문가 타당화, 선행문헌 분석 및 교차 검토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27개의 대시보드 관련 선행연구들을 선정하였고, 분석 체계를 수립하여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자를 포함한 3명의 교육공학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타당화 검사를 실시하였다 (r=0.92). 선정된 27개의 대시보드 관련 선행연구들을 분석체계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대시보드 개발 목적은 학습지원을 위한 것이 18개(67%), 교수지원을 위한 연구가 16개(59%), 교육기관에서 교육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위한 것이 2개(7%)로 나타났다. 대시보드 개발을 위해 사용한 데이터소스는 학생산출물, 학습시간, 상호작용, 시험·과제 결과, 학습자료, 기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를 시각화하는 기법으로는 비교, 관계, 시간, 분포, 텍스트, 공간, 메타포가 있었다. 대시보드 효과분석은 선행문헌 중 16개(59%)가 실시하지 않았으며, 효과성을 분석한 연구는 7개(26%), 효율성을 분석한 연구는 2개였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학습분석 관련 추후 연구 방향으로 처방적 대시보드 설계 및 개발필요, 대시보드 시각화 설계 원리 연구, 대시보드 효과분석을 통한 일반화를 제안하였다. Learning Analytics (LA) has been recently paid attention due to the increase of e-learning. LA aims to use prescriptively the results which learner’s behaviors are analyzed and can be utiliz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users, objectives, or data sour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nthetically review the studies on LA based dashboard in e-Learning environments and to suggest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on LA based dashboard.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view study methodology was adopted: setting up inclusion criteria, literature search and selection, setting up coding scheme, verification of literature selection and coding scheme, and analysis. 27 studies were selected and three experts with Ph.D in Educational Technology participated to the expert review survey. The research selection and coding scheme was verified(r=0.92). The analysis results were suggested according to coding scheme. Related to the purpose of dashboard development, 18 studies (67%) were for supporting learning, 16 studies (59%) were for supporting teaching, and 2 studies (7%) were for supporting decision-making related education policy. Data source which was used for developing dashboard was categorized into artifacts produced by learners, social interaction, exam/assignment results, resource use, and etc. The visualization techniques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were comparison, relationship, changes over time, distribution, text analysis, space, metaphor. 16 studies (59%) did not evaluate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dashboard, only 7 studies(26%) evaluated the effects of dashboard, and 2 studies evaluated the efficiency of dashboar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view results.

      • 국내 직무분석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2010년 이후 국내학술지 발표논문 중심으로

        박현경(Park, Hyun-kyung),양지희(Yang, Ji-hee)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19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활용하여 국내 직무분석을 주제로 한 관련 선행연 구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데이터베이스들을 이용하여 광범 위한 참고문헌의 수집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참고문헌은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통해 최종적으로 29편의 연구물들이 본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분야가‘직업’인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었 다는 점, 두 번째, 직무분석 시 가장 많이 활용된 기법으로는 DACUM기법이었으며, 대상은 공공교육 분야, 직무교육분야, 의료분야로 구성되어있었고 주요분석 내용은 직무정의, 책무와 과업, 중요도 등인 점, 마지막으로 직무분석 연구결과는 대부분 교육과정 개발 및 개선에 활용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DACUM기법을 비롯하여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한 직무분석이 진행되어야 하며, 직무분석의 연구결과를 교육과정 개발 및 개선뿐만이 아니라 직무모형, 직무 매뉴얼, 직무개선 등 평가와 보상의 측면에서 활용 되어야 한다는 점, 직무분석이 일회성이 아닌 일정 시점이 지나면 새롭게 직무분석 함으로써 조직과 구성원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직무분석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직무분석에 대한 연구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를 도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cent research trends about job analysis using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For this purpose, a wide range of references was collected by using databases for domestic research papers. Finally, a total of 29 articles are selected and analyzed through our own selection process prepar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ield of research in job analysis was actively studied in the field of occupation . Second, DACUM survey is the major methods used for job analysis. The subjects of job analysis are in the public education field, job education field and medical care field. Thus the important analysis contents include job definition, responsibilities, tasks, and task’s importance etc. Finally, various suggestions for job analysis results are appear. Among these suggestions, development and improvement appeared most frequently in this training program. Based upon these findings, this study from job analysis should be used in terms of evaluation and compensation of curriculum, including job model, job manual and job improvement, as well as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curriculum. Job analysis should be newly performed after a certain point in time rather than a one-off event, laying the groundwork for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and its membe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eliciting implications for future job analysis studies and in presenting research directions for current and future job analysis.

      • KCI등재

        스포츠경기분석 연구의 국내외 주요연구동향

        김주학(Joo Hak Kim),최형준(Hyong Jun Choi)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4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6 No.1

        이 연구는 국내외 스포츠경기분석 연구의 주요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연구문헌에서 나타난 자료수집 방법, 내 용분석 방법, 통계분석 방법의 3가지 관점으로 자료를 분류하고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스포츠경기분석 연구의 발전방 향에 대해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국내 연구문헌의 경우, 최근 20년간 출간된 한국연구재단에 등록된 22개 등재 학술지와 2개 등재후보학술지를 전수 조사하였으며, 국외 연구문헌의 경우 최근 5년간 출간된 SCI(Science Citation Index), SSCI(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SCIE(Science Citation Index Expended), SCOPUS에 등록된 11개 등재학술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연구문헌에서 ‘경기력향상’을 목적으로 한 연 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둘째, 국내의 경우 ‘기술분석’에 연구목적을 두는 반면에, 국외의 경우에는 ‘기술분석’, ‘요인분석’, ‘운동학습’에 상당수의 연구가 목적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석기법별로 살펴본 결과, ‘단순자료 수집’에 의한 연구가 치중하고 있는 국내의 경우와는 다르게 국외 연구문헌에서는 ‘시퀀스자료수집’에 의한 연구가 높 게 나타났으며, 국외 연구문헌의 경우 국내 연구문헌과 비교하여 ‘비모수통계(non-parametric statistics)’의 비중이 높 았다. 넷째, 연구대상별로 살펴본 결과, 국내 연구문헌의 경우 ‘일반선수’와 ‘학생선수’를 구분하여 선정하고 있었지만, 국외 연구문헌의 경우 ‘일반선수’와 ‘학생선수’를 비교함으로써 학생선수들이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es of Performance Analysis in Sport for a proposal of further research area and topics in concerned area. The data collection methods, contents analysis methods and statistical approaches were considered for the analysis of literature relating to the Performance Analysis in Sport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For the analysis, all domestic papers in 22 accredited journals and 2 semi-accredited journals recognized by Korea Research Foundation which published within last 20 years were reviewed. For the international research papers, 11 recognitive journals by SCI, SSCI, SCIE and SCOPUS published within last 5 years were concern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through the comprehensive analysis were following as below; Firstly,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es have considered ‘enhancement of performance’ as a purpose of study. Secondly, domestic researches have more concerned on ‘technical analysis’ than international researches. Thirdly, the ‘simple data collection’ was mostly concerned in domestic researches in spite of ‘sequential data collection’ in international researches. Additionally, the use of ‘non-parametric statistics’ were greater in the international researches rather than the domestic researches. Fourthly, ‘elite player’ and ‘student player’ were often categorized in domestic researches that the comparisons between ‘elite player’ and ‘student player’ were more considered in the international researches regarding to researches on Performance Analysis in Sport.

      • KCI등재

        학습분석학 국내 문헌 고찰: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실증연구를 중심으로

        안미리 ( Mi-lee Ahn ),최윤영 ( Younyoung Choi ),배윤희 ( Yunhee Bae ),고윤미 ( Yoonmi Ko ),김민하 ( Minha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2

        학습분석학(Learning Analytics)은 학습이 일어나는 전 과정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학습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온라인 콘텐츠 활용과 이러닝이 보편화됨에 따라 학습분석학은 학습유형고찰, 학습평가, 맞춤 학습 등 교육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아직 국내연구에서는 학습분석학의 연구가 미비한 점을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발표된 학습분석학을 적용한 문헌 자료를 분석하였고, 향후 국내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6년 2월까지 발표된 국내 학습분석학 관련 문헌 중 실증적 연구 중심의 문헌으로 최종 61편을 선정하였으며, 선별 절차와 과정은 Papamitsiou와 Economides(2014)의 문헌연구 방법을 따랐다. 문헌분석 결과, 국내에서 집중된연구 동향은 (1) 연구 목적은 학생 행동 모델링, 학습성과 예측, (2) 학습환경은 VLEs/LMSs, 웹기반학습을 주로 연구하였으며, (3) 자료분석방법은 연구 목적에 따라 분석 방법을 다르게 사용하였으나 주로 Statistics, Regression, Text Mining이 많이 활용되었다. 본연구의 시사점은 우선, 학습분석학을 통한 새로운 교수전략 제안과 학습자의 학습성과 예측, 중도탈락 예방 등 학습자 이외에 지원 가능한 다양한 변인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미했던 부분의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MOOC, 인지적 튜터 시스템, 모바일과 같은 다양한 학습환경에서의 학생 및 학생 행동 모델링 연구가 필요하다. 나아가 데이터를 추출하고 마이닝하는 방법과 이에 따른 분석 모형화에대한 연구를 교육공학적 측면에서 접근함으로써 다양한 학습자의 개인별, 맞춤형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시각화방법을 포함한 프로세스가 내재된 학습관리시스템 모델링 연구 또한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학습분석학의 활용에 관한 다양한 관점의 고찰은 교수설계, 교수전략의 새로운방향을 제시하고 효과적인 데이터의 활용과 학습관리시스템의 모형을 제안할 것으로 기대된다. Learning analytics is a research method used in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reporting of learners`` progress, for purposes of understanding, predicting, and optimizing learners`` learning process. Along with the rapidly increasing use of online learning, data derived analytics methods are anticipa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However, research on learning analytics is relatively new in Korean academia.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Korea on the (1) learning settings, (2) research objectives, and (3) research methods used in learning analytics literatures. Using Papamitsiou & Economides‘s(2014) review process as a guideline, we surveyed empirical studies published in Korea between 2008 and 2016, and 61 were aggregated for in-depth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most research published in Korea is limited to applying learning analytics in the context of VLEs/LMSs and web-based learning platforms. For research objectives and research methods also narrowly focused on objectives and research method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Korean academia needs to expand to different applications of learning analytics to include instructional strategies, prediction of student success, and prevention of dropouts. Furthermore, we need to expand to include the design of MOOC, cognitive tutor system, and mobile learning systems to offer automated data extraction and data mining, and capablities of visualized personalized data. These data-driven learning environment could foster learning analytics research and improv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문헌정보학분야에서 메타분석 연구에 관한 고찰

        노정순 한국문헌정보학회 200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2 No.1

        Meta-analysis refers to the analysis of analysis. It is the statistical analysis of a large collection of analysis results from individual studies for the purpose of summarizing, integrating and interpreting the inconsistent findings. However, no meta-analysis study has been conducte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This Study introduced the charactersistics, basic principles, analysis procesure, and major models of meta-analysis, reviewed meta-analysis studi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discussed major problems in conducting meta-analysi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specially in Korea. 메타분석(Meta-Analysis)이란 분석에 대한 분석(analysis of analysis)이란 의미로, 특정 연구문제에 대해 독립적으로 수행된 선행연구들의 일치하지 않은 결과들을 통합하여 결론을 내리기 위해 개개 연구의 분석결과들을 수학적으로 합성하여 통계적으로 결론을 내리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메타분석의 특성과 기본 원리, 분석 절차, 대표적인 분석모델을 소개하고, 문헌정보학분야에서의 메타분석연구를 고찰하였다. 다른 학문에 비해 문헌정보학에서 메타분석연구는 매우 소량 수행되었고 국내 문헌정보학분야에서는 전무한 상태이다. 문헌정보학에서 메타분석을 수행하는데 문제점과 메타분석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연구자가 보고서 작성시 유의해야 할 내용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예산이론 연구프로그램의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이정희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1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1 No.3

        지식은 체계화된 정보이므로 본질적으로 구조를 갖고 있으며 분과학문은 지식의 축적물로서 지식에 내재적으로 존재하는 구조를 바탕으로 성장하게 된다. 본연구는 예산이론 연구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지적 구조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가 예산연구자의 주관적 관점에 기반한 것에 비하여 내용분석과 연결망 분석을 통하여 양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내용분석을 통하여 이론연구 프로그램의 연구의 증감, 개별이론 연구의 증감 등 연구인용패턴을 살펴보고, 문헌들의 연결망 분석으로 주요 이론군을 발견하고 연구프로그램들을 지도하는 이론을 식별하였다. 분석결과 예산이론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예산이론연구프로그램 내의 독자성을 가진 연구군으로 예산이론일반연구군, 단절균형이론연구군, 공공선택이론연구군이 병렬적으로 존재하였다. 예산이론가들이 관심을 갖는 주요이론 중 단절균형이론, 공공선택이론의 경우 이론적 성숙단계, 다중합리성이론은 이론적 발전단계, 거래비용이론은 이론적 정체상태에 놓여있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국내 수업분석의 연구동향 파악을 위한 체계적 문헌 고찰

        추영선 ( Youngsun Choo ),신부경 ( Bookyung Shin ),김혜준 ( Hyejun Kim ),한예원 ( Yewon Han ),은선민 ( Seunmin Eu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30 No.2

        수업분석은 수업의 질과 교원역량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초중등 교육 맥락에서 수업분석의 시사점을 얻기 위해서는 면대면 교실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수업분석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효과적인 수업분석을 위해서는 명확한 목적을 바탕으로 분석대상을 선정해야 하며, 적합한 분석방법과 도구를 계획하고 실행해야 한다. 그러나 수업분석 연구를 실시함에 있어서 수업의 다양성과 복잡성으로 연구 대상 선정과 분석을 위해 수집할 데이터 및 분석 방법의 선정에 어려움을 겪기 쉽다. 이러한 상황에서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기존 수업분석 연구의 목적과 대상을 파악하여 추후 수업분석자가 연구를 진행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2014년에서 2023년까지 출판된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국내 수업분석의 최근 동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총 42편의 국내 논문을 선정하고 수업분석의 연구 목적, 대상, 수집 데이터, 분석 방법에 대해서 선행연구와 오픈코딩을 통해 도출된 분석틀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문헌을 검토하였다. 연구 목적으로는 수업 요소를 분석해 수업의 현상태를 이해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수업분석의 연구 대상으로 교사의 언어적 표현과 수업 운영을 택한 연구가 많았다. 42개의 연구 중 34개의 연구에서 비디오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분석 범주 활용 양적 분석을 활용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많이 사용된 질적 내용 분석 방법은 주로 다른 연구 방법과 함께 활용되었다. 본 연구는 수업분석의 국내 연구 동향을 파악해 추후 수업분석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연구 대상 확장과 현장 데이터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데이터 분석 방법의 현대화를 제안한다. Teaching analytics is vital for improving teaching quality and teachers’ professional practice. For providing implications for classrooms, investigation of teaching analytics in face-to-face classroom contexts is necessary. Effective teaching analytics entails the selection of subjects for analysis based on clear objectives, along with planning and execution of the right methods and tools. Yet,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teaching makes the selection of research subjects and analytical methods a challenging endeavor. A systematic review of teaching analytics can reveal the objectives and research subjects of prior research, guiding future work. This study reviews literature from 2014 to 2023 to explore recent trends of teaching analytics in Korea. We reviewed a total of 42 papers, analyzing study objectives, objects of analysis, data sources, and analytic methods through a framework based on prior literature and open coding. As a result, the current study found that most research aimed to understand teaching, and teachers’ verbal expressions and classroom management were the objects that were analyzed most frequently. Video data was used in 34 of the 42 studies, and quantitative analysis using a categorized set of standards was most common, followed by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hich was often used in tandem with other methods. This research provides implications for future directions of teaching analytics research in Korea by outlining its current trends, suggesting a broader focus on various objects of analysis, the importance of data directly collected from classrooms, and the need to update analysis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