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비설화를 활용한 자살예방 문학치료 프로그램 사례 연구 -자살 위험군 사례자 A를 대상으로-

        김혜미 한국문학치료학회 2019 문학치료연구 Vol.50 No.-

        In this study, change in the perception of death was considered important in the prevention of suicide. Design a literary therapy program for cognitive change. To this end, consult a person who thought of suicide. Case A had the following problems: ‘Death gives you stability in life.’, ‘Suicide is an individual right.’, ‘I can't solve my problem.’ The literary therapy program was organized through case A’s problem. The folktale used in education is based on death or suicide. A list of selected folktales was as follows: <A life-saving treat>, <The fate of a tiger>, <Yang San Baeg and Chu Yang Dae>, <A Golden Calf>, <Shin Lip(申砬)>, <A Centipede Woman>, and <Fortune Quest> Suicide prevention training was conducted seven times in total. The Literaytherpy program was from the second to the sixth. The program identified two issues in case A. Death's Choice and Guilt, undue dependency and debt. The case A created a work. Creativity allows for cognitive change. Through the folktale <A Golden Calf>, case A learned that death is growth. It also found that death could not dispel pain. 본 연구는 불편하고 힘든 자신의 삶에서 죽음이 평안을 안겨줄 것이라는 인지가 자살의 중요한 핵심이라고 보았다. 죽음에 대한 의미를 재고하는 것을 통해 인지를 변화시키는 것이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중요 지점이라고 보고, 인지 변화를 꾀할 수 있는 생명존중교육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살을 생각하는 사례자 A의 상담을 진행하였다. 자살생각 척도 검사(1979)와 생명존중교육 사전 질문지를 통한 상담에서 나타난 사례자 A의 문제는 죽음이 삶의 안정을 줄 수 있다는 생각으로 인해 죽음 대해 긍정하고 있다는 점, 자살을 개인의 권리로 인식한다는 점, 문제 해결의 가능성이 부재해 있다는 점이었다. 사례자 A가 가지고 있는 문제적 서사를 토대로 활용할 만한 설화를 선정하여 생명존중교육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생명존중교육 문학치료 프로그램에서 활용된 설화는 죽음이나 자살을 소재로 하고 있으면서 사례자 A가 가지고 있는 문제 상황에 대한 해답을 스스로 고민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선정되었다. 선정된 설화 목록은 <저승사자 대접하고 이은 명>, <호환 면하고 얻은 의복과 퉁소>, <양산백과 추양대>, <환생한 송아지 신랑>, <신립장군과 원귀>, <지네각시>, <구복여행>이다. 대체로 『문학치료 서사사전』의 대표 설화를 활용하였으나, 대표 설화에 죽음과 관련된 소재가 나타지 않을 경우에는 죽음과 관련된 소재가 드러난 각편을 활용하였다. 총 7회기의 생명존중교육 중에 문학치료 프로그램은 2회기~6회기로 진행되었다. 문학치료 프로그램은 1단계인 설화 감상 및 정서반응형 검사, 2단계인 이해가 가는 인물과 거부감이 드는 인물 선정과 그 이유에 대한 상담, 3단계인 죽음과 관련된 사건에 대한 평가 및 작품 의미 설명, 4단계인 설화 재창작으로 설계되었다. 생명존중교육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사례자 A의 문제서사는 첫 번째, 죽음의 선택 가능성과 아들 양육에 대한 죄책감, 두 번째, 타인에 대한 과도한 의존과 부채감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문제적 자기서사의 변화를 꾀하기 위하여 창작활동을 진행하였다. 사례자 A의 창작 활동은 새로운 인지 변화를 확인할 수 있게 해 주었다. 바로 죽음이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었다. 죽음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갖게 된 것이다. 그리고 상호의존에 대한 노력이 엿보였지만, 자신이 타인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찾지 못한 것으로 보였다. 마지막으로 사례자 A에게 1회기 때 진행한 ‘자살생각 척도검사’ 및 ‘생명존중교육 사후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자살생각 척도 검사는 24점으로 이전의 39점보다는 낮아져 개선의 모습이 보였다. 또한 사례자 A가 죽음이 고통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니라는 점을 인지하게 된 것을 명료하게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본 생명존중교육에서 가장 의미 있는 성과라고 하겠다. 그러나 아들을 제대로 양육하지 못했다는 죄책감, 타인에 지나친 의존과 부채감은 아직 미해결과제로 남아있다. 한 번의 문학치료를 통해 모든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기에 추후 이와 관련된 문학치료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부모사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심리적 성장을 위한 집단 문학치료 프로그램 기초연구

        최남미 ( Choi Nam-mi ),배진형 ( Bae Jin-hyoung ),정미경 ( Chung Mi-kyoeng ),조은상 ( Cho Eun-sa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1 문학치료연구 Vol.59 No.-

        본 연구는 부모사별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심리적 성장을 위한 집단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부모사별을 경험한 대학생들이 겪는 실제적 어려움과 심리적 지원 욕구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요구조사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정한 문학작품의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타당성과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요구조사 내용을 분석한 결과 부모사별을 경험한 대학생들은 심리상담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며, 요구조사 참여자의 64.7%가 프로그램에 참여할 의사를 밝혔다. 그리고 프로그램에서 기대하는 요소로는 ‘부모사별 경험에서의 정서적 고통감소’와 ‘부모사별 경험을 통한 삶의 의미재구성’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에,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외상적 경험을 직면하는 심리적 부담과 정서적 어려움을 재경험하는 위험성을 최소화하면서 심리적 성장에 이를 수 있도록 외상 후 성장 이론을 바탕으로 한 문학치료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심리적 성장에 필요한 매개변인인 자기개방, 의도적 반추, 사회적 지지가 프로그램 내에서 어떤 과정으로 경험되는지 살펴보았다. 참여자들은 사회적 지지 속에서 자기개방을 통한 집단원들의 공감과 지지단계, 의도적 반추를 통한 충분한 애도와 사별 경험의 의미발견 단계, 마지막으로 삶의 의미 재구성 단계를 거치면서 심리적 성장에 이를 수 있게 된다. 문학치료에서 문학작품은 참여자에게 다양한 영향을 주어 자기서사의 변화를 이끄는 역할을 하므로 참여자들과 공통된 선동적 사건을 경험한 인물이 등장하는 작품인 <심청전>을 선정하였다. <심청전>은 현대에도 그 외연이 계속 확장되고 있는 만큼 보편성을 확보한 작품이며, 심청은 어머니와의 사별로 외상적 사건을 경험하지만 자신의 삶을 주체적이고 적극적으로 이끌어나갔고,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해 죽음을 결심하며 또 한 번의 외상적 사건을 경험하지만 자신의 경험을 성장의 동력으로 삼은 인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문학작품 속 인물을 통해 자기의 경험과 감정을 표현하는 활동이 어떻게 경험될 것인지 살펴보기 위해 <심청전>의 서사를 부모사별을 경험한 심청 되기, 재편된 삶과 생존 부모와의 관계 재구성, 애도를 통한 사별수용 및 고인과의 관계 재경험, 심리적 성장과 자기실현, 이렇게 네 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심청전>은 참여자들이 심청의 삶을 따라가는 과정을 통해 부모사별에 따른 애도를 경험하고, 생존부모와의 관계를 재설정하며, 자신의 삶의 경험을 재조명함으로써 재구성된 삶의 긍정적 의미들을 통해 외상 후 성장과정을 경험하기에 적합한 작품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문학치료 프로그램 기초연구이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직접 실행해보지 않았으므로 <심청전>을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으나, 요구분석 결과 애도경험을 통한 심리적 성장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있음을 확인하고, <심청전>이 프로그램에 활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작품임을 증명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basic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a collective literature therapy program for the psychological growth of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parental bereavement. The contents of a demand survey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iculties and psychological needs of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parental bereavement were analyzed, and the feasibility and possibility of the program were reviewed through the analysis of selected literary work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emand survey,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death of their parents are aware of their need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The demand survey showed that 64.7% of the participants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Furthermore, the results that they expected most from the program were “reduction of emotional pain in” and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life through each parental bereavement experience.” Therefore, a literary therapy program based on post traumatic growth theory was planned to minimize the risk of experiencing trauma and emotional difficulties and to examine how self-openness, intentional reflection, and social support were experienced during the program. Participants were able to experience. Therefore, the program helped them to reconstruct the meaning of life. In literature therapy, literary works have various influences on participants, leading to changes in their own narrative. Therefore, “Simcheongjeon,” a work featuring figures who have experienced common incendiary events as those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Simcheongjeon” is a work that has secured universality as its external relationship continues to expand in modern times, where Simcheong experienced traumatic events following the death of his mother. However, she led her life independently and actively, and decided to die to open his father's eyes, but used her experience as a driving force for growth. In this study, the narrative of “Simcheongjeon” was analyzed in the following four stages to see how the participants would see their experiences and emotions through the characters in the literary works: Being Simcheong experienced parental bereavement, reorganizing life and relationship with the surviving parent, accepting bereavement by mourning, reexperiencing the deceased, and psychological growth and self-realization. In conclusion, “Simcheongjeon” is suitable for participants to experience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the restructured positive meaning of life by experiencing parental mourning, resetting their relationship with the surviving parent, and re-examining their life experiences by following Simcheong's life. As this study was a basic study of literature therapy programs, it has not been verified for literature therapy programs using "Simcheongjeon." However,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analysis confirms that there is a demand for programs aimed at psychological growth through mourning experience.

      • KCI등재

        외로움 해소를 위한 VR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김정애 ( Kim Jeong-ae ),이승제 ( Lee Sung-je ),정의준 ( Jeong Eui-j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3 문학치료연구 Vol.68 No.-

        본 연구는 역기능적인 외로움의 문제에 초점을 두고 이 문제 해결을 위해 디지털 개입 기반의 치료적 체계를 예비하고자 하는 장기적인 목표 아래, ‘문학’이라는 재료를 ‘VR’ 기술로 구현하여 외로움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삶의 변화로까지도 견인하기를 기대하며 VR문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진행한 실험 결과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VR문학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에서는 먼저 외로움 문제와 관련한 문학작품, 즉 서사를 선정하고, 선정된 서사를 VR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본고에서는 수집된 외로움 관련 설화 중 <딸네집 가다 죽어 된 할미꽃>을 중심으로 실험 결과와 사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설화를 바탕으로 문학치료학의 서사의 다기성 개념을 활용하여 문제의 서사와 문제로부터 벗어나는 개선서사를 각각 배치하여, 이를 바탕으로 VR콘텐츠를 제작하였다. 둘째, VR로 구현된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외로움 경향이 있는 이용자들에게 유의미한 효과를 줄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총 30명의 실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참가자의 사후 외로움 수준은 사전 수준에 비해 근소하지만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종합할 때 VR 문학치료 프로그램은 주요 부정적 심리적 문제의 완화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blem of dysfunctional loneliness and under the long-term goal of preparing a digital intervention-based therapeutic system to solve this problem, the material of 'literature' is implemented with 'VR' technology to increase awareness of loneliness. Expecting to lead to change and life change, we are focusing on developing a VR literature therapy program and analyzing the results of experiments conducte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joint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a VR literature therapy program, a literary work related to the loneliness problem, that is, a narrative, was first selected, and the selected narrative was produced so that it could be implemented in VR. In this paper, among the collected loneliness-related tales, we tried to analyze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cases, focusing on “Daughter's House or dead Grandmother's”. In particular, based on this tale, VR contents were produced by arranging the narrative of the problem and the narrative of improvement to escape from the problem by utilizing the concept of multi-dimensionality of narrative in literary therapy. Second,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a literature therapy program implemented in VR coul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users with a tendency to lonelin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experiment of a total of 30 participants,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loneliness after the participants decreased slightly but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level before. Taking these studies together, it can be seen that the VR literature therapy program is somewhat effective in alleviating major negative psychological problems that affect media addiction.

      • KCI등재

        설화그림카드를 활용한 청년 대상 자기성장 집단문학치료프로그램 실행연구

        엄희수,양윤정,조은상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2 고전문학과 교육 Vol.51 No.-

        이 연구는 설화그림카드를 활용하여 성인초기 청년을 대상으로 한 자기성장 집단문학치료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에 프로그램을 반복 실행하고 그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수정 보완점 및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연구자들은 집단문학치료프로그램에서 설화그림카드를 활용하는 방법의 개선점과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2020년에 1차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실행과정을 분석하여 총 4가지의 수정 보완점을 발견하였다. ‘독립 이후의 삶을 상상하는 서사의 필요성’, ‘회기 수 증가’, ‘서사적 특성을 발견하도록 하는 참여자 간의 상호작용 촉진’, ‘적극적 상상을 촉진할 수 있는 설화그림카드 활용법의 필요성’이 그것이다. 그 후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2022년 2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설화 <내 복에 산다>를 통해 독립 이후의 삶을 시뮬레이션 해봄’, ‘성장한 서사를 구성하여 성장의 방향성과 방법을 모색함’, ‘집단원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서사를 더 발전시킴’, ‘설화그림카드가 감정적 반응을 이끌어내는 데 효과적임’이라는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청년대상 자기성장 집단문학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과정에서 설화그림카드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학교폭력 가해경험 중학생의 학교적응을 위한 문학치료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장신영 ( Jang¸ Shin-young ),유지혜 ( Yu¸ Ji-hye ),김재은 ( Kim¸ Jae-eun ),조은상 ( Cho¸ Eun-sa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1 문학치료연구 Vol.61 No.-

        이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경험 중학생의 학교적응을 돕는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먼저, 학교폭력 가해경험 중학생들을 현장에서 만나고 있는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그 분석 결과를 프로그램의 구성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대상자의 특성 이해에 기반한 프로그램 구성 원리를 검토하였다. 지금껏 이들에게는 가해 행동이 어떠한 심리ㆍ정서적 원인에서 비롯된 것인지를 이해하려는 과정 없이 징벌적 조치부터 가해졌다. 이들이 세상에 대한 분노를 약한 대상에게 왜곡된 방식으로 표출하고 있음을 살펴보지 않은 채, 문제행동의 교정과 계도에만 초점을 맞추어 온 것이다. 이점에 주목하여, 이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문학치료 프로그램에서는 이들의 화난 마음과 감정을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다루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상자들이 공감 및 동일시할 수 있는 인물의 서사를 통해 보다 쉽게 자기를 표현할 수 있는 문학작품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가해경험 중학생들의 행동 특성이 잘 드러나는 인물이 등장하는 설화 <꾀쟁이 하인>을 프로그램에 활용할 문학작품으로 선정하였다.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들을 중심으로 설화의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대상자들이 공감 및 동일시하며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에 용이한 텍스트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인물에 대한 공감과 웃음의 기능을 살펴봄으로써, 구체적인 문학치료 프로그램 구성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설화 <꾀쟁이 하인>을 활용하여 학교폭력 가해경험 중학생의 학교적응을 위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행하고, 그 효과를 살필 것이다. This fundamental research aims to develop literary therapy program to help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school violence adjust to school life. First,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diverse experts who meet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site of the violence. The data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reflected in the program configuration. The program configuration was then review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arget group’s characteristics. Findings indicate that disciplinary actions were taken against the perpetrators, without understanding what caused such aggressive behaviors emotionally and psychologically. Without much effort in attempting to understand the anger that caused them to act in such distorted ways, the program focused on correcting their problematic behaviors. Thus, the perpetrator’s anger and emotions were treated first. To this end, appropriate literary works were applied that may enable them to express themselves more easily by reading about figures who seem identical to the targets. In this study, the folk story of the < Wily Servant >, who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resorted to violence at school, was selected in the program. The contents of the folk story were analyzed, focusing on sub-factors of self-control. They were considered good texts to express one’s emotions like that of the target subject. Considering the function of smile and sympathy of the targets, the specific literary therapy program configuration was discussed. Using the folk story of the < Wily Servant >, future research will develop a literary therapy program for the students to adjust to school and its effectiveness will get discussed.

      • KCI등재

        뇌파측정을 통한 완벽주의 개선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황혜진,김정애,박주은,유제욱,인규진,남윤주 한국문학치료학회 2019 문학치료연구 Vol.50 No.-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literary therapy program for improving perfectionism has an effect on reducing the anxiety of mistake related to the perfectionism in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We employed 10 participants and divided into two groups, participants in an experimental group joined the literary therapy program for the improving perfectionism and the others in a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writing activity about korean folktale. To gain the evidence on the treatment effect in the neurophysiological level, we recorded the brain response(EEG) during the flanker task inducing the several mistakes, and compared the amplitude of ERN(error-related negativity) and Pe (error-related positivity) components elicited in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of both group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behavioral response, only the improvement of accuracy was revealed in the control group, while the accuracy and response time were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s suggests that the literary therapy program not only improved the epic of the self cognitively but also changed the behavior. Second, we observed that the amplitude of ERN reduced clearl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s means that the ERN responding to the anxiety and emotional conflicts to the mistakes is reduced. Third, although the Pe in the control group increased slight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Pe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s implies that the pressure and tension on the mistake control did not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is might be attributed to the literary therapy program. However, this analysis cannot be generalized yet because of the small statistical power. Fourth, Since among the EEG data from 10 participants, only six (three per each group) were used for the analysis,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is as the meaningful and generalized results. However, in the field of literary therapy, one small change could regard to be meaningful. Therefore, this experimental result can be considered as remarkable and crucial in discussing the effectiveness of literary therapy. To get the precise evidence on the effectiveness of literary therapy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o conduct the experiment employing enough participants. 이 논문은 완벽주의 완화를 위한 문학치료 활동에 참여한 실험군과, 설화를 분석하고 글을 쓰게 한 대조군을 나누어 활동 전과 후에 따른 뇌파 활동값을 측정 실험한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행동반응의 결과, 대조군에서는 정확도 향상만 확인된 반면 실험군에서는 정확도 향상과 함께 정답반응 시간이 단축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완벽주의 자기서사가 인지적으로만 개선된 것이 아니라 행동의 변화로까지 이어졌음을 말해준다. 둘째, 대조군의 ERN은 크게 변하지 않은 데 비해 실험군에서 ERN 크기 감소가 확연히 관측되었다. 실수에 대한 불안과 감정적 갈등을 반영하는 ERN의 활동값이 줄어들었다는 것은 실수에 대한 부정적 감정인 불안, 자책, 두려움 역시 줄어들었음을 의미한다. 셋째, 대조군의 Pe값은 다소 증가하였던 데 비해 실험군의 Pe값은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군의 Pe값이 거의 변화가 없었다는 것은 문학치료 프로그램 참여 후 실수 통제에 대한 압박과 긴장감이 증가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기술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 해석을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넷째, 실험참여자 10명 중, 뇌파 반응 관측 자료는 각각 3명씩 총 6명의 자료만이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ERP 연구의 의미있는 결과를 확보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다만, 문학치료 분야에서는 한 명의 변화도 의미 있는 것으로 취급될 수 있다는 점에서 문학치료의 효과성을 논하는 데 있어 주목할 만한 점이라 판단되고, 향후 문학치료 효과에 대한 정밀한 결과 도출을 위해 보다 많은 참여자에 대한 실험이 요구된다.

      • KCI등재

        가족 내 세대갈등을 경험한 신중년(新中年) 남성에 대한 문학치료 사례 연구

        박성미,김혜미 한국문학치료학회 2023 문학치료연구 Vol.67 No.-

        This study aims to reduce the generational conflict of the sandwich generation and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aged men using a literature therapy program that promotes generational empathy. Based on the narrative theory of literary therapy, <Step 1: Selecting a folktale> ➡ <Step 2: Program design> ➡ <Step 3: Program progress> ➡ <Step 4: Program analysis and evaluation>, Steps 1 and 2 were conducted earlier, which has already been published as a thesis. This study corresponds to Steps 3 and 4. At the end of the program, we tempt to cla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the significance of literary therapy through “Pinocchio”, who was one of the participants. Chapter 2 defines generational conflict and generational sympathy in literary therapy. Chapter 3 examines the narrative responses for “Pinocchio”. Chapter 4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evaluates the program based on the changing aspects of “Pinocchio's” self-narrative through the creation of a fictional story. At the end of the program, “Pinocchio” demonstrated three transformations. First, he reached an old age where he was no longer anxious even if he was not with his children, and not frightened children who were not filial. Second, instead of feeling sorry for the wife who is not filial to her parents-in-law, she no longer places the subject of filial piety on others, therefore she has more room in her heart to feel grateful for trivial things. Third, instead of considering himself as a victim, he depicts himself attemping to begin a new life. Although it was a short session, “Pinocchio” had time to reflect on his family and understand them better. Further, it is possible to use it for other social problems through the literature therapy program. 본 연구의 목표는 샌드위치세대의 세대갈등을 낮추고 세대공감을 증진하는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신중년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있다.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을 바탕으로 <1단계: 설화 선정> ➡ <2단계: 프로그램 설계> ➡ <3단계: 프로그램 진행> ➡ <4단계: 프로그램 분석과 평가>로 진행하였고, 1, 2단계는 이미 논문으로 발표된바 있다. 본고는 3, 4단계에 해당되며 프로그램 진행 후 참여자 중 한 사람이었던 ‘피노키오’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문학치료의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2장에서는 문학치료학에서의 세대갈등과 세대공감을 정의하고 3장에서는 피노키오의 서사적 반응을 통해 자기서사가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이어 4장에서는 허구 이야기 창작을 통해 피노키오의 자기서사 변화 양상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평가와 종합적 분석을 하였다. 피노키오는 프로그램 후 세 가지의 변화를 보였는데, 첫째 효도하지 않는 자녀들이 무섭고 공포스러운 것이 아니라 자녀들과 함께 하지 않아도 더 이상 불안하지 않는 노년을 맞이하게 되었다. 둘째, 시부모에게 불효하는 아내에게 섭섭해 하기보다 효의 주체를 더 이상 타인에게 두지 않아 사소한 것에 고마움을 느끼는 마음의 여유가 생겼다. 셋째, 자신을 피해자로 두기보다 새로운 삶을 위해 스스로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짧은 회기였지만 피노키오는 가족을 돌아보고 더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고, 앞으로의 삶을 요정과 제페토의 구원이 아니라 스스로 주인이 되는 삶을 살고자 하였다. 추가로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또 다른 사회문제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미디어 과몰입 개선을 위한 구비설화의 VR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

        김정애,정지현,정의준 한국문학교육학회 2023 문학교육학 Vol.- No.79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blem of media addiction and aims to prepare a digital intervention-based therapeutic system to solve this problem. Expecting to lead to a change in perception of and even a change in life, the focus was on exploring the VR content production process for the VR literature therapy program and how to use it for literature therapy. In order to develop a VR literature therapy program, the process of first selecting literary works related to the problem of media addiction, that is, narrative content related to media addiction, and producing the selected narrative to be realized in VR. Therefore,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confirming narratives was conducted focusing on self-control factors that have been proven to correlate with media addiction. And based on this tale, the narrative of the problem and the narrative of improvement that escapes from the problem were arranged by utilizing the concept of narrative multiplicity in literary therapy, and based on this, a scenario for VR content was produced. Matters to be considered when implementing folktales as VR contents are, first, processing the three stories of self-control narratives so that users can recognize that they all reach different endings in the same problem situation. Second, self-control narratives are hierarchical and linear because they are composed of steps from problem to solution. Third, the user is a character in VR and participates in the story from a first-person point of view, so by experiencing immersion and a sense of presence, he can reveal an acted response to the conflict situation of self-control. Fourth, by experiencing all the self-control narratives in the order preferred by the user, the hierarchy of narratives can be viewed by comparing and experiencing each narrative. According to the above contents, VR contents will be used in the literature therapy program. This VR literature therapy program can increase the participants’ response and self-report opportunities while minimizing the counselor’s transfer problem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increase the possibility of empathy and broaden the horizon of users’ perception of the narrative. In the future, we will analyz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o see what kind of changes VR behavioral experiences accompanied by counseling can actually cause to users, and reveal the effectiveness of VR contents in driving literature therapy programs. 본 연구는 미디어 과몰입의 문제에 초점을 두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개입 기반의 치료적 체계를 예비하고자 하는 장기적인 목표 아래, VR문학치료프로그램을 위한 VR콘텐츠 제작 과정과 이에 대한 문학치료적 활용 방안을 탐색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VR콘텐츠 제작을 위해서 먼저 미디어 과몰입 문제와 관련한 문학작품, 즉 미디어 과몰입 관련 서사 콘텐츠를 선정하고, 선정된 서사를 VR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이에 미디어 과몰입과 상관관계가 입증된 자기통제요인에 초점을 두고 서사를 수집하고 확정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는 자기통제 요인과 관련한 설화로 <나랏돈 나오는 그림>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문학치료학의 서사의 다기성 개념을 활용하여 문제의 서사와 그 문제로부터 벗어나도록 돕는 개선서사까지 설정 및 배치하고, 이를 바탕으로 VR콘텐츠를 위한 시나리오를 제작하였다. 설화를 VR콘텐츠로 구현할 때 고려할 사항으로는 첫째, 자기통제서사 세 이야기를 가공하여 이용자의 모두 동일한 문제 상황에서 각각 다른 결말에 도달하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둘째, 자기통제서사는 각각 문제에서 해결에 이르는 단계로 구성된 것이기에 위계적이고 선형적이나, 이용자의VR 경험은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결정되기에 불확실하고 비선형적이라는 것이다. 셋째, 이용자는 VR 속 인물이자 1인칭의 시점으로 이야기에 참여하기에 몰입도와 현존감을 체험함으로써 자기통제의 갈등 상황에 대해 행동화된 반응을 드러낼 수 있다. 넷째, 자기통제서사 모두를 이용자가 선호 순서에 따라 비교 경험함으로써 서사 간의 위계를 조망하게 된다. 이상의 내용에 따라 VR콘텐츠는 문학치료 프로그램에 활용될 것인바, 향후VR 문학치료 프로그램은 상담자의 전이 문제를 최소화하는 가운데 참여자의 반응과 자기보고 기회를 높일 수 있고, 이용자의 이야기에 대한 접속 및 공감 가능성을 증대시키며, 이용자의 서사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넓힐 수 있으리라고 전망된다. 다음 연구에서는 상담을 동반한 VR 행동 경험이 실제로 이용자에게 어떤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지에 대한 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VR콘텐츠가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데 어떤 효과성을 지니는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 KCI등재

        구비설화를 활용한 청소년 대상 세대 공감 문학치료 사례 연구-청소년의 ‘청년성 회복’을 중심으로-

        김혜미 한국구비문학회 2019 口碑文學硏究 Vol.0 No.55

        In this paper, a literarytherapy program was proposed to alleviate generational conflict. In order to do so, we discussed the literary therapy scene. The confront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as confirmed through folktales. A movie creation program through folktales was conducted and, thereafter, the case was reported. In Chapter 2, a generation-wide literarytherapy using folktales was designed. There are three aspects of folktale. First, when the laws of the parents' generation and the laws of the children's generation collide, the laws of the parents' generation are adhered to and the laws of the children's generation are frustrated. Second, when the laws of the parents’ generation and the laws of the children’s generation collide, the law of the parents’ generation is generally adhered to, but the laws of the children’s generation is likewise observed. Third, when the laws of the parents’ generation and the laws of the children’s generation collide, the laws of the parents’ generation changes and the laws of the children’s generation are followed. The generation empathy literary therapy program consists of four steps. Chapter 3 reported cases of generation empathy literarytherapy using folktales. The final work, created by teenagers, showed courage to communicate with their parents through a revelation of their beliefs thereby avoiding conflict. The correction of the work appeared to give adults an active understanding of themselves. The work showed a type of youth that did not hurt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expecting a change in their parents' generation. The final work is meaningful because it is a way to strengthen positive beliefs about the possibility of change. 본고에서는 각기 다른 사회 계층과 개인, 그리고 집단 사이에 침투하여 널리 퍼져있는 세대 간 갈등 문제의 심각성을 포착한 바, 세대 갈등을 완화할 수 있는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그 현장에 대해 논의하였다. 여기에서는 한국 구비설화를 활용하여 부모 세대와 자녀 세대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녀 세대가 주체적으로 세대 갈등의 문제를 해결해 나아가는 작품을 중심으로 ‘영화창작 프로그램’의 기획과 사례를 보고하였다. 2장에서는 설화를 활용한 세대 공감 문학치료 설계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세대 갈등을 세대 공감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게 하는 설화를 세 가지 양상으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 부모 세대의 법칙과 자녀 세대의 법칙이 충돌하였을 때, 부모 세대의 법칙이 고수되고 자녀 세대의 법칙은 좌절되는 경우이다. 두 번째, 부모 세대의 법칙과 자녀 세대의 법칙이 충돌하였을 때, 부모 세대의 법칙이 고수되었지만 자녀 세대의 법칙도 지켜지는 경우이다. 세 번째, 부모 세대의 법칙과 자녀 세대의 법칙이 충돌하였을 때, 부모 세대의 법칙이 변화하고 자녀 세대의 법칙이 지켜지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기준으로 선정하여 프로그램에 활용한 설화는 <가뭄에 비 내리고 벌 받은 용자>, <스승에겐 벗 제자에겐 범>, <상놈 시아버지 양반 만든 정승 딸>, <돌노적 쌀노적>, <염라대왕이 된 아버지와 왕이 된 막내아들>, <내 복에 산다>이다. 세 가지 경우의 수에 따라 탐색된 설화를 바탕으로 세대 공감 문학치료 프로그램은 ①구연 및 읽기를 통한 작품 감상 단계, ②토론을 통하여 작품을 소화하는 단계, ③시나리오 창작 및 촬영을 하는 단계, ④최종 영화를 상영하는 단계인 4단계로 설계되었다. 3장에서는 설화를 활용한 세대 공감 문학치료 사례를 보고하였다. 1차 창작물에 비하여 최종 작품은 갈등을 회피하지 않고, 자신의 소신을 밝히며 부모 세대와 소통하려는 용기를 보인 내용으로 작품을 창작했다. 작품의 수정 내용은 어른들의 법칙에 억압된 상태에서 자신의 뜻을 소신 있게 밝히는 데에까지 서사를 발전시켜 어른들에게 ‘나를 적극적으로 이해시키는 과정’이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부모 세대의 변화를 기대하면서도 부모와의 관계를 해치지 않을 수 있는 ‘서로의 청년성’에 대한 기대를 보여준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 작품은 변화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신념을 강화하는 방향의 이야기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

      • KCI등재

        양육미혼모의 자녀 양육 자신감 향상과 양육태도 개선을 위한 문학치료 사례연구

        정영미 ( Jung Young-mi ),김혜미 ( Kim Hye-mi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1 문학치료연구 Vol.59 No.-

        본 연구는 출산 후 양육을 선택하여 자활을 준비하는 기관에서 생활하고 있는 미혼모들이 자녀 양육과정에서 혼자 아이를 양육하는 것의 어려움과 새로운 사람이 생겼을 경우에 자녀양육에 대한 의지가 중요하다는 것에 관심을 두었다. 사례자 A는 아이의 실수에 지나치게 예민하고 폭력적인 양육태도를 보이고 있는 양육미혼모로, 그녀가 가진 자기서사를 바탕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설화를 선정하였는데, 아버지 없이 혼자서도 성공적인 양육이 가능하며, 자녀양육을 통하여 신성을 획득함으로써 양육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신화 <당금애기>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자녀의 친아버지가 아닌 새로운 이성과 함께 자녀를 양육할 수도 있으며, 그 과정에서 친아버지를 찾고자 하는 자녀의 요구에 대처하는 설화도 제공되어야 한다고 보아 <첫날 밤에 아이 낳은 신부>를 선정하여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진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설계는 혹시나 모를 위험에 대비하여 한림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로부터 연구 승인(HIRB-2020-004)을 받은 후에 진행하였다. 총 9회기로 진행하였으며, 신화 <당금애기>는 2회기, 설화 <첫날밤에 아이 낳은 신부>는 6회기에 걸쳐 진행하였는데, 프로그램을 통하여 양육의지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 번째로 버려짐에 대한 두려움이 양육을 선택하는 힘이 되었지만 아이를 버릴 수도 있다는 두려움도 있었음을 인정하게 되었다. 두 번째는 혼자 아이를 키우는 것의 부담감으로 회피적인 태도를 보였던 것에서 적극적으로 아이를 지원해줄 수 있는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찾게 된 것이다. 세 번째는 새로운 남자를 만나서 양육을 함께 하고 싶어 했던 의존성에서 벗어나 자신의 성장을 통해 아이를 건강하게 키울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양육미혼모의 양육에 대한 의지와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기회를 마련한 것은 고무적인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양육미혼모에 대한 연구가 아직은 부족한 상황에서 앞으로 보다 많은 사례를 통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 폭넓게 문학치료가 활용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was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unmarried mothers living in institutions/organizations that prepare them for self-support by choosing parenting after childbirth have difficulty raising their children without their fathers, and that the willingness to raise a child is important when a new partner comes into the picture. Case A was that of an unmarried mother who was too sensitive to the child's mistakes and showed a violent parenting attitude. She selected a story that could be used for literary therapy based on how she perceives her epic of self. She needed to believe that it is possible to raise a child successfully without a father. The “Danggeumaegi” myth was selected to show the importance of nurturing and how to attain divinity through it. Another literary therapy program was designed and used, based on the story “A Child Born in Wedding Night,” because it is possible to raise a child with a new partner other than the child's father. The design of this program was conducted after receiving approval for research (HIRB-2020-004) from the Bioethics Committee of Hallym University in preparation for any risk that may be unknown. Nine sessions were held. The “Danggeumaegi” covered two sessions, and “A Child Born in Wedding Night” covered six. The willingness of mothers to raise their children was improved through the program. First, the fear of abandonment became a factor in the mother’s choice of parenting, but the mother also admitted that there can be a fear of abandoning the child. Second, the mother showed an evasive attitude due to the burden of raising a child alone; however, she was able to embrace her role as a mother who could actively support her child through this literary therapy. Third, the mother was freed from her dependence on a new partner for the upbringing of her children and could finally believe that her own growth could help in raising a healthy chil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reflecting deeply on her role as a mother improved her confidence and willingness to parent.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self-narrative of unmarried mothers through a literary therapy program that used myth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is program provided an opportunity to encourage and promote the psychological stability of unmarried mothers and to improve their will and confidence in parenting. It remains to be verified whether the program can be widely used to examine the issues and dynamics regarding unmarried mothers based on one case. Research on unmarried mothers is limited, and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can be improved through more cases in the future. I hope that there will be an opportunity to verify and utilize literary therapy wid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