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0년대 후반의 ‘시와 정치’ 논쟁과 근대적 문학 관념의 아포리아

        이상옥 ( Lee Sang-ok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7 어문론총 Vol.74 No.-

        이 글은 근대적 문학 관념의 아포리아라는 관점으로 2000년대 후반의 ‘시와 정치’ 논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008년 『창작과비평』 겨울호에 발표된 진은영의 글 「감각적인 것의 분배」로부터 시작된, 최근의 ‘시와 정치’논쟁은 ‘문학과 정치’ 혹은 ‘문학의 정치성’이라는 근대문학의 본질에 관한 논의라는 점, 특히 현실 정치와의 긴장성을 상실한 채 자족적 세계에 갇힌 한국문학의 현실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건이라는 점에서 중요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 진은영, 이장욱, 서동욱, 김형중, 강동호, 조연정, 백낙청, 함돈균, 강계숙, 신형철, 김수이, 심보선 등을 비롯한 다수의 시인, 평론가들이 참여한 이 논쟁은 생산적인 성과를 도출하지 못하고 소멸하고 말았는데, 그 이유는 본질적으로 미적 자율성을 중핵으로 하는 근대문학 패러다임에 대한 문제제기가 되지 못했고, 현실적으로 현재의 한국문학에 대한 반성적 담론으로 확장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2000년대 후반의 ‘시와 정치’ 논쟁은 문학과 정치의 양립불가능성, 즉 근대적 문학 관념의 아포리아를 재확인하는 수준에서 사실상 마무리되고 말았다. 이를 통해 우리는 미적 자율성이라는 근대문학 패러다임을 심문하지 않고는 ‘문학과 정치’라는 논점을 제대로 다룰 수 없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가 진정물어야 했던 것은 문학의 정치성에 관한 ‘미학주의적 답변’이 아니라 문학과 정치의 적대성(혹은 긴장성)이라는 근대문학의 본질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임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나는 이 연구의 내용이 우리 시대의 취향과는 거리가 멀지만 우리 시대의 필요와는 멀지 않다는 것, 그리고 현실에서 정치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미적인 길을 선택해야 한다는 것을 당신이 확신할 수 있길 바랍니다. 자유에 이르는 길은 바로 아름다움을 통해서만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프리드리히 실러,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편지』 하여간 정치와 문학을 그 경중을 측정하기 위하야 동시에 동일한 천칭에 올려놓을 성질의 것이 못되는 것은 정치도 문학도 같이 이것을 확인할 것이다. -이상, 「문학과 정치」 This essay aims to discuss the poetry and politics debate in the late 2000s from the viewpoint of aporia of modern literary ideas. The recent debate on poetry and politics needs to be examined seriously in terms of debates on the essence of modern literature. It is especially noteworthy as it shows the reality of Korean literature, which is trapped in a self-sufficient world while losing hostility (or tension) with politics. However, this debate, in which many poets and critics participated, ceased without yielding meaningful results due to several reasons. First, it did not raise questions about the modern literary paradigm, which is essentially aesthetic autonomy. Second, it did not expand into the reflective discourse on current Korean literature. The poetry and politics debate in the late 2000s was in fact concluded at the level of reaffirming the aporia of modern literary notions. Through this, we can see that the discussion of “poetry and politics” is idle without a fundamental question about the paradigm of aesthetic autonomy. In order to deal with the issue of “poetry and politics” or “poetry politics,” it is necessary to remember that it is a fundamental reflection on the nature of modern literature as aesthetic autonomy.

      • KCI등재

        김수영 시의 문학 정치에 대한 고찰

        양진영 ( Yang Jin-young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1 No.-

        본고의 연구 목적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김수영 시의 정치성 연구를 통해 국내에 도입돼 문학의 정치성 파악에 적용되고 있는 자크 랑시에르(Jacques Rancière)의 문학 정치 개념의 전개 과정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둘째는 김수영 시에서 문학 정치가 구현되는 두 가지 전제 조건 - ‘몫 없는 이들’을 서술주체나 대상으로 할 것, 말과 사물의 과잉을 통해 민주주의적 문학성을 드러낼 것-을 구명함으로써 문학 정치 개념을 문학에 적용하는데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랑시에르의 문학 정치 개념이 한국 문학 연구에 본격적으로 도입된 계기는 2008년에 발표된 진은영의 논문이다. 그는 이 글에서 김수영 시에서 랑시에르적 문학 정치가 구현되는 조건으로 언표를 통해 드러난 기존 질서와의 불화(disagreement) 또는 불일치(dissensus)를 제시했고, 지금까지 여러 연구자들이 진은영의 방식을 전유해 특정 작가나 작품의 정치성을 파악하는 논문을 써 왔다. 그런데 랑시에르에 따르면 그의 문학 정치는 ‘말 자체의 사용의 문제’가 아니라 ‘세계에 개입하는 방식의 문제’이기 때문에 텍스트에 표명된 언어를 통해 구현될 수 없다. 이런 점에 주목해 서론에서는 먼저 진은영의 글을 둘러싼 그동안의 논쟁을 살펴보고, 이어 Ⅱ장에서는 본고의 관점에서 김수영 시에 드러난 문학 정치 양상을 고찰한다. 이런 연구에 바탕해 문학 정치가 구현되는데 필요한 두 가지 전제 조건을 제시하고, Ⅲ장에서는 이 조건에 기반해 지금까지 랑시에르 문학 정치로 작품의 정치성을 파악해 온 논문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There are two main purposes of this article. First of all, it is aim to critically examine developing process of the concept of politics of literature by Jacques Rancière which has been introduced in Korea through the study of the politics of Kim Soo-young's poem and used to study the politics of literature. The second is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applying the concept of politics of literature to literature by finding out the two prerequisites for the politics of literature - to use 'those who do not have a share' as the narrative subject or object & to demonstrate democratic literary character through the excesses of words and objects- in Kim Soo-young's poem. Ranciere's concept of politics of literature was introduced in earnest into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on the Jin Eun-young's thesis which was published in 2008. In this article, he suggested 'disagreement' or 'dissensus' with the existing order that was revealed through the statement as a condition for the realization of Ranciere's politics of literature in Kim Soo-young's poem, and until now, a lot of researchers have been writing thesis to understand the politics of specific authors or works by appropriating Jin Eun-young's method. However, according to Ranciere, his politics of literature cannot be embodied through the language expressed in the text because it is not 'a matter of the use of the words themselves' but 'a matter of the way they intervene in the world'. With this in mind, the introduction first examines the debate surrounding Jin Eun-young's works, and then in Chapter II, this article aim to examine the aspect of politics of literature which are revealed in Kim Soo-young's poems from the perspective of this paper. Based on this study, two prerequisites for the realization of literary politics are presented, and in Chapter III, based on these conditions, the papers that have been grasping the politics of works through Ranciere's politics of literature are critically examined.

      • KCI등재

        한국 근대문학 연구에서 랑시에르의 `문학 정치` 개념 적용에 관한 일고찰

        김미지(Kim, Mi-ji) 한국근대문학회 201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9 No.1

        프랑스의 철학자 자크 랑시에르의 저작들이 한국 사회에 본격적으로 소개되기 시작한 지 10여 년, 한국에서는 특히 문학의 영역에서 랑시에르의 사유와 개념들이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문학과 정치, 문학적 미적 실천에 대한 새로운 사유를 열어 보인 것으로 받아들여진 랑시에르의 논의는 한국 근대문학 연구의 장에도 새로운 읽기 패러다임이라고 부를 수 있을 법한 하나의 흐름을 만들고 있다. 이 글은 랑시에르의 입론, 개념, 사유를 적극적으로 문학 연구 특히 텍스트 연구에 활용하고 있는 논문들을 검토하여, 랑시에르가 한국문학 연구에서 적용되고 전유되고 있는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랑시에르가 문학을 정치의 이름으로 호명한 것은 흔히 이해하듯 문학의 이념성, 정치참여의 문제 또는 미적 자율성 자체가 담보하는 정치성 등과는 거리가 멀다. 랑시에르는 말과 목소리와 단어들의 신체 배분, 가시적이고 감각적인 것들이 분배되는 사이에 발생하는 불일치와 불화, 치안의 정치가 부여한 주체화에 대항하는 탈정체화 등을 정치로 명명하고 이에 문학이 개입하는 방식을 문학의 정치로 보았다. 한국 근대문학의 여러 작가들과 작품들 특히 정치와 비정치, 순수와 참여라는 이항대립 패러다임의 한 부분에 귀속되었던 작품들이 랑시에르의 정치 개념을 통해 새로이 정치의 이름을 부여받은 것이 한국문학 연구에서 랑시에르가 전유되어 온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랑시에르의 아이디어는 작가론이나 작품론 속에서 텍스트 분석의 도구 또는 해석의 방법론으로 받아들여져서는 곤란하다. 텍스트, 작가적 실천, 독자의 전유 방식, 쓰기와 읽기의 체제, 치안의 질서 등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좀 더 첨예한 감각적인 것들의 나눔의 현장을 포착하고 이 속에서 문학의 민주주의 그리고 감각의 공동체가 어떻게 수행되고 실천될 수 있는지에 대한 성찰이 요구된다. It is the late 2000’s when works of Jacques Ranciere were introduced and translated first in Korea. And for about 10 years, the French philosopher pushed for discussions in the field of literature, aesthetics and criticism. Especially it was literary field that appreciated Ranciere’s terms, ideas and perspectives. His idea of ‘politics of literature’ is distant from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engagement of literature/writers in the field of politics, or aesthetic autonomy. In the politics of literature the heart of the idea is configuration of words, voices and bodies, dissensus in ‘distribution(partage) of the sensible’, de-subjectification against the subjectification in "order of police" etc. Ranciere’s theories on politics and democracy(democratia), and ideas on ‘politics of literature’, inspired many Korean scholars to investigate Korean modern literary texts with his ideas and in his manners as he read Madame Bovary. It could be said that a sort of ‘reading paradigm’, that is to say a trend of ‘reading like Ranciere’ has been formed in a sense. There are over ten thesis of that kind of studies, they put the title of ‘politics’ to the diverse Korean modern literary texts from 1920’s to the present. On one hand, works which had been given non-political position in the past got to take ‘sense of politics’. On the other hand works which had been categorized as political texts in the sense of past political/nonpolitical framework were illuminated in different ways and terms, earned new name of ‘political’. It is true that the idea of Ranciere has performed important role in the reflection on traditional reading paradigm. Nevertheless it is much more needed to reflect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s, literary practices, appropriation of readers and order of police etc.

      • KCI등재

        세계문학, 한국문학, '정치소설'의 번역(불)가능성 ‒임화의 『개설신문학사』를 중심으로‒

        윤영실(Youn, Young-shil) 한국현대문학회 202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60

        임화의 『개설신문학사』는 ‘과도기의 신문학’을 논하면서 대한제국기 일련의 ‘정치적’ 서사들을 ‘정치소설’로 명명하고, 이를 이인직 등의 ‘신소설’과 병존하던 과도기적 양식으로 설정했다. 임화는 왜 이 시점에서 ‘정치소설’을 한국 ‘신문학 사’의 한 단락으로 새삼 부각시키고 있는 것일까. 나아가 ‘정치소설’이 ‘신소설’의 한 경향 정도를 일컫는 용어였던 일본이나 중국과는 달리, 왜 조선에서는 유독 ‘정치소설’과 ‘신소설’이 병립하고 ‘경쟁’하는 서사들로 자리매김되었을까. 더욱이 메이지 일본 정치소설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음이 분명한 이인직 소설 들을 굳이 ‘정치소설’에서 배제하여 ‘신소설’로 분류한 것은 어떤 의미를 지닐까. 본고는 이런 질문들에 답하기 위해 다음의 순서로 논의를 진행했다. 먼저 2장에서는 한국문학사에서 ‘정치소설’이라는 개념의 용법들을 검토하면서 그 부재 내지 ‘결여’의 현상을 실증적으로 규명했다. 3장에서는 임화 『개설신문학사』의 논리 구조를 파스칼 카사노바 이래의 세계문학 논쟁들에 비추어 재해석해 보았다. 특히 ‘과도기’에 주목하여 전근대/근대 문학사의 연속성을 복원하고자 했던 임화의 탈식민적 문제의식에 대한 긍정적 재평가와 함께 진화론적 문학사의 한계를 아울러 지적했다. 4장에서는 임화의 『개설신문학사』에 나온 ‘정치소설’ 과 ‘신소설’의 양식적 구분을 재검토하면서, 제국일본의 동화정책과 국체론적 국민문학론이 성행하던 당시 한국의 ‘독립자주’ 정신을 담고 있는 ‘정치소설’의 명명과 부각이 지닌 의미를 고찰했다. 선진문화의 주체적 수용과 전통의 창조적 계승을 통해 조선문학의 정체성을 재확립하고자 했던 임화의 문제의식은 서구 중심적 세계문학론 및 식민지 근대를 극복하기 위한 오늘날의 모색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essays analyzes Hwa Im’s History of Korean New Literature, focusing on the distinction between ‘new novel’ and ‘political novel’ in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premodern era to the modern era. Compared to Meiji Japan and Qing China, Korean literature in the 1900s marked lack or ‘invisibility’ of ‘political novel’ as a genre despite a lot of ‘political’ narratives of the time. Hwa Im’s literary history which posited ‘political novel’ as a genre which is distinctive from ‘new novel’, thus, is an exceptional case in the modern Korean history.(Ch.2) Im’s writing of Korean literary history can be reread in the light of the contemporary world literature debates. He, positing ‘new novel’ as a transitional genre which mediated traditional narratives(小說) and modern ‘novel’ translated from the West, tried to restore the continuity of literary history of Korea and to locate Korean literature in the context of the world literature. In order to organized the literary history as the evolutionary trajectory to the modern national literature of Korea, however, he had to exclude diverse forms of ‘political novels’ from modern ‘literature’, presumably based on formal realism, and concealed pro-Japanese politics of Injik Yi’s ‘new novels.’ (Ch.3). On the other hand, diverse narratives with autonomous spirit of the Korean nation were categorized and named as ‘political novel,’ reminding alternative political and literary possibilities of the transitional period. Hie ideal of the Korean literature was not pure authenticity of the national literature but ‘autonomous’ hybridity of traditional legacies and foreign cultures, which, he thought, could be accomplished by ‘devouring’ and ‘digesting’ advanced cultures and increasing political and cultural puissance of a periphery nation.

      • KCI등재

        정치적 상상력과 내면(內面)의 탄생 : 문학사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1930년대 후반 김남천의 문학

        이현식(Yi Hyun-shik) 한국근대문학회 2011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2 No.2

        이 글은 김남천의 1930년대 후반 문학 활동을 한국근대문학사라는 관점에서 재조명해본 것이다. 여기에서'한국근대문학사라는 관점'이라는 말은 일종의 조망점(眺望點)을 확보하자는 의미이기도 하다. 한국근대문학사 전체를 염두에 두고 과연 1930년대 후반은 문학사적으로 어떤 시기인가를 고민해 보아야 한다는 것이 이 시기의 문학사에서 우리가 주목해 보아야 할 점이다. 정치운동의 일환인 문학운동이라는 통로가 상실된 상태에서 개인들이 동시대의 현실과 대결하게 되는 국면, 이것이 1930년대 후반의 한국근대문학사의 특성을 형성하는 핵심적인 문제이다. 그런 점에서 1930년대 후반의 한국 문학은 정치적 전망이 폐쇄된 상황에서 개인이 진보적 신념을 지켜내기 위한 고투의 결과이다. 카프 시대와 달리 정치적 의제에 대한 직접적 발언이 더 이상 불가능해진 국면에서 정치의 문제를 개인의 내면으로 숙성시켰다는 점, 개인의 사유 과정을 통해 정치가 내면화되었다는 점이 이 시기 문학사를 구성하는 핵심 가운데에 하나이다. 게다가 1930년대 후반 문학의 주인공들은 그 이전 시대에 비해 이미 세상을 다 알아버린 성인들이다. 이 사회와 세계가 어떻게 가야할 것인가를 놓고 고민하는 어른들이 이 시기의 주인공들이다. 정치적 내면이 형성된 어른이 바라보는 세계가 1930년대 후반의 문학이 일궈놓은 성과이다. 1930년대 후반 김남천 비평의 핵심도 파시즘이 강화되는 정세 속에서 한국 문학이 동시대를 어떻게 헤쳐 나가려고 했는가 하는 지적 고민의 일단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그의 주체론은 한 개인이 진보성을 잃지 않고 사회와 대결하는 유력한 문학적 수단이었다. 김남천이 탐색한 주체의 문제는 문학의 사회적 가치와 역할에 대해, 정치적 내면의 형성에 대해 그 이전의 문학이 보여주지 못한 새로운 국면과 깊이를 보여준 것이었다. 다른 한편, 아쉬운 것은 김남천의 비평적 성과에 비해 소설들에서는 그것이 형상화로 나아가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김남천의 소설은 동시대 지식인의 실상을 그려내려고 했지만 그것이 지식인의 내면과 연결되는 데에까지 이르지 못했다. 소년 소설이나 대하 와 같은 성장 소설은 우수한 소설이지만 김남천이 고민했던 지식인 문제에서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소시민 지식인이 세속적 질서에 편입되는 과정을 형상화하는 면에서는 성과가 있었으나 주체론에서 보여주었던 정도로 지식인의 내면세계를 잘 드러냈다고 평가하기는 힘들다. 김남천 소설의 성과는 미완인 채로 끝맺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그것이 미완으로 끝난 것은 김남천의 능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평가할 수는 없는 일이다. 그가 소설을 쓰도록 정치적 환경과 시대가 허락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자신이 창작해야 할 소설을 두고 다른 세계로 달려갈 수밖에 없었다. This paper is to have looked into literature activity of the late 1930's of Kim, Namcheon in viewpoints of a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Viewpoints of a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is a meaning that we have a kind of timely prospect. The late 1930's shall try to study what kind of times there is in viewpoints of the moder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Japanese imperialists suppressed politically us in these times. They pulled forcibly down KAPF, and shut up writers in a prison. Writers of Korea were steeled freedom in the colony times. Oppression especially got worse in the late 1930's. Literature of these times shall understand it by effort to keep personal progressive faith. An individual not political organization could not but quarrel with political oppression. The political inner side of an individual was formed to writers in the processes. The core of these times Kim, Namcheon criticism shall understand it in that kind of viewpoints. Theory regarding the subject of Kim, Namcheon was to have gone out while quarrelling with political surroundings in his times. He confronted it through that kind of criticism with a society. His criticism was a means to keep a personal progress, and to go out. It's results were theories regarding the subject. On the other hand. his novel creation was unsuccessful relatively. He created real truth of an intellectual in those times to a novel. He failed in the inside of an intellectual in creating it to a novel. He succeeded to his creating that an intellectual transferred to worldly order. However, He could not have made the inner side of an intellectual well. He created various novels. However, it wasn't able to be finished.

      • KCI등재

        임화와 문학의 정치

        이진형(Lee, Jin?hyoung) 한국비평문학회 2012 批評文學 Vol.- No.46

        이 논문의 목적은 1930 년대 중반 이후 임화가 저술한 평론들을 대상으로, 문학과 정치에 관한 그의 사유를 재구성하고 그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정치(politique)/치안(police) 구분 위에서 문학의 정치성을 규명한 자크 랑시에르의 논의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랑시에르는 문학과 정치가 ‘감성의 분할’에 관여한다는 점에서 동질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때 감성의 분할이란 공동의 세계에 참여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분할하는 감각의 체계, 다시 말해 특정 정치체제에 몫을 갖고 참여할 수 있는 자와 그렇지 않은 자를 분할하는 감각의 체계를 의미한다. 랑시에르는 특정 정치 체제(‘일치’의 체제)의 ‘감성의 분할’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 행위를 ‘치안’ 이라고 부르고, 그 정치체제의 ‘감성의 분할’에 ‘불일치’를 유발하는 행위를 ‘정치’라고 부른다. 임화는 조선문학에서 1930 년대 후반을 ‘문단적인 문학의 시대’로 규정한다. 문학의 목적은 ‘현실 인식’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시대 작가들은 ‘문학 외적 힘’에 순응함으로써 현실에 대한 관심을 거두었다는 것이다. 이는 문학정신의 상실이자 문학 그 자체의 상실을 의미했다. 이 시대 문학은 제국주의 국가 권력이 구획한 문단/사회 경계를 수용하는 동시에, 작가가 경험하는 일상생활을 불변의 사실로서 받아들였다. 그로 인해 문단적인 문학에서는 상식이 인식론적 권위를 획득하게 된다. 이때 상식은 일상생활에서 유용한 처세술뿐만 아니라 전체주의 같은 제국주의 이데올로기까지도 포함한다. 결국 문단적인 문학에서는 상식에 의해 재생산되는 일상생활만 재현될 뿐이다. 이것은 기존 정치체제의 유지에 기여하는 문학, 정확히 말해서 제국주의 국가 권력의 ‘치안’에 기여하는 행위였다. 이 시기 임화가 추구한 것은 문학을 통해서 기존 현실(상식에 의해서 재생산되는 일상생활)과는 ‘다른’ 현실을 재현하는 일이었다. 그런데 이 일은 기존 ‘감성의 분할’에 의해서 현실로 간주되지 않은 영역을 현실로서 재현하는 행위라는 점에서 단순한 현실 반영이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새로운 현실의 ‘발명’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문학은 상식 너머에 있는 세계(현실)를 인식 해야 하고, 사회적 변화의 계기를 재현함으로써 일상생활을 불변의 것이 아니라 가변적인 것으로서 재구성해야 하는 것이다. 이때 문학은 새로운 감성의 분할을 형성함으로써 기존 정치체제의 감성의 분할에 이의를 제기하는 정치, 일치의 체제에 불일치를 유발하는 정치가 된다. 문학은 작가의 사회참여 속에서가 아니라 문학의 독자성을 유지한 채로 정치가 되는 것이다. 이제 문학과 정치, 문학의 정치와 정치의 문학은 동의어가 된다. 문학의 정치에 대한 임화의 성찰은 정치의 방향이 불분명하는 점에서 한계가 있지만, 정치적?경제적?이데올로기적 통제가 극심한 상황에서 문학이 정치성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 데 따른 결과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thought of Imhwa on literature and politics by examining the discussions after 1930s to examine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For this, the suggestions of Jacques Ranciere that defined the politics of literature are quite meaningful. Jacques Ranciere believes that the literature and politics are the same since they both participate in the “Le partage du sensible.” The “Le partage du sensible” is the system of senses that divides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political world with certain ownership and those who do not, or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mutual world and those who do not. Jacques Ranciere calls the behaviors to participate in maintenance of the specific political system (“sensus” system) and the “Le partage du sensible” as “police” and the behaviors that trigger the “dissensus” of the “le partage du sensible” as “politique”. Imhwa determines the late 1930s as the “literary literature period” in Chosun literature. The purpose of the literature is “recognition of reality” but the contemporary authors obliged to the “external powers to literature” and have eliminated the interests in reality. This is the loss of literary spirit and literature itself. The contemporary literature not only accepts the literature/society boundaries designed by the imperialistic powers but also the everyday lives of people as the unchanging facts. Therefore, the literary literature showed the common sense having the epistemological authority. At this time, the common sense not only included the “behavioral tact” but also the dominant ideologies, such as “totalism”. Therefore, the literary literature only participates in maintenance of the daily lives that are reproduced by common sense. This was a behavior that performed the “police” of the imperialistic powers by contributing to the existing political system. During this time Imhwa attempted to recreate a “different” reality from the existing reality (daily lives reproduced by the common sense) through literature. However, this is not a simple reflection of reality since it is a behavior to recreate the area that is not considered as reality by the “la partage du sensible.” This should be expressed as the “invention” of the new reality. Literature has to recognize the world beyond the common sense (reality) and by recreating the moments of the social changes, the daily lives area reproduced as something changeable. At this time, the literature creates a new “la partage du sensible” and becomes a politique that brings up disagreements to the existing political “le partage du sensible” and creates a discordance. Literature becomes a politique while maintaining “the independence of literature” without the author’s social participation. Now, the literature and politique, as well as the politics of literature and literature of politics become synonymous. The thought of Inhwa on literature may be limited in its uncertain political direction, but it was a result of seeking a method to recover the political character of literature under the situation with severe political, economic, and ideological restriction.

      • KCI등재

        1960년대 문학의 정치성을 ‘다시’ 생각한다

        김영찬 상허학회 2014 상허학보 Vol.40 No.-

        In this study, I examine the base and characteristic of political nature of literature in the 1960's. For that, I investigate critic Kim Chuyeon's conceptions of 'petit bourgeois consciousness' and 'trivialism'. According to his view, trivialism let the events and things being itself through return to things and sensibility its own weight. This politics of trivialism refuse the existing orders which had been divided things and sensibility, and then reorganize that in the new orders. In that sense, trivialism was another name for the politics of literature as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The political nature of literature in the 1960's summarized as the politics of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was a politics of de-politics which works only by separating literature from actual politics at last. And for the 4·19 generation, cynical subjective attitude work as a condition of possibility which make possible to invent the literature's own share as distinct from politics by making a break with real politics and constructing the interiority. That was a rout of founding the autonomy of literature as a form of modern liberty in the situation of underdeveloped modern in which freedoms are suppressed. Then literature in the 1960's was securing its own share by cynicism which construct isolated interiority and by a certain passive counter-identification. And we can't overlook the fact that it was related with intervention in the system of the sensible through sensibility and interiority on the other hand. The political nature of de-politics which showed literature of 4·19 generation in the 1960's was working in the overlap interaction of that two levels. 이 연구에서는 1960년대 문학이 갖는 정치성의 기반과 성격을 살핀다. 그것을 위해 우선 김주연의 ‘소시민의식’ 및 ‘트리비얼리즘’이라는 개념과 문학 인식을 경유한다. 김주연에 따르면 트리비얼리즘이란 기성의 모든 관습과 통념을 벗어나 모든 사물과 감각에 제 무게를 돌려주는 일이다. 그럼으로써 트리비얼리즘은 사건을 혹은 사물을 비로소 그것 자체로서 존재하게 한다. 이 트리비얼리즘의 정치학이란 사물과 감각을 구획했던 기존 질서를 거부하고 그 사물과 감각을 방(放)해 새로운 질서 속에 재편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트리비얼리즘이란 감성의 재분배로서 ‘문학의 정치’의 다른 이름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감성분할의 정치로 요약되는 1960년대 문학의 정치성은 탈정치를 통해서 비로소 작동하는, 즉 정치로부터 문학의 분리를 통해서만 비로소 작동하는 비정치성의 정치성이었다. 그리고 4·19세대 문학의 주체에게 냉소주의적 주체 태도는 현실 정치(혹은 자유를 위한 싸움)과 결별하고 내면성의 구축을 통해 정치와 구별되는 그러한 문학 고유의 몫을 창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조건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것은 자유가 억압된 후진 저개발 근대의 상황에서 근대적 자유의 한 형태로서 ‘문학’의 자율성을 정립하는 하나의 경로였다고 할 수 있다. 1960년대 문학은 그렇게 고립된 내면을 구성하는 한편의 냉소주의와 다른 한편의 소심(小心)과 불안이 작동시키는 소극적 반동일시를 통해 그 자신의 몫을 확보해가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이 다른 한편으로는 감수성과 내면을 통한 감성체계에 대한 개입과 연결되고 있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1960년대 4·19세대 문학이 보여주었던 비정치성의 정치성은 그 두 차원의 상호중첩 속에서 작동하고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조연현 비평에서 ‘문학’과 ‘정치’ : 일제 말기와 전후 비평을 중심으로

        고봉준(Ko Bong-jun) 한국근대문학회 201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1 No.2

        한국문학사에서 문학과 정치의 관계는 다음의 세 가지 방식으로 논의되어 왔다. 첫째, 문학이 민족적?민중적 현실의 반영이며, 따라서 문학은 현실의 문제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하고, 현실의 변화에 대한 문학의 역할이 존재한다는 입장. 둘째, 문학은 정치?종교?도덕 같은 제영역과의 거리로 정의되며, 때문에 특정한 정치적 입장이 문학을 지배할때 문학은 고유의 가치와 기능을 상실한다는 입장. 셋째, 문학은 정치로부터 분리되어 존재하되, 문학의 가치는 인간의 존재와 삶의 진실을 해명하는 데 있다는 입장. 조연현의 비평은 세 번째 입장에 속한다. 문협정통파의 대표적 비평가인 조연현의 비평관은 흔히 사상적인 측면에서는 ‘생리’와 ‘구경적인 것’을 매개로 한 근대의 초극으로, 문학적인 측면에서는 순수문학론으로서의 휴머니즘으로 요약된다. 그리고 이러한 두 측면을 떠받치고 있는 문학적 입장이 바로 ‘문학’과 ‘정치’의 거리였다. 조연현은 한편으로는 문학과 정치의 분리라는 논리를 내세워 이데올로기적인 선명성을 강조한 좌익의 공식주의 문학론과의 차별성을 확보하려 했고, 또 한편으로는 ‘생리’를 내세워 “구경적 생의 형식”을 주장하고 문학을 종교의 수준에 근접시킨 김동리와의 차별성을 획득하려 했다. 그러나 해방 이전, 즉 일제말기에 조연현은 일제 파시즘에 동조하는 입장에서 다수의 비평을 발표했는데, 흥미롭게도 그 비평들에서도 그는 문학은 ‘작품’을 중시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했으며, 이러한 입장은 해방기와 전후에도 계속 유지되었다. 한편 조연현의 비평은 중요한 개념들의 계열화를 함축하고 있다. <근대-이성절대주의/합리만능주의-논리-정치>의 계열과 <현대-파토스적 욕망/실존적 요구-생리-문학>의 계열이 그것이다. 여기에서 ‘정치’가 ‘논리’와 동일한 계열에 속하듯이, ‘문학’은 인간의 파토스적 욕망과 실존적 요구에 관계하는 ‘생리’에 속하는 것으로 설정된다. 이는 ‘인간’과 ‘생리’가 ‘문학’과 ‘정치’가 결합되는 것을 막아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점에서 ‘인간-생리-작품’은 동일하게 ‘문학’과 ‘정치’의 연관성을 순화시켜주는예술적 안전장치로 기능한다. 그런데 이러한 가치의 계열화는 몇 가지 심각한 문제를 낳는데, 첫째, ‘문학’과 ‘정치’의 분리를 텍스트의 차원에 고정시킴으로써 작가의 정치 참여나 작품의 이데올로기적 기능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는다는 점, 둘째, ‘민족’, ‘전통’, ‘휴머니즘’ 같은 근대적 가치들을 매개로 근대를 초극한다는 형용모순을 노출한다는 점, 셋째, 두 계열을 대립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생리’, ‘전통’ 같은 비논리적 대상을 현대(근대의 초극)에 위치시키게 된다는 점 등이다.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has been discussed in mainly three branches as follows. First view claims that literature reflects ethnic aspect of reality as well as views of the mass public. According to this view, literature plays certain roles in changing the reality. Second perspective gauges status of literature by its distance from other areas of politics, religions and ethics. Thus, literature risks losing unique value and functions when political interests take over. Last view sees that literature is separated from politics, and its value lies in illuminating human existence and truths of life. Cho Yeon-hyeon’s critiques followed the last position. Cho Yeon-hyeon was a representative critic of the orthodox school of the literary association. In terms of ideology, his critique can be understood as transcendence of modernity through medium of ‘physiology’ and ‘pursuit of over common fate of the mankind.’ In literary aspect, his work was grounded in humanism as part of the theory of pure literature. Literary standing that supported these two aspects can be measured by distance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On one hand, Cho made efforts to secure independent identity of his critiques, apart from communist literary theory that emphasized ideological clarity, by dividing literary and political arenas. On the other hand, Cho put forth ‘physiology’ and emphasized ‘way of living that pursues to overcome common fate of the mankind,’ in an effort to differentiate his ideas from Kim Dong-ri who brought literature closer to realm of religion. Prior to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Cho published a series of critiques that sympathized with Japanese fascism. Interestingly, in these critiques, he maintained a position to put focus on ‘literary work’ in discussing literature; such perspective sustained through period of liberation and post-war eras. Cho Yeon-hyeon’s critiques implied a discourse on categorizing important literary concepts: they included <modern-absolute reason/rationalism-logic-politics> and <contemporary-desire of pathos-existential needs-physiology-literature>. Just as ‘politics’ and ‘logic’ fall into the same category, ‘literature’ is understood as belonging to ‘physiology’ that deals with human being’s desires of pathos and existential needs. In other words, ‘human needs’ and ‘physiology’ help to prevent collusion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In this regard, ‘human-physiology-literary work’ functions as an artistic buffer that weakens links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However, this kind of categorization of values accompanies grave problems. Firstly, it fixates separation of ‘literature’ and ‘politics’ on a level of texts, neglecting to consider writers’ political activities or ideological functions of literary works. Secondly, a matter of oxymoron arises as the argument tries to overcome modernity with modern values such as ‘ethnicity’, ‘tradition’ and ‘humanism.’ Lastly, by juxtaposing the two categories as antagonistic, illogical subjects such as ‘physiology’ and ‘tradition’ are placed in realm of contemporary value, that is, transcendence of modernity.

      • KCI등재후보

        정치적 상상력과 지역문학

        남기택(Nam, Gi-taek),권석순(Kweon, Seok-soon) 한국비평문학회 2013 批評文學 Vol.- No.47

        이 글은 지역문학 연구의 일환으로서 강원영동남부지역의 문학을 대상으로 정치적 상상력이 발현되는 양상에 주목하였다. 이는 기존의 미학적 관점으로부터 벗어나 지역문학의 가치와 의미를 묻는 하나의 방법론일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문학사적 공백을 보완하고 한국문학의 총체성을 사유하려는 시도일 수 있겠다. 하지만 문학과 정치의 관계는 그 범주가 방대한 까닭에 연구자 나름의 구체적 방법론이 우선 정립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강원영동남부지역의 문학과 정치적 상관성을 구명하기 위한 기초 단계로서 대표적인 장르와 사건을 중심으로 전반적 양상을 개관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우선 해당 지역의 정서와 삶의 양태를 반영한 대표적 장르 양상으로서 최호길, 정일남 등의 해양문학과 탄광문학을 들었다. 강원영동남부의 지역과 환경적 특성을 표상하는 핵심 기제가 바로 해양과 탄광이다. 보편 서정의 형상화 양상이 주류인 이곳 지역문단 실정이 실재함에도 불구하고 해양과 탄광이 대표적인 지역문학적 장르로 거론될 수 있는 것 역시 마찬가지 맥락이다. 여기에는 지역문학이라는 범주가 텍스트의 표면적 정량으로 정의될 수 없으며, 따라서 그것은 지역적 정체성과 특수성이 반영되는 구성적 개념이라는 입장이 내포되어 있다. 다음으로 정치적 역사와 현실의 전유 양상으로서 김시래, 김익하 등을 통해 역사적 공간을 재현하거나 시대 상황을 지역적 요소로써 형상화하는 경우를 살폈다. 이러한 방식은 한국 근현대문학의 전개 과정에서 이른바 정치적 문학의 흐름을 형성했던 대표적 기제와 연동된다. 정치적 역사와 저항시 장르의 긴밀한 연관은 문학과 정치의 경계를 사유하는 데 주요 논거가 되어왔다. 강원영동남부지역 역시 다단한 역사적 사건과 현실의 모순에 문학적으로 대응해 왔고, 이는 현단계 문학과 정치의 지역문학적 관련을 증거하는 주요 논거가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the meaning of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in Southern Gangwon-Yeongdong regional literature. There has been a handful of theoretical or historical research on literature, with the focus having been on the analysis and criticism of political implication with regard to the resistance poems. This paper, while conscious of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which is innate to the Southern Gangwon-Yeongdong regional literature, brings up the discussion on the proper status of the regional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by virtue of conceptualizing the political literature, which has been neglected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ture theory. Southern Gangwon-Yeongdong regional literature faced litearary its modern surroundings. Therefore, it can be referred to as problematic objects which shared converging and diverging points in looking into and understanding the problems of the modernity reflected in literature. This paper tries to apply the political imagination in broad sense to its literary works based on the efforts to resist modernization in various lights. The literary world which emphasizes the universal lyricism is occupying a conspicuous position in Southern Gangwon-Yeongdong regional literature. There is also the trend of reflecting the regional traits. The examples include coalmine literature and sea literature. And the good examples are literary attributes as the spirit of the historical native place. Its resistance based on the realism is a symbol of political imagination. Its spirit and works prove our negative surroundings and the typical pattern of living in unreasonable modern times by performing effects. Efforts needs to be made to revitalize Southern Gangwon-Yeongdong regional literature through various means. For this, voluntary efforts as well as a scholarly, critical-minded approach on the part of the regional writers are essential.

      • KCI등재

        논문 : 프로문학의 정치적 상상력: 김남천 문학에 나타난 "칸트적인 것"들

        손유경 ( You Kyung S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민족문학사연구 Vol.45 No.-

        문학과 정치의 관계라는 최근의 이슈가 문학의 정치성을 증명하려는 시도로 수렴되는 데 대한 문제제기의 일환으로, 이 글은 정치 환원주의를 초래하는 정치주의적 상상력에서 벗어나 일제 하 프로문학의 정치적 상상력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일제 말의 엄혹한 정치 현실에서 쉽사리 꺾이지 않는 문학 고유의 정치적 상상력을 펼쳐 보였던 전향 작가 김남천의 문학을 검토한다. 김남천은 온갖 정치적 제약과 그로 인한 창작의 위기에 맞서 자신의 문학적 실천을 지속하기 위해 표현의 수위를 낮추는 것이 아니라 표현 주체를 고발하는 전략을 취한다. 자신의 고발문학론까지를 고발해버리는 김남천의 고발정신은 고발문학론에 속하는 그의 대표적 평론들을 하나로 묶는 단순한 개념이 아니라 그의 비평 작업 전반에 내재한 특유의 콤플렉스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그에게 문학이란, 그가 ``비둘기의 욕망``이라는 칸트의 비유로써 강조하고자 했던 궁극의 자유를 지향하면서도 공기(정치 현실)와 길항하는 바로 그 과정 속에서 탄생하는 것이다. 칸트의 저작에 대한 잦은 인용에서 드러나는 것처럼 주체에 대한 김남천의 사유는 자유라는 가치에 경도되어 있었으며, 따라서 그가 전향이라는 정치적 사건을 문학적으로 사유하는 방법은 초월적 자유 개념에 연동해 있었다. 그는 전향에 대한 정치주의적 상상력이 빠져들 수 있는 비전향/전향, 수감/출옥, 과거/현재, 선/악이라는 이분법적 구도에서 벗어나, 마르크스주의로부터의 전향만이 아니라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과거의) 신념까지를 동일하게 문제시하고 이를 주체의 자유라는 관점에서 근본적으로 성찰하는 일련의 소설을 남긴다. 그는 심리학적인 의미의 자유가 아니라 초월적 자유의 관점에서 전향 문제를 사유하는데, 특히 김남천 작품 세계의 변방에 위치한 듯 보이는 「신의에 대하여」는 ``칸트적인 것``으로 명명될 법한 김남천의 강렬한 자유 정신에 새삼 주목하게 만드는 텍스트이다. 정치주의/문학주의라는 이분법에 결박된 정치주의적 상상력 속에서는 문학이 정치를 통해 성장할 수 있다는 사실도, 정치가 문학을 통해 변화할 수 있다는 사실도 모두 부정된다. 정치와 문학의 끝없는 간섭과 제약을 끝끝내 포기하지 않았던 김남천의 팽팽한 작가적 긴장감을 떠올려 본다면, 문학은 정치적 제약 속에서, 그리고 그 제약을 ``자기`` 문제화하는 단련 속에서만, 또 다른 정치를 지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문학은 결코 ``본성상`` ``자연스럽게`` 정치적인 것이 아니다. This paper explores the political imagination in Korean proletarian literature in the colonial era as a way of critical review of recent discourses on the ``literature and politics``. In particular, I focus on Kim Namcheon`s literary works as a representative text of the ``conversion literature`` that shed a new light on the current issue of the ``literature and politics``. Kim is one of the most unique writers who never gave up his vision of new political practices under the severe political suppression at the late colonial period. Kim`s literary spirit of ``self-indictment`` is not only limited to the series of his criticism that have been commonly understood as the ``literature of indictment``, but it also illuminates Kim`s specific complex embedded in his long literary career. Literature, for Kim, originated from a writer`s ultimate vision of freedom, a freedom that is necessarily subject to his specific position in reality. Resonating with Immanuel Kant, Kim set out to develop literary criticism based on the notion of a writer`s ``freedom``. Thus, Kim`s concern with ``conversion literature`` is also specifically related to the Kantian ethics. Kim`s short story "Fidelity"(1943) is a telling example that dramatizes the question of ``fidelity`` and ``freedom`` of a converted writer in the late colonial era. Taken as a whole, Kim Namcheon is a problematic writer who attempts to go beyond the barren imagination of politicism thereby rehabilitating the richness of political imagination in Korean proletarian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