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반마을의 문중의례(門中儀禮)와 종족의식(宗族意識)

        이연숙 ( Yeon Suk Lee ) 한국사회사학회 2007 사회와 역사 Vol.0 No.75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는 예안이씨 종족마을로 국가로부터 민속마을로 지정받아 마을 경관이 잘 보존되어 있고 활발한 문중활동과 엄정한 조상숭배의례 주수 그리고 가계 계승의식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마을이다. 예전부터 외암리는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의 주역 중 하나인 외암(巍巖) 이간(李柬)이 마을로 알려졌고, 근래에는 ``추사 한글 편지``전으로 김정희가 첫 부인과 사별하고 22살에 재혼한 예안 이씨(이간의 현손녀)에게 보내는 애틋한 편지가 공개되어 추사(秋史)의 처가마을로도 이름을 얻게 되었다. 예안이씨 문중은 16세기 후반에 외암리에 입향하여 18세기 중후반에 종족마을을 이룬 온양지역의 대표적인 사족가문이다. 예안이씨 문중조직은 장로연합체제로 의례 중심으로 운영되어오다가 1998년부터 종회장-부회장-유사체제로 재구성하였다. 2005년부터는 출가한 여성에게 종회원의 자격을 주었고 문중재산 평가액의 사승과 개발사업에 의한 처분으로 돈이 생기면서 위선사업을 벌이고 있다. 문중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묘제는 1970년대부터 꾸준한 이촌(離村)으로 참례자 수와 제수(祭需)의 양은 줄어들었지만 제일(祭日)이나 절차는 전통방식을 그대로 고수하고 있다. 그리고 산직을 두지 않고 전통제수차림업체에 제수를 주문하는 소종(小宗)까지 생겼을 정도로 문중과 산직(山直)의 관계가 변하고 있다. 한편 예안이씨의 종족의식은 양반자손이라는 자긍심과 문중재산의 존재, 의례의 엄정한 준수로 인하여 아직까지 강하게 남아 있는 편이다. 종족의식은 가계계승의식과 이어져 20세기 후반에도 입후(立後) 관행이 이루어졌고 앞으로 종가의 존속을 위해 또 다른 형태의 양자 탄생을 예고하고 있다. 현재 외암리 예안이씨 문중은 60~70대의 노년층 위주로 문중이 운영되고 있고 젊은 종중원들은 문중보다 민속마을에 더 매력을 가지고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아마도 지금의 젊은 종중원들도 노년이 되면 문중으로 회귀하여 세대상전이 되면서, 문중조직ㆍ의례가 지속ㆍ변화를 겪으면서 문중이 존속하리라 믿는다. 또한 외암리는 민속마을 지정으로 예산의 지원과 함께 다체로운 문화행사가 열리고 있다. 예안이씨 문중과 민속마을 보존회에서는 짚풀문화제의 한 프로그램으로 2005년에는 제일(祭日)까지 옮겨 관선재 제향을 올렸고, 2006년에는 문정공 사당에서 불천위제사를 지냈다. 이를 통해 문중은 경제적 원조와 전 국민의 관객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이 점은 문중과 민속마을의 전략적 공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A family village of Lee from Yean (Yean Lee) located in Oeam Li Sangak Myon Asan City was designated as a folk village from South Korean government because the Korean traditional village view, traditional ways of family rituals, worship ceremony for the ancestors and ceremony for lineage succession have been well preserved. Oeam Li is known for a village where Oeam, Lee Gan lived, who initiated a theory called Inmulsungdongleeron, which is a study on whether the nature of men and animals are the same or different. Recently, It is known as Chusa, Kim Jeonghee`s second wife`s village. This was revealed in "Chusa Hangul Letter" where he expressed his love. Chusa got remarried to a woman from Lee when he became twenty two years old after he lost his first wife. Yean Lee family was settled down in Oeam Li in the late sixteenth century and in the middle and late eighteenth century they formed a family village as a representative noble family in Onyang area. Yean Lee family was operated as an elder-united system focusing on rituals but from 1998it was reorganized as chairman-vice chairman system. From 2005, they provided women who married the different family with full membership and they started to charity business because the family asset grew from the development business. The grave ritual for the ancestors, which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event for this family has still followed the Korean traditional procedure although the participants and the ritual items decreased because people have moved to the city since 1970. Instead of having a person who takes care fo their family graves, some of people order the ritual items to the traditional ritual company. Meanwhile, Yean Lee`s family rituals preserves a traditional way because they have strong pride in their noble family heritage, the family`s asset, and strict ritual rules. The family rituals is followed by lineage succession rituals and even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a custom to adapt a son who succeeds to the family was performed and in the future, it will happened. Currently, Yean Lee family in Oeam Li is operated by elderly people at the age of sixties and seventies and the younger generation are more involved in the folk village project. However, when the younger generation becomes older, they will return to the family business and will take care of family organization, and rituals for the family`s preservation. Oeam li hosts various cultural events by government support after it was designated as a folk village. Yean Lee family and the folk village preservation committee performed a ritual ceremony as a part of Jippul cultural festival in 2005 after they changed the ritual date. In 2006 Bulcheonwijesa ritual was performed in Moonjeongong shrine. Through these events, the family achieves economical support from Korean people who come to see them. This happens with the cooperation of the family and a folk village.

      • KCI등재

        조선후기 영암 밀양김씨 문중의 성장과 활동

        박선미 ( Seon Mi Park ) 호남사학회(구-전남사학회) 2012 역사학연구 Vol.46 No.-

        이 글은 영암 서호에 세거한 밀양김씨 문중이 향촌에 입향·정착하고 성장해 나가는 과정을 살펴본 사례연구이다. 밀양김씨는 16세기 초에 영암지방에 입향했다. 입향조 김윤신은 누이와 혼인한 김해김씨를 따라 화소에 정착했고 족적기반의 확대로 노동과 송정으로 나누어 移居, 또는 分居하여 정착하였다. 밀양김씨 문중은 9명의 과거합격자를 배출하였는데, 대표인물로는 임진왜란과 이괄의 난에 참전하여 功臣으로 錄勳된 노동파의 김견과 김경발, 유일한 문과 합격자인 김종환, 1680년에 남인 허견의 역모를 미연에 막은 공이 있는 송정파의 김중명 등이 있다. 그리고 구림의 죽정서원 창건 초기인 1681년의 儒案에 밀양김씨 문중계의 서문을 작성한 김수구가 등록되어 있고, 1796년과 1804년에 작성된 유안에는 노동파인 김종택이 등록되어 있어 향촌사회에서 활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밀양김씨 문중은 미약하지만 재산 증식을 했고, 문중계를 조직했으며 재실과 문중사우를 건립하는 등 향촌 사회 안에서 사족의 입지를 자리 잡으려고 노력했다. 그렇지만 비슷한 시기에 입향한 다른 사족들과 달리 문중사우의 건립이 매우 늦었다. 또한, 『靈巖八鄕案』에 입록되어 있지 않은 점과 지리지의 등재가 19세기에 되어서 이루어졌다. 이점에서 미루어 봤을 때 밀양김씨가 향촌 내 위상이 높지 않았기 때문에 사우 건립이 늦어졌을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그래서 밀양김씨 문중은 18세기에 考槃齋라는 재실을 건립하였다. 당시 문중사우가 없던 밀양김씨 문중은 고반재를 문중 재실로서의 역할과 더불어 문중사우의 기능이었던 문중 자제들이 공부하는 서당으로도 활용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 밀양김씨는 공신에도 녹훈되었고 과거에 합격해서 관직생활에 진출하여 사족으로서의 입지를 세웠으며, 문중계와 재실, 문중사우 등 문중 활동의 기본 틀을 갖추었지만 영암 지역 사회에서의 위상이 크지 않았다. 그 이유로 첫째, 유력사족들의 명부인 향안에 入錄되지 못했고, 둘째, 비슷한 시기에 입향한 다른 성씨들에 비해 지리지에 늦게 입록되었으며, 셋째, 18세기 이후부터 관직 진출자가 나오지 않은 점에서 사족으로서의 지위가 하락하였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죽정서원 儒案에 밀양김씨가 등재되어 있고, 문중계도 가지고 있었으며, 고반재를 건립하여 재실을 사우로 승격하기 위한 노력을 해서 일제강점기 이후에도 사우 건립을 추진할 정도로 나름대로 사족 의식을 유지하였다. This article is a case study to examine the process from looking for the place to live and settling down in the village to growth of the Miryang(密陽) Kim clan residing in Yeongam(靈巖) Seoho(西湖) for generations. The time when the Miryang Kim clan came and settled down in Yeongam area was the 16th century. Kim, Yoonshin with the sister followed Kimhae(金海) Kim clan who gets married, and and settled down in Hwaso. In addition, as the basis of the Miryang Kim clan expanded, they moved or separated and settled down in Nodong and Songjeong. There were 9 successful candidates who passed through the highest-level national examination to recruit ranking officials. Famous people were following: Kim, Gyeon(金堅) and Kim, Gyeongbal(金景發) of Nodong group served in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壬辰倭亂) and participated in repressing a military coup of Lee, Gwal(李适) and then was awarded as meritorious retainers. Kim, Jongwhan(金宗煥) was only person who passed the national examination of the civil service. In addition, Kim, Jungmyeong(金重鳴) of Songjeong group had a meritorious service to prevent the coup of Heo, Gyeon(許堅) in Namin(南人). Since Kim, Sookoo(金壽龜) who wrote the introduction of the Moonjunggye was registered on the list for Confucian scholars in 1681 when Jookjeong-seowon(竹亭書院) was founded. Kim, Jongtaek(金宗澤) of Nodong group was on the list for Confucian scholars in 1796 and 1804. The Miryang Kim clan properties have been acquired in settling down in the Yeongam and organized the Moonjunggye in late 17th century. In addition, the Miryang Kim clan constructed the Gobanjae(考槃齋) utilized as a Jaesil of the Moonjung as well as a village school for studying and in the 19th century. As metioned above, since the Miryang Kim clan had people who were awarded as meritorious retainers and passed the national examination and advanced to the governmental office, they had established their positions as a Sajok. They organized the basic frame of the Moonjung activities such as the Moonjunggye, Jaesil and Moonjungsawoo. However, they didn`t have higher impacts on rural community in Yeongam area. The reasons are as following. First, they were not listed on Hyangan(鄕案) which was a list for powerful Sajoks. Second, they were listed onto the Jirije(地理志) which covered all information on rural society later compared with other Moonjung who settled down at the similar time. Third, after the 18th century, none passed the national examination and then the postion as a Sajok dropped. However, Miryang Kim clan was registered on the list for Confucian scholars in Jookjeong-seowon(竹亭書院). These suggested that the Miryang Kim clan did some activities in rural community and kept their minds of Sajok by making some efforts to upgrade Jaesil to Munjungsawoo and trying to establish the Munjungsawoo after the Colonial period.

      • KCI등재

        문중문화의 박물관 전시와 스토리텔링 기법

        한기범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2 No.-

        Family name culture is the base for the clan culture in Korea and the repository of the yangban life culture in Korea. Noblesse oblige clan story i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 of the welfare and individualism in our society as it shows the issue of sharing and caring.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review the storytelling method and the exhibition of clan culture in the museum as a method to share the ideas. In Chapter 2, the clan culture and storytelling and he connectivity of the two are described. In Chapter 3, the story and the delivery methods are outlined. In the story of the family name story, Daejeon Buri Part, Hong Ho-yeon Story of Namyang Hong. Segye Hwangssi Contests are introduced. In the Noblesse Oblige clan storying, Hoedeok Hwang family's Mireukwon voluntary activities that have been continued over the 100 years in three generation to help homeless people food from 1332 and Kyeongju Choi Rich Choi family story who help poor people in 12 generations under the cause that there should be no one who die of hunger around 100 ri from their home were described under the theme of the Sharing and Caring. In addiction, Yoon Joroo's Monhwa Yoo story is introduced who gave people rice by filling his rice storage. However, the stories are described by taking advantage of KHS root broadcasting in which my voice is recorded for Hong Ho-yeon story who was the refugee during the Japan's invasion of Korea and video record of Mireukwon story that was introduced to public in the Daejeon Root Culture Festival through the play in 2012 in addition to the one-dimensional exhibition. In addition, the family registry information of the relevant figures and pictures and other additional materials were fully used and many models were produc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ublic in addition, the picture of the Hong Ho-yeon who is holding he brush and the engraving showing the Chinese letter "patience" are provided to the public for the stamp. in addition, the phrase of Mireukwon Namruki of Lee Saek and Family motto of Kyeongju Choi is displayed which the visitors can read loudly as a method of the communication with the visitors in the exhibition. In Chapter 4, tasks generated by the clan culture exhibition in the museum and the storytelling method is reviewed. First, the family name story to bring up a sense of root consciousness and noblesse oblige family story for the volunteer activities were explored. Second, aggressive collection and production of the additional data for the reservation of the remains in the clan culture. third, the production of the media materials for clan culture which include broadcasting interview, theater, movie, musical, etc. Fourth, high technology method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use in the museum. Last, establishing the museum that specifies clan culture for the spread of the clan culture. Clan culture is drawn attention these days to resolve the tasks in the current period and there 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ongoing exhibition. 한국의 성씨문화는 문중문화의 모체이고, 문중문화는 전통생활문화의 보고(寶庫)이다. 뿌리의식을 일깨우는 성씨문화와 ‘나눔과 배려’를 보여주는 노블레스오블리주 문중 이야기는 우리가 당면한 개인주의와 복지문제의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생각을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문중문화의 박물관 전시와 스토리텔링 기법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우리의 문중문화는 다양한 스토리를 지니고 있으며, 그것은 스토리텔링의 방법을 활용하면 박물관 전시의 좋은 소재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하여 박물관 전시 소재로서 성씨이야기로는 ‘뿌리의식’을 주제로 한 대전뿌리공원과 효문화뿌리축제의 이야기, 전쟁 포로 남양홍씨 홍호연 이야기, 14개국 황씨들의 모임인 세계황씨대회를 각각 소개하였다. 그리고 노블레스오블리주 문중 이야기로는 ‘나눔과 배려’를 주제로 하여 1332년부터 지나는 길손에게 겨울마다 무료로 숙식 제공하기를 3대 100년이나 계속한 회덕황씨가의 미륵원 봉사와, 17세기 초엽부터 자기집의 사방 100리에 굶어죽는 사람이 없게 하라는 가훈으로 12대 동안이나 빈민 구제에 힘썼던 경주최씨 최부잣집 이야기, 그리고 자신의 집에다가 쌀독을 만들어 두고 어려운 사람들이 누구나 쌀을 가져갈 수 있도록 배려한 운조루의 문화유씨 이야기를 각각 소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이야기들에 대한 박물관 전시기법으로는 평면적인 전시 외에 다음의 몇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다. 즉 필자가 지난 2012년에 대전 뿌리문화축제에서 연극을 통하여 대중에게 선 보였던 <미륵원 이야기>의 녹화 영상, 임진왜란의 포로 소년 홍호연이야기에 대한 필자의 육성 방송을 담은 KHS 뿌리방송의 녹화 영상, 그리고 경주 최부자집 후손의 인터뷰가 담긴 방송 자료 등 영상매체를 동원하는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관련 인물들의 족보 자료와 그림 및 사진자료 등 보조 자료들을 적극 활용하고, 디오라마를 활용한 현장감 있는 여러 모형물의 제작과 표출을 통해서 관람자의 이해를 적극적으로 이끄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붓을 든 포로소년 홍호연의 모습과 또 포로생활에서의 그의 깨우침을 집약한 참을 ‘인(忍)’자를 각각 판화와 도장으로 새겨서 관람자가 그것을 스템프로 찍어가게 하고, 또 목은 이색의 <미륵원 남루기>의 경구나, 경주최씨의 가훈을 전시하여 함께 읽고 토론하는 과정을 통하여 화자와 관람자가 하나 되는 소통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한편 문중문화의 박물관 전시에 요청되는 과제는 대개 다음과 같다. 첫째는 뿌리의식을 일깨우는 성씨 이야기와 대를 이어 사회적 봉사를 해 온 노블레스 오블리주 문중 이야기의 적극적인 발굴이다. 둘째는 관련 유물의 확보와 복제 유물 등 보조 자료의 적극적인 수집과 제작이다. 셋째는 이러한 문중문화를 영상매체화 하여 전시하는 작업이다. 여기에는 전시 자료에 대한 방송인터뷰, 연극화, 영화화, 뮤지컬화한 영상물의 제작 등이 있을 수 있다. 넷째는 이러한 방법들을 박물관전시에서 입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첨단적 도구를 갖추고 기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문중문화를 집중적으로 연구 전시하고 보급하는 전문적인 연구기관 및 전시 박물관의 건립이다. 문중문화가 시대적 과제에 대한 해결 방안의 하나로 주목되고 있고, 따라서 그 상설 전시의 필요성이 요청되 ...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사학(史學) : 문중문화의 박물관 전시와 스토리텔링 기법

        한기범 ( Ki Bum H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2 No.-

        한국의 성씨문화는 문중문화의 모체이고, 문중문화는 전통생활문화의 보고(寶庫)이다. 뿌리의식을 일깨우는 성씨문화와 ‘나눔과 배려’를 보여주는 노블레스오블리주 문중 이야기는 우리가 당면한 개인주의와 복지문제의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생각을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문중문화의 박물관 전시와 스토리텔링 기법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우리의 문중문화는 다양한 스토리를 지니고 있으며, 그것은 스토리텔링의 방법을 활용하면 박물관 전시의 좋은 소재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하여 박물관 전시 소재로서 성씨이야기로는 ‘뿌리의식’을 주제로 한 대전뿌리공원과 효문화뿌리축제의 이야기, 전쟁 포로 남양홍씨 홍호연 이야기, 14개국 황씨들의 모임인 세계황씨대회를 각각 소개하였다. 그리고 노블레스오블리주 문중 이야기로는 ‘나눔과 배려’를 주제로 하여 1332년부터 지나는 길손에게 겨울마다 무료로 숙식 제공하기를 3대 100년이나 계속한 회덕황씨가의 미륵원 봉사와, 17세기 초엽부터 자기집의 사방 100리에 굶어죽는 사람이 없게 하라는 가훈으로 12대 동안이나 빈민 구제에 힘썼던 경주최씨 최부잣집 이야기, 그리고 자신의 집에다가 쌀독을 만들어 두고 어려운 사람들이 누구나 쌀을 가져갈 수 있도록 배려한 운조루의 문화유씨 이야기를 각각 소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이야기들에 대한 박물관 전시기법으로는 평면적인 전시 외에 다음의 몇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다. 즉 필자가 지난 2012년에 대전 뿌리문화축제에서 연극을 통하여 대중에게 선 보였던 <미륵원 이야기>의 녹화 영상, 임진왜란의 포로 소년 홍호연이야기에 대한 필자의 육성 방송을 담은 KHS 뿌리방송의 녹화 영상, 그리고 경주 최부자집 후손의 인터뷰가 담긴 방송 자료 등 영상매체를 동원하는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관련 인물들의 족보 자료와 그림 및 사진자료 등 보조 자료들을 적극 활용하고, 디오라마를 활용한 현장감 있는 여러 모형물의 제작과 표출을 통해서 관람자의 이해를 적극적으로 이끄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붓을 든 포로소년 홍호연의 모습과 또 포로생활에서의 그의 깨우침을 집약한 참을 ‘인(忍)’자를 각각 판화와 도장으로 새겨서 관람자가 그것을 스템프로 찍어가게 하고, 또 목은 이색의 <미륵원 남루기>의 경구나, 경주최씨의 가훈을 전시하여 함께 읽고 토론하는 과정을 통하여 화자와 관람자가 하나 되는 소통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한편 문중문화의 박물관 전시에 요청되는 과제는 대개 다음과 같다. 첫째는 뿌리의식을 일깨우는 성씨 이야기와 대를 이어 사회적 봉사를 해 온 노블레스 오블리주 문중 이야기의 적극적인 발굴이다. 둘째는 관련 유물의 확보와 복제 유물 등 보조 자료의 적극적인 수집과 제작이다. 셋째는 이러한 문중문화를 영상매체화 하여 전시하는 작업이다. 여기에는 전시 자료에 대한 방송인터뷰, 연극화, 영화화, 뮤지컬화한 영상물의 제작 등이 있을 수 있다. 넷째는 이러한 방법들을 박물관전시에서 입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첨단적 도구를 갖추고 기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문중문화를 집중적으로 연구 전시하고 보급하는 전문적인 연구기관 및 전시 박물관의 건립이다. 문중문화가 시대적 과제에 대한 해결 방안의 하나로 주목되고 있고, 따라서 그 상설 전시의 필요성이 요청되기 때문이다. Family name culture is the base for the clan culture in Korea and the repository of the yangban life culture in Korea. Noblesse oblige clan story i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 of the welfare and individualism in our society as it shows the issue of sharing and caring.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review the storytelling method and the exhibition of clan culture in the museum as a method to share the ideas. In Chapter 2, the clan culture and storytelling and he connectivity of the two are described. In Chapter 3, the story and the delivery methods are outlined. In the story of the family name story, Daejeon Buri Part, Hong Ho-yeon Story of Namyang Hong. Segye Hwangssi Contests are introduced. In the Noblesse Oblige clan storying, Hoedeok Hwang family``s Mireukwon voluntary activities that have been continued over the 100 years in three generation to help homeless people food from 1332 and Kyeongju Choi Rich Choi family story who help poor people in 12 generations under the cause that there should be no one who die of hunger around 100 ri from their home were described under the theme of the Sharing and Caring. In addiction, Yoon Joroo``s Monhwa Yoo story is introduced who gave people rice by filling his rice storage. However, the stories are described by taking advantage of KHS root broadcasting in which my voice is recorded for Hong Ho-yeon story who was the refugee during the Japan``s invasion of Korea and video record of Mireukwon story that was introduced to public in the Daejeon Root Culture Festival through the play in 2012 in addition to the one-dimensional exhibition. In addition, the family registry information of the relevant figures and pictures and other additional materials were fully used and many models were produc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ublic in addition, the picture of the Hong Ho-yeon who is holding he brush and the engraving showing the Chinese letter "patience" are provided to the public for the stamp. in addition, the phrase of Mireukwon Namruki of Lee Saek and Family motto of Kyeongju Choi is displayed which the visitors can read loudly as a method of the communication with the visitors in the exhibition. In Chapter 4, tasks generated by the clan culture exhibition in the museum and the storytelling method is reviewed. First, the family name story to bring up a sense of root consciousness and noblesse oblige family story for the volunteer activities were explored. Second, aggressive collection and production of the additional data for the reservation of the remains in the clan culture. third, the production of the media materials for clan culture which include broadcasting interview, theater, movie, musical, etc. Fourth, high technology method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use in the museum. Last, establishing the museum that specifies clan culture for the spread of the clan culture. Clan culture is drawn attention these days to resolve the tasks in the current period and there 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ongoing exhibition.

      • KCI등재

        朝鮮 後期 浮休門中의 佛事와 義謙派 佛畫 - 順天 松廣寺 佛畫 造成 佛事를 중심으로

        김다영 국립중앙박물관 2020 미술자료 Vol.- No.98

        Most Korean Buddhist painting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were produced through collaborative projects (bulsa) between clans of Buddhist monks and monk artists (hwaseung), in which the monk clans would select themes and iconography for works that would then be produced by the artists and their school. Thus, any attempt to understand the Buddhist paintings of this period must consider not only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monk artists, but also the conditions at the respective temple at the time of production. Applying this methodology, this paper examines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Buhyu monk clan and the monk artist Uigyeom and his fellow artists (hereinafter, the “Uigyeom School”) that took place in Honam (湖南) and surrounding areas in the eighteenth century. In particular, the paper reveals the strong influence that the Buhyu clan exerted on paintings that the Uigyeom School produced in 1724 and 1725 at Songgwangsa Temple, the clan’s main temple. Following the paintings for Songgwangsa Temple, the Uigyeom School actively participated in similar projects at regional temples under the auspices of the Buhyu clan in Honam, Hoseo (湖西), and Yeongnam (嶺南). Consequently, the Buhyu clan granted Uigyeom several honorable titles—including “Hoseon” (毫仙), “Jonsuk” (尊宿), and “Daejeonggyeong” (大正經)—that were rarely conferred to a monk artist. Such acclaim helped Uigyeom’s style of Buddhist painting to become widespread throughout the three southern provinces of Korea. The paintings for Songgwangsa Temple exemplify how the Buhyu clan and Uigyeom School collaborated to visualize the thoughts and philosophies of the Buhyu clan. For the Uigyeom School, this project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building the reputation and esteem of Uigyeom, who became one of the most esteemed and influential monk artists of the late Joseon period. As such, the paintings created for Songgwangsa Temple in 1724 and 1725 have great significance not only for Korean Buddhism, but also for art history in general. 조선 후기 불화 조성 佛事는 畫僧과 僧侶 門中의 유기적 관계 속 협업으로 진행되었다. 불사에서 승려 문중은 사상을 담기 위하여 주제와 도상을 선택하였고, 화승과 화파는 이를 시각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렇기에 조선 후기 불화의 이해를 위해서는 작가인 화승 및 그의 양식적 특징뿐만 아니라 조성 당시 사찰의 상황, 불사의 참여자 등을 파악하여, 조성 배경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방법론을 통해 호남 및 인근 지역에서 부휴문중과 불사를 함께 진행했던 18세기 대표 화승 義謙을 중심으로 한 의겸파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의겸파는 부휴문중의 宗刹인 순천 송광사에서 1724년부터 1725년까지 2년간 진행된 불화 조성 불사에 참여하였다. 본 불사를 앞서 언급한 다각적 접근법을 통해 해석한 결과, 송광사 불화 조성 불사에 부휴문중의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송광사 불화 조성 불사를 기점으로, 의겸파는 계속해서 호남, 호서, 영남 지역 등 부휴문중 영향권 내의 사찰과 그들이 주도한 불사에 활발하게 참여하며 부휴문중 사상 시각화에 주요 역할을 하였다. 그 결과 의겸은 부휴문중으로부터 ‘毫仙’, ‘尊宿’, ‘大正經’ 등의 화승으로서는 이례적인 존칭까지 부여받았으며, 그의 화풍은 三南 지역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 이처럼 순천 송광사 불화 조성 불사는 부휴문중이 의겸파와 협업하여 문중의 사상을 시각화한 대표 사례이며, 의겸파에게 인맥적, 지역적 기반을 제공하여 의겸이 조선 후기 대표 화승의 위상에 오를 수 있도록 일조하였다. 의겸의 이와 같은 위상과 그가 남긴 작품들은 이후의 조선 후기 불화에도 지대한 영향을 주었기에, 순천 송광사의 불화 조성 불사는 미술사적으로 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順天 松廣寺 佛祖殿 佛像과 浮休門中의 思想

        김세영 국립중앙박물관 2017 미술자료 Vol.- No.92

        조선후기 불교의 큰 脈인 浮休門中은 臨濟法統과 순천 송광사의 普照遺風을 계승한 독특한 성향을 지니고 있다. 부휴문중은 순천 송광사에 世居하면서 법맥의 정통성을 강조하고 화엄 교학을 시하였는데, 이러한 성향은 불상, 불화, 비석과 부도 등의 불사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부휴문중 사상이 불교미술에 미친 도상적 영향이 가장 큰 곳은 그들의 本山이었던 순천 송광사이다. 송광사 불조전에는 문중의 사상 성향을 반영한 17세기 후반의 石造三身佛坐像과 石造五十三佛坐像이 봉안되어 있다. 즉, 화엄의 삼신불과 법맥과 관련되는 과거 53불이 함께 조성된 것은 부휴문중 성향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이자 현존하는 유일한 도상 구성이다. 조선후기 삼신불상은 17세기 초부터 조성되었는데, 주목되는 것은 화엄의 삼신불이 봉안된 곳이 모두 부휴문중의 벽암각성과 관련된다는 점이다. 비록 삼신불상들이 조각승들의 조각풍에 따라 조형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불사를 지휘한 벽암각성의 영향이 적극적으로 도상에 반영된 것은 사실이다. 53불 또한 부휴문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도상이다. 불조전 53불은 『觀藥王藥上二菩薩經』의 영향이나, 이 경전의 영향을 받은 懺法類 경전과 연관될 가능성이 높다. 참법류 경전 속에 언급된 多佛 중에서 53불을 불조전에 봉안한 것은 부휴문중이 중시한 화엄이 숫자 ‘53’과 친연성이 높고, 53불이 삼천불의 佛祖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불조로서의 53불의 상징성은 ‘불조전’이라는 전각의 이름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17세기 후반 다른 사찰들이 과거칠불을 53불과 함께 조성한 것과 달리, 송광사 불조전에서는 삼신불과 53불을 조성하였다. 이는 부휴문중의 화엄교학이 가장 발달하던 시기에 불조전 불상을 조성하는 것과 관련된다. 화엄의 삼신불 봉안을 통하여 화엄사상을, 과거 53불 조성을 통하여 부휴문중의 법맥을 강조하고 懺悔사상과 十方三世諸佛을 표현한 것이다. 조선 1684년(숙종 10)에 경주 불석산에서 생산되는 돌로 조성된 불조전 불상들은 전라도에서는 비교적 이른 예에 속한다. 불상을 조성한 ‘冲玉’은 조각승으로서의 경험이 많지 않았으나 순천 송광사에서 대규모의 불상 조성을 주도할 수 있었던 것은 부휴문중의 영향으로 보인다. 부휴문중의 불교적 성향을 조각승 누구보다도 잘 이해하고 있었던 문중의 일원인 그로 하여금 불상 조성을 주도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송광사 불조전 불상들은 부휴문중의 사상이 불교미술에 도상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The Buhyu Clan (浮休門中),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Korean Buddhism in late Joseon period, exhibits a unique disposition of inherited the religious tradition of Imje School of Buddhism (臨濟法統) and the principle developed by National Master Bojo (普照遺風) at Songgwangsa Temple (松廣寺) in Suncheon (順天). Buhyu Clan, residing in Songgwangsa Temple for generations, emphasize their inheritance to Buddhist doctrine along with Avatamsaka (華嚴) doctrine. And their thought has on impact on Buddhist art such as sculpture, painting, stone monument and stupa. Songgwangsa Temple was a head temple of Buhyu Clan, so naturally, the thought of the Clan has a major impact on Buddhist art in Songgwangsa temple. In Buljojeon Hall of Songgwangsa Temple, there are Stone Seated Vairocana Buddha Triad (石造三身佛坐像) and 53 Stone Seated Buddha Statues (石造五十三佛坐像). Enshrining Vairocana Buddha Triad along with 53 Buddha in a hall, as an only example of this composition, represent the thought of Buhyu Clan. Buddha Triad statues were made since early 17th century, but Vairocana Buddha Triad statues only made where it relates with Byeok-am Gakseong (碧巖覺性) of Buhyu Clan. Each statue shows a bit different style by different monk sculptors though, overall they are under influence of Byeokam Gakseong, who leads the Buddhist service. 53 Buddha icon is closely connected with Buhyu Clan. 53 Buddha Statues enshrined in Buljojeon Hall (佛祖殿) shows an influence of sutra with repentant content rather than Bhaiṣa jyarājabhaiṣajy samudgatabodhisattva-sūtra (觀藥王藥上二菩薩經). 53 Buddha icon is one of the Multi-Buddhas (多佛) of repentance sutra. Buhyu Clan especially valued 53 Buddha in Avatamsaka thought. It symbolizes the Buljo (佛祖; The Buddha, or the Buddhas of three periods of times and successive generations of Patriarchs), and the name Buljojeon Hall (佛祖殿) highlights the meaning of it. In late 17th century, 53 Buddha statues mostly enshrined together with Seven ancient Buddhas (過去七佛), but Songgwangsa Temple enshrined 53 Buddha statues with Vairocana Buddha Triad statues. It can be explained as they made the statues during the period when Avatamsaka-based teachings reached their prime in Buhyu Clan. The composition represents Ksama thought (懺悔; Repentance) and Sibangsamsejebul idea (十方三世諸佛; The Buddhas of ten directions of past, present and future) influenced by Avatamsaka thought and inheritance of religious tradition of Buhyu Clan. Buddhist sculptures enshrined in Buljojeon Hall at 1684, made of stone mined from Bulseoksan Mountain (佛石山) in Gyeongju (慶州), are an early example of monk sculptor Chung-ok (冲玉)'s work. At that time Chung-ok was an inexperienced as a sculptor, though the influence of Buhyu Clan made him project's leader. The reason was, as a member of Buhyu Clan, Chung-ok who understand the thought of the clan was fit for a work. Therefore Buddhist sculptures enshrined in Buljojeon Hall of Songgwangsa Temple is an important example of how Buhyu Clan's thought impact on the iconography of Buddhist art.

      • KCI등재

        『봉신연의(封神演義)』 문중(聞仲) 서사의 의미 지향 및 그 문화적 함의 -도교문화 및 한국 뇌신(雷神) 형상과 관련하여-

        유수민 한국도교문화학회 2020 道敎文化硏究 Vol.53 No.-

        This paper examines the narrative of Wen Zhong (聞仲), the character of the Chinese Ming novel Fengshenyanyi (封神演義), and discusses the meaning orientation of that narrative and its cultural implications in connection with Taoism culture and Korean culture. Since the narrative of the novel Fengshenyanyi is based on folk tale, it reflects the “mentalité” of the basic people, apart from the actual history of the ShangZhou Revolution (商周革命). In this novel, Wen Zhong, who appears as the supreme commander (太師) of the Shang Dynasty and the immortal (仙人) of the Jiejiao (截敎), was defeated in the war and enshrined in the Taoism thunder god (雷神), Jiutianyingyuanleishengpuhuatianzun (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 Therefore, we obtain the basis for exploring some aspects of the narrative knowledge and the collective sensibility of this deity from the Wen Zhong narrative in the novel.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proceeded in the following three areas. First, I considered the narrative shape of Wen Zhong. The outer features of Wen Zhong are that he has a whip “Cixiongbian (雌雄鞭)”, rides an animal “Moqilin (墨麒麟)”, and wears a hat “Jiuyunlieyanguan (九雲烈焰冠).” He also has the characteristic of three-eyed man (三目人). A comparison was also attempted with the narrative of Jiang Ziya (姜子牙) and Huang Feihu (黃飛虎), because they play a role in contrast to the Wen Zhong characters in the novel, helping to understand him. Next, through the Wen Zhong narrative, I discussed the principle of deification of “fengshen (封神),” a key motif that penetrates the entire Fengshenyanyi. The novel evokes a sympathetic sentiment for Wen Zhong representing the position of the victim and the loser,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shamanism principle “haewon (解冤).” Therefore, fengshen can be understood as an act of reward mechanism that entrusts the heros of the Shang who have been sacrificed, while revealing the appearance that Shang’s shamanism paradigm is changed and distorted, and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human culture pursued by Zhou. Last, I argued that the narrative of Wen Zhong was relevant to Korean culture, focusing on the fact that Wen Zhong was enshrined in the thunder god Jiutianyingyuanleishengpuhuatianzun. It was examined that the narrative shape of Wen Zhong is deeply related to the tradition of the thunder god of Gojoseon (古朝鮮) and the symbolic system of Dongyi (東夷) myth. Also, it was discussed that the reason why the author of the Taoism scripture “Yushujing (玉樞經)”, very popular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known as “Moontaesa (聞太師)” was because of the fashion of Fengshenyanyi. At the same time, it was argued that the shape of Wen Zhong in Joseon was recognized in the cultural context of Korea along with Yushujing. The narrative of novel based on a folk story is of great value in that it contains a wealth of collective memories behind the scenes that historical records or religious scriptures can not contain. Through a review of the narrative of Wen Zhong in the novel Fengshenyanyi, which based on the narrative imagination of a historical event ShangZhou Revolution,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collective memory that the Taoism thunder god Jiutianyingyuanleishengpuhuatianzun is a deity from Dongyi is contained in it. 본고는 명대 신마소설 『봉신연의(封神演義)』의 주요인물인 ‘문중(聞仲)’의 서사를 고찰함으로써, 해당 서사의 의미 지향 및 그 문화적 함의를 도교문화 및 한국문화와 관련지어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소설 『봉신연의』의 서사는 설화적 지식을 바탕으로 하기에 은주혁명(殷周革命)이라는 실제 역사와는 별개로 기층민들의 ‘망탈리테(mentalité)’를 반영한다. 이 소설에서 은(殷) 왕조의 태사(太師)이자 절교(截敎)의 선인으로 등장하는 문중은 전쟁에서 패배하여 도교의 뇌신(雷神)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에 봉해진다. 그렇기에 우리는 소설 속 문중 서사로부터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이라는 신격에 대한 설화적 지식 및 집단적 감성의 일면을 고찰할 근거를 얻는다. 본고의 논의는 다음의 세 가지 방면으로 진행되었다. 우선, 문중의 서사적 형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문중의 외형적 특징은 채찍 ‘자웅편(雌雄鞭)’을 지니고 있고 서수 ‘묵기린(墨麒麟)’을 타고 다니며 모자 ‘구운열염관(九雲烈焰冠)’을 쓰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삼목인(三目人)’의 특징을 지닌다. 강자아(姜子牙)와 황비호(黃飛虎) 인물 서사와의 비교도 시도되었는데, 그들이 소설 속에서 문중과 대비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 문중 캐릭터 이해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문중 서사를 통해 『봉신연의』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 모티프인 ‘봉신(封神)’의 신격화 원리에 대해 논의하였다. 소설은 희생자이자 패배자의 입장을 대변하는 문중에 대한 공감적 정서를 자아내는데, 이는 바로 샤머니즘의 무속 원리인 ‘해원(解冤)’적 성격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즉, 봉신은 은의 샤머니즘 패러다임이 변화 및 왜곡되며 주(周)가 추구했던 인문화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모습을 현시함과 동시에, 희생된 은의 영웅들을 위무하는 보상기제 층위의 행위로 이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문중이 사후 뇌신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에 봉신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문중 서사를 한국문화와의 관련성 하에 고찰하였다. 우선 소설 속 문중의 형상은 고조선의 뇌신 신앙 전통 및 동이계 신화의 상징체계와 깊은 관련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선시대 크게 유행했던 도교 경전 『옥추경(玉樞經)』의 저자가 ‘문태사’로 알려진 것은 바로 『봉신연의』의 유행에 기인한 것이며, 조선에서 문중의 형상은 『옥추경』과 함께 한국의 문화적 맥락에서 인식되었음을 논의하였다. 설화를 바탕으로 한 소설의 서사는 역사 기록이나 종교 경전이 담아낼 수 없는 이면의 집단 기억들을 풍부히 담아내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크다. 본고는 은주혁명이라는 역사적 사건에 대한 설화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하는 소설 『봉신연의』의 문중 서사에 대한 고찰을 통해, 도교 뇌신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이 동이계 출신의 신격이라는 집단 기억이 그 안에 담겨 있음을 논증하였다.

      • KCI등재

        안동 지역의 ‘산할매’ 신앙과 여성 조상의 신격화 전통

        천혜숙(Chun, Hye-Sook) 실천민속학회 2015 실천민속학연구 Vol.25 No.-

        이 연구에서는 안동 지역의 문중들에서 여성 조상을 산신으로 섬겨 온 신앙이 있음을 확인하고, 산신 신앙 및 여성 조상의 신격화의 전통, 그리고 부계 문중의 강화와 연관된 조선후기 지역사의 맥락에서 이 신앙 현상이 지니는 의미를 탐구하였다. 산신제, 산메기, 산치성등의 산신 신앙과 달리 ‘o씨 할매’, ‘oo생 할매’로 불리는 ‘조상할머니’ 신격이 전제된 이 신앙만의 변별적 특징을 고려하여, ‘산할매’ 신앙으로 명명하고 범주화했다. 안동 지역의 산할매 신앙은 문중 내에서 신기(神氣) 또는 이적(異蹟)으로 유명한 윗대의 여성 조상 한 분을 신으로 추대하여 그 문중이 세거해 온 마을 가까운 산에다 모시고 제향해 온 점, 문중 차원의 조상신격이지만 행제(行祭)는 철저히 개별 가정 단위로 이루어진 점, 주로 집안의 고부 또는 주부가 중심이 되며 치성?비손?독경 형태로 이루어진 점, 산할매에 관한 영험담들이 가문담의 형태로 전승되면서 신앙을 보증하고 강화해 온 점 등을 그 중요한 특징으로 들 수 있다. 그 밖에도 산할매의 제상에 올린 제물을 집의 삼신 앞에다 다시 올리기도 하고, 산에 오르기 어려울 경우 집에서 산할매의 신체를 두고 모시거나 산할매가 모셔진 산을 향하여 망제(望祭) 형식으로 모신 사례들이 부분적으로 나타난다. 산할매 신앙이 다른 산신 신앙들과 크게 다른 것은 문중 내의 실존 여성 조상을 문중의 조상신 또는 산신으로 모신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신앙은 여성 조상의 산신격화라는 오랜 전통 속에서 의미가 조명될 수 있다. 주로 시조모와 왕모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고대 여성 조상의 산신격화와 견주어 보면, 산할매의 위상이나 제의가 상당히 위축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 신앙이 부계 문중 내에서, 그것도 가부장 사회로 깊숙이 진입한 조선조 후기에 생겨난 것은 대단히 이례적인 일로 보인다. 해당 문중이 동성촌에 정착한 시기, 또는 산할매의 역사적 실체를 고려하면 이 신앙이 형성된 시기는 대체로 17~18세기를 벗어나지 않는다. 17~18세기는 지역의 재지 사족층을 중심으로 부계 친족 문중의 결속이 강화되고 그 세거기반으로서 동성촌의 정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던 시기이다. 특히 중앙 정계로부터 밀려난 영남 사림파의 구심이었던 안동 지역에서 그러한 움직임이 선도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미루어 보면, 문중 단위의 산할매 신앙도 당시 부계 문중의 결속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일정 부분부응하였을 가능성이 없지 않다. 그런 한편으로 행제를 주관해온 문중 내 혼입(婚入) 여성들의 입장에서 보자면, 산할매는 조상 할머니라고 하지만, 유교식 가제(家祭)의 혈연적 조상신, 또는 그 배위(配位)신격과는 질적으로 다른 존재이다. 그러나 가정 단위의 삶에서는 유교적 조상 숭배만으로 해결될 수 없는 갖가지 난제들이 있기 마련이고 그에 따라 여러 가지 민속종교적 추구가 있어 왔다. 주부 중심의 가정신앙도 그러한 배경에서 지속되었다고 한다면, 산할매 신앙은 그러한 가정신앙의 장외 이동을 통한 확장이고 심화라고 할 만하다. 또한 산할매들의 신기(神氣)에서 보이는 일탈성, 유교적 가치관과 배치되는 이적(異蹟)에 대한 의미화는 유교 및 가부장 담론에 대한 대항적 국면으로 볼 수 있는 측면이 없지 않다. 그것이 문중원 여성들의 집단적 행제가 아니라 철저히 개인적 비의로 이루어진 점에서 볼 때는 그 의의가 다소 제한적이긴 하지만, 여성 신앙집단의 공유가 가지는 문화적 힘을 더 적극적으로 읽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18세기 가학家學 전승과 문중서당門中書堂

        이욱(李旭) 한국국학진흥원 2011 국학연구 Vol.0 No.18

        유교는 정신의 계승으로서 도통道統과 학맥學脈을 중시하였다. 이와 함께 유학자의 학풍이나 인격을 형성하는데 있어, 사승관계師承關係 못지않게 가학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가학은 조선시대 학문 전승의 중요한 통로 중 하나였다. 이 글에서는 ‘생활양식의 전승’이라는 관점에서 조선시대 가학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조선시대에 사용되었던 ‘가학’의 다양한 용례를 살폈다. 그 결과 조선시대에 사용되었던 가학이라는 용어는 가풍家風과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며, 학문의 전수와 함께 취미와 경세론, 행동거지 등 생활양식을 전수한다는 의미도 포함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가학이 전수되는 주요한 장소였던 문중서당門中書堂의 운영원리와 실제 운영 사례에 대해 살폈다. 문중서당은 같은 문중 내부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한편, 가학의 전승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문중서당을 통해 구현하고자 했던 교육 원리는 주자가 엮은 『소학小學』에 입각한 교육, 즉 학문을 익히기 이전에 바른 몸가짐과 마음자세를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렇지만 문중 서당의 성격상 과거 공부를 전폐할 수 없는 것도 현실이었다. 문중이 향촌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과거 급제자를 배출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소학』에 입각한 교육을 하면서도, 과거에 응시하기 위한 준비과정도 적절하게 운영하였다. 18세기 이후 문중서당의 운영은 단정한 언행과 진지한 학문 탐구, 그리고 적절한 과거 공부를 통한 입신양명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아울러 종족宗族간의 화목한 가풍을 마련하는데도 주의를 기울였다. 결국 문중 서당 운영을 통한 가학의 전승은 진지한 학문 연구를 통해 해당 문중의 독특한 학풍을 형성하여 전수하는 측면도 있었지만, 그보다는 단정하고 엄숙한 생활태도를 가풍 내지 가학으로 수립하고 이를 대대로 전수하는 데 더 큰 의미를 두었다고 할 수 있다. Confucianism emphasized the lineage of learning(道統) and scholastic network(學脈) for the transmission of spirit. Along with these, it regarded family scholarship(家學) as important as teacher student relationship(師承關係) in building Confucians’ academic or personal character. Family scholarship was one of important channels for the transmission of learning in the Chosun Dynasty. This study analyzed family scholarship in the Chosun Dynasty from the viewpoint of ‘transmission of lifestyle.’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various examples of ‘family scholarship’ used in the Chosun Dynast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erm ‘family scholarship’ used in the Chosun Dynasty had a meaning similar to ‘family tradition(家風),’ and also implied the transmission of lifestyles such as tastes, governing philosophies, and code of conduct. Next, we examined the operating principles and actual cases of family school(門中書堂), which was a major place where family scholarship was transmitted. Family schools were established for strengthening the inner solidarity of family and transmitting family scholarship. The educational principle to be implemented through family schools was education based on Chu Hsi’s Xiaoxue (小學-Elementary Learning), namely, the acquisition of right physical and mental attitudes before learning. Given the nature of family schools, however, they could not neglect preparation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s. In order for the family to maintain its status in the village, the school had to produce students successful in such examinations. For this reason, family schools taught proprieties and Xiaoxue and, at the same time, helped students be prepared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s. From the 18<SUP>th</SUP> century, family schools were operated mainly for decent words and deeds, serious learning, and successful life through passing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Moreover, they paid attention to family traditions promoting peace and harmony among family members. After all, the transmission of family scholarship through the operation of family school was partly for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a unique scholastic tradition of the family but its more meaningful purpose was to promote decent and elegant life attitudes as family tradition or family scholarship and hand them down through generations.

      • KCI등재

        1748년 강원지역 喚醒系 鞭羊門中의 寶月寺 佛事와 조각승 印性·緇俊

        최수민 불교미술사학회 2023 불교미술사학 Vol.36 No.-

        조선 후기 불상의 조성은 조각승뿐 아니라 불사가 이뤄지는 사찰의 승려와 시주자 등 다수의 참여로 이뤄졌다. 따라서 불상 조성의 배경과 과정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불사의 결과인 불상, 제작자인 조각승과 더불어 불사의 기획자인승려문중을 아울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시각에 입각하여 본고에서는 <백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그 내부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을 바탕으로 1748년보월사 불사를 주도한 환성계 편양문중과 조각승 인성·치준을 조명하고 그들의관계를 살펴보았다. <백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본래 1748년 강원도 평강 보월사에서 조성되어 대법당에 봉안된 아미타-석가-약사 삼존상 중 하나이다. 보월사는 조선 후기편양문중이 세거하던 사찰로, 평강 출신으로서 이곳에서 출가한 화월성눌의 주도로 1748년 불상 5존과 불화 9점을 조성하는 불사가 진행되었다. 편양문중의 명승환성지안의 제자이면서 강원도에 지역적 기반을 둔 화월성눌이 불사를 일으키자호암체정, 만화원오 등 당시 강원지역에 머무르던 다수의 환성계 편양문중이 이에 동참했다. 한편 불상 조성에 있어 중역을 맡은 수조각승 인성과 차조각승 치준은 발원문과 의궤, 사지, 문집 등 문헌 자료를 통해 다양한 활동상이 확인된다. 인성은 주로도성 인근의 여성 발원 불사에 참여한 조각승이자, 북한산성 소속으로서 왕실 공역에 차출된 승려 장인이었다. 그는 강원 북부에서는 편양문중의 세거사찰인 평강 보월사와 김화 수태사에서 불상을 조성했다. 한편 치준은 인성이 수조각승을맡은 모든 불상 조성 불사에서 차조각승을 맡은 인물이다. 치준은 강원 북부 환성계 편양문중과 교유하며 그 세거사찰에서 진행된 불사에 참여했으며, 중창 불사를 이끌기도 한 것으로 여겨진다. 두 조각승의 활동상을 고려하면, 강원 북부에서환성계 편양문중에 의해 진행된 보월사 불사에 인성이 참여한 것에는 이곳의 편양문중과 관련성을 보이는 치준이 매개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불사의 규모가 컸던 만큼 인성·치준과 더불어 활동하던 조각승, 인성과 함께 왕실공역을 수행했던 북한산성의 승려 장인들이 동참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처럼 본 연구는 <백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관련 기록을 통해 1748년보월사 불사를 기획한 강원 북부의 환성계 편양문중과 서울·경기 및 강원지역에서 활동한 조각승 인성, 치준에 대해 밝혔다. 이는 한국전쟁과 분단으로 사라지고잊혀졌던 18세기 강원 북부 불사 속 승려문중과 조각승에 대해 이해하는 하나의단초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또한 조선 후기 조각승이 조각승으로서뿐아니라 남·북한산성 등 국가 시스템 속에 편제되어 왕실 공역을 수행하는 승려장인으로서 형성한 관계, 승려 문중과의 관계 등 다층적으로 형성된 네트워크 속에서 불상 조성에 참여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creation of late Joseon Dynasty Buddhist sculptures involved not only skilled monk-sculptors but also the monks and patrons in the temples participating in bulsa. Therefore, to fully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sculpture crea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culptures themselves, the monk-sculptors who made them, and the monk clans that acted as “planners” of bulsa. In this regard,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Pyeonyang Dharma Clan and the monk-sculptors Inseong and Chijun, who led the 1748 Bowol-sa Temple bulsa, based on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of Baekdam-sa Temple and its excavated documents.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of Baekdam-sa Temple was originally created in 1748 at Bowol-sa Temple in Gangwon Province and enshrined in the Main Hall as one of the trinity of Amitabha Buddha, Sakyamuni Buddha, and Bhaisajyaguru Buddha. Bowol-sa Temple was a temple where Pyeonyang Dharma Clan lived for generatio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1748, a bulsa project for five statues and nine paintings was conducted under the leadership of Hwawolseongnul. Hwawolseongnul, who was a disciple of Hwanseong Jian and had a regional base in Gangwon Province, initiated this bulsa project. The project drew participation from many members of the Pyeonyang Dharma Clan who were residing in the Gangwon region at the time, including Hoam Chejeong and Manhwa Wono. Meanwhile, chief monk-sculptor Inseong and second-place monk-sculptor Chijun, who played pivotal roles in the creation of Buddhist sculptures, have various activities confirmed through records[Balwonmun], uigwe, temple chronicles, and writings. Inseong, who participated in female patronage bulsa near the capital city, also served as a monk-artisan in the royal service as part of Bukhansanseong. He was involved in creating Buddhist sculptures at Pyeonyang Dharma Clan's temple in Gangwon, Bowol-sa Temple, as well as at Gimhwa Sutae-sa Temple. Chijun was the second-place monk-sculptor in all bulsa projects led by the chief monk-sculptor Inseong. He collaborated with the Pyeonyang Dharma Clan in Gangwon's northern region and participated in bulsa projects, even playing a leading role in some. Considering the activities of these two monk-sculptors, it is presumed that Chijun played a mediating role in Inseong's participation in the Bowol-sa Temple bulsa, which was conducted by the Pyeonyang Dharma Clan in Gangwon's northern region. Furthermore, Due to the large scale of the bulsa, it can be inferred that along with Inseong and Chijun, other monk-sculptors, as well as monk-artisans from Bukhansanseong who worked with Inseong, also participated in the projects. This paper has shed light on Gangwon’s Pyeonyang Dharma Clan, who planned the 1748 Bowol-sa Temple bulsa, as well as monk-sculptors Inseong and Chijun, who were active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areas, through records related to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of Baekdam-sa Temple. This is significant as it lays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monk clans and monk-sculptors in 18th-century Gangwon's northern bulsa, which have disappeared and been forgotten due to the Korean War and division of Korea. Additionally, this paper highlights how late Joseon Dynasty monk-sculptors not only served as monk-sculptors but also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Buddhist sculptures within a multifaceted network that included relationships within the monk community and beyond, such as performing royal tasks in Namhansanseong and Bukhansanseong under the nationa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