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明宗 前半期 災異論과 垂簾聽政 認識

        임혜련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3 No.-

        The Choson Dynasty was the centripetal bureaucracy country that center around king. The king was the core of power that have a lot of powers and position as the center that lead a country. The king must accommodate energy of yin and yang as agent of providence and must do politics for peoples with making his mind to right. When ruler does not right politics in confucianism, balance of yin and yang was broken, and recognized that the natural calamity happens thereby. The first half of Myeongjong(明宗) was time that mother Munjeongwanghu(文定王后) did Sooryeomcheongjeong(垂簾聽政) during 9 years. This time, peoples suffered pain to natural disaster of flood, drought every year. In the first half of Myeongjong(明宗) appeared eclipse of the sun, change of sun, occurrence of rainbow, thunder, lightning, hail, phenomenon such as earthquake, therefore king and bureaucracies thought the natural calamity. This natural calamity happens because of disharmony of yin and yang. Also, most people thought that the natural calamity happens because yin(陰) overwhelm yang(陽), or cause injury to yang(陽). This time, yin(陰) means Munjeongwanghu(文定王后) that is women, ministers and maternal relatives. If the natural calamity happens, king and ministers examined themselves, and tried to make various method of relief and improve the system as will do politics for people. But, recognized that the Natural Calamity that happen to age of Myeongjong(明宗) happens because of arrogance of maternal relatives and a powerful courtiers that is represented by Sooryeomcheongjeong(垂簾聽政) of Munjeongwanghu(文定王后), Yoon Won-hyeong(尹元衡) and Lee Gee(李芑). Also, It contained meaning of criticism about policy such as Eulsasahwa(乙巳士禍), resurrection of Yangjong(兩宗) and bulky royal family warehouse led by Munjeongwanghu(文定王后). Munjeongwanghu(文定王后) gave up Sooryeomcheongjeong(垂簾聽政) in Myongjong 8 years and 7 months. Here was reason that the natural calamity continued. Sooryeomcheongjeong(垂簾聽政) of Munjeongwanghu(文定王后) can grasp through the idea on natural calamity. Also, she was called 'an empress(女主)' and was realized critically at future generations. It can be said that this is estimation that Munjeongwanghu(文定王后) abuses power, and proceed policy arbitrarily. 文定王后가 수렴청정을 하였던 명종 전반기에는 다양한 災異가 발생하였고, 이를 陰陽의 문제로 인식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재이가 발생하는 것에는 반드시 이유가 있고, 이는 사람의 일로 인해 발생한다고 생각하였다. 각종 재이는 음양의 부조화에서 발생한다는 것이 당대의 인식이었다. 재이는 인간의 일이 잘못되면 하늘이 경고를 보내는 것인데, 결국 잘못은 음의 문제라는 것이다. 음양에 대해서는 왕이 양이면 신하는 음이고, 군자가 양이면 소인은 음이라 인식하였다. 또한 남성이 양이면 여성은 음이고, 正道가 양이면 邪道는 음이라는 것이다. 즉 명종 전반기에 수렴청정을 하였던 문정왕후, 권력을 장악한 윤원형·이기 등의 외척과 권신, 그리고 이들에 의한 정책들에 대한 비판 의식을 음양관을 통해 언급하였다. 명종대 災異論의 논리는 정국을 주도하던 문정왕후와 소윤세력을 향한 것이었다. 또한 그들에 의해 추진된 정책에 대한 비판의 논리를 담고 있었다. 반면 명종의 역할은 이들 세력에 눌려 형식적인 태도와 미비한 국정참여에 머무르고 있었다. 이는 재이의 원인으로 언급되었던 음양의 부조화를 드러내는 것이다. 즉 음인 신하, 음인 문정왕후의 역할이 강력했던 만큼 양인 명종은 이들의 뜻을 따르며 권력의 정점에 있는 국왕의 면모를 보여주지 못했던 것이다. 당시의 재이론은 이러한 정국을 비판하는 기능을 하였다. 문정왕후는 명종 8년 철렴을 하였으나, 그녀의 수렴청정은 부정적으로 인식되었고, 이는 명종 전반기에 논의된 재이론과 궤를 같이 한다. 즉 음의 기세가 강하여 양이 약해진 것, 음양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재이가 발생했다는 원인론은 문정왕후의 수렴청정을 부정적으로 인식한 것이다. 또한 문정왕후에 의해 결정된 정책의 폐단을 지적하고 이를 시정할 것을 재이론을 통해 요구하였던 것이다.

      • 문정왕후(文定王后) 시기 불화(佛畵)의 특징과 그 위상

        강소연(So-Yon Kang)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8 불교와 사회 Vol.10 No.2

        본 논고는 문정왕후 발원 관련 불화의 특징과 그 위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 형식적 특징과 시대적 위상을 올바르게 진단하기 위해 당대의 전후 대표 작품들을 사례로 들어 비교고찰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비교고찰의 작업 중에 당대 대표 작품의 주요 제작자로서 이자실(李自實)이라는 화가의 활동이 핵심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그는 공의왕대비 발원 <관세음보살32응탱(觀世音菩薩三十二應幀)>을 필두로 회암사(檜巖寺) 중수(重修) 기념 문정왕후 발원 탱화 군(群)에도 직접적으로 관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본 논고를 통해 국내에 최초로 소개하는 이자실 필(筆)의 일본 사이묘지(西明寺) 소장 <아미타삼존도(阿彌陀三尊圖)>를 매개로 관련 유사 작례들의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에 16세기 불화의 형식 및 양식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이자실의 작품이, 어떻게 조선 전기 왕실 발원 불화의 마지막 대미를 장식하게 되는지 살펴보았다. 이 마지막 왕실불화 양식은 문정왕후 시기 발원 불화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므로, 그러한 경향을 조선 전기 왕실 불화의 전체적 흐름 속에서 진단하였다. 전례없는 숭유억불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조선 전기 왕실에서는 불화 불사(佛事)의 명맥이 면면히 이어지는데, 이러한 배경에는 그 후원의 주최로 대비(大妃)의 역할이 컸다. 정희왕후, 정현왕후, 인성왕후 그리고 마지막으로 문정왕후로 이어지는 왕실의 여인들의 역할이 실로 컸다. 이 같은 왕실 불사의 전통 선상에서 마지막 정점을 찍은 불사가 바로 문정왕후와 보우대사의 원력으로 진행된 불화 제작이다. 물론 명종대를 이어 선조대에도 비빈(妃嬪)들에 의해 왕실 양식 불화들이 제작되지만, 사실상 공개적인 국가차원의 불사는 문정왕후의 회암사 중수 기념 발원 탱화를 마지막으로 왕실 양식은 자취를 감추게 된다. 이에 조선전기의 왕실 발원불화의 양상(樣相)의 변화를 3단계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그리고 3형식의 비교를 통해, 전체 흐름 속에서 문정왕후 시기의 작품들이 어떠한 위치 또는 위상을 점하는지 논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its status of Buddhist paintings originated and sponsored by Queen Munjeong (文 定王后). In order to expose the formal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s properly, a comparative study with representative works of that period was done. Through these observations,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artist Yi Jasil (李自實) is prominent as a major producer of the representative works. His capacity is known to the world first through the <Thirty-two Nirmāṇakāya of the Avalokiteśvara (觀世音菩薩三十二應幀)> painting which Queen Inseong ordered. And he continues to mainly engaged in the Buddhist paintings commemorating the reconstruction of Hyoam Temple (檜巖寺) publi-cally sponsored by Queen Munjeong. In particular, in this paper introduced <Amitabha Triad (阿彌陀三尊圖)> painting in Saimyouji (西明寺), Kyoto Japan with Yi Jasil sign of himself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is work, which is sure to be a work of interest, was compared with other similar works of that time. Through these analyzes, we have examined how the works of Lee Jasil, who had a decisive influence on the form and style of Buddhist painting in the sixteenth century, contributed to the end of Joseon dynasty royal Buddhist painting. Despite the era of suppressing Buddhism, Buddhist painting continues to be produced in the royal court of the Early Joseon period, which was possible by the patronage of the queens. The role of the sponsors of the queens, such as Queen Jeonghui, Queen Jeonghyeon, Queen Inseong and finally Queen Munjeong, was very great in maintaining the tradition. The last work of this royal Buddhist painting of the tradition is the Hyoam Temple's commemorative work which was led by Queen Munjeong and Monk Bowoo. In fact, Buddhist works of art at the national public level disappear after this work which means the end of the royal style. Finally, the change of the aspect of royal Buddhist painting in the Joseon Dynasty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and explained focusing on the final step of Queen Munjeong's perio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three steps, the characteristics and positions of the works of Queen Munjeong's period was examined in the overall tendency of royal court style of the Early Joseon Dynasty.

      •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불교회생 노력과 그 불교사적 의의

        김상영(Sangyoung Kim)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9 불교와 사회 Vol.11 No.2

        2000년대 이후에 들어서면서부터 우리 학계의 조선시대 불교사 관련 연구는 양과 질적인 측면 모두에서 발전을 거듭해오고 있다. 최근의 연구는 역사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주도해 나가고 있는데, 이들 연구에 힘입어 이제 조선시대 불교는 이전과 전혀 다른 차원에서 이해되는 단계까지 이르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조선 명종대 문정왕후의 불교 회생 노력과 그것이 지니는 불교사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논문의 앞부분에서는 중종-명종 시기 불교와 관련한 최근의 새로운 견해들을 소개하고, 아울러 이들 연구에 나타나는 몇 가지 의문점들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중종대 불교를 ‘극렬한 탄압기’로 인식하지 말아야 한다는 최근의 주장에 대한 필자의 견해를 나름대로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어지는 내용에서는 1550년(명종 5) 문정왕후가 주도적으로 결행한 ‘선교양종(禪敎兩宗) 복립(復立)’의 과정과 그것이 지니고 있는 불교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문정왕후는 불교 회생을 위한 의도적 절차와 시행계획을 미리 구상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아울러 이러한 일련의 조치들을 책임지고 이끌어나갈 수 있는 대표 승려도 물색하였다. 허응 보우(虛應普雨)는 이러한 과정에서 발탁된 당대의 고승이었다. 문정왕후와 보우에 의해 추진된 명종대 불교회생 노력은 이를 지원하는 정치집단이 없으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최근 연구자들은 이들 세력을 ‘훈척세력’으로 단정하고 있지만, 과연 명종대 훈척세력으로 지칭되는 정치집단이 불교정책에 대해서도 동일한 의지를 지니고 있었는지는 불분명하다. 명종대 선교양종 복립은 불교, 또는 승단이 존립하기 위한 최소한의 근거를 회복하는 일이었다. 비록 일시적이었지만 이 시기에 진행된 선교양종의 복립과 도첩제, 승과고시의 복구 등으로 인해 불교계는 가까스로 ‘회생’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시기의 회생은 17세기 이후 전개된 불교계 변화와 상당 부분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유념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Since entering the 2000s, our academia’s research on the Buddhist history during the Joseon Dynasty has continued to develop in terms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Recent research is leading the field of history actively, and with the influence of such research it can be evaluated that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has reached the level, understood on an entirely different dimension than before.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to examine the efforts of Queen Munjeong of Joseon Myeongjong period to revive Buddhism as well as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Buddhism.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irst section of the paper introduces the newly held views regarding Buddhism during the rule from Jungjong to Myeongjong and attempts to examine a few questions that appear in these studies. Particularly, I tried to suggest my personal opinions on the recent argument that Buddhism during Jungjong period should not be perceived as a “period of extreme oppression”. The following section examines the process of “the restoration (復立) of the Seongyoyangjong (禪敎兩宗)” that was led by Queen Munjeong in the year of 1550 (the 5th year of Myeongjong's reign) as well as its significance on the Buddhist history. It is highly likely that Queen Munjeong had been planning the deliberate procedures and implementation plans for the resuscitation of Buddhism in advance. Moreover, she also searched a representative monk who was able to lead the series of such measures. Heoeung-Bou (虛應普雨) was the contemporary high priest, who was appointed during such process. The efforts to revive the Myeongjong period Buddhism, promoted by Queen Munjeong and Bou, would have been impossible without the political group that supported such efforts. Recent researchers refer to such forces as “Huncheog forces”, yet it is equivocal whether the political group, termed as “Huncheog forces” during the of Myeongjong period, had possessed the same willingness for the Buddhist policy. The restoration of the Seongyoyangjong of the Myeongjong period was the task to revive the minimum basis for the existence of Buddhism or the monastic group. Despite being temporary, the Buddhist community barely provided the opportunity of “revival” by the restoration of Seongyoyangjong, Docheobje, restoration of monastery examination proceeded during this period. Also,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the revival during this period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changes in Buddhism that occurred since the 17th century.

      • KCI등재

        조선 전기 繼妃 선정 방식과 그 의미

        윤혜민 조선시대사학회 2013 朝鮮時代史學報 Vol.65 No.-

        When a queen was dead or her marriage was annulled, new wife of King called KyeBi would be selected for the succession of last queen's position. KyeBi was new-born conception with settlement of Neo-Confucianism. This thesis limiting the period from the beginning of Chosun Dynasty to King Seonjo, it focus on the early Chosun Dynasty's KyeBi and examine the changes of KyeBi with reflecting the phases of that era. Selecting method of KyeBi was greatly changed when Jungjong's second KyeBi was chosen. Before selection of Queen Munjung, a woman was chosen among royal concubines and promoted as a queen. However, since Queen Munjung was selected, KyeBis were newly chosen from outer members. Because royal concubines' social status of those early days was comparably higher than other days of Chosun Dynasty, it was possible to select KyeBi among them. Queen Ansun, Deposed Queen Lady Yun, Queen Junghyun, Queen Jangkyung were former concubines. They were verified women having lived in palace. Therefore, the royal family preferred those women to the others and this preference was followed by choosing them as KyeBis. When King Jungjong selected Queen Munjung as a KyeBi, the selection was regarded as a huge change choosing KyeBi from outside of palace. This result comprised realistic factors like a historical stream of Neo-Confucianism settlement, an alert of royal concubine Mrs Park and the protection of Won-Ja(元子). With selecting Queen Munjung from outside of palace, Chin-Yeong-Rye(親迎禮) firstly adopted in Kings' weddings. The introduction to Chin-Yeong-Rye was an important event when we see the aspect of practical execution for Neo-Confucianism. After this event, the wedding of Queen Inmok who were King Seonjo's KyeBi also practiced with the succession of selection from outside and Chin-Yeong-Rye. For these reasons, it become a new custom selecting KyeBi from outside of palace and Chin-Yeong-Rye was settled down completely. 조선시대에는 왕비가 사망하거나 지위를 박탈당했을 때, 왕비의 지위를 이어받는 ‘繼妃’를 들였다. 본고에서는 선조대까지로 시대를 한정하여 ‘조선 전기 繼妃’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으며, 繼妃 선정 방식의 변천을 통해 당대의 시대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繼妃 선정 방법은 중종의 두 번째 繼妃인 문정왕후를 선발할 때 큰 변화를 보였다. 문정왕후 간택 이전에는 후궁 중에서 繼妃를 선발하여 승격시켰고, 문정왕후 때부터는 繼妃를 외부에서 새로 간택하여 선정하였다. 조선 초기에 후궁 출신의 繼妃가 선정될 수 있었던 것은, 당시 후궁의 위상이 비교적 높았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안순왕후ㆍ폐비 윤씨ㆍ정현왕후ㆍ장경왕후가 후궁 출신의 繼妃였다. 이들은 궁중에서 생활해 본 검증된 인물들이었기에 왕실에서의 선호도가 높았다. 중종의 繼妃 문정왕후 선정 때는 繼妃를 외부에서 간택하는 큰 변화가 일어났다. 이것은 성리학 이념의 정착이라는 시대적 흐름과 후궁 朴氏에 대한 경계와 元子의 보호와 같은 현실적 요인이 결합되면서 이루어진 결과였다. 문정왕후가 외부에서 간택되면서, 왕의 혼례식에 처음으로 親迎禮가 등장하였다. 親迎禮의 도입은 성리학적 이념의 구체적 실천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전기가 되는 사건이었다. 이후, 선조의 繼妃가 된 인목왕후의 경우에도 문정왕후 때 행해진 외부 간택과 親迎禮가 계승되어 시행되었다. 이로써 繼妃를 외부에서 선정하는 것이 새로운 관행이 되었고, 親迎禮도 완전히 정착될 수 있었다.

      • KCI등재

        문정왕후의 불교중흥정책

        김상현 한국불교학회 2010 韓國佛敎學 Vol.56 No.-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was most strongly suppressed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san. In the 10th year (1504) of King Yeonsan’s era, the government conducted Buddhist suppression policies; the certification system of a Buddhist monk was abolished in the 4th month of the leap year, Heungcheonsa and Heungdeoksa Temples were closed down in July so that Seon and Kyo schools became extinct, and the state examination for recruiting a Buddhist monk was canceled even though it was a regular session of the examination. The examination was eventually abolished by King Jungjong. In the 11th year (1516) of King Jungjong’s era, the article of certification of a Buddhist monk in Gyeonggukdaejeon (the constitution of the Joseon Dynasty) was deleted by the King. Despite this strong suppression from the government, many anti-Buddhist policies were repealed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The Queen Munjeong, whose son was the King, and master Bou led the restoration of Buddhism. Buddhist restoration policies of the Queen Munjeong were initially derived from her sincere belief but there were other intentions under the conduct of the policies. The fact that establishment and conduct of the Buddhist restoration policies were supported by the maternal royal family members shows us that there was a political intention to prevent the Sarim faction from abusing power. The Queen Munjeong trusted master Bou since he had a strong drive and mind. Master Bou successfully conducted Buddhist restoration policies in spite of all kinds of condemnations and slanders. He revived Seon and Kyo schools, and restored the state examination for recruiting a Buddhist monk. He certified approximately 4000 Buddhist monks and established about 300 temples in many towns. Due to these Buddhist restoration works at the time, Buddhist society could have an important chance to recover their religious influence. The restoration of Buddhism by the Queen and master has a great significance in Korean History. Master Hyujeong and master Ujeong who kept Buddhism from extinction were selected at the state examination which was restored at the time. But the fact that the restoration work was led by the Queen, who took control of the government in the stead of her young son, not by Buddhists themselves proves there was still a fundamental problem in the Buddhist society. Master Bou was blamed not only by government officials and Confucianists but also by Buddhists. And there were conflicts between Seon and Kyo schools. Monk Ilkwan blamed master Bou in the 8th year (1553) of King Myeongjong’s era, and monk Sang-gi spattered master Bou with slander in the next year. The state examination for recruiting a Buddhist monk also caused conflicts between monks from Seon and Kyo schools. When those monks passed the examination, they both acclaimed that their school had higher authority than the other did. In the 20th year (1565) of King Myeongjong, master Bou was exiled to Jeju Island. It had not even passed 100 days since the death of the Queen Munjeong when the master was killed by the governor of Jeju. Seon and Kyo schools were closed down and the state examination for recruiting a Buddhist monk was abolished again in the next year. But the Buddhist society could not raise an objection at all. 조선시대의 불교 탄압이 그 절정에 달한 시기는 연산군 때였다. 연산군 10년(1504) 윤 4월에 도첩제가 혁파되고, 7월에는 禪敎兩宗의 본산인 흥천사와 흥덕사를 폐쇄함으로써 선교양종이 멸실되고, 이 해는 僧科 시행의 式年이었지만 승과 또한 시행하지 못했다. 중종은 승과를 폐지했고, 11년(1516)에는『경국대전』 度僧條를 삭제했다. 이처럼 멸절의 위기에 처해 있던 불교는 明宗(1545-1567) 때에 다시 중흥의 계기를 맡게 되었는데, 당시 불교 중흥의 중심에는 文定王后와 普遇가 있었다. 문정왕후가 시행한 불교 중흥책은 일차적으로는 그의 확고한 불교신앙에 토대한 것이지만, 단순히 개인의 신앙을 정책으로 실현한 것은 아니다. 戚臣세력의 동의와 협력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고, 여기에는 사림파의 독주를 견제하려는 정치적 의도도 작용했다. 그리고 빗발치는 비판과 견제에도 흔들림 없이 불교 중흥정책을 시행하고 보우에 대한 온갖 비방과 모함 이 난무해도 끝까지 그를 신뢰하며 그에게 중책을 맡길 수 있었던 것은 그의 강한 성격과 추진력 덕분이었다. 선교 양종을 부흥케 하고 승과를 실시 했으며, 4천여 승려에게 도첩을 주고 여러 고을의 300여 청정 사찰을 높임으로서 50년이나 말라 비뚤어진 보리수가 다시 무성하게 되었다고 할 정도로 문정왕후의 불교 중흥은 그 역사적 의의가 있다. 그리고 당시에 실시했던 승과에서 西山이나 四溟 같은 고승이 배출되어 불교의 絶滅을 면할 수 있게 해 준 것도 중요한 의의라고 하겠다. 그러나 불교계 입장에서 보면, 불교계 스스로의 노력이나 주도에 의해 불교 중흥의 계기를 마련한 것이 아니라 권력자 문정왕후의 결단에 의해 그기회가 주어졌던 것이기에 근본적인 문제가 남아 있었다. 조신들과 유생들 이 불교 중흥을 극단적으로 비판하고 방해하고 있던 그 무렵에도 불교계는봉은사 주지 보우를 모함하거나 선종과 교종은 서로 갈등을 빚기도 했다. 승려 一觀이 명종 8년(1553)에, 그리고 승려 仙氣가 명종 9년에 각각 보우를 비방하고 모함했다. 僧科가 실시되자 大選에 합격한 양종의 승려들은 서로 높고 낮다고 하면서 갈등을 빚기도 했다. 명종 20년(1565) 문정왕후 죽고 100일도 되기 전에 보우는 제주도에 유배되고 제주목사에 의해 주살되었다. 불교계는 조용했다. 이듬해 양종과 승과마저 혁파되었다. 그래도 불교계는 조용했다.

      • KCI등재

        虛應堂 普雨禪師의 淨土觀

        한태식 한국불교학회 2010 韓國佛敎學 Vol.56 No.-

        The age when Zen Master Huwoodang Bowoo(1507?-1565) lived was the hardest time for Korean Buddhism under oppression. He is generally considered as a weird monk, but he was actually the martyr who sacrificed himself for Buddhism in the Buddhist history. His Seon thoughts was not inclined to Kwanhwa Seon(Zen); He declared that the Seon and Pure land are the same, that meditation and wisdom should be equally practiced, and that the three teaching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re not separate. The paper focused on his thoughts of Pure land. His method of The Buddha-Contemplation Seon was first, practicing both meditation and wisdom, recommending it to others. Second, his view on seeing the buddha and manifesting buddha: When one opens one’s mind eye, buddha would come without coming, and go without going. It means the freedom of true nature. Third, He emphasized being born in the Pure land. He taught not only the mind-centered pure land, but also pure land by Buddha-Contemplation Buddhas’names. Fourth, the Master wrote a prayer paper. He had been to many places to pray for the prosperity of the king’s family and Queen Munjung(文定王后). His secular prayer was done in the heaven altar, while his buddhist prayer was done in the dharma hall. Queen Munjung supported all this process. Even though Master himself was a Seon practitioner using his own mind power, he was so dedicated himself to reconstruction of Korean Buddhism that he asked for Buddhas’s grace and power. Fifth, he actively disseminated the Chanting Buddha Seon. He edited 『Kwanyumyeorok勸念要錄』, for the lay people and women. At the same time, wanting to widely spread it, he translated it into Korean for Queen Munjung and those who were illiterate. He was very positive of disseminating the thought of Pure land. 虛應堂 普雨(1507?-1565)가 생존 시대는 崇儒抑佛의 불교교단으로서는 가장 어려운 시기였다. 그는 일반적으로 妖僧으로 평가 되고 있지만, 불교사에서는 불교를 위해 목숨을 받친 殉敎者이다. 그의 수행과 교화방편은 일방적인 간화선에만 치우치지 않고 禪敎一致, 禪淨雙修, 儒佛仙 三敎가 다르지 않음을 설하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그의 정토관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그의 염불수행은 첫째 念佛禪은 禪淨雙修的인 수행방법을 선택하였고, 타인에게도 권장하였다. 둘째는 見佛과 化佛에 관한 견해이다. 마음의 눈을 뜨면 부처님은 오지 않으면서도 오고 가지 않으면서도 간다고 하여 진여의 자유자재를 말하고 있다. 즉 염불삼매와 견불삼매가 둘이 아님을 말한다. 셋째는 極樂往生發願이다. 그는 각 종 疏에서 극락왕생발원을 간절히 하고 있다. 따라서 唯心淨土만을 주창한 것이 아니라 칭명염불과 指方立相的인 서방정토를 확신하고 있다. 넷째는 祈願文이다. 그는 왕실과 문정왕후의 번창과 건강을 위하여 많은 곳을 다니면서 기도발원하였다. 현세적인 그의 기도는 왕실을 위해서는 天壇에서 행하였으며, 일반적인 기도는 佛前에서 행하였다. 그리고 그 후원은 문정왕후가 內需司를 통하여 하였다. 崇儒抑佛政治 하에서 불교중흥을 위하여 그의 기도는 간절하였다. 그는 자력수행을 하는 禪師임에도 불구하고 타력신앙에 간절하였던 것은 그에게는 자력과 타력에 대한 구분보다 부처님의 가피력을 믿고 의지하였다고 보여진다. 다섯째는 淨土信仰의 홍포를 적극적으로 하였다. 그가 일반대중들이나 서민들 및 아녀자들을 위하여 이야형태의 『勸念要錄』을 편찬하였다. 이 왕생담은 국내의 것과 중국의 것을 모아서 편찬하였다. 그러면서 이를 문정왕후와 한문을 모르는 서민들에게 널리 유포하기 위해 언해본도 편찬하였다. 이를 볼때 그는 정토신앙홍포에 적극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朝鮮 前期 明宗代의 社會變動과 佛畵

        신광희(Shin Kwanghee)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09 美術史學 Vol.23 No.-

        명종대 문정왕후의 발원으로 제작된 불화는 600여점에 이르며 불화불사의 배경에는 국왕인 명종의 건강 회복과 세손의 탄생을 기원하는 문정왕후의 염원이 반영되어 있다. 대규모의 불화를 제작하기 위한 비용은 내원당의 확대를 통한 내원당전의 확보와 사무역의 동참 등으로 충당해 나간 듯하다. 그리고 명종대에는 내원당을 전국 각지에 400여개로 확대하게 되면서 내원당이 기존에 궁궐 내 원당이었던 것과 달리 전국 각지의 위치한 왕실의 기도 도량으로 개념이 변하게 된다. 문정왕후의 숭불경향을 바탕으로 한 불교정책과 내원당의 확대 등은 결과적으로 이전에 비해 불교 교단의 위상을 강화시켜주었고, 사찰에서 활발한 불사를 이룰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었다. 그 과정에서 내원당을 비롯한 수많은 사찰의 법당에 봉안할 불화의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내원당에는 대체로 현존하는 왕실발원불화와 유사한 화풍의 불화가 봉안되었겠지만, 400여개에 이르는 내원당의 불화를 모두 왕실에서 지원, 제작하기에는 무리가 있었을 것이며 민간발원불화 중 일부가 함께 봉안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명종대에는 왕실발원불화의 봉안처가 확산되는데, 이로 인하여 민간에서 궁정화풍의 불화를 인식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고 민간발원불화의 화풍에도 영향을 끼치게 되어, 민간발원불화임에도 궁정화풍이 수용된 작품들이 나타나기 시작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조선조 명종대의 불교정책 변화와 왕실경제 기반의 변화 등이 당시의 불화의 수요와 화풍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Nearly 600 works of Buddhist paintings requested by Queen Munjeong (the mother of King Myongjong) were produced during the reign of King Myongjong of Joseon. In having Buddhist paintings produced, Queen Munjeong wished for the health and recovery of her son, King Myongjong, and for his fathering of a male grandchild. Funds for the massive production of the Buddhist paintings were rais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court-supported temples, thereby adding to court lands, and by executing private trade transactions. During the reign of King Myongjong, the number of court-supported temples was increased to some 400, and in the process, the concept of a court-supported temple was changed from a temple within the court to a nationwide royal temple. The Buddhist policy supported by Queen Munjeong's worship of Buddhism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ourt-supported temples helped to strengthen the position of the Buddhist community, and to create conditions in which Buddhist activities could be revitalized at temples. This probably le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Buddhist paintings to be enshrined in many temples including the court-supported temples. There are some 400 extant Buddhist paintings enshrined in temples; the majority of the paintings are probably those produced at the request of the court, but some were produced at the request of commoners. During the reign of King Myongjong, temples enshrining courtsponsored Buddhist paintings spread nationwide, leading to commoners learning about the court style, and also influencing the styles of Buddhist paintings sponsored by the public, which led to reflection of the styles of court-requested paintings. King Myongjong's policy favoring Buddhism and the court's economic changes are found to have exercised great influence on Buddhist paintings of this era.

      • KCI등재

        조선후기백양사(朝鮮後期白羊寺)의 승역(僧役)에 대한 고찰

        김문경 ( Moon Kyung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7 禪文化硏究 Vol.2 No.-

        백양사(白羊寺)는 백제 무왕 33년(632) 신라의 이승여환선사(異僧如幻禪師)에 의해 창건되었다. 고려말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백양사는 고승대덕(高僧大德)을 배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 불교 선종의 맥을 유지 계승 발전시켜 왔기에, 백양사는 불교역사문화적으로 중요한 위상(位相)을 차지하고 있다. 14세기 각진국사(覺眞國師) 승려 청수(淸蒐)의 중창 노력과 여말선초 4차에 걸친 전장법회를 통해 백양사의 사세(寺勢)는 보다 융성해졌다. 조선 초 백양사의 寺格은 『백암사전장수(白巖傳帳受)』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첫째, 당시 백양사에는 사원보(寺院寶)가 운영되고 있었으며, 특히 기일보(忌日寶)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고려시대 사원보는 일종의 식리기구(殖利機構)로서, 사찰의 주요한 재정 기구로 활용되었다. 이는 여말선초 백양사의 경제활동 양상의 일면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당시 백양사의 가람규모를 알 수 있다. 백양 사의 가람규모는 11세기 중연선사(中延禪師)에 의해 중창되었을 때가 85칸 규모였으며, 태조 2년(1393) 때는 76칸 이상이었다. 이와 같은 백양사의 사세(寺勢)는 조선시대 불교정책과 함께 浮沈을 거듭하다가, 1930년대의 백양사는 110칸 규모의 호남대찰(湖南大刹)로 자리매김하였다. 조선왕조 정부에서는 승려를 유휴노동력(遊休勞動力)으로 인식하여, 그들에게 다양한 종류의 役을 부과하였다. 조선 중 후기 백양사에는 철종 7년(1856)부터 고종 24년 (1887)까지 10여 차례에 걸쳐 완문(完文)과 절목(節目)등이 발급되어 승역(僧役)의 감역(減役)및 면역(免役) 조치가 내려졌다. 이들 자료를 보면, 백양사가 부담했던 승역(僧役)의 실상(實狀)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떠한 명분으로 승역감면(僧役減免)의 조치가 내려졌는가를 알 수 있는데, 본고에서는 철종 11년(1860)에 발급된 완문(完文)을 중심으로 승역(僧役)의 부담과 승역감면(僧役減免)의 배경 및 추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당시 백양사가 부담했던 승역(僧役)의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백양사는 봉산원당(封山願堂)으로 지정되어 사산(四山)에 금표(禁標)가 세워져 승역(僧役)과 잡공(雜貢)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었다. 인근 입암산성의 주둔군들이 백양사를 자주 침탈해오자, 완문(完文)에 사산(四山)의 경계를 명시함으로써, 침탈 금지 조처를 내렸다. 둘째, 3개의 사하촌(寺下村)에서 백양사를 지원해 주었다. 이들 삼동민(三洞民)은 백양사를 수호하고 경제적 지원을 하였으므로, 이들에 대해 침탈 금지 조치를 내려주었다. 셋째, 백양사에서 부담하였던 잡공(雜貢)의 실상에 대해 알 수 있다. 백양사는 각 영읍(營邑)의 교졸(校卒)과 무뢰배 서원(書院) 반상(班常) 대둔사(大芚寺) 입암산성수직군(笠巖山城守直軍)등으로부터 침탈의 폐해를 겪고 있었다. 그리고 官用物品으로 비자나무 괴화(槐花) 송화(松花)그리고 복분자(覆盆子)를 정기적으로 例納하였다. 가혹한 수탈이라 볼 수도 있는 백양사의 이러한 승역 부담은 여타 사찰의 사례와 비교해 볼 때 그다지 무거운 편이 아니었다. 그렇다면 백양사는 어떠한 명분으로 승역(僧役)의 감역(減役)및 면역(免役)의 혜택을 받을 수 있었을까. 조선후기 전국의 명산대찰(名山大刹)에 왕실원당(王室願堂)이 설립되었던 경향에 편승하여, 조선 중 후기 백양사는 왕실원당으로 지정받아 19세기 말까지도 승역감면(僧役減免)의 특혜를 누릴 수 있었다. 즉 문정왕후(1501∼1565)의 명으로 백양사에서 국혼제(國魂祭)가 설행되고, 왕실과 긴밀한 유대관계 속에서 왕실의 후원을 받음으로써 왕실원당에 버금가는 사세(寺勢)를 누릴 수 있었다. 그리고 인헌왕후(1578∼1626)와의 관련성도 승역감면(僧役減免)의 명분으로 긴요하게 작용하였다. 인헌왕후는 양란으로 피폐해진 백양사의 중창 불사에 참여하여 운문암(雲門庵)에 후불정(後佛幀)과 불상(佛像)조성에 있어 대시주자로 동참하였다. 뿐만 아니라 인헌왕후의 영정(影幀)을 백양사에 봉안하였다. 이후 19세기 말에 이르러 백양사는 흥선대원군(1820∼1898)의 봉산원당(封山願堂)으로 지정됨에 따라, 사산(四山)에 금표(禁標)를 세워 경계를 명확히 하고 침탈 금지 조치를 받게 되었다. 그 외에도 백양사에서는 국가 주도의 국기제(國祈祭)가 설행됨에 따라 이를 통해 감역(減役)및 면역(免役)의 혜택을 누릴 수 있었다. Baekyangsa(白羊寺) was established by Saint Yeohwn(如幻禪師) in 632. This temple produced many priestes of virtue from late Koryo dynasty to the present age. Because the Most Reverend Priest Kgkjin(覺眞國師) and monk Chungsu(淸蒐) remodeled Baekyangsa in 14th century, this temple was in full flourish. Baekyangsa Museum has Baekamsa-Jeon-Jang-Su(白巖寺傳帳受) and we can grasp a phases of Baekyangsa in early Chosun dynasty through this book. It is as follows. First, Baekyangsa operated a Temple-treasure(寺院寶). Second, a scale of this temple was over 76 kans. Monk`s labor of Baekyangsa was fallen off or discharged in late Chosun Dynasty. The reason is as follows. This temple was appointed a prayer house for a Royal family(王室願堂) in late Chosun Dynasty. So this temple was benefited in the reduction and exemption about monk`s labor. For example, the queen of Moon-Jung(文定王后) performed a religious service in this temple. A religious service was called as Kuk-Hon-Jea(國魂祭). The queen of In-Heon(仁憲王后) supported this temple, so Won-Moon-Am(雲門庵) established, a Buddhist painting and an image of Buddha ware made. Moreover, this temple had the portrait of the queen. Therefore Baekyangsa was protected by Chosun government.

      • KCI등재

        L.A. County Museum of Art 소장 香林寺〈羅漢圖〉

        신광희 동악미술사학회 2010 東岳美術史學 Vol.0 No.11

        미국 L.A. County Museum of Art 소장 香林寺〈羅漢圖〉는 조선왕조 1562년에 明宗의 모후였던 文定王后가 명종의 건강과 자손번창을 기원하며 발원한 香林寺〈羅漢圖〉200점 중 第153 德勢威尊者圖이다. 조선전기에는 주로 왕실을 중심으로 나한신앙이 성행하였는데 이 시기에는 특히 치병과 장수를 기원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진 나한불사가 많은 편이었고 향림사〈나한도〉역시 그러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향림사는 나한도량이었다는 구체적인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고려 때부터 왕실의 원찰로 알려져 있으며 문정왕후는 이곳에 나한도 200점을 봉안함으로서 그 功德으로 명종이 無病長壽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었던 듯하다. 이 작품은 화면 안에 羅漢만을 크게 부각하여 그렸는데, 이렇듯 나한이라는 주제만을 극대화시켜 표현 하는 형식은 이미 고려시대 오백 폭〈五百羅漢圖〉에서도 확인되며 고려본 중 특히〈第282 寶手尊者圖〉와는 도상까지 상당히 비슷하다. 또한 尊名도 고려의 것을 계승하고 있는데, 이는 1807년 高麗의 儀式集을 참고로 하여 제작된 銀海寺居祖庵『五百聖衆請文』(1805)에 수록된 오백나한 존명과의 비교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당시 香林寺에〈羅漢圖〉를 200폭만 봉안한 이유는 명확히 알 수 없지만 形式과 圖像, 그리고 尊名에서 高麗時代五百羅漢圖의 전통을 계승하려는 경향이 강한 듯하다. 향림사〈나한도〉는 구도가 안정되어 있으며 나한의 尊像표현이 사실적이고 水墨의 山水표현도 탁월 하여, 제작화사를 명확히 알 수는 없지만 당시 상당히 역량이 있는 畵師에 의해 그려졌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작품의 화풍은 이 무렵 왕실발원으로 제작된 타 불화와도 유사한 면이 보여 당시 소위‘宮廷畵風’이 성립되어 있었고, 王室發願佛畵를 전담하는 동일한 화사, 혹은 동일한 집단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이 작품을 비롯한 궁정화풍의 나한 표현은 이후에 제작된 民間發願佛畵속의 나한표현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LACMA 소장 香林寺〈羅漢圖〉는 1562년 文定王后의 발원으로 제작된 나한도 200폭 중 현존하는 유일 한 폭인 동시에 朝鮮前期를 통틀어 유일하게 남아 있는 나한도로서 당시 궁정화풍 나한도의 특징을 잘 알 수 있게 해주는 것은 물론 민간발원작품의 경향을 파악하는데도 중요한 의미가 있는 상당한 귀중한 작품이다. Hyangnimsa Arhat Painting in L.A. County Museum of Art is Deoksewi, 153rd of the 500 Arhats. This work is one of the two hundred scrolls of paintings commissioned by Queen Dowager Munjeong who wished for the health and recovery of her son, King Myongjong and put in Hyangnimsa Temple in Samgak Mountain near the Court Palace in 1562 in Joseon. In early Joseon Arhat cults were particularly popular in the court in times when they hoped longevity because arhats had supernatural power, increasing the length of life of people. Hyangnimsa Temple had been private place of the court since Goryeo Dynasty. This painting is a rather simple work in therms of the iconography and convey a sense of thematic overload. This form and type inherit mostly from the Goryeo and Hyangnimsa arhat painting in LACMA is especially similar the painting Bosu, 282nd of 500 Arhats paintings consisting of 500 panels in Goryeo. In addition, each name of 500 arhats also inherits tradition of Goryeo as we looked at the name written in Obaekseongjungcheongmun, publication about ritual calling in arhats. I don’t know yet only 200 panels not 500, but it is beyond doubt that arhat paintings in Hyangnimsa Temple inherit tradition of Goryeo, especially form of composition, iconography, and each name of arhats. This painting is that composition is stable, arhat’s face is like realistic, and landscape with ink is expressed. We don’t know who painter of this work was yet, but maybe he was in charge of buddhist paintings of the court. Meanwhile at that time temples enshrining court- sponsored Buddhist paintings spread nationwide, leading to commoners learning about the court style, and also influencing the styles of Buddhist paintings sponsored by the public, which led to reflection of the styles of court-requested paintings. The Arhat portrait in the collection of LACMA also had a non-negligible influence on privatelysponsored Buddhist paintings from subsequent eras. It is very important that this is the only painting from the group in Hyangnimsa Temple and during early Joseon period known to survive, too.

      • KCI등재

        LA County Museum of Art 소장 香林寺 <羅漢圖>

        신광희 동악미술사학회 2010 東岳美術史學 Vol.0 No.11

        Hyangnimsa Arhat Painting in L.A. County Museum of Art is Deoksewi, 153rd of the 500 Arhats. This work is one of the two hundred scrolls of paintings commissioned by Queen Dowager Munjeong who wished for the health and recovery of her son, King Myongjong and put in Hyangnimsa Temple in Samgak Mountain near the Court Palace in 1562 in Joseon In early Joseon Arhat cults were particularly popular in the court in times when they hoped longevity because arhats had supernatural power, increasing the length of life of people. Hyangnimsa Temple had been private place of the court since Goryeo Dynasty and Queen Dowager Munjeong. This painting is a rather simple painting in therms of the iconography and convey a sense of thematic overload. This form and type inherit mostly from the Goryeo and Hyangnimsa arhat painting in LACMA is especially similar the painting Bosu, 282nd of 500 Arhats paintings consisting of 500 panels in Goryeo. In addition, each name of 500 arhats also inherits tradition of Goryeo as we looked at the name written in Obaekseongjungcheongmun, publication about ritual calling in arhats. I don't know yet only 200 panels not 500, but it is beyond doubt that arhat paintings in Hyangnimsa Temple inherit tradition of Goryeo, especially form of comosition, iconography, and each name of arhats. This painting is that composition is stable, arhat's face is like realistic, and landscape with ink is expressed. We don't know who painter of this work was yet, but maybe he was in charge of buddhist paintings of the court. Meanwhile at that time temples enshrining court- sponsored Buddhist paintings spread nationwide, leading to commoners learning about the court style, and also influencing the styles of Buddhist paintings sponsored by the public, which led to reflection of the styles of court-requested paintings. The Arhat portrait in the collection of LACMA also had a non-negligible influence on privately-sponsored Buddhist paintings from subsequent eras. It is very important that this is the only painting from the group in Hyangnimsa Temple and during early Joseon period known to survive, too. 미국 LA County Museum of Art 소장 香林寺 <羅漢圖>는 조선왕조 1562년에 明宗의 모후였던 文定王后가 명종의 건강과 자손번창을 기원하며 발원한 香林寺 <羅漢圖> 200점 중第153 德勢威尊者圖이다. 조선전기에는 주로 왕실을 중심으로 나한신앙이 성행하였는데 이 시기에는 특히 치병과 장수를 기원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진 나한불사가 많은 편이었고 향림사 <나한도> 역시 그러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향림사는 나한도량이었다는 구체적인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고려 때부터 왕실의 원찰로 알려져 있으며 문정왕후는 이곳에 나한도 200점을 봉안함으로서 그 功德으로 명종이 無病 長壽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었던 듯하다. 이 작품은 화면 안에 羅漢만을 크게 부각하여 그렸는데, 이렇듯 나한이라는 주제만을 극대화시켜 표현하는 형식은 이미 고려시대 오백 폭 <五百羅漢圖>에서도 확인되며 고려본 중 특히 <第282 寶手尊者圖>와는 도상까지 상당히 비슷하다. 또한 尊名도 고려의 것을 계승하고 있는데, 이는 1807년 高麗의 儀式集을 참고로 하여 제작된 銀海寺 居祖庵 『五百聖衆請文』(1805)에 수록된 오백나한 존명과의 비교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당시 香林寺에 <羅漢圖>를 200폭만 봉안한 이유는 명확히 알 수 없지만 形式과 圖像, 그리고 尊名에서 高麗時代 五百羅漢圖의 전통을 계승하려는 경향이 강한 듯하다. 향림사 <나한도>는 구도가 안정되어 있으며 나한의 尊像 표현이 사실적이고 水墨의 山水표현도 탁월하여, 제작화사를 명확히 알 수는 없지만 당시 상당히 역량이 있는 畵師에 의해 그려졌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작품의 화풍은 이 무렵 왕실발원으로 제작된 타 불화와도 유사한 면이 보여 당시 소위 ‘宮廷畵風’이 성립되어 있었고, 王室發願 佛畵를 전담하는 동일한 화사, 혹은 동일한 집단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이 작품은 이후에 제작된 民間發願 佛畵 속의 나한표현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LACMA 소장 香林寺 <羅漢圖>는 1562년 文定王后의 발원으로 제작된 나한도 200폭 중 현존하는 유일한 폭인 동시에 朝鮮前期를 통틀어 유일하게 남아 있는 나한도로서 당시 궁정화풍 나한도의 특징을 잘 알 수 있게 해주는 것은 물론 민간발원작품의 경향을 파악하는데도 중요한 의미가 있는 상당한 귀중한 작품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