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쓰기 양상 분석을 통한 쓰기 기초학력 도달 수준 설정 가능성 탐색 - 문장 쓰기를 중심으로 -

        최종윤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7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if it is possible to set an achievement level of basic academic skills for writing through the analysis on aspects of writing. To measure aspects of writing, the study was conducted for 139 second graders of an elementary school at Gyeonggi-do. It explored a possibility to set an achievement level of basic academic skills for writing based on sentence writing.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n achievement level of sentence writing was suggested by sentence constructing abilities. As for the sentence constructing abilities, the study suggested an achievement level of sentence writing considering words, parts of speech and sentence structures observed in students’ aspects of writing. achievement levels of sentence quantity and content were suggested from writing of several sentenc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nvestigated a possibility for setting an achievement level of sentence writing, one of basic academic skills for writing, through analyzing students’ aspects of writing. 이 연구의 목적은 쓰기 양상 분석을 통한 쓰기 기초학력 도달 수준 설정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쓰기 양상 측정 대상을 경기도 A 지역 초등 2학년 학생 139명으로 정하였다. 연구 결과, 문장 구성 능력을 중심으로 한 문장 쓰기 도달 수준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었다. 학생의 쓰기 양상에서 관찰된 낱말, 품사, 문장 구조, 문장의 양, 문장의 문체 등을 고려하여 문장 쓰기 도달 수준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학생의 쓰기 양상 분석을 통해 쓰기 기초학력 중 문장 쓰기 도달 수준 설정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문장 쓰기의 문법 오류 양상에서 나타나는 초등영어 문법교육의 필요성

        김태은 ( Tae Eun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5 외국어교육연구 Vol.29 No.3

        한국의 초등학교 영어학습자는 음성 언어와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는 현 영어교육과정에 의한 가르침을 받아왔다. 만약 의사소통 중심교육과정이 적합하고 효과적이라면, 학생들은 배웠던 내용을 쓰기에 표현할 수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6학년 학생들이 쓴 문장 쓰기에서 나타난 문법 오류 양상을 살펴보는데 있다. 100명의 6학년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4가지의 문법 영역에 대한 문법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각 문법 영역 당 20개의 문장 쓰기를 하였다. 본 연구에 중점으로 살펴본 문법 영역 4가지는 동사, 조동사, 명사, 소유형용사/소유대명사를 포함한다. 총 8,000개의 문장을 수집하였고, 수집된 문장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문법 오류 양상을 문법 영역별로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현 초등 영어교육을 보완할 점으로 문법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는 Canale과 Swain이 규정한 의사소통 능력의 정의 와도 일맥상통한다. 의사소통 능력은 문법적 능력을 필수 요소로 포함하고 있기때문이다. English language learners in elementary school in Korea have been taught by the current English curriculum, which mainly focuses on developing spoken languages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If this communicative competence-focused curriculum works properly, students would be equipped to express what they have learned in writing. With this rational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grammatical errors in sentence-level writing produced by sixth graders. A total of 100 sixth graders from four clas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engaged in a task of writing 20 sentences, which was designed to test their grammatical competence on four areas of grammar. These four focal grammar areas include verbs, modals, nouns, possessive, and adjectives/possessive pronouns and were assessed, respectively. 8,000 sentences were collected altogether, and their grammatical errors in these sentences were analyzed to elicit frequent aspects of errors in each grammatical a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all for more attention to teaching English grammar in elementary schools, which aligns with Canale and Swain(1980)’s definition of communicative competence. That is, communicative competence requires grammatical competence as a necessary element.

      • KCI등재

        Secondary School Teachers’ Practices, Perceptions and Problems Regarding English Writing Instruction

        Dong-Ju Lee(이동주)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07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4 No.2

          This paper demonstrates the findings of an investigation into Korean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s’ practices and perceptions regarding writing instruction. The research employs in-depth interviews with a small number of teachers to identify: (a) teachers’ practices of writing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 the classroom; (b) teachers’ perceptions of writing instruction; (c) teachers’ evaluation of students’ writing abilities; and (d) teachers’ concerns or problems in teaching of writ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exist discrepancies among teachers’ practices, perceptions,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the curriculum provides writing goals that are too high for students; teachers cannot help focusing on low-level features of writing mainly due to students’ poor writing ability; and teachers and students do not have an urgent necessity to teach and learn writing, since writing is not tested in the CSAT. The paper concludes by providing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writing instruction in the Korean secondary school English classro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