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기 북한의 문예대중화 운동과 시론

        박민규(Park Min-kyu) 한국근대문학회 2012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해방기 북한의 문예대중화 운동을 상세히 검토하면서 시 분야에 나타난 대중화 시론들의 양상과 그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일차적 자료에 충실하여 북예총과 북문예총의 문예대중화 운동 및 시 대중화론의 전모를 실증적으로 맥락화하고자 했으며 이 바탕 위에서 분석과 평가를 시도하였다. 1920~30년대 카프의 문예대중화론에 치우쳤던 그간의 연구 경향에 일정한 문학사적 보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첫째, 북예총은 결성 당시부터 통일적이고 조직적인 문예대중화 운동을 강령으로 내세우며 출발하였다. 특히 문예써클의 활성화는 문예대중화를 위한 핵심적 사업이었다. 북예총은 전국적 조직망을 갖춘 써클을 통해 토지개혁, 노동법령, 중요산업 국유화령 등의 민주개혁 정책들을 대중에게 선전하고자 했다. 문예써클은 면, 시, 군, 도로 이어진 아래로부터의 군중적 기반 속에서 빠르게 형성되었다. 이를 근거로 북예총은 당시 남한의 문학가동맹의 문예대중화 운동을 문단주의적인 것으로 비판하면서 문학상의 평양중심주의를 내세우기도 한다. 둘째, 북예총의 문예대중화 사업은 민주개혁의 대중적 선전에 치중하느라, 목표로 했던 대중 자신의 자발적 문화 창조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대중적 일상어를 시에서 다루라는 중앙 문단의 요구와 달리 시단의 창작적 결과들은 순수한 예술성을 추구하는 등 괴리를 보이고 있었다. 이를 해소하고자 북예총은 순수의 배격과 아울러 정치주의 문학의 창작 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해 전문적 문학 단체인 북문예총을 결성하게 된다. 셋째, 결성 초기의 북문예총은 창작 본신에의 전념이라는 설립 목표와 달리, 도시군과 면리동 인민위원회의 선거 정국에 직면하여 승리를 위한 선거해석 사업에 총동원돼야 했다. 표심을 위해 제반 민주개혁이 선전되어야 했으며 이를 위해 시인들에게는 선전 가요시의 제작이 요구되었다. 시의 대중화 테제를 정치적 목적주의에 극단적으로 수단화한 예라 할 수 있다. 창작 본신으로의 방향 전환은 선거가 끝나면서 본격화될 수 있었다. 넷째, 창작의 전념을 위해 북문예총은 그간의 써클 사업을 직총 문화인부에 넘겨주고 시집 생산에 집중한다. 그렇다고 문예의 대중화를 저버린 것은 아니었다. 북문예총은 창작의 전념과 문예의 대중화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신인 양성에 주력한다. 기성 시인의 공백을 북문예총은 재북 신인들의 육성으로 해소하고자 했다. 기성 문단의 반발이 있었지만, 북문예총은 신인에 대한 강력한 원조를 결정하기에 이른다. 다섯째, 신인 대망론 속에서 안함광은 시집 『전초』의 평을 통해 신진시인들을 격려하고 나아가 기성 시인들을 감정적으로 비판한다. 당시 북한 시단의 내부에 신구 갈등이 상당했음을 알 수 있다. 윤광은 시단을 새세대와 낡은 세대로 양분할 정도였다. 특히 신진 시인들은 혁명적 낭만주의 도식을 시화하면서 시단의 주류가 되어간다. 하지만 일반 대중의 시는 남녀의 사랑 및 애정 윤리 등에 더 많은 관심을 가졌고 서정성까지 강하게 드러내고 있었다. 대중 속에서 배출된 김상오 같은 신인에게도 서정의 단초가 발견되기 시작한다. 여섯째, 서정의 발아에 대해 북문예총의 내부에서 상반된 입장이 나타난다. 안함광과 이기영은 서정의 가치를 중요하게 인정했지만, 그것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론에서 서로 다른 시각을 보여주었다. 이들의 논의는 서정의 대중적 감수성에 대해 혁명적 낭만주의 및 고상한 애국주의의 도식을 관철시켜야 하는가의 문제에서 갈라지고 있었다. 그러나 북한의 서정시는 새것 대 낡은 것의 도식에 따라 일반 대중의 정적인 서정을 배제하는 방향으로 흘러가게 된다. 이 같은 북한 서정시의 영역 축소는 뒤이어 발발한 전쟁 때문에 가속화될 수밖에 없었다.

      • KCI등재

        현대 중국의 문예대중화(文藝大衆化)를 보는 관점에 대한 재검토

        김진공 한국중국어문학회 2004 中國文學 Vol.42 No.-

        本論文旨在對于有關現代中國文藝大衆化運動的主要問題和槪念的再檢討. `文藝大衆化`是中國現代文藝運動史的核心部分. 其包括範圍不但限制在30年代初左翼作家聯盟的活動, 而涉及到中國現代文學的全般發展歷程. 不妨說以文學與政治之密切關係爲其主要特點的中國現代文學的發展歷程就等于文藝大衆化的開展過程. 本稿要提起的主要問題是所謂`大衆`這個集體的整體性問題. `大衆`這個集體的現存是旣往的文藝大衆化硏究中從未懷疑過的, 而也成爲文藝大衆化論爭和實踐的出發點. 但是有關`文藝大衆化`話語先驗地假設的自己一體化的`大衆`可能由目的論的政治觀念派生的, 缺乏現實根據的虛像. 本稿首先通過對于魯迅?茅盾兩大作者的觀點比較分析, 解釋當時知識分子對`大衆`認識的轉變. 而檢討30年代大衆語論爭, 說明當時知識分子觀念裏描繪的`大衆`是什?樣的形象.

      • KCI등재

        지역문예지의 대중화 및 탈지방화 전략-일제 강점기 진주 지역문예지 『신시단(新詩壇)』을 중심으로

        김지연 구보학회 2024 구보학보 Vol.- No.37

        이 연구는 진주 지역문예지 『신시단』을 중심으로 근대 지역문예지의 의미를 문화사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일제강점기 근대 문예지인 『신시단』을 통해 지방에서 일어났던 문예운동을 탐구하고, 지역적 위계를 넘어서려는 노력과 전략을 살펴보았다. 『신시단』은 문화와 문학의 중심이었던 서울이 아닌 소외된 지방을 새로운 중심으로 문학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한 문예지로, 1920년대 후반의 문학 대중화 운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분석된다. 한편, 서울과 지방의 지역 위계는 문학 연구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서울 중심 연구가 주를 이루는 등 지역 문학의 관심과 논의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미 1980년대 후반 지방자치법 개정 이후 지방자치 시대가 되면서 이러한 문제가 인식되고 운동 차원에서 논의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논의는 아쉽게도 지역 문학의 가치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여 문학 연구의 확장을 막아왔다. 즉, 지역 문학은 지역 간의 수평적 연대를 기반으로 해야 하며, 단순히 ‘지방문학’으로만 치부되어서도 안 된다. 지역문예지는 지역 문인 간의 소통뿐만 아니라 지역민과의 소통을 통해 지역 문학의 발전에 일조하는 역할을 한다. 『신시단』은 이러한 역할에 더하여 타지역의 다양한 작가들과의 연결고리 역할을 했으며 농민과 여성이 작가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또한, 일제에 대한 저항하는 등 검열이라는 체제에 맞서는 방식으로 독자와 소통하며 독자의 의식을 높이고 서울의 낙수를 기다리는 지방이 아닌, 지방이 중심이 되어 세계로 뻗어나가려는 기획 등 지역 위계를 넘어서는 진취적인 전략 등 다양한 문예운동을 시도하였다. 따라서 진주의 『신시단』은 지방 문예운동을 활성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근대자료로 평가된다. 지역 문학은 한 지역에 한정되고 동떨어진 문학이라고 할 수 없다. 한 시대를 공유하는 구체적인 문학 현실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오히려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제강점기에 진주 지역을 거점으로 지역문예운동을 시작한 『신시단』이야 말로 한 지역을 넘어 한국문학사에서 새로운 가치로 평가받을 만한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ulturally and historically analyze the significance of modern regional literary magazines, focusing on the Jinju regional literary magazine Shinsidan. In particular, through Shinsidan, a modern literary magazine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tudy explores literary movements that took place in local regions and examines efforts and strategies to transcend regional hierarchies. Shinsidan, as a literary magazine that attempted to expand literature in regions marginalized from the cultural and literary center of Seoul, is analyzed as an important source for understanding the late 1920s movement of literary popularization. In literary research, the clear hierarchy between Seoul and regional areas has long been evident, with Seoul-centric studies dominating and limited interest and discussion on regional literature. Since the comprehensive revision of the local autonomy law in the late 1980s, issues related to regional literature have gradually been recognized and discussed at the level of literary movements. However, such discussions have unfortunately hindered the accurate assessment of the value of regional literature, thus impeding the expansion of literary research. Therefore, regional literature should be viewed based on horizontal solidarity between regions, rather than simply being labeled as “regional literature.” Regional literary magazines have played a role not only in facilitating communication among regional writers but also in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regional literature through communication with local residents. Shinsidan not only served this role but also acted as a link between various writers from different regions, providing a platform for farmers and women to emerge as writers. Moreover, it employed strategies to transcend regional hierarchies, such as resisting Japanese censorship and engaging in communication with readers, aiming to establish local regions as centers reaching out to the world. Therefore, the Jinju-based Shinsidan is evaluated as an important modern source that revitalized regional literary movements. Regional literature should not be limited to a specific area or viewed as detached literature but rather recognized for its significance in sharing specific literary realities of a given era. Thus, Shinsidan, which began as a regional literary movement centered in Jinju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hould be acknowledged as having new valu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1920년대 사회주의 대중화 전략과 『조선문예』

        최병구 ( Byoung Goo Choi )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7

        이 논문은 1920년대 후반 카프 대중화 운동을 사회주의 지식문화의 관점에서 새롭게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20년대 후반 잡지 『조선지광』과 『조선문예』를 경유하고자 했다. 『조선지광』은 1927년 무렵부터 ‘대중’에 대한 인식을 본격적으로 드러내며 <사회과학강좌> <자유대학강좌>를 기획했다. 이러한 강좌를 통해 인간 정신(영혼)의 물질적 성격에 대한 학술적 견해들이 제출되었다. 1928년 하반기로 접어들며 『조선지광』은 대중적ㆍ통속적 노력에 대한 의지를 더욱 강하게 표명하기 시작한다. 이 무렵부터『조선지광』에는 영화, 연극에 대한 기사들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1929년 5월 창간된『조선문예』에는 『조선지광』이 보여 준 ‘학술’과 ‘문화’에 대한 중첩된 관심이 문화(문예)로 수렴되어 나타난다. 1920년대 후반 급변하는 정치현실 속에서 프로문인들은 집단 창작과 서구의 문화양식과 문예사조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비록 이들의 지향은 현실적 조건 앞에 성공하기 어려운 것이었지만, 대중화에 대한 관심과 그 조건에 대한 천착은 1930년대 사회주의 매체지형과 카프의 실천에 큰 영향을 미쳤다. This paper reviews the KAPF popularization movement in the late1920s with a veiwpoint of a knowledge culture stemmed from socialism. For this, two magazines in the late 1920s, 『Jo-Seon-Ji-Gwang』 and 『Jo-Seon-Mun-Ye』were investigated. 『Jo-Seon-Ji-Gwang』 designed <Social Science Lecture> and <Liberal University Lecture>, recognizing ‘the public’ from 1927. Through these lectures academic opinions on a material aspect of human mind (spirit) were explored. 『Jo-Seon-Ji-Gwang』 strongly expressed their willingness of the popular/common efforts from 1928. And then the articles about a movie and play appeared in 『Jo-Seon-Ji-Gwang』. The overlapped interests between ‘scholarship’ and ‘culture’ represented in 『Jo-Seon-Ji-Gwang』 converged into culture (literature) in published 『Jo-Seon-Mun-Ye』 in May, 1929. The proletarian writes were very interested in collective writing, the Western cultural styles and literature trends in the late 1920 when politics dramatically changed. Although their aims were difficult to be completed because of the realistic conditions, the interests in popularization and the investigation of the conditions had a huge impact on the socialism trends and the practice of KAPF in the 1930s.

      • KCI등재

        선전과 시장 -“문예대중화론”과 식민지 검열의 교착

        한기형 ( Kee Hyung Ha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大東文化硏究 Vol.79 No.-

        문예대중화논쟁은 ``사회주의 혁명을 위해 문학이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라는 과제를 둘러싸고 동아시아 근대사회가 겪었던 공통의 문화현상이었다. 그러나 그 논쟁의 경과와 내용은 한국과 일본, 중국이 지닌 각국의 특수한 상황에 따라 미묘하거나 근본적인 차이를 보여주었다. 조선에서 진행된 대중화론의 초점은 이중출판시장과 충독부 검열의 영향 속에서 문학을 통한 사회주의 선전을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의 문제였는데, 그 논의과정을 통해 식민지 문화구조의 특성들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1920년대 이후 조선사회에서 일본출판시장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식민지 검열과 이중출판시장이 중첩되어 파생한 현상들이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조선의 토착 출판 자본은 이 과정에서 생존의 여부를 둘러싸고 식민지 검열과 새로운 관계를 맺지 않을 수 없었다. 조선에서 일본어 출판물의 확대는 일본어 보급의 정책 강도, 내지와 식민지의 검열 수위에 따른 표현력과 표현 내용의 차별성 등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수준 높은 지식/정보의 상당부분을 일본 서적을 통해 얻게 됨으로써 출판물과 지식정보의 지역 간 비대칭성이 만들어졌다. 만약 식민지의 검열이 이입출판물에 대한 검열의 수위를 낮출 경우 그 비대칭성은 커질 수 밖에 없었다. 출판물의 출생지와 그 가치화가 연동되는 현상이 생겨날 여지가 있었던 것이다. 그것은 조선에서의 시장과 검열의 관계가 일본에 비해 훨씬 불리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김기진은 토착 출판자본이 압박을 받고 있는 식민지적 상황에서 합법적 시장의 확대와 사회주의 문예대중화가 결합할 수 있는 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조선어 출판시장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식민지에서 사회주의 문화운동의 생존력을 강화하는 것과 깊은 연관이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반면 임화는 그러한 김기진의 견해를 신뢰하지 않았다. 김기진은 조선에서 ``시장``과 ``선전`` 사이의 합법적 중간지대를 기대했던 반면 임화는 김기진이 생각한 완충지대가 식민지에서 존재할 수 없다고 보았던 것이다. 임화와 김기진의 대립은 식민지 검열의 영향에 대한 그러한 인식 차이를 반영하고 있었다. 그것을 정치적 견해차이나 조직 노선 상의 충돌로만 해석할 때 식민지의 고유함은 잘 드러나지 않는다. Literary Popularization Debate was a cultural phenomenon commonly experienced in Far East Asian countries during modern era, surrounding the task-what role literature should play for the socialist revolution. Meanwhile the process and its contents of this debate showed subtle, sometimes fundamenta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pecific situations of Korea, Japan and China respectively. The point of Literary Popularization in colonial Korea was an issue how literature could accomplish the propaganda task for socialism under the censorship by colonial regime and duplicated publishing market-native publishing capital and language of Korea coexisted with those from Japan. Due to this debate, peculiarities of cultural structure in colonial Korea came to be revealed consequentially. Since 1920, accompanying the expansion of Japanese publishing capital`s influence in colonial Korea, the phenomena which derived from the intricacy of duplicated publishing market and censorship reality were concretely taken into shape. The expansion of Japanese language publications in colonial Korea was directly-indirectly related with the intensity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drive and the differentiation of tolerance limit for expression (in form and content) between in colonial Korean and in mainland of Japanese Empire. This means it was inevitable to renew the relationship with colonial censorship situation for the native Korean publishing capitals in seeking for their way to survive. In colonial Korea, the reality that considerable part of higher-level knowledge and information was accepted generally through publications written in Japanese caused regional asymmetry of publications and knowledge-information. The more control intensity for imported publications would be lowered, the more unbalancing aspect of the regional asymmetry would come to be growing. It was because the evaluation on publications could be decisively influenced by their native place, and this implies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shing market and censorship reality in colonial Korea might be much more unfavorable than that in Japan, the mainland. KIM Ki-jin believed it was needed to find the way for harmonizing socialist literary popularization with expansion of legal market. He judged that vitalizing the Korean language publishing market deeply connected with strengthening survival ability of the socialist cultural movement in colonial Korea. On the contrary, IM Hwa seems to have not relied on KIM`s point of view. In other words, KIM expected a legal domain between the ``marketing`` and ``socialist propaganda campaign``, while IM regarded the existence of such a buffer zone as impossible. The conflict of these two socialist figures reflects difference of understanding about the censorship and its practical influence in colonial Korea. Hence, if the conflict of KIM and IM would be paraphrased just as a crash of political viewpoint and line, the endemic characteristics of Korea`s reality during colonial period might not prove.

      • KCI등재

        해방과 분단의 공간에 나타난 예술가들의 이념적 행보 -안막의 문학과 삶을 중심으로

        라기주 ( Gee Joo Rah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4

        본고는 해방과 분단의 공간에서 시인이요 프로문예 비평가이며 문화예술가로 활동한 안막의 문학과 삶을 탐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는 1910년 한일합방이 조약된 해에 태어난 식민지 지식인들과 사회의 구조적인 모순과 대립하며 한국문학의 이론적 정초를 마련하는데 기여했다. 특히 1930년대 좌파와 우파의 양대 진영 속에서 프로문학을 주도하며 예술의 창작과 내용방법에 대한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표방했다. 그러나 카프의 1·2차 검거 사건으로 프로문학의 정치투쟁이 불가피하게 되자, 예술 창작 방법의 내용과 형식의 논쟁에 가담하지 않고 독자적인 길을 선택했다. 이러한 문화예술운동의 방향전환은 무용가 최승희와의 결혼에서 비롯된다. 그는 사회혁명의 도정에서 ``프로문예 비평가``에서 ``문화 예술가``로 탈바꿈하고 최승희의 무용 내용과 형식까지 결정하는 감독이자 안무가로 변모했다. 안막과 최승희 역시 그 시기에 새로운 예술방향을 모색했고, 예술의 성숙도를 높이기 위해서 사회주의 혁명 대신 문화예술적인 방법을 선택했다. 특히 이들은 조선 춤의 현대화작업을 구현하며 예술의 대중화와 현대성을 확립하는 일에 몰두했다. 처음엔 일본의 저항의식에서 출발한 문화운동이었지만 안막부부는 조선적인 것의 세계화를 위해서 자발적으로 친일활동을 하며 일본의 내선일체를 수용했다. 이들의 친일행각은 새로운 질서를 수용하기 위한 전략이었고 더 나아가서 조선 독립이었다는 점에서 이중적인 속성을 갖는다. 그러나 일본이 패망하자, 안막은 사회변혁의 과정에서 북한의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정책을 수용했다. 그리고 뒤늦게 월북한 최승희와 함께 예술의 창조성을 기획하고 구축하는데 앞장섰다. 하지만 그는 북한에서의 예술과 정치권력의 최고 경지에 도달했던 1958년경에 연안파의 숙청작업에서 제거되었다. 그의 가족 또한 숙청되지만 최승희는 북한 무용의 골격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되어 1969년경에 연안파의 한설야, 박팔양과 함께 복권되었다고 전해진다. 안막은 이렇게 사회혁명의 도정에서 자신을 버리고 새로운 기법을 차용하며 ``프로문예 비평가``와 ``문화 예술가``, 그리고 ``문예 정책가``로 활동하며 다양한 의식세계를 보여주었으나 이데올로기의 희생물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안막의 부부는 문학적 기질과 예술의 재능을 지녔음에도 모순에 가득한 제도와 새로운 대표자들에 의해서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파멸의 길을 가고 말았다. 그러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안막의 문학적 행로가 새롭게 재조명되고 있다. 그에 대한 연구와 평가는 한국문학사의 재조명을 위해서 중요한 작업이다. 앞으로 실증적인 자료가 발굴되어서 문학사적 위치 설정을 위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literature and life of Ahn Mak, who was a poet, proletarian literary critic, and cultural artist in the space of liberation and division. Ahn stood opposite to the structural contradictions of the society along with the colonial intellectuals born in 1910 when the convention on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as concluded but, at the same time, made a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found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30s, in particular, he led proletarian literature in the struggle between the left and right wing and represented socialist realism about the creation and content method of art. Once proletarian literature was forced to take on political fights after the first and second arrests of KAPF members, however, he no longer participated in the controversy over the contents and forms of art creation methods and chose to pursue his own way. His change of direction in the movement of culture and art was caused by his marriage to Choi Seung-hee, a dancer. In the course of social revolution, he transformed himself from a proletarian literary critic into a cultural artist and further director and choreographer that decided the contents and forms of Choi`s dance. In that period, both Ahn and Choi were in search of new directions in art and adopted cultural and artistic methods instead of socialist revolution in order to increase artistic maturity. They were especially engrossed in establishing the popularity and modernity of art, engaging in the modernization of Joseon dance. It was a cultural movement that originated in their resistance against Japan at the beginning. With time passing, however, the couple started to do pro-Japanese activities and voluntarily accepted Japan`s Naeseonilche for the sake of the globalization of what was Joseon. Their pro-Japanese actions have dual nature in that they were part of their strategy to accept a new order and ultimately sought after Joseon`s independence. After Japan collapsed, however, Ahn accepted North Korea`s policies of socialist realism in the course of social reform and took a lead in planning and establishing artistic creativity along with his wife Choi, who crossed the border into North Korea later. In 1958 when art and political power reached a peak in North Korea, however, he was eliminated by the purge operation of Yeonan Party. His family shared the same fate with him, but it has been said that his wife Choi was reinstated in 1969 along with Han Seol-ya and Park Pal-yang of Yeonan Party, being recognized for her critical roles in the formation of North Korean dance framework. Ahn showed his diverse conscious worlds, discarding himself, adopting new techniques, and turning into a cultural artist in the course of social revolution, only to be a victim of ideology. The couple ended up walking down the road to destruction, not being judged right by the system full of contradictions and new representatives despite the fact that they demonstrated excellent literary dispositions and artistic talents. Today his literary journey receives new illuminations to commemorate the 100th anniversary of his birth. Given that his evaluations are important in shedding new light onto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further researches will follow to find his position in the literary history.

      • KCI등재

        조선문학가동맹 '詩部'의 시 대중화 운동과 시론

        박민규(Park Min-kyu)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3

        이 논문은 해방기 남한의 대표적인 진보적 민족문학 단체였던 조선문학가동맹(문맹)의 조직적 시운동을 검토하고, 문맹의 시론들을 그 당시 시운동과의 상관성 하에 맥락화하면서 분석, 평가하였다. 특히 문맹의'시부위원회'가 전개한 활동의 궤적에 주목하였다. 시부(詩部)는 46년 2월에 문맹의 결성과 함께 조직되었다. 결성 초기에 시부는 '시의 대중화'를 주요 활동 방향으로 선언하지만, 추상적이고 감정적인 구호에 그쳐 있었다. 이후 시 강연과 시 낭독을 활발히 전개하면서 시 대중화 운동은 구체적인 것이 되어 갔다. 특히 각종 행사에서의 시 낭독은 대표적인 조직적 활동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초창기인 46년 상반기에 시부는 계몽화 운동의 소박한 취지에서 비정치적인 시까지도 다양하게 대중에게 보급하였다. 그러나 46년 중반에 미소공위가 휴회하면서 시 낭독은 대중에게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쪽으로 변화하게 된다. 특히 정치적 '분노'의 시와 시 낭독이 성행했는데, 김기림은 이를 신인의 육성이란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46년 하반기에 문맹은 잇따른 조직 개편과 대중화 결정서들을 마련하면서 문학대중화 방침을 더욱 강화해간다. 10월 항쟁을 거치면서 새로운 활로의 모색을 위해 문화 투쟁을 통한 대중과의 적극적 결속으로 방향을 전환한 것이다. 시인들은 개편된 조직들의 전면에 배치된다. 특히 대중에 대한 관점이 기존의 계몽적 시혜성에서 정치적 연대성으로 변모하게 되자, 문맹의 서울지부 시부 위원장인 김광균이 이를 강하게 비판한다. 당시 추진되고 있던 문화공작자 혁신안이 결정적 원인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47년에 접어들어 시부의 시 낭독 행사는 대형화되고 종합예술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시 자체의 낭독에 그쳤던 46년과 달라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제 시 낭독은 대형 예술제와 문화공작대 등에서 음악, 연극, 무용 등과 협연된다. 이는 시 낭독의 종합예술화를 제안했던 조허림의 시론이 현실화됐음을 뜻한다. 그러나 일차적으로는 대중의 정치적 결집을 최대한 끌어내기 위한 데 그 목적이 있었다. 훗날 김기림은 시 낭독의 공과를 리얼리즘의 관점에서 검토하면서 앞으로 시 낭독이 대중의 전형을 파악해야 하며, 시사적 내용에 치우치지 말아야 한다고 주문하였다. 하지만 문맹의 활동이 봉쇄된 상태에서 그의 주문은 현실화되기 어려운 과제로 남게 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organized movement for poetry by Korean Writer's Alliance(Chosŏn-Munhakga-Dongmaeng),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national literatur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analyzes and evaluates the poetics of it, contextualizing under the relation with poetry movement of the time. Especially, it focuses on the trajectory of activities developed by the Committee of Poetry Division in Korean Writer's Alliance. Poetry Division was organized with the establishment of Korean Writer's Alliance in February 1946. At the early period, it announces 'Popularization of Poetry' as an important direction of its activities, however, it ends in an abstract and emotional slogan. Movement for popularizing poetry becomes more detailed with the active development of poetry lecture and reciting. Reciting poems in various events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organized activities. In the first half of 1946, Poetry Division introduces various types of poems including nonpolitical ones with the simple purpose of enlightenment movement. However, in the mid-1946, the Joint Soviet-American Commission declared a recess and poem reciting changed into delivering political message to the public. Especially, reciting poems expressing political 'rage' is prevailed and Kim, Gi-rim positively assessed it at the level of fostering new figures. In the second half of 1946, Korean Writer's Alliance intensifies the policy of popularizing literature, carrying out a successive reshuffle and preparing Written Decision for Popularization. It changes the direction toward active unity with the public through culture struggle to seek a way out going through People's Uprising in October 1946. Poets are dispatched in the front line of reshuffled organization. When the viewpoint toward the public changes from the existing enlightening dispensation to political solidarity, Kim, Kwang-gyun, chairman of Poetry Division of Korean Writer's Alliance in Seoul strongly criticizes this. Innovation plan of culture craftsman seems to be the decisive reason for his criticism. Entering into 1947, the scale of poem reciting event of Poetry Division becomes larger and bigger and composite art. It is different from the event of 1946, which ends in reciting poem. From 1947, poem reciting accompanies with music, play, dance and so on at large scale art festival and by the group of culture craftsman. This means that the poetics of Cho, Hur-rim who suggested make poem reciting as a composite art has realized. However, the primary purpose of it was to draw political concentration of the public to the maximum. Later, Kim, Ki-rim said that poem reciting should grasp the stereotype of the public and not be biased to contents of current events, examining merits and demerits of poem reciting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sm. However, his suggestion remains as a difficult task to be realized when the activity of Korean Writer's Alliance is blocked.

      • KCI등재

        1940년대 대중화론의 분열과 그 의미 - 상해윤함구 ‘新文藝筆法’ 논쟁 분석

        송가배(Song, Ga-bae) 한국중어중문학회 2020 中語中文學 Vol.- No.79

        This paper examines the written debates over “Xinwenyi Bifa (writing style of New Literature)” which were mainly published in Zazhi Yuekan (Miscellany Monthly). The written discussion was one of the few detailed and constructive event in Shanghai literary circle, albeit under the shadow of the control of Japanese wartime occupation. While the debates have been conventionally categorized as criticisms pertaining to May Fourth literature, this essay shifts the focus toward “Dazhonghua (massification)” discourse, carrying out a historical research on how Shanghai literati had contrasting approaches and visions on massifcation of New Literature in early 1940s. The debate was triggered by Li Baiying’s fierce criticism against so-called “Xinwenyi qiang (style of New literature writing)”. Li suggests that literature should be written in clear and easy, everyday colloquial language so as to allow common Chinese people such as the rural or cooks and nannies to listen to and understand it. Li’s bold insistence on massification, however, was regarded as out of date in the written discussion. The majority participants defended current New Literature writings because they are modern art that reflect Modern culture, only with slight flaw that is discordance between content and form. In several articles that were published a few months later, Li Baiying more clearly builds the theory of folk literature, with which he criticizes against New Literature’s transformation into an elevated style of new written language (Xin wenyan) as well as its bearing characteristics of Europeanized grammar. He urges his fellow writers in Shanghai to adopt more of everyday language spoken by contemporary peasants and workers. Li’s theorization of folk literature is also coupled with his editing and contributing to Minsu Yuekan (Fork Monthly).

      • KCI등재

        프로문학 진영의 사회주의 아동 만들기 - 1930년대 초반 『별나라』와 『신소년』의 대중화 전략-

        최은혜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3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33

        As attention was focused on the popularization of proletarian literature camp after the debate on Literature and Art Popularization, 『Byeolnara』 and 『Shinsonyun』 in the 1930s functioned as forum of practice to secure the ‘child public’. In contrast to the ‘child with a childhood innocence’, the ‘socialist child’ is positioned as the subject who would lead the revolution and a human being to be recruited by the Proletarian Literature camp. Whereas other media targeted adult intellectuals, 『Byeolnara』 and 『Shinsonyun』 were targeting children as readers, enabling the two magazines to occupy a significantly important position in the strategies of popularization. Their strategies of popularization could be divided into three main aspects: the dissemination of scientific and socialist knowledge, the articulation of emotions through literature, and the encouragement of direct participation of the reading public. Through this, 『Byeolnara』 and 『Shinsonyun』 could strive to create a holistic socialist child that satisfy all aspects of knowledge, emotion, and practice. Considering the purposes of the two magazines to acquire and consciousness–raise a child audience for the Proletarian Literature camp, the present study has its historical significance in outlining the nature of the strategies of popularization may have research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it is no different from approaching the core of the media by examining the general nature of the popularization strategy.

      • KCI등재

        해방기의 지역문학론 -파성 설창수를 중심으로

        장만호 ( Man Ho Jang ) 우리어문학회 2013 우리어문연구 Vol.45 No.-

        이 논문은 해방기 지역문학의 성격을 설창수의 지역문학론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해방기 지역문학은 주장과 결과가 불일치하는 역설적 성격을 보여준다. 좌익이나 북한의 경우 ‘지방문화’와 문학의 확산을 강조했지만 이는 오히려 지역에 대한 중앙의 통제 강화로 이어졌다. 『응향』 사건이 이의 대표적 경우라 할 수 있다. 우익의 경우는 지역문학에 별다른 관심을 보여주지 않았는데, 이 점에서 지역의 자생적이고 개성적인 문학이 가능할 여지가 있었다. 그러나 해방기의 좌익과 우익의 민족문학 담론은 공통적으로 민족이라는 단일하고도 보편적 단위를 전제한 것이었으므로 지역문학이라는 특수성의 문제는 사실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다. ‘지역’문학이라는 특성상 ‘지역문학’에 대한 관심은 지역의 중대 관심사일 수는 있었지만, 중앙이 고민해 야 할 문제는 아니었던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파성 설창수의 활동은 해방기 지역문학 연구에서 매우 귀중한 사례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해방기 경남 진주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을 전개한 그는 지역문학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이에 연계해 지역문학 수립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보여주었다. 이 시기 타 지역의 문학운동이 지역문학의 목적과 수립 방식에 대해 이렇다 할 이론적 전개를 보여주지 않았던 것에 비한다면 설창수의 노력은 단지 진주 지역의 지역문학 수립에 국한되는 것만이 아니라 해방기 지역문학론을 대표하는 예로서 의미를 지닌다. 그는 지역문학을 민족문학의 차원에서 사유했으며 그의 전인문학관은 ‘전인’을 민족과 인류, 신성을 포함하는 전일체로 규정하면서 부분과 전체, 개인과 집단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자 한 문학관이었다. 청문협의 민족문학과는 정반대의 입장에서 순수를 지양하고 ‘전선참획(全線參劃)’을 주장한 문학론이었다. 아이러니한 점은 설창수의 문학운동과 이론은 좌익과 북한 문단의 문학이론과 많은 부분에서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경향일체, 문관일체, 문민일체, 문학일체, 문건일체로 이루어진 일체오원칙(一體五原則)은 좌익의 지방조직과 중앙조직의 긴밀한 연계, 문인들의 관료화와 정치화, 인민에 복무하는 예술과 문예대중화, 민족국가 수립을 전제로 하는 민족문학의 건설 등의 방향과 그 실행 방법이나 목표가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볼 수있다. 문제는 그가 내세운 ‘전인문학론’에 있었다. ‘전일체’를 주장한 이상문학은 이를 둘러싼 제반 환경 및 제도와 긴밀한 연관을 지녀야 했고, 이는 실천적 측면이 강조된 것이 될 수밖에 없었다. ‘일체(一體)’의 외연이 확대되면서 설창수의 문학론과 좌익의 문학론은 상사적(相似的) 면모를 보여주게 된 것이다. 더불어 개인에서 민족에 머무르는 것이 아닌 인류와 신의 단계까지 포괄하는 문학론이 민족문학론이 될 수 있는지도 의문의 여지로 남는다. This paper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literature during the period of Korean liberation by focusing on the theory of regional literature from Seol, Chang-Soo. Regional literature for the liberation period shows the paradoxical nature of a mismatch between the claims and the results. Left-wing or North Korea emphasized the spread of the ``local culture``, but this rather strengthened the control of the central area over the regions. <Eung-Hyang> event was the representative case. Right wing gave little attention to the literature of the region, and at this point, it was possible indigenous and distinctive literature was born. Nevertheless, as the left-wing and right-wing`s ethnic literary discours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regarded the nation/ethnic, a single and universal unit as its premise, the uniqueness of local literature was not the target of interest. The ``local literature`` could be great interest for the regions in the nature of ``local`` literature, but for the center, it was not the problem to be concerned. In this situation, The activities of Paseong Seol, Chang-Soo are one of the most valuable cases in the study of the local literature during the liberation time. He did many activities mostly in Jinju area in Kyungnam province during liberation, stressing the necessity of regional literature and showed a variety of activities for the establishment of a regional literature in conjunction. In comparison that the literature movement of other regions in this time didn`t show a significant theoretical deployment for the purpose and the way to establish local literature, Seol, Chang-Soo`s effort has meaning as an example representing the theory of local literature in the liberation period as well as establishing the local literature only in Jinju area. He reasoned the regional literature in the dimension of the national literature and his view of whole-person literature defined ``whole-person`` as one thing including the ethnic, humanity and divinity and organically connected the individual with the collective and the integral part with the whole. It was a theory of literature avoiding purity and claiming ``JunSunChamHoik`` in the opposite position of the national literature of ChungMoonHyup. Ironically, there shows similarity in many parts between his literary movement and theory and the theory of left wing and North Korea. 5 monolithic (Trinity or one body) principals which are tendency Trinity, literature-bureaucracy Trinity, literature-people Trinity, literature-Study Trinity and literature-construction Trinity, has similar way of practicing and its goal to the ones of establishing the national literature whose premises are the close link between the center and the left wing`s regional organizations, the bureaucratization and politicization of literary persons, popularization of the art and literature and establishment of a nation-state. The problem was his theory of whole-person literature``. The literature had to be closely linked to the overall environment, systems and all that surround it with an emphasis on practical aspects as long as it claims ``Monolithic body``. As any extension of the one body expanded, the literary theory of Seol, Chang-Soo and the left wing came to show some aspects similar to each other. In addition, it is still doubtful that the literary theory comprehensive of humanity and the gods could be the national literary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