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 위기에 대한 신화적·인문학적 성찰 : 〈손님굿〉 신화 속 질병신의 속성과 인간의 대응을 중심으로

        신동흔(Shin, Dong H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통일인문학 Vol.83 No.-

        이 논문은 한국 구전신화 〈손님굿〉에 대한 의미해석을 바탕으로 코로나 위기에 대한 신화적이고 인문학적인 성찰을 진행한 것이다. 〈손님굿〉에 형상화된 질병신의 속성이 코로나 바이러스와 통하고, 질병신에 대한 인물들의 대응과 그에 따른 결과가 코로나 상황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준다는데 주목한 논의였다. 신화 특유의 원형적이고 철학적인 사유를 매개로하여 문명적 위기에 대한 거시적이고 본원적인 해법을 찾아보고자 했다. 〈손님굿〉은 오랜 세월 동안 인간을 괴롭힌 감염병 천연두에 대한 신화다. 신화는 질병을 일으키는 존재를 악귀가 아닌 영험한 손님 신으로 취급하며, 최대한의 정성과 존중으로써 질병 문제를 풀어내고자 한다. 질병의 발생을 거대한 생명적 체계의 일환으로 보는 가운데, 섭리에 순응함으로써 출구를 찾아내는 태도를 나타낸다. 인간 스스로를 세상의 미력한 존재로 인식하여 겸손을 유지하는 것은 질병신을 응대하는 기본 방식이 된다. 노고할미와 영순생 등은 그와 같은 대응을 통해 위기상황을 잘 감당하고 전화위복의 복락을 만들어낸다. 노고할미와 영순생의 맞은편에는 자기중심적 오만으로써 질병을 경시하고 함부로 대하는 인물들이 놓인다. 범람한 욕심으로 질병신을 범하려고한 뱃사공과 자만과 술수로 질병신을 냉대하고 농락하려 든 김장자가 그들이다. 그 결과는 참혹한 죽음이고 패가망신이었다. 세상의 정점에 있던 김장자는 하나뿐인 자식을 잃고 밑바닥으로 전락한다. 이들의 행태는 오늘날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일각의 대응과 놀라운 의미적 일치를 나타낸다. 뱃사공은 ‘코로나 파티’를 벌인 젊은이들의 모습과 통하며, 김장자는 섣부른 교만과 허튼 미봉책으로 상황을 악화시킨 세계의 여러 지도자와 정확히 일치한다. 신화에서 노고할미와 김장자의 자리가 역전되었듯이, 현실세계에서도 그러한 역전이 펼쳐지고 있는 중이라고 보았다. 〈손님굿〉 신화에서 특별히 주목할 것은 질병과 인간의 생명적 동질성과 순환적 공존에 대한 사유다. 천연두로 희생된 아이가 새로운 손님신이되는 내용은 인간과 질병의 생명적 연관성을 잘 보여준다. 질병신들은 인간처럼 움직이며, 사람들은 질병신을 또 다른 자기나 이웃으로 여기고서 긴밀히 교감하며 소통한다. 질병신을 위한 굿과 놀이에서 사람들이 다함께 즐기면서 하나가 되는 것은 질병과 인간의 상호적 교감과 치유 과정에 해당한다. 거시적인 생명적 존엄성과 공존성을 기본 가치로 삼는 그 행위는 현재의 코로나 위기에서 인류가 찾아서 발현해야 할 인문적 비전을 보여준다. 코로나 위기에서 우리가 완수해야 할 중대한 인문적 과제는 심리적으로 무너지지 않고 초극의 힘을 발휘하는 일이다. 공격이 아닌 협력, 불신이 아닌 믿음, 배타적 욕망이 아닌 공생의 윤리로써 상황을 헤쳐내야 한다. 그 초극의 힘을 어떻게 발현할 것인가에 대해서 신화는 우리에게 소중한 깨우침을 전하고 있다. 문명 이전 시절로부터 이어져온 문학적·철학적 사유로부터 문명적 위기를 극복하는 길을 찾는 지혜가 필요하다. This Essay is a mythological and humanistic reflection on the COVID-19 crisis based on an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oral myth Sonnim-gut (ritual for the smallpox god). It was noted that the nature of the disease god in the myth is similar to COVID-19, and the responses of the characters of the disease scene give meaningful implications to the COVID-19 crisis. Through the philosophical thinking contained in the myth, I tried to find a fundamental solution to the crisis in our civilization. Sonnim-gut is a myth about smallpox, an infectious disease that has plagued humans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myth treats diseases as a spiritual guest god, not a demon. It then tries to solve the problem with the utmost sincerity and respect. While seeing the occurrence of diseases as a function of a huge life system, people try to comply with providence. They consider themselves to be weak and maintain humility as their basic attitude toward sickness. Some characters in the myth use such an attitude to create reversal success and happiness. Opposite the characters, there are people who neglect diseases with a self-centered attitude. They are the boatman who tried to invade a disease goddess with overflowing desire, and the rich man who tried to joke around the disease gods with pride and trickery. The result was a terrible death and disgrace. The rich man at the top of the world loses his child and falls to the bottom. Their behavior remarkably matches some of the responses to COVID-19 today. The boatman connects with the appearance of young people having a “corona party,” while the rich match with the world’s leaders who have exacerbated the situation with pride. If that method is not qualitatively changed, it can lead to decisive decline. Of particular note the Sonnim-gut is thought of as the vital cycle between diseases and humans. In the story, a child who is sacrificed by smallpox becomes a new disease god, which shows the vital link between humans and diseases. The disease gods act like humans, and people regard the disease gods as neighbors and communicate closely. In rituals and plays for the diseased gods, the gods and people mingle and enjoy, which is a mutual healing process between humans and diseases. The vital dignity and coexistence contained therein become the human values that humanity must realize in today’s COVID-19 crisis. Humanity’s task in the COVID-19 crisis is to demonstrate the power of overcoming without psychologically collapsing. We must overcome the situation with cooperation not an attack, faith not disbelief, and symbiotic ethics not exclusive desire. Mythology gives us valuable enlightenment on how to realize the power. We need wisdom to find a way to overcome the crisis of civilization from the literary philosophical thinking that has been passed down from pre-civilization days.

      • KCI등재

        21세기 문명위기와 세계체제론: 이매뉴얼 월러스틴(I. Wallerstein)의 비교역사적 전망

        임현진(Hyun-Chin Lim),장진호(Jin-Ho Jang)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0 아시아리뷰 Vol.10 No.2

        최근 인류는 기후변화로 인한 감염병의 연이은 출현으로 인해 이른바 ‘인류세(Anthropocene)’의 파국이 멀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하에 놓여 있다. 또한 세계화의 과정에서 자본주의가 폭주하면서, 특권을 지닌 소수의 승자와 고용이 불안정한 다수의 패자 사이의 격차는 벌어져 왔다. 이처럼 작금의 문명적인 위기 상황에서 본고는 대표적인 세계체제론자인 월러스틴의 시각과 통찰에 주목하고자 한다. 먼저 월러스틴의 학문체계를 보면, 그는 사회과학이 내부적으로 분과학문화되는 과정을 살펴보면서 역사학과 기타 사회과학 사이의 장벽을 허물고 이 두 가지 학문을 ‘역사적 사회과학’으로 통합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또 사회 연구의 가장 적합한 분석단위가 ‘개별 국가와 사회’가 아니라 전체(the whole)로서의 ‘세계체제’가 되어야 함을 주창하였다. 또한 그는 종속이론의 영향을 받아 세계체제론을 제시하였다. 특히 16세기 이래 현재까지 지속되어온 자본주의 세계경제 즉 근대 세계체제에 연구를 집중하였는데, 이는 중심부와 주변부, 반주변주를 구분하는 기축적 분업, 국가간체제로 특징지어지는 복수의 지리적 정치중심과 다양한 문화로 구성되어 있고, 장기적인 주기적 변동 속에서 체제의 조정과 헤게모니의 변동을 경험해 온 역사적 체제로 파악된다. 프랑스혁명 이후 양대 반체제운동으로서 노동-사회주의 운동과 민족주의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으나 자본주의 세계경제를 극복하지는 못하고 있다. 그는 심지어 진보의 필연성에 대해서도 회의적이며, 전통적 반체제운동의 문제의식을 계승하는 동시에 그것의 약점을 넘어서려는 ‘68혁명’을 잇는 새로운 반체제운동 속에서 불확실성을 넘어서 대안적 세계체제를 추구하는 주체들의 선택이 중요함을 역설하고 있다. 그의 논의는 편향과 일부 오류도 있었지만, 21세기에 인류가 직면한 문명적 위기를 넘어서기 위한 대안체제적 전망을 모색하는 데 있어서 월러스틴의 논의들은 현재 다시 살펴볼 필요가 충분하다. The recently continuous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including COVID-19 raises the issue of the possible collapse of the so-called ‘Anthropocene’. On the other hand, global capitalism has increasingly widened gaps between the small number of the haves and the majority of the have-nots leading to the crisis of democracy. In this time of the civilizational crisis, we pay attention to the works and insights of Immanuel Wallerstein, who is considered to have been the founder of the world-system analysis. First, in his scholarly works and discussions, he tried to construct an integrated discipline of ‘historical social science’ overcoming the divorce of history and other social-science disciplines. Second, he suggested the world-system as the whole to be the proper unit of analysis in research, instead of individual countries or societies. Third, his world-system analysis, which had been influenced by the dependency school, focused on the capitalist world-economy since the 16th century, the modern world-system, which is the historical system composed of the axial division of labor among core, periphery and semi-periphey, the inter-state system of multipolar political and cultural centers, and systemic adjustments as well as hegemonic shifts in the long-term cycles. Antisystemic movements such as the labor-socialist and nationalist movements have arisen since the French Revolution, but they have been unable to overcome the capitalist world-economy. He was even doubtful of the inevitability of historical progress and instead emphasized people’s choices to construct the alternatives in the current chaos. Wallerstein’s discussions have some biases and mistakes. However, his discussions still seem to be very important for seeking alternatives in order to meet today’s civilizational crisis.

      • KCI등재

        구전신화 속 세계창조 서사의 시원적 생태론과 그 의미 : 함경도 망묵굿 <산천굿>을 중심으로

        신동흔(Shin, Dong-Hun) 한국구비문학회 2020 口碑文學硏究 Vol.0 No.58

        이 논문에서는 최근 새롭게 보고된 최복녀본과 이찬엽 <산천굿>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구전신화의 세계창조 서사를 새롭게 살폈다. 인간과 자연의 본원적 동질성과 공존성에 주목하는 생태론적 관점의 논의였다. 한국의 대표적인 창세신화 자료로 인식돼온 <창세가>와 <초감제> 계열 무가는 인간중심적 사유를 두드러지게 현시한다. 인간을 신과 통하는 고귀한 존재로 본다는 점에서 주체성을 지니지만, 동식물을 포함한 자연만물을 주체가 아닌 대상으로 보는 편향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인간과 달리 동물과 식물에 대한 기원 서사가 없다는 것은 하나의 중대한 신화적 공백이 된다. 일월 조정과 인세차지 경쟁 등 일련의 서사가 인간을 중심으로 하여 서술되며, 여타의 자연물의 생명적 존재성은 약화되어 있다. <산천굿>은 자연의 입장에서 세계를 사유하고 표현하는 특별한 신화다. 이러한 특징은 신자료에 담겨 있는 ‘선간구경’ 대목의 창세서사에 원형적으로 집약돼 있다. 이 신화 속의 선간(仙間)은 인간을 포함한 자연만물의 본원으로서, 플라톤의 이데아에 준하는 곳이다. 선간에는 해와 달, 불과 물, 각종 동식물과 광물 등 세상 만물의 시원적 본체가 깃들어 있다. 지상의 자연만물은 그것을 현상적으로 발현한 짝으로 표현된다. <산천굿> 창조서사는 인간을 중심에 두지 않으며, 자연만물의 수평적이고 순환적인 생명적 어울림을 현시한다. 그 사유방식은 명백히 생태적이다. 신화 속에서 인간은 그 생태적인 생명체계 속에 녹아들지 못하고 그것을 훼손한다. 자기중심적인 오만과 욕심에 따른 과오였다. 이에 대해 자연적 신령은 인간을 ‘한낱 미물 짐승’으로 질타하면서 죽을병이라는 재앙을 내린다. 그 재앙은 인간이 모든 오만을 내려놓고 최대한의 겸손과 정성으로 자연산천에 귀의함으로써 풀릴 수 있었다. ‘산천굿’으로 표현되는 그 행위의 핵심은 자연생명의 생태적 순환성 회복에 있다. <산천굿> 창조서사의 세계관을 매개로, 기존 창세신화 자료 속에 숨어있는 시원적인 생태적 사유를 짚어낼 수 있다. 꽃 피우기 화소는 선간의 생명적 본체를 지상적으로 발현하는 행위로 이해된다. 꽃 꺾기와 나무 자르기로 표현되는 문명적 공격과 그에 따른 단절 이전의 태초 세계는 생명적 일원성을 지녔던 것으로 이해된다. 신화의 이면에는 그 본원적인 생태적 생명성 회복에 대한 지향이 담겨 있다. 이러한 신화적 사유는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생명적 문제에 대하여 근본적인 원인과 해법을 암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examines the world-creation narrative in Korean oral myths, based on the recently reported Sancheon-gut text. The following discussion reflects an ecological perspective, focusing on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nature. In Korea s major creation myths, human-centered thinking stands out. It is subjective, in that it sees humans as equal to God. However, it is also biased, in regarding natural beings, such as animals and plants, as objects. The fact that there is no Korean creation story to explain the origin of animals or plants is an important mythical void. Compared to humans, natural beings are portrayed as remarkably insignificant. Sancheon-gut is a myth that conceives of and expresses the world from the standpoint of nature. In this myth, heaven is the origin of all nature, including humans; it is a place that corresponds to Plato s Idea. The fundamental forms of everything on earth exist in heaven, including the sun and moon, fire and water, and various animals and plants. In this world, natural beings are understood to be pairs that embody the phenomenal. The creation story of the Sancheon-gut does not place humans at the center, but reveals that all nature exists in a horizontal cycle of vitality. This way of thinking is obviously ecological. In this myth, humans do not melt into the ecological life system and damage it. This is seen as an error, caused by self-centered arrogance and greed. In response, the natural spirit scolds humans for being “useless little beast[s]” and causing a plague of death. The disaster could have been resolved if humans had abandoned their arrogance and returned to the original system of nature. In essence, this action aims to restore the ecological cycle of natural life. Given the creation of the Sancheon-gut, it is possible to identify ecological thoughts, hidden within existing creation myths. It is understood that the original world, before the civilizational break (expressed by picking flowers and cutting trees) had a unitary and coexistent vitality. In the abyss of those myths, the intention to restore ecological vitality is hidden. These mythical though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and solving the vital problems facing humanity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