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형자산의 가치관련성에 따른 경제위기 전․후 차이분석

        나영 한국회계정보학회 2010 회계정보연구 Vol.28 No.4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ccounting information about intangible assets reported under the Korean financial accounting standards is relevant to the firm value. Based on sample firms from the Korea Stock Exchange Intangible assets are reported of those firms in their balance sheets. The sample consists of 298 non-banking firms listed over Korean Stock Exchange during 1989-2007. This research consists of two parts. One is to examine value-relevance of intangible assets through their effects on persistence of Ohlsons'(1995). The other is to examine value-relevance of intangible assets through their effects on persistence of dummy variable regression technique. The results of those regression analyses especially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hich are IA(intangible assets), NIA(non-intangible assets), and DY(pre-IMF or post-IMF)) for the market value of the firm. However, the findings on analysis for components of intangible assets indicate that the value-relevance is confined to a component of both DIA(development costs) and RIA(industrial right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accounting information about intangible assets reported under the Korean financial accounting standards is significantly relevant to the firm value. 기업 경영환경은 산업혁명 이후 급속한 변화를 나타냈으며, 지식정보사회를 거치면서 IT(information technology)의 발전으로 크게 바뀌고 있다. 특히, 디지털시대의 출현으로 기업환경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변화함에 따라 하드웨어(hardware)에서 소프트웨어(software)로 움직이고 있다. 이는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자산의 형태도 그 중요성이 유형자산에서 무형자산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기업의 언어(language of business)라고 부르는 재무제표에서는 무형자산에 대한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어 회계의 목적인 유용한 회계정보에 대한 비판을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제위기를 전·후로 비교하여 기업의 재무상태표에 인식된 무형자산이 Ohlson(1995)모형에서의 기업가치를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한편, 무형자산을 세분화함으로써 상대적인 중요성을 구분하여 투자자에게 올바른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다음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실증분석을 위해 사용된 Ohlson(1995) 모형을 바탕으로 무형자산과 무형자산을 세분화한 회계정보의 기업가치 관련성 검정하는 한편, 경제위기 전·후 무형자산의 장부가액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하여 경제위기 전(1989년∼1995년)과 경제위기 후(2001년∼2007년)로 나누어 두 기간의 절편과 기울기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하여 더미변수(Dummy Variable)를 이용한 가변수 회귀모형을 활용하였다. 무형자산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경제위기 전·후를 구분한 가변수회귀모형(dummy variable regression) 분석 결과, 무형자산을 세분화한 산업재산권과 개발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값이 나타났다. 이는 무형자산 정보와 무형자산의 세분화 정보가 자본시장에 유용한 정보로써 투자자의 올바른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관련성은 경제위기 전․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핵심무형자산의 개념과 측정 및 보고

        정도진,박성환,김종현,강평경,정아름 한국회계학회 2020 회계저널 Vol.29 No.4

        최근(2020.07.02) 상장된 SK바이오팜의 순자산이 –772억원임에도 상장 당일 시가총액은 약 10조원에 달하였다. 이렇게 현행 회계기준에 따른 재무보고는 기업의 시장가치와 장부금액의 괴리를 점점 커지게 하고, 정보이용자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실패하여 재무제표의 유용성이 저하되고 있다. 그 주된 원인 중의 하나는 현행 재무보고서가 기업 경쟁력의 핵심요소인 무형자산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충실히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회계기준에 따라 측정되고 있는 무형자산의 재무정보가 그 가치를 적정히 보고하고 있지 못한 한계를 분석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으로 ‘핵심무형자산’을 제시한다. 여기서 핵심무형자산이란 보고기업의 주된 영업활동과 관련하여 초과이익을 지속적으로 창출하며, 그에 대한 정보가 누락되거나 잘못 기재된 경우 보고기업의 재무정보에 근거한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무형의 요소를 의미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핵심무형자산의 가치를 적정히 보고함으로써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기여하기 위해 첫째, 해당 사업의 주된 무형의 가치를 창출하는 핵심무형자산을 식별하고 둘째, 핵심무형자산이 창출하는 미래 경제적 효익의 현재가치를 화폐단위로 표시하며 셋째, 핵심무형자산을 별도의 보고서로 공시하거나 재무제표의 본문에 포함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핵심무형자산의 속성을 식별하여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측정ㆍ보고하는 방안을 국내외 최초로 제시한 연구로서, 향후 무형자산 재무보고 개선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초석이자 길잡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SK Biopharmaceuticals which recently listed on the KOSPI market (February 2, 2020) had a net asset of -77.2 billion Korean won, the firm’s market capitalization on the listing date reached about 10 trillion Korean won. As this case indicates, under financial reporting following the current accounting standards, the informativeness of financial statements has been significantly decreasing because the gap between firms’ market values and book values is ever widening and the current financial reporting fails to satisfy demands by information users. This stems from the fact that the current financial reporting cannot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intangible assets which are key elements of firms’ competitive power. This study first examines limitations of the current financial reporting that is unable to appropriately report the value of intangible assets. And the study attempts to introduce a new concept of intangible assets named ‘Core Intangible Assets’ which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The core intangible assets represent crucial intangible elements of firms’ assets that enable the firms to sustainably generate excess earnings from the central operating activities and that can influence information users’ decision making i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ssets are omitted or misstated. By properly reporting the value of the core intangible assets in the financial statements, this study intends to help the information users’ decision making. To do this, the study suggests (1) how to identify core intangible assets which can create firms’ main intangible values, (2) how to measure and report the present value of future economic benefits in monetary unit that the core intangible assets will generate, and (3) how to incorporate information about the core intangible assets into a main body of financial statements or how to report the information in the separate statements. This study is a pioneering study to introduce the concept of core intangible assets and to present ways how to identify, measure and report them. The study can be useful guidance for discussions on the financial reporting improvement plans for intangible assets in the future.

      • KCI등재

        무형자산의 경제적 특성과 가치평가

        김흥수(Heung-Soo Kim) 한국부동산연구원 2004 부동산연구 Vol.14 No.2

        경제발전의 원동력이 유형자산, 금융자산에서 지적자산을 중심으로 하는 무형자산으로 변화하는 상황에서 무형자산의 중요성은 보다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무형자산의 중요성은 그 가치에 대한 평가가 올바로 이루어져야만 제대로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무형자산의 가치평가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무형자산의 정의와 가치평가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고유한 경제적 특성들을 살펴보았다. 주요한 가치창출요인인 비경합성, 규모신축성, 그리고 네트워크효과와 가치손상 요인인 부분적 배타성과 누출효과, 내재적 위험, 비시장성의 특성들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현행회계구조에서 이러한 무형자산의 경제적 특성들을 제대로 인식하고 공시하고 있는 지 살펴보았다. 대 부분의 경우 무형자산의 미래 수익창출 능력보다는 과거지향적인 원가에 바탕을 둔 회계처리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무형자산의 경제적 특성과 미래 수익창출능력에 바탕을 둔 정보공시가 얼마나 중요한 가를 분석하기 위해 두 가지 무형자산 즉, 개시기업의 미평가투자와 기존기업의 미평가학습의 가치창출효과를 실물옵션개념을 이용한 수익접근법을 사용하여 무형자산 가치평가의 중요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초기 기업의 미평가투자의 성공확률이 1%이라면 가치창출효과는 100배나 되었고, 기존 기업의 미평가학습에서 연구개발과 관련된 이익변동성(위험척도)은 학습기간이 10년, 이자율이 5~8%정도인 경우 평균적으로 실물자산투자와 관련된 이익변동성보다 3~4배, 이자율이 10~15%인 경우 5배 이상 높음을 알 수 있었다. The importance of intangible assets is ever growing in the current situation that the driving force of economic development is changing from tangible assets and financial assets to intangible assets centering on intellectual assets. The importance of intangible assets may be properly understood only when their values are assessed adequately. The present study reviewed the definition of intangible assets and investigate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intangible assets that must be considered in value assessment in order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valuation of intangible assets. It emphasized main value-creating factors such as non-rivalry, non-scarcity, scalability and network effect and valueimpairing factors such as partial-excludability, spillovers, inherent risk and non-tradability.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se economic characteristics of intangible assets are properly recognized and disclosed in the current accounting system. It was found that, in most cases, accounting was based more on the past-oriented costs of intangible assets than their capabilities of producing revenue in the future. In order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disclosure based on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of intangible assets and their capabilities of producing revenue in the future, this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valuation of intangible assets through a revenue approach based on the concept of real option, using two types of intangible assets, namely, the value-creating effects of unvalued investment in trial startup and unvalued learning in existing compani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if the probability of success of unvalued investment in trial startup is 1%, its value-creating effect was as high as 100 times, while profit changeability(risk scale) related to research and development in unvalued learning in existing companies is 3~4 times higher than that related to real asset investment on the average when the period of learning is 10 years and the interest rate is 5~8% and 5 times higher when the interest rate is 10~15%.

      • KCI등재

        기업회계 및 세법상 무형자산 범위 재설정에 관한 연구: 미국ㆍ영국ㆍ일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심충진 ( Chung-jin Shim ),김진태 ( Jin-tae Kim ),권해숙 ( Hai-sook Kwo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1 유라시아연구 Vol.18 No.4

        4차산업혁명 시대는 유형자산 보다 무형자산이 기업가치에 상대적으로 큰 미치는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로 인해 국내외 기업들은 유형자산 보다는 무형자산에 대한 투자에 집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무형자산의 중요성 증대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현행 회계기준과 개별세법은 무형자산의 범위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규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무형자산의 범위는 해외 주요국 및 OECD 가이드라인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좁게 설정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국내 무형자산 범위에 대한 정합성과 국제적 비교가능성이 저하되고 있다. 또한 무형자산과 관련된 용어의 불일치로 인해 납세자의 납세협력비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해관계자의 이해가능성 또한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회계기준, 법인세법, 소득세법, 상속세 및 증여세법,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상 무형 자산의 범위를 파악하고, 해외 주요국의 무형자산의 범위를 비교함으로써 무형자산의 범위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 무형자산의 범위에 대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회계기준과 개별세법 간 무형자산에 대한 범위를 다르게 정의함으로써 회계기준과 세법 간 정합성이 떨어진다. 둘째, 국내 무형자산에 대한 범위는 해외 주요국 및 OECD 가이드라인과 비교할 때 무형자산으로 인정될 수 있는 범위가 좁아 기업이 보유한 무형 자산(총자산)이 상대적으로 작게 인식된다. 셋째, 용어의 불일치성으로 인해 이해관계자의 무형자산에 대한 이해가능성이 저하되고 있다. 넷째, 납세자의 납세협력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무형자산의 범위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무형자산의 범위에 대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회계기준과 세법의 무형자산에 대한 범위를 통일화함으로써 국내 회계기준과 개별세법 간 정합성을 높여야 한다. 둘째, 무형자산에 대한 용어를 통일화해야 한다. 셋째, 셋째, 납세자와 과세관청 간 무형자산의 인식 차이를 조정하기 위한 사전협의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넷째, 법인세법상 무형자산에 범위에 확장을 위하여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의 무형자산 범위를 포함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통해 무형자산의 범위에 대한 국내 규정과 국외 규정 간 정합성과 비교가능성은 제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로 인해 납세자와 과세관청 간 불필요한 소송 또한 감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무형자산에 대한 용어 통일화로 인해 기업의 이해관계자들은 기업이 보유한 무형자산에 대한 이해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며, 이로 인해 국내 기업이 보유한 무형자산의 가치가 자본시장에서 적정하게 평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a relatively large impact on corporate value of intangible assets over tangible assets. As a result,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are focusing on investing in intangible assets rather than on tangible assets. Despite the increased importance of such intangible assets, the current accounting standards in Korea and the Individual Tax Act provide differently for the scope of intangible assets. The scope of these intangible assets is relatively narrow compared to the guidelines of major foreign countries and the OECD. This reduces the convergence of domestic intangible asset ranges and the international comparability. In addition, inconsistencies in terms related to intangible assets are increasing taxpayers’ tax cooperation costs and also creating problems that are less comprehensible to stakeholders. Thus, this study identifies the scope of intangible assets under tax law and presents problems and improvements to the scope of intangible assets in major foreign countries by comparing them. Problems with the scope of domestic intangible assets include: First, there is a lack of convergence between accounting standards and tax laws by defining different ranges of intangible assets between domestic accounting standards and individual tax laws. Second, the scope of intangible assets in Korea is relatively small as the scope of which can be recognized as intangible assets is narrow compared to the guidelines of major foreign countries and OECD. Third, the inconsistency in terms reduces stakeholders’ understanding of intangible assets. Fourth, taxpayers’ tax cooperation costs are increasing. To improve the problem with the scope of such intangible assets, the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improvements to the scope of such intangible assets: First, by unifying the scope of intangible assets in accounting standards and tax laws, convergence between domestic accounting standards and individual tax laws should be enhanced. Second, the terms for intangible assets should be unified. Third, a prior consultation system should be in place to adjust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intangible assets between taxpayers and tax authori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scope of intangible assets under the Corporate Tax Act in order to expand the scope of intangible assets. This would increase the convergence and comparability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regulations for the scope of intangible assets. It is also expected that unnecessary lawsuits between taxpayers and tax authorities will be reduced. The unification of the terms for intangible assets would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intangible assets held by the entity, which would result in the value of the intangible assets held by the entity being properly assessed in the capital market.

      • KCI등재

        연구논문 : 증권회사 고객예수금의 가치관련성

        이재은 ( Jae Eun Lee ) 한국회계학회 2012 회계저널 Vol.21 No.1

        고객관계무형자산은 금융기관의 대표적 무형자산이며, 증권거래고객예수금은 이러한 고객관계무형자산을 창출하는 항목의 하나이다. 증권회사의 고객예수금은 예수부채로서 기업가치를 감소하는 부채특성을 갖지만, 지속적 고객관계를 통해 안정적이고 장기적 수익(증권거래수수료 수익 등)을 창출하는 예치금이라는 점에서 고객관계무형자산 가치를 갖는다. 본 연구는 국내 증권회사를 대상으로, 증권거래고객관계를 나타낼 수 있는 고객예수금 계정이 가치관련성을 갖는지 실증조사한다. 증권회사의 고객예수금 규모가 클수록 무형자산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증권고객관계 기반이 더 크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증권회사의 고객예수금 계정의 전기총자산대비규모비율(규모비율)이 클수록 기업가치가 더 커질 것이다. 연구대상 표본은 2002년부터 2011년까지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에 상장되어 있는 증권회사 203개 기업·연도이다. Customer-related intangible assets are one of representative intangibles of financial institutions, which indicates favorable customer relationship from core deposits of commercial banks, credit card customers of credit card companies, or security brokerage accounts of security companies. High customer deposit balance represents that they have high loyalty customers maintaining the deposit accounts and continuing fee income-generating transactions for a long time. For instance, core deposits of commercial banks are customer deposits such as checking accounts or passbook accounts, usually bearing no or minimal interests with no maturity (i.e. matured on demand) or short- term maturity periods. However, the customers do not generally withdraw the account deposits at once even though they are matured on demand, but maintains certain level of money for a long term period.

      • KCI등재

        무형자산이 외부감사에 미치는 영향

        정기위,채수준 한국공인회계사회 2016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8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angible asset which is an important element of evaluating company’s value and audit hour and audit fee which represents audit effort by auditor. Intangible asset has a high level of audit risk compared to other asset because intangible asset is invisible and satisfy strict definitions to be recognized in the financial stat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Intangible asset increases audit hour and audit fee compared to PPE. This results means that auditor increases audit risk of intangible asset because of invisibility of intangible asset and judging of identifiability. Furthermore, intangible asset is more related to audit effort after the adoption of K-IFRS. It is because K-IFRS requires the different accounting treatment of intangible asset such as no depreciation but testing impairment of goodwill while K-GAAP requires depreciation under 20 years. Finally, big accounting firm who has a more interest in reputation effect than local accounting firm put more effort in auditing intangible asset. This study finds the auditor’s respond to the audit risk by employing intangible asset. This results contributes that audit risk related to intangible asset is offset by auditor’s effort that auditor’s due care increases the reliability of the financial statement. 본 연구에서는 현대사회에서 기업가치 창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무형자산이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로 측정한 감사노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무형자산은 육안으로 식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 가치를 판단하기가 쉽지 않아 다른 자산에 비해 보다 엄격한 자산 인식기준을 적용한다. 이에 가설 1에서는 무형자산이 감사위험을 높힐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검증하였는데 실증 분석 결과 총 자산 대비 무형자산의 비중이 높아질수록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가 증가하였다. 가설 2에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에 따라 무형자산의 감사위험이 높아졌는지 검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 이후에 무형자산의 비중이 높아질수록 감사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행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과거 K-GAAP에서 인식하지 않았던 고객목록 등의 무형자산이 별도로 인식되고, 무형자산에 대한 재평가모형도 원가모형에 추가하여 허용하고 있으며 영업권을 비상각자산으로 규정하여 순이익이 증가하는 등 이익의 변동성이 초래되어 감사위험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감사인 규모에 따라 무형자산에 대한 감사시간과 감사보수가 차별적으로 나타났는지 검증하였는데 상대적으로 감사품질이 높고 자본시장 내에서 평판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높은 대형회계법인이 감사위험이 높은 무형자산에 대해 더 많은 감사노력을 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공헌점으로는 타 자산에 비해 감사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무형자산에 대한 감사인의 반응정도를 살펴봄으로써 감사인이 재무제표의 위험을 낮추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데에 있다. 뿐만 아니라 새로 도입된 무형자산 관련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도입 또한 감사위험을 증가시키고 있었지만 감사인은 적절한 노력을 투입하여 감사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검증되어 무형자산에 대한 외부감사는 효과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후보

        무형자산 회계처리에 따라 회계이익에 미치는 영향 -㈜제니스월드의 사례분석-

        이규진,배기수 한국회계정보학회 2012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12 No.3

        This study analyze through case study method the virtuous circle that success of new product development drive plant and equipment investment in the semiconductor firm and this drive increasing sales. we studied accounting stand of amortizati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intangible asset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It is confirmed that the virtuous circle of new product development is being made in the semiconductor firm. Zenithworld company apply as follows cost allocation accounting treatment of tangible assets and intangible assets. That is, depreciation is involved in overhead cost of manufacturing cost in case of being relation with manufacture. and is treated as cost of goods sold in selling but inventory asset in not selling. On the other hand, amortization is treated as expense. It is considered that intangible assets influence better income statement than tangible assets as this difference. K-IFRS regulate as follows about amortization. Amortization is generally recognized as the profits and losses for the current term. But if the capacity to provide future benefits of intangible assets is used in manufacture of other asset, amortization is involved in overhead cost. Therefore amortization treatment of Zenithworld company hinder proper Matching principle. This hinder earnings quality and influence decision making of information user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many good learning opportunities. First,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intangible assets. Second, this study shows how separate amortization method influence financial statement of the Zenithworld company. Finally, it is expected that provide a definite case on precedent study for amortization to influence matching principle. 본 연구는 반도체기업에서 신제품 개발(무형자산)의 성공이 설비투자를 유인하고 이는 매출의 증대로 이어지는 선순환의 고리가 나타나는지 사례분석을 통하여 규명한다. 또한 신제품 개발을 통하여 발생하는 무형자산의 상각에 대한 회계처리를 살펴보도록 한다. 특히 반도체산업과 같은 첨단산업에서는 무형자산의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신제품 개발을 통한 선순환의 고리가 실제 기업에서도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본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제니스월드는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의 상각에 대해 다음과 같이 회계처리하고 있다. 즉, 유형자산의 감가상각은 제품제조와 관련이 있으면 제조원가 중 제조간접비에 포함되어 매출 시에만 매출원가로 처리되고, 매출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재고자산으로 계상된다. 반면, 무형자산상각비는 전액 당기비용으로 처리하고 있다. 이러한 회계처리의 차이로 인해 유형자산보다 무형자산이 당기손익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으로 사료된다. 현행 기업회계기준은 무형자산 상각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무형자산상각비는 일반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무형자산의 미래 경제적 효익이 다른 자산의 생산에 사용되는 경우, 그 무형자산상각비는 다른 자산의 원가를 구성하여 장부금액에 포함한다. 따라서 ㈜제니스월드의 개발비상각에 대한 회계처리는 적절한 수익․비용대응을 저해하여 이익의 질을 떨어뜨리고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학습기회를 제공한다. 첫째, 기업의 무형자산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둘째, 무형자산 상각에 대한 회계처리가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무형자산 상각의 회계처리가 수익․비용대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지식기반 사회의 무형자산 측정ㆍ평가와 과제에 관한 연구

        노직수(Rho Jik-Soo) 한국국제회계학회 2007 국제회계연구 Vol.0 No.20

        본 연구는 기업경영이 정보화ㆍ지식사회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무형자산 또는 지식 자산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점을 반영하여 무형자산에 관한 국제회계기준, 미국의 회계기준서, 우리나라의 기업회계기준서 등 여러 문헌을 비교ㆍ검토하여 무형 자산의 회계처리에 관한 해결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무형자산에 대하여는 금액지표 외에 다른 수량적 지표들을 보충적 정보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업의 재무적 가치와 무형자산과의 관련성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특정 무형자산에 관한 한 그 적용범위를 제시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측정된 지표는 각 기업 간 비교가 가능하고 과거로부터의 변화를 추적할 수 있도록 표준화되어야 한다. 다섯째, 각 무형자산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평가방법을 도입하여야 한다. 요컨대 국제적인 투자 및 M&A가 많이 발생하는 현대사회에서 우리나라 기업회계 기준서는 국제회계기준 간의 차이를 줄여 조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투자환경에 반영될 수 있는 무형자산에 대한 회계기준들이 구체화되어 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literatures: IAS, SFAS, and SKAS relating to intangible assets, reflecting fact that as a business is managed in information-oriented and knowledge-based society, intangible assets and intellectual assets grow more important. Solutions relating to the measurement and valuation of intangible assets are as follows; First, not only amount index but also quantity indexes are necessary to be used as additional information in intangible assets. Second, connections between financial value of a business and intangible assets should be proved Third, It is necessary that the limit of application be suggested as for intangible assets. Forth, Measurement indexes should be standardized in order to compare a business with another and recognize changes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Fifth, Various valuation methods should be introduc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intangible assets. In a word, not only plans that harmonize SKAS with IAS should be found but also accounting standards of intangible assets reflected on investment environment should be actualized in modern society where international investment and M & A very often occur.

      • 무형자산성 가치, 재무적 특성 및 영향요인

        오희장 ( Hee Jang Oh ) 한국금융정보학회 2016 금융정보연구 Vol.5 No.1

        일반적으로 지식정보에 기반하는 경제가 성숙될수록 무형자산이 실물자산 또는 금융자산 못지않게 기업의 수익성 및 가치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특성을 가지나 회계적으로 측정되어 재무제표에 보고되는 범위는 극히 제한적이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경영성과 및 시장경쟁력 등의 내재가치에 비해 저평가되는 현상이 지속되어 왔으나, 브랜드 및 기술 등의 무형자산이 시장가치 또는 장부가치를 상회하는 높은 가격으로 판매되는 사례들이 보고되곤 하였다. 이러한 현상에 주목하여 우리나라 기업에 내포된 무형자산의 시장가치에 대한 현황 및 이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14년까지 코스닥시장에 등록된 946개 비금융기업이 표본으로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먼저 표본집단의 무형자산성 가치배율{(시가총액-장부순자산)/장부순자산}은 연평균 2.5195(금융위기전 6년은 3.7688, 금융위기후 6년 1.7231)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무형자산성 가치는 제조업(-), 연구개발비(+), 기업집단이미지(+), 한국어 상호(-), 신용평점(+), 장부상 무형자산비중(+), 수출비중(+), 기업규모(+)에 의해 중요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제조업, 연구개발비, 기업집단이미지, 광고선전비는 금융위기 전과 후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 이들 변수는 경제환경에 따라 무형자산성 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함을 보여주었다. 기술력 및 브랜드, 신용이 무형자산성 가치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이러한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기업의 무형자산성 가치 및 영향요인 등에 관한 실증적 자료로 제공되어, 성숙된 지식정보 경제환경에서 경영성과 증대 및 기업가치 향상을 위한 전략개발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우리나라 기업의 저평가 논란 및 배경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도입된 무형자산성 가치 개념과 배율은 무형자산 및 관련분야 연구에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될 가능성과 더불어 연구영역의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 of the enterprise` comprehensive intangible market values with intangible assets for the companies listed on the Korea Exchange(KOSDAQ). The sample used in this research consists of 946 non financial firms, over the period from 2002 to 2014. Whereas the existing papers that evaluated the financial performances or total market prices of the company`s intangible assets. In this study was used new concept named the intangible market value ratio, the formula of it is as follows: (aggregate market value amounts - net assets on books) / net assets on books, and examined the relation of the corporate`s intangible market value ratio with intangible asset factors, such as brand, human, credit, and technology.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nual average intangible market value ratio for the 13 years is 2.5195(6 year before financial crisis is 3.7688 and 6 year after crisis is 1.7231). This means that Korean corporation`s intangible asset values higher than its capitals and It means that Korean company not be undervalued. Second, the determinants of the firms that relatively higher intangible values are non-manufacturing industries, R&D ratio, image the enterprise integration, foreign language company name, credit score, intangible assets portion on books, exports, and firm`s size. These results are provided on the usefully empirical base for the intangible assets using strategy and provided on the implications about Korea Discount. Moreover, the new concept and ratio used in the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the more useful as a tool for the measuring of intangible market values and testing of intangible assets.

      • KCI등재

        무형자산 회계기준에 대한 국제비교 연구

        윤석철 대한경영학회 2005 大韓經營學會誌 Vol.18 No.1

        This study explores the comparison of accounting standards for intangible assets in IASB, KASB, U.S. and Japan GAAP, and reviews the accounting issues related to the intangible assets, analyze the problem and discover the improvement of that accounting and disclosure. The result is presented as below.First, intangible assets definition is difficult to apply in practices are suggested. Because definition factor is declarative and abstractive, in the concrete meaning of ‘control’, ‘identifiability', the scope of intangible asset for accounting report should be expanded even if there is not sufficient to meet rigid definition of that.Second, the application of recognition criteria and initial measurement of intangible assets is based on the acquisition cost in the active market. But these facts could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ctual intangible asset. Measurement basis of fair value is suggested in the long run. Fair value measurement model as alternative model should be exploited in the field of intangible assets. In consequence that measurement model is recommended in the accounting standard.Third, the scope of recognition criteria in the internally generated intangible assets is exceedingly rigid. Merely research and development cost as expenditure in the research & development phase is mentioned as current Korean accounting of internally generated intangible assets, such as U.S. GAAP and IAS.Fourth, comprehensive scope of and various way of disclosure in the intangible assets is required. Such as intellectual assets or unidentifiable intangible assets should be disclosed, even if separate voluntary report, related notes and so on. 본 연구는 무형자산 회계처리 상 논점 고찰과 주요국의 무형자산 회계기준을 검토하였다. 그 내용으로 국제회계기준, 한국의 기업회계기준서, 미국 및 일본의 회계기준상 무형자산에 관한 정의, 측정인식, 회계처리 및 공시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 기업회계기준서의 논점이 되는 부분과 적용상의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첫째, 무형자산의 정의 요건이 선언적이고 추상적이어서 실무 적용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통제와 식별가능성의 요건은 객관적인 증거가 없더라도 성립하며, 특정 무형자산만의 직접 효과를 추출하기 어렵다. 따라서 엄격한 정의 요건 적용이 실무적으로 어려운 경우 적극적인 측정 및 공시방법의 개발로 무형자산의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둘째, 무형자산 인식 요건의 적용과 최초 평가시 실제시장에서의 취득원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무형자산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무형자산 측정시 공정가액 기준 도입과 중장기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대체적인 측정모형으로서 공정가액 추정모형 등의 개발과 이들의 회계기준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셋째, 현행 기업회계기준서 상 내부적으로 창출된 무형자산의 인식범위를 엄격히 한정하면서 연구개발비 중 개발단계에서 발생한 개발비 중 일정요건을 충족하는 경우만 무형자산으로 인식한다. 미국 회계기준상 구체적 실무와 국제회계기준 규정처럼 특정 무형자산의 개발 및 인식, 적용범위를 제시해주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넷째, 무형자산의 공시범위와 방법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현행 각국 회계기준 상의 정의 요건이나 인식기준의 범위를 넘어 지적 자산까지 포함하는 재무제표와 별개의 자발적 보고서의 공시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