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네무질서(Neighborhood Disorder)’개념 및 측정도구 탐색

        홍현미라(Hong Hyun Mee Ra)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3

        동네무질서 현상은 미시적으로는 우울이나 불안, 무력감과 같은 심리적 고통을, 중시적으로는 거주자 간의 불안감 조성 및 비공식적 통제의 약화, 그리고 이주 증가의 사회문제를 수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동네무질서 현상에 착목하여, 연구목적을 동네무질서에 대한 개념 및 측정 도구를 탐색하는 것으로 하였다. 즉, 전문가와 문헌고찰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고 그 척도를 통계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구성타당도를 확보하고 세부적인 요인구조를 탐색하는 것이다. 동네무질서의 개념 및 측정 도구 논의는 국내·외 논문을 기반으로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의 결과, 측정 도구에 대한 실증적 접근을 위해 국내·외에서 사용 빈도와 평가 측면에서 가장 높이 평가되고 있는 Ross와 Mirowsky(1999)의 ‘인지된 동네무질서 척도’를 선택하였다. 선택한 척도에 대한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은 지역특성을 반영하여 저소득층 지역, 영구임대아파트지역, 상권지역, 그리고 중산층지역에서 각각 표집하여 서울시 거주민 798명으로부터 하였다. 척도에 대한 신뢰도 검사와 타당성 검증(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동네무질서 개념고찰에서는 동네무질서는 물리적 측면만이 아니라 사회적 측면도 포함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선택한 척도에 대한 실증 분석결과는 신뢰도(α=.844)와 타당도가 적절하였다. 셋째, 타당도 검증에서 원척도와 달리 문항 수는 12문항, 요인구조는 2-요인구조, 즉 ‘무질서’요인과 ‘질서’요인인 것으로 나왔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서구사회의 동네무질서의 인지에 있어서 동네무질서 발현공간 중심(물리적·사회적 공간)이었다면, 한국의 경우 무질서와 질서의 존재 여부가 중요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동네무질서 척도개발의 기초자료로서의 유용성을 지닌다. 아동이나 노인 및 장애인 등의 취약계층의 안전을 담보하고 보호할 수 있는 실천과 정책개발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범죄예방을 위한 지역 지표 개발에도 유용할 것이다. Neighborhood disorder phenomenon may negatively affect residents’ psychological health problems such as depress, anxiety, powerlessness and increases fear among residents, weakens informal social control, contributes to emigration. While focusing on neighborhood disorder phenomenon which could be threaten residents’ safety, this paper explores discussing the concept and scales of neighborhood disorder. In other words,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and verify content and construct validity, factor structure through statistic analysis in Korea based on the experience data. Discussing the concept and scales of neighborhood disorder was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is paper was used ‘Perceived Neighborhood Disorder’ by Ross and Mirowsky(1999) which was empirically verified in domestic and abroad in terms of frequency of use and evaluation. For this purpose, 798 cases are selected from four types of Seoul City that are low-income area, permanent rental apartment area, commercial area, middle class area. The stages of validation are included reliability test(chronbach a coefficient) and validation test(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firstly, the concepts of neighborhood disorder included both social and physical disorder. Secondly, the scale was appropriate in reliability(α=.844) and validity for the total scale. Thirdly, This scale included 12 final items and 2-factor structure(disorder and order factor).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y, the concept of neighborhood disorder’s factors are physical space and social space in western society. In this paper, however, existence of disorder or order in their neighborhood could be more important factor in Korea. This results would be useful to develop scale of neighborhood disorder as a fundamental knowledge. And this study results could be develop effective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for safety and care of minority such as children, elderly people and disabled. Furthermore, this results would be useful to develop regional indicators for crime prevention.

      • KCI등재

        성별에 따른 범죄피해위협의 영향요인 차이분석

        윤우석(Yun WooSuk) 한국범죄심리학회 2017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범죄피해위협(범죄두려움, 범죄피해 위험인지, 범죄예방행동) 영향요인의 성별차이를 파악하는 것이다. 범죄피해위협은 범죄피해에 대한 걱정, 우려, 행동의 제약으로 구성되는 복합적인 개념으로 이해된다. 이에 이 연구는 개인의 범죄피해위협을 범죄두려움, 범죄피해 위험인지, 그리고 범죄예방행동으로 설정하고 범죄피해위협 영향요인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의 수행을 위해 연구자는 대구시에서 650명의 시민들로부터 설문자료를 획득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의 범죄피해위협은 성별에 따라 영향요인이 상당히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범죄피해위험인지를 예측한 모델에서 남성의 범죄 피해 위험인지는 범죄피해경험, 가구소득, 물리적 무질서의 영향을 받는 반면 여성의 위험인지는 지역유대, 물리적 무질서, 그리고 사회적 무질서의 영향을 받았다. 다음으로 범죄두려움 모델에서 일반 범죄두려움은 성별에 상관없이 무질서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남성의 경우 범죄피해경험 역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편 구체적 두려움은 범죄피해경험, 범죄발생추세, 물리적 무질서, 그리고 사회적 무질서가 남녀 집단 모두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성 집단에서는 지역유대와 연령 역시 유의미했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범죄예방행동은 전반적으로 설명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보호행동에서 남성은 범죄피해경 험, 공식적 사회통제, 물리적 무질서의 영향을 받는 반면 여성은 지역유대 와 사회적 무질서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성별 영향요인의 차이가 드러났다. 자기보호행동에서도 남성은 범죄발생추세의 영향을 일부 받을 뿐 이었으나 여성은 비공식적 사회통제, 학력, 범죄피해경험, 사회적 무질서의 영향이 나타났다. 이상에서 볼 때, 범죄피해위협은 남녀 성별에 따라 영향 요인에 차이가 존재하므로 성별을 고려한 경찰정책의 도출이 요구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범죄피해위협(범죄두려움, 범죄피해 위험인지, 범죄예방행동) 영향요인의 성별차이를 파악하는 것이다. 범죄피해위협은 범죄피해에 대한 걱정, 우려, 행동의 제약으로 구성되는 복합적인 개념으로 이해된다. 이에 이 연구는 개인의 범죄피해위협을 범죄두려움, 범죄피해 위 험인지, 그리고 범죄예방행동으로 설정하고 범죄피해위협 영향요인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의 수행을 위해 연구자는 대구시에서 650명의 시민들로부터 설문자료를 획득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의 범죄피해위협은 성별에 따라 영향요인이 상당히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범죄피해위험인지를 예측한 모델에서 남성의 범죄 피해 위험인지는 범죄피해경험, 가구소득, 물리적 무질서의 영향을 받는 반면 여성의 위험인지는 지역유대, 물리적 무질서, 그리고 사회적 무질서의 영향을 받았다. 다음으로 범죄두려움 모델에서 일반 범죄두려움은 성별에 상관없이 무질서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남성의 경우 범죄피해경험 역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편 구체적 두려움은 범죄피해경험, 범죄발생추세, 물리적 무질서, 그리고 사회적 무질서가 남녀 집단 모두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성 집단에서는 지역유대와 연령 역시 유의미했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범죄예방행동은 전반적으로 설명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보호행동에서 남성은 범죄피해경 험, 공식적 사회통제, 물리적 무질서의 영향을 받는 반면 여성은 지역유대 와 사회적 무질서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성별 영향요인의 차이가 드러났다. 자기보호행동에서도 남성은 범죄발생추세의 영향을 일부 받을 뿐 이었으나 여성은 비공식적 사회통제, 학력, 범죄피해경험, 사회적 무질서의 영향이 나타났다. 이상에서 볼 때, 범죄피해위협은 남녀 성별에 따라 영향 요인에 차이가 존재하므로 성별을 고려한 경찰정책의 도출이 요구된다.

      • KCI등재

        경찰활동, 무질서와 범죄두려움의구조적 관계

        이선범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8 경찰학논총 Vol.13 No.1

        The effectiveness of reducing fear of crime through police activities will be an important factor in establishing policing policies. Because of this importance, th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reducing the fear of crime through police activities has been conducted steadily. This study that has successive meanings of previous studies and demonst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disorder from relationship between police activities and fear of crim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ample of 243 people, resident of City of Ansan, Gyeong-gi Province,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Those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18.0.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is study demonst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disorder from relationship between police activities and fear of crime. Firstly, we tested whether police activities influenced disorder. The result was found that the police activities had negative effects on the social and physical disorders. Secondly, we also tested whether disorder influenced fear of crime. The result was found that the social disorder had positive effects on the fear of crime but physical disorder showed no effect. Thirdly, we tested whether police activities influenced fear of crime. It was identified that fear of crime was lower when citizen were more aware of police activities. Also,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disorder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e activities and the fear of crime.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olice activities perceived by the citizens could reduce the fear of disorder and crime, and reduce the fear of crime by mediating social disorder. Thus, police activities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in crime fear and disorder reduction. 경찰활동을 통한 범죄두려움 감소의 효과성은 치안정책 수립 시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이러한 중요성으로 인해 경찰활동을 통한 범죄두려움 감소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수행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앞서 수행되었던 선행연구의 연속적인 의미를 지니는 연구로 경찰활동과 범죄두려움의 관계, 이 두 변수사이에서 무질서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안산시 주민 24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AMOS 18.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활동이 무질서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 보았다. 그 결과 경찰활동은 사회적 무질서와 물리적 무질서 모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무질서가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 보았다. 그 결과 사회적 무질서는 범죄두려움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물리적 무질서는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았다. 셋째, 경찰활동이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 보았다. 그 결과 경찰활동을 높게 인지한 시민일수록 범죄두려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무질서는 경찰활동과 범죄두려움의 관계에 있어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시민들이 인지하는 경찰활동이 무질서와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사회적 무질서를 매개하여 범죄두려움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경찰활동은 범죄두려움과 무질서 감소에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후보

        무관용 경찰활동을 통한 무질서 대응방안

        장덕형 ( Deok Hyung Jang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法學硏究 Vol.19 No.3

        정부는 최근 사회전반에 걸쳐 무관용 원칙과 무관용 경찰활동을 화두로 법질서에 대한 강화를 추진하려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가장 우려되는 것은 무관용 경찰활동이 강화될 경우 미국에서 기 경험한 경찰의 과잉진압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무관용 경찰활동은 경찰의 과잉진압이 유발되지 않는 환경조성과 경찰 자신의 경계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무관용 경찰활동을 통한 무질서 대응방안과 관련하여 시위 무질서, 행위 무질서, 물리적 무질서의 선별적 추진방향과 장기적 측면에서의 경찰활동의 도출을 목표로 진행되었으며, 이러한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위무질서 측면에서 합법적인 시위는 보장되어야 하나 폭력을 동반하는 불법시위·파업과 같은 시위 무질서는 무관용 경찰활동을 적용하여 단호하게 대처하되 시위과정에서 경찰의 과잉진압은 경계하여야 한다. 둘째 행위 무질서 측면에서 매춘부, 마약중독자 문제는 무관용 차원의 기존 법의 집행과 보호 및 치료시설의 연계를 통하여 사회복귀를 추진하고 난폭한 청소년의 예방은 가정, 학교 및 지역사회의 관심 속에서 무관용 경찰활동을 통한 엄격한 단속 보다는 온정적인 측면에서 선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알콜 중독 상태로 부랑상태에 있는 사람, 구걸자, 정신이상자 등은 지역사회로부터 장기간 퇴거명령을 내려 지역사회를 청결하게 만들려는 다양한 시도는 목적-수단 사이의 형량에 있어 상당성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수용할 시설확보와 재활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자동차 문화와 관련된 도로상 무질서 가운데 사고의 치명도가 높은 신호위반 및 과속은 범칙금을 상향시킬 필요가 있으며 노인 및 어린이 보호구역에서는 영향권 범위 내 일정 구간을 설정하여 고속도로에서 운영되고 있는 구간 과속 단속 개념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오토바이 폭주족에 대해서는 경찰의 기술과 장비를 개발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비가 요구된다. 셋째, 물리적 무질서 측면에서 낙서문제는 우리나라의 경우 그리 큰 사안이 안 되나 이와 같은 깨어진 창의 관리는 경찰이 아닌 기초자치단체 차원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오물 쓰레기 투기 문제는 감시를 위한 각종 선회식 비디오, 기존 CCTV 이외에 무질서 상황의 인지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지능형 CCTV의 확대 설치가 필요하다. 넷째, 무관용 경찰활동의 추진 방향은 법 질서 확립 차원에서 단기적 유영 전략이라 할 수 있어 장기적 측면에서 지역사회와의 공조를 통한 치안활동의 공동생산 측면의 강점이 있는 문제 지향적 경찰활동을 포괄하는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추진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겠다. This paper applies a zero tolerance of police activities and demonstrations related to the direction of the disorder, conduct disorder, physical disorder, the selective promotion of police activities in terms of direction and long-term goal. It was going to derive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being as follows. First, the disorder in terms of legitimate protest demonstrations accompanied by violence, one must ensure that illegal protests such as demonstrations, strikes and disorder by applying a zero tolerance for police activity, but resolutely respond in protest of police cruelty should be the boundary. Second, in terms of conduct disorder, prostitutes, drug addicts problem is zero tolerance level of law enforcement and protection of existing treatment facilities and linkages through the promotion of rehabilitation and prevention of violent youth from the home, school and community interest in the zero tolerance. The police activity over the leadership in terms of warmth, rather than a strict crackdown that must be made to do. As alcoholism Homeless people, beggar, psychopaths, etc, communities evicted from the long-term clean down to the community to try to create a variety of purposes -means because they are a significant lack of justification for securing and rehabilitation facilities to accommodate the development needs of the program. Car culture is associated with a fatal accident on street disorders among high-signal violations, and speeding up the ticket by the need to strengthen as in the more protected areas for children and the elderly. And the influence range of sectors by setting being operated on a highway sectors of the pulled over by the concept of conversion is required. For a motorcycle gang in police technology and equipment to respond in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is required. Third, in terms of a physical disorder, graffiti problems in Korea is not a big issue compared to the broken window, but the future is not based on official police authorities to ensure waste from the trash-dimensional problem for monitoring various rotating video in addition to the existing situation, whether CCTV automatically taken to the expansion of intelligent CCTV installation is required. Fourth, promoting zero tolerance policing in the short term direction of strategy to establish law and order can be called to work with the community in terms of long-term security through co-production aspects of the strengths of community-oriented policing to cover the problem-oriented policing.

      • KCI등재

        무질서 인식이 청소년들의 부정적 감정 및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 검증

        김혜영(Kim, Hye-Young),윤우석(Yun, Woo-Suk) 한국공안행정학회 2015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4 No.3

        최근 청소년 비행연구에서 거시와 미시수준의 변인을 동시에 고려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무질서 인식이 청소년의 불안 및 우울이라는 부정적 감정 그리고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청소년패널조사(KYPS) 4차와 5차 자료에서 2265명의 개인수준 설문자료를 추출하고 거주 지역에 기초하여 다시금 85개 시군구의 2005년 인구센서스 자료와 병합하여 HLM 6.02를 사용하여 HLM, HGLM 분석을 실시하였다. 청소년의 불안 및 우울을 예측하기 위한 HLM과 청소년비행여부를 묻는 HGLM분석을 실시하였으나 거의 대부분의 거시변인들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아마도 시, 군, 구 단위의 광범위한 지역수준 자료의 사용으로 명확한 영향파악이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추가적으로 거시와 미시를 구분하지 않고 지역수준의 주요변인들 중 무질서(학교무질서 인식, 지역무질서 인식)와 집합적 효율성(사회유대와 비공식적 사회통제)을 고려한 회귀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역사회의 무질서 인식과 학교 무질서 인식이 청소년의 불안및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합적 효율성 역시 청소년들의 불안 및 우울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지위비행을 예측하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분석모델에서 불안 및 우울감은 모든 종류의지위비행에 영향을 미쳤고 무질서 중에서는 학교 무질서가 흡연, 음주, 무단결석과 같은 지위비행을 증가시키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 무질서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일 경우, 청소년들이 지위비행에 가담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학교주변의 물리적, 사회적 무질서를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청소년 지위비행의 억제 및 예방을 위해 중요해 보인다. 또한, 청소년들의 불안 및 우울감이 지위비행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청소년들의 불안 및 우울감에 대한 학교 차원의 상담프로그램 도입 및 활성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어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actically how community disorder effects juvenile delinquency, the anxiety and depression. Until recently Criminology literature in Korea has not made an attempt to examine the correlations of macro-level factors, such as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nd micro-level factors, such as the experience of anxiety and depression to juvenile delinquency. Therefore, this study will take a look at the impacts of both macro-level factors and micro-level factors on juvenile delinquency and the experience of anxiety and depression. This study presents not only community's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community disorder as macro-level factors but also the experience of juvenile delinquency, anxiety and depression as micro-level factors. Structur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by poverty rate, mobility rate, and divorce rate from official statistics. Function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by social bond and informal social control from the data of KYPS(Korea Youth Panel Study). The micro-level factors were measured by the KYPS data which shows whether juvenile had ever experienced any status delinquency and anxiety and depression. The data based on the KYPS was gathered from 85 regions, 2265 juveniles to examine effects of the macro-level factors on micro-level factors. This study used HLM 6.02 as on of the analysis tools. HLM analysis results show that none of the macro-level factors had effect on anxiety and depression. HGLM analysis is execu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acro-level factors, anxiety and depression on status delinquency. HGLM analysis results show that anxiety and depression had an significant effects on juvenile delinquency. These results stem from the facts that the sample were measured broadly, so it was difficult to verify the hypothesis on this study. For this reason, extra analysis such as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execute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structural characteristics had no effect on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divorce rate were significant factor to community disorder. In addition, informal social control was the factor which reduces school disorder. Moreover, results from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in every model, both the school disorder and the anxiety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juvenile delinquency. These results are supportive to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regarding reduction of juvenile delinquency are that it is necessary many schools to try to prevent and manage the anxiety and depression for juveniles. Secondly, It is important to rectify the physical and social disorder around schools.

      • KCI등재

        범죄 두려움과 무질서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현수(Hyun-Soo, Park) 한국범죄심리학회 2018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4 No.3

        이 연구는 범죄 두려움과 개인의 지각된 무질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같은 지역 내에서 무질서를 거주민이 평가하는데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차이가 있다면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무질 서에 대해 지역의 무질서와 개인이 지각한 무질서로 구분하고, 범죄 두려움과의 인과적 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즉 지역의 무질서는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고, 범죄 두려움은 개인의 지각된 무질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인근의 무질서에 대한 평가는 같은 지역에 거주하는 거주민들 간에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다음으로 연구 모형에 대한 검증결과를 살펴보면, 지역의 무질서는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범죄 두려움은 다시 개인의 지각된 무질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fear of crime and individual’s perceived incivility.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ssessment of incivility by residents in the same area, and tried to explai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differences. The incivility was classified into level of neighborhood and individual, and the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fear of crime was designed as a research model. In other words, neighborhood’s incivility affects fear of crime, and fear of crime affects an perceived incivility of individual. As a result, the assessment of neighborhood incivility showed a difference between residents in the same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neighborhood incivility is affecting the fear of crime. The fear of crime was found to affect the individual’s perceived incivility.

      • KCI등재

        청소년 가출과 다중피해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무질서의 가중효과

        김준범(Kim, Joonbeom),최유일(Choi, Yuil)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가출과 다중피해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무질서의 가중효과를 검증하여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학술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2014년 진행한 ‘청소년 대상 범죄피해조사’연구에서 전국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횡단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7,109명의 응답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 중 가출 유경험 청소년은 전체의 2.6%(186명)으로 나타났으며, 가출 유경험 청소년일수록 거의 모든 범죄피해 유형에 노출될 승산이 무경험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지역사회 무질서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그리고 경찰활동을 투입하여 잠재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 무질서 수준에 따라 ‘고’, ‘중’, ‘저’의 세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무질서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다중피해 유경험자의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모형 분석 결과, 가출 유경험 여부와 지역사회 무질서 수준은 모두 다중피해 위험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가운데, 가출 무경험 청소년의 지역사회 무질서 수준의 증가에 따른 다중피해위험은 3.65배 증가하는 반면, 가출 유경험 청소년은 최대 6.08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출 유경험 청소년에게서 지역사회 무질서의 가중효과가 더욱 가파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가출에 대한 인식의 개선 및 이들의 다중피해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적 개입의 중요성과 이를 위한 정책적, 학술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runaway youth and poly-victimization, with a focus on the aggravating effect of community disorders. Cross-sectional data taken from 7,109 middle and high school aged adolescents were obtain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in 2014. Frequency and descriptive analysis, latent profile analysis, logistic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were conducted utilizing both the Mplus 6.0 and Stata 13.0.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2.6% (n=186) of participants had experience of running away from home, and those subjects were more vulnerable to be exposed to almost all sub-types of poly-victimization. Second, three profiles with levels of community disorders were identified, and the higher level of disorders were associated with the greater level of poly-victimization. Third, participants with experience of having run away from home showed larger aggravating effect as the level of community disorder rose toward polyvictimization than those from the non-experienced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e political, and research implications for mitigating the risks of poly-victimization among runaway youth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역사회 안전인식에 관한 연구 - 사회통합모델과 무질서모델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

        이유미,장현석 대한범죄학회 2015 한국범죄학 Vol.9 No.1

        Many previous studies measured and analyzed the 'fear of crime' to conduct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security in the local community.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directly measured the perception of security in the local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community security (from crimes)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used in the fear of crime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a structural educ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physical and social disorders from the disorder model as well as social bonding and informal social control from the social integration model in oder to explain the perception of security in the community. This study foun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ception of community security and all other latent factors. That is, social disorder, social bonding, and informal social control g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perception of community security confirming the previous modeling specifications in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differently from study hypothesis, physical disorder showed th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ocial bonding and informal social control. Still social disorder showe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with social boding and informal social control supporting research hypothesis. The study results implies how important it is for the policy makers to consider social environments in establishing policies for the community security.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안전에 대한 인식을 주제로 하는 대다수의 연구가 해당변수를 측정하는데 ‘범죄두려움’ 문항들을 사용한 것과는 달리 지역사회 주민들의 ‘안전에 대한 인식’을 직접 측정한 변수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 하였다. 또한 범죄두려움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에 범죄두려움 모델 중에서 지역사회 환경과 관련이 있는 무질서모델과 사회통합모델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안전에 대한 인식을 설명하는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유대감, 그리고 비공식 사회통제가 지역사회 안전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 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사회 안전에 대하여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유대감, 비공식 사회통제 등의 모든 변수가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특이한 점은 물리적 무질서가 유대감과 비공식 사회통제와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나타내서 연구가설과는 상반된 관계를 나타났으나, 사회적 무질서는 유대감, 비공식 사회통제와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나타내어 기존연구가설을 지지하였다. 따라서 한국의 경우 물리적인 환경보다 사회적 환경 요인이 중요함을 보여 주었고, 지역사회의 안전 확보를 위한 정책 수립 시 사회적 환경에 대한 관리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한 작업임을 시사했다.

      • KCI등재후보

        집합효율성, 무질서 그리고 범죄의 두려움: Collective efficacy VS. Broken windows

        손다래,박철현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9 공공정책연구 Vol.36 No.1

        이 연구는 집합효율성, 무질서 그리고 범죄의 두려움이 어떠한 경로구조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살펴본다. 샘슨의 집합효율성 이론에 따르면, 집합효율성은 지역의 무질서나 사회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지역주민의 응집력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무질서에 선행하며, 결과적으로 범죄의 두려움을 낮추게 된다. 그러나 윌슨과 켈링의 깨어진 창 이론에 따르면, 지역의 무질서는 주민들 사이에서 범죄의 두려움을 낳고, 이러한 두려움은 지역주민들이 지역의 비공식적인 활동에 참여하지 않게 만들게 된다. 따라서 지역의 응집력을 낮추고 이것은 결과적으로 집합효율성을 낮추게 된다. 이러한 이론적 쟁점을 검증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패널 4~6차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자료에 대한 분석결과는 무질서가 범죄의 두려움을 낳고 이것이 다시 집합효율성을 떨어뜨린다는 깨어진 창 이론이 맞지 않으며, 오히려 집합효율성이 무질서를 낮추고, 이것이 범죄의 두려움을 낮춘다는 집합효율성 모델이 맞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과정은 사회적 무질서가 아닌 물리적 무질서를 통해서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여성의 성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승민 한국공안행정학회 2011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0 No.2

        이 연구에서는 성범죄피해경험과 지역환경, 무질서, 지역유대 등의 지역특성, 그리고 경찰활동, 성범죄정책 등의 변수가 여성의 성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특히 경찰활동과 성범죄정책이 매개변수로 작용할 때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즉 매개효과를 통해 경찰활동, 성범죄정책 등이 성범죄두려움의 감소를 위한 중요요인임을 밝히고자 한다. 분석결과, 먼저 성범죄피해경험, 지역환경, 무질서, 지역유대 중 경찰활동 및 성범죄정책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순찰활동에서는 무질서와 지역유대, 경찰의 범죄예방활동에서는 간접 성범죄피해경험과 무질서가 가장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적인 견해와는 달리 간접 성범죄피해경험이 범죄예방활동에 대해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신뢰도에서는 무질서와 지역유대, 성범죄정책에서는 직접 성범죄피해경험과 지역유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경찰활동 및 성범죄정책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무질서와 지역유대가 어느 정도 일관성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여성에게 성범죄두려움을 불러일으키는 요인으로 직·간접 성범죄피해경험과 무질서 등이 나타났다. 이 연구의 주요 과제인 성범죄피해경험, 지역환경, 무질서, 지역유대와 경찰활동, 성범죄정책의 매개관계는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실제 자신이 경험한 범죄피해나 범죄발생률보다 지역 내 무질서 등의 문제가 여성에게 있어 성범죄두려움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중요요인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를 통해 여성의 성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경찰 및 사법기관뿐만 아니라 지역사회가 주도적으로 노력해야 함을 강조할 수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various variables, which include experience of falling victim to a sex crime, local environment, disorder, community ties, police activities, and sex crime policies, on women's fear for sex crimes and test the effects of police activities and sex crime policies as mediating variables. That is, it aimed to demonstrate that police activities and sex crime policies are important factors in reducing fear for sex crimes through mediating effects. As for analysis results, the factors to affect police activities and sex crime policies were identified among experience of falling victim to a sex crime, local environment, disorder, and community ties. Disorder and community ties turned out to b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on patrol activities, and second-hand experience of falling victim to a sex crime and disorder for the police's activities to prevent crimes. Unlike the common view, however, second-hand experience of falling victim to a sex crime had negative impacts on activities to prevent crimes. Disorder and community tie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rust in the police, and first-hand experience of falling victim to a sex crime and community ties on sex crime policies. In short, disorder and community ties generated somewhat consistent results as factors to affect police activities and sex crime policies. Then the study identified first- and second-hand experience of falling victim to a sex crime and disorder as the factors to cause fear for sex crimes in women. Although the study failed to illuminate mediating relationships between experience of falling victim to a sex crime, local environment, disorder, and community ties and police activities and sex crime policies, which is one of the major tasks, it found that disorder in the community could cause fear for sex crimes in women rather than their first-hand experience of falling victim to a crime or crime rates. The research findings emphasize a need for the community as well as the police and the machinery of law to make leading efforts in order to help women reduce their fear for sex cr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