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러시아어 무인칭 환경에 나타나는 ЭТО와 ОНО의 문법적 기능

        정하경(Jung, Hakyung),이수현(Lee, Suhyo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20 노어노문학 Vol.32 No.3

        본 논문은 현대러시아어의 구어적 사용에서 무인칭 환경에 나타나는 지시대명사 중성 단수형 эmо와 인칭대명사 중성 단수형 оно의 문법적 기능을 살펴봄으로써 эmо와 оно의 이러한 허사적 사용이 현대러시아어의 문법체계 범주화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고찰할 수 있는 경험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эmо와 оно의 사용이 허용되는 정확한 무인칭 환경 유형을 파악하고 이 형태들이 실제로 문법적 주어의 지위를 가지는지 규명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무인칭구문 및 그에 상응하는 эmо, оно 구문에 대해 원어민 피험자들(총3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다. 설문 실험 결과, 자연현상이나 신체적 작용을 나타내는 무인칭 정형동사 구문에서는 эmо/оно가 사용될 수 없었던 반면, 무인칭 재귀동사와 부사적 술어 구문에서는 종속절(원형부정사절 및 정형절)이 있을 경우 эmо/оно의 용인성이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эmо의 용인성이 оно보다 더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무인칭 재귀동사의 경우에는 어휘에 따라 종속절이 없는 경우에도 эmо와 оно의 삽입이 가능했다. 이와 같이 무인칭 환경에 삽입되는 эmо와 оно는 인상술어의 주어로 인상될 수 있고, 재귀사를 결속시키며, 술어일치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한적인 환경이기는 하지만 문법적 허사 주어로 인정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Modern Russian features (semi-) expletive subjects, based on the judgement test that was taken by 35 Russian native speakers. The test was designed to compare the acceptability of оно and это in three impersonal environments, in which no thematic subject is allowed: Finite verbs expressing natural phenomena, adverbial predicates, and reflexive verbs deriving from unergative verbs. The test shows that оно and это may be acknowledged as true expletive subjects in limited environments although a clear contrast is seen between это and оно. The acceptability of это is clearly higher than that of оно irrespective of the construction type, which can be ascribed to the strong deictic nature of это. First, finite verb constructions denoting natural phenomena do not allow overt expletives at all: The semantics of a subject is available in this type of constructions although the covert subject cannot be referential. As this invisible argument related to natural phenomena already occupies the subject position, an overt expletive cannot be inserted into this position. This result parallels with the analysis of the weather-it in English as denoting an (quasi-) argument in the literature. Second, in the case of reflexive verbs and adverbial predicates, expletives are allowed if a subordinate clause (infinitival or finite) follows. In a limited case of reflexive verbs, это and оно are allowed even without a subordinate clause. This must be because there is no argument in the subject position in this type of reflexive verb constructions unlike finite verbs expressing natural phenomena. Это and оно in the given impersonal environments can be raised as the subject of a raising verb, can bind subject-oriented reflexives, and trigger agreement on predicates, which indicates that это and оно may be construed as grammatical subjects occupying Spec,TP, a position dedicated to a nominative subject.

      • KCI등재

        러시아어와 폴란드어의 수동구문 비교

        정정원 한국슬라브어학회 2010 슬라브어연구 Vol.15 No.2

        이와 같이 지리적, 언어학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폴란드어와 러시아어는 수동구문에서 여러 가지 차이를 드러낸다. 첫째, 러시아어의 수동태는 수동 형동사 구문과 재귀구문을 통해서 실현되지만, 폴란드어 수동태문은 수동 형동사 구문을 통해서만 실현된다. 이때 폴란드어 수동태문의 행위주는 전치사와 결합된 ‘przez + 대격’의 형태를 취하며, 러시아어 수동태문의 행위주는 조격 형태를 취하여 도구역과 형태적으로 일치된다. 한편 폴란드어 수동태문에서는 조동사와의 결합을 통해 반드시 인칭, 시제를 표시해야 한다. 둘째, 폴란드어에서는 자동사에서 파생된 수동태문이 자주 발견되는데 반해, 러시아어에서는 자동사에서 파생된 수동태문이 지극히 예외적인 경우로 간주된다. 자동사에서 파생된 수동태문이 다른 슬라브어에서도 자주 발견되는 현상임을 고려하면 이것은 슬라브어족 내에서 러시아어 수동태문이 갖는 독특한 특징이다. 셋째, 재귀동사 구문과 형동사 구문에서의 상적 분배가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나는 러시아어와 달리 폴란드어 수동구문은 동사의 상에 따라 분화되지 않는다. 폴란드어뿐 아니라 체코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를 비롯한 여러 슬라브어에서 불완료상 동사가 수동 형동 구문에서 사용되는 것을 보면 완료상 동사만 수동 형동 구문에 사용되는 것은 러시아어 수동구문의 변별적 특징으로 보아야 한다. 넷째, 러시아어에서는 수동태의 행위 의미와 상태 의미 구분이 주로 문맥을 통해서 가능한데 반해, 폴란드어 수동태문에서는 조동사를 통해 행위 의미 또는 상태 의미 발현 여부가 결정된다. 이 때 폴란드어 조동사 zostać는 완료상 파생 형동사와 결합하여 행위 의미만을 지시하고, 조동사 być 는 완료상 파생 형동사와 결합 시에는 상태 의미를, 불완료상 파생 형동사와 결합 시에는 행위 의미를 지시한다. 다섯째, 러시아어 재귀구문이 불완료상 동사의 수동태로 사용되는 데 반해, 폴란드어 재귀구문은 수동태로 사용되지 않으며, 대신 피의체역이 주어가 되는 반사역구문이 된다. 이에 폴란드어에서 재귀구문은 수동태의 하위 유형이 아니라 수동태와 동등한 지위를 지니는 재귀태로 불린다. 다른 슬라브어와 비교했을 때 재귀구문이 수동태로 사용되지 않은 것은 폴란드어에서 발견되는 특수한 현상이다. 여섯째, 피의자역이 항상 주격을 갖는 현대 표준 러시아어의 수동구문과 달리 폴란드어 수동 구문에서는 피의자역이 주격이 되지 않고, 능동구문에서처럼 사격의 형태를 띠는 경우가 발견된다. 이러한 폴란드어 무주어 재귀 구문과 –no/to 구문에서는 술어가 어떠한 논항과도 문법적으로 일치되지 않는 3인칭 혹은 무인칭 주어를 가지게 되며, 이것은 불특정 다수의 행위주의 존재를 암시하는데, 이는 동일한 의미를 지시하는 러시아어 부정인칭문의 술어가 3인칭 복수형으로 일치되는 것과 유사하다. 이와 같이 동일하게 슬라브어에 뿌리를 둔 폴란드어와 러시아어의 수동태형은 술어의 형태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는 많은 유사점을 공유하지만, 논항과 조동사의 결합, 상의 분배, 술어의 타동성, 행위 및 상태 의미의 발현, 재귀구문 및 무인칭 구문과의 관계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상이점을 드러낸다. The Russian and Polish passive constructions have many different characteristics, although two languages are very close linguistically as well as geographically. First, Russian passive voice is based on both the passive past participle and the reflexive passive, whereas Polish passive voice is exclusively related to the past passive participle. The Polish passive construction has ‘przez + acc’ as an Agent marker and the Russian passive construction has an Agent marker of the instrumental case that also serves as a marker of a different semantic role as Instrument. In addition, the Polish passive sentence must have an auxiliary verb być or zostać indicating grammatical categories such as Person and Tense. Second, the passive constructions with the predicates derived from intransitive verbs are often found in Polish as well as in many other Slavic languages. Such constructions are exceptional in the Russian language. Third, the imperfective past passive participles are used in Polish, whereas they are not allowed in Russian, where the reflexive serves as an imperfective counterpart to the perfective passive of past participle. The imperfective verbs in the passive past participle are also found in the other Slavic languages, such as Serbo-Croatian and Czech. Fourth, the distinction between actional and state readings in the passive construction is made by means of the auxiliary verbs in Polish. Namely, the auxiliary verb zostać leads to an actional reading, while być can get either actional or state readings depending on the aspect of the main predicate. However, the actional or state reading of the Russian passive predicates can be done just by the contexts or the use of temporal or spatial adjuncts. Fifth, the reflexive can be used in the Russian passive sentences, but the Polish reflexive passive is not possible. Instead the Polish reflexive has an anticausative reading. The reflexive is a subcategory of passive voice in Russian, but it is considered as one of voices in Polish. Sixth, the Patient can have the accusative case in Polish impersonal reflexives and –no/to constructions. In the Russian language –no/to constructions are found just in the Northern dialects and the impersonal reflexives are not found.

      • KCI등재후보

        스페인어 대명사구문 연구와 여과장치의 적용 : 무인칭, 수동태, 재귀대명사구문을 중심으로

        박숙희 부산외국어대학교 이베로아메리카연구소 2006 이베로아메리카 Vol.8 No.1

        Abordamos en esta tesina uno de los temas más controvertidos de la gramática del español: el análisis de las construcciones pronominales con se (CPs) a las que se han referido las gramáticas como impersonales, pasivas, reflexivas y pseudorreflexivas. En cuanto a estas últimas, se han dicho como un 'terreno movedizo' de la sintaxis del español por su dificultad de caracterizarlas. Para solucionarlo, tratamos primero de clasificar las CPs del español en las 8: las impersonales, las pasivas, las reflexivas, las medias internas, las medias genéricas, las intensivas, las con suplemento y por último las propias. Entre ellas, las CPs de las que nos ocupamos aquí son impersonales, pasivas y reflexivas. Para conseguir sus caracterizaciones, las analizamos tanto desde el punto de vista formal, como el semántico y pragmático, y después encontramos los caracteres distintivos y criterios referidos con tanto el sujeto gramatical y el nocional como el objeto gramatical y el nocional, con los cuales todos los estudiantes del español puedan distinguir fácilmente unas CPs de las otras. Así pues, basándonos en aquellos criterios distintivos, formamos un 'filtro para distinguir las CPs' a través del cual se vean las diferencias gramaticales y pramáticas de las CPs con mucha claridad y facilidad, para contribuir a la enseñanza de la gramática del español.

      • KCI등재

        체코어의 무주어 구문 유형 고찰

        김은해 한국슬라브어학회 2010 슬라브어연구 Vol.15 No.2

        비인칭 주어가 나타나지 않는 체코어의 무주어 구문은 기본적으로 통합적 언어(syntetický jazyk)의 특성이 나타난다. 체코어의 무주어 구문에서 가장 특징적인 면을 들자면, 많은 경우 심리적, 육체적 상태 표현, 대기, 날씨, 분위기, 정황 표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형으로 고착화 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의미적 정황 표현을 위한 통사적 패턴은 정형화되어 있다. 형식적 주어 역시 나타나지 않으며, 의미적 행위자, 혹은 수혜자, 상태의 경험자는 여격, 또는 종속절의 접속사 aby 등의 변화형을 통해 의미적 관계가 명확하게 제시된다. 특정 동사가 본질적으로는 인칭 동사이나 재귀 동사의 형태로 무인칭 동사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며, 인칭 동사 형태로 주어 없이 특정 전치사구와의 결합을 근거로 무주어 구문을 형성하는 동사도 나타난다. 무주어 구문에서의 과거형 표기를 위한 –o는 인칭 표시 체계에 있어 무표적이며(bezpříznakový), 이는 성과 수 범주에서도 동일하게 무표적 특성으로 간주된다. 구어체 체코어에서는 과거 분사가 사용되는 수동태 보다는 재귀 수동태의 빈도가 더 높게 나타난다. 재귀 수동태에서 무주어 구문이 나타나는 것은 능동태 구문에서 수동태 구문으로의 변형 과정에서 능동태 주어의 위치 변화가 무주어 수동태 구문의 생성으로까지 이어지는 연관성을 갖는 다고 볼 수 있다. One of the features of the syntactic pattern in Czech impersonal constructions is a dummy pronoun that is a nonessential part of the predicate. The Czech language exhibits a pro-drop feature and this is indexed on infinitive verbs or conjugated verbs. Czech impersonal constructions are primarily related to impersonal verbs, which in most cases express weather conditions,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ates or atmosphere. Predicative adverbs are linked by a copula být (to be) or other linking mechanism to the pronoun expressed in the dative case. Deagentization is the general syntactic pattern of the Czech reflexive passive construction transformed from an intransitive or transitive verb where the true agent is eliminated.

      • KCI등재

        러시아어 무인칭 구문(impersonal constructions)의 통사적 구조에 대한 재고찰 : A Minimalist Approach

        김형섭(Kim Hyoung Sup) 한국노어노문학회 2010 노어노문학 Vol.22 No.4

        본 논고는 러시아어에 나타나는 무인칭 구문의 통사적 구조에 대한 재해석으로 형식 가주어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았던 기존 연구의 토대와는 달리 러시아어에서도 언어 보편적인(language universal) 현상들이 나타난다. 문장의 구조적 특성상 형식 가주어가 심층구조에 존재하지만 가시성 조건(Visibility Condition) 을 충족시키지 못해 음성적으로 실현되지 못한 결과로 해석한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부르치오의 일반화(Burzio’s Generalization)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의미역과 대격 할당의 전제조건인 주어자리를 채워주어 다른 일반적인 문장과 동일하게 통사적으로 파생한다. 통사적 파생의 기본원리는 X- 바 이론(X’Theory) 과 더불어, 탐침(Probe)과 목표(Goal)사이의 자질공유 역할을 담당하는 메커니즘인 일치(Agree) 이다. 영어에서는 주격과 [+ 지시성] 자질에 의해 형식 가주어 [it] 이 발음되지만, 러시아어에서는 주격과 [- 지시성] 에 의하여 음성적으로 발음되지 않는 차이점을 보인다. 다시 말해, 가시화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해 음성실현이 되지 않는 것이다. 무인칭문의 서술어는 주격의 부재로 인해 항상 3 인칭, 단수, 중성의 형태를 사용하는데 이를 디폴트(default)라 한다. 디폴트 일치는 형식적 일치의 하나로 성-수-격이 일치하는 문법적 일치와는 다르다. 주어의 최초 결합 장소는 VP 지정어 자리이며 필요에 따라 vP 지정어 또는 TP 지정어 자리로 이동하기도 하고, 그 자리에 머무는 경우도 있다(in-situ). 능동자의 의미역 할당에 필요한 vP 지정어 자리가 없는 비대격 동사는 VP 안쪽에서 의미역을 할당 받으며, 대격 할당을 받지 못하는 이유로 시제T로 부터 주격을 할당받고 확대투사원리(EP, Extended Projection Principle) 에 의해 문장의 주어 자리인 TP지정어 자리로 옮겨간다. 이와는 달리 러시아어의 무인칭 구문은 심층구조에서 주격주어를 가지고 있으며, 그로 인해 대격을 할당할 수 있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가시화되지 못한 주격주어는 주절의 주어가 부동사구의 주어와 같을 때에만 생략하는 부동사의 사용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증명이 되고 있는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yntactic structure of impersonal constructions, i.e., absolute, dative, and accusative impersonal sentences, on the basis of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a null expletive subject phonologically invisible on the specifier of TP. This approach is in contrast to the Russian tradition disapproving of a covert syntactic subject in nominative. This research is based on Burzio’s Generalization that a verb (with an object) case-marks its object if and only if it theta-marks its subject. In accusative impersonal sentences, like in personal sentences, the light verb little v possesses a full set of phi-features and T is not a defective functional category, which has EP (Extended Projection Principle), [nom] case, and uninterpretable [utense:] features. Being a functional category responsible for tense, nominative case, and EP, T serves for syntactic derivation as Probe, which searches for its Goal with nominal features. This mechanism is called “Agree”, in which interpretable and uninterpretable features are shared reciprocally and valued among them. The reason why a subject on the specifier of TP in impersonal sentences does not spell out phonologically overtly is that it does not satisfy the Visibility Condition that case [case:] and referentiality [+/-Ref] features must be marked in order to be visible for an argument. In the case of Russian accusative impersonal sentences, these two requirements of [nom] and [-Ref] features prevent arguments from spelling out overtly. With regard to the position of a subject, the initial merge of a subject occurs on the specifier of VP and later moves up to the specifier of vP to receive a theta-role of [agent] or stay in the initial position without move (in-situ). Russian accusative impersonal sentences are different from unaccusative sentences in that the latter have a nominative subject, which originates from an internal complement within VP, while the former have a nominative subject, which cannot spell out phonologically due to the failure to satisfy the Visibility Condition. The lack of a nominative subject triggers the use of default agreement for Subject-Predicate Agreement. Default agreement is the last resort to solve non-agreeing cases between subjects and predicates. Default agreement is one of the two types of formal agreement: one is grammatical agreement [+AGR/+Ref] and default agreement [+AGR/-Ref]. Semantic agreement [-AGR] occurs due to semantic factors between an agreement controller and an agreement target. Furthermore, accusative impersonal verbs cannot form their own participles or gerunds. However, Covert null expletive subjects in impersonal verbs can serve as a controller of gerunds used in a subordinate clause. The use of gerunds entails the existence of their controllers in the matrix clause, since gerunds can be used only when subjects in gerundive clauses are the same as those of main clauses. The controllability over gerunds firmly supports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a phonologically covert null expletive subject in nominative.

      • KCI등재

        Синонимия лингвистических категорий – Анализ когнитивной прототипикальности в безличной и возвратной конструкциях

        안혁 한국슬라브어학회 2011 슬라브어연구 Vol.16 No.1

        В полях безличном и возвратном существует семан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ность, но трудно объяснить с помощью традиционной лингвистической точки зрения. Всякая лингвистическая категория отражает интерпретацию говорящего о событии. Хотя влияние лексического значения меняет семантику конструкции, лингвистическая категория играет семантическую роль. Поэтому надо думать о морфологических и семантических признаках данной категории. Возвратные конструкции сигнализируют изменение актантной структуры предложения. Но говорящий не выбирает данные конструкции чтобы показывать такое изменение, но говорящий выражает свой фокус на действие того глагола. Фокус говорящего реализуется по-разному из-за лексической семантики глагола. Безличные конструкции тоже употребляются чтобы выражать подчеркивание значения события говорящим. Естественное явление обычно не имеет актант или деятель которые выражается эксплицитно. И существует другой тип агента который выражается по-другому. Но все-таки делить такую семантику с другими примерами и с предложениями возвратного значения. Язык отражает человеческое сознание. У каждого человека свой собственный и личный опыт. Жизнь человека является не так логичной. Но определенная тенденция существует в жизни одного народа. Язык народа должен иметь свою системность и такая системность лежит в основном в употреблении языка. Поэтому надо думать не только о формальной специфике, но и о семантическом признаке в то же самое время. The purpose of the current paper is to compare the synonymy of two semantic-grammatical categories. Categories of impersonality and reflexivity share semantic characteristics, especially cognitive prototypical meanings. Both categories express speaker’s focus on event, but individual lexical entries vary in detail. Impersonal constructions indicate phenomena happening with or without participants, and reflexive sentences show a similar meaning. An entity does something or undergoes an event and the speaker highlights the event rather than the participant. These meanings are the prototypical semantic characteristics in both categories. The similarity in the semantics functions as an intersection of the two groups and explains why a number of reflexive verbs are used as impersonal constructions. Highlighted event constructions bridge two linguistic categories and this idea will tell a lot of useful ideas about linguistic categ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