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워강화와 코어안정화 훈련이 남자대학생 카누선수들의 신체구성, 체력, 무산소 파워 및 등속성 체간근력에 미치는 영향

        이영란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목적은 파워강화와 코어 안정화 복합훈련이 남자대학생 카누선수의 신체구성, 체력, 무산소파워 그리고 등속성 체간 근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G대학교에 재학 중인 카누선수(N = 7)를 대상으로 일일 100분간 주 3회 10주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으로 사전, 사후 변화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신체구성은 근육량이 효과적으로 증가했고, 체중과 체지방률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기초체력 은 근력, 근지구력, 민첩성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무산소성 파워는 훈련 전, 후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고, 등속성 체간 근력 (30゜/sec) 에서는 최대근력 굴근력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10주간 파워강화와 코어안정화 훈련은 카누선수들의 근육량 , 근력, 근지구력, 민첩성, 체간 근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무산소 파워는 효과 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 복합훈련 적용연구에서는 다양한 훈련프로그램을 계획한 후 운동강도, 빈도 적용에 따른 효과검토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power strength and core stabilization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fitness, anaerobic power, and trunk strength in male canoe athletes(N = 7). The training program was performed for 100 minutes a day, 3 times a week for 10 week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using SPSS 22.0.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In the body composition, muscle mass of canoe athlet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fitness, back strength, muscle endurance, and agility were effectively increased. Anaerobic power did not has significant difference. Isokinetic strength(30∘/sec) on trunk, flexor peak torque(Nm) and flexor peak torque per unit weight(%BW)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ower and core training for 10 weeks affected to improve fitness and isokinetic strength of trunk in canoe athletes.

      • KCI등재후보

        환경적인 요인에 따른 최대무산소파워 변인의 차이

        인치석,정한상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e a test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ng anaerobic peak power, mean power and peak power in time according to Environmental variables on wingate anaeorbic poere test during 30s. Peak power was high value occurred by early response and Mean power occurred by whole response and the latter half. Also, peak power in time was fastest occurred by early and whole response. These results is that inspector can effect to test data with external influence. Therefore, constant pattern of response is good for wingate anaerobic and it needed study about applicated multidirectional factors. 이 연구는 윈게이트 무산소성 파워 측정 시 30초 내에서의 환경적인 변화에 따른 무산소성최대파워, 평균파워 및 최대파워 도달시간을 분석하여 테스트의 타당성과 신뢰성 재현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최대무산소파워의 경우 측정 시 초기호응과 전체호응에서 높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고, 평균파워의 경우 전체 호응과 후반부 호응에서 높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최대파워 도달시간에서는 전반부 호응과 전체호응에서 월등이 빠른 최대파워 도달시간을 발현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윈게이트 무산소 파워 측정시의 측정자 또는 관중들의 주는 외부적인 영향이 결과에 상당이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음으로 매 측정 시 일정한 패턴은 호응을 주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며, 본 연구에서 적용한 호응 이외의 다각적인 요인적용을 통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Wingate 무산소성 파워테스트 시 기계식과 전자기식 에르고미터의 타당성 연구

        조현철 ( Hyun Chul Cho ),김의영 ( Eui Young Kim ),김종규 ( Jong Kyu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7 체육과학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Wingate 무산소성 운동능력 검사를 위해 이용되고 있는 기계식과 전자기식 자전거 에르고미터 이용의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한국경륜공단소속 선수 13명을 대상으로 각 기기 당 1주일 씩 2회 반복 총 2주간 검사를 하였고 측정 시 부하는 체중×0.8Nm로 30초간 측정하였다. 반복 측정의 차이와 기기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wo way RM(2×2)ANOVA를 이용하였고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LOA%를 분석하였다. Wingate 검사결과 두 기기내의 반복된 검사와 기기간 피크파워 비교결과는 1차에 비해 2차가 평균값이 높았고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p<.05). 그러나 기계식에서 평균파워와 피크타임도달시간, 피로지수결과는 2차에 비해 1차가 평균적으로 높았고, 두 기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두 기기내의 반복측정의 LOA% 결과는 피크파워(기계:8.1, 전자기:8.1), 체중당 피크파워(기계:5.1%, 전자기:3.3%), 평균파워(기계:8.5%, 전자기:5.6%), 체중당 평균파워(기계: 3.7%, 전자기:4.7%), 피크파워도달시간(기계:4.1%, 전자기:6.01), 피로지수(기계:10.65%, 전자기:11.77%)가 LOA 95%의 신뢰구간인 3-29%신뢰구간에 속해있어 반복측정 내에서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기기간의 LOA%결과는 피크파워(4.6%), 체중당 피크파워(2.7%), 평균파워(5.5%), 체중당 평균파워(3.2%), 피크파워도달시간(2.7%), 피로지수(7.76%) 모두 LOA95% 신뢰구간인 3-29%에 속해있어 두 기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wingate 무산소성 운동능력 측정을 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기계식과 전자기식 에르고메터 결과는 LOA% 신뢰오차범위 3-29%내에 모두 속해있어 wingate 무산소성 운동능력측정에 타당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measured errors of two different types of ergometers (mechanically and electro-magnetically braked cycle ergometer) to measure anaerobic exercise abilities of thirteen professional cyclists who has registered with the Cycle Racing Corporation. All the cyclists participated in four tests for two weeks to measure WAnT(two test days for each ergometer for a week). On each day, the test lasted for 30 seconds with a workload of 0.8Nm/kg. The first value of Peak Power(PP) was lower than from the second. When two ergometers were compared, the PP of the mechanically braked ergometer showed higher than those of the electro-magnetically braked. Mean Power(MP), Time To Peak Power(PPAT) and Fatigue Index(FI) of the second test on the mechanically braked ergometer showed higher values than those of the first test,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ests was observed. When two ergometers were compared, the values of MP, TTPP and FI of the mechanically braked ergometer showed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ergometer,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Systemic errors of repeated measurements of PP, PP per kg, MP, MP per kg, TTPP and FI on the mechanically braked ergometer were 8.1%, 5.1%, 5.7%, 4.7%, 6.0% and 11.8% respectively. Systemic errors measured from the electro-magnetically braked ergometer resulted in PP (8.1%), PP per kg(3.3%), MP(8.6%), MP per kg(3.6%), TTPP(4.1%) and FI (10.7).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was no different within two tests of each ergometer. The systemic errors between the two ergometers also showed no difference: PP(4.6%), PP per kg(2.7%), MP(5.5%), MP per kg(3.2%), PPAT(2.7%) and PI(7.76%). Therefore, it may be recommended that, for more accurate measurement of anaerobic exercise ability, the electronically-braked cycle ergometer be used although the validity between these two ergometers showed no difference.

      • KCI등재후보

        투기종목 선수들의 신체 부위별 골밀도와 등속성 근력 및 무산소파워와의 관련성

        조현철 ( Hyun Chul Cho ),김영학 ( Young Hak Kim ),김진표 ( Jin Puo Kim ),김현일 ( Hyun Il Kim ),이근일 ( Keun Eil Lee ),이에리사 ( Elisa Lee ),윤남규 ( Nam Kyu Yoon ),김성연 ( Sung Yeon Kim ) 대한무도학회 2011 대한무도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투기종목별에 따른 부위별 골밀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골밀도와 등속성 근력 및 무산소파워와의 관련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5년 이상 투기운동을 지속하고 있으며, 의학적 소견이 없는 Y대학 남자 선수 96명(태권도 16명, 검도 16명, 레슬링 16명, 복싱 16명, 씨름 16명, 유도 16명)으로 하였다. 측정 변인은 부위별 신체 골밀도, 등속성 근력(신근, 굴근), 최대무산소파워(피크파워, 평균파워)로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투기종목 선수들의 등속성 근력과 부위별 골밀도의 관련성은 팔을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관련성을 나타내었다(p<.01). 2. 투기종목 선수들의 무산소성파워 변인중 최대 피크토크는 골반과 하지 골밀도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관련성을 나타내었다(p<.01). 3. 투기종목간 부위별에 따른 골밀도의 차이는 모든 부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p<.01).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요추 골밀도, 골반 골밀도, 상지 골밀도, 하지골밀도는 하지와 골반 골밀도에서 씨름, 유도, 레슬링과 같이 단시간 고강도의 근력을 요구하는 종목이, 그리고 검도, 태권도와 같이 근지구력을 요구하는 종목과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나타나 투기 선수들의 저항 특성이 주로 자세의 균형유지를 위한 근력사용 빈도와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되며, 근력 및 근파워와 골밀도와의 관련성은 하지, 골반, 요추에서 높은 관련성이 나타난 것으로 이들 부위가 운동특성상 높은 저항을 많이 받는 부위로 생각되어 트레이닝 시 고려해야 할 부분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Correlation of BMD, Isokinetic Muslce Strength and anaerobic power on Body Parts in Combat Sports Athlete. Subject participated ninety-six male who was divided six groups(taekwondo 16, kumdo 16, wrestling 16, boxing 16, ssireum 16, judo 16). Data analysis used one-way ANOVA(LSD) and pearson`s correl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all body parts as kind of combat event(Lumbar, Femoral, arm, leg p<.001). As the results of the study. Kumdo athletes were lower BMD than other combat events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vents(p<.001). Also, Numerical value of upper limb bone mineral density was shown lower BMD at taekwondo, kumdo, boxing,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of group except kumdo & taekwondo, boxing, ssireum & judo(p<.001). The last, judo and ssireum were higher BMD than other combat events,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judo & ssireum, wrestling & boxing. Results of Relationship showed that both extensor and flexsor were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at all BMD except arm(r=.498∼.688, p<05). These results of meaning that long period combat sport directly effect to BMD, and low BMD(arm). It could have known high contraction rate of extensor during exercise. In case of lower body, there was high BMD when athlete get added workload like weight of opponent in both extensor and flexor contraction. Therefore, combat sports athletes need to repeated contraction of extensor and flexor using various workload to improve a BMD, muscle strength and calf girth.

      • KCI우수등재

        청소년 선수의 신체조성과 하지체격, 체력, 등속성 최대근력 및 무산소 파워 간의 상관관계

        이윤빈,정민기,이대택 한국체육학회 2020 한국체육학회지 Vol.59 No.5

        본 연구의 목표는 청소년 선수들의 신체조성과 하지 체격 및 체력이 무산소성 능력과의 상관관계를 평가하는 데 있다. 대상자는 남, 여 178명의 중ㆍ고등학교 선수가 참여하였다. 실험은 신체조성(남: 69명, 여: 109명)과 하지 체격(하지장, 대퇴위)을 측정하고, 체력 테스트(제자리멀리뛰기, 서전트 점프)를 실시하였다. 등속성 최대근력(60°/s)과 무산소 파워(최고 파워, 평균 파워, 피로 지수)를 측정하였다. 상관관계는 신체조성, 하지체격, 체력, 등속성 최대근력 및 무산소 파워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신장과 다리 길이는 남녀 모두 등속성 최대근력과 무산소 파워에서 상관성이 나타났으나(p<.05, .01), 낮은 정적상관성을 보였고, 남성의 신장에서 중간정도 정적 상관성을 보였다(r=.472, p<.01). 체중과 대퇴위는 무산소 파워에서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p<.01). 체지방율은 남성의 왼쪽 각 신근력에서 중간정도 부적상관성을 보였고(r=-.409, p<.01), 남녀 모두 다른 각 근력에선 낮은 부적 상관성을 보였다(p<.05, .01). 체력은 남녀모두 평균파워에서 중간정도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402 ~ 632, p<.01). 각 근력에선 남성은 각 체력항목에서 중간정도 정적 상관성을 나타냈다(p<.01). 남성의 최고파워는 각 신근력에서만 낮은 정적 상관성을 나타냈고(p<.01), 평균파워는 여성은 낮은 정적 상관성을 보였으며, 남성은 중간정도 정적 상관성을 보였다(r=.435 ~ 563, p<.01). 피로지수는 남녀 모두 각 굴근력에서 낮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무산소성 능력은 청소년 선수들의 신체 조성, 하지 체격, 체력과 상관성이 있으며, 등속성 최대근력과 무산소 파워 간에도 상관성을 나타냈기에, 각 요인에 맞는 관리와 체계적인 훈련 프로그램은 청소년 선수들의 무산소성 능력을 높일 수 있다.

      • KCI등재

        파워종목 선수들의 ACTN3 유전자 다형별 무산소성파워의 차이

        민석기 ( Seok Ki Min ),임승택 ( Seung Taek Lim ),송홍선 ( Hong Sun Song ),김광준 ( Kwang Jun Kim ),서태범 ( Tae Beom Seo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5 체육과학연구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엘리트 파워지향성 선수들을 대상으로 ACTN3 유전자 다형의 분포 비율과 Wingate test를 통한 최대무산소성 수행능력과의 관련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근력 및 파워를 요하는 100명의 국가대표 및 상비군 선수들(레슬링 31명, 유도 13명, 복싱 16명, 펜싱 6명, 사이클 16명, ≤400m 육상 18명)을 대상으로 ACTN3 유전자다형을 조사하였다. 무산소성 능력의 평가항목인 Wingate test를 통해 Peak power 및 Average power를 다형별로 비교하였다. 남자 선수들 체중 당 Peak Power(W/kg)에서 RR형+RX형이 13.67 ± 1.57, XX형은 12.50 ± 2.04로 R allele를 가진 선수들에게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여자 선수들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아무런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ACNT3 R allele를 보유한 남자 선수들에서 Peak power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ACTN3 R577X polymorphism has been associated with an elite athletes status. Several studies have determined that the R allele is connected with power-oriented athletic performance, whereas the nonfunctional XX genotype may give some beneficial effect for endurance performance. The main aim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possible interaction between the ACTN3 R577X polymorphism and an power-oriented athlete status in Korean elite athletes (wrestling 31, judo 13, boxing 16, fencing 6, cycle 16, ≤400m athlete 18). Each athletes performed a 30-second WAPtest with a resistance equal to 7.5% for male and 5% for female body weight. Genotyping for the ACTN3 R577X (rs1815739) polymorphism was performed using the TaqMan approach. The ACTN3 R577X genotypes exhibited a HardyWeinberg equilibrium distribution in our population. The relative and absolute average power results of the 30-second Wingate tes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genotypes. However, the relative peak power result of the Wingate 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allele- dominant model groups than in the XX group in male but not female athle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CTN3 R allele is associated with the relative peak power during the Wingate test in male Korean elite athletes.

      • KCI등재후보

        지도자의 주관적평가와 무산소파워, 축구기능검사 및 체지방과의 상관분석

        김용권,안상인 대한운동사협회 2009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ssessment by coach and anaerobic power, soccer skill, and percentage of body fat in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The subjects were 35 healthy soccer players in total(FW: 10, MF: 13, DF: 12).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W was significantly faster than DF in 20 meter shuttle dribble and MF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DF in ball passing capacity. In subjective assessment by coach, athletes with less than 10% of body fa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ith over 15% of body fat(p=.008). The percentage of body fat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ball passing capacity(r=-.336) and subjective assessment(r=-.501). Also, anaerobic power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ong kick(r=.522) and shooting(r=.524). Subjective assessment by coach had significant high correlation with juggling(r=.525), crossing(r=.379), shooting(r=.373), 20meter shuttle dribble (r=-479), passing(r=.578), and trapping(r=.434). It was concluded that subjective assessment by coach had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 with percentage of body fat and soccer skill(p<.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ssessment and anaerobic power in middle school soccer players(p>.05).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남자 축구 선수들을 대상으로 지도자의 주관적평가와 무산소파워, 축구기능검사, 체지방 간에 어떠한 상관이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손상이 없는 건강한 축구선수 2~3학년 총 35명(FW: 10명, MF: 13명, DF: 12명)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FW 집단이 DF 집단보다 20m 왕복드리블에서 유의하게 빨랐으며, 패싱능력은 MF 집단이 DF 집단보다 유의하게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축구 지도자는 체지방이 10% 미만인 선수를 체지방이 15%를 초과한 선수보다 주관적평가 점수를 유의하게 높게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8). 체지방은 패싱능력(r=-.336)과 주관적평가(r=-.501)와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산소파워는 롱킥(r=.522), 슛팅(r=.524)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지만(p<.05), 주관적평가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그리고 지도자의 주관적 평가는 패싱 능력과 r=.578로 가장 상관이 높았으며, 저글링(r=.525), 20m 왕복드리블(r=-479), 트래핑(r=.434), 크로싱(r=.379), 슛팅(r=.373)의 순으로 상관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중학교 축구 선수를 대상으로 한 지도자의 주관적평가는 체지방과 축구기능검사 항목과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p<.05). 그러나 지도자의 주관적평가와 무산소파워는 상관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5).

      • KCI등재

        Qi power salt 투여가 심ㆍ폐기능 요인 및 혈청 Nitric oxide 생성에 미치는 영향

        김학렬,박성률,이규성 한국운동과학회 2003 운동과학 Vol.12 No.4

        김학렬, 박성률, 이규성. Qi power salt 투여가 심폐기능 요인 및 혈청 Nitric oxide 생성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2권 제4호, 597-612,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항산화제로서 Qi power salt 투여 유·무에 따른 심장, 페 기능 요인 및 무산소성역치(Anaerobic Threshold: AT)수준에서의 호흡, 순환 기능을 비교하는 것이며, Qi power salt 투여가 훈련된 운동선수들의 일시적 운동시 혈관 내피세포(Vascular Endothelium)에서 생성된 산화질소(Nitric Oxide; NO)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스프린터와 지구성런너 집단의 안정시 및 최대운동시 호흡개스변인은 Qi power(QPS) 투여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지구성런너 집단은 QPS 투여 후 최대운동지속시간(Exhaustion time, sec)에서 유의한 증가(p<.01)를 나타내었으나, 스프린터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집단간 차이검증에서 지구성런너들의 최대유산소성능력은 스프린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준(p<.0.01)을 나타내었다. QPS 투여와 비투여시 환기역치 수준에서의 호흡개스변인은 스프린터와 지구성런너 집단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양집단간 차이검증에서 QPS 투of와 비투여시 스프린터에 비해 지구성런너 집단은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스프린터 집단 및 지구성런너 집단의 럴청 Nitric oxide(NO)농도는 QPS 투여시 안정시에 비해 투여30분후, 최대운동직후 및 회복30분에서도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QPS 비투여시 에는 안정시에 비해 최대운동직후 유의하게 증가된 수준(p<.001)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결과로서 회복30분과도 유의한 차이(p<.001)를 나타내었다. QPS 투여와 비투여에 따른 스프린터와 지구성런너틀의 집단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안정시(p<.001)와 투여30분후(p<.001) 및 회복 30분(p<.001)에서 각각 집단간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최대운동직후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하여 볼 때 Qi power salt 투여는 지구성런너 및 스프린터 집단에서 최대 및 환기역치 수준의 호흡개스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혈청 NO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으로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되는 바이다. Kim, H.L, Park S.y., Lee, KS. The effects of Qi power salt supplement in Cardio-vascular function and serum nitric oxide product. Exercise Science, 12(4): 597-612,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 compared with cardio-respiratory function to maximal aerobic power and ventilation threshold levels following Qi power salt supplement in sprinter and endurance runners. On the other hand, it was to evaluate a profile of serum nitric oxide product in endotherium as Qi power salt supplement, and compared to biochemical profiles between sprinter and endurance runners. Cardio-respiratory function in maximal state of sprinter and endurance runner group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QPS supplement and control. However, treadmill exhaustion time after QPS supplement was display a significantly increased levels(p<.01) in endurance runner group, but it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splinter group. Relative(P<.001) V0₂max(ml/kg/min, l/min) of endurance runner was shown a significantly high levels compared to sprinter. Cardio-respiratory variables in ventilation threshold levels during QPS supplement and control was not prov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plinter and endurance runner group. However, endurance runner compared to sprinter group was shown a significantly high levels in QPS supplement and control. Serum nitric oxide concentration(uM) of sprinter and endurance runner was not shown a significantly difference in QPS supplement, but it was display a significantly Increased levels in exerciseafter immediately compared to baseline value in control Conclusively, the Qi power salt supplement in sprinter and endurance runner was not influence in respiratory, gas variables of maximal state and ventilation threshold, but it was a inhibition effect in serum nitric oxide production.

      • KCI등재

        영양섭취여부에 따른 혈당량이 경호경비원의 위기대처 행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신상민 ( Sang Min Shin ),김태민 ( Tae Min Kim ),한승훈 ( Sung Whoon Han ) 대한무도학회 2012 대한무도학회지 Vol.14 No.2

        경호경비 임무 수행에 있어서는 경호대상자에 대한 신변보호, 출입통제와 질서유지, 경계근무 등이 이루어짐은 물론 위기상황발생 시 경호경비원에 의한 신속한 대처능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아침 식사 후 점심 식사 유무에 따른 혈당량과 경호경비원들의 위기대처행동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체력적인 수행능력을 대변하는 무산소성 운동능력검사를 통하여 경호경비원들의 영양섭취 여부에 따른 혈당량과 위기대처행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호경비실습과 경호무도를 수련하는 경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영양섭취여부에 따른 혈당량이 경호경비원들의 위기대처 행동능력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점심식사그룹과 결식한 그룹의 혈당검사와 무산소파워테스트 검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혈당량은 식사 그룹 보다 결식그룹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기대처 행동능력 중 Mean Power와 체중 당 Mean Power에서는 식사그룹과 결식 그룹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Peak Power와 체중 당 Peak Power에서는 결식그룹이 식사그룹 보다 유의한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 파워에 도달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Time to Peak Power와 피로를 나타내는 Rate to Fatigue에서도 식사 그룹과 결식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항상 위급한 돌발 상황을 대비해야 하는 경호경비원들에게는 항상 영양섭취상태를 적정 수준이상으로 유지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performed the tests of blood sugar levels and anaerobic powers with respect to the groups with lunch and without lunch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behavioral performance coping with difficulties in security guards caused by the blood sugar level according to the intake of nutrition for nin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police and security. Then,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blood sugar level, the group without lunch represented a significantly lower level than the group with lunch. Also, in the Mean Power and the Mean Power per weight presented in the behavioral performance coping with difficulti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groups. However, in the case of the Peak Power and the Peak Power per weight, the group without lunch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level than the group with lunch. Regarding the Time to Peak Power that represents the time to approach the maximum power and the Rate to Fatigue that shows the fatigu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groups. Thus,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nutrition intake level for more than a proper level for such close guards who cope with outbreaks always.

      • KCI등재

        크로스컨트리 스키와 육상 장거리 선수의 상체 및 하체 근력 비교

        정연성,석진수,강성기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크로스컨트리 스키와 육상 장거리 선수의 상체 및 하체 근력 비교를 통해 크로스컨트리 스키선수의 운동능력 특성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선수 훈련 및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현장에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성인 크로스컨트리스키선수 18명(남자: 10명, 여자: 8명), 육상 장거리 선수 22명(남자: 10명, 여자: 12명)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종목별 선수를 대상으로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하지 등속성 근력과 무산소성 파워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측정결과는 Windows SPSS 26.0을 이용해 기술통계및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각 종목에 따른 우수 / 비우수 선수 간 모든 측정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남자 크로스컨트리 스키선수의 경우 악력, 배근력, 순발력과 체중 당 좌신근 근력, 평균 및 최고 파워가 육상 장거리 선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여자 선수의 경우 악력, 배근력, 근지구력과 순발력, 체중 당 좌신근, 우 신근 및 굴근 근력, 평균 파워가 육상 장거리 선수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 크로스컨트리 스키의 경우 단순히 신체를 이용한 가속을 하는 육상 장거리 선수에 비해 경기 중 스키와 폴을 이용한 가속과 등반 등이 발생하는 특성으로 인해 상체와 하체의 근력 및 무산소 운동능력이 높게 나타난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크로스컨트리 스키 경기에서 선수가 보다 좋은 기록을 얻기 위해 근력 및 무산소 운동능력을 향상 시킬 수있는 훈련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xercise characteristics of cross-country skiers through a comparison of the upper and lower body strength and anaerobic exercise capacity of cross-country skiers and long-distance track and field athletes. The goal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player training and development based on this comparis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8 adult cross-country skiers (10 males, 8 females) and 22 track and field athletes (10 males, 12 females). The selected athletes in each category were measured fo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power, lower limb isokinetic strength, and anaerobic power. The collected research results were organized using Windows Excel 2021,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conducted using Windows SPSS 26.0.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surement results between excellent and non-excellent athletes within the event. And the results revealed that male cross-country skiers demonstrated higher grip strength, abdominal muscle strength, power, and isokinetic strength per unit weight in the left quadriceps, as well as average and maximum power compared to long-distance track and field athletes. Female cross-country skiers showed higher grip strength, abdominal muscle strength, muscular endurance, power, isokinetic strength per unit weight in the left quadriceps, right quadriceps, as well as average power compared to long-distance track and field athlete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emands of cross-country skiing, which involve acceleration using skis and poles and climbing, contribute to the higher upper and lower body strength and anaerobic exercise capacity observed in cross-country skiers compared to track and field athlet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introduce training programs that can enhance the strength and non-aerobic exercise capacity of athletes to achieve better rec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