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교와 항일독립운동, 그리고 쟁점 : 무극도 사례를 중심으로

        고병철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0 대순사상논총 Vol.35 No.-

        Ever since gaining liberation in 1945, Korean society has constantly recalled memories of Japan’s invasion and Korea’s anti-Japanese movements for an independent state (AMIS). In the process, a small number of new religious groups were also identified as main subjects within AMIS. However, the logic necessary to connect these religious groups with AMIS was still weak. In order to solve this situation academicall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lluminate the activities of Mugeukdo (無極道) and Jo Jeongsan (趙鼎山) through the lens of AMIS and to reflect on the issues that will arise when linking the religion with AMIS. Regarding this purpose, this article analyzed the internal and external data collected by Daesoon Jinrihoe (大巡眞理會) about Jo Jeongsan and Mugeukdo’s activities linked to AMIS. Later, this paper presents several tasks for future research on this subject matter. Specifically, according to Chapter Ⅱ, the AMIS of Jo Jeongsan and Mugeukdo were generally centered on resistance at the family level, Jo Jeongsan’s order to participate in the March 1st Movement, and Mugeukdo’s industrial activities. In Chapter Ⅲ, I reviewed the contents of Chapter II using Daesoon Jinrihoe’s external materia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view, future research is required to discover and cross-check materials related to the AMIS of Jo Jeongsan and Mugeukdo believers. Likewis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highlight the theory of the enthronement of emperor (天子登極說) and the Great Opening of the later world (後天開闢) in terms of AMIS. These efforts can make contributions that increase the credibility of Daesoon Jinrihoe’s internal data on the AMIS of Jo Jeongsan and Mugeukdo and expand the periphery of AMIS as it relates to certain religious groups. Subsequently, in Chapter Ⅳ, I present three items for reflecting upon the connection between certain religious groups and AMIS. The first is that criteria for establishing the category of AMIS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religious activities can be included. Second, reductionist approaches make it difficult to explain the reasons why some of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AMIS did so while forming ‘new religious movements,’ and why these groups have maintained their religious identity even after liberation was achieved in 1945. Third,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dimensions to elaborate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se religions and AMIS. This means that researchers should be expected to look at whether the activities in question are based on a religious worldview and whether the goal of the activities is the realization of AMIS or the implementation of some aspect of that religious worldview.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 mechanisms that make AMIS memorable in Korea, religious groups and religious studies should take greater interest in discovering and accumulating data that facilitates research on these topics. At the same time, effort should be made to find the basis for AMIS within religious worldviews. It can also be made possible through specific interest in further elaboration on the various AMIS-related activities of Jo Jeongsan and Mugeukdo. 1945년 해방 이후 한국 사회는 일제강점기와 항일독립운동의 기억을 끊임없이 소환한다. 그 과정에서 소수의 신종교단체들이 항일독립운동의 주체로 호명되지만, 종교와 항일독립운동을 연결하는 논리는 미약하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이 연구의 목적은 정산과 무극도의 활동을 항일독립운동의 차원에서 조명하고, 이를 통해 종교와 항일독립운동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쟁점들을 성찰하는 데에 있다. 이와 관련해, 종래 항일독립운동과 연결된 정산과 무극도의 활동에 대해 대순진리회의 내부 자료(제Ⅱ장)와 외부 자료(제Ⅲ장)를 분석해 향후 과제를 제기하면서 종교와 항일독립운동 사이를 연결할 때에 성찰해야 할 부분들을 제시하였다(제Ⅳ장). 구체적으로, 제Ⅱ장에서는 정산과 무극도의 항일독립운동에 대해 가족을 배경으로 한 정산의 항일의식과 3ㆍ1운동 참여 지시, 그리고 무극도의 산업활동으로 구분해 검토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제2장의 내용에 대해 외부 자료들을 활용해 검토한 후 정산과 신자들의 항일독립운동에 대한 교단 내부와 외부 자료를 적극 발굴하는 일, 아울러 천자등극운동과 후천개벽 등을 항일독립운동 차원에서 조명하는 일을 연구 과제로 제시하였다. 정산과 무극도의 항일독립운동에 대해 전자는 무극도 내부와 외부 자료의 교차 검토를 가능하게 자료 내용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에, 후자는 종교적 항일독립운동의 외연을 확대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이어, 제Ⅳ장에서는 종교와 항일독립운동을 연결할 때 성찰할 부분으로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종교 관련 활동의 포함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항일독립운동의 범주 설정 기준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두 번째, 환원주의적 접근은 항일독립운동가들이 ‘신종교 형태’를 취한 이유, 그리고 종교를 가장했다고 평가한 단체들이 해방 이후에 종교적 정체성이나 성격을 유지ㆍ지향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종교와 항일독립운동 사이의 연관성을 정교하게 밝히기 위해 ‘부수적 차원’과 ‘목적적 차원’을 구분해서 ‘그 활동이 종교적 세계관에 근거하는지의 여부’와 ‘그 활동의 최종 목적이 항일독립인지 종교적 세계관의 구현인지의 여부’를 살펴야 한다는 점이다. 앞으로, 항일독립운동에 대한 사회적 기억 장치들을 고려한다면, 종교계나 학계는 이 주제와 관련된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자료들을 발굴하고 축적하는 일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동시에, 이러한 관심은 항일독립운동의 근거를 종교적 세계관에서 찾으려는 노력을 수반해야 한다. 정산과 무극도의 여러 활동을 항일독립운동 차원에서 정교하게 조명하는 일도 이러한 관심과 노력을 통해 가능해질 수 있다.

      • KCI등재

        무극도 관련 문헌 연구 : 비교 및 고증을 중심으로

        박상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2 대순사상논총 Vol.41 No.-

        Documentation related to Mugeuk-do (Limitless Dao) is rare in comparison to other Korean new religions given that it has been open to the public and translated since the 1970s. Due to its rarity, the documentation has been used uncritically, without there being any comparative study or historical research. It is undeniable that distortions and fallacies are embedded in these documents, and this has resulted in quite a few problems in precisely understanding Mugeuk-do and Daesoon Jinrihoe (The Fellowship of Daesoon Truth), an order that has inherited the legacy of Mugeuk-do.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defin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major documents related to Mugeuk-do that were published by the colonial government in the 1920s~1930s and recorded by multiple orders in the 1970s-1980s through comparisons. An attempt to conduct this research allows for the discovery of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uncritical usage of those materials. The documents produced by the colonial government that can be used as basic texts to study Mugeuk-do are The General Conditions of the Religion Mugeuk-do (無極大道敎槪況) and Unofficial Religions of the Korea (朝鮮の類似宗敎). These can be found through bibliography, comparison, and historical research. Chapters 6, 7, and 8 of The General Conditions of the Religion Mugeuk-do are a possible source on the order that reflects the circumstances of Mugeuk-do until 1925. In the case of Unofficial Religions of the Korea, if the descriptive perspective on unofficial religions is excluded, the articles written about the circumstances post 1925 have credibility. Another document that describes multiple orders and can be used as a basic text is chapter 2 of ‘Progress of the Order’ in Daesoon Jinrihoe’s The Canonical Scripture. This is because its record precisely reflects the conditions of the era, with regard to the fact that it is the freest from distortions caused by changes in the belief system and it is less biased towards certain sects or denominations. Furthermore, the collection period of the articles is the earliest. Accordingly, as basic texts, Chapters 6, 7, and 8 of The General Conditions of the Religion Mugeuk-do and the articles from Unofficial Religions of the Korea after 1925, as well as chapter 2 of ‘Progress of the Order’ in The Canonical Scripture are appropriate for studying Mugeuk-do. In addition, Overview of Bocheonism, History of Jeungsan-gyo, and The True Scripture of the Great Ultimate can be utilized as references after removing distortions and fallacies through comparative study. Henceforth, relevant documents should be utilized to establish comprehensive data on Mugeuk-do through comparative and historical research. 무극도를 기술한 문헌은 다른 근대 한국 신종교에 비해 희소하며 외부에 본격적으로 공개되고 번역된 시점도 1970년대 이후이다. 이 문헌들은 그 희소성으로 인해 비교나 고증 없이 연구에 활용되었는데, 이들 문헌이 지닌 왜곡과 오류가 무극도와 이를 계승한 교단인 대순진리회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적지 않은 문제를 초래한 것은 부인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무극도 관련 주요 문헌인 1920~30년대의 관변 기록과 1970~80년대의 교단 기록을 비교 고증하여 문헌이 지닌 성격과 한계를 비판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해당 문헌에 관한 해제와 비교 고증을 통해 무극도 연구에 기본 텍스트로 활용할 수 있는 관변 기록은 『무극대도교개황(無極大道敎槪況)』, 『조선의 유사종교(朝鮮の類似宗敎)』임을 알 수 있다. 특히 『무극대도교개황』의 제6~8항은 교단 기록일 가능성이 크고, 1925년까지의 무극도 실상을 잘 반영하고 있다. 『조선의 유사종교(朝鮮の類似宗敎)』의 경우 유사종교라는 기술 관점을 제거한다면 1925년 이후의 기사는 신빙성이 있다. 기본 텍스트로 활용할 수 있는 교단 기록은 『전경』의 교운 2장이었다. 후대의 신앙체계 변동에 따른 왜곡에서 가장 자유롭고, 종파적 편향성이 적으며, 기사의 수집 시기가 가장 앞선다는 점에서 당대의 실상을 가장 정확하게 반영한 기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극도 연구에 있어서는 『무극대도교개황(無極大道敎槪況)』의 제6~8항과 『조선의 유사종교(朝鮮の類似宗敎)』의 1925년 이후 기사, 『전경』 교운 2장을 기본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보천교일반(普天敎一般)』, 『증산교사』, 「태극진경」의 경우 기본 텍스트와 관련된 내용은 비교를 통해 왜곡과 오류를 포착하여 무극도 연구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추후로도 무극도 연구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관련 문헌 전체가 비교와 고증을 통해 종합 정리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太極圖와 無極圖에 관한 比較 硏究

        최상용(崔相鎔) 한국도교문화학회 2004 道敎文化硏究 Vol.20 No.-

        도교 내단학의 기반이 확고해진 中國 宋代에는 陳搏을 필두로 圖書學派가 등장하며 太極圖와 無極圖가 형이상학적 우주론을 바탕으로 형성되었다. 태극도는 周郭?의 『太極圖說』을 배경으로 하여 ‘無極 → 太極 → 陰陽 → 五行 → 萬物’이라는 우주의 생성론적 관점을 형이상학적으로 규명하고 하고 있다. 반면에 진단의 무극도는 우주 만물의 최초근원인 무극으로 복귀하려는 내단수련의 단계를 ‘玄牝 → 築氣(煉精化氣와 煉氣化神) → 和合(五氣朝元) → 採藥(取坎塡離) → 脫胎(煉神還虛와 復歸無極)의 다섯 층차로 설정하고 하고 있다. 즉 태극도가 우주 만물의 생성에 대한 순행적인 단계를 표현하고 있다면, 무극도는 역행적인 관점에서 만물의 하나인 인간이 우주 생성의 최초의 단계인 무극으로 회귀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무극도의 단계별 구성요소는 內丹修練의 방법이 다양화ㆍ성숙됨에 따라 층차의 경지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 KCI등재

        姜甑山의 儒佛仙관과 神道사상

        고남식(Nam-sik Ko) 한국도교문화학회 2016 道敎文化硏究 Vol.44 No.-

        조정산의 무극도는 증산을 신앙대상으로 하여 창건된 종단이다. 정산은 1909년 강증산의 천명을 받드는 봉천명(奉天命)으로부터 1958년의 정산의 화천(化天)까지 50년 동안의 포교공부를 통해 증산의 사상을 세상에 전해나가는데, 증산이 말한 「포교오십년공부종필」의 50년의 기간을 따른 행적이다. 증산은 천지에 존재하는 허무(虛無), 적멸(寂滅), 이조(以詔)를 받아 순차적으로 선불유가 그 작용을 하는 것으로 주장하는데 이러한 논리로 보면 관왕은 천지의 도솔(兜率)을 받아 이루어지며 허무, 적멸, 이조를 관장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유불선과 증산의 새로운 도(道)인 신도가 유기적 관계 속에서 연계되어 작용하고 있다. 전교는 순환론적인 세계관으로 인류사에서 정치와 가르침을 행했던 인물이나 종교사상이 시간의 주기를 따라 규칙적으로 탄생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증산의 화천후 종통을 이어 증산의 가르침을 펼친 정산의 전교 내용은 황제, 오제(五帝) 등의 상고 신교적(神敎的) 통치와 가르침 그리고 불 유 기독교 등을 펼친 석가, 공자, 예수와 그들 가르침의 주기적 전파를 적고 있다. 무극도(无極道, 1925) 이전에 발표된 전교(1923)는 야소교를 마지막으로 이전원(元) 4617년의 기간을 마무리 한다. 무극도는 증산의 종통을 계시로 받아 포교 50년간의 공부를 하고 있는 정산에 의해 창도된다. 전교에서 초통은 신도(神道)의 기간이고 중통과 계통은 유불선이 유행하던 기간이다. 이어 창도된 무극도는 중통과 계통의 기간에 유행한 유불선을 이어 그 정수를 반영해서 교리를 세운 종단이다. 전교에서는 대표적으로는 선(仙)과 관련해서는 황제, 불(佛)과는 석가, 유(儒)와는 공자 등이 순차적으로 등장하는데, 선불유가 포태양생욕대를 따라 연차적으로 작용하여 관왕을 이룬다는 증산의 관왕론과 이론적 기반을 같이 한다. 무극도가 창도된 것은 종교의 창시자들이 불 유 서교의 가르침에 통한 이들을 내어 인류 역사 속에 계속적으로 그들의 가르침을 전하나 아직 세상에 이상세계가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며 증산의 관왕론을 맞춘 신도로서의 의미가 있다. 정산이 창도한 종단인 무극도는 증산의 신도를 이룬다는 성격을 갖고 있다.

      • KCI등재

        대순 신앙의 천계(天界) 관념 -무극도를 중심으로-

        박상규 한국종교학회 2022 宗敎硏究 Vol.82 No.2

        The heavenly realm in the belief system of Daesoon Jinrihoe is an essential concept which even appears in the brief appellation, ‘Gucheon Sangje (Supreme God of the Ninth Heaven),’ as in Gucheon Eungwon Nwehseong Bohwa Cheonjon Kangseong Sangje (His Holiness the Supreme God Kang of the Ninth Heaven, Celestial Worthy of Universal Creation through His Thunderbolt, the Originator with Whom All Beings Resonate),’ the object of belief. Although the term is considerably important, the range of research is limited, and the number is only a few. ‘Gucheon (the Ninth Heaven)’ has been defined as plural heavens without clear evidence in the research until now. Furthermore, under this premise, it was explained in the theory of the heavenly realm of the East Asian tradition. As the commonality between the heavenly-realm theory in Daesoon belief, and the premise of Gucheon as the Ninth Heaven or the existing East Asian theory has not been specifically found, such an insistence has a limit. In addition, the Thirty-six Heavens, the official heavenly-realm perspective in Daesoon belief, have not been described, so the idea should be re-examined from the fundamental basis. There are only a few official documents that explain the heavenly realm theory of Mugeuk-do (Limitless Dao), which is the origin of Daesoon belief. Accordingly, this analytical study is rather carried out through a variety of other observational records including government-documen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ugeuk-do was characterized by its unique shrine structure and rituals; for instance, the dualized shrines named Spirit Hall (靈殿) and the Holy Hall (聖殿), and the rituals for the enshrined gods according to their rank in each temple independently and hierarchically. In particular, the spirit tablet of the Jade Emperor at the Tushita Heaven Palace in the Heaven of Thirty-three Gods, namely the Tushita Heaven, is analyzed as an intrinsic reason for those characteristics. In this aspect, the heavenly realms of Buddhism and Daoism are assimilated with each other. Analyzing the shrine structure of Mugeuk-do through Bohwa Cheonjon (the Celestial Worthy of Universal Creation) of Daoism that has a doctrinal status, and the view on the heavenly realm in the Maitreya belief system of Buddhism, the heavenly realm is divided into the three realms in and out. Additionally, the heaven in the three realms, the Tushita Heaven, the so-called Heaven of Thirty-three Gods, is presided by the Jade Emperor. On the other hand, ‘Gucheon,’ beyond the heavens over the three realms, is governed by Gucheon Sangje. This view is the most compatible with the theory of the heavenly realm in Daoism, fundamentally the Thirty-six Heavens. The view of the Bohwa Cheonjon belief is also based on this perspective. Accordingly, the view on the heavenly realm in Mugeuk-do has its roots in Daoism, especially, the view of the Bohwa Cheonjon belief. In this regard, the Ninth Heaven wherein the Shrine of Gods symbolizes, does not signify nine heavens but the highest heaven, which is assumed to consist of the Thirty-six Heavens. Henceforth, the multi-layered heavenly realm of Mugeuk-do is unified by Jeongsan. Such a transformation of the heavenly realm corresponds to the Great Opening of the three realms in the Daesoon belief. This thought can be assured as the belief system in general has undergone changes. 대순진리회의 신앙체계에서 천계는 ‘구천상제’라는 신앙 대상의 간칭(簡 稱)에도 나타날 정도로 핵심적인 관념이지만 중요성에 비해 연구는 단편적이며 수도 매우 적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명확한 근거 없이 구천을 아홉 개의 하늘로 전제하고 이를 동아시아의 전통적 구천설을 통해 설명했는데, 활용된 천계설이 대순 신앙과 명확한 접점을 지니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또한 대순 신앙의 공식 천계관인 삼십육천을 설명하지 않았다는점에서도 근본적으로 재검토될 필요가 있었다. 대순 신앙의 기원이 되는 무극도의 천계관을 설명한 공식 문헌은 거의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식 문헌 보다는 일제강점기의 관변 기록을비롯한 여러 외부 관찰 기록을 통해 이를 분석했다. 무극도는 독특한 신전구조와 의례를 지니고 있었는데, 영전(靈殿)과 성전(聖殿)이라는 이원화된신전과 각 신전에 독립적ㆍ계층적으로 봉안된 신에 대한 서열화된 의례가그 특징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도솔궁의 ‘삼십삼천도솔천옥황상제’ 의 신위는 이러한 특징이 나타나는 근본적 원인으로 분석되며, 불교 천계와도교 천계가 융합되어 있다. 대순 신앙에서 교리적인 위상을 지닌 도교의 보화천존과 불교의 미륵 신앙체계의 천계관을 통해 무극도 신전의 구조를 분석하면 천계는 삼계(三界)의 내외(內外)로 구분되어 있으며 삼계 내의 하늘은 ‘삼십삼천도솔천’으로옥황상제가 주재하며, 삼계 외의 하늘은 구천으로 구천상제가 관장한다. 이천계관에 가장 부합하는 도교 천계설은 기론적 삼십육천이며 보화천존 신앙의 천계관 역시 이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무극도 천계관은 도교, 특히 보화천존 신앙의 천계관에 기초를 두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영대가 상징하는 구천은 아홉 개의 하늘이 아니라 가장 높은 하늘이며 삼십육천으로구성되었다고 보아야 한다. 다층적인 무극도의 천계는 이후 정산에 의해 하나로 통일되었는데 이 같은 천계의 변화는 대순 신앙의 삼계 개벽 사상에부합하며 신앙체계 전반의 전환으로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태극도(太極圖)의 연원과 도상학적 세계관 - 진단의 무극도와 주돈이의 태극도를 중심으로 -

        韓熏 ( Han Hoon ) 한국유교학회 2012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7 No.-

        본 논문에서는 송대의 우주관 또는 세계관을 이해하는 방법으로서 도상학적 측면에서 태극도의 문제를 논하고자 한다. 특히 태극도의 연원과 그 발전의 과정을 모색하고 그 속에서 역학적 사유의 성격과 특징을 밝힐 것이다. 그 논점은 태극도가 天人合一의 궁극적 목표를 어떻게 해석하고 설명하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특히 본고에서는 진단의 무극도와 주돈이의 태극도를 비교함으로써 태극도의 형성과정에서 당시의 세계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도식화했는지에 착안할 것이다. 진단과 주돈이는 자연의 섭리에 입각하여 만물의 생성과 운동, 변화의 존재론적 과정과 그 강령을 설명하고자 했다. 이들은 모두 인간의 존재론적 문제를 天道에게서 찾고 이를 인간의 정신적 경지로 고양시키려 했다. 진단의 무극도가 天道의 본질에 맞추고 이로부터 인간의 내면적 기능에 중점을 두었다면, 주돈이의 태극도는 天道의 본원에 맞추고 이로부터 인간의 도덕적 규준을 도출하려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전자는 인간육체와 정신의 단련을 통해 궁극적으로 인간의 생명성의 근거를 설정하고자 하는 것이고, 후자는 인간본성의 정당화를 통해 궁극적으로 인간의 도덕성의 근거를 설정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므로 진단은 무극도의 도식을 통해 인간 心身의 수련방법을 제시한 반면에, 주돈이는 태극도의 도식을 통해 인간본성의 수양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전자의 무극도가 內丹의 구조 속에서 神仙의 경지를 추구하는 도식인 반면, 후자의 태극도는 人極의 구조 속에서 聖人의 경지를 추구하는 도식인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전자는 자연의 법칙을 인간 내면의 심신의 문제로 수용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에, 후자는 인간의 내면의 행위의 준칙을 자연의 법칙으로 고양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 두 사람의 도식의 차이점을 天道와 人道의 관계로 설명하자면, 전자가 천도를 인도로 끌어들이는 경향이 있다면, 후자는 인도를 천도로 고양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들은 인간의 존재와 가치의 통일과 그에 대한 인간의 이해의 문제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The essay is focused upon explicating Taiji Diagram and its iconological significance to understand the view of universe and the world-view at Song dynasty. Particularly, it tries to grope the origin of Taiji Diagram and its developing process, and to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ological thinking way in it. The point is how Taiji Diagram has its own thinking way, commonly aiming at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ity in the view of cosmology. Chen Tuan and Zhou Dunyi understand the existence and value of humanity according to a kind of the universal principle, i.e.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ity. They accept the providence of Nature, and, therefore, explain such an ontological mode as a series of production, movement and change of myriad things. Furthermore, they search for human issues of life in the way of heaven and enhance them into a spiritual stage of sagehood. If Chen Tuan's Wuiji Diagram, as a kind of Taiji Diagram, emphasizes the essence of heavenly way and thereby human inherent function, then, Zhou Dunyi's Taiji Diagram does the origin of heavenly way and thereby human moral canon. The former is to establish the organical ground of life through the exercise of the mind and body, while the later is to make a fundamental of human morality through the justification of human nature. The former attaches importance to a spacious organization of neidan, while the latter to a time-space organization of renji. Consequently, it seems to me that both of them are oriented toward an ultimate stage of sagehood, that is, a unity of human existence and its value according to the law of nature in the universe.

      • KCI등재후보

        무극도와 보천교의 신앙체계와 해석 - 원형과 해석을 중심으로 -

        김태수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2 무형문화연구 Vol.0 No.8

        Almost all religious movements that emerged in the history of Korean new religions are divided into the archetype advocated by the founder and the religious movement aspect of the sect form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successors. In the case of Donghak, the starting point of the modern new religion in Korea, there is a distinction between the archetypal movement of Choi, Je-woo (1824~1864) centered on Sangjenim (Hanul-nim) ideology and the realist movement of Cheondogyo that succeeded it. When viewing the Jeungsanist new religious movements from this angle, various new religious movements arise depending on each religious leader's interpretation of the content and way of believing in Kang, Jeungsan (姜甑山, 1871~1909), the archetypal figure, following his death. According to this hermeneutic viewpoint, this study examines the Mugeuk-Do (无極道) of Jo, Jeongsan (趙鼎山, 1895~1958)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rchetype and interpretation that appeared in the history of Korean new religious movements. Also, for comparison purposes, this study compares the Bocheongyo doctrinal system of Cha, Gyeong-seok (1880-1936), the largest of the Jeungsan lineage, and had a strong Confucian interpretation. Hereby, I examine how they have different doctrin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despite their sharing the same archetype. In particular, I overview the interpretation and distinction linked to the Confucian understanding of the Jeungsan ideology of both religious orders. 한국 근대 신종교사에서 대두된 거의 모든 종교운동은 창시자가 표방하는 원형(archetype)과 계승자들의 해석을 통해 구성된 종단의 종교운동 측면이 구분된다. 한국 근대 신종교의 시발점인 동학(東學)의 경우, 상제님(한울님) 사상을 중심으로 한최제우(崔濟愚, 1824~1864)의 원형적 운동과 이를 계승한 천도교(天道敎)의 현실주의적 운동이 구별된다. 이러한 관점으로 증산계 신종교 운동을 바라보면, 원형적 인물인 강증산(姜甑山, 1871~1909)과 그의 사후 증산을 신앙하는 내용과 방식에 대한각자의 해석에 따라 다양한 신종교 운동이 발생한다. 이러한 해석학적 관점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 신종교사에 나타난 원형과 해석이라는 시각에서 증산 계 종단 중 규모가 가장 크고 유교적 해석이 강했던 차경석(車京 石, 1880~1936)의 보천교(普天敎)와 조정산(趙鼎山, 1895~1958)의 무극도(无極道) 교리체계를 대비했다. 이로써 동일한 원형을 지녔음에도, 어떠한 해석상 차이에 따라 다른 교리상 특징을 지니게 되었는지 검토할 것이다. 특히 양 종단의 증산 이념에 대한 유교적 이해와 연계된 해석 및 변별점을 조망해 보겠다.

      • KCI등재

        대순 신앙의 주문 변화 : 고증을 중심으로

        박상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3 대순사상논총 Vol.44 No.-

        Incantations are reflected in the fundamentals of the Daesoon faith system and are, thus, key to its understanding. Jeungsan, the yeonwon (fountainhead, 淵源) of the Daesoon faith, created new incantations or transformed existing ones that had been used in old religious traditions such as Buddhism and Daoism. However, there has been no in-depth academic research on Jeungsan’s incantations until now. This study aims to academically clarify the incantatory archetypes of Jeungsan’s incantations based on documents published until the 1970s. Jeungsan’s incantations are then compared to those of Mugeuk-do (Limitless Dao) in the 1920s and Taegeuk-do (Great-Ultimate Dao) in the 1950s. Jeongsan’s transformed incantations are analyzed through this process. Jeongsan reflected the faith system in Jeungsan’s incantations during the period of Mugeuk-do. He transformed the incantations to achieve his goal and realize his wishes by arranging terms that referred to himself before the optative words of the incantations. Jeongsan made several changes to the incantations in the 1950s. First, the majority of incantations used in Mugeuk-do were discarded. This meant making partial changes to the faith system by reflecting awareness because the corresponding incantations were no longer necessary as the Degree Number calibrated by Jeungsan had been realized. Second, Jeongsan organized the incantations in use and institutionalized their instructions. This reflected the essential doctrinal system of the Daesoon faith, namely the completion of the true dharma by Jeongsan. Considering this doctrine, that is, the Fifty Year Holy Work (五十年工夫), the true dharma can be presumed to have been realized before the death of Jeongsan. Accordingly, the institutionalizing and organizing of the incantations were indispensable until the mid-to-late 1950s. Jeongsan, the founder of the Daesoon order, posited himself as the successor of religious orthodox lineage and as the figure who would complete the true dharma by realizing the Degree Number calibrated by Jeungsan. Therefore, Jeongsan interpreted Jeungsan’s incantations to be a rough sketch of the Daesoon faith system that had been drawn for him in advance by Jeungsan. Accordingly, Jeongsan transformed Jeungsan’s incantations and used them to realize the Degree Number, which Jeungsan had planned. Simultaneously, Jeongsan declared that he would fulfill the Degree Number and establish the true dharma by changing those incantations. 주문은 대순 신앙체계의 토대를 반영하고 있으므로 신앙체계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창이라고 할 수 있다. 대순 신앙의 연원인 증산은 새로운 주문을 만들거나 불교와 도교 등 기존 전통 종교에서 사용했던 주문을 변형하여 사용했다. 그러나 증산의 주문에 대한 학문적 고증은 지금까지 심도 있게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1970년대까지의 문헌을 기반으로 증산의 주문 원형을 학문적으로 고증하고 이를 1920년대 무극도와 1950년대 태극도 주문과 비교하여 정산의 주문 변용을 분석하였다. 무극도 시기 정산은 증산의 주문에 무극도 신앙체계를 반영했고, 자신을 의미하는 용어를 주문의 기원문 앞에 배치하여 자신의 일이 이루어지도록 소원하는 형태로 변용하였다. 1950년대 정산은 주문에도 많은 변화를 주었다. 첫째는 무극도에서 사용되던 주문 중 상당수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았다. 이는 증산이 안배한 도수를 실현하여 더 이상 해당 주문이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는 인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부분적인 신앙체계의 변동을 의미했다. 둘째는 사용 주문을 정비하고 사용법을 제도화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정산에 의한 진법의 완성이라는 대순 신앙의 핵심 교리체계를 반영한 것이다. “오십년공부(五十年工夫)”라는 교리 상 정산의 서거 전 진법은 완성되어야 했으며 따라서 1950년대 중후반까지 주문의 제도화와 정비는 필수적이었다. 무극도와 달리 태극도 주문에 정산의 소원성취를 기원하는 구조가 봉축주와 진법주에만 유지된 것은 진법의 완성 시기가 도래하였음을 의미했다. 대순 신앙의 창립자인 정산은 증산이 짜 놓은 도수를 실현하여 진법을 완성하는 종통 계승자로 스스로를 인식하였으므로 자신을 위해 증산이 그려놓은 대순 신앙체계의 밑그림으로 증산의 주문을 해석했다. 따라서 정산은 증산의 주문을 변형하여 증산이 계획한 도수를 실현하는데 사용하면서, 동시에 주문 변용으로 도수 실현과 진법 구축을 선포하였다.

      • KCI등재

        보천교와 무극도의 신앙대상에 대한 고찰

        진정애 ( Jung Ae Jin ) 한국신종교학회 2011 신종교연구 Vol.25 No.-

        보천교와 무극도는 증산 사후 비슷한 시기에 설립된 종단으로서 신앙의 대상이 같고, 증산이 천지공사 한 내용을 토대로 교리를 체계화하였다. 그러나 신앙의 대상에 대한 호칭에 대해서는 각기 달리하고 있다. 신앙의 대상에 대해서 보천교 전기교단에서는 옥황상제(玉皇上帝)라 하고, 무극도는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상제라고 하여 신앙하였다. 또한 보천교 후기교단에서는 신앙의 대상이 유교적인 면으로 전향하여 천(天)과 신(神)으로 바뀌게 된다. 보천교와 무극도가 신앙대상에 대한 호칭은 서로 다르지만 그 특성을 보면 절대자인 상제가 인간의 모습으로 이 세상에 하강한 것과 우주의 질서 속에 자유자재로 그 권능을 행사할 수 있는 최고신(The Supreme Being)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할 것이다. Bocheon-gyo and Mugeuk-do are religious orders of the same origin and similar history which share the object of belief along with the systemization of religious principle based on Jeung-san`s Reconstruction work of heaven and earth. Bocheon-gyo is a religious order founded by Cha Gyungseok. He became a disciple in 1907, 2 years before Jeung-san`s passing into heaven. Despite his late initiation, he was able to attend to Jeung-san`s Reconstruction work, observing the greatness of his omnipotent power. Upon Jeung-san`s passing into heaven, Cha Gyungseok has established a religious order helping lady Ko who had a dramatic experience. Yet, once lady Ko has moved to another place, Cha Gyungseok led that religious order. In Bocheon-gyo`s former religious order, he claimed Jeungsan as Okhwang Sangje(The Great Jade Emperor) based on Jeungsan`s own narrative during his reconstruction work. In latter religious order with its Confucianistic tendency, the object of belief has turned into heaven and God. In Confucianism, heaven is regarded as a form, Sangje as a supreme superintendent being and vice versa. Thus, Sangje is the highest sole existence which contains the conception of supreme presiding heaven and normative heaven altogether. Meanwhile, Doju Jo Jeongsan, despite his no acquaintance of Sangje Kang, has established a Meugeuk-do(The Religion of Boundlessness), a religious order with orthodox authority through receiving a mysterious revelation from Sangje, Doju Jo Jeongsan has constructed a Meugeukdo Dojang(temple complex) in dochang-hyeon, Gutaein, Jeonlabuk-do in 1925. The object of belief was enshrined as Gu-choen Eung-won Nweh-seong Bo-hwa Cheon-jon Kang-seong Sangje(the Great Creative God and Lord of the Ninth Heaven). And by pronouncing tenet, creed and object which consist of the core teachings of belief, all the conditions of doctinal system has completed. Review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 of belief, which is an ultimate reality, it lies on the fact that absolute God, Sangje has descended to this world as a human-being, not as an immaterial entity. Seeing the fact that the world of humans are interrelated with the world of spirits, he clarify his status among the various names of Sangje-God. Finally, through his Reconstruction work, Jeungsan shows himself to be the Supreme Being who can freely wield the omnipotent pow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