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 이건희 회장 기증 《무구정광대다라니경 · 국왕경응조무구정탑원기》 모사첩 연구

        이재호 국립중앙박물관 2024 박물관과 연구 Vol.1 No.-

        2021년 고 이건희 회장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무구정광대다라니경(귀)》(건희10703, 이하 ‘이건희 기증 모사첩’)는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 〈국왕경응조무구정탑원기(國王慶膺造無垢淨塔願記)〉, 김정희 제지, 오세창 배관기를 엮은 총62면의 호접장 서첩이다. 이번 연구에서 이 서첩은 1934년 스에마쓰 야스카즈가 『청구학총』 15호에 소개한 자료와 동일하며, 1824년 경주 창림사 무구정탑 안에서 출토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과 〈국왕경응조무구정탑원기〉를 경황지(硬黃紙)에 정교하게 탑모(搨模)한 것임을 밝혔다. 아울러 1998년 전 성암고서박물관장 조병순이 공개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경주 창림사 무구정탑 출토 원본 사경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재확인했고, 박철상 소장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 경주 창림사 무구정탑 출토 사경을 탑모한 또 하나의 모본일 가능성이 크다고 고찰했다. ‘이건희 기증 모사첩’ 『무구정광대다라니경』에는 측천문자가 6종 15회 사용되었다.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무구정광대다라니경』(국보, 불국사 소장)에 4종 10회 사용된 측천문자는 ‘이건희 기증 모사첩’에도 동일하게 사용되었고, 기타 이체자도 공통되므로 두 경전은 8세기 신라에서 통용되었던 동일한 판본을 저본으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김정희는 금석학으로 한국과 중국의 서예 교류를 고증했는데, 창림사 무구정탑 출토 『무구정광대다라니경』과 〈국왕경응조무구정탑원기〉는 구양순체 이전의 고아한 서법을 보여주는 실물 자료라고 평가했다. 그러므로 ‘이건희 기증 모사첩’은 김정희가 보기 드문 통일신라 사경과 탑원기 진본을 고증한 사례로 그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크다. Great Dharani Sutra of Undefiled Pure Light (Gwi) (LKH 10703) donated by the family of the late Lee Kun-Hee t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2021 is a calligraphy album consisting of sixty-two leaves compiled using butterfly binding. It contains Great Dharani Sutra of Undefiled Pure Light, “Record of the Production of Mugujeong Pagoda by the Order of King Munseong,” a postscript by Kim Jeonghui, and an appreciation record by Oh Sechang. This paper has revealed that this album is identical to the material that Suematsu Yasukazu introduced in Volume 15 of the journal Cheonggu hakchong in 1934 and that it includes elaborate copies of Great Dharani Sutra of Undefiled Pure Light and “Record of the Production of Mugujeong Pagoda by the Order of King Munseong” on yellow Chinese paper, both of which were excavated from inside the Mugujeong Pagoda at Changnimsa Temple in Gyeongju in 1824. It has also reconfirmed that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Great Dharani Sutra of Undefiled Pure Light that Jo Byeongsun, the former director of the Seongam Old Books Museum, unveiled in 1998, is a transcription of the original sutra excavated from Mugujeong Pagoda at Changnimsa Temple in Gyeongju. Moreover, it has concluded that the Great Dharani Sutra of Undefiled Pure Light owned by Park Cheolsang is likely to be another example of copying the transcription of the original sutra excavated from the Mugujeong Pagoda at Changnimsa Temple in Gyeongju. In the album of copies donated by the estate of Lee Kun-Hee, six of the Chinese characters promulgated by Empress Wu were used fifteen times in total. Four of the characters of Empress Wu were utilized ten times in the Great Dharani Sutra of Undefiled Pure Light (national treasure, Bulguksa Temple collection) found among the reliquaries from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Bulguksa Temple in Gyeongju and were also seen in the album of copies donated by the estate of Lee Kun-Hee. The use of the same characters of Empress Wu and other variant characters suggests that both the album of copies donated by the estate of Lee Kun-Hee and the Bulguksa sutra were based on an edition distributed in the Unified Silla Period during the eighth century. Kim Jeonghui confirmed the exchange of calligraphy between Korea and China through studies on bronze and stone epigraphs. He believed that the Great Dharani Sutra of Undefiled Pure Light and “Record of the Production of Mugujeong Pagoda by the Order of King Munseong” excavated from Mugujeong Pagoda at Changnimsa Temple were authentic materials showing the elegant calligraphic styles that prevailed before the Ouyang Xun style. Thus, the album of copies donated by the estate of Lee Kun-Hee holds great historical and artistic significance in that it is a rare example of Kim Jeonghui’s evidential study of a transcribed sutra and an original record of the production of a pagoda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 KCI등재후보

        신라 하대 無垢淨塔의 건립과 『無垢淨光大陀羅尼經』 신앙

        원선희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한국학논총 Vol.30 No.-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은 唐 長安 4년(704) 彌陀山에 의해 번역되었다. 이시기 당에서는 서역을 유학하고 온 승려들에 의해 인도에서 행해진 法舍利信仰이 체계화되었다. 또한 밀교승려들의 활동으로 많은 밀교경전들이 번역되었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탑 속에 법사리를 봉안함으로 인해 공덕이 생긴다는 내용의 造塔經들이 번역되기 시작하였다. 『무구정경』은 여러 조탑경 가운데 풍부한 공덕의 내용을 담고 있어 신라에서 수용될 수 있었다. 총 여섯 개의 다라니로 구성된 『무구정경』은 그 序分에서 바라문을 極樂으로 이끄는 방편으로써 造塔의 공덕을 설하고 있다. 극락은 아미타정토를 지칭하는 말이다. 신라 중대 왕실에서는 내세적인 성격을 띤 아미타신앙이 유행하였고, 중대의 화엄사상은 아미타신앙을 적극 수용하였다. 그런데 이때의 무구정탑의 발원 내용은 대부분 내세를 기원하고 있다. 곧 극락정토로 가는 방편을 설하고 있는 『무구정경』은 신라 중대의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수용될 수 있었다. 『무구정경』에 의거한 무구정탑의 건립은 신라 하대 문성왕대와 경문왕계 왕실에서 크게 유행하였다. 이때 무구정탑의 발원자층은 주로 왕실이나 중앙의 진골귀족층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발원의 내용은 선조를 추선함으로 인해 생기는 공덕으로 현세에서의 복락을 기원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9세기 전후의 신라 왕실은 왕위쟁탈전으로 흩어진 家系를 통합하고 이를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문성왕은 자신이 속한 균정계와 他 家系인 헌정계의 혼인을 추진하고 헌정계 인물을 정치활동에 참여시키며 화합을 모색하였다. 문성왕대의 무구정탑 건립 의도는 왕실의 권위를 내세우고자 한 것이었는데 여기에 헌정계의 인물들이 참여하고 있음이 주목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왕위쟁탈전으로 중앙정치에서 밀려나있던 헌정계가 활동을 재개할 수 있었다. 헌안왕의 사위로 왕위에 오른 경문왕이 대표적인 헌정계 인물이다. 헌정계로 왕위에 오른 경문왕 역시 문성왕대와 마찬가지로 가계 통합을 시도하며 왕권을 강화시키고자 하였다. 문성왕이 균정계와 헌정계 즉, 예영계의 통합을 시도했다면 경문왕은 더 나아가 원성왕계라는 큰 테두리 속에서 화합을 시도하였다. 이는 왕실가계의 통합으로 왕위계승전을 방지하고 왕실에 위협이 되는 세력을 진압하여 왕권을 강화시키려는 의도로 볼 수 있다. 또한 경문왕의 親弟인 魏弘을 위시하여 측근정치를 펼쳐나갔다. 이때에 건립되는 무구정탑은 이러한 왕실의 의도를 잘 반영하였다. 선조를 추선하기도 하였으며, 호국의 의미가 강한 황룡사 목탑을 『무구정경』에 의거하여 중수하기도 하였다. 하대에는 지방 세력의 지지를 받은 선종과 민중들 사이에서 彌勒下生信仰이 크게 유행하였는데, 왕실에서는 이들을 포용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선종사찰에 세워진 무구정탑과, 미륵신앙과 관련이 있는 心地를 통한 무구정탑의 건립은 이러한 왕실의 의도를 나타내 준다고 하겠다. 또한 하대에는 비로자나불과 무구정탑이 같은 사찰에 함께 조성되기도 하였는데 이는 밀교신앙의 모습으로도 볼 수 있지만, 하대 화엄과 관련해서 살펴볼 수 있다. 실천수행을 강조하는 선종세력의 비판을 받자 화엄종단은 교단을 결속하고 실천신앙의 목적에서 結社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화엄결사가 왕실의 발원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았... Mugujenggwangdaedaranigyong(『無垢淨光大陀羅尼經』) was translated by Mitasan(彌陀山) four years after the beginning of the era of Jangahn by the Dang Dynasty(唐 長安4년 704). At that time, in Dang, Buddhist priests who studied in countries to the west of China completed the systematization of faith in Buddhist scriptures as sariras, which was being widespread in India. In addition, priests belonging to the sect of Esoteric-Buddhism(密敎) actively translated scriptures relevant to the sect, and in this process, a number of "Jotapkeong"s(造塔經) containing the contents which the enshrinement of Buddhist scriptures as sariras within pagodas produces merit and virtue started to be translated. Mugujeongkeong was able to be accepted by the Silla Dynasty because of its richer contents of merit and virtue more than any other scriptures. The scripture, which was composed of a total of six "Darani"s,(陀羅尼) asserts the merit and virtue of establishing pagodas as a means to lead Baramun to the paradise of Buddhism in its introduction. The paradise of Buddhism indicates "Amitajeongto."(極樂淨土) Amita faith, seeks the future life after death, became popular among the royal family in the middle period of the Dynasty, and the ideology of "Hwaum"(華嚴) at that time was enthusiastically accepted Amita faith. The originating contents of Mugujeung-stupas(無垢淨塔) were almost relative to the pursuit of life after death. Soon, the scripture asserting the way to lead to "Amitajeongto"(極樂淨土) was able to be accept by the Silla Dynasty in its middle period under that circumstance. The establishments of mugujeung-stupa on the basis of Mugujeongkeong were actively carried out by the royal family lines of King Munsung(文聖王) and King Keongmun(景文王) in the late Silla Dynasty. At this time, the originating classes of Mugujeung-stupas are known to have mainly been the royal family or "Jingol"(眞骨) nobles within the central political community. The originating contents were almost the merit and virtue by paying homage to their ancestors to obtain blessing in the present life. Around the 9th century, the Silla Dynasty tried to integrate their scattered family lines in the process of struggling for the throne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King Munsung encouraged marriages between the Keunjeong family line(均貞系), which himself was belonging to, and the Hunjeong line(憲貞系), and made figures of the Hunjeong family line participate in the politics to produce reconciliation with them. The establishments of mugujeung-stupas in the era of King Munsung were intended to show the authority of the royal family, and it is noticeable that figures of the Hunjeong family line participated in those projects. Under this circumstance, the Hunjeong family line, who were excluded in the central politics in the process of struggling for the throne, were able to advance into the center again. A representative figure from the Hunjeong family line is King Keongmun, who took the throne as a son-in-law of King Hunahn(憲安王). King Keongmun, who took the throne as a Hunjeong-descendent figure, also tried to integrate the family lines to strengthen the central power like the era of King Munsung. While King Munsung tried to integrate the Yeyong family line(禮英系)-the Kuenjeong and Hunjeong family lines, King Keongmun did in a larger scale, the King Wonsung family line(元聖王系). That was interpreted to mean that he wanted to prevent power struggling for the throne and suppress force threatening the royal family in order to strengthening the royal authority by integrating royal family lines. Moreover, he carried out political activities with his aides including his brother. The mugujeung-stupas that were established at this time well reflect the intention of the royal family. He used to pay homage to the royal family's ancestors and constructed the Whanyongsa wooden pagoda(皇龍寺木塔) featur...

      • KCI우수등재

        신라 불탑에 있어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영향

        신용철(Shin, Yong-chul) 불교학연구회 2009 불교학연구 Vol.23 No.-

        8세기 초엽 신라사회에 전래된『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은 신라탑파사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였다. 무구정경에 따른 건탑과 사리장엄은 곧 신라사회에 유포되어 널리 유행하였으며 그 결과 “無垢淨塔”이라는 탑명을 만들어 만들어내기도 하였다. 본 논문은 무구정경에 나타난 내용, 작법이 建塔的 측면에서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라는 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기본적으로 무구정경에서 강조하는 내용은 불탑의 건립과 수리에 따른 공덕이다. 그런데 무구정경에서의 공덕 내용은 현실세계에서 실현 가능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무구정경 유입이전 건탑을 통해 공덕이 쌓이는 개념에서 공덕을 쌓기 위해 건탑을 이루려는 적극적이고 현실적인 불탑관의 정립으로 이어졌다. 한편 무구정경이 신라사회에 널리 유포되면서 건탑에 참여할 수 없었던 일반 백성들은 무구정경에 따른 탑돌이에 참여하여 신라의 풍속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신 라후기 무구정경의 유행으로 탑 앞에 네모난 제단이 설치되었으며, 탑 기단부 아래로 1단의 받침을 첨가시켜 “무구정탑”이라는 용어를 만들어 내기도 하였다. 무구정경은 기존의 국가 중심적 불탑관에서 개인의 공덕을 위해서는 누구든지 탑 건립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 신라사회에서 무구정경의 유행에 따른 결정체는 872년에 시행된 황룡사 구층탑의 수리사실이다. 이 수리가 호국의 구심체였던 구층탑을 서라벌의 백성 모두에게 무구정탑의 공덕을 환원하려는 一切衆生成佛道라는 대승불교의 세계를 지향하려 했다는 점에서 신라인들이 추구했던 무구정경의 궁국적 목표를 유추해 볼 수 있다. Silla pagodas were constructed more often for the purpose of safeguarding the nation by the power of Buddha, rather than for the faith of tombs or targets of worships. However, as Buddhist scriptures such as Raśmivimalaviśuddhaprabhānāma-dhāranì-sutra (無垢淨經) flowed into Silla, this brought a remarkable turnaround to the construction of pagodas. It was because of these scriptures that many pagodas were construct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How it became popular to construct pagodas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can be found in Raśmivimalaviśuddhaprabhānāma-dhāranì-sutra . The scripture says that people can build up their virtues by constructing pagodas and repairing collapsed pagodas. With the teachings of Raśmivimalaviśuddhaprabhānāmadhāranì-sutra widely spread in the Silla society, commoners, who had not been qualified to join the construction of pagodas, were allowed to attend the ceremony of turning around the pagoda, which was later part of the kingdom’s customs. Under the influence of the scripture, in the second half of the Silla period, a square altar was installed in front of the pagoda, and a one-level support base was added to the stylobate of the pagoda; this type of pagoda thus was called Mugujeongtap(無垢淨塔). Mugujeongtap changed the state-centered view of pagodas, that pagodas safeguarded the state, thus paving the way for individual commoners to join the construction of pagodas to build up their virtues. Jotapgyeong(造塔經)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instating the original purpose of Buddhists’ faith in pagoda construction. Notably, the representative pagoda of Silla, the Nine-Storied Wooden Pagoda of Hwangryong Temple(皇龍寺九層木塔), was repaired according to the method provided in Raśmivimalaviśuddhaprabhānāma-dhāraṇì-sutra , and this attempt was aimed at creating an ideal world of Buddhism where the entire populace could become Buddha.

      • KCI등재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陁羅尼經)』의 간행(刊行)에 대하여

        박상국,Park, Sang-Guk 국립문화재연구원 2000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33 No.-

        이 논문은 1966년 경주 불국사 석가탑에서 발견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목판본의 간행연도에 관한 연구이다. 이 다라니경은 한국에서 간행된 현존 세계 최고의 인쇄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최근에 중국의 한 학자는 이 다라니경이 701년에 한역(漢譯)되고 702년에 중국 뤄양(낙양(洛陽))에서 인쇄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를 계기로 국제학술심포지엄 등이 열리는 등 최근 몇년 동안 다리니경에 대한 연구 논문이 집중적으로 발표되었다. 그러나 학자의 관점에 따라 다양한 의견이 제기됐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혼란을 초래한 논문도 많았다. 이 논문에서는 이 다라니경이 704년에 한역(漢譯)되었기 때문에 한역과 간행 연도에 대해 국내 학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든 중국학자의 주장이 잘못되었음을 규명하였다. 아울러 경전의 내용과 사리구(舍利具)의 명문에서 이 다리니경은 통일신라시대 탑을 만드는데 기본경전으로서의 기능을 한 것이었음을 밝혔다. 그러므로 석가탑 역시 이 다리니경의 조탑(造塔) 사상(思想)에 의해 조성되었고 이 다라니경은 석가탑 건립(751년)이 계기가 되어 간행된 목판본이다. This research paper has examined the question of the year of the publication of the wood block print, Mukujeonggwang Dae Darani Gyeong(Pure light Dharani Sutra). Published in Korea sometime before 751, it is known to be the oldest existing document printed with wood blocks in the world. Recently, a Chinese scholar claimed that this sutra was translated into Chinese in 701 and printed in Reoyang, China, in 702. These claims have lead to international symposiums and research papers on the Mukujeonggwang Dae Darani Gyeong. However, although diverse opinions and research were presented by various scholars, they all seem to be far fetched and do not answer the essential question of the sutra. The evidence in historic records shows that the translation into Chinese was done in 704 and not in 701. After it was translated into Chinese, it came to Korea and was printed with wood blocks. When Sokkatap was built in 751, a copy was placed in the pagoda. Moreover, the inscription on the sarira casket states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pagoda was based on the theory of Jotapsasang contained in the sutra. Thus this proves that Mukujeonggwang Dae Darani Gyeong had to have been printed before 751.

      • KCI등재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刊行에 대해서

        박상국 국립문화재연구원 2000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33 No.-

        이 논문은 1966년 경주 불국사 석가탑에서 발견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목판본의 간행연도에 관한 연구이다. 이 다라니경은 한국에서 간행된 현존 세계 최고의 인쇄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최근에 중국의 한 학자는 이 다라니경이 701년에 漢譯되고 702년에 중국 뤄양(洛陽)에서 인쇄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를 계기로 국제학술심포지엄 등이 열리는 등 최근 몇 년동안 다라니경에 대한 연구 논문이 집중적으로 발표되었다. 그러나 학자의 관점에 따라 다양한 의견이 제기됐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혼란을 초래한 논문도 많았다. 이 논문에서는 이 다라니경이 704년에 漢譯되었기 때문에 한역과 간행 연도에 대해 국내 학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든 중국학자의 주장이 잘못되었음을 규명하였다. 아울러 한역과 간행 연도에 대해 국내 학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든 중국학자의 주장이 잘못되었음을 규명하였다. 아울러 경전의 내용과 舍利具의 명문에서 이 다라니경은 통일신라시대에 탑을 만드는데 기본경전으로서의 기능을 한 것이었음을 밝혔다. 그러므로 석가탑 역시 이 다라니경의 造塔 思想에 의해 조성되었고 이 다라니경은 석가탑 건립(751년)이 계기가 되어 간행된 목판본이다. This research paper has examined the question of the year of the publication of the wood block print, Mukujeonggwang Dae Darani Gyeong(Pure Light Dharani Sutra)*), Published in Korea sometime before 751, it is known to be the oldest existing document printed with wood blocks in the world. Recently, a Chinese scholar claimed that this sutra was translated into Chinese in 701 and printed in Reoyang, China, in 702. These claims have lead to international symposiums and research paper on the Mukujeonggwang Dae Darani Gyeong. However, although diverse opinions and research were presented by various scholars, they all seem to be far fetched and do not answer the essential question of the sutra. The evidence in historic records shows that the translation into Chinese was done in 704 and not in 701. After it was translated into Chinese, it came to Korea and was printed with wood blocks. When Sokkatap was built in 751, a copy was placed in the pagoda. Moreover, the inscription on the sarira casket states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pagoda was based on the theory of Jotapsasang**) contained in the sutra. Thus this proves that mekujeonggwang Dae Darani Gyeong had to have been printed before 751. *)The Mukujeongwang Dae Darani Gyeong is believed to have been published sometime before 751. the 10th year of the reign King Kyeongdok the Shilla period. It os Korea's first woodblock print. It was discovered in 1966 when Sokgatap pagoda was belong restored. It is National Treasure No.126. **)Jotapsasang is the theory and belief of "practicing merit and virtue when constructing a pagod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통일신라~고려 전기 탑내 봉안 불상의 성립과 배경: 조탑공덕경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추연 미술사연구회 2016 미술사연구 Vol.- No.30

        Pagodas function both as structures for housing jinsin sari(sarira crystals said to have remained after the cremation of the body of Gautama Buddha), a symbol of the Buddha, and as conceptual tombs. Many Buddha statues have been discovered inside pagodas with sarira reliquaries. Statues enshrined in pagodas in this way are of high significance, regardless of position, because pagodas are sacred spaces. 27 cases Buddha statues were placed inside pagodas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to the early Goryeo period. Though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only the iconography and styles of these statues, it is thought that their placing in pagodas had a purpose and a function. This study therefore explores the reasons why Buddha statues were placed in pagodas, based on analysis of the ways in which they were inserted, the content of related scriptures, and the contemporary circumstances of their enshrinement. Most of these statues depict the Buddha in a standing position. Their hands are arranged in the abhaya and varada mudras, while it is unclear which particular Buddas they represent. Not all of the statues were enshrined when the pagoda was erected: many were inserted during restoration work, or statues which were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Several characteristics of Buddha statues placed in pagodas in Unified Silla and early Goryeo can be identified. Firstly, trends associated with this practice in Unified Silla appear to have been influenced both by traditions continued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by the newly-introduced Pure Light Dharani Sutra(無垢淨光大陀羅尼經). This sutra maintains that holding a ceremony to build or a repair a pagoda will cause the Buddha to dwell there and protect the sarira within. The arrival of the Pure Light Dharani Sutra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rly eighth century led to the appearance of a method of statue enshrinement that accurately reflected the content of the text. In such cases, the position of the Buddha statue is thought to have been regarded as the same as that of the sarira. From the mid-eighth century onwards, more statues were placed in the stylobate, separately from the sarira. This change can be connected to altered ceremonies associated with building pagodas. Secondly, Buddha statues placed in pagodas in the early Goryeo period show two trends: the maintenance of Unified Silla enshrinement practices; and changes due to the arrival of new sutras. The Buddha statue inside the octagonal nine-story stone pagoda at Woljeongsa Temple was placed in a higher position in the structure than the sarira, a practice influenced by the newly-introduced Bohyeopin Dharani Sutra(寶篋印陀羅尼經). At this time, cases of Buddha statues enshrined in pagodas also appear in China's Liao empire and Wuyue kingdom. A difference between Chinese and Korean enshrinement practices is that multiple Buddha statues were enshrined in each pagoda in the former, but only one in each in the latter. It therefore appears that the arrival of the Bohyeopin Dharani Sutra on the Korean Peninsula, rather than direct influence from China, brought new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Buddha statues. Demand for pagodas was low at this time, and they were not common throughout the country. It appears, however, that the Bohyeopin Dharani Sutra became fashionable through combination with enshrinement ceremonies associated with manufacturing or restoration of Buddha statues, rather than pagodas. 탑은 부처의 상징인 眞身舍利를 모시는 건축물임과 동시에 무덤인 廟塔의 개념을 지니고 있다. 탑 내 사리장엄 중에는 봉안된 불상들이 다수 발견된다. 탑이라는 신성한 공간에 안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위치에 상관없이 탑 내에 봉안되는 불상들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전기까지는 27건의 불상들이 봉안되었다. 이 불상들에 대하여는 도상·양식적인 연구만이 이루어 졌으나 탑에 봉안하게 된 목적과 기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위해 불상들의 납입 방식을 분석하고 관련된 경전과 시대적인 상황들을 분석하여 봉안 원인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불상들은 입상의 如來像이 대부분 봉안되었다. 수인은 시무외·여원인으로 존명이 불확실하다. 모든 불상들은 탑을 세울 때 봉안된 것은 아니다. 이는 탑이 중수되는 시기에 불상을 납입하였거나, 전세된 불상들이 납입되는 경우들이 많기 때문이다. 통일신라~고려 전기 탑내 봉안 불상들의 특징은 몇 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통일신라시대 탑내 봉안 불상의 유행은 삼국시대부터 이어져 내려온 전통과 새로이 유입된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영향으로 보인다. 이 경전에는 탑을 세우거나 수리하는 의식의 결과로 여래가 탑에 주처하며 사리를 호지하는 내용이 확인되어 근거가 된다. 8세기 전반에는 『무구정광대라니경』이 유입되면서, 경전의 내용을 충실히 반영한 봉안법이 나타난다. 이 경우 불상은 사리와 동등한 위치로 인식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8세기 중반 이후로는 사리와 분리되어 기단부에서 확인되는 사례들이 많아지는데, 이는 탑내 봉안 불상의 위상이 변화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탑을 세우는 의식의 변화와 연결시켜볼 수 있다. 둘째, 고려 전기 탑내 봉안 불상은 두 가지 흐름이 보인다. 첫 번째는 통일신라시대의 탑내 봉안 방식이 유지된 것, 두 번째는 새로운 경전 유입에 따른 변화이다. 11세기의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은 새로이 유입된 『寶篋印陀羅尼經』의 영향을 따라 사리보다 불상이 상부에 위치하는 봉안 방식이 나타난다. 같은 시기 遼나 吳越에서도 탑내 봉안 불상이 나타난다. 중국에서는 다수의 불상들이 봉안되지만 국내에서는 여래상 1구만이 봉안되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때문에 중국의 직접적인 영향 보다는 『보협인다라니경』이 유입되면서 불상의 중요성이 다시금 재인식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당시는 탑의 수요가 적었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유행하지 않았다. 하지만 『보협인다라니경』은 석탑 보다는 불상을 조성하거나 중수될 때 진행하는 佛腹藏儀式과 결합되어 유행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佛國寺西石塔重修形止記>의 재구성을 통한 불국사 석탑 중수 관련 내용의 재검토

        최연식 진단학회 2008 진단학보 Vol.- No.105

        During the repair work of the Shakamuni pagoda(釋迦塔) of Bulguksa in 1966 some documents containing the details of restoration process of the pagodas of the temple in 11th century were found. One of the documents was titled as the record of the restoration of Mugujeonggwang pagoda in 1024 and the other three documents were known as the records of the restoration of West pagoda in 1038. But through the re-examination, we find out that two of the three records on the West pagodas are not the independent ones but the different parts of one single document and the order of the parts of them should be changed. Mugujeonggwang pagoda and West pagoda has been regarded as the different names of one pagoda, the Shakamuni pagoda. But according to the inventory of the votive offerings to each pagoda is very different we can conclude that the two pagodas cannot be the same. As the votive offering of the West pagoda corresponds to those found inside the Shakamuni pagoda, the West pagoda can be identified as the Shakamuni pagoda. Then we can also conclude that the Mugujeonggwang pagoda must be the Prabhutaratna pagoda (多寶塔) of Bulguksa. According to the records each pagoda contained the Mugujeonggwang tarani Sutra as the votive offerings but the period of offering was different. The Mugujeonggwang tarani Sutra of the West pagoda was offered in 1038 when they finished the repair work, while that of the Mugujeonggwang pagoda was believed to be offered in 8th century when the pagoda was first built. So the Mugujeonggwang tarani Sutra found in the Shakamuni stupa, the same with the West pagoda, cannot be thought to be the offering of Shilla dynasty. But we cannot define the period when the Sutra was printed, for an long preserved old Shilla period Sutra could have been offered in 11th century. 1966년 불국사 석가탑 해체 작업에서는 西石塔과 無垢淨光塔의 중수과정을 기록한 문서들이 발견되었다. 이중 西석탑 중수 과정은 두 개의 별도의 문서에 나누어 기록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검토 결과 두 문서는 하나의 문서를 둘로 나뉜 것이었다. 이 글에서는 두 개의 문서를 합하고 문서편들의 순서를 다시 정리하여 본래의 <서석탑중수기>의 본래의 모습을 복원하고, 이를 통하여 불국사 서석탑의 중수과정을 검토하였다. 불국사 西석탑은 1038년 1월 23일 경부터 2월 13일까지 약 20일에 걸쳐 중수 공사를 진행하였으며, 중수 과정에서 석탑을 처음 만들었을 때 봉안한 것으로 생각되는 舍利 봉헌물을 발견하였다. 이 사리 봉헌물에는 舍利 및 舍利容器와 ≪무구정광다라니경≫에 의거한 것으로 생각되는 小木塔들이 들어 있었다. 중수 공사 완료 후 이 봉안물들은 ≪무구정광다라니경≫≪보협인다라니경≫이 포함된 새 봉안물들과 함께 석탑에 다시 안치되었다. 그런데 이 서석탑과 관련된 봉헌물들은 <무구정광탑중수기>에 기록되어 있는 사리 봉헌물들과는 다른 것들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볼 때 두 석탑은 서로 별개의 것으로 생각된다. 西석탑은 불국사 마당의 서쪽에 있는 석가탑이 분명하므로 무구정광탑은 다보탑을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무구정광탑중수기>는 원래 석가탑과는 무관한 다보탑의 중수 과정을 기록한 것이 될 것이다. 이처럼 석가탑과 무구정광탑이 서로 다른 석탑이라면 <무구정광탑중수기>에 보이는 신라 때 봉헌된 ≪무구정광다라니경≫ 역시 석가탑과는 무관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석가탑에서 발견된 ≪무구정광다라니경≫은 <무구정광탑중수기>에 보이는 신라시대의 봉헌물이 아니라 <서석탑중수형지기>에 등장하는 고려시대의 봉헌물이 될 것이다. <무구정광탑중수기>에 보이는 경전은 무구정광탑 즉 다보탑에 봉안되었고, <서석탑중수형지기>에 등장하는 경전은 서석탑 즉 석가탑에 봉안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석가탑에서 발견된 ≪무구정광다라니경≫이 어느 시대에 만들어진 것인가 하는 문제는 현재 전하는 기록만으로는 확인할 수 없는 것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다른 차원의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한편 西석탑의 사리 봉헌물들은 <무구정광탑중수기>에 기록되어 있는 무구정광탑의 사리 봉헌물들과 비슷하거나 대응되는 것들로 확인된다. 특히 무구정광탑의 경우 이전의 봉헌물에는 ≪무구정광다라니경≫이 들어 있는 반면 추가 봉헌물에는 小塔들이 들어 있어 西석탑의 경우와 대조 혹은 보완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 밖의 봉헌물들도 서로 같은 성격이거나 기능상 대체될 수 있는 것들로 나타나고 있는데, 앞으로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통일신라~고려 전기 탑내 봉안 불상의 성립과 배경

        金??(Kim Chuyeon) 미술사연구회 2016 미술사연구 Vol.- No.30

        Pagodas function both as structures for housing jinsin sari(sarira crystals said to have remained after the cremation of the body of Gautama Buddha), a symbol of the Buddha, and as conceptual tombs. Many Buddha statues have been discovered inside pagodas with sarira reliquaries. Statues enshrined in pagodas in this way are of high significance, regardless of position, because pagodas are sacred spaces. 27 cases Buddha statues were placed inside pagodas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to the early Goryeo period. Though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only the iconography and styles of these statues, it is thought that their placing in pagodas had a purpose and a function. This study therefore explores the reasons why Buddha statues were placed in pagodas, based on analysis of the ways in which they were inserted, the content of related scriptures, and the contemporary circumstances of their enshrinement. Most of these statues depict the Buddha in a standing position. Their hands are arranged in the abhaya and varada mudras, while it is unclear which particular Buddas they represent. Not all of the statues were enshrined when the pagoda was erected: many were inserted during restoration work, or statues which were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Several characteristics of Buddha statues placed in pagodas in Unified Silla and early Goryeo can be identified. Firstly, trends associated with this practice in Unified Silla appear to have been influenced both by traditions continued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by the newly-introduced Pure Light Dharani Sutra (無垢淨光大陀羅尼經). This sutra maintains that holding a ceremony to build or a repair a pagoda will cause the Buddha to dwell there and protect the sarira within. The arrival of the Pure Light Dharani Sutra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rly eighth century led to the appearance of a method of statue enshrinement that accurately reflected the content of the text. In such cases, the position of the Buddha statue is thought to have been regarded as the same as that of the sarira. From the mid-eighth century onwards, more statues were placed in the stylobate, separately from the sarira. This change can be connected to altered ceremonies associated with building pagodas. Secondly, Buddha statues placed in pagodas in the early Goryeo period show two trends: the maintenance of Unified Silla enshrinement practices; and changes due to the arrival of new sutras. The Buddha statue inside the octagonal nine-story stone pagoda at Woljeongsa Temple was placed in a higher position in the structure than the sarira, a practice influenced by the newly-introduced Bohyeopin Dharani Sutra(寶篋印陀羅尼經). At this time, cases of Buddha statues enshrined in pagodas also appear in China’s Liao empire and Wuyue kingdom. A difference between Chinese and Korean enshrinement practices is that multiple Buddha statues were enshrined in each pagoda in the former, but only one in each in the latter. It therefore appears that the arrival of the Bohyeopin Dharani Sutra on the Korean Peninsula, rather than direct influence from China, brought new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Buddha statues. Demand for pagodas was low at this time, and they were not common throughout the country. It appears, however, that the Bohyeopin Dharani Sutra became fashionable through combination with enshrinement ceremonies associated with manufacturing or restoration of Buddha statues, rather than pagod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