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묘지의 잔디 관리 실태 조사 연구

        장석원,이정호,권병석,홍점규,박소준,변재복,지재욱,Chang, Seog-Won,Lee, Jeong-Ho,Kwon, Byeong-Seok,Hong, Jeum Kyu,Park, Sho-Jun,Byun, Jae-Bok,Jee, Jae-Uk 한국잡초학회 한국잔디학회 2017 Weed & Turfgrass Science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지역별 묘지 잔디 관리 실태를 조사하였다.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등록된 묘지 관리 대행 업체, 산림조합중앙회, 농협(단위 농협)으로부터 묘지관리에 대한 정보를 직접 받거나 설문을 통해 자료를 얻은 다음 정리, 분석하였다. 조사한 모든 지역에서 개인 및 가족 묘지는 $66m^2$ (20 평)을 기준으로 관리되었다. 묘지 관리는 연 1~5회 이루어졌고, 1회 관리(벌초)가 가장 많았으며, 횟수가 늘어날수록 관리 비용도 높아졌다. 벌초는 주로 추석 직전에 이루어졌다. 벌초 비용은 지역별로 경기도가 가장 높았으며, 전라도가 가장 낮았다. 산림조합중앙회와 농협 자료를 토대로 벌초 대행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해가 갈수록 의뢰 횟수는 늘었고, 가격도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연도에 관계없이 경남 > 경북 > 전남 순서로 의뢰 횟수와 금액이 많았다. 벌초의 의뢰는 의뢰자가 묘지로부터 멀리 살기 때문인 이유가 대부분이었다. 실태조사에 따르면, 봉분의 방향은 매우 다양하였다. 묘지의 잔디는 들잔디(Zoysia japonica)였으며, 시도별 묘지의 잔디 밀도는 35.4~71.9% 범위였다. 많은 묘지에서 잔디 밀도가 낮은 이유는 잡초나 낙엽 등에 대한 주기적 관리가 미흡했기 때문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묘지 잔디 관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current study, we surveyed the status of graveyard lawn maintenance in Korea. The lawn maintenance information was obtained from the vicarious companies registered on the internet portal site and the Forestry Federation of Korea, and the questionnaire investigation from Primary Agricultural Cooperatives (Nonghyup). In all provinces surveyed, individual graves were maintained on a $66m^2$ (20 Pyeong) basis. The vicarious maintenance of graveyard lawn was carried out 1~5 times a year, and the maintenance cost increased as the number of times increased. Mowing the grass around a grave (Beolcho) was mainly done before the Korean Thanksgiving Day (Chuseok). The number of Beolcho was steadily increased from 2013 to 2015, and the price was getting higher and higher. Gyeonggi province had the highest cost, and Jeolla had the lowest cost. Regardless of the year, the number of orders received were higher in Gyeongnam > Gyeongbuk > Jeonnam province in order. Most of the reason for requested Beolcho was because the client lives in the area far from the graveyard. The direction of the cemetery was very varied. According to the survey, the all grass were zoysiagrass (Zoysia japonica), and grass coverage rate of the graves was 35.4~71.9%. Through questionnaire investigation, the reason why the density of grass was lowered was because the periodic management of weeds and fallen leaves was insufficient. Further research on the maintenance of graveyard in the future will be necessary.

      • KCI등재

        들잔디와 금잔디 수집종의 지역별 적응성 및 봉분 실증 평가

        장석원,성창현,배은지,구준학,윤정호 한국잔디학회 2019 Weed & Turfgrass Science Vol.8 No.3

        Zoysia japonica and Z. matrella are native turfgrass in Korea. Z. japonica is used throughout the country, but Z. matrella is weak in the cold climate and restricted to the southern areas. Z. matrella has a lot of advantages such as fine leaves, high density and excellent texture, so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for various purpo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overwintering survival of the Z. japonica 10 and Z. matrella 18 ecotypes collected from across the country in Yangju, Eumseong, and Namhae areas from 2014 to 2015. Each of the two species was also selected and compared with the adaptability as grave covering grass in virtual grave mounds of actual size in Hapcheon, Gyeongnam province from 2017 to 2018. All of Z. japonica ecotypes overwintered in three areas, but 38.9, 83.3, and 88.9% of Z. matrella ecotypes in the Yangju, Eumseong, and Namhae areas survived through winter, respectively. The strip-sodded graves with two species were established in May 2017. In both Z. japonica and Z. matrella graves, ground-coverages were over 90% by Korean thanksgiving day’ mowing (Beolcho), indicating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species in coverage rates. Survival rates of grave-cover plants of Z. japonica and Z. matrella in the following year with over-wintering were 80% and 28%, respectively. Z. japonica suffered damage in the northern slopes of the grave, but Z. matrella plants suffered with great damage in the northern and western slopes. In green-up timing, Z. japonica was faster than Z. matrella, and the slope of the grave proceeded in the order of south>east>west>north. During the winter season, soil temperatures and moisture in the grave remained low in the order of south>east>west>north slopes. 들잔디와 금잔디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한국잔디이다. 들잔디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사용되지만, 내한성이 약한 금잔디는 남부 지방에 제한되어 사용되고 있다. 금잔디는 세엽, 높은 밀도, 우수한 질감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용도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금잔디의 묘지 잔디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 등지에서 수집한 들잔디 10 계통과 들잔디 18 계통을 3개 지역(경기 양주, 충북 음성, 경남 남해)에서 2014년-2015년 중에 월동 후 생존율과 그린업 시기를 조사하였다. 또한 2017년-2018년에는 금잔디 1계통과 중엽 들잔디 1품종 밀록 을 경남 합천에서 실제 조성한 가상의 봉분에 피복하여 묘지 잔디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들잔디는 모든 평가 지역에서 월동 후 생존하였으나, 금잔디는 양주, 음성, 남해에서 각각 38.9, 83.3, 88.9%의 개체가 월동하였다. 들잔디와 금잔디 봉분에서는 모두 5월 줄떼 식재 후 9월 추석 전 벌초까지 90% 이상이 피복되어 두 종 사이에는 피복 속도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들잔디와 금잔디의 월동 후 생존율은 각각 80%와 28%로 큰 차이를 보였다. 들잔디는 봉분의 북쪽 방향에서 동해를 입었으나, 금잔디는 북쪽과 서쪽 방향에서 큰 피해를 입었다. 봉분에서의 그린업은 들잔디가 금잔디보다 빨랐으며, 봉분의 남쪽>동쪽>서쪽>북쪽 방향 순서로 진행되었다. 동계 기간 중 묘지의 토양 온도와 수분은 남쪽>동쪽>서쪽>북쪽 순으로 높게 유지되었다.

      • KCI등재

        추석 전 잔디 깍기(벌초) 시기 및 높이에 따른 들잔디와 금잔디의 생육

        장석원,구준학,성창현,이정호,박소준,지재욱,윤정호,Chang, Seog-Won,Koo, Jun-Hak,Sung, Chang-Hyun,Lee, Jeong-Ho,Park, Sho-Jun,Jee, Jae-Uk,Youn, Jeong-Ho 한국잡초학회 한국잔디학회 2018 Weed & Turfgrass Science Vol.7 No.2

        우리나라에서 벌초는 추석 성묘와 시향에 앞서 이루어지는 매우 중요한 행사이다. 벌초는 보통 추석 1-2주 전에 집중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도로의 교통체증이 심해지고 안전사고의 발생도 점점 많아지고 있다. 잘못된 벌초 방법은 흙이 드러나 토양 유실을 유발하거나 묘지 잔디의 밀도 저하와 잡초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다라서 벌초시기의 분산과 올바른 벌초 방법은 매우 중요한 문제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벌초 시기는 추석 1주전, 2주전, 3주전, 4주전 잔디 깍기 처리를 두었고, 벌초 방법에서는 잔디 깍는 높이를 달리하여 들잔디와 금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들잔디에서 추석과 시향 시기를 기준으로 잔디 깍기 시기는 빠를수록 초장이 길었으나 피복률과 밀도는 높은 경향이었다. 금잔디에서 잔디 깍기 시기는 빠를수록 초장이 길었으나, 피복률과 밀도는 각각 차이가 없거나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들잔디에 비해서 금잔디의 초장은 잔디 깍기 시기에 관계없이 짧게 유지되었으며 피복률과 밀도도 높게 유지되었다. 벌초는 들잔디와 금잔디 모두 짧게 할 수록 초장이 짧아졌고, 피복률과 밀도도 낮아졌다. 또한 벌초 시 들잔디와 금잔디는 각각 지상부의 40-50 mm or 30-40 mm 남겨둘수록 묘지 잔디의 밀도유지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Korea, mowing the grass of a grave (Beolcho) is a very important event preceded by Chuseok (Korean thanks giving day) and Si-Hyang (annual ancestral feast). Because Beolcho usually takes place one or two weeks before Chuseok, the traffic accidents on roads are getting worse and safety accidents are getting more and more. Erroneous Beolcho methods can cause the soil to be exposed and cause the loss of soil or the low shoot density of graveyard grass or weed occurrence. Therefore, the dispersion of the Beolcho timing and the approprite method can be import issues.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effects of grass mowing timing and height before Chuseok on the growth of Zoysia japonica and Z. matrella. The mowing timing was evaluated at 1 week, 2 weeks, 3 weeks, and 4 weeks before Chuseok, and the mowing heigh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wo type of grass. In Z. japonica, the faster mowing before Chuseok, the longer the plant height, and the coverage rate and shoot density were higher. In Z. matrella, the faster mowing, the longer the shoot length, but the coverage rate and shoot density did not show any difference or tendency. As compared to Z. japonica, the plant height of Z. matrella was kept short regardless of the time of mowing. In both grasses, the plant height was shortened when mowing was done at low cutting height, but the coverage rate and shoot density were decreased.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it is advantageous to maintain the shoot density of graveyard lawn by 40-50 mm or 30-40 mm cutting above the ground for Z. japonica or Z. matrella, respectively.

      • KCI등재

        잔디밭잡초 발생현황과 방제기술

        이인용,김창석,이정란,박남일,박재읍 한국잔디학회 2013 Weed & Turfgrass Science Vol.2 No.2

        Literatures were reviewed to understand the weeds occurring on the lawn and the effective control methods of them. Thirty-seven species of 16 families including three species of Cyperaceae for example Cyperus sanguinolentus, nine species of Poaceae including Digitalis ciliaris, Poa repens, etc., and 25 species of broad-leaved weeds such as Artemisia princeps, Draba nemorosa, Hydrocotyle sibthorpioides were occurred on the lawns. One hundred ninety-six weed species of 53 families were occurred on a tomb graveyard adjacent to the mountai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be infested by the weeds occurring on the graveyard on the golf course adjacent to the mountains. There are 67 items, 32 kinds of the soil treatment herbicides including dichlobenil GR, methiozolin EC, oxaziclomefone SC, imaxaquin GR et al, and 35 kinds of the foliar treatment herbicides including metamifop EC, bifenox·flucetosulfuron WG, flazasulfuron WP, trifloxysulfuron-sodium WG et al. registered at the end of May 2012 for efficient management of the weeds occurring on the lawn. For effective management of the weeds, the herbicide can be generally applied twice a year on March to April and August to September for soil treatment and once a year on June to July for the foliage treatment. 잔디밭에 발생하는 잡초를 파악하고 효율적인 방제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문헌조사를 하였다. 공원 등 잔디밭에 발생하는 잡초는 방동사니대가리 등 사초과 3종, 바랭이, 새포아풀 등 화본과 9종, 쑥, 꽃다지, 피막이 등 광엽잡초 25종 등 총 16과 37종이나, 산지와 인접한 묘지 잔디밭에는 53과 196종의 잡초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산지와 인접한 골프장에서는 묘지에서 발생되는 잡초들이만연할 가능성이 많다. 잔디밭에 발생되는 잡초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등록된 제초제는 2012년 5월말 현재토양처리제는 디클로베닐입제, 메티오졸린유제, 옥사지클로메폰액상수화제, 이마자퀸입제 등 32품목, 경엽처리제로는 메타미포프유제, 비페녹스.플루세토설퓨론입상수화제,플라자설퓨론수화제, 트리플록시설푸론소듐입상수화제 등35종 총 67품목이 있다. 잔디밭에서의 잡초방제체계는 일반적으로 토양처리제는 3~4월과 8~9월에 2회 처리하고,경엽처리제는 6~7월에 처리하면 효과적으로 잡초를 방제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