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몽골의 불교의례악기 연구

        박소현(Park So-hyun) 한국국악교육학회 2012 국악교육 Vol.33 No.33

        본 연구는 몽골불교의례악기의 종류를 검토하여 총정리하고, 관악기와 타악기로 구분하여 각 악기의 실체, 사용법, 상징성 등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몽골불교의례악기의 종류는 총 14종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중 관악기는 총 5종으로 한국의 태평소와 비교되는 비쉬구르(Бишг??р, ??)를 제외한 4종은 모두 단음취주(單音吹奏)악기이다. 특히 동 부레(дунб?рээ, 海螺, 螺?)는 불교의례인 법회(法會, хурал)의 시작을 알리는 악기로 ‘대중의 구호(口號)’라는 별칭이 있다. 인경골(人?骨)로 제작된 간링(ганлин, ??)은 저츠 람(зоч рам)이란 특별한 수행을 한 승려에 의해 제작되며, 하나의 희생을 통해 번뇌와 윤회에서 벗어나 재앙으로부터 구제됨을 의미하는 티베트 불교만의 특징을 간직한 특별한 불교의례악기이다. 몽골불교의례악기 중 타악기는 총 9종으로, 한국의 법고와 비교되는 헹게렉(хэнгэрэг, 鼓)은 관악기인 동 부레와 함께 법회의 시작을 알리는 구호의 기능이 있으며, 승려의 독경(讀經, 구렘, г?рэм)에서는 주요한 법구(法具)로써 사용된다. 과거 인골[頭蓋骨]로 제작되기도 한 다마르(дамар, ??)의 특별한 연주법과 장식은 기쁨과 평안을 상징하며, 홍흐(хонх, ?)의 소리는 임종(臨終)을 앞둔 자에게 세 가지 불운한 걱정으로부터 구원 받고, 극락왕생(極樂往生)으로 다가가는 것을 의미한다.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경전의 법회에서는 태평소와 비교되는 관악기인 비쉬구르와 자바라와 같은 타악기인 여러 벌의 창(цан, ?)만을 편성하여 우레와 같은 굉음내기도 한다. 몽골은 13세기에 티베트 불교를 수용하였으며, 16세기 이래 몽골민족의 지배적인 종교로 자리 잡았다. 수백 년이란 시공간적 거리를 통해 악기의 명칭 또한 몽골어로 명명된 것이 대다수이다. 몽골불교의례악기는 외형상 티베트 불교에서 사용되는 악기의 형태와 유사하지만 악기의 명칭은 다르다. 악기명칭의 차이가 있듯이 실제 티베트와 몽골 불교의례에서의 음악적 차이도 있을 것이다. 이는 추후 검증할 문제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kinds of Mongolian Buddhist musical instruments systematically and the substance, use and symbolicity of the wind instruments and percussion instruments. There are 14 kinds of Mongolian Buddhist instruments including five wind instruments and nine percussion instruments. These instruments are organized in a different way according to Buddhist ceremonies. Some of them are comparable to Korean instruments. The Mongolian Buddhist instruments are similar to musical instruments used in Tibetan Buddhism in external form, but their names are not the same. As the names of the former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latter, there might be musical differences between Mongolian and Tibetan Buddhist ceremonies as well. Mongolia received Tibetan Buddhism in the 13th century, and this religion has taken root in the Mongolian race as one of major religions since the 16th century. Most musical instruments have been renamed in Mongolian while hundreds of years passed by. This phenomenon can be found in Korean Buddhist music and culture as well as Mongolian ones.

      • KCI등재

        몽골 투자환경 변화와 한국-몽골 에너지 분야 협력방안

        박정후 한국몽골학회 2018 몽골학 Vol.0 No.52

        In this paper, going over looking at the process of rapid change in the investment environment and business’in Mongolia. Analyzing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influenced such change. Also, the current situation and conditions of renewable energy in the Mongolia. And go over cooperative issues between Korea and Mongolia related sector. In recent years the Mongolian economy has grown. However, after change of the Mongolian government in 2012 general election, the policies of the Mining and Energy sector and laws and institutions are changed. It influenced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It might course depression in Mongolia. Because the economy of Mongolia which heavily depended on foreign investment in the mining sector, but such a sudden changes of government policies and laws were not convinced foreign investors. In the general election in June 2016, Mongolian overwhelming supported MPP(Mongolian People’s Party). By this, Mongolian citizens demanded responsibility for the failure of economic policy of the previous government from MDP(Mongolian Democratic Party). However, Mongolian citizens elected the president of MDP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July 2017. To attract investment of foreign investors, including the energy sector, sustainable and consistent policies and related laws, institutions are needed. for this, political stability in Mongolia must precede. 1992년 자본주의 체제를 도입한 이래, 몽골경제는 2011-14년 기간 동안 두 자리 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급격한 성장세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성장 추세는 몽골에 소재한 세계적 규모의 대형광산 개발 이슈들과 맞물려 지속되는 듯 여겨졌다. 그러나 2012년 정권교체와 더불어 몽골 경제의 중심축이었던 광산·에너지 분야 관련법과 제도, 정책이 크게 수정되었고, 급격한 제도적 환경변화에 수긍하지 못한 외국인 투자자들로부터 외면 받으면서 이 분야에서의 외국인 투자에 크게 의존하던 몽골경제는 침체기에 들어섰다. 2016년 6월 총선에서 몽골국민들은 당시 여당이었던 민주당 정부에 경제실패에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해 야당인 인민당에 압도적인 지지를 보냈으나, 이듬해인 2017년 7월에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는 불과 1년여 전에 경제실패에 대한 책임을 물었던 민주당의 후보를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뿐만 아니라, 집권당인 인민당 내부에서도 대선 패배의 책임론이 불거져 기존 정부가 해산되고 새로운 총리와 내각이 들어섰다. 몽골과의 경제협력 대상국들과 외국인 투자자들에게는 급격히 재편된 현 정치상황이, 경제정책과 관련법·제도 등 투자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더구나 최근 한국정부의 북방지역 국가들과의 협력과제 중 한국-중국-몽골-일본-러시아를 잇는 동북아 슈퍼그리드 구축계획을 추진하는 데 있어, 몽골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는 시점에서 몽골의 정치변화와 이에 따른 경제 및 대외정책의 변화를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향후 주변국들과 주요 협력과제로 대두될 몽골 지역에서의 신재생에너지 개발현황과 여건, 관련 정책 등을 살펴보고 한국을 비롯한 주변국들과의 협력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 KCI등재

        몽골교회의 내적성장 위한 예배회복 선교전략

        김은호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72

        역사의 시간이 흐르며 몽골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 많은 변화를 경험해 왔다. 그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것은 유목문화로부터 정착문화로의 변화다. 이 문화적 변화에 중심에는 오랜 교회문화도 있다. 경교를 시작으로 기독교가 전파된 후, 몽골교회는 팍스 몽골리아 시대를 정점으로 내리막 길을 걸으며 교회의 암흑기를 거쳤으나 현대에 들어서며 다시 급성장했다. 그리고 짧은 현대교회사에도 불구하고 급속한 외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몽골교회의 저변에는 유목문화로부터 정착문화까지를 모두 아우르는 탁월한 영성, 곧 음악적 영성이 자리를 잡고 있다. 하지만 이는 몽골교회 성장에 있어서 검의 양날이기도 했었다. 훈련되지 못한 예배인도자를 통해 오늘날 몽골교회는 감각적인 카타르시스(Catharsis)적 예배문화를 양산했고, 기복주의와 혼합주의 신앙으로 떨어지며 깊은 영적 침체에 빠졌다. 본 연구는 몽골교회의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지난 30년의 몽골선교를 거울삼아 향후 30년, 건강하고 내실 있게 세워진 몽골교회를 바라보며 다음과 같은 ‘몽골교회의 내적성장 위한 예배회복 선교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 ‘개교단(個敎團)/개기관(個機關)을 위한 선교전략’으로 ‘유목민 교회 지도자 양성을 위한 음악 프로그램’과 ‘상류계층 선교를 위한 음악 프로그램’을 제시했다. 둘째, ‘초교파(超敎派)적 연합사역을 위한 음악 선교전략’으로 ‘전문인 음악 사역자 양성 프로그램’과 ‘초교파(超敎派) 공동인준 예배 및 교회음악 전문인 목회자 양성 프로그램’을 제시했다. 본 연구를 통해 오늘날 깊은 내적침체에 빠진 몽골교회가 잘 훈련되고 공인받은 초교파 예배 전문사역자를 통해 샤머니즘적인 감각적 카타르시스(Catharsis)를 극복하고 마침내 예배가 회복되고 교회의 내적 성장이 일어나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며 교회 본연의 역할을 신실하게 감당하는 건강한 교회가 되기를 소망한다. Over time in history, Mongolia has experienced many change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The most prominent of them is the shift from nomadic culture to settlement culture. At the center of this cultural change is church culture. After the spread of Christianity, starting with Nestorianism, the Mongolian church went through the dark ages of the church, going downhill from the peak of the Pax Mongolian era, but as it entered modern times, the Mongolian church grew rapidly again. And at the base of the Mongolian Church, which was able to achieve rapid external growth despite its short modern church, there is an outstanding spirituality, or musical spirituality, that encompasses everything from nomadic culture to settlement culture. However, it was also a double blade for the growth of the Mongolian church. Through untrained worship guides, the Mongolian church today has produced a sensuous catharsis worship culture, and has fallen into a deep spiritual slump, falling into a capricious and mixed-minded faith.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specific ‘Mission Strategies for the Restoration of Worship for Inner Growth of Mongolian Church of Mongolia’, looking at the Mongolian church that was built up 30 years later, in a mirrored view of the past 30 years. First,'Music for Nomadic Church Leaders' and 'Music for Missionary Missions for High-class People' were proposed as ‘the Music Mission Strategy for Individual Denominations/Individual Organizations'. Second, as ‘the music mission strategy for the combined ministries of interdenominationals', 'the professinal music ministry training program’ and ‘the interdenominational joint accredited worship service and the training program’ for pastors specialized in music were proposed.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the Mongolian church, which is mired in a deep internal stagnation today, will free itself from prejudice and indifference to music. Furthermore, I hope that the Mongolian church will overcome the shamanistic sensory catharsis through a well-trained minister of worship and eventually grow into a healthy Mongolian church that honors God with the restoration of worship and internal growth.

      • KCI등재

        항파두리성(缸波頭里城)은 태평양 탐라국(耽羅國) 홍바투성(洪拔都城)

        주채혁 한국몽골학회 2020 몽골학 Vol.0 No.60

        태평양 탐라국(耽羅國) 항파두리성(缸波頭里城)에 관한 견해는 몇 가지가 있어오지만, 이를 재론하기보다는 여기서는 당시의 주된 역사적인 상황을 되짚어가며 그 실상을 되새겨보는 데에 주력하려 한다. 이 성은 대체로 팍스 몽골리카의 극성기인 1273~1374년 경에 현존했던 것으로 보이는 만큼 크게는 스텝 몽골유목세계제국의 해양세력 확보와 직관되는 존재 목적을 가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태평양 탐라국 항파두리성의 초대 성장(城將)은 스텝 몽골유목세계제국 ‘정동(征東) 도원수’인 칭기스칸의 충직한 이부·동모·동성·말제(異父·同母·同姓·‘末弟’) Borǰigin Temüge Odčigin의 6세손인 황족 힌두(Borǰigin Hindu: 忻都 또는 忽敦)이었다가 그가 어떤 사정으로 거세되고 1277년부터 고려계 몽골인 홍복원(洪福源)의 아들 홍다구(洪茶丘) 일가가 그 자리를 점유하면서 홍바타르성(洪baatar城: 洪拔都‘Batu’城)으로 성명(城名)이 정착되었을 수 있다고 추정된다. 홍다구의 뒤를 이은 성장이 그의 조카 스텝 몽골유목세계제국 정동 도원수 홍파두아(洪波豆兒: Hong Baatar-洪拔都‘Hong Batu’:홍영웅, 장군)로 명명되고 있어서 그럴 가능성을 보여준다. 당해(當該) 출처 사료들이 모두 고려측 사료이어서 더욱 그러하다. 반군(叛軍) 삼별초(三別抄)가 몽·려 연합군에게 멸절된 후의 스텝 몽골유목세계제국 ‘정동(征東) 도원수로 명명(命名)·기록되고, 세습되는 그들 홍(洪)씨일가 성장(城將)이 Hong Baatar(洪波豆兒: 洪拔都‘Hong Batu’)로 불리는 것은 대체로 무난한 일이기 때문이다. 다만 쿠빌라이 대칸의 쿠데타는 이로부터 완성돼 팍스 몽골라카를 구가했으나 동시에 몽골세계제국이 내외로 붕괴되는 치명적인 불씨를 심은 것도 사실이라 하겠다. 다만 해양 몽골세계제국화 중심기지 태평양 탐라국 항파두리성-홍발도성(洪拔都‘Batu’城)의 해양사 상 최첨단의 최대 태평양세계대전을 시도한 결과가 조선조의 거북선(龜船; 1413년)으로 결실됐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보여주는 것으로 보이는 유물들이 관계 해전유적일대에서 근래에 발굴되고 있는 일이 주목된다. 쿠빌라이 대칸 휘하 최고위 인물중의 일인이었다 할 스텝 몽골유목세계제국 ‘정동 도원수’ 홍다구 바투(洪茶丘 拔都)는 1274년 쿠빌라이 대칸의 칙명(勅命)으로 정일(征日) 감독조선관군민총관(監督造船官軍民摠管)을 직접 맡아 정일조선공사(征日造船工事)를 몸소 총주관했기 때문이다. Despite several historical views of Pacific Ocean Tamra State(耽羅國) Hangpaduri Castle(缸波頭里城), this paper focuses on its major historical situations. Tamra State Hangpaduri Castle appears to have existed in the prime time of Pax Mongolica in 1273~1374, and it is presumed to have served as the central command related to Mongol Empire's efforts to secure gigantic marine forces. The first head of Pacific Ocean Tamra State Hangpaduri Castle was imperial Borǰigin Hindu(忻都) - who was the sixth descendant of Steppe Mongolian Nomad World Empire's East Conquest Commander Borǰigin Temüge Odčigin(鐵木哥斡赤斤), -the Genghis Khan's loyal half-brother-born from the same mother but a different father: stepfather(繼父=異父), same mother(同母), same last name(同姓), ‘last brother(末弟)’- , and was later removed due to involvement in treason. He was replaced in 1277 by the family of Hong Dagu (洪茶丘) - who was the son of Hong Bokwon (洪福源) of Goryeo(高麗)-Mongol descendant, the Goryeo military-civilian minister (管領歸附高麗軍民長官) of Yo and Sim (遼·瀋), thereby presumably leading the castle to be named Hong Baatar Castle(洪拔都‘Hong Batu’城) . In particular, the castle head Steppe Mongolian Nomad World Empire's East Conquest Commander, who succeeded Hong Dagu, was named as his nephew Hong Padua (洪波豆兒: Hong Baatar‘洪拔都’=‘Hong Batu’, hero Hong, general Hong), boosting the possibility of such castle naming. All relevant historical materials come from Goryeo, further confirming the fact. After the rebel force Sambyeolcho (三別抄) was subdued by the allied forces of Mongolia and Goryeo, Pacific Ocean Tamra State Hangpaduri Castle(缸波頭里城) was named and recorded as Pacific Ocean Hong Baatar Castle(缸波頭里城: 洪拔都‘Hong Batu’城) in Goryeo under the control of allied forces of Mongolia and Goryeo, and the succeeding castle head of Hong family was referred to as Hong Baatar(洪波豆兒‘Hong Batu’), which is generally accepted.

      • KCI등재

        몽골비사에 반영된 몽골 유목민들의 물질문화 연구

        박환영 동아시아고대학회 2012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29

        본 논문 몽골비사 속에 반영된 몽골 유목민들의 물질문화를 통하여 몽골 유목민들의 생활문화를 구체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생활문화 중에서 물질문화는 문화의 가장 기초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물질문화 속에는 공동체 구성원들의 정신문화와 사회문화가 잘 반영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물질문화의 이러한 측면을 고려한다면 몽골의 대표적인 역사문헌자료이자 몽골 민족의 대서사시인 몽골비사에는 물질문화에 대한 내용이 많이 들어있다. 예를 들어서 몽골의 물질문화를 다른 문화권 혹은 지역의 물질문화와 구별해 주는 색깔, 재료, 기능, 사용방법 등 유목문화를 반영해 주는 내용이 많은 편인데, 특히 13세기 몽골의 유목문화 중에서 물질문화와 관련하여 말(馬)과 관련한 민구(民具), 의식주와 관련된 생활재(生活財), 사냥 및 어로활동과 관련한 각종 도구, 군대 및 전투용 무기, 의례와 축제와 관련된 민구 그리고 기타 유목생활과 관련한 일상적인 생활도구에 대한 부분이 주목할 가치가 있다. 몽골비사에 내재되어 있는 몽골의 물질문화와 관련해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유목생활에서 중요한 가축인 말(馬)과 관련한 민구가 많이 등장한다는 점이다. 또한 사냥이나 전쟁에서 필수적인 생활도구이면서 무기였던 화살에 대한 내용을 보면 화살의 세부적인 부분에 대한 묘사와 각종 종류의 다양한 화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잘 묘사되어 있다. 예를 들어서, 작은 상처를 내어서 새를 잡는데 사용하는 살동개에서부터 장거리용 화살 그리고 대량 살상용 화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화살에 대한 내용이 잘 기술되어 있다. 한편 유목민들의 의식주 생활에 필요한 여러 가지 종류의 민구에 대한 내용도 제법 많이 나오며, 몽골 유목민들이 가졌던 의례와 축제와 관련한 도구에 대한 내용도 재미있다. 그 외에도 일상적인 유목생활과 관련한 민구로는 수레와 수레바퀴에 대한 내용이 많고, 죄인이나 포로를 잡아두거나 이동을 할 때 주로 사용되었던 형구(形具)인 목에 쓰는 칼에 대한 내용도 몽골의 유목문화를 고찰하는데 좋은 자료를 제공해 준다. 좀 더 구체적으로 몽골비사에 나오는 물질문화의 내용을 분석해 보면 크게 네 가지 영역에서 당시(13세기)의 유목문화를 접근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예를 들면 생업활동, 자연관 및 방향관, 젠더(gender) 그리고 군대 및 전투와 관련한 무기 등이 두드러진다. 즉 생업활동과 관련해서 사냥과 물고기를 잡는데 필요한 도구에 대한 내용이 잘 반영되어 있다. 또한 전통적인 몽골 유목민들의 자연관과 방향관이 내재되어 있는 주거 공간인 게르(ger) 내부와 외부의 구조와 공간의 배치 그리고 젠더와 관련해서 일상적인 유목생활 속에서의 생업공간이 젠더에 의하여 구분되었음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내용이 몽골비사 속에 들어있다. 덧붙여서 몽골비사에는 활과 화살과 같은 13세기 유목민들이 즐겨 사용했던 병기(兵器)와 무기(武器)에 대한 기능과 재질 등이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어서 유목사회의 군사문화를 이해하는 물질문화로도 큰 가치를 가지고 있다

      • KCI등재

        『몽골비사』에 반영된 몽골의 여성민속 고찰

        박환영(Park, Hwan-Young)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6

        문헌자료에 근거하여 그 속에 담겨져 있는 민속문화를 도출해 내는 것은 생활문화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민속학의 기초적인 연구방법으로 현지조사에 근거한 민속문화 연구와 상호보완적인 관계에서 민속학의 중요한 연구방향이 될 수 있다. 비교민속학적인 입장에서도 몽골의 역사문헌자료에 대한 민속학적인 연구를 통하여 당시의 민속문화를 살펴보는 작업이 필요한데 역사문헌자료 중에서도 『몽골비사』는 13세기 몽골의 유목문화를 잘 반영해 주는 몽골의 대표적인 역사문헌자료이다. 『몽골비사』는 역사적인 기술을 넘어서 수많은 은유와 상징 그리고 문화기호가 내재된 한 편의 민족대서사시이므로 단순한 문맥의 해석 보다는 문맥 속에 내재되어 있는 전통과 문화를 읽어내는 작업이 필요한 것 같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각에 초점을 맞추어서 『몽골비사』 속에 숨어있는 여성과 관련된 민속문화를 크게 네 가지 영역(인명, 지위와 역할, 혼인풍속, 상징민속)으로 분류하고 여기에 속하지 않는 몇 가지 작은 영역은 다섯 번째 기타영역으로 모아서 분석해 보았다. 『몽골비사』에 투영된 전통적인 몽골의 여성은 헌신적인 자세로 그리고 사내대장부 같은 강인함으로 자녀들을 훌륭하게 양육하는 가정적인 여인상과 사회정치적인 여인상이다. 이러한 여인상은 부분적이지만 몽골의 설화 속에서 보여지는 몽골 여성의 강인함과 엄격하고 주도적인 여성의 지위와 역할과도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몽골비사』속에는 형제들 사이의 반목과 분쟁이 자주 드러나 보이는 반면에 자매들 사이에는 서로 희생하고 도움을 주면서 언니와 동생이 서로 양보하면서 화합을 하여 친밀한 관계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동서(同壻)들 사이에는 남편의 위치에 따라서 정해질 수 있는 여성들 사이의 지위와 서열 문제로 반목과 경쟁구도가 형성되어 있었던 내용도『몽골비사』속에서 발견할 수 있다. 끝으로 여성을 중심으로『몽골비사』의 내용을 민속학적인 시각으로 분석하는 과정에서『몽골비사』에 기술되어 있는 기본적인 내용 외에도 그 이면(裏面)에 자리 잡고 있는 사회문화적인 배경과 당시(13세기) 전통에 대한 부분도 고려해야 하고, 직접적으로는 여성과 관련이 없는 영역 속에서도 간접적으로 혹은 상호보완적으로 여성민속과 연계되어 있는 경우도 간과할 수 없다. 또한『몽골비사』의 다양한 역사적인 기술(記述) 속에는 서정적인 내용과 은유와 상징으로 포장된 시(詩)적인 내용이 많은 편인데 이러한 내용은 피상적으로는 드러나지 않았지만 압축되어져서 심층적으로 여성과 관련된 민속문화가 내재되어 있는 경우도 배재할 수 없다. In general, folkloric researches are dealing with fieldwork based materials rather than those of written historical documents. Nevertheless, both sides are interrelated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in many cases, folkloric investigations of historical materials of past provide a solid foundation for the study of current folklore issues. In this regard, this article looks systematically into the best known 13th century Mongolians’ historical material the so called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from the standpoint of folklore studies. In the course of analysing this historical material, one can figure out Mongolian women’s folklore, particularly four major aspects: names, status and role, marriage customs, and symbolic folklore. Firstly, Mongolian names inside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have some specific suffix such as -chin and -jin and those indicate all women’s names. Also, a kind of a name title like -gua is used to indicate women. Secondly, according to the 13th historical text women’s status inside family and kin groups is determined by their husbands and sons. In the same manner, inside the family and kin group Mongolian women often play an important role: either they give wise advices to their sons and husbands or they make an active decision for their tribes. Thirdly, historical descriptions show that traditional marriage customs such as bridewealth and dowry are broadly practised in the 13th century among Mongolian people. Lastly, the symbolic images of women (particularly mothers) inside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are river, earth, sun, etc. and those symbols always have a connotation with comfort and warm existence, generosity and ever lasting vitality and safeguard.

      • KCI등재

        중국 내몽골지역 몽골족 민요에 나타난 민족 문화적 특징과 의미

        과근(Ge Gen),홍성규(Hong Sungkyoo)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본 연구는 중국 내몽골지역 몽골족 민요의 개념에 대한 고찰과 함께 각 분류주제 중의 대표곡에 대한 가사와 더불어음악적 분석을 통해 몽골족 민요에 담긴 민족 문화적 특징과 그 계승 및 발전의 의미를 고찰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국내외 학계의 몽골족 민요에 관한 문헌자료 및 “내몽골 민요 명곡 통전(內蒙古民歌民曲通典)”, “몽골족 전통민요(蒙古族傳統民歌)” 등 몽골족 민요 대표적인 작품집을 참고하였다. 우선 여러 문헌자료 및 단행본 등을 통해 몽골족민요의 개념에 대해 고찰하였다.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몽골족 민요의 각 음악장르 분류에 내포된 기능에 대해 살펴보고, 각 분류별로 대표곡 16곡을 선별하여 가사와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네 가지 측면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몽골족 민요는 긴밀하게 연관된 시대적 배경과 사회상황을 사실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사회적 사실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둘째, 민족적 종교문화 색채를 지닌 의식성(儀式性) 을 보여주었다. 셋째, 몽골족 민요는 민족적, 지역적및 종교적 등 여러 측면의 문화적 속성을 가진 ‘문화적 다양성’의 특징을 드러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몽골족 민요에서 ‘숭고하고 비장한 영웅주의’, ‘봉건 사회의 혼인 제도로 인한 비극적 색채’ 그리고 ‘자연과 이루는 화합미(和諧美)와 의경미(意境美)’ 등 몽골족 특유의 ‘민족 미학적 특징’이 나타난다는 것도 발견하였다. 또한, 몽골족 민요가 보여주는 의미에는 민족성을 계승하는 것뿐만 아니라 ‘인간과 자연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의식’을 환기시키고, 민족의 ‘문화적 정체성’과‘단결력’을 적극적으로 강화시키는데 있다. 이는 역시 음악이 한 민족의 전통문화 계승과 발전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방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basic concepts of Mongolian folk songs in Inner Mongolia, China and the analysis of the lyrics and music of the representative songs in each category theme, this paper studies the ethnic cultural characteristics contained in Mongolian folk songs and the significance of their inheritance and development. For this reason, this study refers to the literature materials of Mongolian folk songs in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circles, as well as the collections of Mongolian folk songs, such as “The General Canon of Famous Mongolian Folk Songs” and “The Traditional Mongolian Folk Songs”. First of all, through various documents and individual books, the basic concepts of Mongolian folk songs are investigated. At the same time, on the basis of this, the paper understands the functions contained in the classification of Mongolian folk music genres, and finally selects 16 representative song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and analyzes the lyrics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songs. The analysis results can be derived from four aspects. First, Mongolian folk songs have the “social reality” that can truly reflect the closely related era background and social conditions. Second, it shows the “sense of ritual” with religious and cultural colors. Thirdly, Mongolian folk songs embody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diversity” with ethnic, regional and religious cultural attributes. Fourthly, “sublime”, “solemn and stirring”, “tragedy”, “harmony”, “artistic conception” and other unique “ethnic aesthetic characteristics” are also found in Mongolian folk songs. Moreover, the significance of Mongolian folk song is not only to inherit the nationality, but also to arouse the consciousness of “harmonious coexistence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actively strengthen the “cultural identity” and “unity” of the nation. This also proves how important music is for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a nation’s traditional culture.

      • KCI등재

        『몽골비사』에 반영된 여성 인명(人名)의 언어인류학적 연구

        박환영(Park, Hwan-Young) 한국몽골학회 2021 몽골학 Vol.- No.67

        언어인류학적 입장에서 보면 모든 언어는 화자가 다른 사람들로부터 자신들을 구분하고 범주화하는 문화적인 고유한 방식을 제공해주는데, 특히 인명(人名)은 개인의 정체성을 구분하고 유형화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준다. 이러한 이론적인 틀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몽골비사』에서 실제적으로 기술하고 있는 47개의 여성 인명(人名)에 초점을 두면서 몽골 여성의 인명 속에 내재되어 있는 유목문화적인 특징을 언어인류학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서, 『몽골비사』의 여성 인명은 몽골 유목문화 속에 내재되어 있는 여성들의 정체성, 사회적 지위, 역할 등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즉 몽골 인명은 남성과 여성을 구분해주는 문화요소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남성 혹은 여성을 상징하는 특정한 용어를 포함함으로써 인명은 성(性, gender)을 표시하기도 한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하여 『몽골비사』에 표기되어 있는 여성 인명이 가지고 있는 몇 가지 특징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몽골비사』에는 여성을 나타내는 접미사인 ’-jin‘이 덧붙여진 인명을 제법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맥락에서 『몽골비사』 38절에 보면 처음 만난 여성에게 다음과 같이 묻고 그 질문에 여성이 대답하는 내용이 잘 기술되어 있다. 즉 13-14세기 몽골 여성들은 상황에 따라서는 인명(人名) 보다 씨족명과 여성이 속한 공동체 집단의 이름이 더 중요한 경우도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여성을 나타내는 접미사인 ’-ǰin‘ 혹은 ’-čin‘이 포함된 여성 인명의 경우에는 다시 이중적으로 여성을 상징하는 어휘와 친족용어 그리고 칭호 등이 중복해서 첨가된 사례와 여성 인명을 나타내는 접미사인 ’-ǰin‘ 혹은 ’-čin‘이 결합한 후 다시 여성을 나타내는 어휘인 ’ɤo’a‘가 첨가되고 여기에 여성을 의미하는 친족용어인 아내(gergei)가 마지막으로 덧붙여지는 삼중구조도 볼 수 있다. In linguistic anthropology human names provide various cultural categories, such as social identity, gender, status, taboo, etc. In many societies women’s names are differentiated from men’s names and thus women’s names often contain specific characters and furthermore symbolic substances associated with women. On the bases of this aspect, I investigate women’s names inside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Inside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all together 47 women’s names are mentioned and I intend to analyse these by folklore taxonomy. These 47 women’s names consist of single names as well as names with additional terms which are attached to these names. For example, the suffix ‘-jin’ and ‘-čin’ indicate women’s characters and some honorific terms (e.g. üǰin, beki, qatun) are also attached to women’s names. In addition, kinship terms (e.g. mother, little mother, grandmother, wife) are used with women’s names in order to clarify their social role and status. Several distinctive cultural elements can be found throughout the investigation of women’s names inside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Firstly, some women’s names such as ‘Barɤuǰin-ɤo’a’, ‘Qo’a<ɤ>čin emegen’, ‘Qoriǰin qatun’ show that double cultural substances of women’s characters are embedded into those names. Secondly, particularly women’s names like ‘Mongɤolǰin-ɤo’a gergei’ and ‘Boroɤčin-ɤo’a gergei’ even present triple cultural elements and symbols.

      • KCI등재

        Some Lessons for the Development of Securities Market in Mongolia from 2. the History of Korean Stock Market

        김승탁 한국몽골학회 2008 몽골학 Vol.0 No.25

        한국과 몽골은 1990년 수교 이후 상호 밀접한 경제적 협력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특히 증권분야에서도 작년에 양국 증권거래소가 공동과제를 수행하는 등 상호협력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주식시장의 발전과정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몽골 증권시장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몇 가지 제언들을 살펴보았다. 소득수준과 소득대비 시장규모의 비교를 통하여 현재 몽골의 증권시장은 한국의 1970년대 초중반의 제도정비단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었다. 주요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의 몽골 주식시장은 주식소유의 집중화가 심하게 진행되어 유통 주식수량의 부족으로 인한 거래량 부족에 직면해 있다. 몽골은 한국이 1970년대 초 상장주식 수의 부족으로 상장을 장려하기 위하여 실행하였던 정책을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소유분산이 잘된 기업에 대하여 대출금리나 법인세율 및 감가상각에 있어 이점을 주는 것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둘째, 자체시장규모가 매우 작은 몽골입장에서 외국인투자자를 유인하기 위해서는 상장기업의 회계적 투명성을 높이고 관련 정보가 보다 효율적으로 유통될 수 있도록 각종 법과 제도를 정비하는 것이 시급하다. 특히 공시제도에 관한 규정을 보다 구체적이면서 위반시 강제적 벌칙을 명시하는 방향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아직 큰 변동성을 경험하지는 못한 몽골 입장에서 미래 큰 폭의 변동성에 대비하 여 시장안정화장치를 갖출 필요가 있다. 고려할 가치가 있는 제도로는 일시거래정지(circuit break)제도와 외국인의 단기투자에 대한 규제 등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아직 공개하지 않은 정부소유의 전략기업들이나 외국과 공동투자기업들의 향후 기업공개시 몽골거래소와 해당국의 거래소에 동시에 상장시키면(dual listing) 두 시장을 통한 가격발견의 효율성 증대 및 국제시장에 대한 관심제고효과 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몽골(원)제국의 불교음악 고찰

        박소현(Park, Sohyun) 한국몽골학회 2021 몽골학 Vol.- No.67

        본 연구는 몽골의 제1차 불교수용 시기인 몽골(원)제국(1271년~1368년)의 불교음악을 고찰하였다. 몽골(원)제국 시대에는 몽골민족의 불교 음악문화가 시작된 시발점에 해당하며, 정치적 국면으로 인하여 티베트불교를 수용하였다. 몽골(원)제국의 불교음악은 궁정을 중심으로 불교 법회와 같은 불사(佛事) 의식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중국 수당대(隋唐代) 이래 전하는 궁정의 가무악(歌舞樂)을 포함한다. 의식의 연행 절차로써 이전 시대에서 볼 수 없는 티베트 불교 의식과 융합된 악곡(樂曲)과 가무(歌舞)가 수반되며, 몽골민족의 음악문화와 융합된 악무가 창제되기도 하였다. This study considered Buddhist music in Mongol(Yuan) Empire(years in 1271~ 1368) from the standpoint of historical musicology. The period of Mongol(Yuan) Empire corresponds to the first time of accepting Buddhism as for the Mongolian race and to the starting point that the Buddhist music culture was initiated. The Mongol(Yuan) Empire can be observed the Buddhist music culture centering on royal palace due to having accepted Tibetan Buddhism caused by the political phase, to having mostly possessed the characteristics of court Buddhism and aristocratic Buddhism and to having been believed in conventional shamanism by most Mongolian civilians. The Mongol(Yuan) Empire was performed the Buddhist services(佛事) ritual dubbed ‘Sitatapatra(白傘蓋),’ which is the large-scale Buddhist ceremony focusing on royal palace, was created <Sipyukcheonmamu(十六天魔舞, Buddhist devil dance by 16 person)>, which is music & dance in Buddhist praise, and was existed ‘Seolbeopdae(說法隊, a dance band for Buddhist sermon),’ which is a musical band to promote Buddhism. In other words, the acceptance of Buddhist music along with Tibetan Buddhism led to having been fused with the music style of the previous era and also to having created Buddhist music peculiar to the Mongolian r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