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판소리에서의 전통미학 패러다임의 변화

        김현주 판소리학회 2018 판소리연구 Vol.46 No.-

        이 글은 판소리의 미학적 성격을 사유체계의 변화라는 패러다임으로 접근함으로써 조선 후기 당시 성리학적 사유체계의 균열과 그 균열의 틈새에 들어온 새로운 사유체계들의 혼융 속에서 발생하고 성장한 판소리의 미학적 사유체계의 성격을 밝히고, 그것이 갖는 민족미학적 위상을 점검하고자 했다. 조선 후기 미학적 사유체계의 큰 변화는 기를 보는 관점의 변화에서 기인했다고 할 수 있다. 기를 물질로 간주하는 경향에 의해 물적 사유가 강화된 것이 그 하나였다. 조선 후기에 발생하거나 재음미된 실학과 서학, 도교, 그리고 무교 등을 통해 볼 때 조선 후기에는 물적 사유가 강화되면서 실물적인 사고와 실용주의적인 정신이 확산하였으며, 사물의 무차별성에 대한 인식을 통해 만물평등의 정신도 고양되었다. 기 일원론의 연장선 위에서 성 일원론이 등장함으로써 몸적 사유가 강화된 것이 조선 후기에 나타난 또 하나의 변화였다. 양명학이나 동학 등을 통해 볼 때 정신의 우월성과 육체의 열등성이 해체되고, 인간의 성에는 선악이 없다는 인식에 따라 인간의 정감의 세계가 차츰 인정되고 인간의 자연스런 욕망을 긍정하는 관점이 확산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미학적 사유체계의 변화는 그 시대에 등장하고 풍미했던 판소리문학에 투영되지 않을 수 없었다. 판소리에서 볼 수 있는 물적 사유와 몸적 사유의 공통점은 인간에게 자연스럽고 솔직한 사고방식이라는 점에 있다. 눈에 보이는 사물들을 순수한 시각을 통해 그대로 감각적으로 담아내려고 하는 물적 사유는 가식과 인위성을 배제하고자 하는 의식의 소산이다. 지성적 관념 작용을 통해 꾸미는 과정을 생략하고 인간의 자연스런 감정에 충실하고자 한 것이다. 몸적 사유는 인간의 본능적 욕망에 더욱 솔직하고자 한 것이다. 인간이 일상에서 욕망의 문제에 부딪쳤을 때 몸이 느끼는대로 사고하고 행동하라고 하는 것이 몸적 사유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지성적 사고 작용에 앞서 감성적 사고를 앞세우는 것이기 때문에 가식이나 위선이 없이 본능에 충실하게 된다. 물적 사유와 몸적 사유가 판소리에 두드러지게 기여하는 측면은 일상생활의 자연스러움을 구가하게 해준다는 데 있다. 그런 사유들이 판소리에서는 어떤 관념세계에서 일어나는 게 아니라 철두철미 실제 일상생활에서 부딪치면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판소리의 물적 사유와 몸적 사유의 의의는 일상적인 자연주의를 보편화한 국면에서 찾아진다. 당대에 부상한 다양한 사유체계들에 기반하고 있는 물적 사유와 몸적 사유는 판소리에 적극적으로 수용되어 판소리의 자연주의의 성격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일상적이고 생활적인 자연주의의 성격은 판소리가 이전 시대보다 더욱 강화시킨 미학적 국면이며, 후대에 다방면으로 유포시킨 미적 감각이다. 근대의 미술사학자들이나 미학가들, 그 중에서도 특히 고유섭의 한국미에 대한 진단을 보면 한국미의 자연주의적 성격은 좀더 층위별로 세분화될 필요가 있어 보이는데, 판소리에서는 그 다양하고 다방면의 자연주의적 성격이 문학과 음악에 걸쳐 밑바닥부터 체화되어 있음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판소리의 자연주의적 미학이 민족 미학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아직은 개진하는 단계에 불과하지만 상당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takes the aesthetic character of Pansori into a paradigm of its changes in the thought system.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new thought systems were mixed with cracks in the Neo-confucianism. In the midst of these currents, it revealed the nature of Pansori’ aesthetic system, which occurred and grew up, and checked its national aesthetic status. A major change in the aesthetic thought system in the late Chosun Dynasty can be attributed to the change in the way in which people think about Li(理) and Gi(氣). One is that material thinking has been reinforced by the tendency to regard Gi(氣) as a substance. In the late Chosun Dynasty, physical reasons were strenthened through Sil Hak(實學), Seo Hak(西學), Taoism(道敎), Shamanism(巫敎) etc., and they were reflected in practical thinking and pragmatic settlement. The spirit of equality in all things has also been enhanced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individuality of things. Another change was the increase in physical thinking as mind-monism(性一元論) emerged over the extension of Gi-monism(氣一元論). It was broken up the spirit of superiority and inferiority of the body through Yang Myung Hak(陽明學) and Dong Hak(東學). The recognition that human mind and body is not good and evil has led to the gradual recognition of the human world of affection and the positive view of human natural desires. This change of aesthetic thought system could be reflected in Pansori which appeared and grew up at that tim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material thinking and physical thinking of Pansori are natural and simple ways of thinking for humans. The material thinking of trying to capture things in a natural way, through a pure perspective, is a product of a consciousness to exclude pretense and artificiality. Its goal is to focus on the natural emotions of the human being and to skip the process of decorating with intelligence. Physical thinking is an attempt to be more honest with one’s instinctive desires. It is the essence of physical thinking that when a person encounters a problem of desire, one is asked to think and act the way the body feels. Material thinking and physical thinking contribute remarkably to Pansori, which is meant to promote the natural way of everyday life. Such thinkings do not occur in a certain world of ideology in Pansori, but they occur when they run into real life completely. In this sense, the significance of Pansori’ material thinking and physical thinking is found in a situation where it has generalized daily naturalism. Material thinking and physical thinking based on various thought systems that emerged in the period are actively accepted by Pansori, reinforcing the naturalistic characteristics of Pansori. The nature of everyday and mundane naturalism is an aesthetic phase enhanced by Pansori more than ever before and is thought to be an aesthetic sensibility spread widely to future generations. In modern art historians and aesthetic scholars, especially Ko Yu-seop’s diagnosis of Korea’s aesthetic nature, the naturalistic characteristics of Korea’s aesthetic needs to be broken down further into sections. In Pansori, various and diverse naturalistic characteristics are represented from the bottem up through literature and music. In this respect, the naturalistic aesthetics of Pansori are considerable in terms of its status as national aesthetics.

      • KCI등재

        도전적이며 문제적 사유체(corps-pens ee)로서의 유희하는 몸(corps-joueur)

        윤지영 한국여성철학회 2014 한국여성철학 Vol.21 No.-

        유희하는 몸이 갖는 철학적 함의는 기존 서구 형이상학의 일자 논리와동일성 논리의 폭력성을 드러내는 대안적 사유와 실천의 스펙트럼이라는 것이다. 즉 유희하는 몸이란 순응적이며 종속적인 몸으로서 식별되어져 왔던 주체화 방식에 대한 강력한 비판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유희하는 몸(corps-joueur)은분절되고 판별되어져 왔던 몸 개념-무거운 몸, 부끄러운 몸으로서의-에서 벗어난것으로 몸을 양분해 왔던 기존 범주들의 폭력성을 폭로하는 전략적 지점이다. 다시말해 유희하는 몸 개념은 욕망의 궤적을 변환하고 위치 이동하는 벡터인 것이다. 유희하는 몸이란 인습과 전통, 상식과 규범이라는 거대한 질서와 가치체계가 얼마나 편향적인 이데올로기성으로 작동하는가를 드러내는 문제적이며 도전적인 사유체(corps-pens ee)이다. 여기서 사유체란 니체적 개념으로서 몸과 사유가 더 이상대립하는 두 항이 아니라 어디까지가 몸이며 어디까지가 정신인가를 되묻는 매우급진적 문제 틀로서 작동하는 것이다. 유희하는 몸이 어떻게 의미를 생산하는 역동적 양태인지를 드러내며 생성으로서의 텍스트인 몸 개념이 어떻게 모색되는 지에주목할 것이다. 이로써 이 유희하는 몸이란 전복적 사유체는 팔루스(phallus)라는단선적 축을 중심으로 하는 기존의 욕망의 경제학과 의미의 경제학을 해체하는 것임을 드러낼 것이다.

      • KCI등재

        문화산업에 의해 물화된 몸과 그 비판으로서의 아도르노의 몸

        최준호 ( Jun Ho Choi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08 철학연구 Vol.0 No.36

        논문은 유기체와 『계몽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문화산업에 의해 물화된 몸’에 대한 아도르노의 비판적 통찰을 살펴보고 있다. 이를 통해서 일상의 차원에서는 물론이고 학문적 차원에서도 몸에 관한 담론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지만 사실상 ‘상품으로서의 몸’ 혹은 ‘물질적 쾌락의 상징으로서의 몸’ 그 이상의 몸에 대한 성찰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상황에서, 아도르노의 비판적 사유와 그러한 사유에 바탕을 둔 몸 개념에 담긴 의의를 헤아려보는 데 논문의 목적이 놓여 있다. 아도르노에게 몸은 정신적인 것으로 환원되지 않는 육체적인 것이다. 다른 한편 그것은 단순한 물질 덩어리, 그것도 감각적 쾌락의 덩어리로 환원되지 않는다. 몸은 질료의 덩어리로 환원되지 않는, 다르게 말해 동질적인 것으로 환원되지 않는 비동일적인 것의 메타포이다. 그것은 동일성 사유의 지배에서 벗어난 비동일적인 것을 함축하고 있다. 그런데 문화산업은 몸에 담긴 이러한 의미를 철저하게 배제시킨다. 문화산업에 의해 조장되는 몸은 단순한 질료 덩어리이며, 본능적인 쾌의 실현을 약속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기만하고 있는 단순한 질료 덩어리이다. 즉 그것은 교환가치로 환원된 몸, 다시 말해 철저하게 물화된 기만된 몸에 다름 아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물화된 몸으로부터 벗어나는 길은 어디에 있는가? 이에 대한 아도르노의 견해는 ‘문화산업에 의해 결박된 몸의 해방은 몸에 대한 편향된 입장들에 대한 비판적 사유과정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말로 요약된다. 그리고 이런 까닭에 아도르노에게 굴레에서 벗어난 몸이 특정한 시점과 특정한 지점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 그에게 문화산업으로부터 자유로워진 몸이 미래의 어떤 곳에 정해진 몸일 수 없다. 그에게 그 굴레에서 벗어난 몸은 편향된 입장들에 대한 비판적 사유과정에 의해서 “변용된 몸”인 것이다. 아도르노의 이러한 견해는 표면적으로는 물화된 몸의 조장과는 무관해 보이는 몸에 관한 담론들, 특히나 포스트모더니즘 논의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는 몸에 관한 담론들이 사실상은 몸을 상품화하려는 것과 동전의 양면일 수 있다는 사실을 직시하게 한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의의를 지닌다. 즉 아도르노의 논의는 얼핏 보면 물화된 몸, 기만된 몸과 무관한 것처럼 보이는 주장들이 사실은 그러한 기만된 몸의 변주곡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적절하게 지적해준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문제는 남는다. 아도르노 자신이 인정하고 있듯이, 인이 자기정체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한에서 동일성 사유는 불가피한 것이며, 그러한 한에서 그의 철학에는 출구가 없다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몸에 대한 그의 견해 역시 이 문제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This paper scrutinizes Adorno`s critical insight into the body reified by culture industry. It will thereby be examined that what sense such an insight makes under the contemporary situation where body is widely being regarded just as a kind of commodity. For Adorno, human being`s body is never reduced to spiritual element. In this sense, the body is undoubtedly material or physical. On the other hand, however, it is not just a mass of matter. In other words, it refers to the metaphor of the non-identical thing that is not reduced to the thinking of identity. By the way, culture industry throughly excludes this meaning from the concept of body. The body promoted by culture industry is the one that can entirely be reduced to an exchange value, namely the so-called fetishized one. How can we then liberate ourselves from such a body? According to Adorno, we can accomplish it, only when we criticize the prejudiced positions of body. Therefore, for Adorno, the authentic body can not be defined as the one that lies in a point of time and space. That body can rather be described as the transfigured one that is only revealed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to the prejudiced positions of body. Adorno`s concept of the transfigured body allows us to make it clear that the discourses of body which superficially seem to be indifferent to the fetishized body, especially some discourses based upon postmodernism, are not in fact far away from the fetishied one. Namely, Adorno`s insight into the reified body can make us find it out that there is an affinity between the discourses of body supported by culture industry and the ones based on postmodernism. Nevertheless, Adorno`s discourse of body contains a serious problem. The reason is as follows: His critical insight into the fetishized body could also come to nothing, in sofar as human being can not give up his own identity and therefore fail to conform to the thinking of identity.

      • KCI등재

        니체, 몸 그리고 ‘춤추는 사유

        이진우 한국니체학회 2014 니체연구 Vol.25 No.-

        I am focusing here on the question how to understand the dancing as a “wayof thinking”. This question concerns our human bodies, especially the relationshipof body and dancing. I want to know how we understand and live our relationshipto the bodily dimensions of our being. At first glance, dance and philosophy seemto be contradictory pair. Starting with Descartes’s sharp separation of body andthought, dance as a bodily art has played a subaltern role. No one else hassubverted this relationship of mind and body more fundamentally than FriedrichNietzsche. Nietzsche’s “physiological turn” would remind me, the “I” is nothingbut the body and therefore there is no life when I am not experiencing myembodiment. Nietzsche uses Tanz or “dance” to describe the role of our body inthe dynamic process of self-becoming or self-creation. In this sense, Nietzsche is agenuine philosopher of dance who will teach us dancing as thinking. In order to explain my position, I will progress as follows. First, I willinvestigate why Friedrich Nietzsche found the origin of dance in the Dionysianchorus of the Attic tragedy. It will be proved that the dancing engaging the bodyestablishes a visceral connection between chorus and audience. Second, I willcontextualise the Nietzschean “free spirit” in terms of full-body symbol-making. “Dance” provides us with the self-creating capacity of our bodily being. Third, Iwill attempt to sketch why and how dancing could turn out to be a model path forthinking itself. Nietzsche reminds us, dancing is thinking. Dancing as a method forlife affirmation and a way of thinking in which we generate the capacity of ourbodily becoming. 이 논문은 니체가 본래 의도한 ‘사유 양식으로서의 춤’을 철학적으로 해명하고자 한다. 춤과 철학은 언뜻 서로 모순적인 것처럼 보인다. 춤은 몸으로 표현하는 예술이고 철학은 이성으로 성찰하고 사유하는 학문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프리드리히 니체는 이러한 관계를 근본적으로 전도시켰다. 사유의 중심을 이성으로부터 몸으로 전환시킨 니체의 “생리학적 전회” 이래몸은 이제 전통적 이원론으로부터 해방되어 논리적 합리성마저 자유롭게 다루는 “커다란 이성”으로 등장한다. 니체에 의하면 춤은 정신적 가치를 표현하는 단순한 상징적 수단도 아니고 특정한 철학을 대변하는 비유도 아니다. 춤은 그 자체 사유의 양식이다. 여기서 우리는 몸을 통해 세계를 표현하는 춤이 어떻게 세계 긍정에 기여할 수 있는지 또 춤 그 자체가 어떻게 몸을 통한 사유가 될 수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춤과 철학의 관계를 한 단계 더 심화시키고자한다. 니체는 춤의 기원을, 몸을 통해 세계를 긍정하는 고대 그리스 비극에서 발견한다. 고대 그리스 비극의 디오니소스적 춤은 삶의 긍정을 표현하고 동시에 관중이 삶을 긍정하도록 이끈다. 춤이 본능적이고 디오니소스적인 까닭은 자연 자체를 몸으로 표현하기 때문이다. 무대와 객석의 경계가 사라지고 관객이 드라마와 일체감을 느끼게 만드는 디오니소스적 합창단의 춤은 오늘날 모든 퍼포먼스예술의 기원이다. 니체의 춤은 운동을 통한 삶의 긍정이다. 우리의 자아 자체를하나의 실체가 아닌 과정으로 파악하고 있는 니체의 관점에서 보면 춤은 이러한‘자아의 신체적 형성과정’의 모델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자유정신은 몸으로부터의 해방이 아니라 몸의 인정을 의미한다. 우리가 몸의 상징적 표현을 통해 세계와 만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춤이라면,춤이 더 이상 어떤 정신적 가치와 사상에 대한 단순한 비유가 아니라 그 자체 하나의 ‘사유의 양식’이다. 우리가 춤을 배우려고 하듯 사유하는 법도 배워야 한다는 니체의 말은 춤을 철저하게 사유함으로써 어떻게 새로운 사유방식이 가능한가를 제시한다.

      • 기획논문1 : 걷기-공간적 사유와 “몸”의 자아 구현 -구이람 시집 『걷다』를 중심으로

        김지윤 ( Ji Yoon Kim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5 한국어와 문화 Vol.18 No.-

        구이람 시인의 두 번째 시집 『걷다』(2011, 시학)는 움직이고 활동하는 존재로서 인간의 존재론적 불안과 이런 삶의 위태로움을 강화시키는 현대적 징후에 대한 시인의 탐구와 자아성찰을 보여주는 시집이다. ‘걷다’라는 동사가 몸의 움직임을 뜻하듯, 이 시집에는 ‘몸’에 대한 철학적 사유가 두드러진다. 현대사회에서 점점 더 가속화되는 도시화는 결국 몸의 소외를 낳는다. 진행되는 기계화에 몸의 기능은 저하되고 그 건강성을 상실하며 몸의 자리는 사라진다. 몸은 하나의 부속물처럼 취급되고 쉽게 다른 몸으로 대체되며 마치 복제되는 공산품처럼 개체성을 잃고 인위적이고 인공적인 것으로 변질된다. 그리하여 소외된 몸은 쉽게 현대사회의 속도에 휩쓸린다. 구이람 시인의 시집 『걷다』는 속도에 휩쓸려 자신을 잃지 않으려는 주체의 몸부림이며, 발을 헛디디는 작은 실수만으로 넘어져 그 속도의 흐름에서 소외되고 도태되어 결국 배제되곤 하는 이런 ‘속도의 광증’에 대한 문제 제기이다. 또한 이 시집에서의 ‘걷기’는 걸음을 지탱하고 있는 지반으로써의 세계가 위태롭다는 것을 강조해주는 행위이기도 하다. 걷고 있는 땅이 안전하지 않다는 느낌은, 불연속적으로 끊어지는 삶과 순간순간 균열의 민얼굴이 드러나는 세계에 대한 인식이기도 하다. 이는 자기상실과 타자화의 위협에 노출되어 있는 현대인들의 실존적 불안을 잘 보여주고 있다. ‘걷기’는 걸음의 주체가 되는 ‘몸’을 환기시키고, 원초적이고 생래적인 인간의 몸에 대한 인식은 자연에 대한 생태적 사유로 이어진다. 『걷다』와 그 이후 시집들에서 찾아볼 수 있는 생태주의적인 시인의 사유는 훼손된 자연의 재생과 동시에 훼절된 자신의 본질에 대한 회복에의 염원으로 이어진다. 그래서 인간 중심주의적 사고를 넘어 인간과 자연의 공존과 함께 모든 형태의 불평등과 위계화를 해소하는 공동체적 이상향을 지향하고 인간의 문법과 규율과 속도를 벗어나 자연의 흐름과 법칙, 순환에 귀의하고자 한다. 이는 필연적으로 근대가 쌓아놓은 성과에 대한 도전이 될 수 있고, 근대가 관리하는 ‘시간’과 ‘장소’를 벗어남에 그 목적이 있다. 이 시집은 ‘실제성 회복’과 ‘거리 좁힘’, 그리고 ‘곁길로 걷기’의 전략으로 이를 이루어내려 한다. 본고는 이러한 시도들을 구체적인 작품 속에서 찾아보고, 그 의미를 고찰해보며 이러한 노력이 근대에 대한 위반이며 생태적 인식의 발로이기도 하다는 점을 밝혀나가려고 하였다. 또한, 장소가 자아에 대한 감각을 구성하며 장소의 이동은 접촉과 관계, 통행과 장소 바꿈을 가져와서 결국 자신의 정체성을 재구성한다는 점에서 볼 때, ‘걷기’를 추구함은 곧 자아의 재편성에 대한 욕구에 다름 아니다. 이런 욕망의 관점에서 이 시의 공간적 사유를 자아정체성의 구현과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Having starting her literary career as a poet with ‘Shimunhak (Poetry)’ in 1999 and returned to the poetic circles with a collection of poems titled, ‘Shiwashihak’ in 2009, Yi-ram Gu has published a total of 4 collections of poems so far, while deepening her world of poems. A few years after publishing her first collection of poems, ‘How many bags of rice has the woman cleaned and cooked so far?’ in 2009, she published another collection of poems titled, ‘Walk’ in 2011, and it shows a poet`s inquiry and introspection into humans` existential anxiety and critical conditions of life as a being moving and acting. Besides, as the verb, ‘Walk’, indicates a kind of body movement, a philosophical reason for ‘Body’ is remarkable in this collection of poems. Urbanization accelerating more and more in the modern society gives a birth to the alienation of body at last. In the process of mechanization, the functions of body become deteriorated, and its healthiness is lost and its place disappear as well. As our bodies are treated as a single part and easily replaced with others, they lose individuality like industrial products copied all the time, being converted into artificial and man-made things. As a result, an alienated body easily gets swept away by the speed of the modern society. The beginning of the modern times, symbolized as a train, approached with high speed, and like an express train going forward, the rush of the modern times has kept aiming for ‘Something Faster’ so far. In such an era, ‘Walking’ can be another challenge for such a speed. Her collection of poems, ‘Walk’, is a struggle of subjects who are trying not to lose themselves in such a high speed, and it brings up a question about ‘Insanity of Speed’ since we may get alienated and fall behind in the flow of speed, further being excluded from the society, when we lose our footing and fall down by accident. Moreover, ‘Walking’ in this collection of poems is a behavior of emphasizing that the world is precarious as a ground supporting our steps. Such a feeling that the ground is not safe to walk is also a perception of the world where a life discontinuously disconnected and a bare face of cracks are exposed moment by moment. It clearly shows the existential anxiety of modern people suffering from a loss of self and a risk of becoming others. By ventilate our ‘Body’, which is the subject of steps, ‘Walking’ leads a primitive and natural perception of human bodies to an ecological perception of nature. Commonly found in both ‘Walk’ and her most recent collection of poems, ‘Sky Tree’, the poet`s ecologist reasons are led to desires for the regeneration of nature damaged and the restoration of one`s essence corrupt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it pursues a community-like utopia where human beings coexist with nature and all types of inequality and hierarchy are resolved, beyond a human-oriented thought. Consequently, it is trying to join the flow, law and circulation of nature, breaking away from the grammar, regulations and speed of human beings. It can be a challenge for achievements the modern society has accumulated, and its purpose is to break away from ‘Time’ and ‘Place’ managed by the modern times. All the works in this collection of poems attempt to get done all the things mentioned above, with such strategies as ‘Realism Recovery’, ‘Distance Narrowing’ and ‘Stepping Sideways’. Thus, this study aims to look for such an attempt in concrete works of hers, examine the meaning and clarify that such endeavors are a challenge for the modern times and an expression of an ecological perception as well. As a place composes senses for an ego, and ‘Movement to a Place’ brings up contacts, relations and passages and places changed, it becomes an chance to recompose an identity. In this aspect, pursuing ‘Walking’ is the same as a desire for the reorganization of an ego. In the viewpoint of such a desire,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spatial reason of this poem in association with the realization of self-identity.

      • KCI등재
      • KCI등재

        김종삼 시의 기억 회상 양상 연구 - 사유이미지로서 ‘몸’을 중심으로

        안상원 이화어문학회 2018 이화어문논집 Vol.45 No.-

        이 연구는 김종삼 시의 ‘몸’이 시적 주체가 기억을 회상하는 통로로 쓰임을 밝히고자 한다. 사유로서의 이미지에 주목한 독일 철학자 발터 벤야민의 논의를 참고하여, 김종삼의 시세계를 고찰하였다. 그의 시에서 시적 주체는 ‘죽은 몸’을 회상함으로써 사회역사적으로 망각된 것들을 죽음의 영역에서 불러온다. 동시에 시체로 표현된 망각된 기억이 주체를 호출할 때 이에 응답함으로써 연대를 이루고 일상을 초월하는 윤리를 제시했으며, 더 나아가 기억을 전달하는 자로서의 책무를 드러냈다. 또한 김종삼의 시에 등장하는 순간성과 기쁨이 ‘먹는 몸’, ‘충만한 몸’ 등 몸의 경험에서 빚어진 것을 찾아냄으로써 슬픔이나 죄의식만이 아니라 ‘즐거움’ 또한 그의 시에서 주목할 만한 감정임을 밝혀냈다. 그 결과 김종삼의 시가 사회역사적 삶을 전유하는 언어로 이루어진 것을 강조할 수 있었고, 사회역사적 현실을 전환하는 행복에 대한 의지를 읽어낼 수 있었다. This study intends to reveal that ‘body’ is used as a passage of memory recollection in Kim Jong-sam’s poetry. Kim Jong-sam’s poetic world is examined with reference to the discussion of the German philosopher Walter Benjamin, who paid attention to the image as thought. The poetic subject, by recalling the “dead body,” reveals the ethics that transcend everyday life, and the responsibility to convey memory, in calling out forgotten things again in death-like oblivion, answering calls of forgotten memories, and in solidarity. Kim Jong-’sam’s poetry and joy also reveals not only sadness and guilt, but also pleasure in his poetry, by finding out that he was born of his bodily experiences, such as the ‘eating body’ and ‘satiated body.’ As a result, Kim Jong-’sam’s poetry can be emphasized as a language which is appropriate for social and historical life.

      • KCI등재

        <기획논문2 - 독일문학 속 독일과 독일인> 독일 낭만주의의 ‘촉각적 사유’와 몸 담론

        김성현 ( Kim Sunghyun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15 No.-

        낭만주의는 계몽주의 전통의 ‘시각적 사유’를 비판하며 물질성과 감각성을 구현하는 촉각을 긍정적으로 강조한다. 촉각은 ‘만지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감각인 바, 따라서 촉각에 대한 이해는 곧 몸의 물질성에 대한 이해로 이어진다. 낭만주의는 특히 욕망의 대상으로서의 감각적인 몸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몸을 인식 주체의 타자 및 관찰대상이 아닌 인식 주체와 동일한 존재로 여기고 촉각을 통한 몸의 물질성, 육체성을 긍정적으로 인정하는 사유형식의 변화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낭만주의의 ‘촉각적 사유’ 및 몸 담론의 의미를 찾고자 한다. Die Romantik kritisiert das Denken der Aufklarung und wertet den vom Logozentrismus abgewerteten Sinn, namlich Tastsinn auf. In der aufklarischen Logik ist der Vorrang des Blicks besonders. In dieser Logik wird der optische Sinn zum privilegierten Organ der Erkenntnis der Welt. Im Feld der Aufklarung wird das ‘Andere’, wie Tastsinn und Korper abgewertet. Aber der Tastsinn und Korper werden in der Romantik positiv anerkannt. Der Tastsinn wird in der Romantik als originares Organ der Erfahrung von Korpern und korperlicher Form behauptet. Die Problematik von Erkenntnis geht aus der Kritik uber die absolute Subjektbegriff hervor. Die romantische Kritik an aufklarischen Rationalprinzip verbindet sich mit der Aufwertung des Tastsinns und Korpers. Vor allem bei Herder gilt der Tastsinn als wichtigstes Organ zur Empfindung von Korpern. Fur Herder ist Empfinden bereits ein Teil von Erkennen. Besonders in der Romantik wird das Pygmalion-Motiv haufig von den Bildhauern und Dichtern verwendet. Es wird im Sinne eines neuen Tastsinns gedeutet und als Ausdruck einer neuen Korperanschauung. Angesichts der Aufwertung des haptischen Sinns und der Entdeckung der Korperlichkeit hat der Wandel der Denkweise sich in der deutschen Romantik vollzieht.

      • 독일 낭만주의의 ‘촉각적 사유’와 몸 담론

        김성현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15 No.-

        Die Romantik kritisiert das Denken der Aufklärung und wertet denvom Logozentrismus abgewerteten Sinn, nämlich Tastsinn auf. In deraufklärischen Logik ist der Vorrang des Blicks besonders. In dieserLogik wird der optische Sinn zum privilegierten Organ der Erkenntnisder Welt. Im Feld der Aufklärung wird das ‘Andere’, wie Tastsinn undKörper abgewertet. Aber der Tastsinn und Körper werden in derRomantik positiv anerkannt. Der Tastsinn wird in der Romantik alsoriginäres Organ der Erfahrung von Körpern und körperlicher Formbehauptet. Die Problematik von Erkenntnis geht aus der Kritik über dieabsolute Subjektbegriff hervor. Die romantische Kritik an aufklärischenRationalprinzip verbindet sich mit der Aufwertung des Tastsinns undKörpers. Vor allem bei Herder gilt der Tastsinn als wichtigstes Organ zurEmpfindung von Körpern. Für Herder ist Empfinden bereits ein Teil vonErkennen. Besonders in der Romantik wird das Pygmalion-Motiv häufigvon den Bildhauern und Dichtern verwendet. Es wird im Sinne einesneuen Tastsinns gedeutet und als Ausdruck einer neuenKörperanschauung. Angesichts der Aufwertung des haptischen Sinns und der Entdeckungder Körperlichkeit hat der Wandel der Denkweise sich in der deutschenRomantik vollzieht. 낭만주의는 계몽주의 전통의 ‘시각적 사유’를 비판하며 물질성과감각성을 구현하는 촉각을 긍정적으로 강조한다. 촉각은 ‘만지기’를통해 얻을 수 있는 감각인 바, 따라서 촉각에 대한 이해는 곧 몸의물질성에 대한 이해로 이어진다. 낭만주의는 특히 욕망의 대상으로서의 감각적인 몸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몸을 인식 주체의 타자및 관찰대상이 아닌 인식 주체와 동일한 존재로 여기고 촉각을 통한 몸의 물질성, 육체성을 긍정적으로 인정하는 사유형식의 변화가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낭만주의의 ‘촉각적 사유’ 및 몸 담론의 의미를 찾고자 한다.

      • KCI등재

        아함에 나타난 부정관과 번뇌의 관계

        강명희(Kang Myunghee) 보조사상연구원 2011 보조사상 Vol.36 No.-

        초기불교의 수행법은 37助道의 4念處와 不淨觀과 數息觀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중 부정관과 수식관은 아비달마에 이르면 수행입문의 두 관문이라고 정형화된다. 특히 부정관은 수식관 이전에 시설된 붓다의 초기 수행법으로 몸에 대한 탐욕과 음욕을 끊어내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붓다는 범부 중생이 현상계를 이해하는 데는 무엇보다도 현재 마음에 덮인 탐, 진, 치를 걷어내야만 가능하다고 보았으며, 부정관을 통하여 몸에 대한 강한 집착과 음욕을 떼어낼 수 있다고 보았다. 초기경전은 붓다가 다양한 방편으로 부정관을 시설하여 그 결과로 부정관을 수습한 수많은 비구들이 몸의 혐오상을 경험하고 죽은 일화를 기록하고 있다. 이 사건 이후에 부정관은 폐기되고 安那般那念(수식관)이 새로운 수행법으로 제시되는데, 수식관 이전의 부정관 수행법은 몸에 대한 욕심을 치유하는 데에 탁월하였다. 붓다는 마음의 해탈에 앞서 우선적으로 몸 관찰을 중심으로 하는 부정관을 설시한 것이고, 부정관을 통하여 몸의 탐욕과 음욕을 퇴치하고 싶어 했던 것이다. 본 논문은 부정관의 초기형태에서 나타나는 수행의 想과 그 得果(결과)를 4부 아함에서 살펴보고, 부정관 수행을 통하여 제거되는 번뇌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초기의 부정관은 不淨想으로 기술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고, 부정상은 사유의 방식 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잡아함』은 죽은 시신을 보고 관찰하는 9想觀과 해탈을 성숙시키는 5想이 혼합되어 諸想이 시설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증일아함』은 해탈을 성숙시키는 5想과 일부 9想觀이 결합되어 10상을 정형화 시키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번뇌와의 관계에서는 부정관의 수행을 통해 3結이 끊어지고 탐진치의 근본번뇌가 엷어지며 苦際(苦邊)를 얻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苦邊은 沙門果와 밀접하게 관계하고 있었으며, 간접적으로 몸의 해탈을 의미함을 알 수 있었으며, 몸의 해탈은 오개 중에서 탐욕개의 제거로 가능함도 알 수 있었다. Catvāri smṛti upasthāni(四念處), aśubha bhāvanā(不淨觀), and ānāpāna smṛti(數息觀) of the 37 kinds of bodhipākṣika(助道) are essential meditation practices in the early buddhism. In the Abhidhama literature, aśubha bhāvanā, and ānāpāna smṛti among them were fixed as the two gates into meditation practice. Especially, the practice way of aśubha bhāvanā which was explained before ānāpāna smṛti focuses on cutting sexual desire and the attachment to the body. Buddha see that the true understanding to the world is possible when people destroy rāga-dveṣa-moha(貪瞋痴) in his mind, and people are able to cut sexual desire and the attachment to the body by aśubha bhāvanā. The literature in early buddhism write that Buddha explains aśubha bhāvanā in many different ways, and many monks who misunderstand Buddha’s explain kill themselves after experiencing the uncleanness of the body by aśubha bhāvanā. After this case, aśubha bhāvanā is replaced by ānāpāna smṛti. But it is true that aśubha bhāvanā is very effective to destroy the attachment to the body. So, we can guess, Buddha would have explained aśubha bhāvanā the first of all, and by aśubha bhāvanā, intended to cut sexual desire and the attachment to the body of monks. This paper considers the ways and the effects of aśubha bhāvanā in early form in the 4 kinds of Chinese buddhist Āgama texts(四部阿含), and then inquires kliṣṭas(煩惱) which the meditator be able to destroy by aśubha bhāvanā. So, this paper have found that aśubha bhāvanā which is the form of uncleanness in the mind in early form is a kind of method of concentrating. Especially, this paper have found that the mixing between the meditation on the 9 kinds of changing and decaying forms of the dead body(九想觀) and the 5 objects of the buddhist meditation(五想) which help meditator’s nirvana is appearing in the Chinese Saṃyuktāgama texts, and the system of the 10 objects of the buddhist meditation(十想) which is the mixing between the 5 objects of the buddhist meditation and some parts of the 9 objects of the buddhist meditation is fixed in the Chinese Ecottarāgama texts. In case of relation to kliṣṭa, we can find that the practice of aśubha bhāvanā destroys the trisaṃyojana(三結), and weakens the fundamental kliṣṭas of rāga-dveṣa-moha, and can gain the end of suffering(duḥkasya antakriya, 苦際). This paper have found that the destroying of rāga-dveṣamoha and the trisaṃyojana, and the gaining of the end of suffering are the essential keys for going into the catvāri śramaṇaphalāni(四沙門果), and through practicing aśubha bhāvanā, we are able to gain the nirvana from the body, for which we must destroy the rāga nivaraṇa(貪慾蓋) among the 5 kinds of nivaraṇ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