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학목적 공익법인의 세법상 고유목적사업비 사용에 대한 연구

        김종태,최보람 한국회계정보학회 2014 회계정보연구 Vol.32 No.1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improving the distribution for charitable purposes by the scholarship foundation under the tax law through comparing the tax regulations in Korea and in USA.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public utility foundation is distributing the donated property for the charitable purpose properly and this study is focused on providing the recommendation on the distribution for the charitable purpose by the scholarship foundation as the monitoring process. 100 scholarship foundations, whose total assets are exceeding Korean won 10 billion, are selected as the sample. The ratio of the expenditure over the earning from the investment in 2009 and 2010 are 79% and 73%, respectively, which meets the minimum ratio of the expenditure over the earning as 70% provided by the Korean tax regulations. The expenditure ratio over the investment for the charitable purpose by the scholarship foundation is relatively low, considering that the number of the scholarship foundation, whose earning ratio from the investment are under 5%, is 50 in 2009 and 63 in 2010, out of 100 selected scholarship foundations. This analysis means that the scholarship foundation does not perform the charitable purpose properly, as the scholarship foundation is required to distribute only the profit earned from the investment under the Korean tax regulations, even if the scholarship foundation enjoys the tax benefits. It is not necessary to distribute for the charitable purpose under the tax law in Korea, if there is no earning from the donated investment. Under the tax regulations in USA, it is required to distribute at minimum 5% of the investment for the charitable purpose, even if there is no earning from the donated investment. If the tax regulations in USA is applied in the minimum expenditure for the charitable purpose by the scholarship foundation in Korea, Korean won 95,412 million from 80 scholarship foundations in 2010 would be distributed for charitable purpose additionally. The reason for the fact that the expenditure ratio over the investment for the charitable purpose by the scholarship foundation is relatively low, is due to the fact that there are no minimum expenditure requirement over the donated property for the charitable purpose and the limitation on distributing the basic donated properties. Even if a lot of the tax benefits are given to the scholarship foundation, through not imposing the inheritance tax or the donation tax, the expenditure for the charitable purpose is not large, due to the reason that the expenditure is made only with the profit earned from the donated property. The basic donated property can be used for the charitable purpose, only when the proper approval from the relevant government or the revision of the related articles of the scholarship foundation should be made in advance. Two recommendation are suggested in order to promote the distribution for the charitable purpose by the scholarship foundation properly. One is to suggest the minimum expenditure requirement over the donated property under the Korean tax regulation and the other is to lessen the control over the proper approval from the relevant government and the control over the revision of the related articles of the scholarship foundation, in order to promote the distributing for charitable purpose. 본 연구는 장학법인을 대상으로 장학법인의 고유목적사업비 사용의 증진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공익법인은 설립취지가 일반적인 비영리법인과 달리 사회일반의 이익에 공여하기 위하여 종교·자선·학술 기타 공익에 관한 사업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정부는 그 고유목적사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공익사업에 출연한 재산에 대하여 상속세 및 증여세를 부과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공익법인이 공익 목적에 따라 사용하는 지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야 하며 본 연구도 공익법인의 사후관리 중 공익 목적의 지속적인 사업비 활용 방안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100억 이상 자산을 보유한 100개 장학법인을 표본으로 하여 각 장학법인들의 투자수익률 및 사업비 사용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0년과 2009년 각각 평균 4.7%, 4.89%의 투자수익을 올리고 있고 투자자산 대비 사업비는 3.73%, 3.55%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투자수익 대비 각각 79%, 73%를 사용하여 투자 수익 대비 70% 이상 사용하도록 하는 규정을 맞추고 있었다. 이렇게 투자자산 대비 고유목적 사업비율이 낮은 것은 각 재단별 투자자산 대비 투자수익률을 확인하면 알 수 있는데 전체 100개 법인 중 63개(2010년), 50개(2009년) 법인이 5% 미만의 투자수익률을 올리고 있었다. 이러한 법인들은 공익 목적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공익 법인 출연당시 받은 세제 혜택이나 운영상의 여러 가지 혜택에도 불구하고 투자수익 대비 사업비를 사용하도록 하는 규정 때문에 우리나라의 장학 재단의 효율성은 저하된다. 반면 미국에서는 투자자산 대비 5%를 의무적으로 고유목적사업에 사용토록 하고 있다. 미국의 제도를 우리나라에 적용하여 보면 2010년 기준 총 80개 재단이 95,412백만원만큼 사업비를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계산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장학재단의 사업비율이 낮은 결과의 문제점으로 고유목적사업비로 사용해야 하는 최소한도 규정이 없는 것과 기본재산 사용이 어렵다는 점을 분석하고 고유목적사업비 사용의 최소 한도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공익 목적 사용을 위해 출연재산에 대한 규제가 풀려야 한다는 점도 추가적인 개선안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미래교육을 준비하는 교육목적에 대한 교육철학적 탐구와 실천적 제안(LiD)

        권정선(Kwon, Jungson),김회용(Kim, Hoy-Yo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열린 교육목적의 중요성 확인을 넘어 실제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철학적 관점 및 실천 방안을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플라톤의 형이상학에 기반한 교육목적론 탐구를 통해 닫힌 목적의 특징을 살펴보고, 3장에서는 듀이의 철학에 기반한 교육목적론 탐구를 통해 열린 목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4장에서는 교육과정과 유기적으로 연계 가능한 교육목적의 성격을 탐색하고 구체적 실천 방법의 한 예로 LiD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교육의 역사를 지배해 온 관념들이 추구한 목적들이 상이하고 양립할 수 없는 것은 이원론적 접근의 결과이며, 듀이적 관점에서 열린 목적과 닫힌 목적은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새로운 목적, 즉 교육과정을 생성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LiD는 이러한 교육목적과 과정이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며 교육 실천에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논의 및 결론: 따라서 첫째, 진정한 열린 교육목적은 학습자 스스로 활동을 설계, 수정, 지시할 수 있는 닫힌 목적을 지속적으로 생성하며 교육과정에 연계되며 실제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둘째, 학습자의 자율성과 흥미에 기반하여 지속적인 탐구 과제를 이끌어낼 수 있는 LiD와 같은 프로그램들이 교육과정에 활용될 수 있으며, LiD와 같은 프로그램의 학습 원리를 연구 및 발굴하는 일 또한 교육의 과제이다. 셋째, 교육목적과 교육과정의 유기적인 관계를 지속하는 일은 교육 상황 속 구성원들의 수평적인 관계를 기반으로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hilosophical perspectives and action plans that allow them to work effectively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beyond mere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open educational purposes. Method: To this end, in Chapter 2, the characteristics of a closed purpose through an inquiry into the educational teleology based on Plato s metaphysics were discussed. After that, Chapter 3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open purpose through an inquiry into the educational teleology based on Dewey s philosophy. Based on this, Chapter 4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urposes that can be intimately connected to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examines the LiD program as an example of a concrete practice method. Results: It is the result of a dualistic approach that the goals pursued by the ideas that have dominated the history of education are different and incompatible. In Dewey s view, open and closed purposes continuously interact to create a new curriculum, a new purpose of education. Furthermore, LiD is a case that shows that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can be closely linked, and as a result, it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Conclusion: Accordingly, first, a truly open educational purpose is linked to the curriculum and can have a practical impact by continuously creating a closed purpose that learners can design, modify, and direct their own activities. Second, programs such as LID that can continuously create exploration tasks based on the learner autonomy and interests can be used in the curriculum. In addition, researching the learning principles of programs such as LID is also the duty of education. Third, maintain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purpose and curriculum is based on the horizontal relationship of members.

      • KCI등재

        심미적 판단과 목적 없는 합목적성-칸트의 취미판단의 세 번째 계기에 대한 헤겔의 해석

        서정혁 한국헤겔학회 2008 헤겔연구 Vol.0 No.24

        In Kritik der Urteilskraft sagt Kant, Schönheit ist Form der Zweckmäßigkeit eines Gegenstand, sofern sie ohne Vorstellung eines Zwecks an ihm wahrgenommen wird. In Vorlesungen über die Ästhetik anführt Hegel irgendein Naturprodukt, z. B. eine Pflanze, ein Tier als Beispiele der 'Zweckmäßigkeit ohne Zweck'. Hegel umdeutet dieses Prinzip 'Zweckmäßigkeit ohne Zweck' vom Standpunkt der Realisierung des Zwecks. Hegel's Umdeutung ist ein Objektivismus, denn Hegel voraussetzt 'Realisierung des Zwecks durch Mittel'. Diese Umdeutung ist verschieden von Kant's Standpunkt. Hegel bezieht dieses Prinzip der Zweckmäßigkeit auf intuitiven Verstand. Aber in Kritik der Urteilskraft äußert sich auch Kant über den Zusammenhang zwischen Zweckmäßigkeit und intuitiven Verstand. Kant sagt, ein Objekt oder Gemütszustand oder eine Handlung heißt zweckmäßig, wenngleich ihre Möglichkeit die Vorstellung eines Zwecks nicht notwendig voraussetzt, bloß darum, weil ihre Möglichkeit von uns nur erklärt und begriffen werden kann, sofern wir eine Kausalität nach Zwecken, d. i. einen Willen, der sie nach der Vorstellung einer gewissen Regel so angeordnet hätte, zum Grunde derselben annehmen. Deshalb können wir nicht im absoluten Sinn von einer 'Zweckmäßigkeit ohne Zweck' sprechen, sondern immer nur von einer Zweckmäßigkeit ohne irgendeinen bestimmten Zweck. 'Zweckmäßigkeit ohne allen Zweck' kann es nicht gegeben. Vom diesem Standpunkt ist es möglich zu interpretieren Kant's Behauptungen im Zusammenhang mit Hegel's Umdeutungen, und deshalb ist es auch möglich zu interpretieren Kritik der Urteilskraft weiter aus Ausführung des deutschen Idealismus nach Kant. 칸트는 취미판단의 세 번째 계기로 ‘목적 없는 합목적성’을 주장한다. 칸트에 의하면 아름다움은 ‘합목적성이 목적의 표상 없이 어떤 대상에서 지각되는 한에서 이 대상의 합목적성의 형식’이다. 헤겔은 자신의 『미학강의』에서 이 ‘목적 없는 합목적성’을 식물이나 동물의 경우에 비유하면서, 목적의 실현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다. 헤겔의 해석은 ‘수단을 통해 목적이 이미 실현된 상태’를 전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종의 ‘객관주의적 입장’으로서, 칸트 자신의 입장과는 거리가 있다. 이 입장에서 헤겔은 ‘합목적성’을 ‘직관적 오성’과 결부시킨다. 그런데, 칸트도 『판단력 비판』에서 합목적성과 직관적 오성 사이의 관련성을 피력하고 있다. 칸트에 의하면 ‘목적 없는 합목적성’에서 목적은 없더라도 ‘목적에 의한 인과성’, 즉 ‘어떤 규칙에 따라 객체나 심적 상태, 행위 등을 그렇게 정해 놓은 하나의 의지’는 상정되어야 한다. 그래서 이 의지의 관점에서 보면, ‘목적 없는 합목적성’은 정말 목적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주관이 심미적 판단을 내릴 때 특정한 목적을 고려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점에서 칸트의 고유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헤겔의 해석과 친근한 맥락에서 칸트의 주장을 해석할 수도 있으며, 『판단력 비판』은 칸트 이후 독일 관념론의 전개 과정에서 확대 해석될 여지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교육 목적관의 비교 연구

        최관경(Choi, Kwan ky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7 敎育思想硏究 Vol.21 No.3

        교육목적관에는 일반적으로 본질적 교육목적관과 수단적 교육목적관이 있는데 전자를 ‘교육목적내재론’이라 하고 후자를 ‘교육목적외재론’이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교육목적관의 단점을 극복하고 그 장점을 살리기 위해 과정과 결과, 현재와 미래, 목적과 수단, 교육목표․목적․이념을 서로 분리 된 것이 아니라 항상 함께 연결된 것으로 보는 통합적 교육목적관(교육목적통합론)을 제시하였다. 이런 토대 위에 먼저 그 동안의 절대 빈곤시대에 우리 교육을 일방적으로 지배해 온 성공지향적 교육목적관의 특성과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해 ①성공의 의미와 특성 ②성공지향적 교육목적관의 순기능 ③성공지향적 교육목적관의 역기능을 살펴보았고 특히 성공지향적 교육목적관의 역기능을 한층 더 부각시키기 위해 ④‘성공적인 교원의 일생’을 스토리 형식으로 기술해 보았다. 수단적 교육목적관의 전형인 성공지향적 교육목적관은 꿈, 도전, 노력, 열정, 인내, 용기, 성실이 충만한 삶을 살게 하고 의미, 성장, 성숙, 보람, 창조, 성취감, 자신감을 갖게 하는 삶을 낳는다. 반면에 빨리빨리 세월이 가야 소원(꿈)이 이루어지는 ‘성공’의 순간이 오기 때문에 ‘해야 해야 어서 져라’는 자살적인 삶을 살게 할 뿐 아니라 오로지 자기 자신만의 성공을 위해서는 기필코 ①이겨야 한다(필승) ②가져야 한다(소유) ③속여야 한다(잔꾀) 심지어 ④죽여야 한다(상극) 는 극단적인 출세지상주의를 낳게 한다. 결국, 변함없이 우리 교육을 지배하고 있는 성공지향적 교육목적관의 순기능을 그대로 살리면서 그 역기능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행복지향적 교육목적관을 제시하였다. 통합적 교육목적관의 전형인 행복지향적 교육목적관은 살맛과 보람이 충만하여 ‘해야 해야 지지마소’ 의 일향락(一向樂)의 삶을 살게 할 뿐 아니라 모두가 다 함께 행복하기 위해 ①믿어야 산다(신뢰) ②알아야 산다(지혜) ③정직해야 산다(양심) ④살려야 산다(상생) 는 공존공생과 인류 공영을 지향하는 삶을 낳게 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o explore the various meanings of both 'success' and 'happiness'. Secondly, to examine the function and dysfunction of the success-oriented teleologism of education. Thirdly, to compare the success-oriented teleologism of education with the happiness -oriented teleologism of education. All human beings are born free and equal in pursuing happiness. Success in its highest and noblest form calls for peace of mind, enjoyment and happiness, which come only to the man who has found the work that he likes best. Therefore, happiness is doing what you like and liking what you do. As is generally known, peace begets peace but war begets war. Love begets love but hatred begets hatred. Likewise, happiness begets happiness but unhappiness begets unhappiness. Moreover, happy educators bring up happy students and unhappy educators make their students unhappy. There are no seeds of happiness without seeds of unhappiness and vice versa. As if an electric wave comes through air, happiness comes through our activities. Happiness doesn't necessarily go with money. Happiness isn't something we experiences ; it's something we remember. Happy people are very good at managing emotion. Happiness consists in contentment. Happiness may consist in recognizing that we can't always be happy. Whether he is teacher or student, he is the happiest who finds peace of mind in his home and school. Our greatest happiness does not depend on the success and condition of life, but is always the results of a good conscience, good health, occupation and freedom in all just pursuits. In sum, I suggest as follows : First of all, we should transform the success-oriented teleologism of education into the happiness-oriented teleologism of education as soon as possible. Secondly, we should do our best efforts to remold our educational circumstances in which all students and teachers can be happy. It is sincerely hoped that this comparative study on the success-oriented and happiness -oriented teleologisms of education will be contributed as a stepping stone of some help to those teachers and students in Korea.

      • KCI우수등재

        목적범에서 행사‘할 목적’의 인정에 관한 의문 - 대법원 2004도788 판결과 2012도2468 및 88도1105 판결의 비교 -

        이경열 한국형사법학회 2017 형사법연구 Vol.29 No.3

        Particulars of criminal law have various kinds of requirements for purposes of applicability of the purpose crime. To admit of purpose of subjective element being distinguished from intention of purpose crime, object of the cognition shall be based on either objective fact or external fact. The Supreme Court distinguishes object of the intention from that of purpose to require same level of judgment standard of cognition and desire of the object. Judicial precedent of admittance of intention said that wilful negligence can be admitted with inner mind cognizing and admitting of possibility and/or risk of the result. To admit of purpose of purpose crime, ‘wilful cognition’ is not enough and positive desire of inner intention is not needed and inner desire being equivalent to wilful purpose is needed. Judicial precedent has reflected desire for admission of intention by ‘cognition on the possibility’ to have wilful cognition admitting purpose. Supreme Courts judgment estimates desire at cognition on the object to admit of purpose of crime with purpose. The purpose does not require positive desire and/or decisive cognition and wilful cognition is enough. Cognition on the requirements can be accompanied by admittance and/or acceptance at wilful cognition of realization of the purpose. That admits of purpose of purpose crime of judicial precedent. However, admission of purpose of the judicial precedent had a problem. ‘Exercise’ of ‘purpose to exercise’ has extended value of ‘exercise’ to reflect to ‘exercise’ of crime of exercise and to expand value of behavior of ‘exercise’ at same level. When value of expanded exercise expands value returning to exercise of purpose, defendant may be given unfavorable expansion. Worrying about rise effect shall be no more than unfounded fear. Not only expansion of the value of exercise but also judicial precedent regarding exercise in same way shall be avoided. Requirement of crime of crime with purpose admits of applicability of the crime in limited way. 형법각칙에는 범죄의 성립에 목적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구성요건이 있다. 이들 범죄유형을 통칭하여 목적범이라 한다. 목적범에서 고의와 구분되는 주관적 요소로서 목적을 인정하기 위해, 그 인식의 대상이 되는 사실이 당해 구성요건의 객관적 사실인가 아니면 그 구성요건의 외부에 존재하는 다른 사실인가를 구분하고 있다. 즉, 대법원은 고의와 목적의 인식대상을 구별하지만, 대상의 인식과 의욕에는 동일한 정도의 판단기준을 요하는 입장이다. 고의를 인정함에 있어 판례는 결과발생의 가능 내지 위험을 인식하고서 이를 용인하는 내심의 의사가 있으면 ‘미필적 고의’가 인정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목적범의 경우에도 목적의 인정에는 “미필적 인식”만으로 충분한 것이 아니라 그 내심의 의사측면에서 적극적 의욕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적어도 미필적 고의에 준하는 내심의 의사는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판례는 ‘가능성의 인식’만으로 고의인정에 필요한 정도의 의욕의사가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이 경우 목적범에 있어서 목적인정에 필요한 미필적 인식이 있다고 판단한다. 대법원의 판단은 대상의 인식에서 의욕의사를 추정하고서 목적범에서의 목적을 인정하는 것이다. 즉, “~할 목적”이란 적극적 의욕이나 확정적 인식을 요하지 않고 미필적 인식이 있으면 족하다. 그렇다면, 여기서 생략되었으나 하지만 명시되었어야 하는 말은, 구성요건실현의 확실한 인식이 그것을 원한 것이듯 목적 실현의 미필적 인식에는 적어도 용인 내지 감수의사 정도의 의욕이 수반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판례가 목적범의 목적을 인정하는데 사용한 판시의 진의를 파악한 설명이다. 그러나 판례의 목적인정방법에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목적범의 “행사할 목적”에서 ‘행사’의 의미를 확장하고서, 이를 행사죄의 “행사”에 투영하여 “행사”행위의 의미도 동일한 정도로 확대하고 있는 점이다. 만일 확대된 행사행위의 의미가 다시 행사할 목적에의 행사로 귀환하는 상승적 의미의 확장을 초래하게 되면, 이는 피고인에게 불리한 확장해석의 폐단이 될 것이다. 이러한 상승효과에 대한 우려가 기우에 그치기를 바란다. 입법자의 의사․취지에 반하게 행사할 목적에서 행사의 의미를 확장하고, 이를 다시 행사행위와 동일시하는 판례의 경향은 경계되어야 한다. 목적범에서 목적요건의 기능은 행위자의 범죄성립을 제한적으로 인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칸트의 목적론에서 ‘자연의 최종목적’으로서의 문화 : 「목적론적 판단력 비판」 §§83-84를 중심으로

        차승한(Cha, Seungh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6

        칸트의 『판단력비판』은 단지 취미 판단에 관한 저작이 아니다. 「미감적 판단력 비판」과 「목적론적 판단력 비판」을 목적론의 견지에서 통합적으로 해석할 때에야 비로소 칸트가 의도한 철학적 체계의 완결성을 담보할 수 있다. 칸트의 목적론은 합목적성이라는 개념을 중시하며, 이를 통해 ‘자연의 통일적 이해’ 뿐만 아니라, ‘감성계의 인간과 예지계의 인간의 통합’까지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칸트 목적론에서 ‘목적 일반 → 최종목적 → 궁극목적’으로 상승하는 논의 구조를 일별한 후, ‘도덕 법칙 아래에 있는 인간’이 칸트 목적론의 귀결점으로 설정된 궁극목적이라는 점을 확인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힘이 ‘자연의 최종목적’으로 제시된 ‘인간의 문화’에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문화의 의미를 궁구하고자 했다. Critique of the Power of Judgment is not just only concerned judgment of taste. When Critique of the Aesthetic Power of Judgment and Critique of the Teleological Power of Judgment are read as a teleological view, integrity and philosophical system can be secured. Kant"s teleology focuses on the concept of purposiveness. Kant aims not only for understanding of unity of nature, but also the unity of phenomenon human being and noumenon human being. This study examines the debate structure rising from Kant"s Theory to ‘end → ultimate end → final end’, and then confirms that ‘the human being under moral laws’ is the final end as the result of Kant"s Teleology. And we tried to find out the meaning of the human culture, which is the ultimate end of nature, it has an power that enable such a system.

      • KCI등재

        지방목적세의 평가와 순기능 강화방안

        최진섭 한국지방재정학회 2019 한국지방재정논집 Vol.24 No.1

        This paper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earmarked taxes and its functions. According to the related literature, benefit taxation with earmarking can improve the efficiency in resources allocation, and strong tax earmarking can result in better accountability of the government. This paper finds that, in South Korea, local earmarked taxes do not sufficiently fit benefit taxation and strong tax earmarking, so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positive role of earmarking.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several solutions for better local earmarked taxes. 본 논문은 우리나라 지방목적세를 평가하고, 목적세의 순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목적세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은 응익원칙과 강 목적성이다. 응익원칙의 목적세란 특정 지출에 의해 편익을 얻은 당사자가 상응하는 대가를 지불하도록 수입과 지출이 연계된 조세이다. 강 목적세란 하나의 특정 세원이 하나의 세부 사업과 배타적으로 연계된 정도가 강한 조세를 가리킨다. 문헌에 의하면, 응익원칙의 목적세는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증진하고, 강 목적세는 정부 책임성과 사업 예산의 안정성을 증진하는 순기능이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지방목적세(지역자원시설세와 지방교육세) 현황을 살펴본 결과, 이들 세목은 응익원칙과 강 목적성에 충분히 부합하지 않고 따라서 목적세의 순기능을 크게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방목적세의 순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서 특별회계의 올바른 설치와 운용, 지역자원시설세의 세목 분리, 지방교육세 세원 재편 등의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교육목적에 대한 오해와 이해

        김희봉(Hee-Bong Kim) 한국도덕교육학회 2020 道德敎育硏究 Vol.32 No.4

        이 글은 교육 활동에서 교육목적에 대한 바른 이해의 중요성을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목적은 그 자체가 교육활동 전반을 통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여러 맥락에서 강조되어 왔지만, 이와는 달리 교육목적의 불필요성을 주장하는 입장들도 있다. 이는 교육목적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기술주의적 모형’ 등의 영향 때문이다. 연구자는 기술주의적 모형이 교육목적에 대한 개념적, 실제적 오해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하면서, 교육목적을 몇 가지 개념틀로 구분하여 그 오해를 불식시키고자 하는 논의를 시도하였다. 목적-수단의 인과관계와 포함관계, 최종적 목적과 계속적 혹은 출현하는 목적, 닫힌 목적과 열린 목적, 교육과정 설계의 하향식 설계와 상향식 설계 등의 개념적 구분과 논의를 통해서 교육목적에 대한 바른 이해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우리가 교육목적에 대한 총체적이고 바른 이해 없이는 매우 편협하거나 오해에 기인한 교육목적관을 통해 교육을 왜곡할 위험이 존재할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proper understanding of the aims of education in educational activities. Although the aims of education have been emphasized in various contexts because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trolling the overall educational activities, however, there are also objections to educational aims. These are due to the influence of technocratic model which causes misunderstanding about educational aims. I tried to discuss the misunderstanding by dividing the educational aims into several conceptual frames, thinking that the technocratic model is derived from conceptual and practical misunderstandings about the educational ai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proper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aims through conceptual clarification and discussion such as causal and subsumption relationship between aims and means, final aims and continuous or emerging aims, closed aims and open purpose, top-down approach and bottom-up approach of curriculum design. Without a comprehensive and proper understanding of the aims of education, there will be a risk of distorting education through a very narrow or misunderstood educational aims.

      • KCI우수등재

        다목적지 여행에서 관광 목적지 간의 연결 패턴 조사: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강상훈,박득희 한국관광학회 2020 관광학연구 Vol.44 No.7

        Continuous advances in tourism environments, such as in transport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have enabled tourists to visit multiple destinations during a single trip and inspired multi-destination travel research. Yet theoretical development around multi-destination travel lags behind, particularly in systematically explaining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complex connections between/among tourism destinations. This study explores the connective patterns of tourism destinations by applying central place theory from geography. Data were drawn from the 2018 Daegu Tourism Survey, conducted by the metropolitan city of Daegu. These data were processed using several social network analysis techniques, including density analysis and normalized closeness centrality, to identify inter-destination connections. Tourists were also classified into two groups (high- and low-expense) based on their travel expenses. Results reveal clear differences in network density between these groups. The groups’ ranking of tourism destinations varied as well. Additionally, a central tourism destination was identified by the closeness centrality, indicating that central place theory can effectively convey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ourism destinations in a city. These findings offe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enhance tourism destination environments. 교통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을 포함한 관광환경의 변화는 한 번의 여행에서 한곳 이상의 관광목적지를 방문하는 다목적지 여행의 비중을 증가시키고 있다. 비록 다목적지 여행에 대한 관광 연구자들의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다목적지 여행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목적지 간의 위계구조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이론 개발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지리학에서 발전한 중심지 이론을 적용하여, 다목적지 여행을 통해서 형성된 관광목적지 간의 연결망 구조의 특징을 분석했다. 대구광역시에 실시한 “2018 대구관광 실태조사”의 원자료를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게 정제한 다음, 사회연결망분석 기법인 밀도분석과 근접 중심성 분석 등을 실시했다. 관광객의 관광목적지 방문 순서를 알 수 있는 방향성 자료라는 특성을 반영해서 관광목적지의 내향 근접 중심성과 외향 근접 중심성을 계산했다. 관광객이 사용한 여행 경비를 활용하여 고비용과 저비용 집단으로 구분 후, 두 집단 간에 관광목적지 순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봤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집단 간에 연결망의 속성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근접 중심성 분석을 통해서 도출된 관광목적지 순위에서도 두 집단 간에는 차이가 확인되었다. 중심지 이론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대구시에 분포하고 있는 관광목적지는 단일의 중심 관광목적지를 중심으로 위계적으로 관광목적지가 분포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는, 중심지 이론이 관광공간의 특징을 유효하게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틀로서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대구시의 관광목적지 공간 개발과 관련한 실무적 시사점과 더불어 관광공간과 중심지 이론 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결론에서 제시했다.

      • KCI등재

        한국팔경시와 회화에 나타난 ‘牧笛’ 景 고찰

        고연희 한국시가학회 2023 韓國 詩歌硏究 Vol.58 No.-

        The image of a boy playing flute on an ox appeared as a subject of poetry and painting during the Tang(唐) China, and it was settled as an ideal landscape for urban residents and bureaucrats and a symbol of political peace in the Song(宋). It also was expanded to the meaning of cultivation by Buddhist monks at that time. In the Yuan Dynasty, the image was selected as a landscape with the meaning of the peaceful place in the Eight Scenic Views, which led to the literature and painting of the Ming(明) Dynasty. In addition, in the collection of picture prints published in the Ming Dynasty, the poems of Tang and Song were applied to the formation of images, thereby contributing to the spread of the images. Since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eight scenic views of the domestic region have been prevalent in Korea, and the image has been selected as one of the eight scenic spots of the place. From the 15th century, it was recited as a theme of political peace, and then it was translated as a symbol of political ideals and moral insanity based on Confucian virtues in the 16th century. In the suffering of cattle epidemic from the 17th to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ies, the imagined scene of a boy playing flute on an ox was composed in considerable quantities as an ideal element that characterizes a particular place of Korea, and the form of the title was also established. Poetic images were enjoyed along with paintings, which were a boy playing the flute and sitting on a large Chinese buffalo. The paintings by Jeong Seon(鄭敾), and Sim Sa-Jeong(沈師正) provided this image while absorbing prints published in the Ming. With the release of the cow disease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amount of poems singing an ox-herding scene in the eight views decreased and ox-herding paintings showed a change in drawing Korean cows, not Chinese buffalo. Even when drawing Chinese poems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Korean artists painted Korean cows. 목동이 소 등에서 피리 부는 모습의 ‘牧笛’ 景은 당나라 때 시와 회화의 주제로 등장하였고 송나라 때 도시민과 관료에게 이상적 전원경이자 유가적 昇平의 상징으로 정착하였으며 선승의 수양 의미로도 확장되었다. 원나라에 들어 牧笛이 八景詩의 一景으로 자리잡혔고 이가 명나라로 이어지면서 昇平의 이미지로 그 의미가 강화되었다. 명대의 회화작품에서 牧笛 景은 昇平의 상징으로 적용되었고, 畫譜에서는 당,송대의 詩를 牧笛 圖像에적용하여 그 회화적 이미지의 전파에 기여하였다. 한국에서는 고려말기부터 국내 지역을 위한 八景詩가 성행하면서 牧笛 景이 해당 장소의 팔경 중 하나로 선정되는 전통이 마련되었는데, 15세기로부터 牧笛은 정치적 태평의 주제로 읊어졌고, 16세기에 들어 유가적 이치의 德治에 기반한 태평과 도덕적 無欲의 즐거움으로 牧笛 景을 의미화하는 팔경시가 증가했으며, 17세기∼18세기 중반에 걸친 牛疫의 고통 속에서 오히려 牧笛 景을 포함하는 팔경시는 폭발적인 양으로 읊어졌고, 그 소제목의 형식도 정착되었다. 17세기에서 18세기 전반에 이르기까지에 형성된 牧笛의 이미지는 커다란 중국식 물소[水牛] 위에 앉은 목동의 모습이었고, 이는 정선과 심사정의 그림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이미지는 조선초기부터의 물소 수입과 중국 회화와 화보의 흡수를 반영하며 지속되었다. 18세기 후반기 우역의 고통에서 벗어나면서 팔경시로 牧笛을 노래하는 詩作 량은 현격하게 줄었고 그림 속 牧笛은 한국 소를 담아내는 변화를 보여주었으며, 또한 한국 소로 기억되는 실경의 牧笛 景은 다시 중국의 문학작품을 그리는 詩意圖 속에 적용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