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제주 목민관 비석(군)의 현황과 분석

        홍기표(Ki-pyo Hong) 제주학회 2016 濟州島硏究 Vol.45 No.-

        Currently, it depends heavily on literature materials to research of premodern history of Jeju. However, it is not entirely satisfactory to research on study, supplementation, and investigating fact of history of Jeju according to epigraph materials. Hence, the research has a subject on ‘An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Governor Steles of Jeju island in Joseon Dynasty’. Here is a process of the study. First, an on-site inspection and photography of governor steles throughout Jeju over two years. Scondly, a grasp of total amount of governor steles throughout Jeju. Thirdly, comparison analysis classified by each parts(by office, quantity, position, chronology, monument title, and etc.) of governor steles. Finally, rigorous historical research of letters,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the epigraphs. As a result, the total quantity of governor steles are 69 people, and 148 pieces scattered around Jeju today. The quantity and the number of people by position of governor steles are as in the following. Moksa(목사) ; 36(106 pieces), Pankwan(판관) ; 9(14 pieces), ‘Hyunkam(현감)’; 9(13 pieces), Goonsu(군수) ; 5(5 pieces), ‘Manho(만호)’; 5(6 pieces), Uh-sa (어사) ; 2(3 pieces), the others; 3(3 pieces). Furthermore, the number of people who have more than two pieces per person are 23, total 102 pieces(69%) and one piece per person are 46, total 46 pieces(31%) among the total 148 steles. The greatest number of steles remained up to now is of Yoon Gu-dong(윤구동) stele in Soonjo(순조) dynasty. In sequence, Yang hun-su(양헌수) stele (total 10 pieces, 6.8%) in Gojong(고종) dynasty is in the second place, and Ku Jae-Ryong(구재룡) stele and Jang In-sik(장인식) stele in Heonjong(헌종) dynasty are each 8 pieces(5.4%). It is Sim Yeon(삼연) stele(Hwabook group of steles; 화북 비석거리) presumed to be established in 1641 that the oldest one among the governor steles in Jeju lmtil today. It is followed by Kim SU-ik(김수익) stele in 1652(Jocheon group of steles; 조천 비석거리), and Kyon Geuk-joong(권극중) stele in 1662(DaejlIT1g Hyanggyo; 대정향교). The construction age of governor steles is that 126 pieces(85% of the total 148 pieces) had been established at 19th century. Total 148 governor steles are distributed in 38 places. The location where has more than two steles are 27 places with 137 pieces(93%), and where has one stele are 11 places with 11 pieces(7%). Hwabook group of steles is the location with the largest number of steles(l2 pieces), and Jeju Mokgwan-a(제주목관아) , Jeju Hyanggyo(제주향교) , Museill11 of Natural History(자연사 박물관) each with 11 pieces follow it. There are 127 pieces(86%) in Jeju-si, and 21 pieces in Seogwipo-si. These steles have been classified as Monuments group by following five factors. First, a gateway linking between the land and Jeju island Secondly, an entrance of Eup-Seong(읍석) , a government office and an educational institution. Thirdly, remains and attractions. Fourthly, a defensive position, a strategic point. Finally, Won (院); a major transportation point to inspect the whole area of Jeju. The appellation of these governor steles has been called in 44 ways. The majority of appellation among these is Hyul-min Seonjungbi(휼민선정비) (22 pieces), and it is followed by Seonjungbi(선정비) (21 pieces), Geosabi(거사비) (19 pieces), and so on. These 44 kinds of appellation of stele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subject. First of all, 선정비류; steles to appredate exemplary govemment (121 pieces). Second of all, 권학비류; steles to encourage of education (16 pieces). 본고는 조선시대 제주 목민관 비석(군)에 대한 실태조사와 그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2013년~2014년, 2년여에 걸쳐 제주 전역의 목민관 비석(군)에 대해 현지조사를 통해 목민관 비석(군)의 총량을 파악하였으며, 그에 대한 각급별(직위별, 수량별, 인물별, 시기별, 소재지별 등) 비교 분석을 이루였다. 그 결과 현재 제주도 전역 산재해 있는 목민관 비석은 총 69명, 14871 이다. 목민관 비석의 직위별 인원 및 수량은 다음과 같다 목사 36 명 (106기), 판관 9명 (14기), 현감 9병 (13기), 군수 5명 (5기), 만호 5명 (6기), 어사 2명 (3기), 기타 3명 (3기)이다. 또한 총 14871 중 1인 271 이상은 23명으로 총 102기 이고 1 인 1기는 46명 46기이다. 현재 가장 많은 수의 비석이 남아 있는 목민관은 순조 때의 윤구동 목사(총 13기)이며, 고종 때의 양헌수 목사(총 10기)가 그 다음이다. 또한 가장 오래된 것은 1641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심연 목사비(화북비석거리)이며, 1652년의 김수익 목사비(조천 비석거리), 1662년의 권극중 현감비(대정향교)가 그 뒤를 잇는다 목민관 비석의 건립연대는 총 148기 중 85%에 해당하는 126기 가 19C에 건립되었다. 목민관 비석(군)은 총 38장소에 분포되어 있다 271 이상의 비석(꾼)은 27장소로 137기 가 있으며, 1기 비석이 소재한 곳이 11장소 11기이다. 가장 많은 곳은 화북비석거리(1271)이며, 제주목관아, 제주향교, 자연사박물관의 비석(군)이 각각 11기로 그 뒤를 잇는다 제주시에 127기, 서귀포시에 21기가 소재하고 있다. 이툴 비석(군)은 대체로 다음의 다섯 가지 이유로 비석거리가 조성되었다. 첫째, 육지와 제주를 이어주는 관문. 둘째, 읍성 입구와 관아 및 교육기관. 셋째, 유적과 명소 넷째, 군사적 요충지인 방어 진지. 다섯째, 제주 전역을 순시하기 위한 교통 요지인 원(院)이였다. 목민관 비석(군)의 비제 호칭은 총 44종으로 불리고 있었는데, 가장 많은 호칭은 휼민선정비 (22기), 선정비 (21기), 거사비 (19기) 등이었다. 비제는 크게 선정비류(121기), 권학비류(l6기), 기념비류(8기)의 세 종류로 구분된다. 비문의 상태는 대체로 마모가 심하여 현재 파약이 가능한 비석이 총148기 중 72기로 파악되었다. 이 중 산문의 형태로 비음(음기)이 새겨진 목민관비는 571 에 불과하며, 나머지 67기는 4언 둥의 운문으로 목민관 치적을 새겨 놓고 있다. 특히 4언 4구 형식이 절반이 넘는 42기로 다수이다. 비문의 내용은 청렴 공정 및 폐단 척결 의 일반적인 선정을 칭송하는 문구가31기, 흉년 등을 당해 조세 감면 , 재정 출연 , 진휼 등을 칭송한 문구가 23기가 있어 다수를 차지한다. 즉 선정과 민생안정에 기여한 수령송덕비가 총 53기 건립되고 있다. 한편 명소(삼성혈) 보수ㆍ지원 7기, 향교이건ㆍ건립 5기 등 수령기념비가 총 12기이며, 그밖에 흥학 4기 등이 있다. 금석문은 1차 사료로 문헌 사료를 보완하는 학술규명은 물론 인문자원으로서 그 활용가치가 매우 크다. 따라서 향후 제주도내 산재한 전근대 시대적려유허비, 효열 정려비, 각종 기념비, 입도조(入島祖) 묘비 등 금석문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실태조사와 분석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또한 금석문은 마요 훼손, 멸실 등의 위험을 늘 안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보존 및 보수의 대책도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신라 소지왕대(炤知王代)의 목민관(牧民官) 천거와 정치 세력의 변화

        김수미 ( Su Mi Kim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1 No.-

        신라 소지왕 19년에 실시된 목민관 천거는 소지왕 8년 이후 정계에 등장했던 내숙 세력의 정국 장악과 동향, 그리고 소지왕 말년 새롭게 중앙 정계에 등장했을 파로 세력과 관련이 있다. 먼저 소지왕대의 목민관 천거는 단순히 자연 재해로 동요하는 민심을 수습할 목적에서 실시되었다기보다는 정치 세력의 동향 및 변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그리하여 소지왕 초반에는 기보 갈문왕 세력이 정국을 주도했으나, 소지왕 10년에 발생한 사금갑 사건을 계기로 정국 운영에 변동이 생겼을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내숙 세력은 같은 세력인 실죽의 군사권 장악, 그리고 소지왕대 상서 기록의 배치 등을 통해 소지왕 10년~18년까지 정국의 주도 세력으로 파악하였다. 한편 소지왕의 친왕 세력은 중앙의 내숙 세력, 지방의 파로 세력으로 구성되었다. 이들 세력은 소지왕 19년에 있었던 목민관 천거의 실시로 변동이 생겼음을 알 수 있다. 소지왕은 경북 북부 일대, 즉 날이군 일대에 목민관을 파견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소지왕은 날이군의 재지 세력가인 파로와 혼인 관계를 형성하여 파로 세력을 중앙 정계로 끌어들였을 것이다. 이와 같은 조치로 소지왕은 내숙 세력에 대한 견제, 왕위 계승권 등 정치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목민관 천거로 인한 정국은 오히려 소지왕의 친왕 세력인 내숙 세력과 파로 세력의 분열을 가져왔으며, 이 와중에 소지왕은 사망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결국 소지왕 19년의 목민관 천거로 소지왕의 친왕 세력은 분열하였으며, 왕의 사망으로 소지왕계는 단절되었다. The recommending for a county magistrate carried out in the reign of King Soji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way Naesuk group came into power and ruled the nation in the eighth year of King Soji`s reign and the way Paro group newly appeared and exercised its strong power in the political arena in the late years of King Soji`s reign. Gibo King Galmun group dominated political power in the early years of King Soji`s reign until an event named “Sageumgap” brought about some significant changes in the political arena in the 10th year of King Soji. Political groups favorable to King Soji included Naesuk group in the central government and Paro group in the country. The recommendation for a county magistrate carried out in the 19th year of King Soji`s reign created some changes in the powers of the two political groups. It is assumed that King Soji dispatched a country magistrate to Nalyi-gun, the northern part of Gyeongsangbuk-do, to reinforce the bond with Paro who exercised a substantial power in Nalyi-gun through marriage and bring him to the central government. Through this, he tried to keep Naesuk group in check and resolve political problems including the matter involving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The recommendation for the country magistrate, however, caused conflicts between Naesuk group and Paro group, and he passed away amid the conflicts going on between the two groups. Ultimately, the recommendation performed in the 19th year of King Soji`s reign caused severe conflicts between political groups favorable to the king and, in the wake of King Soji`s death, the king`s group lost power.

      • KCI등재

        기획논문 : 한국형 복지국가 모델과 공직 인재상 ; 다산 정약용의 공직자상과 공직윤리

        김인규 ( In Gyu Kim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5 동양문화연구 Vol.20 No.-

        이 논문은 다산 정약의 공직자상과 공직윤리를 고찰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다산은 조선이 낳은 위대한 사상가 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자신의 학문 체계를 ‘수기치인학(修己治人學)으로 규정하고, 수기의 학문으로 ‘육경사서(六經四書)’를 치인의 학문으로 ‘일표이서(一表二書)’를 들었다. 즉 다산은 자신의 학문 체계를 경학(經學)과 경세학(經世學)으로 규정하였던 것이다. 아울러 다산은 치인의 학문인 경세학에서도 가장 심혈을 기울려 저술한 책이 바로 『목민심서』로, 이는 목민관이 갖추어야 할 공직자상과 공직자가 지켜야할 공직윤리를 잘 보여주고 있는 저서이다. 다산은 이 책에서 무엇보다 목민관이 갖추어야 할 마음가짐과 자세로, 첫째 목민관의 애민정신(愛民精神), 둘째 목민관의 청렴(淸廉), 셋째 목민관의 능력을 꼽았다. 물론 이러한 다산의 현실인식은 18년이란 긴세월동안 유배생활을 통해 백성들의 고통을 직시하고 이를 해결하려는 그의 애민정신에 연유한 것이다. 이는 다산이 “다른 벼슬은 구해도 가하거니와 목민하는 벼슬을 구하는 것은 불가하다.”는 말 속에 녹아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is about desirable requirements and ethics for public officials suggested by Dasan Jeong Yak Yong (茶山丁若鏞). As most people know, Dasan is one of the greatest scholars in Joseon Dynasty. He defined his scholarly works as the study for self-cultivation and governing and categorized them into such two parts, of which the study for self-cultivation is carried out by the Six Confucian Classics and that for governing is done by three representative works of his; Kyeongseyupyo (經世遺表, A General Reform Proposal), Mokminsimseo (牧民心書, A Treatise on Governing as Public Officials) and Heumheumsinseo (欽欽新書, A Proposal on Criminal Code). In short, Dasan classified this scholarly hierarchy with Confucian classics and practical government. Among his works for practical government, Mokminsimseo is the book that Dasan had devoted himself the most, suggesting righteous qualifications and ethics for public servants. In this book, above all, Dasan requires the public officials to have three types of attitude, which are having love for the people, integrity, and competence. Such realistic discernment had come from the exile for 18-year-long to have been aware the real agony of the people and tried to solve the problems. His insight of such is also reflected in his saying, “Possible to take up a public office, not possible to take anybody to truly governing.”

      • KCI등재

        노봉 김정의 목민관으로서의 삶

        장인진(Chang, In-jin) 영남퇴계학연구원 2021 퇴계학논집 Vol.- No.29

        蘆峯 金은 사서삼경과 성리학 관련 책을 탐구하며, 새로운 생각을 갖고 잘못된 점을 반성하는 것을 학문하는 자세로 삼았다. 9세의 어린 나이에 고을의 백일장에 장원하여 수령을 놀라게 한 바 있고, 약관이 조금 지난 나이에 이미 학문 뛰어난 선비로 조정에 추천된 바 있으며, 출사하여 승정원 假注書로서 史草를 기록할 때는 정확하게 속기하는 능력을 인정받았고, 함경도 도사로 있을 때는 災傷을 잘 분석하여 신속하게 처리한다고 소문이 났다. 관직에 물러나서는 살고 있는 곳 주위에 方塘을 만들고 산수 자연을 즐기며 朱熹 시에 차운하였고, 「무이도가」에 차운한 「오계구곡」 10수를 지어서 인간과 자연 간의 합일을 이루고자 했다. 4개 고을의 수령을 맡았는데 목민관으로서 지녀야 할 덕목을 두루 갖추었다. 그는 사람됨이 바르고 강직하며, 엄정하고 청렴하며 효행이 있었다는 평어가 󰡔승정원일기󰡕에 실려 있고, 강릉부사로 있을 때는 강원도관찰사로부터는 最[제일 잘하는 등급]의 평가를 받는 등 능력이 탁월하였다. 강계부사로 있을 때는 권선징악을 표방하며 부역 균등과 군량미를 비축하였고, 제주목사로 재임하던 때에는 손수 祈雨文 6편, 祈晴文 3편을 남기는 등 수령으로서 백성을 위하고자 한 의지를 살펴볼 수 있다. 제주목의 官學인 삼천서당을 설립하여 일반 평민들에게 교육 기회를 부여하였고, 禾北浦의 축항 공사를 추진할 때는 스스로 돌을 지고 나르는 등 백성의 고된 삶을 직접 체험하였다. 또 배가 뒤집혀서 물에 빠져 죽은 섬사람을 위하여 제문을 지어서 원혼을 달래는 등 백성을 긍휼히 여기는 모습도 보였다. 제주목사 임기를 마치고 죽은 이듬해에 호남어사가 노봉의 善政한 사실을 조정에 褒啓하였으나 시행되지 못하였다. 또 일찍이 청백리 錄選案에 들었으나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의 저지로 선정되지 못하였다. 그는 南人이었으므로 아마 黨色과도 무관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본다. 그러나 후일 영주 梧川書院, 제주 象賢祠 등에서 제향했으므로 후인들이 그 업적을 기린 것이다. 노봉의 현실인식은 민본을 바탕으로 한 愛民에 있었고, 이름보다 실질을 중시하는 山水之樂을 추구하였으며, 敬義 가운데서 의로움을 우위에 두었고, 자손에게 義方으로 훈계하였다. 퇴계학맥을 계승한 선비였기에 퇴계가 그 손자들에게 가르친 학습방법을 모범으로 삼아서 자손 교육을 하였다. 그로 인하여 노봉의 가계에서 많은 인물이 배출되기도 했다. This article is Nobong Kim Jung and “Governing of People”. Nobong Kim Jung explored books on Neo-Confucianism. His approach toward learning was to contemplate new ideas and reflect on flaws. He came into first place in his village’s writing contest at the age of 9, surprising the leader; a little past the age of 20, he was invited to the governor’s office as an excellent academic scholar; he was recognized for his skills to transcribe exactly when he recorded the Sacho (史草) as the Seungjungwon Gajuseo (假注書); when he was the civil servant of Hamkyung-do, he gained a reputation for analyzing disasters aptly and processing them swiftly. After retiring from government posts, he built a square pond around his living area, enjoyed mountainous nature, borrowed the words of Zhu Xi of the Song Dynasty to write poems, borrowed words from the “Muidoga,” (武夷櫂歌) and composed 10 poems of the “Ogyegugok,” (梧溪九曲) aiming to achieve unity between humans and nature. When he was in charge of governing the four villages, he had all the virtues of a mokmingwan (牧民官). There were evaluations of him as being well-mannered, upright, strict, righteous, and filial in the “Seungjeongwonilgi,” (承政院日記) and when he was the prefectural busa (府使) of Gangneung, he was assessed by the Gangwon Provincial Governor with the highest level che (最), displaying skills of excellency. As the prefectural busa of Ganggye, he achieved equality in compulsory labor and accumulated rice for the military, encouraging the good and punishing the evil; as the moksa (牧使) in Jeju, he left six chapters of kiwoomun (祈雨文) and three chapters of kichungmun (祈晴文) himself; as such, it is possible to examine his will to serve the people as a ruler. He established Samcheonseodang (三泉書堂) to provid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ordinary people, and when implementing the harbor works of the Hwabukpo (禾北浦), he experienced the hard lives of the people by carrying stones on his own. He also showed a compassionate attitude for the people by building a memorial service for the islander who had drowned after his boat was turned upside down and laid the revengeful spirit to rest. The following year after his term as the commissioner of Jeju had been finished and died, he was nominated for ruling wisely by the Honameosa (湖南御史), but the nomination was unsuccessful. He was also included in Cheongbaek-ri’s Noksunan (淸白吏錄選案) early on but was not chosen because of the opposition by those who did not like it. Due to he was the Namin (南人), so that may have been related to his party affiliations. However, the descendants honored his achievements as the memorial service was held in Yeongju’s Ocheonseowon (梧川書院) and Jeju’s Sanghyunsa (象賢祠). Nobong’s perception of reality was his love for the people based on his people-orientation. He pursued the Sansujirak (山水之樂), which emphasized substance rather than title, put righteousness before courtliness, and disciplined righteousness to his descendants. He was a scholar who inherited the Toegye academic genealogy, so he educated his descendants based on the learning method that Toegye taught to his grandsons. As a result, many talented individuals have been produced from the lineage of Nobong.

      • KCI등재후보

        다산 정약용의 목민활동과 이상사회

        송찬섭(Song, Chan-Sup) 역사학연구소 2016 역사연구 Vol.- No.31

        다산은 요순시대와 같은 유교적 이상사회는 ‘무위이치(無爲而治)’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치자가 매우 부지런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그래서 다산이 작성한 원목(原牧), 원정(原政)과 같은 글에서도 통치의 구조를 치밀하게 짜고 다양한 정책으로 수립하여 민에게 균등할 수 있도록 베풀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관료의 처지라면 성왕(聖王)과 같은 인물을 보좌하여 능력에 걸맞게 활동하여 이상정치의 일익을 담당해야 한다. 지방관이라면 규모의 차이는 있지만 민과 사직을 직접 맡은 처지여서 책무의 중요성은 왕과 다름없었다. 다산도 치자의 일원이었던 만큼 이 같은 책무를 항상 염두에 두었을 것이다. 특히 다산이 말년에 작성한 목민심서는 목민관의 역할을 매우 체계적이고도 치밀하게 작성하여 최선의 고을을 만들어나가는 방도를 제시하였다. 그런데 다산이 직접 목민관을 맡았을 때도 이런 입장이었을지 궁금하다. 그 열쇠는 실제 경험하였던 곡산부사 시절에 있으므로 이 시기 다산의 목민활동을 살펴보는 것이 이 글의 목표이다. 다산은 곡산부사 시절 위로는 중앙부서의 장이나 감사, 아래로는 이서, 고을민과의 관계에서 목민의 자세를 굳건하게 보였다. 그리고 통치를 위한 고을의 기본정보를 철저하게 파악하였다. 부세 운영에 있어서는 매우 엄정하고 합리적인 방향으로 이끌었고, 요역은 공정하게 부과하였다. 그밖에도 다양하고도 세세하게 애민정책을 실현해 나갔는데 여기에는 과학기술, 의학 등의 지식도 활용되었다. 이처럼 치밀한 목민 활동을 통해 자기가 맡은 지역을 최선의 상태로 끌어올리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이러한 활동은 경험으로 끝나지 않았다. 다산은 많은 기록을 남겼고 여기서 나아가 목민의 마음을 확대하려고 하였다. 다산은 곡산시절에 ‘응지논농정소’를 작성하여 농업개혁안을 올렸으며, 호적의, 신포의 등 호적과 군포의 개혁을 다룬 글도 곡산 시절 경험이 중심이 되었다. 또한 곡산부사를 마치는 시점부터는 통치에 대한 개혁방안을 많이 저술하였다. 전론, 원목, 탕론 등 다산의 가장 강력한 개혁론도 이 무렵 지었던 듯하다. 곡산부사를 지내면서 그의 시선은 고을에만 머물지 않고 국가 전체의 통치 방향에 대해 매우 열심히 구상한 듯하다. 이처럼 다산의 곡산부사 시절 목민활동은 그의 목민학을 넘어서 경세학 전반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Dasan(=Jung yak-yong: 丁若鏞) saw that the Confucian Ideal Society(理想社會) as in the Yo(堯)-Sun(舜) period was not made up of "Non-Doing Government(無爲而治)" but the ruler was very diligent. Therefore, even in the same articles as Dasan"s writings such as Won-mok(原牧) and Won-jeong(原政), he argued that the governance structure should be formulated elaborately and various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and equally distributed to the people. If he is a bureaucrat, he should act as an assistant to a character like the King Seong(聖王)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ideal politics. In addition, although the size of the region is different, the importance of the responsibilities and duties of the Provincial Governor(牧民官), which directly govern the people and the state, was not different from the king. Darsan would have always kept in mind such responsibilities and duties as he was a member of the ruler. In particular, Mokminsimseo(牧民心書) written by Dasan in his old age suggested a way to create the best village by filling out the roles of the Provincial Governor in a very systematic and precise manner. But I wonder if it was the same position when Dasan himself took charge of the Provincial Governor. It is the goal of this article to look at his Provincial Governance(牧民) at that time, as the key is the period of GokSan(谷山)-Governor that Dasan actually experienced. Dasan firmly showed the attitude of the Provincial Governor in relation to the minister or inspector of the central department, the below Chungin(中人) clerical, and the people of the village on the period of GokSan-Governor. Taxes are very strict and rational, and labor is fairly imposed. Besides that, he has utilized his knowledg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dicine, etc. to realize diverse and detailed Policies of the Affection for People(愛民政策). He tried to bring his area to the best of conditions through such a compact Provincial Governor activity. Also, this activity was not just a mere experience. Dasan left a lot of records and tried to expand the mind of the Provincial Governor. In the period of GokSan-Governor, Dasan reported an agriculture reform proposal by writing ‘應旨論農政疏’, and the article about the reform of the family register and military tax also came from the experiences of the Goksan period. Moreover, from the point of completion of the GokSan-Governor, he has written many reforms to rule. The most powerful reform of Dasan, such as Theory of Grove(田論), Won-mok and Theory of Tang(湯論), seems to have been written around this time. As a GokSan-Governor, his gaze does not only stay in the village but also in the direction of the entire nation rule. Like this, during the GokSan-Governor period in Dasan, his activities were influential not only in his local governance but also throughout the Study of Managing a State(經世學).

      • KCI등재

        일반논문 : 유한준(兪漢雋) 문학의 실학적 면모

        박경남 ( Kyeong Nam Park ) 한국실학학회 2013 한국실학연구 Vol.0 No.26

        본고는 兪漢雋 문학의 실학적 면모를 개괄적으로 살펴보면서, 특히 그가 牧民官으로 있으면서 羅山 지역의 三政의 문란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창작되었던 작품들을 집중적으로 조명했다. 유한준은 朴趾源과의 대비속에서 그간 擬古的 경향과 보수적 對淸意識만이 과도하게 부각되어 왔다. 하지만 그의 작품을 읽어보면 실학자 柳馨遠을 계승하고자 하는 의식과 지방관으로서 현실을 개혁하고자 했던 모습이 드러난다. 그리고 조선의 풍속 및 역사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 및 실사구시적 정신과 실증적 글쓰기가 돋보이는 글들이 적지 않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실학 개념 속에서 충분히 조명될만한 유한준 문학의 이러한 실학적 면모들을 우선 개괄적으로 간단히 소개하였다. 그리고 그 중 특히 그가 지방관으로 직무를 수행하며 田政·軍政·還穀 등 三政의 폐단을 지적했던 「羅山策」 등 현실비판적인 일련의 작품들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실천적 목민관으로서의 유한준의 삶과 문학이 조명될 수 있었고, 경세적 측면과 관련된 유한준 문학의 실학적 면모가 구체적으로 밝혀질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aspects of 實學 Silhak found in Yu Han-jun 兪漢雋`s literature, especially focusing on his literary works written when he was one of the local authorities to help solve the demoralization of the three governing systems at Rasan 羅山. Yu Han-jun 兪漢雋`s archaistic aspect and his conservative attitude against Qing 淸were magnified in his contrasts with Park Ji-won 朴趾源. Throughout his works, however, we can see how he handed down Silhak scholar Yu Hyeong-won 柳馨遠`s principles and reformed unreasonable realities of tax burden as the local authority. There are quite a number of outstanding works displaying the literary figuration of customs and history, the search for truth from real facts, and Yu`s empirical writing style. This paper introduced general Silhak aspects from Yu Han-jun`s literary works which are worthy of notice. It also analyzes a series of his works such as A policy of Rasan 羅山策 that pointed out the disorder of the three governing systems: 田政 (Jeonjeong, Land Tax), 軍政(Gunjeong, Military Service), and 還穀(Hwangok, Grain Loan). By doing this, we can illuminate Yu Han-jun`s life and literature as a practical local authority and trace the Silhak aspects on his literature related to conducting state affairs.

      • 李書九 詩에 나타난 經世濟民 의식

        남재철 우리한문학회 2002 漢文學報 Vol.6 No.-

        Lee, Seo-gu(1754~1825) is famous as a member of a literary group which is called Sa-ga and has showed excellent talent as politician for administration to relieve the people's suffering. I intend to write this thesis on the assumption that as his policy had been supported by people, his poems expressing administration to relieve the people's suffering has a important meaning in his poetry. Reading his poetry, we recognize that he had observed many people starve to die by the despotic rule of corrupt officials and we can feel his strong will to relieve the people's suffering. In the poems, he not only expressed his own will for good policy but also gives a advise for good policy to other governor. In his poems, he who had observed the distressed people's life blamed corrupt officials with stinging critical voice. He insisted on laying the ax to the root of evil of corrupt officials, reminding the fact that despotic rule is even much dreadful than a monster. Exposing the frailty of theoretical and obsolete way of thinking of the governing class being indifferent to the poor and distressed, he signified the circumstance in which feudal system was about to drive into catastrophe. 李書九(1754~1825)는 ‘四家’의 일인으로 명성을 떨쳤고, 經世濟民의 정치가로도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였다. 이서구는 경세제민을 위한 경륜으로 백성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던 까닭에 경세제민 의식을 시화한 작품들이 그의 시문학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전제 아래 본고를 전개하였다. 이서구의 문장관은 첫째 세도의 융성을 통한 시대 문체의 순정, 둘째 의리의 천명을 목표로 하는 주제의 설정, 사실의 기록을 목적으로 하는 소재의 선택으로 요약되며, 이는 경세론적 문장관이라는 개념으로 규정될 수 있다. 그리고 그의 시문 가운데서도 정치사회적인 주제의식을 가지고 쓴, 경세제민 의식이 삼투되어 있는 시들은 경세론적 문장관과 동일한 범주 내에서 논의할 수 있는 것이다.이서구의 시에는 경세제민 의식이 직접적으로 나타난 작품이 적지 않다. 그는 탐관오리들의 학정으로 인해 굶어죽어 가는 백성들의 안타까운 현실을 목도하며 선정을 통해서 백성들을 구제하고자 하는 강렬한 의지를 시화하고 있다. 그 스스로 목민관이 되었을 때에는 자신의 경륜을 마음껏 펼쳐 굶주리고 헐벗은 백성들을 구제하고자 하는 선정의 포부를 밝히고 있으며, 목민관으로 부임하는 다른 이들에게도 선정할 것을 독려하였다.또한 이서구는 백성들의 삶이 도탄에 빠진 사회현실을 목도하며 간악한 탐관오리들의 횡포를 강한 어조로 비판하는 내용의 시를 지었다. 가혹한 정사가 호랑이보다 더 무서운 사회현실을 비판하며, 탐관오리들의 극악무도한 해악을 발본색원하여 척결해야 함을 주장한 것이다. 아울러 조선후기 농민들의 참혹한 삶과 그 삶을 도외시하는 사대부들의 관념적 사고가 내포하고 있는 허구성을 여실히 폭로하며, 점차 망국을 향해 치달아가던 당시의 정치사회적 파탄상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 조선전기 洪任의 관직 활동

        임선빈 ( Yim Seonbin ) 한국계보연구회 2023 한국계보연구 Vol.13 No.0

        본고는 15세기 중엽부터 16세기 초기까지 관료로 활동한 홍임에 대해 가계와 초기 사환, 성종대 목민관으로서의 활동, 연산군·중종대 정치 격변기의 관직 생활에 대해 살펴보았다. 홍임의 선대는 고려 중·후기에 고위직 관료로 많은 활약을 했으나, 고려말에는 쇠락하였고, 조선 초기의 인물인 홍임의 할아버지와 아버지는 사적(史籍)에서 흔적을 찾을 수 없다. 음관으로 벼슬길에 나아간 홍임은 뛰어난 무재(武才)와 이재(吏才)를 지니고 있었으며, 성종대에 서반직과 목민관으로 활약하면서 서서히 조선왕조의 새로운 관료군에 편입되어 갔다. 특히 아버지의 사환을 배경으로 문과에 급제한 아들 홍경주가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일등공신으로 책훈되자, 이후 홍임은 공신의 아버지로서 음직 가자(蔭職加資)까지 더하게 되었고, 재상급 관료로 중앙조정의 정책논의에도 참여하면서 정치 관료로서의 역할도 수행했다. 이와 같은 홍임의 관직 진출과 활동은 남양홍씨 가문의 이해는 물론, 홍임-홍경주 부자의 관력(官歷)을 통해 여말선초에 한때 쇠락했던 가문이 득세하는 과정을 볼 수 있으며, 조선왕조 관료제 사회의 일면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This article examines about Hong Im, who served as a bureaucrat from the mid-15th century to the early 16th century, in the field of his family tree, his early governmental job, his activities as a Mokmin-gwan during King Seongjong's reign, and his life as a public servant during political upheaval in Yeonsan-gun and Joongjong periods. Hong Im’s predecessors played a lot of political roles as a high office during the middle and late Goryeo Dynasty, but their prestige collapsed with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Hong Im’s father and grandfather, who were figures of early Joseon Dynasty, were not found in any historical records. Hong Im held a government post by benefiting from ancestors’ virtue system(Um-suh system). He had outstanding abilities both in martial arts and governing people, so he gradually incorporated himself into the new bureaucracy of the Joseon Dynasty while he worked as Surban-jik and Mokmin-gwan during King Seongjong’s reign. In particular, when his son Hong Kyung-ju, who had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the background of his father’s governmental post, was awarded as Prime Jooonggook Gongshin for participating in the Joongjong Rebellion, Hong Im, as a father, was elevated to higher position in public office in a way called Umjik-Gajah. As a result, he held a role high as a prime minister and participated in policy discussions on central coordination. Hong Im’s activities as bureaucrat can help understanding not only in the way of studying the Namyang Hong Family, but also in the way of how once-decreased family in early Joseon can regain its power back by using Hong Im and Hong Kyung-jus’ governmental power. Furthermore, it helps in understanding the aspects of Joseon Dynasty’s bureaucratic society.

      • KCI등재

        임진왜란기 경주<SUP>慶州</SUP>의 동향<SUP>動向</SUP>과 경주부윤 박의장<SUP>朴毅長</SUP>의 전시행정<SUP>戰時行政</SUP>

        장준호(張俊浩) 한국국학진흥원 2018 국학연구 Vol.0 No.36

        박의장朴毅長은 임진왜란을 맞아 일본 제2군 선봉장 가토 기요마사[加籐淸正]에게 경주성을 빼앗겼으나, 자신의 임지인 경주부를 이탈하지 않았다. 그는 경주부 죽장현으로 들어가 흩어진 관·민인들을 불러 모아 경주부수복을 위한 진열을 재정비했다. 패전 후, 그의 행적은 경상좌도 다른 관군장수들의 태도와는 다른 것이라 생각한다. 필자가 박의장의 임란기 활동과 행적을 주목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가 패전 후에 경주부를 이탈하지 않았던 것은 그의 사명감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한다. 즉 그는 ‘지방을 맡은 사람은 그 땅을 위해 죽어야 한다’는 사명감을 갖고 있었고, 이것은 그가 군 지휘관指揮官과 목민관牧民官으로서 경주부를 위해 진력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었다. 1592년 9월 7일 박의장은 경주성을 일본군에게 빼앗긴 지 5개월 만에 수복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경주성 수복의 전공은 그의 것으로 기억되지 않고 있다. 『징비록懲毖錄』에는 경상좌병사 박진朴晉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에 필자는 박의장의 문집인 『관감록觀感錄』과 『선조실록宣祖實錄』·『난중잡록亂中雜錄』·『기재사초寄齋史草』 등의 기록들을 비교·분석하여 경주성 수복 전투의 전공 여부를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박의장은 제2차 경주성 수복 전투에서는 주도적으로 작전을 펼쳤으나, 그의 전공戰功은 인정되지 않았다. 전공을 둘러싼 논란은 명령과 실제 참전여부를 파악한 후 평가해야할 필요가 있다. 경주는 임진왜란이 종결될 때까지 일본군과 대치하였던 경상좌도의 최전선 기지였다. 이러한 경주의 군사적 중요성으로 인해 명군이 주둔하였고, 조선 조정도 전란 기간 내내 경주방어를 위한 군량 확보와 방어책을 고심하였다. 정유재란기 경주는 조·명연합군에게 울산성의 가토 기요마사를 공격하기 위한 수비의 거점으로서 매우 중시되었다. 임진왜란기 경주의 군사적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경주부윤 박의장의 행적을 보다 객관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그의 임란기 행적 가운데 관군으로서 가장 차별화되는 것은 목민관으로서의 치적이다. 그는 전시상황에서 경주부윤으로서도 경주부민들의 생계와 안정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는 일본군과 지속적으로 전투를 전개하면서도 백성들에 대한 구휼의 노력을 아끼지 않았고, 부민들의 나이와 건강상태를 고려하여 병농분리 정책을 실시하여 정병精兵을 양성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했다. 한편 그는 경주에 주둔한 명군明軍의 접대에도 최선을 다했다. 이러한 그의 임진왜란기 활약과 전시행정戰時行政은 경주부의 전후戰後 복구사업에도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Park Ui Jang(朴毅長) fought the 2nd Japanese army under the command of Kato Kiyomasa(加籐淸正) and gave up Gyeongju because he was outnumbered, but he did not leave the Gyeongju vicinity and retreated to JukJang Prefecture(竹長縣), where he reorganized his troops. This is why I focus on his activities and action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He worked for Gyeongju with a sense of duty. He had a sense of duty that the governor must die for the province. I think that it was his sense of duty that he did not leave Gyeongju after his defeat. Eventually he succeeded in recovering Gyeongju castles, the place of his appointment. However, the victory of the Gyeongju battle was not remembered as his. In Jingbirok(懲毖錄), it is said that Park Chin(朴晉) won 2nd Gyeongju battl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various materials, I figured out who won. As a result, he was leading a battle in the second restoration of Gyeongju Castle, but his war service was not recognize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n many materials, the command was placed on top of the deed. The evaluation of the deed needs to be revaluated by confirming actual command and the status of participation. Anyway The honors were not justly distributed. Even during the peace negotiation period, Park Ui Jang, through continuous warfare with the japanese army, won many battles. Gyeongju was a frontline military base in the Gyeongsangjwa-do, facing the Japanese military until the end of Imjin war. The most differentiating from Ŭibyŏngjangs during the war is the efforts as Gyeongju puyun(慶州府尹). During the war, he worked as Gyeongju puyun for the livelihood and stability of his peoples. He continued to fight with the Japanese army, and he did spare efforts to help the people. And He classified peasants and soldiers according to their health and age. He did his best to support US troops stationed in Gyeongju. These activities and administration during his warfare became an important foundation for postwar reconstruction projects in Gyeongju.

      • KCI등재

        주세붕의 시가 장르 선택과 교훈 표출

        장성진 ( Chang Sung-jin ) 배달말학회 2018 배달말 Vol.63 No.-

        주세붕(1495~1554)은 향촌사림 출신 관료로서 다양한 영역에 걸쳐 많은 작품을 남긴 문인이다. 한시 이외에도 15수의 시조와 4편의 경기체가, 그리고 한시이기는 하지만 노래로 불린 사(辭)도 3편을 지어 다방면에 활용하였다. 그는 주로 목민관으로 활동하거나 일시 귀향해 있을 때 고유시를 창작하였다. 그는 16세기 조선 유학계 내에서 주류적 학문 경향인 성리학 탐구와 거리를 둔 채, 성인의 삶과 경전의 내용을 실천하는 데 주력하였다. 목민관으로 부임하면서 고을의 선비들과 부로들에게 윤리적 규범과 실천을 고지하고, 그것을 실행할 공간으로서 향교를 정비하였으며, 나아가 서원을 건립하여 지역 교학의 새로운 제도를 시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반드시 노래, 시, 문장 등 문학적 장치를 활용하였다. 그래서 문학이 실생활에 밀착된 것이다. 이러한 문학 활동으로 인해서 그는 16세기 시문학의 지평을 크게 넓혔다. 국문시가로서 오륜가계 시조를 계발하였으며, 정치 악장으로서의 경기체가를 유학적 악장으로 전환시켰다. 한시의 고시와 근체시를 다양하게 활용한 것은 물론, 사를 노래로 활용하기도 하였다. 주세붕의 시가관은 철저한 효용론이다. 노래는 풍속 교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당대의 가요가 저급하다는 평가를 하고 올바를 교화를 하기 위해 새로운 노래를 만들어 의례와 일상 생활에 적합한 노래를 지은 것이다. 또 그의 창작 방식은 조술과 용사이다. 효용을 극대화하고, 의례에 사용하는 음악에 대한 세간의 의구심을 없애기 위해서 경전의 내용을 번안하거나 용사하였다. 이러한 문학관과 창작 방식을 적용하여 그는 교화의 대상에 따라 장르를 선택하였다. 서원 향사에서는 엘리트 선비들의 이상으로 성현의 위업을 경기체가로 읊었으며, 향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지역의 산천과 인물, 군신관계와 사제관계가 조화로운 미래상을 사에 담아 제시하였다. 일반 백성들을 대상으로는 시조를 지어서 일상의 윤리와 군자다운 삶을 권유하였다. 결국 주세붕이 여러 장르의 고유시를 활용하여 의례와 일상생활에 노래문화를 확산시킨 것은 향촌 사림 출신 관료로서 지역사회를 기점으로 유교적 이상국가를 실현하려는 구체적 의지의 표명이며, 이를 통해 16세기 고유시의 장르 체계를 재정비하는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Ju-Sebung(1495~1554) is a famous writer who wrote various kind of poems as a government official. He created more than 1300 pieces of Chinese poem, 15 pieces of Sijo(시조), 4 Gyeonggiche(경기체가) songs, 3 Sa(辭). He wrote poetry native to Korea mainly in the period of working as a provincial governor or returning his old home for a while. Proceeding to his new post he immediately promulgated to the local people regard to the moral standards to practise in ordinary life. And he put in good order the local school. Especially he founded the memorial hall to honour distinguished Confucianist scholar and for lecture called Seowon, it is the first case in Korean history. In the process of these workings he usually created a few kind of songs or poems to use in the ceremony and everyday life. So the contents of his literary works are directly concerned with people's real life. Through those politic and literary working he expanded the literary horizon in 16th century. He had a very firm comments on literature, it is the usefulness. He criticized and judged the poems used in formal ceremonies too much vulgar to enlighten people, he executed to write new poems. The foremost expressional method in his poems is using the contents and quoting the sentences of the Confucian classics. The purpose of using those methods are one hand to raise the educational effect, and the other hand to protect himself from the blame for making new system of official music. According to this project he created several poems using three traditional genres. In Seowon he used Gyeonggiche Song which had been used in the royal court, because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ceremony are elite scholars. The ends of the poems are to help them to be saints. For local school song he used Sa genre which originally had both faces of poem and prose. Through this genre he tried to encourage the students to be useful to state. For common people he used Sijo which is short and lyric genre. Using this genre he tried to make every common people be ethical and sincere citizen. After all the works of Ju-Sebung’s presented the hope of ideal society, and he fancied himself to take charge of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