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고대목간과 연구동향

        전덕재(Jeon Deog-jae) 한국목간학회 2012 목간과 문자 Vol.9 No.-

        본고는 2011년까지 발견된 한국 고대목간의 현황과 그것을 둘러싼 연구동향을 정리한 것이다. 2011년까지 낙랑 목간 120여 점, 백제 목간과 목간 부스러기 150여 점, 신라 목간 330여 점이 발견되었다. 삼국시대까지 목간은 付札 또는 荷札用뿐만 아니라 文書로서 널리 사용되었고,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 종이문서가 널리 쓰이면서 문서용은 크게 줄어들고 주로 물품에 부찰된 꼬리표로 사용되었다. 목간의 연구를 통하여 古代의 문서행정체계 및 중앙과 지방의 통치체제, 수취체계와 사회경제제도, 그리고 고대인의 일상 생활모습에 대한 이해가 크게 진전되었다. 앞으로 목간의 발굴 사례가 계속 증가하고, 또 이미 발굴된 목간의 묵서가 새로 판독됨에 따란 목간을 통한 韓國古代史像의 체계적인 복원작업도 크게 활성화되리라고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n ancient wooden slips that have been discovered by 2011 and conducts a summary of the overaching research trends. All in all, some 120 Lelang wooden slips, 150 Baekje wooden slips and shavings, and 330 Silla wooden slips have to date been uncovered. Up until the Three Kingdoms period, wooden slips were widely used, not only for labeling and listing purposes but also as a means of documentation. The widespread use of paper documents during Unified Silla coincided with a significant decline in the use of wooden slips for documentation purposes, with such resources increasingly being used mainly as labels attached to goods. Research on wooden slips has contributed to furthering scholars’ understanding of the ancient document administration system, the ruling structure in the central and local areas, the tax and socio-economic systems, and the everyday lifestyle of ancient people. In this regard, the continued excavation of wooden slips and advent of new interpretations of existing wooden slips is expected to further invigorate the practice of Korean ancient history based on such wooden slips.

      • KCI등재

        한국 출토 목간의 분류와 정리 및 표준화 방안

        이재환 한국목간학회 2019 목간과 문자 Vol.0 No.23

        Since studies on wooden documents excavated in South Korea have been advanced, issues regarding ‘standardization’ and ‘systematization’ were raised in terms of organizing and categorizing wooden documents. However, they were still individual proposals, so it was not possible to draw conclusions by exchanging opinions constructively. First of all, the definition of ‘wooden document’ is not fully agreed on yet. Even the quantity of wooden documents in South Korea can vary widely according to the definition. In the past, wooden document was often defined based on the purpose or form of it. But figuring out the creator’s intent or guessing its purpose without text can be arbitrary. Therefore, I propose to define wooden document as “wooden item on which text has written” and to add a provisory clause such as “except one made for printing and stamping”. The number that identifies each wooden document is the name of it. Making easy to identify and search, that is why numbering fundamentally. Therefore, we should not give the same name to different wooden documents, and should not give several names to one wooden document. So far, it has been very confusing to identify wooden documents in Korea, for one wooden document has more than three names. The most basic direction is to follow the number in the excavation report, but it is not possible practically because a lot of research are carried out on excavated wooden documents before the publication of the excavation report. As a general rule, it should be recommended to use the number assigned at the initial disclosure in all subsequent studies, catalogs, reports, etc. Nevertheless, the manner to display the assigned numbers may also vary. It can lead to confusion in search in the future.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Wooden Documents must list all the numbers and titles used for wooden documents so far, and specify the standard notation in the journal each year. The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should also be established by the society. And categorization criteria are not uniformed yet, so they vary from researcher to researcher. I proposed a code system by appearance for wooden documents in this paper. More important than proposing a criterion or method is the further discussion and conclusion. In Korea,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Wooden Documents could be the center for those discussions. Through the process of ‘consensus’ and ‘accreditation’, standardized results would be produced soon, I hope. 한국 목간의 연구가 본격화되면서 그 정리나 분류에 있어서 ‘표준화’나 ‘체계화’에 대한 문제 제기도 나오고 있지만, 아직 본격적인 의견 교환 및 결론 도출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우선 ‘목간’의 정의조차 충분히 합의되지 못한 상태로서, 정의에 따라 한국 출토 목간의 수량 파악 자체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기존에는 제작 의도나 형태에 기반하여 목간을 정의한 경우가 많았는데, 이 경우 의도 파악이나 묵서가 없는 목제품의 성격 추정에 있어서 자의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文子가 書寫된 木製品’으로 정의하고 ‘捺印·印出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등의 단서를 부가할 것을 제안한다. 각 목간들을 식별할 수 있게 해주는 일련번호는 그들의 이름에 해당하는데,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근본적 의의는 식별과 검색의 용이성이라는 측면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하나의 이름이 여러 개의 목간에 부여되거나, 하나의 목간에 여러 개의 이름이 붙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하겠다. 지금까지 한국의 목간 정리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하나의 목간에 여러 개의 이름을 붙여 버렸다는 점이다. 가장 기본적인 방향성은 발굴보고서의 일련번호를 따르는 것이겠지만, 현실적으로는 발굴보고서가 발간되기 이전에 이미 해당 유적 출토 목간에 대한 연구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진행·발표되므로, 발굴보고서 이전 단계의 일련번호가 사용되지 않을 수 없다. 발굴기관에서 목간을 최초 공개·보고할 때 부여한 번호를 원칙적으로 이후의 모든 연구서와 도록·보고서 등에서 가능한 한 바꾸지 않고 사용할 것을 권고해야 하겠다. 일련번호가 하나로 확정되어도 그것을 구체적으로 표기하는 방식이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향후 검색에 있어서 혼란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 한국목간학회에서 지금까지 공개된 목간들의 호칭들을 정리하고, 표준 표기 방식을 지정하는 표를 학회지에 만들어 싣는 것이 좋겠다. 아울러 한국목간학회의 판독문 범례 및 용어 표준화안 또한 확정될 필요가 있다. 비슷한 유형의 목간을 모을 분류 기준 또한 연구자 별로 각자의 기준을 제시해 둔 정도의 상태이다. 특히 통일이 필요해 보이는 부분은 형태에 따른 분류 방법이다. 日本의 형식 분류를 참조하고, 한국 출토 목간의 특징을 고려한 외형 코드 및 상·하단 형태 코드를 만들어 보았다. 기준이나 방법을 제안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그 이후 논의의 진행이다. 한국에서 그러한 논의의 주체는 역시 한국목간학회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 어떤 식으로든 ‘합의’와 ‘공인’의 절차를 거쳐, 빠른 시일 내에 많은 연구자들이 따를 만한 표준화의 결과물이 만들어져 나오기를 희망해 본다.

      • KCI등재

        경산 소월리 목간의 기초적 검토

        전경효(Jeon, Kyung-hyo) 한국목간학회 2020 목간과 문자 Vol.0 No.24

        경산 소월리 목간은 5개의 면을 가지고 있으며, 최대 길이 74.2㎝의 원형 목간이다. 표면에는 글자를 작성하기 위해 다듬은 흔적이 있는데 그 면적이나 방향이 불규칙하다. 목간의 글자는 100자 정도가 판독되거나 추정된다. 하지만 실제 글자 수는 더 많았을 것이다. 목간의 내용은 골짜기 단위로 파악한 토지 면적이다. 기록된 형식은 골짜기 이름, 토지 종류, 토지 면적순서이다. 이와 더불어 제방과 같은 수리시설도 등장한다. 이러한 내용을 작성하기 위해 글자를 연습한 것으로 추정되는 부분도 존재한다. 목간의 형태와 내용 그리고 글자를 쓴 방식 등을 종합했을 때 이 목간은 정식 문서를 작성하기 전에 수집한 기초 자료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에 발견된 목간을 통해서 토지 면적을 기준으로 조세를 징수하는 체계가 6세기 신라에서 이미 시행되고 있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다만 경산 소월리 목간 연구는 과제도 안고 있다. 목간에 등장하는 지명은 오늘날 경산 지역의 지명 유래를 연구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그리고 수리시설과 건설과 관련된 비석이 목간 출토 인근 지역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목간 내용 분석과 출토지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한다. The Sowolri wooden slip in Gyeongsan has 5 sides, and is a circular tree with a maximum length of 74.2㎝. On the surface, there are traces that have been trimmed to create letters, but the area or direction is irregular. The letters of wooden slip are read or estimated to be about 100 characters long. However, the actual number of characters would have been higher. The content of wooden slip is the land area identified by the valley. Recorded formats are valley name, land type, and land area order. In addition, irrigation facilities such as embankments also appear. There is also a part that is presumed to have practiced letters to write this. When the form, contents, and methods of writing letters were synthesized, this wooden slip is presumed to record the basic data collected before the formal documents were prepared. Through the wooden slip discovered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tax collection system based on the land area was already in place in Silla in the 6th century. However, there is also a task to study the pasture in Sowol-ri, Gyeongsan. The place name that appears on wooden slip is a clue to study the origin of the place name in today’s Gyeongsan area. In addition, it is possible that epitaph related to repair irrigation facilities and construction can be found in the area near the excavation. In this aspect, analysis of wooden slip contents and research on excavation sites should also be conducted.

      • KCI등재

        古代 日本 論語 木簡의 特質-한반도 출토 論語 木簡과의 비교를 통해서-

        三上 喜孝(Mikami yoshitaka),오택현(역) 한국목간학회 2020 목간과 문자 Vol.0 No.25

        본고는 古代 日本의 『論語』 수용과 그 特質을 論語 木簡의 검토를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論語 木簡이란 論語의 일부를 기록하고 있는 木簡과 「論語」라고 하는 글자가 쓰여 있는 木簡 등을 말한다. 日本에서는 지금까지 30점이 넘는 論語 木簡이 출토되었다. 論語 木簡이 출토된 지역별 수량을 살펴보면 飛鳥지역에서 6점, 藤原宮·京에서 4점, 平城宮·京에서 14점, 都城 이외에서 11점이 출토되었다. 작성 시기는 7세기 후반에서 8세기 전반에 집중되어 있어, 문자의 習得과 論語 木簡의 존재가 밀접하게 관련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日本에서 출토된 論語 木簡에는 몇 가지 공통된 특징이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첫 번째는 論語 木簡이 출토된 유적의 성격이다. 이미 지방 출토 論語 木簡에 대해서는 초기 国府가 두어졌던 것으로 알려진 유적과 중앙 관인이 왕래한 駅家로 알려진 유적 등 중앙에서 관인이 파견된 유적에서 論語 木簡이 출토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7세기 후반 『論語』의 지방 전파는 国司의 전신인 国宰가 커다란 역할을 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또 『論語』뿐만 아니라 중국의 古典 등의 문자 텍스트(서적 및 교과서)가 변경의 城柵 유적에서 발견되는것도 주목된다. 국가의 경계와 접해 있는 城柵 유적에서는 지배의 先進性과 문명 세계의 상징으로서 중국 텍스트(경전 및 교과서)의 수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졌던 것이 아닐까. 한국 계양산성에서 출토된 論語 木簡도 이러한 관점에서 볼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는 論語 木簡의 習書 패턴을 보면 學而篇의 첫 구절을 기록한 것이 다수 출토되는 등 그 경향이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텍스트를 실용적으로 습득하기보다 오히려 텍스트의 첫 구절을 암송하거나 문자화할 수 있는 데 큰 의미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왜냐하면 『論語』는 문자 문화를 습득하는 관인들에게 상징적인 의미를 지녔던 텍스트였기 때문이다. 세 번째는 寺院 유적에서도 論語 木簡이 출토된다는 점이다. 유교의 문자 텍스트(서적 및 교과서)가 불교의 경전과 함께 寺院에서 학습 대상이 되었던 것은 불교와 유교가 지배자 집단 사이에 널리 퍼져 국가의 지배이념을 가진 사상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고 하는 역사적 배경과 큰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된다. 古代 日本의 論語 木簡의 이러한 특징은 중국에서 『論語』가 전해진 한반도에서도 공통되는지 아닌지는 아직 한국의 사례가 많지 않아 확실하지 않지만 이후 발굴 사례가 증가하면 추후 검토가 가능해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consider the acceptance of “The Analects Of confusius” in ancient Japan and its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examination of so-called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The term “The Analects Of confusius” here refers to a Wooden Documents in which a passage of The Analects Of confusius is written, or a Wooden Documents in which the title “The Analects Of confusius” is written. The number of excavated points of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in Japan has exceeded 30 so far. Looking at the breakdown, 6 points were excavated in the Asuka area, 4 points were excavated in Fujiwara Palace ·Kyo, 14 points were excavated in Heijo Palace ·Kyo, and 11 points were excavated outside Miyakonojo. The period is concentrated in the latter half of the 7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8th century, and it can be said that the acquisition of letters and the existence of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are closely related. If you look at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excavated from various parts of Japan, you can point out some common characteristics. First, it is the nature of the ruins where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was excavated. In particular,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excavated in rural areas tend to be excavated from archaeological sites where officials are dispatched from the center, such as archaeological sites where the early Kokufu was supposed to be located and archaeological sites where central officials come and go.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re is. It is thought that the predecessor of the Kokushi, the Kokushi, played a major role in the local spread of “The Analects Of confusius” in the latter half of the 7th century. It is also noteworthy that not only “The Analects Of confusius” but also Chinese classics and other texts have been found at the remote castle fence ruins. At the castle fence ruins, which borders outside the borders of the nation, the Chinese texts may have been actively accepted as a symbol of the advanced rule and the civilized world. The meaning of the excav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from Gyeyang Mountain Castle in South Korea can be understood from such a viewpoint. Secondly, paying attention to the pattern of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study book, it can be seen that the tendency is biased, such as the excavation of many articles with the beginning of the essay. These characteristics show that it was more important to be able to recite or transliterate the beginning of the text, rather than to learn the text practically. In other words, “The Analects Of confusius” was a text that had a symbolic meaning for officials who mastered the character culture. Thirdly, it is noteworthy that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was excavated from the temple ruins. Along with the Buddhist scriptures, Confucian texts were the subject of study in the temple, as Buddhism and Confucianism first spread among the rulers, and they were taken as an idea that supported the rule of the nation. It is thought that the historical background that it was being used is greatly related. Whether or not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Japanese The analects Of Confusius Wooden Documents are common to the Korean Peninsula, where “The Analects Of confusius” was also transmitted from China, is still rare in South Korea, but it will be examined as the number of excavation cases increases in the future. Will be possible.

      • KCI등재

        2018년 출토 경주 월성 해자 삼면목간에 대한 기초적 검토

        전경효(Jeon, kyunghyo) 한국목간학회 2021 목간과 문자 Vol.- No.27

        2018년에 출토된 경주 월성 해자 삼면목간은 곡물과 관련된 사건을 보고한 문서 목간이다. 전체 3개의 면이며, 길이는 약 37㎝, 너비 약 2.8~6㎝, 두께 약 2~3㎝이다. 모든 면에 글자가 존재하며, A면에 23자, B면에 22자, C면에 23자가 있다. 대략적인 내용은 A면에 보고자와 의례적인 표현, B면에 보고 대상이 되는 사건의 내용, C면에 목간 전달자, 사건 제보자, 목간 내용 작성 담당자로 구성되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보고 시점은 6세기 후반~7세기 전반 무렵 어느 해 정월 17일이었으며, 보고자는 지방 어느 촌에 있었던 幢主였다. 그는 제보자의 말을 바탕으로 목간의 내용을 보고하였는데, 실제로 문서를 작성 또는 기안한 사람과 목간을 전달한 사람도 제보자와 함께 목간에 등장한다. 이 밖에 목간의 형태는 문서의 내용을 염두에 두고 고른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삼면목간은 문서의 작성 과정과 전달 등 문서 행정의 일면이 드러나는 유물이라 할 수 있다. The three-sides wooden slip in the Wolseong moat, excavated in 2018, is a document that reports incidents related to grain. It has three sides, and is about 37㎝ long, about 2.8-6㎝ wide, and about 2~3㎝ thick. There are letters on all sides, 23 characters on the A side, 22characters on the B side, and 23 characters on the C side. The outline contents consisted of reporter and ritual expression on side A, the content of the event to be reported on side B, and the person in charge of preparing the contents of the list on side C. Looking at this specifically, The reporting time was on the 17th of the first month of the year around the late 6th century to the early 7th century, and the reporter was a lord in a local village. He reported the contents of the tree based on the informant’s words, and the person who actually wrote or drafted the document and the person who delivered the document also appear in the log together with the informant. In addition, it is presumed that the shape of the tree was chosen with the content of the document in min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three-sided tree is a relic that reveals one aspect of document administration, such as the process of writing and delivering documents.

      • KCI등재

        한국 목간기록의 지식 정보 자원화 - 메타데이터 국제 記述 요소를 중심으로 -

        김경남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4 嶺南學 Vol.- No.88

        본고는 한국의 목간을 기록학적 관점에서 그 개념을 살펴보고, 메타데이터 국제 표준기술 요소를 설계하여, 역사기록으로서 지식 정보 자원화하는 방안에 대하여 검토한 글이다. 이를 위해 목간기록을 디지털 데이터로 통합 관리할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출처주의에 기반하여 기록물의 내용과 맥락을 파악할 수 있도록 메타데이터 기술요소를 국제 표준에 의해 설계하여 제안하였다. 따라서 목간을 기록물로 보고 디지털 방식으로 통합 정보자원화하는 방안을 시론적으로 제시하였다. 박물관에서 목간은 유물로서 다루어지고 있지만, 목간에 쓰여진 글자는 종이 기록이 많지 않았던 고대나 중세에 법제와 행정 등 문서나 수발기능을 하였다. 따라서 목간은 기록물로서 종이 기록물과 함께 다룰 때 완결성을 띤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목간 기록은 기록학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 목간의 총수는 약 1,100여 건으로 알려져 있는데, 현재 국내 박물관의 총합 채널인 e-뮤지엄에는 약 476건의 목간에 대하여 기술(記述, Description)하고 있다. 기술 요소는 기본적으로 명칭, 다른명칭, 국적/시대, 출토지, 분류, 재질, 크기, 소장품번호, 설명, 연관단어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 정보만으로는 목간의 내용과 관련된 출처와 맥락 정보를 충분히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본고에서는 ISAD(G), NAK//RMMS 등의 국제 표준에 기반한 기술요소를 바탕으로, 박물관 유물로서의 출토와 간단한 내용정보는 물론 고고학, 역사학계 등에서 연구된 정보를 활용하여 목간기록의 정보를 기술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있다. 그리고 대분류는 6개의 범주로 나누어 기술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목간의 디지털 지식 정보를 통합 체계로 만들어 냄으로써,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한국 목간의 지식 정보를 자원화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conceptualizes the handling of wooden tablets in existing museums from the perspective of archival science and examines the management practices. Based on provenance considerations, it proposes the design of metadata technical elements according to international standards to enabl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and context of records. Drawing upon international standard technical elements such as ISAD(G), ISSAR, NAK/RMMS, it describes excavation details and contextual information related to wooden tablets, and categorizes the necessary information from Korean wooden tablet archival materials into large, medium, and small classifications. Furthermore, it suggests subdividing the primary classification into six categories. Through these efforts, it presents a theoretical discussion on utilizing digital methods to digitize and resource wooden tablet records within museums, laying the groundwork for digital integration research on wooden tablet archival records across Korea, China, and Japan.

      • KCI등재

        나무조각에서 역사읽기;平川 南 著『古代地方木簡の硏究』(吉川弘文館, 2003)

        金在弘 한국목간학회 2009 목간과 문자 Vol.3 No.-

        이 책은 일본 고대 지방목간을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집이다. 이 책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지방 목간을 개별적으로 분석하여 지방목간의 특성을 도출한 점이다. 그러나 이에 머무른 것이 아니라 궁도목간과의 차이를 분명히 하고 중국, 한국의 자료와 비교하여 일본 고대의 지방목간이 고립적으로 존재한 것이 아니라 동아시아 목간과의 관련 속에서 사용되었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동아시아적인 시각에서 일본의 지방목간을 보고 있는 것이다. 또한 목간을 기록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고고자료로서 취급하여 목간 그 자체를 면밀히 관찰 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고고학자나 보존과학자의 협조를 얻어 최대한의 정보를 얻어내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일본 고대의 지방사회모습을 추출하고 더 나아가 율령국가의 실상에 접근하고 있다. 저자가 목간을 대하는 연구방식과 성과물은 이제 막 연구를 시작한 우리 나라 고대 목간 연구 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多面木簡의 발굴 현황과 용도

        윤선태 한국목간학회 2019 목간과 문자 Vol.0 No.23

        Damyeon Mokgan(多面木簡, the Multi-sided Wooden Tablets) is a wooden document of the same nature as the one called ‘觚[gū]’ in China. There are several types of wood carved into triangular, square, and pentagon, as well as forms that make up the original shape of a round branch. Wood was cut in various ways to make room for writing, with up to six lines written on the round branch. In the case of Baekje Kingdom, many cases of excavation have been found at remains in the 6th century, and as the 7th century enters, the Damyeon Mokgan is clearly reduced. In case of Silla King\-dom, the remains were extensively excavated at the Three Kingdoms sites from the 6th to 7th century, and since the 8th century, they have rarely been found in Unified Silla Kingdom sites. In the case of Silla, what the contents of the multi-sided wooden tablets are clearly visible, it can be seen that the multi-sided wooden tablets were mainly used in document administ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ials and government offices. The reason why Damyeon Mokgan was used a lot in Sill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disappeared during the Unified Silla Kingdom Period is that the use of paper became generalized. While Japan currently has more than 300,000 wooden documents, it is extremely rare to find multi-sides wooden tablets. There have been no cases of round branch tablets reported. Thus, Damyeon Mokgan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that represent the culture of wooden documents in ancient Korea. This characteristic of ancient Korean culture, which is distinct from the wooden documents culture of China and Japan, is called the ‘multi-sided wooden tablets culture’. 多面木簡이란 중국에서 ‘觚’로 부르는 목간과 동일한 성격의 목간이다. 목재를 삼각, 사각, 오각 등 다각으로 깎아 書寫面을 여러 개 만든 일반적인 형태를 비롯해, 둥근 나뭇가지의 원형을 그대로 활용한 원주형도 있다. 목재를 다각으로 깎은 이유는 서사할 면(공간)을 많이 만들기 위한 것인데, 원주형의 다면목간에는 최대 여섯 줄을 쓴 것도 발굴된 바 있다. 다면목간은 百濟의 경우 6세기 유적에서 발굴 사례가 많고, 7세기에 들어가면서 확연하게 줄어든다. 新羅의 경우에는 6~7세기의 古新羅 유적에서 집중적으로 발굴되며, 8세기 이후 통일신라 유적에서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다면목간의 내용을 명확히 알 수 있는 신라의 경우로 볼 때, 다면목간은 주로 ‘~前白’書式으로 작성된 사례가 많아, 관인이나 관부 사이에 서로 문서를 주고받는 문서행정에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면목간이 고신라에서 많이 사용되다가 통일신라시기에 소멸되어갔던 이유는 종이의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다면목간을 이용한 문서행정이 종이문서로 점차 대체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한반도에서 목간문화가 건너간 일본에는 현재 목간 출토점수가 무려 30만 점을 상회함에도, 다면목간의 출토 사례는 극히 희귀하다. 원주형목간은 아예 한 점도 보고된 사례가 없다. 따라서 다면목간은 한국 고대의 목간문화를 대표하는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한국 고대사회가 중국 漢代의 編綴簡時代부터 종이시대까지를 모두 경험했다면, 일본에는 한반도에서 紙木이 병용되던 7세기 이후의 목간사용법이 전파되어 갔다. 한국고대의 다면목간은 편철간과 지목병용의 중간적 특징을 지닌 유물이 아닌가 생각된다. 중국 한대의 ‘편철간문화’, 일본 고대의 ‘短冊形木簡文化’와 대비되는 한국 고대의 ‘다면목간문화’를 제창하고 싶다.

      • KCI등재

        일본 7세기 목간에 보이는 한국목간

        市大樹(Ichi Hiroki),오택현(번역자) 한국목간학회 2019 목간과 문자 Vol.0 No.22

        본고는 일본의 7세기 목간을 여러 차례 살펴본 경험을 토대로 한국의 성산산성 출토 荷札木簡, 월성 해자 출토 前白木簡에 대해 약간의 문제 제기를 시도해 본 글이다. Ⅱ장에서는 성산산성 출토 荷札木簡을 살펴보았다. 1절에서는 목간의 연대를 문제 삼았다. 이제까지 신라 外位의 표기 등을 주된 근거로 삼아 성산산성 목간의 연대를 6세기 중엽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목간의 표기에는 정도의 폭이 있다는 것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지적했다. 최근 출토된 「壬午年」 목간은 592년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기 때문에 다른 목간의 연대도 6세기 말로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2절에서는 성산산성 荷札의 서식을 살펴보았는데, 「地名+人名+物品名」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다양한 형식이 존재함을 확인했다. 일본의 사례를 참고하면 이러한 서식은 오래 전부터 사용된 특징이 아닐까 생각된다. 3절에서는 수량이 많은 仇利伐의 荷札木簡을 살펴보았다. 특히 「人名A+奴(人)+人名B+負」의 표기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奴(人)」는 從者 정도의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천민 신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 「負」는 「荷物」을 의미하는 명사가 아니라 「負担하다」의 의미를 지닌 동사라고 생각된다. 이것과 관련해 「発」도 「発送하다」의 의미인 동사로 보인다. 4절에서는 조금 특수한 사례로서 「◯城下」의 荷札木簡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타입은 「◯城下」의 真下에서 물품명이 기재되었다는 점이 특이하고, 품목과 麦 · 米로 少数派인 것을 확인했다. 또 「◯城下」가 州·郡 중 어디인지를 생각했을 때, 郡에 가깝다고 결론 내렸다. Ⅲ장에서는 월성 해자 출토 前白木簡을 살펴보았다. 1절에서는 「大烏知郎」으로 시작되는 4면 묵서 목간을 살펴보면서 일본의 前白木簡과의 공동점이 많다고 소개하였다. 그 후 중국 漢簡과의 비교를 시도한 김병준의 견해에 대해서도 약간의 의견을 덧붙였다. 2절에서는 2017년에 공개된 월성 해자 출토 前白木簡 3점을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그 서식에 주목하면서 검토를 진행했다. 지금까지 알려진 한국의 前白木簡과 달리 3점 모두 날짜가 적혀 있지 않으며, 2점은 첫머리에 행선지(상신처)가 기록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것들은 일본에서 출토된 대부분의 前白木簡과 공통된다. 또 이 3점을 포함해 한국의 前白木簡을 살펴보면 행선지가 地位 · 尊称 · 官職으로 기록되는 것, 差出이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은 일본과도 공통되는 부분이다. 일본의 前白木簡의 직접적인 기원이 조선반도에 있었다고 하는 추론은 이미 제기되었지만, 보다 명료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Based on Japan’s experiences in the 7th century, this thesis attempts to raise some questions about 荷札木簡, which was excavated from Seongsan Fortress(城山山城), and 前白木簡, which was excavated at the moat of the Wolseong palace(月城垓字) in Gyeongju. In Chapter II looked at the excavated at Seongsan Fortress(城山山城) wooden tablets on tag attached to the luggage(荷札木簡). The first verse took issue with the wooden solidarity. In the second verse, we looked at the wooden documents standard form of Seongsan Fortress(城山山城). In section 3, we looked at the high volume of Guribeol(仇利伐). In section 4, we looked at 「◯城下」 of wooden tablets on tag attached to the luggage(荷札木簡) as a rather special example. Chapter III looked excavated at the moat of the Wolseong palace(月城垓字). The first verse confirmed that there were many joint points with Japanese wooden docunents to compare in korea wooden documents. In the second verse, we looked at three pieces of the Wolseong moat(月城垓字), which were released in 2017. The reasoning that the direct origin of Japan’s wooden documents of front writing ‘前’(前白木簡) was found in the ancient korea has already been raised, but is appearing in a clearer form.

      • KCI등재

        나주 복암리 목간 출토의 고고학적 의의

        김혜정 국립문화재연구원 2016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9 No.2

        In 2008, the oldest wooden tablets, in the Baekje area, were uncovered from the Bogam-ri site in Naju. This paper defines wooden tablets to as objects with inking inscriptions. Of 65 wooden tablets contained in the excavation report of this site,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s of 13 tablets with inscriptions written in ink by comparing them with other tablets found in the Baekje area. All tablets were unearthed from Pit Feature No. 1, a large-scale feature, at this site. Vertical stratigraphy of the feature is divided into 43 layers; but it seems that it does not reflect the chronological order, since unearthed artefacts, including wooden tablets, pottery, and roof tiles, turned out to be produced at the same age. Wooden tablets were not found in other features, and intentionally buried in this featur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wooden tablets indicate that the pit was the secondary refuse place. The inscription of the wooden tablets labeled ‘gyeongonyeon(庚午年)’ and the radiocarbon dates of them indicate that these tablets were created in the early 7th century AD, centered in 610 AD. On the basis of contents and typological characteristics, these are classified into six documents, six tags, and one tablet for other purpose. Total 89 pieces of wooden tablets have been unearthed in the Baekje area. Except tablets found in Naju and Geumsan, all have been collected in palaces, royal gardens, and temples inside and outside of the Sabi Capital. The significant wooden tablets of Baekje, which can be compared with tablets from Bogam-ri, were unearthed at from the Gwanbuk-ri site, the Gungnamji site, and the Ssangbuk-ri 280-5 site. Comparative studies on wooden tablets have revealed that the place name during the Wungjin Commandery Period, the status marking method standardized in the order of place name, official rank and person's name, the fact that Baekje operated the system of prefecture(郡), and Bogam-ri was one of the places where prefecture was established, and the evidence of family register system. Wooden tablets at Bogam-ri record the documented date (610 AD), the documented place (Duhilseong where the prefecture established), and the writers (advisors and staffs of the prefecture). The recorded contents of them are invaluable data showing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of Baekje, such as the status marking method, the means of description, the family-register system, and the land surveying system. 2008년 나주 복암리유적에서 백제지방 최초로 목간이 출토되었다. 이 글에서는 목간을 묵서가 있는 목제품으로 정의하고 복암리유적 발굴보고서에 수록된 목간 65점 중 묵서가 확인된 13점을 대상으로 백제 목간 출토현황과 비교하여 복암리 목간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복암리 출토 목간은 모두 대형의 1호수혈에서 일괄 출토되었다. 수혈 내부 토층은 모두 43개의 층으로 세분되나 출토된 목간을비롯한 다수의 목제품, 토기, 기와 등 유물의 시기적 차이는 보이지 않는다. 목간은 다른 유구에서는 출토되지 않았으며 수혈에 일부러폐기한 것으로 보이는데, 목간의 형태적 특징을 통해 2차 폐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복암리 목간은 간지명 묵서 ‘경오년(庚午年)’이 확인된 목간과 C14 연대측정 결과 등을 토대로 610년을 중심연대로 7세기 초반으로편년된다. 출토된 13점의 목간을 묵서 내용과 형태적 특징을 토대로 기능적으로 분류하면 문서목간 6점, 부찰목간 6점, 기타목간 1점으로 나뉜다. 현재까지 출토된 백제 목간은 총 89점으로 출토 지역은 나주와 금산을 제외하면 모두 부여에서 출토되었고, 사비도성 안팎의왕궁지, 궁원지, 사찰 등으로 다양하다. 복암리 목간과 비교되는 주요 백제 목간으로는 관북리 목간, 궁남지 목간, 쌍북리 280-5번지목간 등이다. 이들 목간과의 비교를 통해 웅진도독부 시절의 지명에 대한 검토, 지명+관등+인명 순으로 정형화된 신분표시 방식, 백제에서 군제가 실시되었고 복암리는 군이 설치된 지역이었다는 단서, 정중제 실시 등을 살펴볼 수 있다. 복암리 목간은 작성시기(610년), 작성지(군이 설치된 두힐성), 작성주체(군좌, 지방관 등)가 확실하며 기록된 내용은 백제 목간의표준화된 신분표시 방식, 서사방식, 정중제와 양전제의 실시 등 백제 지방사회의 지배에 대한 일면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중요자료라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