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모음추이설에 대한 비판적·종합적 고찰

        고성연(Ko Seongyeon) 한글학회 2020 한글 Vol.- No.329

        이 글은 한국어 모음추이 가설의 지난 50년사를 충실히 돌아보기 위해 쓰인 글이다. 이를 위해 그간 국내외 학계에서 제기된 비판적 논점들을 자세히 살핌으로써 모음추이 가설이 지닌 이론적, 경험적 한계를 종합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한국어 모음추이설의 거의 유일한 문헌학적 증거인 몽골어 차용어 자료를 재검토하고 그 이면에 전제된 중세 몽골어에 대한 구개적 조화 이론에 대한 대안으로서, 중세 몽골어 모음체계를 혀뿌리 조화 체계로 보아야 한다는 수정주의적 해석(Ko 2013, 2018)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몽골어 모음추이설의 기각, 그리고 그에 따른 한국어 모음추이설의 기각으로 귀결된다. 마지막으로 수정주의적 해석에 대한 바레레·얀후넨(Barrere & Janhunen 2019)의 반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이들이 제시한 전통적 해석의 여섯 가지 논거가 몽골어 모음추이설을 끝내 구해내지 못한다는 점을 보였다. This article present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history, issues, and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vowel shift hypothesis(KVS) (Lee 1972). A thorough reevaluation of the plausibility and adequacy of the KVS, combined with various counterexamples and contradictory evidence put forward in the literature, shows that the KVS is simply untenable. One major argument against the hypothesis comes from Ko’s (2013 & 2018) rejection of the Mongolic vowel shift hypothesis (MVS) (Svantesson et al. 2005). Ko’s revisionist view that Middle Mongolian had a tongue root harmony system poses a critical challenge to the proponents of the KVS who took it for granted that Middle Mongolian had a palatal harmony system when comparing the vowel qualities of Middle Korean and Middle Mongolian. This article also critically reviews the most recent arguments presented in favor of the conventional view by Barrere and Janhunen (2019).

      • KCI등재

        국어 모음추이의 시기와 원인에 대한 비판적 검토

        고경재(Koh KyeongJae) 한국어학회 2017 한국어학 Vol.75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iew the period and the reason of Korean vowel shift. To do this, this paper reviewed the data which recorded Middle Korean vocabulary and Middle Mongolian. In chapter 2, this paper asserted that the chain shifts which appeared in existing theses are not valid, and reconstructed 15th century Korean vowel system. In chapter 3, this paper pointed out the problems which conventional vowel shift theory contains based on 『Chih-lin-lei-shih』(『雞林類事』) and 『Mongɣol-un ni’uča tobča’an』(『元朝祕史』). Finally in chapter 4, this paper pointed out we could move up the period of Korean vowel shift to before 8th century based on sounds of sino-Korean characters.

      • KCI등재

        중세국어 ‘ㅐ, ㅔ, ㅚ, ㅟ’ 등의 음가와 단모음화 현상

        이동석(Lee Dong-seok) 한글학회 2021 한글 Vol.- No.333

        중세국어의 ‘ㅐ, ㅔ, ㅚ, ㅟ’ 등은 지금과 같은 단모음이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 모음의 음가를 하향 이중모음으로 보기도 하나, 이 모음들이 상성으로 실현된 예가 있는 것을 보면 그 음가가 복모음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ㅐ, ㅔ, ㅚ, ㅟ’ 등은 이후 단모음화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적어도 19세기에는 단모음화가 확립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단모음화 현상의 원인으로 흔히 모음 충돌 회피나 모음 추이 등을 언급하나, 실제로는 모음별로 단모음화 현상의 원인과 과정이 달랐을 것으로 보인다. ‘ㅐ, ㅔ’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어미의 결합에 의해 / i/의 음절 경계가 바뀜에 따라 이를 통일하고자 하는 의식의 작용으로 단모음화 현상이 발생하게 된 것으로 보이고, ‘ㅟ’는 ‘ui > wi > ɥi > ü’의 과정을, ‘ㅚ’는 ‘oi > we > ɥe > ö’의 과정을 거쳐서 단모음화된 것으로 보인다. It seems that “ㅐ,” “ㅔ,” “ㅚ,” and “ㅟ” in middle Korean were not short vowels as they are now. Although these vowels are considered to be falling diphthongs,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ir sound values were complex vowels when looking at examples in which these vowels were realized with rising tones. “ㅐ,” “ㅔ,” “ㅚ,” “ㅟ,” and other vowel sounds tended to become short vowels. It seems that vowels had shortened by the 19th century at the latest. Although hiatus resolution and vowel shift are often mentioned as causes of monophthongization, the causes and monophthongization processes were likely different for each vowel. In “ㅐ” and “ㅔ,” as the syllable boundary of /i/ changed due to the combination of particles and endings that start with vowels, monophthongization seems to have occurred as a result of consciously unifying them. “ㅟ” seems to have been shortened through the process of “ui” > “wi” > “ɥi” > “ü” and “ㅚ” through the process of “oi” > “we” > “ɥe” > “ö”.

      • KCI등재

        ‘’의 음가론

        이진호 국어사학회 2013 국어사연구 Vol.0 No.17

        이 글은 ‘’의 음가 추정에 활용되는 방법론에 초점을 맞추어 ‘’의 음가론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살핀다. ‘’의 음가 추정에 활용된 방법은 매우 다양하지만 각각이 한계점을 지닌다. 그래서 ‘’의 음가론은 여전히 혼돈의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별 방법론의 특징을 고려하여 그 활용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 ‘’의 음가를 추정하기 위한 직접적인 방법과 추정된 음가의 타당성을 간접적으로 뒷받침하는 방법을 구분하면서 최대한 다양한 방법들을 활용해야 할 것이다. ‘’의 음가론에서 핵심 쟁점은 혀의 위치에 있다. 혀의 전후 위치에 있어서는 후설에서 중설, 혀의 높낮이에 있어서는 중간 부근에서 맨 아래에 걸쳐 다양한 음가들이 제안되었다. 그런데 ‘’의 음가를 모음도 상의 어느 한 지점에 정확히 위치시키려는 시도가 최선의 방법인지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조음 영역이 넓은 모음의 특성을 고려하면 ‘’의 음역을 보다 융통성 있게 한정하는 것이 더 현실적이다. 또한 ‘’의 음가론과 대립 관계의 차이점도 명확히 인식해야 할 것이다. There are many methods for estimating the phonetic value of ‘’, but all of them have some weak points. So an endless discussion continues till today. For the sake of settling this situation, it needs to make various use but different use of each methods owing to its characteristics. The main point in the phonetic value of ‘’ lies in the place of tongue. Many different views have been proposed, for example, from back vowel to central vowel in the backness of tongue and from low vowel to mid-high vowel in the height of tongue. In this period, we have to make time to think if it is right to take pinpoint approach. All the vowels have broad range in vowel chart and it may be impossible to specify the missing vowel. It need some flexible attitude. In addition, we must distinguish the phonetic value part and contrast relation part. These two parts have something to do but not coincide each other.

      • KCI등재후보

        모음체계의 변화와 방언접촉

        김선회(Sun-Hoi Kim) 한국중원언어학회 2010 언어학연구 Vol.0 No.16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n Optimality-theoretic approach to the phenomenon that the change of a vowel system is activated by the most unstable vowel in the vowel system and it is also influenc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dialect contact. For achieving this goal, this paper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loss of a low back vowel in Korean. In the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McCarthy & Prince 1993, Prince & Smolensky 1993/2004), this phenomenon is analyzed in relation to conflicting constraints. The analysis proposed by this paper shows that the vowel shift in Middle Korean is a result of the constraint ranking where a listener-oriented faithfulness constraint outranks speaker-oriented faithfulness ones. It further shows that the loss of the Korean low back vowel is influenced by dialect contact and its influence is formalized by the constraint ranking where an output-output faithfulness constraint outranks input-output faithfulness ones.

      • KCI등재

        음운사의 쟁점과 이론, 또 다른 접근 모색

        신승용 동남어문학회 2021 동남어문논집 Vol.1 No.52

        In this paper, I have looked at issues related to four themes. First, whether there was actually vowel shift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second, the problem of precedence between changes in the consonant system and the occurrence of the palatalization rule, third, the problem of /・/ change and the regularity of labialization, fourth,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of the notation related to ‘ㅇ’. The reason that these four themes become issues is due to differences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interprets data or phenomena to a certain extent. In consideration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content of the issue was examined, and another possibility of approaching the issue was briefly explored. 본고에서 4가지 주제와 관련된 쟁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국어사에서 실제 모음추이가 있었는지, 둘째, 자음체계 변화와 구개음화 규칙 발생 간의 선후 문제, 셋째, /・/의 변화 및 원순모음화의 규칙성 문제, 넷째, 유성 후두마찰음 ‘ㅇ[ɦ]’과 관련된 표기의 해석 문제이다. 이 4가지 주제가 쟁점이 되는 것은 일정 정도 자료나 현상을 해석하는 이론적 배경의 차이에 기인한다. 이론적 배경을 고려하여 쟁점의 내용을 살펴보고, 쟁점의 또 다른 접근 가능성을 소략하게나마 모색해 보았다.

      • KCI등재

        어말 위치 /ᅩ/의 /ᅮ/ 대체 현상에 대한 문법 항목별 출현빈도 연구

        윤은경(Eunkyung Yoon) 한국음성학회 2020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12 No.1

        본 논문은 구어 말뭉치를 기반으로 한국어 /ᅩ/가 /ᅮ/로 고모음화되는 현상(예, ‘별로’ [별루])에 대해 문법 항목별로 차이를 살펴보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한국어의 /ᅩ/와 /ᅮ/는 [+원순성] 자질을 공유하지만, 혀 높이 차이로 변별된다. 그러나 최근 /ᅩ/와 /ᅮ/의 두 모음의 음성적 구분이 모호해지는 병합 현상이 진행 중이라고 여러 논문에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어말 위치의 /ᅩ/가 한국어 자연언어 구어 말뭉치(The Korean Corpus of Spontaneous Speech)에서 음성적으로 [o] 또는 [u]로 실현되는 현상을 연결어미, 조사, 부사, 체언의 문법 항목별로 출현빈도 및 출현비율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연결어미, 조사, 부사에서 /ᅩ/는 약 50%의 비율로 /ᅮ/로 대체되는 것을 확인했고, 체언에서만 상당히 낮은 비율인 5% 미만으로 대체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빈도 형태소 중에서 가장 높은 /ᅮ/ 대체율을 보인 형태소는 "-도 [두]" (59.6%)였고, 연결어미에서는 "-고 [구]" (43.5%)로 나타났다. 구어 말뭉치를 통하여 실제 발음형과 표준발음의 차이를 살펴보았다는 데 연구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substitution of /u/ for /o/ (e.g., pyəllo [pyəllu]) in Korean based on the speech corpus as a function of grammar items. Korean /o/ and /u/ share the vowel feature [+rounded], but are distinguished in terms of tongue height. However, researchers have reported that the merger of Korean /o/ and /u/ is in progress, making them indistinguishable. Thus, in this study, the frequency of the phonetic manifestation /u/ of the underlying form of /o/ for each grammar item was calculated in The Korean Corpus of Spontaneous Speech (Seoul Corpus 2015) which is a large corpus from a total of 40 speakers from Seoul or Gyeonggi-do. It was then confirmed that linking endings, particles, and adverbs ending with /o/ in the word-final position were substituted for /u/ approximately 50% of the stimuli, whereas, in nominal items, they were replaced at a frequency of less than 5%. The high rates of substitution were the special particle “-do[du]” (59.6%) and the linking ending “-go[gu]” (43.5%) among high-frequency items. Observing Korean pronunciation in real life provides deep insight into it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speech recogni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어와 몽골어 사이의 동원어(同源語)에 대한 기초적 연구

        고경재(Koh, KyeongJae) 한국어학회 2018 한국어학 Vol.79 No.-

        In this paper I have extracted some Korean words which correspond to Mongolian words within the framework of cognation, and identified some facts of historical phonology. In chpater 2, I have examined the methods of etymology. In 2.1., I have presented phonological·semantic criteria, and in 2.2., I have distinguished the cognate words with the loanwords. In chapter 3, I presented cognate words between Korean and Mongolian language, which are based on Ramstedt(1949) and Poppe(1950). Recently many scholars talking mainly about loanwords, but if the words which have been presented in <table 2> could correspond each other, Korean and Mongolian language could also be discussed from an etymological point of view.

      • 영어철자와 발음의 괴리: 통시적 연구

        이동국 ( Lee Dongkook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20 통합인문학연구 Vol.12 No.1

        영어의 철자는 발음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영어 학습자들에게 큰 부담을 주고 있다 본 논문은 영어의 철자법이 . 불규칙한 이유를 역사적인 분석을 통해 밝히고 영어 철자의 숨은 원리를 찾아내어 영어의 이해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외국 철자법의 영향, 학자나 인쇄공의 실수 등의 원인도 있지만, 대부분의 철자와 발음의 불일치는 중세영어 말 고정되기 시작한 철자가 초기현대영어시대 이후 일어난 큰 음운변화들을 따라잡지 못한데서 비롯되었다. 우리가 그 통시적 변화의 내용을 이해한다면 철자를 보고 발음을 쉽게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 철자법은 외견상 무질서하게 보이나 역사적 시각에서 보면 특정한 일관성이 존재함을 발견하게 된다.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the correlation between spelling and pronunciation in English. The current English spelling system seems illogical and non-phonetic since a perfect correspondence between letters and sounds does not exist. ESL and EFL learners cannot overlook these irregularities. Previous studies have failed to provide satisfactory explanations for this phenomenon by focusing solely on spelling patterns or pronunciation drills. This study finds that the problems are linked mainly to historical reasons. While spelling remained somewhat consistent in the Early Modern English, English pronunciation has undergone important shifts since the introduction of printing in England. Thus, in many cases, the lack of consistency came about because modern English spelling was fixed in the fifteenth century but could not keep up with the sounds changes thereafter. There were other historical factors that caused the mismatch in spelling and pronunciation: the influence of the French scribes, minim stroke avoidance, and spelling errors by early printers. Given the chronological explanations, the sound-to-letter correspondences are not as inconsistent as widely believed. Understanding this “secret” of English spelling may reduce complexity in spelling for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