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대학생들의 미국영어 모음의 발화와 인지

        초미희(Mi-Hui Ch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모국어 습득과 달리 제2언어 또는 외국어 습득 분야에서는 발화와 인지의 관계가 연구마다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한국 EFL 대학생들의 영어 모음의 발화와 인지 테스트의 사례연구를 통해서 인지와 발화의 관계를 심도 있게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19명의 수도권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미국영어 모음에 대한 발화와 인지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해서 발화와 인지의 선행관계와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미국영어 모음에 대한 발화와 인지의 선행관계는 전체 모음의 결과에서 발화와 인지 정확도 사이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인지 선행론이나 발화 선행론에 대한 증거가 되지 못했다. 개별 모음에서는 [ɛ], [ɑ], [ɔ], [u] 모음들의 발화와 인지 정확도 차이만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모음들의 발화와 인지 정확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므로 발화와 인지의 선행 관계는 모음에 따라서 다르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미국영어 모음에 대한 발화와 인지 사이의 상관관계는 전체 모음 뿐 만 아니라 개별 모음들에서도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지 정확도가 높다고 해서 발화 정확도가 높거나, 거꾸로 발화 정확도가 높다고 해서 인지 정확도가 높을 만큼의 발화와 인지 사이에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지 못했다. 언어습득은 인지와 발화를 통합하는 과정이고, Flege와 동료들이 보고한 것처럼 L2 경험이 많을수록 발화와 인지 능력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발전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영어 경험이 상대적으로 적은 EFL 학생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 결과는 발화와 인지 사이의 상관관계는 언어습득 단계에 따라서 발화와 인지가 서로 연결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교육현장에 접목하는 시도가 있었다. Motivated by the mixed results i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ech production and perception, the curr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in depth through a case study on how Korean EFL university students produce and perceive American English vowels. To this end, 19 Korean students at a university located in the Seoul-metropolitan area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tests on American English vowels to elucidate the precedence relationship and the correlation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Results showed that precedence of neither perception nor production was found in the overall result. However, either precedence of perception or production was found for the vowels [ɛ], [ɑ], [ɔ], [u], which implies that the precedenc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varies depending on individual vowels.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no correlation was attested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suggesting that production and perception skills are not closely linked for these participants. Given that mastering language requires to coordinate two distinct production and perception skills and that L2 learners preception and production skills become more closely connected as the learners L2 experience and proficiency increases, no correlation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attested by the current EFL students implie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varies during the course of foreign language/L2 acquisition in such a way that production and perception skills become increasingly related.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further discussed and pedagogical suggestions were provided.

      • KCI등재

        한,일 양 언어의 발화스타일에 따른 음절구조와 지속시간의 변화에 의한 모음의 무성화

        유춘선 한국일어교육학회 2013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27

        본고는 한·일 양 언어의 모음의 무성화에 대하여 다양하고 체계적인 연구를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발화스타일에 따른 모음의 무성화가 양 언어 모국어화자의 발화음성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 그 실태와 차이점을 실험음성학적으로 고찰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모음의 무성화와 같은 분절음 현상은 지속시간과 관련이 있으므로 발화스타일(정중발화, 회화발화)에 따라 어느 정도 무성화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어, 느리고 명료한 정중발화보다 빠르고 친근한 회화발화에서 무성화하기 쉬울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 가설을 입증하기 위하여 양 언어의 모국어화자 8명이 발화스타일에 따라 발화 한 음성자료를 음성분석기의 파형, 피치곡선, 포먼트 등으로 무성화 여부를 판단하고, 단어 및 분절음의 지속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1)발화스타일에 따른 무성화 발생비율은 한·일 양 언어 모두 정중발화, 회화발화에서 거의 근사치를 보이고 있어 발화스타일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2)실험단어로 개음절과 폐음절로 대응하는 단어를 사용하여 음절구조 내의 지속시간의 보상관계가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발화스타일별 음절구조에 따른 무성화 비율을 살펴보니, 일본어에서는 발화스타일에 관계없이 개음절에서는 평균 96%로 무성화 하는데 비해, 폐음절에서는 47.%로 무성화 발생비율이 낮았다. 반면 한국어에서는 일본어와 달리 폐음절(50%)에서 개음절(35%)보다 더 많이 무성화하고 있었다. (3)발화스타일과 단어지속시간, 모음지속시간을 보면 한·일 양 언어 모두에서 그다지 크게 유의 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지속시간 특히 모음지속시간과 무성화와의 관계에서는 음의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로서 모음의 지속시간이 짧아질수록 무성화가 많이 일어나는 반비례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한·일 양 언어 모두에서 모음의 무성화는 지속시간, 특히 모음지속시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발화스타일에는 크게 좌우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本稿は韓·日兩言語において發話スタイルによる母音の無聲化が兩言語の母語話者の發話でどのように實現されているかを調べるために行ったものである。母音の無聲化は發話スタイル(丁寧體, 會話體)の違いによる速度の變化によって影響を受けると予想される。したがって, 本論文では無聲化の生起率がゆっくりと明瞭に話す丁寧體より, 速く話す親しい會話體で高く現れると가說を立てた。兩言語の母語話者の8人がそれぞれの發話スタイルによって發音した音聲デ一タ一を, 音聲分析器で無聲化が起っているかどうかを判斷し, また分節音の持續時間を測定した。實驗の結果, (1)發話スタイルによる無聲化の生起率は韓國語でも日本語でもあまり差がなかった。(2)開音節, 閉音節のミニマルペアになっている單語を對象として音節構造での持續時間の補償關係を確認した結果は, 日本語では開音節で平均96%,閉音節では47%の無聲化が生じた。一方韓國語では日本語とは違って開音節(35%)より閉音節(50%)でより高い確率で無聲化が起っていた。(3)發話スタイルと分節音の持續時間との相關をみると, 兩言語でその有意差はなかった。しかし, 持續時間, 特に母音の長さと無聲化とを比較してみると相當高い負の相關係數を表している。このことによって母音の持續時間が短くなればなるほど母音の無聲化が高く起るという反比例關係にあることが分かった。このように本硏究では韓·日兩言語における母音の無聲化は持續時間, 特に母音の持續時間と緊密に關わっているが, 發話スタイルによってはそれほど關わりがないということが確認された。

      • KCI등재

        발화속도와 한국어 분절음의 음향학적 특성

        이숙향,고현주 한국음향학회 2004 韓國音響學會誌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산출실험을 통해 발화속도와 한국어의 분절음의 지속시간 및 포만트 특성과의 관계와 모음의 지속시간과 포만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빠른 발화일수록 음절 및 자음과 모음의 지속시간은 짧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화자에서 폐쇄음의 폐쇄구간 대 기식구간의 비율이나 한 음절 내의 모음 대 자음 지속시간의 비율은 발화속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 일부 화자들은 발화속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화속도의 영향을 받는 화자들에서 폐쇄음의 경우 폐쇄구간이 기식구간보다 영향을 더 받으며 음절의 경우 모음이 자음보다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화속도와 모음의 포만트값과의 관계 분석 결과 발화속도가 모음약화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화자간에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화자마다 모음의 포만트값 구현에 관하여 다른 발화기재를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시사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발화속도의 증가에 따라 조음기관의 움직임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화자가 있는 반면 발화속도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는 화자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ollowing three things through a production experiment and acoustic analysis: 1) relationship between speech rate and the segment duration in Korean, 2) relationship between speech rate and spectral characteristics of vowels, i. e. undershoot, and 3) correlation between the vowel duration and undershoo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ster the speech rate nab, the shorter the duration of syllables and segments was. A few speakers were affected by speech rate in the durational ratios between closure and aspiration in a stop and between Towel and consonant in a syllable. Closure duration and vowel duration were more affected compared to aspiration and consonant duration, respectively. Speakers showed some differences in the extent to which speech rate affected vowel undershoot, implying that speakers used different production mechanisms for spectral characteristics of vowels: Some speakers speeded up movement of articulatory organs according to speech rate increase while some kept it constant regardless of speech rate change.

      • KCI등재

        한국 학생들의 영어 철자 <a> 인지와 발화

        초미희(Mi-Hui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2

        영어 철자 <a>는 5 가지의 영어 모음 [?, e?, æ, ?, ?]로 실현되는데,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한국 학생들이 영어 철자 <a>를 어떻게 인지하고 발음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31명의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철자<a>를 포함한 28개의 영어 단어들에 대하여 인지 테스트와 발화 테스트를 사전과 사후로 나눠서 실시하였다. 전체적인 결과에서는 사전과 사후에서 모두 발화의 정확도가 인지보다 조금 높았으며 상승의 정도도 발화가 조금 높게 나왔다. 인지에서는 목표 모음이 [?]와 [e?]인 경우 높은 정확도를 보였고 발화에서는 목표 모음이 [?]와 [?]인 경우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목표 모음이 비강세 모음 [?]인 경우에는 발화와 인지에서 모두 정확도가 가장 낮아서 테스트 참여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모음으로 밝혀졌다. 인지와 발화에서 모두 사전 정확도보다 사후 정확도가 유의하게 상승되어 훈련의 효과를 보인 모음은 [e?]와 [æ]이었으며, [?]는 유의 수준을 약간 초과하여 향상되었다. 반면에 [?]의 사후 정확도는 사전보다 의미 있게 높아지지 않았고, [?]의 경우 사후 인지 정확도는 사전보다 크게 높아지지 않았으나 사후 발화 정확도는 사전보다 유의하게 상승되어서 인지보다는 발화에서 훈련의 효과를 보여 주었다. 철자 <a>와 관련된 영어 모음의 우세한 오류 패턴은 인지와 발화에서 모두 목표 모음이 [æ], [?], 또는 [e?]로 대치되는 것으로, 철자 <a>가 [?]로 표준화되어 나타나는 철자의 영향 이외에도 [æ]와 [e?]로도 인지하고 발화하는 오류를 흔히 일으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인 함축점도 논의하였다. Motivated by the fact that English grapheme <a> is realized as 5 different English vowels [?, e?, æ, ?, ?],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Korean students perceive and produce English grapheme <a> in words. To this end, 31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tests on 28 English words containing grapheme <a>. Overall, the participants performed better on production than perception both in the pretest and posttest. Also, the accuracy of perception and production was improved in the posttest. While the accuracy rates of [?] and [e?] were among highest in the perception test, those of [?] and [?] were in the production test. By contrast, the accuracy of unstressed [?] was worst both in perception and production. As for the training effect, [e?] and [æ]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both in perception and production. In addition, the perception and the production of [?] were improved at the .051-4 significance level. However, the accuracies of [?] improved significantly neither in perception nor in production. In the case of [?], the production ability was improved significantly whereas the perception ability was not. The prominent error patterns of <a> were the replacement of the target vowels with [æ], [?], or [e?]. The influence of orthography was attested through the persistent occurrence of [?]. Finally,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A Study on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Sustained Vowel and Continuous Speech Production of Female Voice Disorder Patients

        표화영(Hwa Young Pyo)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2

        배경 및 목적: 음성장애 화자를 평가할 때 연장모음과 연속발화가 보이는 특성이 서로 다름은 익히 알려져 있으나 공기역학적 측면에서의 이러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음성장애 화자의 공기역학적 특성이 연장모음과 연속발화 시 어떤 상관을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43명의 음성장애 여성화자로 하여금 /ㅏ/ 모음의 연장발성과 ‘가을’ 문단 낭독을 하도록 하였다. 이를 Phonatory Aerodynamic System의 Maximum Sustained Phonation과 Running Speech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장모음 및 연속발화의 공기역학적 측면을 분석하고 측정치 간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결과: 공기역학적 측정치 중 시간 관련 영역 측정치는 연장모음과 연속발화간의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기류량과 기류체적 관련 영역 측정치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기는 했으나 그 상관의 정도가 높지는 않았다(r=-.521-.504). 논의 및 결론: 연구 결과, 공기역학적 측면에서 연속발화 측정치와 연장모음 측정치 간의 상관성은 유의하지 않거나 유의해도 상관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임상적 의미가 있는 공기역학적 평가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연장모음뿐만 아니라 연속발화 과제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Although it is well-know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ustained vowel and continuous speech are very different when evaluating voice problems, very little information has been reported on the aerodynamic aspects of these difference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sustained vowel phonation and continuous speech production. Methods: Forty-three female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produced a sustained vowel /a/ and continuous speech through paragraph reading, and their aerodynam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the ‘Maximum Sustained Phonation’ and ‘Running Speech’ programs of Phonatory Aerodynamic Systems (PA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ustained vowel and continuous speech in the time domain of the aerodynamic measurement result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but not high, correlation (r=-.521-.504) between the two speech tasks in the airflow rate and volume measurement results.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tasks was significant, but not high. Therefore, in evaluating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voice disorder patients, it is necessary to include continuous speech as well as a sustained vowel for meaningful and valid results.

      • KCI등재

        발화속도에 따른 한국어 모음의 음향적 특성

        이숙향,고현주,한양구,김종진 한국음향학회 2003 韓國音響學會誌 Vol.22 No.1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vowels through a production test under three conditions of speaking rates (slow, normal, fast). The effects of a change in speaking .ate on vowel duration were found to be very strong. The faster speaking rate was, the shorter the total duration of vowels was. But the duration ratio of two components of diphthong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changes in speaking rate. But unlike the temporal aspects, the formant value of vowels at their steady-state and change ratio of formant of semivowels were not affected strongly by the change in speaking rate. 본 연구는 발화속도에 따른 한국어 모음의 음향적 특성에 관한 것으로 보통, 느림. 빠름의 발화속도 변화에 따라 단모음과 이중모음의 반모음 성분과 단모음성분의 지속시간적 특성과 포만트 특성을 살펴보았다. 지속시간은 전체적으로 발화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포만트는 단모음과 이중모음의 단모음 성분의 경우 큰 차이가 없었고 이중모음의 반모음 성분의 경우는 반모음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

        Acoustic Characteristics of Adults' Rhotic Monophthongs and Diphthongs

        정현주(Hyunju Chung),Karen E. Polloc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1

        배경 및 목적: 치경접근음은 일반적으로 습득이 어려운 음성 중 하나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특히 치경접근 자음에 비해 치경접근 모음의 연구, 심지어 성인 대상의 연구 중에도 치경접근 모음에 관한 연구는 찾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특정 음성환경이 치경접근 단모음과 이중모음 산출에 영향을 미치는지, 따라서 조음 습득에 더 용이한 환경을 제공하는 지를 음향학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방법: 서부 캐나다 영어를 모국어로 쓰는 10명의 여성 성인 화자로부터 폐음절 또는 개음절 내 2종류의 치경접근 단모음과 4종류의 치경접근 이중모음을 포함한 36개의 목표단어를 채취하여, 각 모음의 F2, F3 및 모음 길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치경접근 단모음과 이중모음 중 치경접근음 앞에 전설모음이 오는 경우 지속적으로 낮은 F3-F2 패턴을 보인 반면, 후설모음이 오는 경우 상대적으로 경사진 하향 패턴을 보였다. [ɝ] 모음이 [ɚ]에 비해 길이가 긴 것을 제외하면, 강세여부가 다른 두 종류의 치경접근 단모음에서는 뚜렷한 음향학적 차이를 찾아볼 수 없었다. 네 종류의 치경접근 이중모음 또한 뚜렷한 모음길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여섯 종류 치경접근모음의 음향학적 차이는 특정 음성환경이 보다 더 뚜렷한 음향적 단서를 제공함으로 음성 습득에 보다 용이한 음성 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Objectives: Rhotic sounds are known to be among the later developed sounds in young children, especially for those with speech sound disorders. Despite this fact, not many studies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rhotic vowels. Adults' productions of rhotic vowels have not been well investigated in spite of a relatively large literature on rhotic consonants. This study examined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rhotic monophthongs and diphthongs to see if certain phonetic contexts require less demanding articulatory movements or are different in vowel duration from other contexts, and thus work as a facilitating context for the acquisition of rhotic vowels. Methods: Ten monolingual female adult speakers of Western Canadian English produced 36 target words containing two rhotic monophthongs ([ɝ] and [ɚ]), and four rhotic diphthongs (/ɪ͡ɚ/, /ɛ͡ɚ/, /ɔ͡ɚ/, and /ɑ͡ɚ/) in both open and closed syllables. Acoustic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tract F2 and F3 values across the vowel duration, as well as the duration for each vowel. Results: Constantly low F3-F2 values were found for rhotic monophthongs and rhotic diphthongs with front pre-rhotic vowels, but steeper downward movement was found for rhotic diphthongs with back pre-rhotic vowels. Stressed and unstressed rhotic monophthongs showed similar acoustic patterns, except for [ɝ] which was slightly longer than [ɚ]. Across four rhotic diphthongs, no clear durational difference was found. Conclusion: Differences in acoustic patterns by phonetic contexts across six different rhotic vowel types suggest that certain phonetic contexts could provide more salient perceptual cues and thus facilitate relatively easier mastery of sounds over others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모음 변별에 한국어 무성 모음화가 미치는 영향 연구 :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학습자의 모음 /ㅣ/와 /ㅡ/ 대치 오류를 중심으로

        심현주 ( Shim Hyun-ju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인문학연구 Vol.0 No.33

        이 연구는 한국인의 발화에서 나타나는 무성 모음화 현상이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오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우즈베키스탄 학습자의 쓰기 자료에서 나타나는 한국어 모음 /ㅣ/와 /ㅡ/의 대치오류를 분석해 봄으로써 한국어 무성 모음화와의 관련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한국어능력시험 32회 초급 서술형 문항 답안지와 우즈베키스탄 현지교육기관에서 수집한 초급 학습자의 쓰기 자료를 선정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먼저 한국어와 우즈베크어의 단모음 체계를 비교해 보았다. 한국어 모음 /ㅏ, ㅔ(ㅐ), ㅣ, ㅗ, ㅜ, ㅓ/는 우즈베크어 모음 /a, e, i, o`, u, o/에 각각 대응하였다. 그러나 한국어 모음 /ㅡ/에 해당하는 우즈베크어 모음은 없었으며, 단지 우즈베크어 /i/의 변이음으로만 존재하였다. 다음으로 선행 연구를 통해 한국어 모음이 무성음화 되는 음소 환경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어 고모음은 선행하는 자음이 치찰성이나 기식성을 가지는 경우에, 그리고 후행 자음이 비음이나 설탄음인 경우에 무성음화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우즈베크어의 고모음에서도 나타나는 것으로 선행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어서 우즈베키스탄 학습자의 쓰기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어 모음 /ㅣ/와 /ㅡ/의 대치 오류가 나타나는 음소 환경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대치 오류는 모두 63회가 확인되었으며, 학습자가 오류를 일으킨 음소 환경과 한국어 모음이 무성음화되는 경우가 상당히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우즈베키스탄 학습자의 모음/ㅣ/와 /ㅡ/ 간의 대치 오류는 학습자 외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예상해 볼 수 있다. This study assumed that the phonemic discrimination errors result from the deficient in information due to the vowel devoicing phenomenon in Korean. Accordingly, it was trying to examine whether the vowel devoicing in Korean has influence on distinguishing between /ㅣ/ and /ㅡ/ in Uzbekistan Korean learners. For that, the single vowel system of Korean was compared to that of Uzbekistan. Consequently, it showed that Korean vowels /ㅏ, ㅔ(ㅐ), ㅣ, ㅗ, ㅜ, ㅓ/ were similar to the Uzbekistan /a, e, i, o`, u/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uzbekistan phoneme corresponded to the Korean vowel /ㅡ/. Only the sound which is similar to the Korean vowel /ㅡ/ was found among allophones of the Uzbekistan vowel /i/. Next, the segmental environment in which Korean vowels become devoiced was explored through the precedent researches. Korean high vowels become devoiced when the preceeding consonant has either [+sibilant] or [+aspirated] feature and the follwing consonant is either a nasal or a tap. Subsequently, the materials written by Uzbekistan learner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segmental environment of the discrimination error between /ㅣ/ and /ㅡ/. As a result, both the segmental environment of the discrimination error in Uzbekistan learners was very similar to that of Korean vowel devoicing. It means that Uzbekistan learners have trouble in distinguishing between /ㅣ/ and /ㅡ/ on the environment in which Korean vowels become devoiced.

      • KCI등재

        Effects of Deep Brain Stimulation (DBS) on Speech and Voice in Parkinson’s Disease

        최성희(Seong Hee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1

        배경 및 목적: 시상이나 기저핵의 뇌심부자극술은 증상이 중심도로 진행된 파킨슨씨병 환자의 가장 안정되고 장기간 효과를 가지는 신경외과 치료 방법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하지만, 말과 음성 개선에 대한 뇌심부자극술의 효과는 연구마다 일치하지 않거나 역효과가 보고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연장 발성과 연속 발화의 모음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섭동적 분석과 비선형 역동적 분석을 통해 뇌심부자극술에 대한 말음성의 개선 효과를 조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3~5 H & Y 단계에 있는 뇌심부자극술-시상핵 자극을 받은 19명의 파킨슨씨병 환자와 뇌심부 자극술-시상핵 자극을 받지 않은 10명의 파킨슨씨병 환자를 각각 치료군과 통제군으로 할당하였다. 파킨슨씨병 환자들은 모두 음성과 발화를 녹음하기 전 밤 사이 12시간 동안 약을 복용하지 않았고, 시상핵에 뇌심부자극술을 받은 환자군은 최소한 12시간 동안 자극을 받았고, 30분 동안 휴지기를 가졌다. 뇌심부자극술을 받지 않은 통제군과 뇌심부자극술을 받은 환자군으로 연장발성과 연속 발화에서 모음을 채취하여 percent jitter, shimmer, SNR과 비선형 역동적 분석인 D₂값을 얻었고 통계학적으로 분석되었다. 결과: 뇌심부자극술을 받은 파킨슨씨병 환자군은 통제군에 비해 모음 연장 발성과 연속 발화에서 모두 유의미하게 낮은 D₂값을 보였으나(p < 0.001). 섭동적 분석에서는 모음 연장 발성과 연속 발화의 모음에서 percent jitter, shimmer, SNR가 모두 뇌심부자극술 후 개선을 보이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비선형 역동적 분석은 뇌심부자극술의 말음성 개선 치료 효과를 보여주었다. 게다가, 연속 발화는 짧은 음성 신호 길이와 높은 소음치를 가지기 때문에 연속 발화를 평가할 때, 비선형 역동적 분석은 섭동적 분석 방법을 대치할 수 있는 음향학적 측정 방법임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비선형 역동적 분석이 중심도로 질병이 진행된 파킨슨씨병 환자의 말음성에 대한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Background & Objectives: Deep brain stimulation (DBS) of the thalamus or basal ganglia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stable and long-term effective neurosurgical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Parkinson’s Disease (PD). Evidence of a surgical approach with DBS in PD with regard to voice and speech is still lacking.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if nonlinear dynamic analysis with vowels from sustained phonation and running speech can b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ctrode implantation and stimulation of the thalamic nucleus (STN) on patients’ voice and speech in advanced stages of PD. Methods: Nineteen idiopathic PD patients that received DBS-STN surgery and ten idiopathic PD patients that did not receive DBS-STN surgery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Participants did not receive medication for 12 hours overnight prior to the recording session. For surgical patients, recordings were taken with the stimulator on (for at least 12 hours) and off (for 30 minutes). The sustained and running vowel segm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perturbation including percent jitter, shimmer, signal-to-noise ratio (SNR) values, and nonlinear dynamic method of correlation dimension (D2). Results: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D2 value of the surgic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mean D2 value of the non-surgical group for sustained and running vowels. The perturbation results failed to achieve significance with DBS, contradicting the results of nonlinear dynamic analysis. Discussion & Conclusion: Nonlinear dynamic analysis showed effects of DBS on PD patients’ voice and speech and may be a useful substitute for perturbation analysis in the evaluation of running speech because of the short signal length and high noise level. The results indicate that nonlinear dynamic analysis may be useful to evaluate the treatment effect in PD patients with severe voice and speech disorders.

      • KCI등재

        Production of English tense and lax vowels by young speakers of Korean dialects : 지역방언 어린이 화자들의 영어 긴장과 이완 모음 발화양상

        임영신(Young-Shin Lim)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1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acoustic properties of English tense and lax vowels by young speakers of Korean regional dialect speakers. A production test is developed to analyze acoustic manifestations of four phonetic parameters (F1, F2, vowel duration, and vowel distance) in English speech of Kyunggi Korean (KK) and North Kyungsang Korean (NKK) dialect speakers. The 184 collected data for the production test consisting of high vowels /i, ɪ, u, ʊ/ in CVC structure are taken from 20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10 for each dialect group). The result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regional dialects, which indicates similar features of acoustic properties are uttered by both groups. However, despite this similarity between two groups, results from comparative analysis with native speakers show that NKK uses less vowel space from the calculated acoustic distance (Euclidean distance). Therefore, it can be argued that discrepancy in overall acoustic properties between young NKK and KK is insignificant but still distinguishing acoustic space of vowel would be harder for NKK. Based on these findings pedagogical implication for effective articulation training has been suggested. 본 연구는 한국의 두 지역방언 화자들이 발화한 영어 긴장과 이완 모음의 음향적 속성에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발화 실험에서는 4개의 음향적 변수를 (F1, F2, 모음 지속시간, 모음간의 거리) 사용하여 경기도와 경상북도 방언 화자들의 음향적 특징을 비교하였다. 발화 실험의 수집된 184개의 데이터는 고모음인 /i, ɪ, u:, ʊ/를 CVC의 형식으로 구성된 것으로 20명의 초등학생들의 (각 10명의 방언화자로 구성) 발화에서 취합하였다. 실험 결과 발화된 음향적 변수값에 대한 두 지역 방언 화자들 간의 유의한 차이점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것으로 두 그룹 간의 발화된 음향적 속성이 유사하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원어민 화자의 발화와 비교한 분석을 보면 경상북도 화자가 측정된 음향적 거리(유클리드 거리)를 통해서 상대적으로 좁은 모음 공간을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지역방언 화자들 간의 전반적인 음향적 속성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원어민 화자와의 음성학적 비교를 통해서 경상북도 화자들에게 모음공간을 활용하여 소리를 구분하여 발화하는 것이 경기도 화자들보다 더 어려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효과적인 조음 훈련에 대한 교육적 제언이 제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