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역할 인식의 영향요인과 정책적 함의

        원숙연(Won, Sook-Yeon),김예슬(Kim, Ye-Seul) 한국여성연구소 2017 페미니즘 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와 그에 따른 일-가족 양립 정책이슈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모성 이데올로기와 남성부양자 이데올로기에 대한 인식의 구조와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밝힌다. 특히 우리나라의 현실을 미국, 스웨덴과 상대적으로 비교하는 국제비교를 시도한다. 이를 위해 국제사회조사 자료(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ISSP) 중 “가족과 변화하는 성역할(Family and Changing Gender Roles: FGR)”자료를 바탕으로 다음의 질문에 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모성 이데올로기와 남성부양자 이데올로기에 대한 인식은 어떤 구조를 갖는가? 각각의 인식에 따라 작용하는 영향요인이 달라지는가? 국가(한국, 미국, 스웨덴)에 따라 영향요인의 차이가 존재하는가? 만일 차이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어떻게 해석될 수 있으며 어떤 의미가 있는가? 이상의 결과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및 일-가정 양립 정책에 주는 함의는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실시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을 포함한 비교대상 국가 모두에서 모성 이데올로기가 남성부양자 이데올로기에 비해 더 전통적으로 나타났다. 국가에 따라 정도차이는 있지만 ‘모성’에 부여된 사회적 압력을 가늠하게 하는 결과이다. 다음으로 모성 이데올로기의 경우 첫째, 미국과 스웨덴과 달리 한국에서는 연령의 영향력만이 발견되었다. 이와 함께, 한국은 미국이나 스웨덴과는 달리 여성이 모성 이데올로기에 대하여 전근대적 인식을 가질 가능성을 보였다. 셋째, 스웨덴은 30대가 모성에 대하여 가장 근대적인 인식을 보인데 반해 한국에서의 30대는 60대와 동질적인 인식을 보였다. 다음으로 남성부양자이데올로기의 경우 첫째, 한국에서 연령만이 영향을 미친 모성 이데올로기에 비하여 남성부양자 이데올로기는 성별, 연령, 학력, 가구소득 등 보다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였다. 둘째,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비교대상 국가 모두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남성부양자이데올로기에 대하여 근대적 인식을 보였다. 셋째, 국가 간 영향요인의 차이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남성부양자 이데올로기에 대한 인식은 모성 이데올로기에 비해 대상국가간 인식의 유사성이 발견된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의미를 심층적으로 해석하고 일-가족 양립정책에 갖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perceptual structure and antecedents of maternal ideology and male breadwinner ideology,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work-family balance.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an international comparison among Korea, the United States, and Sweden. For the purpose, this study uses “Family and Changing Gender Roles (FGR)” data from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ISSP).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aternal deprivation ideology is more conservative than male breadwinner ideology in all the countries. This finding proves the strength of social pressure given to ‘motherhood’, regardless of country. In terms of maternal ideology, unlike the United States and Sweden, the only significant factor is age in Korea. Second, different from the United States or Sweden, the possibility that Korean women retain considerably conservative perception on maternal ideology is shown. Third, in Sweden, the 30s shows the most liberal perception toward maternal ideolog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Korean counterparts that show the similar perception as the 60s. Regarding male breadwinner ideology, unlike maternal ideology that age alone has significant impact, male breadwinner ideology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household income as well as age. Second, in all of the countries compared, women have more liberal perception on male breadwinner ideology than men, with some variations in degree. Third, albert different by country, structure of the perception on male breadwinner ideology is similar to that of maternal ideology.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policy of work-family balance are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후보

        북한의 모성이데올로기 - 『조선녀성』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이미경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04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26 No.1

        가부장제적 사회주의체제 속의 북한여성은 혁명과 건설의 역군으로서 사회활동에 참여하면서도 가정에서는 가사와 육아의 전담자로서 전통적인 성 역할수행을 당연시해왔다. 이런 북한여성의 현실은 여성의 사회활동과 가정생활의 병행을 합리화하는 모성이데올로기로 규명된다. 북한체제에서 모성은 여성의 가장 우선적인 역할로 간주되고 다면적인 역할수행을 전제로 하고 있다. 북한여성은 북한체제가 원하는 구성원의 양육을 위해 구성원으로서의 요건- 당과 지도자에게 충성을 다하고 집단주의 정신을 실천하며 혁명과 건설투쟁에 앞장서는 투사-을 갖춰야 하는 것으로서 가정과 사회생활의 성공적 병행이 요구된다. 이 같은 북한의 모성이데올로기는 유일 지배체제아래 가부장제적인 질서유지에 따른 성별분업구조의 잔존은 필연적이며 여기에 인구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여성인력을 시기별 사회의 필요에 따라 동원하기 위한 현실적 요구에서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사회주의 건설시기에는 여성의 사회경제활동의 참여가 권장되었고 경제난으로 각종사회보장이 개별 가족차원의 책임으로 넘겨진 후에는 희생과 봉사를 특징으로 하는 여성의 모성적 역할이 사회전체로 확대, 요구되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모성을 여성본연의 임무로 간주하고 이를 여성에게 강요한 북한의 모성이데올로기는 국가의 필요에 따른 여성의 인력활용을 합리화하기 위한 것으로 여성억압과 가부장제적 질서유지에 기여하는 것이다. This paper is to examine what is the function of maternity ideology in the North Korea. In general, maternity ideology is functioning as the mechanism of oppression and restraint of realm of women s life. But The North Korea s maternity ideology do not impose restrictions on women s activity, because the North Korea s government encouraged and support the women s social activity in spite of considering and making account of maternity as what the women should do. The North Korea s women have to possessed all the requirements of a constituent of a the North korea s society in advance of bringing up a member of the North Korea s society. In this respect, maternity in the North Korea is on the assumption that women have to playa part in many fields. This intends to make the use of the North Korea s women s labour, do not for the good of self-realization of the North Korea s women. For this reason, the North Korea s maternity ideology is operated to make the best use of the North Korea s women s labour that the North Korea s government is need in of application timely. Also the North Korea s maternity ideology make a contribution to preserve order of the patriarchy.

      • 채만식의 〈여인전기〉에 나타난 ‘모성’ 연구

        이병순(Lee ByungSoon) 세계한국어문학회 2009 세계한국어문학 Vol.2 No.-

        채만식의 〈여인전기〉에 나타난 모성은 크게 두 가지로 양분해 볼 수 있다. 봉건적 모성과 군국주의 모성이 그것이다. 여기서 봉건적 모성이란 가정이라는 사적 영역에 묶여 자식을 위해 희생하고 봉사하는 전통적 의미의 어머니뿐 아니라, 자식을 자신의 소유물로 판단, 맹목적인 사랑을 퍼붓는 전근대적 어머니상까지 포함한다. 군국주의 모성이란 군국주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부합하는 총후의 어머니로서, 자신의 아들을 기꺼이 국가에 헌납하며 국민으로서의 의무를 다하는 어머니를 가리킨다. 〈여인전기〉에는 이 두 모성이 교묘하게 착종되어 있어 주목을 요한다. 그러나 이 두 모성은 사실 강요된 관제적 모성이라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즉 전근대적 봉건 이데올로기는 잔여적 이념의 형태로, 군국주의 이데올로기는 당대 현실을 추동하는 지배적 이념의 형태로 작동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일제 말기 채만식의 〈여인전기〉에 나타난 모성은 관제적 모성으로 철저하게 획일화된 주입식 모성이라고 볼 수 있다. The motherhood in “A Biography of a Woman” is roughly divided into two. Those are feudal motherhood and militaristic one. The feudal motherhood in this study contains the image of premodern mother that showers blind love on children considering them as her belongings as well as traditional mother that sacrifices herself for children being restricted in such private area as home. The militaristic motherhood is the mother that is willing to present her son to the State and fills her duty as a subject represented as Chonghoo Buin(Madam in the rear guard) who accords with militaristic ruling ideology. In “A Biography of a Woman”, these two motherhoods are skillfully entangled, which we need to notice. However there is something in common in these two motherhoods in that they are, in fact, forced ones manufactured by the government. That's because premodern feudal ideology comes into action in the form of remaining ideology and militaristic ideology in the form of ruling ideology driving those days forward. In conclusion, the motherhood in Chae Man-sik's “A Biography of a Woman” at the end of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is manufactured by the government and implanted completely uniformly.

      • KCI등재

        TV 드라마 <마더>에 재현된 모성 이데올로기 연구 - 주디스 버틀러 ‘수행성 이론’을 중심으로 -

        윤복실(Yun, Boksil)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0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0

        주디스 버틀러는 주체가 행위 양식을 통해 구성되며 젠더 정체성은 수행적 행위의 반복과 인용을 통해서 구성된다고 하였다. 또한 버틀러는 젠더 정체성이 자연스러운 것이 아닌 제도 권력의 담론에 의해 만들어진다고 주장한다. 이에 본 논문은 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성’ 이론에 따라 모성의 정체성도 수행에 의해 구성되며 반복과 인용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보고, TV 드라마 <마더>의 모성 이데올로기를 분석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TV 드라마가 어떠한 방식으로 헌신과 희생으로 구성된 모성 정체성을 심화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시모어 채트먼의 이론을 통해 드라마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드라마는 영웅 서사구조를 차용하여 인물을 이분법적으로 설정하고 헌신과 희생의 모성을 선으로 규정하였다. 평면적 인물을 통해 헌신과 희생의 모성을 일관성 있게 재현하였으며 다면적 인물을 통해 비혈연 모성의 수행을 자연화하였다. 그리고 드라마는 이야기와 시간을 통제함으로써 헌신과 희생으로 수행되는 비혈연 모성의 개연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드라마는 이야기와 담론을 통해서 4가지의 모성 유형을 재현하였다. 첫째, 영신을 통한 비혈연의 희생적이고 헌신적인 원형적 모성. 둘째, 홍희를 통한 혈연 단절을 통한 자기희생적인 모성. 셋째, 자영을 통한 거부된 혈연관계의 모성, 넷째, 수진을 통한 비혈연 관계의 헌신적이고 자기희생적인 모성이다. 이를 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성 이론을 통해 분석한 결과, 영신의 신화화된 모성을 확인하였으며 홍희를 통해서는 지배담론이 호명한 규범적 모성을 확인하였다. 또 자영을 통해서 탈신화화된 모성을 확인하였고 수진을 통해서는 희생적이고 헌신적인 모성이 재맥락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서 여성을 잠재적 모성으로 보았던, 기존의 전통적인 모성 이데올로기를 유지하고 혈연관계 중심의 헌신적이고 희생적인 모성애에서 비혈연관계의 헌신적이고 희생적인 모성애가 재생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Judith Butler claimed that subjectivity is organized through the form of action and that gender identity is constructed through repetition and citation of performance. Butler also argues that gender identity is created by discourse of institutional power, not naturally. Thus, this paper analyzed the motherhood ideology of TV drama “Mother,” seeing that the identity of motherhood is also formed by performance and formed through repetition and quotation according to Judith Butler’s theory of ‘performance’.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drama through Seymour Chatman’s theory to see how TV dramas deepen their maternal identity composed of devotion and sacrific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drama borrowed the hero narrative structure and defined the motherhood of devotion and sacrifice as good through a dichotomous character setting. The motherhood of devotion and sacrifice was consistently reproduced through flat figures, and the performance of non-blood-related motherhood was naturalized through multi-faceted figures. By controlling the story and time, the drama secured the probability of non-blood motherhood carried out with devotion and sacrifice. The drama also recreated four types of motherhood through story ane discourse. First, the sacrificial and dedicated circular motherhood of non-blood ties through the spirit. Second, self-sacrificing motherhood through the disconnection of blood ties through Hong-hee. Third, the motherhood of rejected blood ties through self-magnetic, the fourth, and the devoted, self-sacrificing mother of non-blood relations through Sujin. After analyzing this through Judith Butler’s theory of performance, I confirmed the mythical motherhood of the spirit, and I confirmed the normative motherhood that the ruling discourse called through Hong-hee. In addition, the government confirmed the deconstructed motherhood through self-employment, and Sujin confirmed that the sacrificial and devoted motherhood had been remarried. This confirmed that the traditional maternal ideology, which viewed women as potential mothers, was maintained and that the devoted and sacrificial maternal love of non-blood relations was reproduced from the devoted and sacrificial maternal love centered on blood ties.

      • KCI등재

        권력의 공포와 모성 이데올로기의 붕괴 -<분신사바> <신데렐라> <령> <여고괴담4: 목소리>를 중심으로

        박진 ( Park Ji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7 국제어문 Vol.39 No.-

        이 논문에서는 최근 한국 공포영화 가운데 <분신사바>, <신데렐라>, <령>, <여고괴담4: 목소리>에 나타난 권력의 양상과 모성의 형상을 검토해본다. 이 네 편의 공포영화는 모두 여고생들을 주요 등장인물로 하여 친구 관계와 모녀 관계를 통해 권력의 문제를 이야기한다. 특히 모성을 형상화하는 이 영화들 각각의 관점은 가부장제와 가족주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서로 다른 입장을 대변해준다. <분신사바>는 `피억압자-약자-원귀(寃鬼)`의 상투적인 공식에 따라 권력관계를 평면적으로 그려낸다. 또한 딸에 대한 엄마의 지배를 모성애로 미화하고 생물학적인 모성의 의미를 신비화하는 등, 체제 순응적인 모성 이데올로기를 표방한다. <신데렐라>는 모성애에 내포된 권력의 성격과 그 나르시시즘적 속성을 폭로함으로써 모성의 신화를 탈신비화한다. 그러나 혈연주의적 배타성의 한계 속에서 보수적인 가족 이데올로기를 드러내기도 한다. 한편 <령>에서는 상호 공포 관계로서의 권력의 본질과 권력의 복합적인 메커니즘이 효과적으로 형상화된다. 특히 모녀 사이의 몸 쟁탈전을 통해 가족을 권력 투쟁의 장소로 그려내는 이 영화의 관점은 주목할 만하다. <목소리>에는 애착 관계와 지배 관계의 밀접한 연관성과 끝까지 `살아남고자` 하는 권력의 끈질긴 욕망이 묘파되어 있다. 반면에 전도된 모녀 관계와 사랑이 결핍된 가족 관계를 불길한 공포와 연결시키고 있다는 점에서는 가족 이데올로기를 재소환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처럼 공포영화는 누가 귀신이 되는가, 가해자와 피해자는 어떤 관계인가, 그들 사이의 권력 관계는 어떻게 묘사되어 있는가, 모성이나 가족을 바라보는 관점은 어떠한가 등을 통해 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한 각기 다른 입장을 드러낸다. 공포영화의 서사적 의의는 미학적 가치나 카니발적인 효용성 이외에도 이와 같은 이데올로기적 관점의 차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런 차이들에 주목하면서 공포영화에 내재한 전복의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찾아내는 독법은 사회문화적인 텍스트로서의 대중 서사물이 지닌 가능성을 확장시키는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In this paper we will take a look at aspects of power and image of maternity in four recently released Korean horror movies namely < Bunshinsaba >, < Cinderella >, < Dead Friend >, and < Whispering Corridors 4: Voice >. These four movies center on high school girls and weave tales about their relations with their friends or mother thereby presenting the problem of power. In particular, each of these movies depicts maternity from different perspectives which in turn show different viewpoints on patriarch and family ideology. < Bunshinsaba > in accordance with a cliche formula of `the oppressed - the weak - the vindictive spirit` depicts simple aspect of power. In addition, it masks mother`s dominance over daughter in the name of maternity and mystifies the meaning of biological maternity thereby advocating maternal ideology that conforms to the establishment. < Cinderella > discloses the aspect of power hidden in maternity and its narcissist side thereby de-mystifying the myth of maternity. Though limited by the exclusiveness of blood ties, the film reveals the conservative family ideology. Meanwhile, < Dead Friend > effectively depicts the essence of power as an element of correlation with horror and the complex mechanism of power. In particular, the fight over a body between mother and daughter is noteworthy in that it interprets family as a venue of power struggle. On one hand, < Whispering Corridors 4: Voice > dissects the close relations between love and dominance and the desire of power to `survive` to the end. On the other hand, it recalls family ideology in that it links reversed relation between mother and daughter with lack of love in a family. Thus, each horror movie shows a different perspective of the dominating ideology by presenting its version of answers to questions such as who becomes the ghost in a horror movie?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aggressor and the victim? How is power depicted in their relation? What is the view of maternity and family? The narrative significance of horror movies lies within aesthetic value and carnival-like effectiveness but this narrative significance can also change depending on the ideological perspective. Active reading looking for subversive power that lies in horror movies takes on significance in that it expands the possibility of popular narrative as a socio-cultural text.

      • KCI등재

        『엄마를 부탁해』와 <피에타>에 나타난 모성의 양가성 연구

        진은경(Jin, Eun Kyung),음영철(Eum, Yeong Cheol)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59 No.-

        본 논문은 한국적인 어머니와 모성을 드러낸 소설과 영화를 중심으로 모성의 양가성을 탐구한 것이다. 21세기에도 여전히 모성은 지배 이데올로기의 전유물이 되어 자본주의 체제의 근간을 이룬다. 그러나 예술은 모성의 양가성을 부각시키며 자본주의 체제를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기제로 남아 있다. 그로 인해 인간의 소외와 소멸을 논하는 이 시대에도 모성성의 연구는 필요하다고 본다. 본 논문에서 논의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엄마를 부탁해』에 나타난 어머니는 산업화에 따른 가족의 해체를 온몸으로 지키는 신화화된 모성을 상징한다.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익숙한 가족 구성원(어머니를 제외한)은 어머니에 대한 ‘희생’의 환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로 인해 어머니는 가족의 수호신으로 전능한 모성을 발휘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에 무기력한 어머니는 아들에게 큰딸의 양육을 맡기며 ‘미안하다’는 죄의식을 느껴야만 한다. 이 소설에서 전능함과 무력감의 양가성을 보여준 그녀는 주체적 삶을 선택할 수 없는 존재로 그려진다. 이 소설은 모성의 본질을 사회로 나아가지 못하고 가족 안에서만 구하려 했다는 점에서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피에타>는 여주인공 미선이 자신의 아들을 죽인 이강도가 자본주의의 희생양임을 깨닫고 모성의 양가적 태도를 보여준 영화라 할 수 있다.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는 누구나가 이강도와 같은 악한이 될 수 있는 것이기에 이러한 악무한을 끝내기 위해서는 ‘피에타’의 호출이 필요한 것이다. 이 영화는 복수와 용서가 결국 자본주의가 낳은 쌍생아이며,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친아들을 죽인 양아들 이강도 또한 용서를 하고 자비를 베풀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미선이 자신의 희생을 통해 이강도를 용서한 것처럼 이강도 또한 자신의 속죄를 위해 죽음을 선택한다. 『엄마를 부탁해』와 <피에타>는 영화와 소설이라는 다른 장르에도 불구하고 모성의 양가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 공통점이 있다. 차이점은 전자가 전능과 무능의 양가성을 보여주었다면, 후자는 복수와 용서의 양가성을 보여 주었다는 것이다. 또한 양가성을 지닌 모성은 여전히 자본주의 체제를 성찰하게 한다는 점에서 유효한 기제라 할 것이다. This thesis is intended for searching for the ambivalence in the novel which present traditional Korean mothers and their motherhood. Still in the 21<SUP>st </SUP>century, the motherhood becomes subordinate to the ruling ideology and constructs the basis of the capitalist system. However, art brings the ambivalence of motherhood to the people’s attention and remains as a mechanism that can criticize the capitalist system and present its alternative. Thus, in the times of human isolation the deeper study of motherhood is needed. The mother in the novel, Please Look After Mom represents mythological motherhood which tries to keep the bond of the family from breaking up caused by industrialization. Family members used to the patriarchal system have a ‘sacrifice’ fantasy about their mother. Because of that, mother is supposed to show off her omnipotence as a guarding angel for her family. But the helpless mother handing over the duty of her son’s bring up to her daughter, feels guilty, “I’m sorry.” The mother in the novel showing the ambivalence between omnipotence and helplessness is pictured as a woman who cannot choose her own life. This novel has a limit that it presents the essence of motherhood only in the family not going out to the society. In the movie Pieta, the main character Misun realizes that Lee Kangdo who murdered her son is also just a victim of capitalism, and shows the ambivalence of motherhood. As anyone could be a villain under the situation of capitalism, we need to call ‘Pieta’ to bring to an end to the circulation of evil. The movie shows that vengeance and forgiveness are the twins capitalism has produced. It also gives a message that she should give a mercy to Lee Kangdo who murdered her son. As Misun takes her sacrifice, Lee Kangdo decides to commit a suicide for the atonement. Please Look After Mom, and Pieta, although they differ in genres,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y show the ambivalence of motherhood. The difference remains that the former presents omnipotence and helplessness, the latter vengeance and forgiveness. Motherhood with ambivalence still holds good as a mechanism for the capitalist society to retrospect its ineffectiveness.

      • KCI등재

        모성적 생산성과 여성 평생교육

        나윤경(Nah, Yoon Kyeo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4 평생교육학연구 Vol.20 No.1

        모성이데올로기란 엄마와 아이의 이해를 대립적으로 놓고, 그 둘의 대립적 성격을 주조한 사회문화적 조건에는 눈감은 채, 엄마의 이해를 희생해야 한다고 믿도록 하는 것이다. 자본주의적 생산성을 각인한 경쟁사회에서의 여성들은 자신이 축적한 자본주의적 생산성을 아이를 위해 포기함으로써 모성이데올로기를 실천하며 동시에 자본주의적 생산성을 대체할 '모성적 생산성'을 발휘하게 된다. 자본주의적 생산성이 전제하는 생산/재생산의 이분법은 남/녀, 공/사 등의 근대적 이분법으로 변주, 확장되면서 남성을 가정으로부터, 여성을 사회로부터 소외 시킨다. 이러한 기획은 여성들을 위한 평생교육-학습의 내용을 자녀와 가정을 위한 것으로 제한해 모성적 생산성을 극대화 하는 데 일조한 측면이 있다. 본 논문은 평생교육-학습의 장이, 언급한 이분법적 도식을 해체하는 방식으로 사유하고 실천하지 않으면 여성들은 여전히 모성이데올로기를 강화하며 자녀사교육 등을 통하여 모성적 생산성을 극대화 할 것이라고 판단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평생교육장 안에서 모성의 재생산 노동을 생산 노동화 하는 가치체계의 변혁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필요한 것은 아닌지, 그렇게 함으로써 언급한 이분법을 해체하고 소외가 아닌 인류의 지속가능성을 구축하는 평생교육-학습의 지향점이 모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닌지 제안한다. "Motherhood" as an ideology makes people believe that the interests of mother and child are competitive and the interest of mother should be sacrificed for the sake of that of her child, ignoring the sociocultural plot which has structured the competitive relations of the interests of mother-child. Women who have embodied the value of capitalistic productivity through modern education and systems are faced with a phase, upon marriage and childbirth, which forces her to adopt "motherly productivity" instead of capitalistic productivity. In result, women have come to produce and reproduce the ideology of motherhood. The capitalistic productivity is based upon the binary concept of modernity, which has been isolating men from home, women from society. This tends to limit women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to selecting programs that would maximize their motherly productivity. This study suggests that lifelong education and learning de-construct the binary concept of men/women, private/public, productivity/reproductivity to encourage women and men to re/conceptualize the "caring labor" as productivity in a true sense for the sake of sustainablity of human beings.

      • KCI등재

        기획 특집 : 모성 담론의 문화적 형성과 재현 ; 고대에서 근대전환기까지 모성 담론의 문화적 조명 : 규방가사,민요,계몽가사의 모성 표상

        이형대 ( Hyung Dae Lee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4

        본 논문은 규방가사와 민요, 계몽가사의 모성 표상을 대비적으로 분석하여 각각의 장르 및 시대, 계층에 따라 작품에 형상화된 모성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거시적으로 조망하고자 작성되었다. 본고에서는 모성이 생득적이거나, 또는 항구적이고 보편적인 어머니의 역할을 의미한다기보다는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되고 학습된 것이라는 입장을 취한다. 조선후기에 생성된 규방가사의 경우, 유교적 모성이데올로기를 내면화 한 전형계녀가가 주종을 이룬다. 하지만, 가부장제의 규율 권력 아래 상처 받은 딸아이와의 체험적 연대의식에 기반한 공감적 모성과 하층의 신산한 인생체험을 공유했던 남편과의 애정적 결실이기에 장애인 아들에게 대가없이 베푸는 헌신적 모성 등 신변탄식류 규방가사에서는 儒家의 가부장적 모성이데올로기로 환원할 수 없는 능동적이고 생성적인 모성역할도 나타난다. 하층의 생활체험을 분방한 상상력으로 형상화한 민요에서는 가족적 경계에서 강요되는 어머니의 역할에 정주하지 않는 모성이 보인다. 戀母謠나 자장노래 등에서는 생명적 원천으로서의 자애로운 모성형상이 그려지기도 하지만 노동요나 유희요 등에서는 모성 자체를 포기하고 본능적 욕망을 추구하는 자기애적 어머니의 형상이 등장하기도 한다. 이러한 민요는 여성의 체험적 자기진술이라기 보다는 허구적 화자를 통한 욕망의 대리실현적 언술이라고 할 수 있다. 제국주의의 침탈에 의한 국가존망의 위기적 상황에서 창작된 근대계몽기의 계몽가사에서는 국가주의적 모성 역할이 크게 요구되었다. 어머니는 국권회복과 동시에 근대 민족국가의 수립에 필요한 국민을 생산하고 양육해야 하는 존재였기 때문에 구국적이고 애국적인 모성역할이 부여되었던 것이다. 이는 대체로 남성 계몽지식인들에 의해 주창되었던 바, 여성지식인들도 별다른 비판없이 동조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모성은 역사적 상황이나 사회적 조건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구성되었던 바, 그 장르내적 유형과 담화방식에 따른 차이 등의 미시적 분석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과제로 남겨두었다. This paper aims to presen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otherhood expressed in Gyubang-gasa (women`s poetic prose), folk songs, and enlightenment poetic prose, and to shed light on them from a macro point of view to see how the motherhood depicted in these works is different according to genres, times, and classes of the authors. This paper views motherhood not as the innate, permanent, or universal role of a mother, but as something acquired and learned socio-culturally. As for women`s poetic proses written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mainstream is Jeonhyeong-gyenyeoga (precept-themed poetic proses for daughters before marriage) based on Confucian motherhood ideologue. However, appearing in women`s poetic proses on lamenting their lives are several roles of motherhood that are active and inborn and that cannot revert to the Confucian patriarchical mother ideologue: the motherhood of a mother that was based on a shared, experiential sense of unity with her daughter who was hurt by the regulation and authority of the patriarchical system; and the dedicated motherhood of a woman who shared a low-class people`s painful life experience with her husband suffering from four disabled limbs but who fulfilled fruitful love with him by taking care of him. Appearing in folk songs written about low-class people`s life experience using free imagination is the motherhood that does not succumb to the forced role of a mother within the boundary of a family. In love songs for mothers and lullabies, the benevolent mother image as the source of life is described, while in Nodongyo (labor songs) or Yuhiyo (game songs) the image of a self-love mother who gives up on motherhood but seeks instinct desires appears. These folk songs are deemed not as the women`s experiential self statement, but as an indirect realization of their desires through fictional speakers. Enlightenment poetic proses were written during the early modern enlightenment period when imperialists invaded the nation endangering its existence, because the role of patriotic motherhood was keenly required. Since mothers were responsible for giving birth to and raising nationals who were needed to recover national sovereignty and to establish an early modern people nation, they were required to play the nation-saving, patriotic role. This move was spearheaded mainly by male intellectuals who sought enlightenment, and thus female intellectuals seem to have followed them passively. As such, motherhood was formed in diverse different ways according to historical situations and social conditions. Thus, micro-analysis of motherhood should continue to be conducted to define the difference arising from various types within the genre and from ways of discourse.

      • KCI등재

        중·고등학생 어머니의 모성이데올로기와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박봉헌(Bong-Heon Park),백용매(Yong-Mae Bae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모성이데올로기와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과 긍정적 모-자녀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방법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 279명을 대상으로 모성이데올로기, 양육스트레스, 자녀수반 자기가치감, 긍정적 모-자녀 관계 간에 어떤 구조적 관계가 있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자기가치감 수반성 이론에 기초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고, 내재모형(nested model)로서 경쟁모형을 설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모형, 경쟁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한 결과, 경쟁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채택하였다. 이를 토대로 결과를 살펴보면, 모성이데올로기와 긍정적 모-자녀관계에서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했고,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과 양육스트레스에서 긍정적 모-자녀관계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모성이데올로기가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과 긍정적 모-자녀관계를 이중으로 매개하여 양육스트레스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모성이데올로기를 깊이 내면화 할수록 어머니는 자녀에게 자신의 가치감을 더 수반시키게 되며 이는 어머니로 하여금 자녀와의 관계를 덜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하여 결국 양육스트레스가 초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성이데올로기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심리적 기제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 상담 장면에서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상담전략을 모색할 수 있는 경험적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ing ideology on parenting stress and to access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and positive mother-child relationship. Methods To this end, 279 middle-aged women who live in large cities, including **, **, ** were chosen as subjects for this study. The no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We compared the model fits of the research model and the competition model, and found that the com-petition model was the best model for the present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are relation-ships between noted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fully mediated as no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ing ideology and positive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positive mother-child relationship fully mediated as se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and parenting stres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incident of mothering ideology influenced parenting stress through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and positive mother-child relationship with dual mediation effects. Conclusions The deeper the mother's ideology is internalized, the more a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to child, which means that the mother becomes less positive about her relationship with the child, resulting in pa-renting stress. That’s wh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insight into specific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mothering ideology effects parenting stress of the middle-aged women. Also, it has significant meaning the can be used as empirical basis data to seek counseling strategies to decrease parenting stress of middle-aged woman.

      • KCI등재

        1920-30년대 한국 여성잡지의 모성담론에 관한 연구 : '신여성','신가정','여성'을 중심으로

        김욱영 한국소통학회 2003 한국소통학보 Vol.2 No.-

        오늘날 미디어에 의한 모성실천의 담론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의 강요뿐만 아니라 기혼여성의 윤리적 삶의 궁극적 목적으로 삼도록 만들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최근의 현상이 아니라 한국 매스미디어의 발달사가 지배적 이데올로기로부터 자유롭지 못했음에 연유하는 바가 크다. 매스미디어는 지배이데올로기의 강요와 억압을 합리적인 것처럼 포장하는 데 유용한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에 가부장적 지배이데올로기는 미디어를 통해 모성을 사회유지를 위한 하나의 도구로 사용해 왔다. 본 연구는 1920 30년대 대표적 여성잡지인 ‘신여성’, ‘신가정’, ‘여성’을 분석하여 최근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여성잡지의 모성담론은 과거와 현재의 모습이 다르지 않았다. 어머니로서뿐만 아니라 혼란한 현실의 유일한 위안으로서의 가족을 지키는 희생과 헌신의 이중 책임으로서의 모성에 대한 강조,경제적 지식/권력으로부터는 철저히 소외되면서 소비의 주체로서만 대상화되는 모성의 모습은 현재 모습 그대로였다. 또한 제도적 권력의 실천이라고 할 수 있는 특정 담론의 소외는 여성의 자각과 행동보다는 복종과 순종을 강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여성잡지의 위선적 모성담론의 역사와 관행이 오래되었음을 보여준다. 한국 여성잡지는 가부장적 사회 담론을 거침없이 쏟아낸다.때로는 엄하게,때로는 흥미위주로 다루면서 모성의 틀을 규정한다. 모성을 아름답게 치장하고 꾸미지만 그것은 가부장적 권위와 그에 대한 복종아래 허락된 구차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여성잡지가 상업화되면서 경제적으로 가부장적 사회 제도 속에 더욱 밀착하게 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Mass Media have actively produced motherhood discourse that is constructed by patriarchical knowledge/power. The media have been also become effective means, through which illusions in motherhood discourse can be produced, have been related the mass media history constructed by power ideology. This study analyzes three Korean representative women’s magazines in 1920 30’s and compare them with toda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period. The Korean Women’s Magazines in 1920 30’s represent the mother as ’two career’ mothers who have most of the responsibilities and sacrifices of their home, the objects as consumers who have estranged from the economical knowledge/power, mothers who are confined within private area, and mothers who become melodrama’s heroines. This means that motherhood discourse shown in Korea Women’s Magazines have made the women’s estrangement from the independent discourse. Mass Media produce a lot of motherhood discourses which are related to the patriarchical social power and the commercialization. The misrepresented social status reinforced by the media users could be the evidence of the ideological feature of mass media as a social apparatus reproducing reality and fixing the meaning made by power ide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