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체모방을 활용한 디자인 발상 및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윤민희(Min Hie Y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2

        생체모방(Biomimicry)은 자연 생명체의 특성 연구와 모방을 통해 인류의 과제를 해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오늘날 생체모방기술은 공학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학에서 가장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생명체는 신이 창조한 최초의 디자인이기 때문에 생명체는 디자인의 영원한 보고이며 디자인 생성의 모태이다. 역사적으로 인간은 자연의 생명체를 모방하고 고안하여 아이디어 발상의 근원으로 일상생활에 활용하여 왔다. 생체모방은 디자인 영역의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단계이다. 1980년대 이후 사회전반에 생태학과 환경 친화적 측면이 중요하게 대두되면서 디자인 발상에 자연의 유기적 관계에 바탕을 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본 연구는 생체모방을 활용한 현대디자인의 사례연구 및 분석을 바탕으로 아이디어 발상의 근원으로써 생체모방 디자인 유형 및 표현 특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범위는 생체모방과 디자인 발상, 생체모방을 활용한 건축·제품디자인 등의 현대디자인의 유형 및 표현 특성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세부적으로 생체모방의 역사와 다양한 영역의 적용 가능성, 생체모방을 활용한 현대디자인의 유형 및 표현 특성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방법은 빅터 파파넥, 루돌프 핀스트왈트, 재닌 베니어스(Janine M. Benyus)의 생체모방 이론을 바탕으로 생물학·공학·디자인 영역의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생체모방은 자연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융합 연구에 바탕을 두고 있음으로 생물학자·공학자·디자이너 등이협동으로 연구해야 한다. 자연의 구조의 연구와 모방을 통한 생체모방 연구는 디자인 영역에서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실현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디지털기술의 발전과 함께 생체모방을 활용한 디자인 연구는 디자인·생물학·기계공학 등의 학제 간 융합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Biomimicry sets its goal to resolve scientific problems that humans face by extracting solutions from imitating nature. Nowadays, biomimetics is widely used for problem solving in the field of engineering science. For the organism was the primal design of the Creator, it is also a repository of design and the matrix of structure formation. Mankind has historically exploited nature in daily life by mimicking and using it as a source to create from; thereby biomimicry is also a fundamental and indispensible phase of conception in visual arts. Along with an emphasis on the ecological and environmentally-friendly aspects of society after the 1980`s, vibrant research has been developed around the theme of design concepts based upon nature`s ecological relations.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case studies and analysis of biomimicry-derived modern design and its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as the genesis of modern design. The scope of this study ranges mainly on biomimetic design ideas, the types of modern design such as engineering, architectural design, product design, etc that adopted biomimicry and the featured expression. More specifically, the subject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history of biomimicry, biomimetic applicability, and the pattern and expression of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method used is based on the theory developed by Victor Papanek, Rudolf Finsterwalder, Janine Benyus`s biomimicry and the multidisciplinary studies between biology, engineering, and design. The study of biomimetics should be based on a convergences of these fields to understand and learn from nature with the collaboration of biologist, engineers and designers. Biomimetic research is an important area for scientists as well as designers, which resolves the challenges of human being through the imitation of nature. Research of biomimicry in the field of design is important because it will lead to the realization of sustainable design. It is expected to bring a broad use of this study of biomimetic design, induced from organic forms, in a variety of fields as in design, biology, and engineering through the convergence of multidisciplinary studies with notable digital technological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모방범죄의 유형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개인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 대표적 사례의 분석 -

        남재성 한국경찰연구학회 2007 한국경찰연구 Vol.6 No.3

        본 연구에서는 대중매체로 인해 발생한 대표적 모방범죄의 유형과 사례를 살펴봄으로써,향후 건전한 대중매체의 기능을 모색하고,아울러 모방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모방범죄는 범죄의 개념이나 유형, 특성 등이 명확히 규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선행연구 또한 대단히 제한적인 영역에서 수행되었기 때문에 명확한 분석이 쉽지 않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개인적 분석을 통해 모방범죄의 유형을 사회적 학습에 의한 모방범죄,낮은 자기통제력에 의한 모방범죄,차별적 동일시에 의한 모방범죄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며, 각각의 유형에 적합한 대표적 사례를 소개하였다. 한편, 이와 같은 모방범죄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책으로는 총 세 가지 범주에서 여섯가지정도의 세부대책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모방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중매체를 통한 모방범죄의 경고가 필요하며, 둘째, 대중매체의 보도관행 개선이 필요하다. 그리고 셋째는 인터넷 유해매체에 대한 철저한 단속이 필요하며, 넷째, 청소년에 대한 사전교육을 통해 자기통제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모방범죄자에 대한 개별적 대응으로 모방범죄를 저지르는 청소년에 대한 행동수정을, 중대한 성인 모방범죄자에 대해서는 보다 엄격한 처벌을 통하여 모방범죄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e mass media had very much influence upon common citizens because of its own characteristics to encounter copycat crimes all the tim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ypes and cases of the copycat crimes that were produced by mass media, and it investigated not only functions of sound mass media in the future but also programs taking actions against the crimes. Then, the copycat crime did not define criminal concepts, types and characteristics definitely and precedent researches were done within very much limited scope to be difficult to investigate clearly. The study classified types of the copycat crime by social learning, low self control and differential identification to introduce typical case being suitable to each type. The study suggest five of preventative measures against copycat crimes as follow: Firstly, warning against copycat crime through mass media, secondly, better reporting practice of mass media, thirdly, strict control on harmful Internet media, fourthly, preliminary education for the youth as well as behavioral correction of the youth who committed copycat crime, fifthly, strict punishment on the adult who committed serious copycat crime. The copycat crime might create more social disturbance than other crimes to do direct harm to public peace. Therefore, home, schools, police, criminal and justice authority, and mass media production and distribution businesses, etc should look for political actions.

      • KCI등재

        모방범죄의 원인에 관한 연구 - 미디어의 영향을 중심으로

        민형동(Min Hyung Dong) 한국민간경비학회 2008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1 No.-

          현대사회가 다원화되고, 폭력적 미디어가 홍수처럼 만연함에 따라 모방범죄 역시 하나의 사회문제로 인식되게 되었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모방범죄의 원언을 분석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하였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하여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고, 모방범죄의 이론적 틀을 모색하였으며, 이를 위해 언론에 보도된 모방범죄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모방범죄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BR>  모방범죄의 원인으로 영화, TV의 프로그램, 언론의 사실적인 범죄보도, 인터넷 게임 등 미디어의 영향력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와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미디어의 유형(범죄뉴스 : 영화ㆍ드라마), 모방의 대상(범행수법 : 범행동기)을 기준으로 크게 네 가지 부류로 나누어 사례를 분석을 하였다.<BR>  사례분석결과 범죄보도를 모방한 범죄는 자세한 범죄수법을 묘사한 경우이거나 사회적으로 반향을 일으킨 사건에서는 범행동기를 모방한 경우가 많았다. 한편 영화를 모방한 경우에는 범행수법이 매우 상세히 묘사된 영화이거나, 폭력이나 범죄를 미화시킨 범죄의 경우 모방한 사례가 있었다.<BR>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모방범죄를 억제하고 미디어의 악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미디어의 폭력 및 범죄수준에 대한 적절한 통제가 필요하고, 미디어를 소비하는 시민들 역시 올바른 판단력을 배양할 수 있는 적절한 교육이 요청된다. 이 연구는 비록 언론보도에 의한 자료수집이라는 점에서 한계를 갖고 있지만 차후 모방범죄의 연구에 초석이 되길 기대한다.   Since a modem society has been diversified and a violent media has been spread seriously, copycat crimes were considered as a sort of social problem. this study sets a main goal that analyze a cause of copycat crimes.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d preceding studies closely and sought a theoretical model of copycat crimes. this paper have analyzed cases of copycat crimes reported by the press in order to grasp a cause of copycat crimes.<BR>  This study dealt with effects on media such as movie, broadcast on crimes, internet game etc. cases were categorized by types of media(news on crime : movieㆍdrama) and subjects of copycat crimes(modus operandi: motive for the crime).<BR>  After the case analysis, the copycat crimes which imitated crime news are depicting detailed a modus operandi, or the historical cases are imitated the motive of crime. Meanwhile the cases of imitating the film are illustrated carefully or idealized crimes in the film.<BR>  To prevent the copycat crime and to decrease the negative effects of media, it is need to control the violence and crime level of media properly. Also the consumers of media should have to adequate education about cultivating the ability of perception. This study has a shortcoming of biased data from the crime news, but I hope that it will be a bit of assistance after works.

      • KCI등재

        호모 리플리쿠스(Homo replicus)

        장대익(Dayk Jang) 한국인지과학회 2012 인지과학 Vol.23 No.4

        우리는 모방하는 동물이다. ‘참된 모방(true imitation)’은 한 행위가 행해진 것을 보는 것으로부터 그 행위를 하는 법을 새롭게 배우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타 개체의 기술과 지식을 모방함으로써 다른 동물의 세계에서 찾아보기 힘든 문화와 문명을 이룩할 수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모방 능력이 어떻게 진화하고 발달하는지를 묻는 것은 중요하다. 또한 인간이 아닌 다른 동물들이 참된 모방을 할 수 있는지, 그리고 모방 학습 측면에서 인간과 동물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는 작업도 매우 흥미로운 과제이다. 이 논문에서 나는 우선, 인간과 다른 동물들의 모방 능력에 대한 경험적 연구들을 검토해볼 것이다. 이런 비교 연구를 통해 동물과 인간의 모방 능력의 차이에 주목할 것이며, 그들에게서 보이는 복제 충실도의 차이가 왜 발생하는지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그런 다음에 모방의 신경생물학적 메커니즘에 대한 최신 연구들을 검토할 것이다. 하전두회(inferior Frontal Gyrus, IFG)와 하두정엽(inferior Parietal Lobule, IPL)으로 구성된 인간의 거울 뉴런계(mirror neuron system)가 이 대목에서 가장 중요하게 등장한다. 거울 뉴런계는 타 개체의 행동을 이해하고 공감하고 따라하는 데에 필수적인 신경세포 다발이다. 나는 거울 뉴런계의 기능과 진화에 대한 최신 연구들을 소개할 것이다. 인간의 모방을 가능하게 하는 신경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처음에 거울 뉴런계와 후부상측두이랑(posterior Superior Temporal Sulcus, pSTS)로 구성된 ‘핵심 모방 회로’에 집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더 최신의 연구들은 핵심 모방 회로 밖에서도 모방의 신경 메커니즘이 작동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마지막으로 나는 이러한 모방의 심리학과 생물학이 문화 진화에 어떤 함의를 지니는지를 탐구한다. 구체적으로 나는 밈과 거울뉴런계의 관계를 탐구한 최신 연구를 통해 문화 진화에 대한 밈학적 접근을 시도할 것이다. We are imitating animals. True imitation can be defined as a learning to do an act from seeing it done by others. We have been building culture by imitating others’ skills and knowledge with high fidelity. In this regard, it is important to ask how the faculty of imitation has evolved and how imitation behaviors develop ontogenetically. It is also interesting to see whether nonhuman animals can imitate truly or not and how different imitation learning is among human and non-human animals. In this paper, first I review empirical data from imitation studies with human and nonhuman animals. Comparing different species, I highlight their different levels of copying fidelity and explain the reason why they are showing the difference. Then I review recent studies on neurobi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imitation. The initial neurobiological studies on imitation in humans suggested a core imitation circuitry composed of mirror neuron system [inferior parietal lobule(IPL) and inferior frontal gyrus(IFG)] and the posterior part of the superior temporal sulcus(pSTS). More recent studies on the neurobiology of imitation, however, has gone beyond the studies on the core mechanisms. Finally, I try to find out implications of psychology and biology of imitation for cultural evolution. I argue for a memetic approach to cultural evolution, along the lines with a recent study on measuring memes by mirror neurons system.

      • KCI등재

        현대 패션에 적용된 생체모방의 표현특성과 내적 의미 연구

        유연재,최정화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9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and internal meanings of biomimicry applied to contemporary fashion based on multilateral and comprehensive discussions about it. As for methodology, the investigator conducted literature study based on books, papers and news articles about biology, biomimicry and then collected biomimicry fashion from the S/S season of 2000 to the F/W season of 2018. The findings show that biomimicry fashion had the following expressive characteristics: First, biomimicry fashion embodying organic life force was categorized into organic life curves, volume structures, and geometric bio-pattern structures. The biomimicry fashion that shows organic line and volume was a way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natural body by body image of mutation. Also geometric fashion emphasizes the rule of nature. Second, the fashion that mimicked the bio-functions for environmental adjustment was divided into the type of protecting the body and that of reinforcing and expanding the bio-functions. Third, the biomimicry fashion based on an efficient ecological system application was classified into the types of cyclical material recycling and various item direction styles. Biomimicry fashion had the following internal meanings: First, biomimicry fashion as the practice of environment-friendly acts proposed specific ideas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environment in the treatment process after clothes making and consumption and delivered a social message about environment preservation. Second, the biomimicry fashion to meet the need for physical and psychological safety was used as a medium to protect people living these days. Third, the biomimicry fashion to communicate with the environment displayed futuristic fashion beyond the traditional concepts and forms of clothes, reflecting some aspects of modern civilization that had been diversified with the boundaries among different genres collapsing. Finally, the biomimicry fashion was a way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natural body and embodying a fantasy. This study will hopefully offer a model useful for basic theoretic materials and creative design education in other fields including fashion, as well. 본 연구는 생체모방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생체모방의 유형을 분류하고, 조형분야에 나타난 생체모방의 사례와 그 표현특성을 분석하여 현대 패션에 적용된 생체모방의 표현특성과 내적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방법은 생물학과 생체모방, 생체모방 패션과 관련된 국내외 전문서적과 논문, 인터넷 매체자료 등을 통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으며, 2000년 S/S시즌부터 2018년 F/W시즌까지 발표된 패션컬렉션과 전문서적, 디자이너 개인 웹사이트 등에 공개된 생체모방 패션작품 총 530점의 사진을 대상으로 사례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생체모방 패션의 표현특성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유기적 생명력을 형상화한 생체모방 패션은 유기적인 곡선과 볼륨구조로 생물학적인 인간의 신체적 한계를 뛰어넘는 돌연변이 신체 이미지를 연출하거나 기하학적인 생체패턴 구조로 자연의 질서와 규칙성이 강조되었다. 둘째, 환경적응을 위한 생체기능의 모방은 패션에서 생물의 생체스킨과 구조를 의복에 적용하여 물리적인 압박으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거나 기능성 스포츠웨어의 형태로 신체기능을 강화하고 확장하는 수단으로 나타났다. 셋째, 효율적 생태시스템을 적용한 생체모방 패션은 재료의 순환적 재활용과 아이템의 순환적 연출방식으로 최소한의 자원과 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는 생태계의 원리를 보여주었다. 이는 불필요한 의복의 소비를 줄이고, 업싸이클링 패션을 선보임으로써 친환경적인 패션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생체모방 패션이 가진 내적의미로는 친환경적 행위의 실천, 신체 및 심리적 안전의 욕구 충족, 환경과의 상호소통, 자연신체의 한계극복과 판타지 구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간과 자연 모두를 생각하는 미래 지속가능한 친환경 패션을 향한 교육과 패션을 비롯한 다른 영역에서도 생체모방을 적용한 기초적인 이론자료 및 창의적인 디자인 교육을 위한 유용한 모델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중국 내 한국 모방 프로그램에 대한 중국 현지 대학생의 시청반응 연구 : 중국판 <나는 가수다2> 프로그램의 모방요인(모방요소)을 중심으로

        쟝샤오밍,최영준 한국소통학회 2016 한국소통학보 Vol.15 No.1

        본 연구는 프로그램 콘텐츠의 한류 열풍으로 표현되고 있는 중국판 모방 프로그램에 대하여 어떤 모방요인들이 중국 현지 대학생 시청자들에게 시청선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중국판 <나는 가수다2>에 대하여 총 20명의 20대 중국인 대학생을 중국 현지(산둥성 ‘산둥대학교’)에서 5라운드에 걸쳐 포커스그룹 인터뷰(FGI : Focus Group Interview)를 수행하였고 인터뷰의 내용을 분석하는 질적연구 방법을 수행하였다. 중국판 <나는 가수다2> 프로그램에 대한 중국 대학생 시청자의 시청선택 이유를 모방요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정리가 된다. 모방요인의 내용적 측면에서 프로그램 진행방식이나 포맷(코너)의 공정성과 공평함을 높이 평가하였고 모방요인의 형식적 측면에서 중국내 다른 방송 프로그램에서 볼 수 없는 극적 분위기의 무대셋트와 조명효과,실제 콘서트를 보는듯한 오디오 음향효과를 시청선택의 이유로 답하였다. 모방 프로그램으로서 <나는 가수다2>의 모방요인과 시청 만족도, 시청 충성도 사이의 관계를 확인한 질문에 대하여 프로그램의 모방요인에 대하여 형식적 요인들이 긍정적으로 인식될수록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긍정적 이미지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방 프로그램의 시청을 통해 주변인들과 사회교류 욕구가 커질수록 시청권유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regards to this phenomenon, the study sets out to focus on the reactions of Chinese college viewers to China’s copying Korean programs, and find out their reasons for watching the programs, satisfaction and loyalty in relations to China’s reason for copying the Korean programs. For this, 20 Chinese college viewers of the Chinese version of “I am a singer 2”, the Korean program copied by China, were selected, and were made to have five rounds of Focus Group Interviews. The interviewees were young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from Shandong University in Shandong province. The Chinese college viewers were impressed by the way the program was run, which was very unique, and that the new format brought justice and fairness to the program, eventually leading them to watch the copied program. Also, the dramatic directing, stage settings and the lights that were never seen before in Chinese programs as well as the audio effect that reminded them of a concert were another reason for watching the program. Concerning their loyalty to the program, they responded that they recommended the program to others as they wanted to interact and share their thoughts with others. Regarding their reasons for watching and loyalty to the program, they continued watching the program to evade reality (absorption into the program). Lastly, in regards to the question in the interview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asons for copy, satisfaction and loyalty, it was found that the more viewers liked the background settings such as the stage settings, lights and audio effect,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was for the program.

      • KCI등재

        서양 고대 그리스의 모방론에서 본 춤 예술

        임정미 한국체육철학회 2010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8 No.4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dance and art from the viewpoint of mimetic theory of art. With related publications and reference, Plato(BC 428-348) and Aristotle(BC 384-321) are studied around the mimetic theory. The concept of mimesis is defined and then Plato's and Aristotle's views are compared.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imesis is generally an act that makes an imitation of a thing from the original state of it. In view of the mimetic theory, therefore, art is essentially an imitation of nature. Plato explains the mimesis of "Idea" in line with metaphysics while denies physical things. He claims that every phenomenon in the world is only an imitation of its nature and art is an imitation of the imitation and thus barely real at all. Aristotle agrees that art is essentially an mimesis. But he goes over Plato's concept. To him, mimesis is in part the act of intellect and imaginative use of nature, and thus art is natural and beneficial. Plato is not highly appraised among dancers and artists today since he underestimates dance and art while Aristotle estimates that art imitates not only the outside of event but intended behavior and even the unseen "inner life" of persons. Aristotle confirms artistic mimesis that dancers and artists represent their internal attributes. In sum, dancers and artists are requested to imitate good works, good paintings and good performances. Their imitation, more importantly, requires to include internal, psychological and beautiful acts of themselves. These are the true meaning of mimesis that not only Aristotle implies but also real art represents. 이 연구는 모방론의 관점에서 춤과 예술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플라톤 관련 서적과 아리스토텔레스 관련 서적을 참고하여 모방론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모방의 개념을 정의하고, 플라톤의 모방론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방론을 논의하였다. 이를 근거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방론에서 춤과 예술의 의미를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모방의 일반적인 개념은 원상과 가까운 모상을 만들어 내는 행위이며, 플라톤은 이데아의 모방을 설명하고,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보다 더욱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모방을 설명하였다. 그는 모방이란 예술가가 내적인 체험까지 포함하여 나타내는 모방행위라고 기술하였다. 플라톤의 모방론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방론에 나타난 춤과 예술을 의미를 살펴본 결과, 플라톤의 모방론은 이데아의 모방이며, 예술을 보다 낮은 위치에 놓았기 때문에 오늘날 예술가와 무용수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였다. 반면에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방론에 의하면 예술은 자연을 모방하는데, 원상을 그대로 모방하는 것을 넘어 예술가와 무용수들은 자신의 내면을 표출한 예술적 모방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예술가와 무용수들은 좋은 작품, 좋은 그림, 좋은 행위를 모방하여야 하고, 그것들을 모방함에 있어 자신의 내면적, 심리적, 아름다운 몸짓을 포함하여 모방행위를 하는 것이 아리스토텔레스가 언급한 모방의 의미이며, 진정한 예술에 있어서의 모방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제품디자인에서 자연의 형태를 이용한 모방적 조형 연구

        왕운비,박억철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4

        Living in nature, we humans have always seen objects in nature existing in harmony with their surroundings in certain colors and shapes. Nature imitation design aims to address human's problems in their pursuit for aesthetics through study and imitation of nature's design elements. All shapes found in the nature form a certain rhythm or a regular relationship, thus we can find rational and economic structures in the formative structures in the nature, and new attempts in aesthetic aspects of design is also possible through imitating nature's forms. Nature imitation design is one of the important design methods utilized for design problem solving. Its scope of application has expanded from natural science to design study field, being used in a wide variety of product design and formative activities. Thus, this study aims to supplement the existing formative methods used in basic design and to study nature imitation design methods in a way to utilize effective design and formative process. It also examines the definition of nature imitation and its scope of application. In addition, it verifies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current nature imitation cases in order to apply them to real-life product design studies. The research cases in this study are divided by types and images, and their nature imitating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for actual applicability. In order to achieve this, theories on nature imitation and related product design methodologies are studied, and principles and process of nature imitation in product design are analyzed. The nature imitation application process and design method is also studied. Lastly, the study introduces case studies from Korea and abroad where design problems are solved through nature imitation, and seeks new directions of nature imitation design. 우리 인간은 자연 속에 살면서 그 자연과 모든 물체가 어떤 색과 형태를 이루고 있음을 늘 보아 잘 알고 있다. 자연모방 분야는 자연이 가지고 있는 디자인적 요소들의 연구 및 모방을 통해 인간의 미적 형상을 추구하는 조형적 과제를 해결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자연에서 볼 수 있는 모든 형상은 어떤 리듬이나 규칙적인 상호 관계 속에서 이루어져 있어 자연이 제시하는 조형적인 구조에서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구조를 발견 할 수 있으며, 디자인의 미적 측면에서도 새로운 시도가 가능하다고 본다. 자연모방 디자인은 디자인 문제 해결에 있어서 중요한 디자인 방식 중 하나로 응용범위는 최초의 자연과학 영역에서 현대 디자인학 영역으로 발전되었으며 제품디자인, 조형 활동에 많이 응용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기초 디자인에서 사용되는 조형방법들을 더 보완함과 동시에 효과적인 디자인과 조형 프로세스를 활용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자연모방 디자인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자인 시 조형 요소 구성을 위해 자연 형태의 질서를 모방한 조형 접근 방법으로써 조형의 개념과 영역을 고찰하고, 자연 모방에 대한 일반적 고찰을 통하여, 자연모방의 정의와 그 용용 범위에 대하여 검증한다. 또한 자연계에서 발견된 형태 속에서 과학적인 질서의 구성과 활용도를 확인하면서 현 시점에서 나타나 있는 자연모방의 활용 사례를 기본으로 그 발전 가능을 검증하고 실제 제품디자인 연구에 활용케 한다. 이어 조사된 사례들을 유형별, 이미지 별로 분류하고 자연모방을 활용 시킬 수 있는 특징들을 파악하여 실제 적용 가능성을 점검한다. 이를 위해 자연모방에 관한 이론 및 관련 제품 디자인방법론을 고찰, 제품디자인 시 자연모방 디자인 방법의 원칙과 절차를 분석하고 자연모방 방법으로의 응용과정 및 디자인방법을 고찰한다. 끝으로 국내외 자연모방 활용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그 문제점을 해결한 경우와 조형의 특성에 적합한 활용 등 그 성격에 걸맞는 방향성을 모색한다.

      • KCI등재

        생체모방에 기반한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대한 연구

        홍성엽(Hong, Sungyeap),이철호(Lee, Cheolh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4 No.-

        최근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는 산업 제품이나 환경 친화적 건축 등 지속 가능한 생체모방 디자인은 이미 세계적 추세로 자리 잡고 있다. 생체모방은 생명을 뜻하는 "bios"와 모방이나 흉내를 의미하는 "mimesis" 그리스 단어를 합성한 단어로, 생물체의 기능적 구조나 개체의 이미지에서부터 숲의 임상, 흰개미 집의 구조에 이르기까지의 생태계 전반에 걸친 특성을 연구, 모방을 통해 인류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새로운 과학이다. 생체모방학의 선구자인 재닌 베니어스는 생체모방의 영역을 1) 설계 모델 2) 시스템의 판단 기준 3) 조언자로 활용하는 것의 3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유기체의 시각적 이미지를 모방한 디자인, 자연의 무질서 속에 존재하는 효율적 패턴을 모방한 디자인, 특수한 기능의 구조적 모방, 친환경 건축 디자인까지 성공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생체모방을 이용한 제품이나 디바이스 개발 사례는 2,000여 건에 달할 정도로 이미 사회 전 분야에 널리 퍼져 있다. 사실 지속 가능한 제품이나 디바이스는 본질적으로 생체모사적이다. 이는 생체모방 디자인이 최고의 성취를 이룬 생명체를 기반으로 제품을 만들며, 이들 생명체들은 지속 가능하기 때문이다. 생체모방 디자인은 38억 년의 생존의 역사를 가진 자연에서 해법을 찾는 것으로 지속 가능성의 차원을 넘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생체모방, 산업 디자인, 환경과학, 경제학, 건축학 및 제 공학 분야를 아우르는 학제적 연계가 필요하다. A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recently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Industrial products taking into account all effects of a product during its entire life cycle from production to dispos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rchitectures, produced by a sustainable design inspired by nature have been already placed as a worldwide trend. Biomimicry, the combination of the Greek roots ‘bios’ life and ‘mimesis’ imitation, literally means the imitation of life and a new applied science that takes out inspiration for solutions to human problems through the research of natural designs, systems and processes. Janine Benyus, a science writer and lecturer on the environment, classified the fields of "biomimicry" into 3 categories. 1) nature as model, 2) nature as measure and 3) nature as mentor. This study represents some successful cases of a sustainable design development based on biomimetic principles extracted from visual image of individual, efficient pattern in the randomness of nature and specific functional structure of individual organism. Som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rchitecture inspired by nature are also offered. So far, over 2,000 cas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have been reported and are substantially sustainable and have proven to be optimized in terms of efficiency, because over many millennia the organisms that inhabit this planet have gone through countless environmental filters that have shaped and continue to inform the shape of organisms today. A sustainable design based on biomimetic principles is thought to be a new driving power for the eternity of human being. To make this possible, a broad range of fields including material research, product design & innovation, inventions, systems design, architecture, communication and mechanics would be interdisplinarily combined.

      • KCI등재

        모방구매성향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진옥,전중옥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0 No.4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소비행동에 있어서 모방소비가 일반화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케팅차원에서 학문적인 연구가 체계화 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탐색적 연구로서 모방소비를 가속화 시키는 모방구매성향의 측정항목을 개발하고 요인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우선 피험자들을 선정하여 정성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논문 설계는 사회심리학에서 심층적으로 거론되는 Bandura(1975)의 사회학습이론의 모방행동을 인용 마케팅 차원에 적용하였다. 1차적으로 FGI 기법을 병행하여 모방행동(Bandura, 1975)과 모방구매행동(Chakravarti & Janiszewski, 2003)을 관찰 하였으며, 2차적으로 결과변수인 모방구매행동을 통하여 역으로 In-Depth Interview를 실시하여 모방구매성향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20개의 모방구매성향의 항목을 통한 분석결과 총 3개의 요인으로 모방구매성향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각각의 요인명은 이미지 지향성, 개성 지향성 그리고 브랜드 지향성으로 명명하였다. 연구결과, 모방구매를 하게 되는 이유가 어떤 특정인의 패션아이템이나 소유물에 대하여 단순히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모델과 제품의 속성이 소비자의 소비심리에 시너지 효과로 나타나면서 모방구매성향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sumption of imitative buying behavior is common in modern consumer driven society, however academic research in marketing has not yet been conducted.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consumers' imitative buying tendencies to identify the acceleration of imitative consumption as an exploratory research. Due to  the lack of precedence in previous research, we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the selection of subjects. To design this study, we used “The Social Learning Theory”Bandura, 1975) in social psychology for experiments on imitative behavior, and “Screening process: Procedure at computers”(Chakravarti &Janiszewski, 2003) was also adopted for observation of imitative buying behavior, which were applied to the marketing dimension.Primary research was used in conjunction with FGI techniques to observe the imitative behavior and the imitative buying behavior. As a secondary research, the study was designed to elicit the imitative buying tendency using the In-Depth-Interview through the imitative buying behavior which is the dependent variable. Through the 20 items of the questionnaire for the imitative buying tendency, 3 factors were identified. These factors were named as image orientation, personality orientation, and brand orientation.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ed the reason for imitative buying is not simply imitating a particular model's fashion items or possession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synergy effect was achieved as a result of the model's attributes and the products' attributes to the consumers' psych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