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노년층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 이용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승윤,김동욱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19 국정관리연구 Vol.14 No.2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much of the daily life of Korean society is changing to mobile base due to the generalization of mobile devices. Therefore, this paper supposes that elderly people who have relatively low ability to use mobile devices, and their ability are likely to have an impa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Moreover, this paper assumes that their usage level of mobile-based living services(transportation, purchasing, finance, administration, and living welfare information) that provide convenience in daily life might hav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two factors. For comparative analysis, we also analyzed the general public under 54 years of age to examine these effects are unique trends in the elderly. In order to analyze our research hypotheses, this paper used the raw data of <2018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As a result, the elderly's ability to use mobile device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it also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ir usage level of mobile-based living services. Also, each service usage level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However, the level of service usage has just a partial mediating effect not a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two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suggests the policy implication to enhance the elderly's ability to use mobile devices and their usage level of mobile-based services. 이 논문은 우리 사회가 모바일기기의 보편화로 인해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이 모바일 기반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상대적으로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이 저조하다고 논의되는 장노년층들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이 이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일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또한, 이 관계에 있어 일상생활에 편리함을 제공하는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교통, 구매, 금융, 행정, 생활복지정보) 이용수준이 두 요인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러한 영향이 장노년층에서만 나타나는 특이한 경향인지 확인하기 위해 만 54세이하의 일반국민을 대상으로도 동일한 모형으로 분석하여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2018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원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장노년층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은 이들의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일반국민에 비해서도 그 영향력이 다소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장노년층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 수준은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 이용수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각각의 서비스 이용수준은 모두 장노년층의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만54세 이하의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한 모형에 있어서도 유사한 경향성이 확인되었다. 다만, 장노년층의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 이용수준은 모바일기기 이용능력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 있어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은 직접적으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부분적으로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 이용수준을 통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에 반해 만54세 이하의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못하여, 모바일기반의 생활서비스 이용수준의 매개효과는 젊은 연령층에는 존재하지 않는 장노년층에서만 나타나는 특이한 경향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 논문은 장노년층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의 함양과 이들의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 활용수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PC/모바일 기기 이용 능력과 사회적 관계 서비스 이용률을 중심으로

        김대명 국회입법조사처 2022 입법과 정책 Vol.14 No.1

        PC/모바일 기기와 사회적 관계 서비스의 이용이 대중화 된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및 장애 관련 특성을 통제한 후, PC/모바일 기기 이용 능력과 사회적관계 서비스 이용률이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2020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여 일원배치분산 분석과 t 검정,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의 PC/모바일 기기 이용 능력과 사회적 관계 서비스 이용률은 인구사회학적 및 장애 관련 특성을 원인으로 하는 사회적 제약을 넘어그들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정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관련 정책과 관계 법령상 실현 가능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