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연부조직 육종에서 면역조직화학적 예후인자

        최경운,김정일,문남훈,Choi, Kyung-Un,Kim, Jeung-Il,Moon, Nam-Hoo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8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4 No.2

        목적: 세포주기의 조절곤란은 종양의 발생과 진행에 영향을 미친다. 몇가지 알려진 연부조직 육종에 대한 면역 조직화학적 예후인자 들이 있지만 상반된 연구도 있고 G1/S phase관계되는 인자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저자는 연부조직 육종의 재발 및 전이와 관계된 G1/S phase 세포조절주기 단백의 면역화학적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연부조직 육종으로 진단된 환자 중 최소한 1년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고 파라핀 블록의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43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지방육종 15예, 악성 섬유성조직구증 13예, 횡문근육종 5예, 활막육종 5예, 평활근육종 3예, 섬유육종이 2예였다. 모든 환자의 조직은 전 절제술로 제거된 조직을 대상으로 Cyclin D1, Cyclin E, CDK4, CDK, p16, p27, Rb, E2F-1, p53, Ki-67 등의 면역 조직화학적 발현을 조직 microarray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환자의 국소 재발 및 전이에 따른 예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국소 재발은 8예(19%)에서 일어났으며 이것은 Cyclin E(p=0.024), E2F-1(p=0.046)의 발현과 연관이 있었다. 전이는 16예(37%)에서 일어났으며 CDK4의 증가와 연관이 있었다(p=0.031). 결론: Cyclin E와 E2F-1이 연부조직 육종의 국소 재발과 관련있는 예후를 제공해주었고, CDK4가 전이를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인 예후를 제공해주었다. 따라서 조직 검사시 이들 표식자들의 적절한 사용이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고 치료의 범위를 결정 짖는데 중요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Disturbed cell cycle regulatory proteins are key events underlying the development and/or progression of human malignanci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otein expression status involved in G1/S cell cycle in human soft tissue sarcoma. Materials and Methods: We simultaneously evaluated the expression of Cyclin D1, Cyclin E, CDK4, CDK2, p16, p27, Rb, E2F1, p53 and Ki-67 by immunohistochemistry in 43 cases of soft tissue sarcoma Results: The Cyclin D1, Cyclin E, CDK4, CDK2, E2F1, and p53 were expressed in 25 (58.1%), 18 (41.9%), 13 (30.2%), 33 (76.7%), 20 (46.5%), and 18 cases (41.9%). The p16, p27, and Rb expressions were decreased in 26 (60.5%), 22 (51.2%) and 19 cases (44.2%). All of the cases showed alterations of more than one out of the above proteins. The increased Cyclin E expression and Ki-67 labeling index (LI)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stologic grade. The Cyclin E and E2F-1 expressions were increased in relapsed cases and the CDK4 expression was increased in cases of metastasis. Conclusion: Alterations of G1/S cell cycle regulatory protein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tumoriogensis of soft tissue sarcomas. Our results suggest that increased expressions of Cyclin E, E2F1, and CDK4 were associated with tumor relapse or metastasis and could be considered as parameters of prognosis of soft tissue sarcoma.

      • KCI등재후보

        자궁경부암 수술 후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미세전이 발견을 위한 면역 조직 화학적 검사의 임상적 의의

        김정식,이해혁,남계현,김희경,배동한 대한부인종양학회 2006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6 No.3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by immunohistochemistry, possible micrometastasis in the pelvic lymph nodes previously considered free by conventional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and to assess their influence on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patients(n=51) operated on between February 2001 and May 2004 for cervical cancer without histopathologic lymph node involvement. Lymph nodes(n=282) from 51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node-negative cervical cancer were evaluated for micrometastasis. These were submitted to immunohistochemical study using AE1/AE3 anti-cytokeratin monoclonal antibodies to identify neoplastic epithelial cells. RESULTS: Lymph node micrometastases were immunohistochemically detected in 3 of the 51 patients(5.9%), comprising 3 of 282(1.1%) pelvic lymph nodes examined. One patient(Ib2) had adenocarcinoma and others(Ib1,Ib2), squamous cell carcinoma. All of them had negative lymphovascular space invasion. In three patients, there were recurrences(66.7%,2/3), and one patient(Ib1) died from the pelvic recurrence. CONCLUSIONS: We recommend an immunohistochemical examination for lymph node micrometastases in cervical cancer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negative nodes. Micrometastasis could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further treatment strategies and follow up. Its clinical significance in cervical cancer warrants further study. 목적: 자궁 경부암으로 수술후 조직학적 검사에서 골반 임파절 전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된 경우, 면역조직화학적인 방법으로 미세전이의 유무를 확인후 이에 대한 의미와 예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1년 2월부터 2004년 5월 까지 본원에서 자궁경부암으로 근치적 자궁적출술 및 골반 임파절 절제술을 받은 7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중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 골반 임파절 전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된51명의 골반 임파절들을 면역 조직화학적으로 검사하였으며, 총 282개의 골반 임파절 슬라이드를 anti-cytokeratin antibodies AE1/AE3 (DakoCytomation,California,USA)로 염색하였다. 결과: 자궁경부암 병기별 환자들의 분포는 1a1: 7 명,Ia2: 4명,Ib1: 29명,Ib2: 5명,IIa: 5명,IIb: 1명이며,환자들의 평균나이는 46.3세(27-64세)였다. 면역 조직화학적인 방법으로 검사한 임파절들에서 미세전이는 51명중에서 3명(5.9%),전체 임파절 282개중 3개(1.1%)에서 발견되었다. 한명(Ib2)은 조직학적 유형으로 선암이었고, 나머지 2명(Ib1,Ib2)은 편평세포암이었다. 미세전이가 있는 3명 모두 임파혈관 침윤(lymph-vascular space invasion)은 없었다. 이들 3명중 2명에서만 재발이 되었고, 한 명(Ib1)은 재발로 인하여 사망하였다. 결론: 자궁 경부암 환자에서 수술 후 미세전이 유무가 향후 재발 요인 및 예후에 대한 예측인자로서 가능성을 보이며, 수술 후 항암 방사선 요법등의 치료 방침 설정 시에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