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존 웨슬리의 두 가지 예배음악적 속성 연구

        김용화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2 성경과신학 Vol.104 No.-

        John Wesley was a liturgist who thoroughly defended the liturgy of Thomas Cranmer’s HThe Book of Common PrayerH(1662), updated in the tradition and heritage of the Church of England. This can be clearly seen through HThe Sunday ServiceH (1784), which he revised and edited based on HThe Book of Common PrayerH(1662) and sent to North American Methodists. At the same time, he is an evangelist who, while maintaining his priesthood in the Church of England, quenched the religious and social thirst that the Church of England could not satisfy the marginalized and poor through the Methodist movement. In particular, the empirical and practical evangel- ical congregational hymns about the words of Jesus Christ used in Methodist worship and gatherings becam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revival movement. Therefore, it can be evaluated that Wesley maintained a good balance between doctrinal and formal liturgical music as a liturgical advo- cate and personal and confessional evangelical congregational singing as an evangelist. It is as if Martin Luther removed the superstitious element of the Roman Catholic liturgy, the Missa, and maintained its framework and introduced the chorale. The most important musical methods in liturgical music are responsory and antiphon. If you are looking for a biblical source for this, it is the ‘Song of Moses and Miriam’ in Exodus 15. This tradition of responsory and anti- phon continued into the 18th-century Church of England, but it did nothing to improve their faith and spirituality. On the other hand, Methodists could easily sing along to the evangelical congregational hymns through the ‘lining out’ method. However, some congregations who were fascinated by gospel hymns sometimes showed disorderly attitudes toward singing, so in the end, Wesley standardized singing style and music by including 7 prac- tical ‘Directions for Singing’ in the appendix of HSelect HymnsH(1761). 존 웨슬리는 영국교회의 전통과 유산 속에서 갱신된 토마스 크랜머의 H공동 기도서, The Book of Common PrayerH(1662)의 예전을 철저하게 옹호하는 예 전주의자였다. 이것은 그가 H공동기도서H를 기반으로 개정하고 편집하여 북 미 감리교인들에게 보낸 H주일예배서, The Sunday ServiceH(1784)를 통해 우리 는확실히알수있다. 동시에그는영국국교회사제신분을유지하며국교 회가 미처 소외되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채워줄 수 없었던 신앙적 갈증들을 메소디스트 운동을 통해 해소해 주었던 복음 전도자이기도 하다. 특별히 메 소디스트의 예배와 집회에서 활용된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에 대한 경험적이 고 실천적인 복음주의 회중찬송들은 부흥 운동의 원동력이 되었다. 결국, 존 웨슬리는 예전옹호자로서의 교리적이고 형식적인 예전음악과 복음전도자로 서의 주관적이고 고백적인 복음주의 회중찬송 사이에서의 균형을 잘 유지했 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것은 마치 마틴 루터가 로마 가톨릭 예전인 미사 (Missa)의 미신적 요소를 제거하고 그 틀을 유지하며 회중찬송(Chorale)을 도 입한 것과 마찬가지다. 예전음악에서 중요한 노래방식은 응창(Responsory)과 교창(Antiphon)이다. 이 것의 성서적 출처를 찾는다면 출애굽기 15장에 나오는 ‘모세와 미리암의 노래’이다. 이러한 응창과 교창의 전통이 18세기 영국교회에서도 이어졌지만, 그것은 그들의 신앙과 영성을 향상시키는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했다. 반 면 메소디스트들은 ‘Lining out’ 방식을 통해 웨슬리 형제의 복음주의 회중찬 송을누구나쉽게따라부를수있었다. 그러나일부복음주의찬송의매력 을 느낀 메소디스트들은 때때로 무질서한 찬송 태도를 보임으로 인해, 결국 존 웨슬리는 H찬송선집, Select HymnsH(1761) 부록에 실제적인 7가지 찬송지 침을 수록하여 노래방식과 음악을 표준화하였다.

      • KCI등재

        메소디스트 부흥운동의 소멸, 그리고 회복의 전망

        장기영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3

        메소디스트 부흥운동의 쇠퇴에 대한 분석은 여러 교회 지도자와 신학자에 의해 이 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분석은 한결같이 메소디스트 부흥운동의 결과로서 교단과 신 학 기관은 존재하나, 신자의 삶과 교회 강단의 선포, 메소디스트 단체의 활동 전반에 서 부흥운동은 심각할 정도로 쇠퇴했고 심지어 소멸되었다는 진단을 반복한다. 한 때 큰 힘과 에너지로 교회와 사회의 갱신에 기여했던 메소디스트 부흥운동은 어떤 역사 적 과정을 거쳐 그 특징과 영향력을 상실해 부흥운동의 소멸이라는 암울한 결론에 이 르게 되었는가? 이 연구는 메소디스트 부흥운동의 쇠퇴와 소멸의 원인을 살펴보고 그 회복의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는 첫째, 18세기 메소디스트 부흥운동 이, 19세기 웨슬리안 성결운동을 거쳐, 현재의 소멸에 이르기까지 그 신학과 실천에 어떤 왜곡과 변형과 축소가 있었는지 고찰했다. 이를 위해 18세기 메소디스트 부흥운 동과 19세기 성결운동, 그리고 그 이후 메소디스트와 웨슬리안 신학과 실천의 변화의 추이를 추적했다. 이 연구는 메소디스트 부흥운동 쇠퇴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부흥운동의 특징과 영향력 회복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그 가능성 모색은, 가장 기본적으로 메소디스트 신학의 측면, 메소디스트 정신의 측면, 메소디스트 실천의 측면 등 다각도 로 이루어진다. Analysis of the decline of the Methodist revival movement has been done by several church leaders and theologians. In 1994, Dr. Keith Drury, the leader of the Wesleyan Church, declared the death of the Methodist Revival movement at the Christian Holiness Association conference, causing a great sensation. In 1999, Nazarene theologian Dr. Richard Taylor published an article titled “Why the Holiness Movement Died” in God's Revivalist. Also, Wesley scholar Dr. Kenneth Collins contributed an analysis to the Asbury Theological Journal, “Why the Holiness Movement Is Dead.” These analyzes consistently repeat the diagnosis that denominations and theological institutions exist as a result of the Methodist revival movement, but the revivalism in the life of believers, the proclamation of the church pulpit, and the activities of Methodist organizations in general has seriously declined and even ceased to exist. Through what historical process did the Methodist revivalism, which once contributed to the renewal of the church and society with great strength and energy, lose its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leading to the gloomy conclusion that the revivalism ceased to exis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decline and annihilation of the Methodist revival movement and to suggest a method for its recovery. First, this study examines what distortions, transformations and reductions occurred in the theology and practice of the Methodist Revival movement in the 18th century and the Wesleyan Holiness Movement in the 19th century, leading to the current extinction.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ecline of the Methodist revival movement, the possibility of rest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vival movement and its influence is explored. The search for the possibility is made from various angles such as the aspect of Methodist theology, the aspect of Methodist spirit, and the aspect of Methodist practice.

      • KCI등재

        존 웨슬리(John Wesley)의 저널(Journal)에 나타난 신학사상과 부흥운동

        박창훈 한국교회사학회 2015 韓國敎會史學會誌 Vol.42 No.-

        이 글에서는 웨슬리의 저널의 중요성을 제기하면서, 저널의 자료, 즉 일 기(Diary)의 특징과 그 연관성, 저널의 문학특징, 저널의 출판 시기와 주요 내용과 사건, 그리고 저널을 통하여 유추할 수 있는 웨슬리의 생각과 사상 더 나아가 18세기 영국의 부흥운동에서 그의 활동을 정리하였다. 이를 위 해, 단순히 신학적인 주제를 따라 추적하는 방법이 아니라, 시간 흐름과 경 과를 의식하는 역사적 방법을 이용하여, 문학적·사회적 정황을 비교하고, 더 나아가 대중문화사의 시각에서 그의 저널을 읽을 것을 제안하려고 한다. 이제까지 한국 신학계에서 웨슬리 저널의 출판 동기와 기록 방법에 대 한 질문이 없을 만큼 웨슬리 연구가 신학주제 중심으로 치우쳐 있었으며, 그 만큼 지성적이고 합리적인 웨슬리 찾기에 기울어져 있었다. 이 글은 웨 슬리의 보다 인간적이고 자연적인 모습을 추적하여, 더 입체적인 웨슬리 복원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 글 결론적으로 웨슬리의 저널에서 다음의 사항이 발견됨을 지적한다. 첫째, 그의 신학이 평생을 통해 발전하고 있다. 그렇게 도달한 것이 바로 “그리스도인의 완전,” 즉 성결을 목표로 하는 신학이었다. 둘째, 저널을 통 해 메소디스트 부흥의 현장을 생생하게 목격할 수 있다. 셋째, 웨슬리는 저널을 위해 현상학적인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넷째, 웨슬리 저널을 통해 18 세기 영국의 대중사를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저널을 통하여 결국 웨슬리 는 메소디스트 신도회가 타락한 세상에 대한 대안공동체라는 것을 보이려 고 하였다. This Paper brings up the importance of John Wesley’s Journal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his Diaries, which were the primary materials of his Journal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includes the journals’ literary features, their periods of publications, their main contents and events. And finally, it infers Wesley’s thoughts and theology with his activities during the 18th-century British Revival Movement from his Journals. For its methodology, not through searching for theological themes simply, but through acknowledging the passage of time, it fulfills historical approach, compares the cultural-social contexts, and suggests the reading of his Journals through the lens of popular cultural history. Up to now, Wesley studies in Korea have so strongly focused on his theological themes that nobody has raised the questions over Wesley’s intentions in his Journal publications and his recording methods within Korean theological studies. This treatise, therefore, tries to trace a more humane and more natural Wesley and to contribute toward restoring a holistic figure of Wesley. In conclusion, this paper points out the following from Wesley’s Journals. First, his theology developed in his lifetime and, as a matter of course, wasgathered under the title of Christian perfection, which is the theology of aiming at the goal of holiness. Second, his Journals describe and report lively the places of revival movement and what was happening there. Third, in his Journals, Wesley uses the phenomenological method to accept as truth what happened among people. Fourth, his Journals pretty well show the 18th-century British popular history. After all, Wesley tried to prove his Methodist Society as an alternative community for the corrupted world through his journal publications

      • KCI등재

        한국인의 행복과 웰빙을 위한 기독교의 메시지 : 존 웨슬리의 치유 및 전인적 건강 개념을 중심으로

        장기영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6

        현재 대한민국의 많은 국민은 개인적 불행과 사회적 고통으로 인해 불행지수가 매 우 높다. 이런 때에 기독교는 지친 영혼을 위로하는 구원의 종교이자 공익을 도모하 는 사회적 종교로서, 한국인의 불행과 고통을 해결할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본 연 구는 18세기 영국에서 복음적 부흥운동을 일으켜 사람들의 영혼을 위로했던 웨슬리의 행복에 대한 가르침과 함께 그가 사람들의 전인적 건강과 사회적 건강을 위해 노력했 던 실천을 고찰함으로, 기독교가 한국인의 행복과 웰빙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 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웨슬리는 행복의 원천이신 하나님의 사랑을 받는 삶이 가 장 행복할 수 있음을 명확히 가르쳤다. 그는 인간의 가장 깊은 영혼의 갈망을 하나님 에게서 채우고, 창조된 거룩한 본성에 부합하는 삶을 살아감으로 얻는 행복을 가르쳤다. 그런 의미로 아우구스티누스와 함께 웨슬리는 “하나님은 그분 자신을 위해 우리 를 만드셨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심령은 그분 안에서만 만족할 수 있습니다”라고 역 설했다. 또한 18세기 영국은, 현재 우리의 상황처럼 개인적 불행과 사회적 고통 문제 가 심각했다. 이에 웨슬리는 복음으로 사람의 영혼을 행복하게 했을 뿐만 아니라, 실 천적으로도 사람들의 영혼과 육체의 전인적 건강을 돌보고, 빈자의 복지와 약자 보호 에 앞장서며, 대중문화를 건전하게 이끌고, 충돌하는 세력 간 평화를 중재해 사회적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었다. 그 점에서 존 웨슬리의 행복에 대한 가르침과 전인적 건 강을 위한 노력을 고찰함으로, 한국인의 행복과 웰빙을 위해 기독교가 어떤 메시지를 던질 수 있으며, 어떻게 사회적 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일은, 오늘의 교 회의 사역을 활기 있게 하고, 교회가 세상을 섬기는 일에 중요한 통찰과 도전을 줄 수 있을 것이다. Currently, many people in South Korea have very high levels of unhappiness due to personal misery and social suffering. At such a time, Christianity, as a religion of salvation that comforts weary souls and a social religion that promotes the common good, has great potential to address the unhappiness and suffering of Koreans.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Christianity can contribute to the happiness and well-being of Koreans by examining the teachings on happiness of Wesley, who led an evangelical revival in England in the 18th century to comfort people's souls, and the practices he endeavored to promote holistic health and social well-being. Wesley clearly taught that the happiest life is one that is loved by God, the source of happiness. He taught that happiness comes from satisfying the deepest longings of the human soul in God and living a life in accord with the holy nature in which we were created. In this sense, Wesley, along with Augustine, emphasized that “God has made us for Himself; therefore, we can be satisfied only in Him.” When the 18th century England, similar to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faced serious problems of personal unhappiness and social suffering, Wesley was able not only to make people happy in spirit with the gospel, but also to alleviate their suffering in practice by caring for the holistic health of their souls and bodies, advocating for the welfare of the poor and the protection of the human rights of the weak, correcting the popular culture of society in a healthy direction, and promoting social peace. In that regard, an examination of what Christianity has to say about happiness and well-being in Korea, centered on John Wesley's view of happiness and the concept of holistic and social health, and how it can help people's holistic and social health, can energize the work of the church today and provide important insights and challenges for the church's engagement with the worl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존 웨슬리의 에큐메니칼 정신과 실천

        이성덕 한국교회사학회 2011 韓國敎會史學會誌 Vol.29 No.-

        This paper aims to explore John Wesley’s and early Methodist’s ecumenical spirit and practice at the time when we need more unity and cooperation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hosting the 10th Assembly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2013. The writer examines his ecumenical spirit and practice in his Journal and Diaries, Letters, and Sermons etc. John Wesley, the founder of Methodism, was a man of ecumenical spirit and endeavored to take it into practice. In principle, he was a son of Church of England. However, he accepted other christian traditions, unless they didn’t hurt the essentials of christianity. His ultimate goal is to be sanctified and become a perfect Christian, not to be a member of a particular church or denomination. His ecumenical spirit drew on his characteristic stress on the true Christian’s interior life of holiness. His ecumenical central message is summed up as follows in the sermon, “Catholic Spirit”: “So far as in conscience you can (retaining still your own opinions and your own manner of worshipping God), join with me in the work of God, and let us go on hand in hand.” He insisted that “orthodoxy, or right opinions, is, at best, but a very slender part of religion, if it can be allowed to be any part of it at all”, but he also wrote that “A catholic spirit is not a speculative latitudinarianism. It is not an indifference to all opinion: this is the spawn of hell, not the offspring of heaven.” This study also demonstrates how difficult it was for John Wesley and early Methodist to realize their ecumenical spirit in the Methodist Movement which underwent the conflict and division between Wesleyan Methodist and Calvinistic Methodist espoused by George Whitefield. Despite their real differences, John Wesley emphasizes that Christians have a great deal in common and that they must stress and strengthen these existing bonds of unity. He preaches and practises in the 18th century what Christians in the twentieth have recently discovered and formulated. Taking it into consideration, he can be estimated as one of forerunners of modern ecumenical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