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적 메가이벤트 유치전략의 쟁점과 정책적 함의

        김혜천 ( Hye Cheon Kim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地方行政硏究 Vol.26 No.2

        세계 각국의 정부와 도시들은 올림픽과 월드컵, 엑스포와 같은 국제적 규모의 메가이벤트 유치를 위해 경쟁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메가이벤트 유치가 개최국과 도시에 다양한 유형의 편익과 지역발전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메가이벤트의 개최를 위해서는 엄청난 재정투자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개최후 사후 관리를 위한 재정적 부담 역시 감수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메가이벤트 유치의 주요 쟁점 사항에 대하여 연구자의 시각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기 개최된 메가이벤트에 대한 재평가를 통해 향후 메가이벤트 유치와 지역발전정책에의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메가이벤트의 개념과 유형적 특성을 논의하고, 이러한 개념과 유형적 틀 속에서 우리나라에서 개최되었거나 개최될 예정인 메가이벤트의 실태와 특성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그간 메가이벤트와 관련된 주요 쟁점 사항과 파급효과에 대하여 재평가하고, 이러한 논의와 평가를 바탕으로 국제적 메가이벤트를 활용한 지역발전전략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increasing number of nations and cities are bidding to host the mega-event such as Olympics Game, football World Cup, and EXPOs, expecting to have an opportunity for improving eonomic and social aspects of a city or region. But host city not only should make accumulated investment for staging the mega-event but also have diverse burdens such as negative impacts. Many studies has been done to estimate thes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from staging mega-event, especially the impact on economic returns and employment of host city. Among these studies, some reports overestimate these effects because of strong incentive to justify heavy national subsidies. In this context, this paper reviewed and estimated major issues in bidding and staging these mega-events and proposed some policy implications on regional development polic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tried to make conceptual and operational definition of mega-event and to classify the type of one. And reviewed the reports estimating the impacts of staging mega-event which hosted by Korean government. Finally some policy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has been suggested for local government and related institute expecting future bidding.

      • KCI등재

        메가 문화 이벤트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분석에 관한 연구 -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개․폐회식을 중심으로 -

        이도훈,오지연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8 No.4

        메가 이벤트는 한 국가의 이벤트를 통해 전 세계가 같이 공유할 수 있는 비전을 만들어준다. 단순히 메가 이벤트가 아 닌 국가의 문화를 반영한 메가 문화 이벤트로써 최근에 급 부 상하고 있다. 이러한 메가 문화 이벤트로 한 국가를 상징하는 데 있어서 융화, 상생을 통해 국가 브랜드를 보여준다. 현 시 대는 전세계로의 네트워크화가 첨단의 테크놀러지를 트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써 세계를 전달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및 해외 사례들을 통하여 메가 문화 이벤트의 장점과 단 점을 분석하였다. 해외 사례를 통해 대한민국의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의 개회식과 폐회식을 중심으로 하여 트랜스미디 어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성공 전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에서는 전략 모델 및 전략 수립, 성공 포인트를 구성하였다. 또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역동적인 개방성과 향유라 는 공통분모로 브랜드의 정체성을 살펴보고 아이덴티티를 벨 류화 시키는 현재의 동시대성과 전 세계인에 대한 스토리로 성공전략에 대해 분석하였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을 통한 메가 문화 이벤트는 한국의 전통을 표방하는 것이 아닌 재해 석, 재창조, 재배치 하여 사람, 의상, 음악 등의 오감 브랜딩과 현 시대의 첨단 테크놀러지로 전세계 인류 공동의 비전을 제 시함을 볼 수가 있다. 결국 전통성을 현시대로 재해석하여 세 계화 시키는데에 변하지 않는 모델로써 세계적으로 표본화된 프레임워크를 내세 울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 2018 평창동계 올림픽의 가장 큰 성공요인은 탄탄한 스토리텔링의 구조로 전세계인들이 보고 듣고감동을 받을 수 있는중요한 메가 문 화 이벤트이며, 대한민국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결국 하나의 프레임 워크로 활용하기에 적합한 메가 문화 이벤트 임을 알 수 있다. Mega events create a vision that the whole world can share together through events of a country. It is not just a mega-event, but a mega-culture event that reflects the culture of the country. In this era, networking around the world delivers the world by transmedia storytelling with cutting-edge technologies.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mega cultural events th rough domestic and overseas cases. Through overseas ca ses, the structure and success strategy of transmedia sto rytelling were analyzed around the opening and closing c eremonies of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in Korea. The analysis results constructed a strategy model, strategy establishment, and success points. Mega cultural events through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d o not represent Korean traditions, but reinterpret, recreat e, and relocate people, costumes, and music, and present a common vision for humanity around the world with mo dern-day technologies. In the end, we can reinterpret the traditions into the present era and present a globally sam pled framework as an unchanging model for globalization.

      • KCI등재

        메가이벤트와 도시발전

        윤현위(Yoon, Hyun-Wi)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5

        메가이벤트는 기본적으로 국제적인 규모의 스포츠행사나 박람회, 전시회 등을 의미하며, 규모와 파급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에 한국의 많은 지방자체단체에서 지역발전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천에서 개최된 메가이벤트인 2009 인천세계도시축전과 2014 인천아시안게임을 사례로 메가이벤트의 개최가 갖는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2009 인천도시축전의 경우, 인천의 역사와 구도심 지역과는 다소 무관하게 인천경제자유구역만을 중심으로 행사가 진행되었다. 인천아시안게임의 경우는 신설경기장을 과도하게 건설하여 인천의 재정상황을 악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사후 시설이용에 대한 과도한 숙제를 남겨놓았다. 결국 인천은 메가이벤트를 활용하여 지역의 인지도를 높이고 지역발전의 수단으로 사용하고자 했으나 오히려 지역발전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앞으로도 우리나라의 각 도시와 지역에서는 메가이벤트를 계속적으로 지역발전의 수단으로 이용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 지역과의 관련성을 높이고 재정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향으로 메가이벤트에 대한 접근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Mega event means a basically the Largest sports events of fairs, exhibitions but as the size and ripple effect are vary large,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used frequent case. This study was case of 2009 Incheon international city of congratulation and 2014 Incheon Asian game, discussed problems of Mega events host. 2009 Incheon international city of congratulation was focused on IFEZ(Incheon free economic zone), history and inner-city of Incheon was unthought. Because of excessive new stadium in Asian Game, financial situation was become worse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new stadiums were left project behind practical use. Incheon attempted to ues Mega-event for improving awareness and means of regional development, Mega-events were caused barrier factor of regional development. It is high probability of hosting Mega-events in Korean cities later. so it has to consider relation of own’s region and reducing financial burden.

      • KCI등재후보

        한국 메가 스포츠이벤트 레거시에 대한 시론적 접근

        백정민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2

        이 연구는 한국에서 개최된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레거시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메가 스 포츠이벤트 레거시에 대한 정의 및 유형을 규정하고, 메가 스포츠 이벤트의 레거시는 어떠한가? 를 분석함으로써 메가 스포츠이벤트 레거시에 대한 시론적 논의를 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첫째, 메가 스포츠이벤트 레거시는 개 최이후 남겨진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 유형과 무형의 모든 것으로 정의하였고, 레거시의 유형은 경제적 레거시, 사회 문화적 레거시, 환경적 레거시로 구분 하였다. 둘째, 한국에서 개최된 메가 스포츠 이벤트(88서울올림픽, 2002 한일월드컵, 2010 F1 코리아그랑프리, 2011 대구육상경기대회)의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적 레거시를 분석하였다. 셋째, 메가 스포츠이벤트를 통해 생산되는 레거시들을 후세대에게 전승하고 사회의 원동력으로 활용해야할 시점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gacy of mega sport events held in Korea. To this end, define the definition and type of mega sport event legacy, and what about the legacy of mega sport event? We will discuss the legacy of Mega Sport Event Leg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ga sport event legacy is defined as positive and negative, tangible and intangible, remaining after the event. Legacy types are classified as economic legacy, socio-cultural legacy, and environmental legacy. Second, we analyzed the economic, socio-cultural and environmental legacy of mega sport events held in Korea (88 Seoul Olympics, 2002 Korea-Japan World Cup, 2010 F1 Korea Grand Prix, 2011 Daegu Athletics Competition). Third, it seems to be a time when legacy produced through mega sport event should be handed down to future generations and used as a driving force of society.

      • KCI등재

        메가스포츠이벤트 및 개최국 브랜드성격이 이벤트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대환,김하니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9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4 No.6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and the Brand Personality model, to examine the theoretical relationship among nation brand personality, event brand personality, and event visitation intent,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event involvement. For this, a survey targeting 300 participants in the Amazon Mechanical Turk was performed, and 261 cases of the 300 participants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to test the research model. The results of a Latent Modera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nation brand personality has a positive impact on event brand personality. Furthermore, event brand personality was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event visitation intent while nation brand personality indirectly influences it. Interestingly, event involvement negatively moderates the effect of event brand personality on event visitation intent. Specifically, as the level of event involvement decreases, the effect of event brand personality on event visitation intent escalates. We conclude that an event branding strategy reflecting key words of Korean culture such as uniqueness and traditionalism would be effective for promoting mega sport events in Korea and such strategy would be more effective for those who are highly interested in the target event. 본 연구는 기존의 브랜드성격 모델을 확장하여 한국 문화에 적합한 메가스포츠이벤트 및 개최지 브랜드성격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메가스포츠이벤트 및 개최지 브랜드성격과 이벤트 방문의도의 구조적 관계와 이벤트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설명하는 연구모형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전 300명의 Amazon Mechanical Turk 패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261명의 자료를 활용한 잠재조절구조방정식(Latent Moderated Equation Modeling) 분석을 실시하여 설정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개최지 브랜드성격은 메가스포츠이벤트 브랜드성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가스포츠이벤트 브랜드성격은 직접적으로 이벤트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최지 브랜드성격은 이벤트 브랜드성격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벤트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이벤트 관여도는 메가스포츠이벤트 브랜드성격이 이벤트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올림픽 관여도가 낮을수록 메가스포츠이벤트 브랜드성격이 이벤트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잠재적 이벤트 방문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이벤트를 홍보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진실성, 흥미로움, 능력, 세련됨, 평화로움, 독특함, 전통추구성을 투영한 이벤트 브랜딩이 필요하며, 이러한 전략은 이벤트에 대한 관여도가 낮은 소비자 집단에게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메가이벤트 개막식 퍼포먼스의 도상학적 분석 -영국과 한국의 올림픽 개막식을 중심으로-

        홍장선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2 No.-

        국가 차원에서 준비되는 대규모 이벤트인 메가이벤트는 세계인의 주목을 받는다. 메가이벤트 가운데서도 식전 행사인 개막식 퍼포먼스는 세팅된 국가의 이미지를 전 세계로 전달하는데 좋은 도구이자 수단으로 널리 사용된다. 개발도상국은 말할 필요도 없고, 선진국 역시 메가이벤트의 행사를 통해서 자국의 우수성을 알리고 있다. 역사나 문화 요소 가운데, 민족의 우수성을 한 번에 표출한 수 있는 스토리를 통해 거대 담론을 전달하는 매개적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의 국제적 메가이벤트 가운데에서, 2012년 런던 하계 올림픽 개회식과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개회식을 대상으로 두 개의 올림픽 개막식에서 어떤 국가 이미지가 어떠한 방식으로 상징화 되었는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런던 올림픽 개막식과 평창 올림픽 개막식의 퍼포먼스를 대상으로, 이를 보려는 자와 전달하려는 자의 교차지점을 욕망의 충돌지점으로 인식하고, 두 욕망이 근대성의 스펙타클 측면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를 분석할 것이다. 메가이벤트 퍼포먼스는 일치하지 않는 두 욕망을 이어주는 통로를 모색하지만, 실제는 대상의 입장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해석을 진행하게 된다. 보여지는 것과 보려하는 것, 전달하려는 것과 전달되는 것은 주체의 타자화, 타자의 주체화와 같은 복잡한 현상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의 이해를 구하기 위해서, 미술사 연구방법인 파노프스키의 도상학을 통해 메가이벤트의 퍼포먼스 현상을 전(前)아이코노그래피 단계 - 아이코노그래피 단계 - 아이코놀로지 단계로 구분해 분석할 것이다. 메가이벤트의 스토리를 하나의 거시적인 이미지로 구성해서 파노프스키의 도상학을 통해 국가간, 민족간, 역사간, 문화 간 분석을 진행하는 것이다. 각각의 영역에서 분석해 본 다각적인 해석을 통해 영국과 한국의 차이점에 대한 단계별 본질과 실질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The mega-event, a large-scale event prepared by the state, attracts the attention of the world. Among mega events, the opening ceremony performance, a pre-ceremony event, is widely used as a good tool and a means to convey the image of a leading nation around the world. Not to mention developing countries, developed countries are also promoting their own excellence through mega events. Among the elements of history and culture, the excellence of the people is used as a means of conveying a big message through contents that can express at once. The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national image was symbolized at the opening ceremonies of the two Olympics, with the opening ceremony of the 2012 London Summer Olympics and the opening ceremony of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respectively, among the recent international mega events. As for performances at the opening ceremony of the London Olympics and the opening ceremony of the PyeongChang Olympics, the intersection of those who want to see and those who want to convey is perceived as a collision point of desire, and analyzes what the desire of the two means in terms of the spectacle of modernity. Mega event performance seeks a way to connect two different desires, but in reality it is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target. What is seen and what is being seen, what is being delivered and delivered, provides complex phenomena such as typography of the subject, and self-reliance of the batter. To analyze this phenomenon, we used the Iconography of Panofsky, a method of research in art history, and we will analyze the performance phenomena of mega events by dividing them into the Pre-Iconography stage - Iconography stage - Iconography stage. The story of the mega event is composed of one macro image, and the analysis between countries, peoples, histories, and cultures is carried out through Panofsky's Iconography. Through various interpretations analyzed in each area, this study examines the practical meaning of the nature of the step-by-step differences between Britain and Korea.

      • KCI등재

        메가이벤트에 관한 언론 보도의 프레임 분석

        성시윤(Si Yoon Sung)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4 觀光硏究論叢 Vol.26 No.2

        본 연구는 2012년 여수엑스포를 사례로 하여 메가이벤트에 관한 언론 보도의 프레임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메가이벤트, 뉴스 프레임, 프레임 분석 등에 대한 이론 고찰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메가이벤트에 관한 언론 보도의 프레임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 모형을 제시하였다. 분석 모형은 메가이벤트 과정 요인과 주제별 프 레임 요인을 설정하고, 메가이벤트 과정 요인에 따라 언론 보도를 분류하여 각각의 언론 보도에 대하여 제목과 핵심 어구를 검토하여 주제별 프레임을 판별하는 모형이다. 주제별 프레임은 이론 고찰에서 살펴본 프레임 분석 연구, 메가이벤트 관련 보도에 대한 선행 연 구를 토대로 하여 국가 내부 책임 프레임, 국가 외부 책임 프레임, 합법·경쟁 프레임, 탈법· 일탈 프레임, 경제적 배경 프레임, 사회문화적 배경 프레임, 국가 고유 가치 프레임, 인류 보편 가치 프레임 등 8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중 여수엑스포 관련 보도에서 확인된 프레 임 유형은 경제적 배경 프레임, 사회문화적 배경 프레임, 합법·경쟁 프레임, 탈법·일탈 프 레임, 국가 내부 책임 프레임 등 5가지였다. 메가이벤트 과정 요인별로 프레임 특성은 다 르게 나타났다. 유치 전 단계와 개최 준비, 개최 후 단계에선 경제적 배경 프레임과 사회 문화적 배경 프레임이, 개최 단계에서 탈법·일탈 프레임과 국가 내부 책임 프레임이 지배 적 프레임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시사점으로 언론이 메가이벤트를 보도함에 있어 메가이벤트 과정 요인별로 프 레임을 보다 다양화 하여 대중들에게 메가이벤트에 대하여 보다 종합적으로 의미 구성을 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news frame of the mega event focusing 2012 Yeosu Expo Korea. For the study, theoretical reviews on mega event, news frame and frame analysis were appli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proposed an analytical model which was composed of three parts: mega event stage, news frame, and media coverage of 2012 Yeosu Expo Korea. The thematic frames of the model include 8 frames which were the frame of internal attribution, the frame of external attribution, the frame of lawfulness and competition, the frame of law-violation and deviation, the frame of economic background, the frame of sociocultural background, the frame of nation value and the frame of humanity value. The thematic frames extracted from the news on 2012 Yeosu Expo Korea include 5 frames which were the frame of economic background, the frame of sociocultural background, the frame of lawfulness and competition, the frame of law-violation and deviation, and the frame of internal attribution. The numbers and the kinds of thematic frames extracted from the media coverage during each stage of mega event differed from each other. The basic frames of pre-hosting stage and post-hosting stage were the frame of economic background and the frame of sociocultural background while that of hosting stage was the frame of law-violation and deviation and the frame of internal attribution.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media should play a role of more comprehensive meaning construction in terms of mega event coverage.

      • KCI등재

        메가 이벤트 디자인에 나타난 문화 비교연구 : 한,중,일 엑스포를 중심으로

        권윤경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0 No.1

        · Research top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evelopment plan by comparing the design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centered on the mega event, Korea, China, and Japan Expo. · Research background: As the awareness of using mega-events as a means of national economic leap, regional development, and national unity is spreading, many countries are competing to attract mega-events. It is true that the results of visual design studies in Korea are incomplete. In the age of culture, research on the design of mega-events in the three Asian countries will have a cultural synergy effect and promote efficient differentiation and image enhancement.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Differences from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bove all else, has creativity and originality in that it is a research study that compares and converges the ‘mega-event design’ of the three Asian countries as a cultural industry. · Research method: Research method: Step 1: Conduct theoretical methodology and precedent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tep 2: After analyzing mega event design case study through internet data research, Step 3: Implementation method and strategy for quantitative analysis by design type Case analysis and 4th stage: mega-event design, expo strategy direction was established and a design plan was sought. ·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uture mega-event design development plan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attraction shift from nationalism to the center of the holding city. Second, the offline to online dualization strategy. Third, in mega event design, EIP is a clear cultural message and systemization as a visual design. In this way, future mega-event design development strategies were explored in this study.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not only the role of mega-event design through the realization of cultural identity, but also a design development plan in which abstract spiritual culture is expressed in visual language in formative terms, as the most effective content to inform the world of the identity of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and Korea. It will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xpression of cultural identity and the development of mega-event design. · 연구 주제: 본 연구는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엑스포를 개최한 한국, 중국, 일본 엑스포 디자인과 각국의 문화의 특징을 고찰하고 이벤트 디자인을 개최 도시/주제, 시각 이미지, 국가 전시관으로 유형화하여 분석함으로써 이벤트 디자인의 의미와 이벤트 디자인의 개발 사례를 살핌으로써 개발 방안을 제안하였다. · 연구 배경: 메가 이벤트를 국가 경제의 도약과 지역 발전, 그리고 국민통합 등의 수단으로 활용하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많은 국가들이 메가 이벤트 유치에 경쟁적으로 뛰어 들고 있는 실정이지만, 현재 메가 이벤트(엑스포)에 대한 시각디자인 연구 결과는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문화의 시대에 본 아시아 삼국의 메가 이벤트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문화적 시너지 효과를 가지고 효율적인 차별화, 이미지 상승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 선행 연구와의 차이점: 아시아 삼국의 ‘메가 이벤트 디자인’을 문화산업으로서 차별화하여 일관되고 강력한 정체성으로 응집시키는 비교/융합 연구의 기초를 구축하여 전체를 통합하고 강화시키는 연구라는 점에서 무엇보다도 연구의 창의성과 독창성이 있다고 하겠다. · 연구방법: 1단계: 문헌 조사를 통해 이론적 방법론 및 선행 연구를 하고, 2단계: 인터넷 자료 조사로 메가 이벤트 디자인 사례 연구 분석 후, 3단계: 정량적 분석에 대한 추진방법과 전략 구사에서 디자인의 유형별 사례분석 그리고, 4단계: 메가 이벤트 디자인인 엑스포 전략 방향 정립을 하여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한, 중, 일 삼국에 나타난 공통점은 개최 도시 부분에서는 수도가 아닌 제2, 제3의 도시에서 개최하였고 해안(강)에 위치하여 경관을 갖추었으며, 시각 이미지 부분에서는 한자 문화와 조화론적 세계관, 자연 친화 사상이 공통 특징이었다. 국가 전시관에서도 유, 불, 도 3교의 정신 문화 기반으로 자연과의 상생과 의미론적 색채 관 등 상징성을 표현하였다. 각 국가의 특성과 함께 자연 친화 사상의 표현이라는 동아시아 삼국의 공통적 요소(사상)도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현재의 동아시아 삼국의 메가 이벤트 디자인을 살펴보는 시점에서, 공통점과 차별성을 비교 분석하여 향후 더욱 풍성하고 다채로운 문화 정체성이 담긴 디자인을 보여주어 ‘매력적인 문화 자산’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초 자료로 하여 향후의 후속 연구로서 문화를 디자인이라는 비 구술적 디자인 언어로 소통함으로써 정서적인 공감과 메시지를 전달하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콘텐츠화 방안을 더욱 심층적으로 모색해볼 수 있고, 여기에 더하여 한국의 문화 가치를 실체적으로 구현하여 이루어지는, 엑스포 디자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메가 이벤트의 개최성과 활용과 지역경제 영향 연구 - 2012여수세계박람회를 중심으로 -

        황희곤,이소라 한국무역전시학회 2016 무역전시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메가 이벤트 개최지 중 여수세계박람회를 사례로 메가 이벤트 개최 인식과 사후 활용 효과가 지역주민 및 방문객의 인식 차이에 따라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메가 이벤트 개최 인식이 개최지 사후 활용 효과에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성, 투자성 요인이 사후 활용 효과 인식 요인인 지속가능성과 명소화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후 활용 효과 요인 중 지속가능성 요인에 대한 개최 인식 요인 중 투자성, 편의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 활용 효과 요인 중 명소화 요인에 대해 편의성, 투자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최지 사후 활용 효과는 지역주민과 방문객의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객의 만족도에 대해 사후 활용 효과 중 지속가능성, 명소화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메가 이벤트 개최 효과 인식이 지역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뒷받침한다. 또한 메가 이벤트 개최로 개최지가 발전하고 있지만 메가 이벤트 개최 효과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현 상황을 정확히 반영한 사후활용 계획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mega-event to the venue afterwards and compare the perception gap of the event between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to learn from the past to prepare for future events. Research purposes in detail: How mega-event impact the future utilization of the future event area. It was analyzed recognizing differences in local and tourists through the vitalization on the 2012 World Expo in Yeosu, Korea as finished 4 years ago from present. This study analyzed that the perception of holding mega event influenced positively utilization of destination such as investment and convenience traits. And the impacts of vitilization of venue influenced the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tourists. It was analyzed that recognition of local and tourists through the vitalization was indifferent. These results of this study analyzed the revitilization afterwards of venue will be greatly important. And this is helpful that the perception between the residents and visitors about the events to prepare for future similar events.

      • KCI등재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기록화를 위한 사례연구

        천호준 한국기록학회 2014 기록학연구 Vol.0 No.4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eveloped case of archivingon Mega Sport Event for searching effective method on a documentation ofMega Sport Event.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methodwas using about book, thesis and data of internet homepage for exploringthe stage on Mega Sports Event and case of Mega Sports Event recordmanagement. The field study was conducted about institute related toOlympic record management institution for analysing Mega Sports Eventrecord man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ing:Firstly, 2012London Organizing Committee of the Olympic Games’scase(The People’s Record Project) is useful to ex-ante event phase. Secondly,2000Sydney Organizing Committee of the Olympic Games’s case(OlympicGames Knowledge Management Project) is useful to event operation phase. Thirdly. LA84Foundation’s case(Olympic Oral History Project) is useful toex-post ev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hich came up with the study resultabove can be presented as follow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assumed that three case for documentation about Mega Sports Event. Lastl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useful to Mega Sports Event recordmanagement institution. For the more, it will be conducted to study law of Mega Sport Event record management, humane and Material resource and method related torecord management of the Mega Sports Event organizing committee. 현대 사회에서 메가 스포츠이벤트는 한 지역이나 국가의 스포츠 역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키워드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 메가 스포츠이벤트를 효과적으로 기록화 하여 후대에 전달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1986년서울아시안게임을 시작으로 1988년서울올림픽대회 그리고 2002FIFA월드컵대회 등과 같은 메가 스포츠이벤트가 다수개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체육·스포츠 현장에서는 기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재로 이를 체계적으로 기록화 하여 후대에 전달하려는 방법론에 대한 논의는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개최할 예정인 메가 스포츠이벤트를 효과적으로 기록화 할 수 있는 방법론을 탐색하기 위하여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진행 단계별로 기록화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위해 문헌고찰을 통해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진행단계를 이벤트이전단계, 운영단계 그리고 이후단계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단계별로 참고할 수 있는 기록화 사례를 선정하였다. 이후 문헌고찰을 통해서 각 단계별로 선정된 사업의 개요를 파악하였고, 이를토대로 현지 방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체적인 사업내용을 분석하였다. 각 단계별로 선정된 사례는 다음과 같다. 이벤트 이전단계는 국민의 기록(The People’s Record)사업, 운영단계는 올림픽대회지식관리(Olympic Game Knowledge Management)사업 그리고 이후단계는 올림픽 구술사(Olympic Oral History)사업이다. 이들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의 기록 사례는다양한 계층의 경험을 포착하여 기록화 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이벤트 이전단계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올림픽대회 지식관리 사례는 대회운영을 위한 조직위원회의 업무 활동과 지식을 기록화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벤트 운영단계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셋째, 올림픽 구술사 사례는 이벤트의 전 단계에서 발생한 결락기록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벤트 이후단계에서 적용이가능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국내에서 개최가 예정된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기록화에 일정한 역할을 할 것이며,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기록을 관리하고 있는 기관에서 기록관리 방법론을 마련하는데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