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먼로독트린의 변용: 파나마회의와 ‘명백한 운명’ 시기를 중심으로

        김봉중 한국미국사학회 2016 미국사연구 Vol.43 No.-

        This paper deals with the course of the settlement of the Monroe Doctrine of 1823 prior to the Civil War in American politics. The starting point of the paper comes from this crucial, but untouched question: how was the Monroe Doctrine established as the touchstone of American foreign policy in the 19th century? Early Americans have shown a great deal of respect for the diplomatic principles of George Washington and Thomas Jefferson as shown in the ‘farewell address’ and the inaugural address respectively, which set the tone of early American principle of neutrality with such famous phrase as “permanent alliance” or “entangling alliance” with none. How did the Monroe Doctrine bypass the these sacred principles of the Founding Fathers and get it established as the touchstone of early American foreign policy? In order to answer the above questions, the paper selects the three issues that represent the early American expansionism: Congress of Panama, Annexation of Texas, and Dispute over Oregon. Debates over sending US delegates to the Congress of Panama in 1826 has some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the Monroe Doctrine had been mentioned and remembered, though it was done much less in its frequency and sincerity compared with the principles of Washington and Jefferson. During the debates over the annexation of Texas, southern politicians used the Monroe Doctrine, which had long been forgotten since the Panama issue, as an excuse to secure their regional interest of slavery. President James Polk mentioned the Monroe Doctrine in his first annual message to the Congress in 1845; yet it cannot be understood as a meaningful revival of the Monroe Doctrine, because he used the doctrine for his ambition for California, not for the territory of Oregon, the central region and issue that fired off the fever of ‘Manifest Destiny’ nationwide. In retrospect, the Monroe Doctrine had not been remembered or used by most Americans in the years prior to the Civil War as a serious principle they ought to hold onto as a guide to nation’s foreign policy. ‘Manifest Destiny’ represents the American expansionism in the 1840s but had little direct connection to the Monroe Doctrine. If one traces how the Monroe Doctrine was able to establish itself as the sacred American principle, he or she has to focus more on the period of late 19th century. Nevertheless, history is inevitably made upon by the compilation of long and gradual historical sequences; the debates over the Panama Congress and the Texas and Oregon territories grew as the roots of a giant tree of the Monroe Doctrine. 본 논문은 먼로독트린이 어떻게 초기 미국 외교의 원칙인 ‘독트린’으로 정착하게 되었는가를 추적한다. 1823년 먼로독트린이 발표된 이후 미국 대통령들과 의원들을 포함해서 미국 지도자들이 먼로독트린을 어떻게 이해했으며, 어느 정도로 중요하게 받아들였으며, 어떻게 당대의 현안에 적용했을까? 먼로독트린의 기본적인 원칙이 후대에 가서 어떻게 변용되었을까?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답을 찾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선택한 주요 시대적 배경은 1826년 파나마회의와 이른바 ‘명백한 운명’의 시기인 1840년대 중반이다. 파나마 미션이 먼로독트린의 원칙에 부합하는가에 대한 논쟁이나, 1826년 상황이 먼로독트린에 근거해서 미국의 개입이 필요한 상황인가에 대한 논쟁은 미국 지도자들이 먼로독트린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는가를 판단하는 주요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무엇보다도, 한동안 “역사 속 문서에 속할 뿐” 대다수의 미국인들에게 잊힌 먼로독트린이 다시금 부활했다는 데 가장 큰 의의가 있다. 1844년 남부 의원들이 먼로독트린에 근거해서 텍사스 합병론을 주장했다. 남부 의원들의 주장은 노예제도를 고수하려는 지역주의의 발로였다. 하지만 텍사스 합병 논쟁에서 남부가 지역 이기주의에 근거해서 먼로독트린을 변용했다하더라도, 그것은 파나마회의 논쟁 이후 오랫동안 기억이나 논의에서 사라졌던 먼로독트린의 존재를 상기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역사가들은 오리건 영토 분쟁을 1840년대 미국의 대륙팽창의 열기를 대변하는 ‘명백한 운명’의 슬로건 아래 놓았다. 하지만 ‘명백한 운명’이 1840년대 미국 팽창주의를 대변하지만, 먼로독트린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었다. 그럼에도, 대다수의 미국인들에게 잊힌 먼로독트린이 누군가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언급되고 그것이 적용되었다는 점이다. 역사가 만들어지는 것이라면 먼로독트린 역시 파나마회의와 ‘명백한 운명’의 시대를 거쳐 훗날 명실상부한 독트린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그루터기가 자라나게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 것이다.

      • KCI등재

        미국 대통령의 외교독트린과 국제질서 : 함의와 평가

        이상환(Sang-hwan Lee) 한국아메리카학회 2021 美國學論集 Vol.53 No.3

        미국의 외교정책은 각 행정부의 정체성을 드러내며 대통령이 주도해온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중요한 시점마다 미국 대통령의 외교독트린은 당시 국제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세계질서에 변화를 주기도 한다. 대통령 독트린의 가장 큰 효과는 몇 마디로 대내외적인 정책적 정체성을 확보하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틀을 제시한다는 것이다. 그동안 미국 대통령 독트린의 핵심적 내용은 대부분 외국 문제에 대한 미국의 개입과 관련한 것이었다. 이는 미국의 세계전략과 연관된 것이고 특히 미국이 패권국으로서 활동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각 행정부는 외교독트린을 통해 세계질서를 이끌어왔다. 21세기에 중견국으로서 한국은 약소국 시대의 관행처럼 기존 강대국들이 정해놓은 질서를 수동적으로 수용하는 존재가 아니라, 자신이 중견국으로서 성장하면서 체득한 가치관과 비전을 국제사회에 적극적으로 제시하면서, 국제질서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참가하는 국가가 되어야 할 것이다. US foreign policy is usually led by the president, revealing the identity of each administration. At particularly important times, the diplomatic doctrine of the US president has a direct impact on international relations at the time and changes the world order. The biggest effect of the Presidential Doctrine is that it provides a framework for securing internal and external policy identity and exercising influence in a few words. Most of the core contents of the US President s Doctrine have been related to US intervention in foreign affairs. This is related to the world strategy of the United States, and especially since World War II, when the United States acted as a hegemon, each administration of the United States has led the world order through the diplomatic doctrine. As a middle power in the 21st century, Korea is not a being that passively accepts the order set by the existing powerful powers, as is the practice in the era of weak powers, but actively presents the values ​​and visions acquired while growing up as a middle power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should become a country that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change of order.

      • KCI등재
      • KCI등재

        필리핀에서 폴란드로, 파리강화회에서 전개된 對美 독립청원의 외교적 포석

        서일수 역사학연구소 2018 역사연구 Vol.- No.35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discourse aboutthe independence petition at the time of the Paris Peace Conference. The purpose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ome clues to understand why some Korean peoplehome and abroad submitted an independence petition to the U.S.A. during theJapanese rule. There were four major groups that tried to put the independence of Korea on theagenda of the Paris Peace Conference, and they were the North-America KoreanNational Association, New Korean Youth Association in Shanghai, Confucian scholarsin Korea, and People's Council of Korea in the Maritime Province. These movementsfor the independence petition were incorporated in the group led by Kim Gyu-sikthat was already active in Paris. He was officially appointed as the president afterthe foundation of the nation's provisional government. The general logic behind theindependence petition was that the colonial ruling of Korea for ten years was unjustaccording to the United States-Korea Treaty of 1882, emphasizing that Japan'sambitions would have adverse effects on the international circumstances. They petitioned for mandatory rule or instant independence from a broader viewpoint. They mainly targeted the U.S.A. with their independence petition because theywanted to appeal to “democracy” that was their ideal. It was also their strategic movewith the American rule of the Philippines, which became a colony of the U.S.A. afterthe American-Spanish war in 1898 and had its autonomy recognized after the passingof the Johnson act of 1916. They submitted a petition for mandatory rule at the ParisPeace Conference with this case on mind, wishing that Korea would be designatedas a big neutral commercial zone. The Philippines became their model of petitionfor mandatory rule because there was a big possibility that the country wouldachieve independence due to its huge distance from the U.S.A. despite theapplication of the unique American expansionism and the “Monroe Doctrine” to makethe U.S.A. abstain from intervening into Asian issues unnecessarily. After the unexpected event took place in Korea called the March First Movement,however, they adopted an active struggle route of forming a complete andindependent government for their independence petition. The foundation of the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following the March First Movement became anopportunity and ground for them to insist on the “absolute independence” of Korea. They also tried to appeal to the Paris Peace Conference by interpreting Wilson'sFourteen Points in a proper manner. Of the nations to which the 14 points wereapplied, Poland attracted their attention as a model of absolute independence. It wasbecause Poland kept informing the world of their suffering, maintaining their nationalidentity despite invasion by foreign power. The Korean people, who had the longhistory of “racially homogeneous nation” like the case of Poland, founded their owngovernment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thus demonstrating themselves that theywere qualified to get the approval granted to the Central and South American nationsthose days based on the diplomatic policy of the “Monroe Doctrine”. 44 역사연구 35호They submitted a petition to the U.S.A. in the course of moving gradually towardindependence based on the model of the Philippines and in the attempt at “absoluteindependence” based on the case of Poland. It was based on the Americandiplomatic policy of “Monroe Doctrine.” 이 글은 파리강화회가 개최된 당시의 독립청원을 둘러싼 담론의 전개과정을 다룬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일제시기 국내외 한인들이 왜 미국을 대상으로 독립청원을하였는지에 대한 이해의 단초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파리강화회의 당시 한국의 독립을 의제로 상정하고자 했던 움직임은 크게 북미대한인국민회, 상해 신한청년단, 국내 儒林, 연해주 대한국민회의 이렇게 네 갈래로구분할 수 있다. 이들 독립청원의 움직임은 당시 파리에 도착하여 활동하고 있었던김규식을 중심으로 통합되었고,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된 뒤 공식적인 대표로임명되었다. 당시 독립청원의 일반적인 논법은 우선 「조미수호통상조약」을 명분으로 내세운 뒤, 지난 10년간의 식민지배가 부당하며, 일본의 야욕이 결국 국제정세에 악영향을 미칠 것임을 역설하였다. 그리고 대승적인 차원에서 위임통치 또는 즉각적인 독립을 청원하였다. 독립청원의 주된 대상이었던 미국에 대해서는 그들의 이상인 ‘민주주의’에 호소하고자 했다. 이는 미국의 필리핀 통치를 염두에 둔 포석이었다. 필리핀은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의 결과 미국의 식민지가 되었지만 1916년 존스법이 통과되면서 자치를인정받고 있었는데 파리강화회의에서의 위임통치 청원은 이를 의식하여 한국을 거대한 중립적 상업지대로 만들어 달라는 의미였다. 이처럼 필리핀이 위임통치 청원의모델이 될 수 있었던 까닭은 당시 필리핀의 상황이 미국 특유의 팽창주의가 적용되더라도 완전히 자신들의 영토로 만들기에 너무 멀고, 불필요하게 아시아 문제에개입하는 것을 꺼려하는 먼로주의 성향 때문에 앞으로의 독립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국내에서 3·1운동이라는 예상을 뛰어넘는 상황이 전개되면서 독립청원은 완전한 독립 정부를 구성하는 적극적인 투쟁노선으로 변모하였다. 3·1운동에뒤이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은 한인들이 ‘완전 독립(absolute independence)’을주장할 수 있는 계기와 근거가 되었다. 그리고 「윌슨의 14개조」를 적절하게 해석하여 파리강화회의에 호소하고자 했다. 이때 14개조 원칙이 적용되는 나라 중 독립을승인받은 경우였던 폴란드가 ‘완전 독립’의 모델로써 주목받게 되었다. 이는 폴란드가 외세의 침입 속에서도 민족의 정체성을 유지한 채 자신들의 고통을 쉬지 않고세계에 호소하였던 과정이 알려진 까닭이었다. 폴란드와 마찬가지로 오랜 ‘단일 민족’의 역사를 지닌 한인들이 3·1운동을 계기로 독자적인 정부를 구성하게 되었음은당시 한인들에게 미국이 「먼로독트린」에 입각하여 중남미 국가들을 승인에 준 것과같은 자격을 스스로 입증하게 된 것으로 이해되었다. 이처럼 필리핀을 모델로 점진적인 독립으로 나아가던, 폴란드를 표준으로 ‘완전독립’을 승인받던 그 청원의 대상은 동일하게 미국이었다. 그리고 이는 미국의 전통적 대외정책인 먼로주의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 KCI등재

        ‘국제법 제국주의’와 미국식 세계법치주의

        최정수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1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24

        This article explores the turn-of-the-century development of the American imperialism geared towards a peaceful global federation in international law and guided by the world court. The first part surveyed the origin of the international law, as American style, through the international relations between Europe and America. American diplomatic doctrin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fining and creating concept of American international law. The second part showed the American ideals of the legalization of the world order through the world court in the age of imperialism. The global framework of law rooted in a tribunal or international court of arbitration during the First Hague Peace Conference in 1899. The conclusions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international law, American style that different from European style. The principle of American international law is base on the traditional diplomatic doctrines, as Neutralization, Isolationism, and Monroe doctrine. Secondly, American statesman play a leading role for the creation of a world court since the first Hague Peace Conference in 1899. Thirdly, the purpose of the creation of a world court are two: the one is the construction of the world federation for world peace, the other is the destruction of the European alliance system. The statesman of the United States regard alliance system or balance of power as ordinary war system. Therefore they came to reach a conclusion that if a world court can be build in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e usefulness of military alliance will be disappeared. Lastly, the plan of a world court have an very deeply effect on Korean destiny under Japanese imperial control. Japanese feared that the king of Korea will bring a suit for the recovery of an independence against Japanese ruler. There is no way with the exception of an annexation of Korea. In that case, Japan deter Korea from an action of a try to settle an international dispute by world court.

      • KCI등재

        제2차 헤이그 평화회의와 미국의 ‘세계평화전략’ : ‘국제경찰’과 ‘약한 국가’ 처리문제를 중심으로

        최정수(Choi Jeong-soo) 고려사학회 2008 한국사학보 Vol.- No.30

        이 연구의 목표는 제2차 헤이그 평화회의에 한국이 참석할 수 없었던 이유를 미국의 세계 평화전략에 초점을 맞추어 밝히는 데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일본의 방해에 못지않게 미국 또한 한국이 헤이그 평화회의에 초청되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반부인 제2장을 통해서 미국의 대한 인식이 경제적 관점에서 군사 · 전략적 관점으로 전환되는 배경과 과정을 추적했다. 이어 후반부인 제3장에서 미국이 구축하려던 평화체제의 핵심이 한국과 같은 약한국가 관리체제였음을 보여 주었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 미국이 한국을 통상의 상대 국가에서 국제경찰에 의한 관리를 받아야 하는 약한 국가로 분류케 된 것은 동아시아에서 발생한 전쟁, 즉 청일 및 러일전쟁에서 기인한다. 이 두 전쟁은 미래의 전쟁이 어떤 양상으로 전개될 것인지를 예고했기 때문이다. 규모 및 파괴력에 있어서 세계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미국의 판단이었다. 그리고 청일 및 러일전쟁은 기존의 세력균형을 바꾸어 놓음으로써 이미 미국의 안전을 위협하는 결과를 초래케 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만주와 더불어 한반도는 미국이 바로 그런 파급 효과를 지녔다고 해석한 두 전쟁의 원인이었다. 미국이 한반도에 대한 이익을 경제적 관점에서 군사 · 외교 안보적 관점으로 이동시킨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리고 헤이그에서 미국의 그러한 입장이 다시 한번 표출되었던 것이다. 둘째, 미국이 구상하고 있던 세계 평화안에 따르면 한국은 이러한 회의에 참가할 자격이 없는 국가였다는 것이다. 미국의 세계평화안이 약한 국가를 관리할 수 있는 국제경찰제도 구축을 근간으로 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일본에게는 국제경찰의 지위가, 한국에게는 약한국가의 지위가 각각 부여되었다. 물론 이러한 논리는 한국과 일본에게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었다. 당시 미국은 전세계를 국제경찰 행위를 할 수 있는 국가와 이들의 관리를 받아야만 하는 국가로 나누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르면 영국 및 프랑스는 전자의 부류에, 독일과 러시아는 후자의 부류에 속했다. 독일과 러시아는 약한국가는 아니지만, 군사전제 국가로 규정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독일과 러시아는 정부 체제가 바뀌지 않는 한 국제경찰이 될 수 없었다. 한마디로 세계 평화를 위해 약한국가를 별도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 미국의 전략은 헤이그에서 작용한 보이지 않는 손과 같았다.

      • KCI등재

        ‘국제법 제국주의’와 미국식 세계법치주의

        한국서양문화사학회 2011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24 No.-

        <P>&nbsp;&nbsp;This article explores the tum-of-the-century development of the American imperialism geared towards a peaceful global federation in international law and guided by the world court. The first part surveyed the origin of the international law, as American style, through the international relations between Europe and America. American diplomatic doctrin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fining and creating concept of American international law. The second part showed the American ideals of the legalization of the world order through the world court in the age of imperialism. The global framework of law rooted in a tribunal or international court of arbitration during the First Hague Peace Conference in 1899.</P><P>&nbsp;&nbsp;The conclusions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international law, American style that different from European style. The principle of American international law is base on the traditional diplomatic doctrines, as Neutralization, Isolationism, and Monroe doctrine. Secondly, American statesman play a leading role for the creation of a world court since the first Hague Peace Conference in 1899. Thirdly, the purpose of the creation of a world court are two: the one is the construction of the world federation for world peace, the other is the destruction of the European alliance system. The statesman of the United States regard alliance system or balance of power as ordinary war system. Therefore they came to reach a conclusion that if a world court can be build in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e usefulness of military alliance will be disappeared. Lastly, the plan of a world court have an very deeply effect on Korean destiny under Japanese imperial control. Japanese feared that the king of Korea will bring a suit for the recovery of an independence against Japanese ruler. There is no way with the exception of an annexation of Korea. In that case, Japan deter Korea from an action of a try to settle an international dispute by world court.</P>

      • KCI등재

        미국 현대 외교의 기원: 시어도어 루즈벨트의 세계 연방

        최정수 ( Jeong Soo Choi ) 한국미국사학회 2003 미국사연구 Vol.17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by examining T. Roosevelt`s blue print of World Federation, to answer the questions of what the American diplomacy is and of who had developed it. This paper is composed of three chapters. In the first, the intellectual origin of world federation will be examined. In the second, the problems such as what the world federation is and why T.Roosevelt regarded it as the ideal of the American diplomacy will be investigated. In the third, it will be studied how and by what method T.Roosevelt tried to actualize his dream-the self-governing world federation. As a result, the following points will be thoroughly maintained such as that the birth-place of T. Roosevelt`s idea of the world federation is the West, Roosevelt reinterpreted the Monroe Doctrine as the diplomatic theory which guarantees the possibility of military intervention in the world affairs, and that T. Roosevelt tried to achieve his plan of the world federation through the power politic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