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맥적(貊炙)의 요리법과 연원

        빅유미(Park Yu mi) 한국고대학회 2013 先史와 古代 Vol.38 No.-

        Maekjeok(貊炙) has been considered to have its origin in the meat food culture unique to the Korean people since the research of Choi Nam-seon. Recent researches home and abroad, however, tend to reserve the judgment of its ethnic origin, not regarding it as one of Korean food cultures or believing that there is no ground to consider it as part of Korean culture. The records of Seokmyeong and Sushingi tell that Maekjeok is a barbecue dish with seasonings and has unique features different from the Chinese skewered dish made of sliced and grilled meat. Old documents present various origin names of Maekjeok such as Homaek(胡貊) and Jeok(翟), but they were not ethnic names but used to refer to ethnic groups that were not the Han race, which raises a need to pay attention to food names in order to obtain detailed information about Maekjeok since food names generally contain the origin and information of food. Considering those aspects, Maekjeok seems to be a food of Maek ethnic group, which has several candidates with the highest possibility. Goguryeo is one of them. There are many different documents that refer to Goguryeo people as Maek people. The Chinese academic researches on Yemaek people do not deny the possible connections between Goguryeo people as Maek people. It is estimated that there were no changes to the barbecue cooking method of Maekjeok and that various livestock animals might have been used to make Maekjeok with the pig and lamb being the usual choices since it is more likely that the lamb and pig whose main purpose was meat were used as Maekjeok materials rather than the horse and cow that were draft animals. Consider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ethnic life customs of Manchuria and northern Korean Peninsula where the Goguryeo people, one of the Maek ethnic groups, resided, the pig must have been the main material of Maekjeok rather than the lamb. 맥적(貊炙)은 최남선의 연구 이래로 우리 민족의 특징적인 육류음식문화 기원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최근 국내․외의 연구에서 맥적을 우리 민족의 음식문화가 아니라고 보거나 또는 우리 민족의 문화라고 볼 근거가 없다고 생각하여 맥적의 종족적 연원에 대한 판단을 유보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맥적은 漢代의 기록인『釋名』이나 위진시대의 문헌인『搜神記』등에 나타난 기록을 살펴보면 양념을 한 통구이 음식이라고 할 수 있는데 육류를 잘게 잘라 나무 막대에 꿰어 굽는 중국식 적(炙)과는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맥적에 대해 기록한 문헌 자료에서 맥적의 연원을 호맥(胡貊), 적(翟/狄) 등으로 다양하게 기록하였으나 이들은 종족의 명칭이라기보다 한족(漢族)이 아닌 종족, 즉 이종족의 범칭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맥적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음식명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음식명은 일반적으로 음식에 관한 연원이나 정보 등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맥적은 맥족 계열의 음식이라고 볼 수 있다. 맥족과 관련하여 그 기원이나 지리적 위치 문제 등으로 여러 해석을 내릴 수 있으나 맥족 계열의 유력한 종족 가운데 하나가 고구려인이라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맥적은 통구이 형태의 요리법에 변화가 없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맥적의 재료로 여러 가축이 사용되었을 수 있지만 주로 돼지나 양이 쓰였을 것이라 생각된다. 역축(役畜)으로서 사용되는 말이나 소보다는 양이나 돼지, 특히 고기를 목적으로 사육되는 돼지가 맥적의 재료가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맥족 계열의 고구려인이 거주하는 만주지역이나 한반도 북부지역의 지역적 특징이나 민족의 생활습속으로 볼 때도 양보다는 돼지가 맥적의 주재료가 되었을 것이다.

      • KCI등재

        맥적(貊炙)의 요리법과 연원

        박유미 ( Yu Mi Park ) 한국고대학회 2013 先史와 古代 Vol.38 No.-

        맥적(貊炙)은 최남선의 연구 이래로 우리 민족의 특징적인 육류음식문화 기원으로 여겨 졌다. 그러나 최근 국내·외의 연구에서 맥적을 우리 민족의 음식문화가 아니라고 보거나 또는 우리 민족의 문화라고 볼 근거가 없다고 생각하여 맥적의 종족적 연원에 대한 판단을 유보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맥적은 漢代의 기록인『釋名』이나 위진시대의 문헌인『搜神記』등에 나타난 기록을 살펴보면 양념을 한 통구이 음식이라고 할 수 있는데 육류를 잘게 잘라 나무 막대에 꿰어 굽는 중국식 적(炙)과는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맥적에 대해기록한 문헌 자료에서 맥적의 연원을 호맥(胡貊), 적(翟/狄) 등으로 다양하게 기록하였으나 이들은 종족의 명칭 이라기보다 한족(漢族)이 아닌 종족, 즉 이종족의 범칭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맥적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음식명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음식명은 일반적으로 음식에 관한 연원이나 정보 등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맥적은 맥족 계열의 음식이라고 볼 수 있다. 맥족과 관련하여 그 기원이나 지리적 위치 문제 등으로 맥적(貊炙)은 최남선의 연구 이래로 우리 민족의 특징적인 육류음식문화 기원으로 여겨 졌다. 그러나 최근 국내·외의 연구에서 맥적을 우리 민족의 음식문화가 아니라고 보거나 또는 우리 민족의 문화라고 볼 근거가 없다고 생각하여 맥적의 종족적 연원에 대한 판단을 유보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맥적은 漢代의 기록인『釋名』이나 위진시대의 문헌인『搜神記』등에 나타난 기록을 살펴보면 양념을 한 통구이 음식이라고 할 수 있는데 육류를 잘게 잘라 나무 막대에 꿰어 굽는 중국식 적(炙)과는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맥적에 대해 기록한 문헌 자료에서 맥적의 연원을 호맥(胡貊), 적(翟/狄) 등으로 다양하게 기록하였으나 이들은 종족의 명칭 이라기보다 한족(漢族)이 아닌 종족, 즉 이종족의 범칭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맥적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음식명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음식명은 일반적으로 음식에 관한 연원이나 정보 등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맥적은 맥족 계열의 음식이라고 볼 수 있다. 맥족과 관련하여 그 기원이나 지리적 위치 문제 등으로 Maekjeok(貊炙) has been considered to have its origin in the meat food culture unique to the Korean people since the research of Choi Nam-seon. Recent researches home and abroad, however, tend to reserve the judgment of its ethnic origin, not regarding it as one of Korean food cultures or believing that there is no ground to consider it as part of Korean culture. The records of Seokmyeong and Sushingi tell that Maekjeok is a barbecue dish with seasonings and has unique features different from the Chinese skewered dish made of sliced and grilled meat. Old documents present various origin names of Maekjeok such as Homaek(胡貊) and Jeok(翟), but they were not ethnic names but used to refer to ethnic groups that were not the Han race, which raises a need to pay attention to food names in order to obtain detailed information about Maekjeok since food names generally contain the origin and information of food. Considering those aspects, Maekjeok seems to be a food of Maek ethnic group, which has several candidates with the highest possibility. Goguryeo is one of them. There are many different documents that refer to Goguryeo people as Maek people. The Chinese academic researches on Yemaek people do not deny the possible connections between Goguryeo people as Maek people. It is estimated that there were no changes to the barbecue cooking method of Maekjeok and that various livestock animals might have been used to make Maekjeok with the pig and lamb being the usual choices since it is more likely that the lamb and pig whose main purpose was meat were used as Maekjeok materials rather than the horse and cow that were draft animals. Consider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ethnic life customs of Manchuria and northern Korean Peninsula where the Goguryeo people, one of the Maek ethnic groups, resided, the pig must have been the main material of Maekjeok rather than the lamb.

      • KCI등재

        맥경(脈經) 권5의 문헌적 고찰

        정승한,김기왕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19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32 No.4

        Objectives : This paper seeks to contribute to restoring ancient literature related to Bianque through literature analysis of the fifth volume of 『Maijing(脈經)』. Methods : Literature referenced in the fifth volume of 『Maijing(脈經)』 which are 『Huangdineijing(黃帝內經)』, 『Nanjing(難經)』 among others were examined. Results & Conclusions : The fifth volume of 『Maijing(脈經)』 cites 『Huangdineijing(黃帝內經)』, 『Nanjing(難經)』, 『Bixi Zhenfa(敝昔诊法)』, 『Ni Shun Wu Se Mai Zang Yan Jing Shen(逆顺五色脈藏验精神)』 etc. Based on the question and answer format of the text, it seems the fifth volume of 『Maijing(脈經)』 is a collective of three different lines of medical texts. It shows traces of Bianque’s Zangfu theory where the Stomach is considered as one of the Five Zangs instead of the Spleen. It also contains the diagnostic method of symptom expression time based on distance between sites of pathological expression. Moreover, description of the number of pulses during one cycle of breathing (inhale/exhale) indicates that the early theories of the Bianque School has been preserved. 목적: 최근 소위 편작학파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맥경・권5』에는 편작학파와 관련이 큰 내용이 곳곳에 보인다. 본 논고에서는 『맥경・권5』의 문헌적 특징을 분석하여 편작과 관련된 고대 문헌의 본래 모습을 밝히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방법: 현재 입수 가능한, 『맥경』 저작 전에 저술된 의서 가운데 『맥경・권5』의 문장과 같거나 유사한 문장을 포함한 문헌을 대상으로 그 내용을 비교하였다. 결과 및 결론: 『맥경・권5』는 『황제내경』, 『황제팔십일난경』과 2012년 사천 성도에서 출토된 문헌인 『역순오색맥장험정신』과 『폐석진병』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문답 형식으로 볼 때 『맥경・권5』에는 장중경 계열, 『난경』 계열과 『난경』 외 편작 계열 문헌이 혼합된 것으로 보인다. 내용상 『맥경・권5』에는 비장 대신 위를 오장의 하나로 간주하는 편작학파 장부론의 흔적이 보이며 『창공열전』에 보이는, 이상 소견의 출현 거리를 통해 증상의 발현 시간을 추정하는 진단 방식 역시 확인된다. 또한 1회 호흡에 대비한 맥박 수에 대한 기술을 통해 『맥경・권5』에 편작학파의 초기 학설이 보존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맥국(貊國) 문화 편린의 스펙트럼

        강명혜(Kang, Myeonghye)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1 한국문학과 예술 Vol.38 No.-

        본고는 문화적 편린의 스펙트럼을 종합해서 맥국 실체를 구체화, 가시화하는데 주안점을 두고자 했다. 기록과 기존 연구와 현지답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맥국(貊國)과 관련된 역사적 사료는 얼마 되지 않지만 『삼국사기』, 『고금군국지』, 『삼국유사』, 『고려사』 등과 기존 연구 결과를 통해 춘천에는 ‘맥국’과 ‘맥족’이 있었다고 확신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문화적 측면에서 볼 때, 봉의산, 마적산(마작산), 맥산, 삼악산, 발산, 우두산, 샘밭, 용화산, 어둔리, 갑천, 병지방리, 태기산, 청일, 둔내, 신대리, 도주골, 투구봉, 옥산대, 백옥포 등과 관련된 설화와 지명이 모두 맥국과 관련이 있었다. 특히 조선의 ‘선(鮮)’과 관련이 있는 신북면 설화 ‘우양마을이야기’는 뱀을 섬기는 풍(風)족인 맥국과 고조선의 관계를 나타내며, 이는 고구려 벽화에 등장하는 여와와 복희의 몸이 뱀(=용)이라는 점에서 고대사를 밝히는데 키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도 추정할 수 있었다. 선조들이 남긴 문학작품 속에도 맥국과 춘천과의 관계를 나타내주는 작품이 등장하는데 김시습이 지은 <도중(途中)>이나 신위가 춘천 부사로 있으면서 지은 『맥록』, 조선 후기 강현규의 <유금강산록>에도 맥국에 대한 자신들의 생각이니 인지, 감상 등이 잘 드러나고 있었다. 특히 신위는‘수춘(춘천)은 옛날의 맥국이다.’ 는 사실과 함께 공자가 살고 싶어했음도 서문에다가 밝히고 있었다. 그 외에도 춘천 지역 농악은 다른 지역과 다르게 군사나 전술, 진법 등과<군사훈련→전투→승리→축제>라는 스토리 구조를 보인다는 점에서도 맥국과의 관련성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강원도 전역에서 단오 그네를 뛸 때, ‘춘천이요!, 우두그네요!’라고 소리를 지른다는 점에서도 고대 춘천과 우두에는 강원도에 사는 모든 거주민이 선망하는 ‘무언가’, 즉 맥국이 있었다고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춘천에서 오랫동안 전승되어온 외바퀴수레놀이(차전놀이)도 고대의 수레놀이는 전투훈련이 목적이었다는 점을 상기할 때 맥국 문화 편린의 테두리 안에 넣을 수 있었다. 그 외에도 맥적이나 맥궁 등의 용어나 춘천 지역 교가 등, 이 모든 문화 편린을 통해서 춘천에는 고대 맥국과 맥족이 있었음은 기정 사실이라는 결론으로 수렴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I tried to focus on realizing and visualizing the reality of Mackook by synthesizing the spectrum of the cultural secti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records, existing studies and field trip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are only a few historical historical historical historical sources related to the country, but existing research results such as 『Samguk Sagi』, 『Gogum Gungukji』, 『Samguk Yusa』, and 『Goryeosa』 showed that Chuncheon had "Macguk" and "Maekook race". Above all, from a cultural perspective, folktales and geomancy related to Bongui Mountain, Majeoksan Mountain(Majaksan Mountain), Maxan Mountain, Samaksan Mountain, Balsan Mountain, Udu Mountain, Sambat, Yonghwasan Mountain, Eudun-ri, Gapcheon, Byeongji-ri, Taegi Mountain, Cheongil, Dunae, Sindae-ri, Dojigol, Dojigol, Dojibongol, Dogubongol, Oksan Mountain, Oksan Mountain, and Baekokpo were all related to Mac. In particular, the Sinbuk-myeon folk tale "Story of Uyang Village," which is related to Joseon"s "Pung race" re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Macguk and Gojoseon, who serve snakes, which can play a key role in revealing ancient history in that the bodies of Yeowa and Bokhee in Goguryeo murals are snakes(=Dragon). In the literature left by his ancestors, there are works that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Macguk and Chuncheon. Kim Si-seop"s <In the way>, Sinwi"s McRock, and Kang Hyun-kyu"s <Yugumgangsanr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showed their thoughts on Mackook. In particular, Sinwi stated in the preface that Confucius wanted to live with the fact that "Suchun(Chuncheon) is an old beer soup." In addition, Nongak in Chuncheon showed a story structure called "Military Training → Battle → Victory → Festival" unlike other regions, and when playing Dano swing all over Gangwon-do, there was a MacGuk that all residents in Chuncheon and Udu in ancient Gangwon-do shouted, "Chuncheon!", “Udugienaeyo!”. In addition, the long-standing one-wheel cart game(chacha play) in Chuncheon could be put within the confines of the McGuk culture when it was recalled that ancient cartwheels were intended for combat training. In addition, through all these cultural expedients, such as terms such as Macjeok and Macgung, and the Chuncheon regional school songs, Chuncheon was able to converge to the conclusion that it was a given that there were ancient Macgos and Macs. Historians and archaeologists only assume that "Balsan" is currently a capital city of Macguk, but cultural expediency could have raised the possibility that it might be "Udu". What is clear is that it is foolish and foolish to eliminate history and culture thousands of years ago with shallow knowledge just because there is no concrete evidence. Such a serious matter will have to be promised a future generation.

      • KCI등재

        貊國의 實體와 新羅의 交涉

        김덕원(Kim, Deok-Won) 한국역사민속학회 2007 역사민속학 Vol.- No.24

        貊國의 國名은 ‘貊+國’ 즉 ‘종족+정치발전 단계’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맥국은 ‘맥의 나라’라는 의미의 汎稱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다. 맥국은 三韓의 臣智 즉 邑君과 같은 渠帥가 존재하였고, 또 邑借 즉 邑長과 같은 酋長이 존재한 정치발전 단계의 사회였다. ??三國史記??에 靺鞨로도 기록된 맥국은 강원도 春川을 중심으로 존재하였던 맥국 즉 좁은 의미의 맥국과 임진강유역의 경기도 漣川을 비롯하여 북한강유역의 경기도 楊平과 남한강유역의 충청북도 堤川 등에 존재하였던 ‘맥의 나라’라는 범칭으로서의 맥국 즉 넓은 의미의 맥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맥국은 고구려의 지배를 받던 시기에 춘천은 牛首州나 首次若 또는 烏根乃라는 地名이 사용되고, 신라에 편입된 이후에는 牛首州→首若州→朔州의 순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우수주는 牛頭州로도 사용되었는데, 이것은 ‘우두머리나 지배자가 있는 지역’ 또는 ‘뿌리나 근원이 되는 지역’의 뜻이며, 맥국의 國名은 ‘牛頭城’을 治所로 존재하였던 ‘牛頭國’이었을 것이다. 맥국과 신라의 교섭관계는 비교적 일찍부터 이루어졌고, 또 백제와는 달리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였다. 신라와 교섭관계를 형성한 맥국은 ‘맥의 나라’라는 범칭으로서의 맥국 즉 넓은 의미의 맥국으로 신라와 비교적 가까운 소백산맥 인근 지역에 있었던 맥국의 정치세력이 신라와 교섭관계를 맺었을 것이다. The state name of Maekguk(貊國) was constituted with ‘Maek(貊)+Country(國)’, in other words, ‘the stage of tribe+political progress’, so Maekguk might have been commonly used as a term of ‘Maek’s Country’, which is the society in a political development step having a commander like Sinji(臣智) of Samhan(三韓), namely Eupgun(邑君) and Eupcha(邑借), Eupjang(邑長) like chief(酋長) political development step. Maekguk recorded in ??Samguksagi(三國史記)?? as Malgal(靺鞨) can be divided as that in a narrow sense of meaning, namely, that existing focusing on Chuncheon(春川) region, Gangwondo(江原道), and that in a wide sense of meaning, namely, that existing Yeoncheon(漣川), Gyeonggido(京畿道) around the Imjin River(臨津江), Yangpyeong(楊平), Gyeonggido around the Bukhan River(北漢江), and Jecheon(堤川), Chungcheongbukdo(忠淸北道) around the Namhan River(南漢江). At the time of Maekguk ruled by Goguryo(高句麗), Chuncheon was named as Usuju(牛首州), or Suchayark(首次若) or Ogeunnae(烏根乃), after incorporated into Silla(新羅), it was used in the order of Usuju(牛首州) →Suyarkju(首若州) →Sakju(朔州). Also Usuju was used as Uduju(牛頭州), which means the place with ‘a head or a ruler’ or ‘to be a root or origin’, the palce name of Maekguk might have been Uduguk(牛頭國) making Uduseong(牛頭城) as a governing place. Intercourse relation between Maekguk and Silla was relatively early created, which was friendly differently from Paekche(百濟). Maekguk forming an intercourse with Silla, as commonly named term ‘Maek’s Country’, in other words, Maekguk in a wide sense, might formulated a negotiation relation with Silla mainly centering on the political force of Maekguk located close to Silla.

      • KCI등재

        『맥경(脈經)』,『맥결(脈訣)』,『맥결간오(脈訣刊誤)』의 비교를 통한 『맥결(脈訣)』의 맥상(脈象)에 대한 연구(硏究)

        정치욱 ( Chi Wook Chung ),윤창열 ( Chang Yeol Yoon ) 대한한의학원전학회(구 대한원전의사학회) 201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23 No.5

        『Maekgyung(脈經)』 was the first book for diagnostic method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history, but it couldn`t be spreaded widely. After that, 『Maekgyeol(脈訣)』 was widely spreaded for centuries, because it was more concise and easier to memorize than 『Maekgyung』. But as time went by, people got to know that 『Maekgyeol』 had many errors. After 『Maekgyeolganoh(脈訣刊誤)』 corrected the errors of 『Maekgyeol』, 『Maekgyeol』 came to lose its reputation and people began to study 『Binhomaekhak(瀕湖脈學)』 instead of 『Maekgyeol』. We got to wonder why 『Maekgyeol』 was criticized by many people, so we decided to compare the definitions of pulses(脈象) in 『Maekgyung』 and 『Maekgyeol』 and 『Maekgyeolganoh』. Both 『Maekgyung』 and 『Maekgyeol』 have 24 kinds of pulses, but 22 kinds are in common. In 22 kinds of pulses, only 2 kinds of definitions are similar and the others are different. And 『Maekgyeolganoh』 criticized errors of 『Maekgyeol』 and corrected the definitions by that of 『Maekgyung』. In conclusion, we come to know that 『Maekgyeol』 was rejected by people because it defined most of pulses different from 『Maekgyung』.

      • KCI등재

        ‘맥국(貊國)’ 관련 한시에 보이는 춘천의 역사적 정체성

        손호정 연민학회 2022 연민학지 Vol.38 No.-

        “춘천은 맥국(貊國)의 도읍지다.”라는 이야기는 역사기록과 지역의 전설로 이어져 왔다. 그러나 맥국의 실체나 왕위계보에 대한 물증을 찾지 못하여 그 실재 여부는 아직도 명확하게 입증되지 못하였다. 최근 춘천문화원 춘천학연구소에서는 이를 입증하기 위해 관련되는 방대한 문헌 기록, 현존하는 지역 명칭과 전설, 새로이 발굴되는 유물과 유적들을 근거로 다시금 실체규명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그 이름의 고증에 매달리는 한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필자는 이들 각종 연구자료 중 ‘한시(漢詩)’에 주목하였다. 맥국의 실체가 불명확함에도 불구하고 춘천을 찾은 많은 시인들은 왜 굳이 맥국이라는 시어를 사용하였을 까? 시인들이 유독 춘천에 와서 맥국을 떠올린 것은 춘천만이 가지는 특성, 즉 역사적 정체성에서 맥국적인 요소를 감지한 것은 아닐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의문을 풀어보기 위해 옛 시문 자료 중 ‘맥(貊)’이라는 표현이 나오는 77인의 128수를 대상으로, 그중 춘천 일대를 맥국으로 본 99수의 시를 살펴보았다. 옛 시에 읊은 춘천을 맥국으로 표현한 양상을 종합해보면 조선 시대에 들어 후기에 이를수록 많은 지식인들이 춘천을 찾아 시를 읊었고, 대다수 시인은 춘천을 옛 맥국의 도읍지로 표현하였다. 이것은 고려 후기에 정리된 역사서의 전파,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실학자들이 중심이 된 새로운 역사 인식과 고대사에 대한 관심, 조선말 이궁(離宮)을 설치할 정도로 고대국가가 들어서기에 좋은 입지적 조건, 그리고 순박하고 강인한 주민의 인상이 고대 맥족이 가졌을 특성과 유사하다는 점 등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춘천을 찾은 시인들은 이와 같은 영사시(詠史詩)를 통해 단순히 풍경만을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성, 인문 지리적 특성 등 입체적이고 총체적인 영감을 받았기 때문에 춘천을 맥국이라고 표현하였고, 이러한 기록은 누적되어 다시 춘천의 역사적 정체성을 강화해 왔다고 본다. The story that “Chuncheon is the capital of Macguk(貊國) Kingdom” has formed part of the historical records and local legends. However, it has not been clearly demonstrated whether it exists or not as there is no physical evidence that has been found to make this myth a reality for the Macguk Kingdom’s substantive body or the lineage of the throne. In an attempt to prove this, recently the Chuncheon Research Institute at the Chuncheon Cultural Center is striving to clarify its substance again by relying on the vast literature records, existing regional names and legends as well as the newly excavated remains and relics. However, it seems difficult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s as long as it is relying on to the testament of the name. Among these various research materials, the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the classical Chinese poetry(漢詩) to which one question stood out Why did many poets who visited Chuncheon refer to it a "Macguk" even though the substance of the physical evidence is unclear? Perhaps the poets came to Chuncheon and thought of "Macguk" because they verified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Chuncheon, that is, the identity of Chuncheon being the "Macguk." In order to solve these questions, this study examined a total of 128 poems by 77 poets, all from the old poetry materials with the poetic word-Mac(貊). A total of 99 poems, which expressed that the Macguk is located around the Chuncheon, were selected. In conclusion, the expression of Chuncheon, which was recited in old poems, was expressed as Mac, and as the Joseon Dynasty reached the late Joseon Dynasty, more intellectuals visited Chuncheon to recite poetry to which most poets expressed Chuncheon as the capital of the old Mac. This was based on the dissemination of historical books compiled in the late Goryeo Dynasty, whereas the new historical awareness and interest in ancient history is centered on scholars after the two rebellions(兩亂), the location conditions for ancient countries to be built, and the impression that simple and strong and residents are similar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people of Mac. Chuncheon was described as a Macguk because it was not only inspired by the scenery but also by the three-dimensional and holistic characteristics of history and humanity through such consular poems. These historical records accumulate and reinforced the Chuncheon’s historical identity.

      • KCI등재

        맥(貊)의 기원과 전승에 관한 초보연구

        복기대 ( Gi Dae Bok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1 선도문화 Vol.11 No.-

        고구려는 『후한서』 「동이전」에 맥(貊)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고구려인들은 맥을 토템으로 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이는 매우 구체적으로 고구려인들이 ``맥``인이라는 것을 표시함과 동시에 이들의 조상과 후예들도 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증명해주고 있다. 맥의 실체에 대하여 곰, 기린, 산양, 돼지 등과 같이 여러 짐승들로 상상하고 많은 의견이 있는 이유는 맥이라는 뜻이 불특정한 짐승을 뜻하고 기록자의 관점에 따라 달리 기록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해치``라는 외뿔달린 짐승이 고대에는 ``맥``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으며 ``용``과는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맥과 해치의 계통을 확인해 본 결과 한국의 맥은 이미 6500년경전에 만들어졌으며 후기 신석기, 청동기시대,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그리고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전승되는 과정에서 몸체는 다양하게 변화하지만 정수리 부분의 외뿔은 그 원형이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일본의 경우 1,500년 전부터 맥이라는 짐승이 신격화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중국에서는 1,600년전부터 황하 이북지역에서만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긴 세월동안 전승되어온 맥은 지리적으로 동북아시아 고유의 토템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맥과 용을 비교해 본 결과 두 짐승은 다른 형태를 띠고 있는것을 알 수 있으며 지금까지 용으로 인식되어 왔던 맥은 재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중국을 상징하는 용이 사방에 널리 퍼진 것으로 보는 중국학자들의 생각과 지금까지 머리에 뿔이 나 있는 것은 모두 용이라고 하였던 것을 분명하게 재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역사적으로 오랜 세월동안 전승되어온 맥은 현재는 중국, 몽골, 러시아에서는 전승되지 않고 한국만이 유일하게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 즉 외래문화와 합쳐진 것과 독자적인 것으로 전승되고 있으며 맥을 단순히 짐승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그 속에 함의되어 있는 의미가 무엇인지 다시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Dong yi Liezhuan`` of Hou Han Shu(後漢書) describes that Goguryoe indicates Maeg(貊) because the Maeg(貊)is their totem, it means that their ancestors and descendants quite relate to the Maeg. There are many different kinds of opinions about what the Maeg is because people imagine the Maeg might be a bear, a Kylin, an antelope, a pig and so on and the different point of view of recording history. However, in this paper, it examines ``Haechi`` which has single horn animal might be the Maeg and the Maeg is not a dragon.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history of the Maeg and Haechi, firstly, in the case of Korea, the Maeg has been connecting historically before 6500 years ago; from the late Neolithic era, the Bronze age, the Three Kingdoms, Koryo Dynasty, Joseon Dynasty to nowadays, interestingly, the body has been changing in a variety of styles but a single horn on the crown of the head has been remained until now. Secondly, in Japan, this Maeg has been regarding as a sacred animal before 1500 years ago and in China, only in the northern part of the Yellow River could be found it before 1600 years ago. Therefor, geographically, this Maeg should be a totem animal in the Northeast Asia area. Moreover, the result of comparing between Maeg and dragon, these two animals have different characters so the recognition which is about a dragon points to Maeg should be reconsidered, and also the situation that many Chinese scholars still think every animal which has single horn is all dragon should be reanalyzed clearly. Historically, the Maeg has been connecting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now only in Korea, we could see a variety of styles of the Maeg in a different parts of area; the case of combining foreign culture and own culture, not in China, Mongolia and Russia. So this Maeg is not just simply an animal, we should reconsider what the Maeg implies for us.

      • KCI등재

        맥족의 분포와 『삼국사기』소전 ‘맥국’에 관한 고찰

        김창석(Kim, Chang-Seok) 한국고대사학회 2018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1

        고대에 예족이 중심이 된 영동의 濊國과 맥족이 중심이 된 영서의 맥국이 강원 지역의 양대 세력을 이루었다는 인식이 일찍이 형성되어 왔다. 그러나 춘천 맥국설은 신라인의 사실과 다른 인식에서 비롯되었다고 보인다. BC 3세기 무렵 濊族이 형성한 臨屯이라는 정치체가 확인되는데, 그 주민의 일부가 BC 2세기 말 현재의 강원 영서와 영동 지역으로 확산되어 왔다. 이들은 철기문화를 배경으로 하여 선주민을 복속시키거나 융합하면서 경질무문토기, 凸 · 呂字形 주거지를 특징으로 하는 문화를 형성했다. 춘천의 정치체는 古朝鮮이 멸망하면서 臨屯郡의 지배를 받다가 樂浪郡에 이관되었다. 그러나 그 문화의 기반은 濊系였으며, 沃沮, 東濊와 다른 정치적 환경에 있으면서 영동 지역과 문화의 차별성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들이 嶺西濊이며 그 강력한 집단 중 하나가 『삼국사기』의 貊國이다. 2~3세기경 춘천의 우두동 유적을 중심으로 한 大邑落이 형성되었으며 주변의 중소 읍락, 취락군과 느슨한 연맹을 맺고 있었다. 이후 百濟의 침투를 겪다가 결국 4세기 말 高句麗에 의해 멸망당했다. ‘맥국’의 주민 집단은 맥족이 아니라 예족이 중심이었으며 사회의 복합도와 지배체제가 소국에 미치지 못했다. 新羅가 6세기 중엽 영서 북부 지역으로 진출하면서 오랜 동안 이곳을 통치했던 고구려를 의식하여 맥족의 본거지라고 오인했다. 賈耽의 『古今郡國志』는 이러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쓰여졌으며, 이것이 『삼국사기』에 채록되어 현재의 춘천 맥국설로 확대 재생산되어 왔다. It has been said there were two powers of Maek-guk and Ye-guk(濊國) in the ancient Kangwon area. However, this was derived from the knowledge of the Silla people of this region. Lintun 臨屯 formed by the Ye(濊) people can be confirmed in the 3rd century BCE, when a part of them were dispersed into the current Kangwon-do Province at the end of the 2nd century BCE. These people are characterized by particular cultural traits based on the iron culture. The polity of Chunchen(春川) has been controlled by the Lelang 樂浪 Commandery for over 300 years, but its people and culture belonged to the Ye. Under the rule of different polities, cultural differences emerged between the regions of Yeongseo(嶺西) and Yeongdong(嶺東). An influential Ye polity in the Yeongseo area was called Maek-guk(貊國) by the Silla people. They advanced to this area, which had been under Koguryeo rule for a long time, much later than to the Yeongdong area; this is the reason the Silla misunderstood the old polity established by Maeks in current Chuncheon. This erroneous information was transferred to Tang 唐 by the ambassador Han Zhaocai 韓朝彩 and recorded by Jia dan 賈耽 in his book, Bibliography of Present and Past Districts(古今郡國志). This was the source that made it possible to believe there was a powerful polity formed by the Maeks in Chuncheon.

      • KCI등재

        ‘몽골’-「貊高麗」, 유목형 ‘고구려’ 世界帝國考

        周采赫(Chu, Chae-Hyok) 백산학회 2006 白山學報 Vol.- No.76

        " Maek(貊)+Khori(高麗: Mongol)= Maek Khori(貊高麗). It requires a few dialectic steps to reach the conclusion that Mongol is “Nomadic Koguryo, the World Empire”. Those who hunted mainly raccoons (貊: Maek:: elbenkü) and lived on the tops of mountains in the Food Collection Stage learned to herd reindeer (馴鹿: chaabog=khori or qori) in the pastures in the Food Production Stage. Through the developmental stage, they were called Mongol. The name, Khori, originates from Koguryo. The ancestors of the Koguryo were the Chosun (朝鮮) and those of the Mongol were the Xianbi(鮮卑). By the way, the main food of the Chosun or Sunbi was the reindeer pastures (鮮=сопка: Soyon) that were covered with lichens (蘚=niokq). That is, as both lived on the grass on the plateau, which were the pastures of lichens (蘚 : son), they were pastoral nomads (鮮人). In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to horseback riding, the nomads who used bronze or iron tools, conquered agricultural and pastoral areas and established an ancient nomadic empire. Obviously, it has been proven that in the name, Chosun, the meaning of Cho in Chinese is Chao, which means “seeking”, not Zhao, which means “morning”. Chao comes from chaad, a verbal infinitive of chaa from chaa bok, meaning “go toward” and it was translated by the sound. In the summer of 2006, we saw on the Handiga Abggida Taiga Tundra, the reindeer herding pastoral area in the summer in Saha. It was located on the upper area of the Aldan River, which is the branch of the Lena River in Saha. In the lower area of the Yenisay River to the Lena River lichens(蘚) spread out in abundance, which is the main fodder for reindeer. It is the site of the large reindeer herding pastoral plains in Eurasia. As large sized reindeer herding has been done mainly in the Tundra area in the Arctic Ocean Zone, the Taiga Tundra in the lower area of the Yenisay River to the Lena River must have been the Chosun Tundra and the Koguryo Tundra as well as the Mongol Tundra, considering the historic basis. Because the Yenisay River and the Lena River start from Lake Baikal, the Khori who were the reindeer herding nomads gathered around Lake Baikal. The Burqan(不咸) Rock on Olkhon Island tells the story as there was the myth of the birth of the founding fathers of the Khori. The water of the Great Manchu(大滿洲) zone along the mountain ranges, which was called Wyai Xing An Ring(外興安嶺) by the Han (漢) tribes, flows into the Pacific Ocean and it is not so cold that turtles live there, unlike the Rena River which flows into the Arctic Ocean. The two areas are connected by the Lake Hulun Buir (呼倫貝爾)Zone, the north part of the Great Xing An Mountains. It is connected with the fertile pastoral plains of Manchu and also it is the outpost that advances to the great Mongol steppes. Thus, the place was the basis of the economy and the military where the ancient nomadic empire was built. All the nomadic empires of ancient northeastern Asia, after the Xiong Nu(匈奴), Khori(槁離), Buyeo(夫餘), and Gochosun(古朝鮮) were built based on these areas. In my opinion, the Maek Khori(貊槁離)were named through the historical changes of Maek Khori→Maek Goryo(貊高麗)→‘Mongori(蒙古里: Mongol)’. Regardless of Xiong Nu, Buyeo, Koguryo, Balhae(渤海), Qidan(契丹), and Mongol, all northern empires that were related to the business for living, such as raccoons for the Maek(貊: elbenkü) and reindeer for the Khori might be called such. As the Mongol word, Khan, is the essence of those nomadic empires, I dare to insist that the Mongol is the nomadic Koguryo world empire. The Gooli Khan Huncholoo statue (the human stone statue of Sage King Dong myung: 東明聖王), that Prof. B. Sumiyabaatar pointed out to be the axis of the Mongol Korean relationship is located it the southern area of Lake Buir. The statue symbolizes the common hero of the reindeer herding nomadic trib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