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베르디의 초기 오페라 < 맥베스 >의 연구: 연극의 오페라 변용을 중심으로

        이수완 ( Suwan Lee ) (사)음악사연구회 2015 음악사연구 Vol.4 No.-

        베르디가 처음으로 셰익스피어의 작품 중 선택한 < 맥베스 >는 극과 음악을 완전히 결합시키는 시도를 오페라 속에서 실현하려는 작품이다. 본고는 베르디가 연극작품을 오페라 작품으로 만들어 가는 과정에 주목하여 오페라 < 맥베스 >를 고찰하였다. 맥베스는 부당한 권력을 극한까지 추구한 결코 용서받을 수 없는 절대적인 악인임에도, 청중들에게 연민을 일으키는 복합적 존재로 인간 존재 자체가 숙명적으로 안고 있는 모순과 고뇌를 대표하고 있다. 베르디는 맥베스와 맥베스 부인이라는 뚜렷한 캐릭터, 빠른 사건 진행과 강렬한 감정의 변화를 원작 < 맥베스 >에서 발견하고 오페라로 각색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는 원작의 인물을 더욱 생생하게 만들면서 여러 음악적 난점을 해결해야 했다. I그는 원작의 많은 장과 많은 배역들을 과감하게 정리하였다. 가수별로 음역을 구분하였고, 맥베스 부부에게 아리아를 집중하고 다른 역할들에게 다양한 오페라적 성악부를 할당하였다. 이런 음악적 구상은 극의 역동성과 단순함을 부각시키고 원작에서 등장하는 인물들의 심리를 분명하게 표현하기 위해서였다. 주인공 부부의 극적 성격을 유지하기 위해 오페라의 관행을 버렸고(배역의 관행, 아름다운 여성적 목소리에 대한 벨칸토적 관습)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인 연극적 요구들을 하였다. 원작의 초현실적인 부분에 대해서 화성적 리듬적 수단으로 공포감을 표현하고, 코러스를 강화하여 분위기를 강화했다. 베르디의 < 맥베스 >는 그의 다른 걸작들에 비해 큰 인기를 끌지 않았으며, 몇 가지 비판도 받고 있지만, 극적인 진실과 음악적인 양식을 조화시킨 주목할 만한 초기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Verdi`s opera Macbeth is the first piece of W. Shakespeare`s dramas which combines drama and music successfully. This article is an research of the opera Macbeth focusing on the process of adapting a theatric piece into an opera. Even though Macbeth is an absolute evil who cannot be forgiven for pursuing unfair political power, he arouses sympathy among the audience; representing the contradiction and agony that human being fatefully possesses. Verdi catched Macbeth and Mrs. Macbeth`s unique character, rapid development of events, and intense change of emotions from the Shakespearean drama Macbeth and then metamorphosed it to an opera. In this process, he had to face numerous musical difficulties while bringing characters into life. For solving these difficulties, he discarded many chapters and characters from the original. He categorized opera singers into voice ranges, and gave most of the arias to the Macbeth couple to show key dramatic moment of play. The rest of the characters were given other components of opera music. This musical idea was planned to magnify the dynamic and simplicity of the drama and emphasis characters` psychological description from the original vividly. In order to keep the dramatic nature of leading roles, Mr and Mrs. Macbeth, Verdi throw away opera`s practice such as practice of casting and Bel canto singing style. Opera singers were also asked to meet specific theatrical demands in making the opera. For the unrealistic parts of the original drama, he used harmonic rhythm to create fear in the air and he strengthened chorus to deepen the mystic mood. Opera Macbeth may be criticized and failed to gain popularity than his other masterpieces. However, it should be reviewed as one of Verdi`s valuable early day`s work for portraying dramatic truth within musical components and showing fruitful dramatic and musical unification.

      • KCI등재

        서사극 이론으로 고찰한 공연예술축제의 소통 전략-맥베스 공연의 현대적 변용 과정을 중심으로-

        송영민,강준수 한국관광학회 2014 관광학연구 Vol.38 No.10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find out how a classic work of literature, Macbeth, can be communicated with audiences as a performance arts festival. The original version of Macbeth is based on a moral interplay between good and evil. But the modern version of Macbeth continuously tries to ask a question about the concept of the dichotomy between good and evil throughout the performance. This paper applies Bertolt Brecht's theory in the modern version of Macbeth. The modern version of Macbeth is effective from the point of view of audience participation. The modern version of Macbeth uses masks, pop music, and tranvestism as an alienation technique. In general, these tools are used so the audience can not empathize with the drama. In fact, the audience is to criticize the modern version of Macbeth. The viewpoint in the modern version of Macbeth, through alienation technique theory and epic theatre of Brecht, help people better understand the reality of contemporary society, participate in the performance festival, and experience proper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by revealing a variety of human feelings such as solitude, love, anxiety, violence, desire and joy. 본 논문의 목적은 고전문학작품인 맥베스가 공연예술축제로서 관객들과 소통하는 방법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이었다. 고전 맥베스는 선과 악 사이의 도덕적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고전 맥베스는 지속적인 변용과정을 거쳐 현대적 맥베스로 탈바꿈하였다. 본고는 현대 맥베스에 브레히트의 서사극 이론을 적용하였다. 현대 맥베스는 관객 참여 측면에서 효과적인 수단을 사용하였다. 즉, 현대 맥베스는 소외기법 측면에서 가면, 대중음악, 그리고 복장전환을 활용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도구들은 관객들과의 소통을 촉진하는 동시에 관객들은 맥베스 공연을 통해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갖는다. 브레히트의 서사극 기법을 통한 현대 맥베스와의 소통은 사람들로 하여금 현실과 현 사회를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또한 사람들이 공연 축제에 참여하고, 고독, 사랑, 걱정, 폭력, 욕망이나 기쁨과 같이 다양한 인간적 감정들을 드러냄으로써 공연작품과 관객의 소통에 도움을 준다.

      • KCI우수등재

        '맥베스'를 통해 읽는 정치와 인간의 한계

        신철희 한국정치학회 2017 한국정치학회보 Vol.51 No.5

        Shakespeare’s Macbeth is generally regarded as a tragedy about a man who committed a regicide, became a tyrant, and died a miserable death suffering from feeling of guilty. However, to deem Macbeth as merely a tyrant or villain prevents us from understanding the tragedy properly. Macbeth’s judgments and behaviors have their own good reasons. He was keeping Scotland’s order and defending his country against foreign enemies on behalf of the incompetent king, Duncan. The one who took the initiative was Duncan himself rather than Macbeth. Duncan suddenly appointed his son Malcolm as an heir, breaking Scotland’s convention of royal succession, tanistry system. Moreover, Macbeth’s violence was not a problem restricted to Macbeth alone, but an inherent nature of politics. However, he was a tyrant anyway. Regardless of his excellent virtù, the biggest cause of his being a victim of tragedy was his political ambition. It was a desire aspiring to maintaining power through his own descendents. The conflicts among main characters of Macbeth were stirred up around this issue too. But Macbeth’s undue obsession of controlling distant future led to the desire of monopolizing power and using unnecessary violence, and finally became the cause of his fall. Therefore we can learn a lesson from Macbeth that being humble and coexistent is the kernel of political world. 셰익스피어의 '맥베스'는 일반적으로 국왕을 시해하고 왕위에 오른 다음 정신적 고통에 못 이겨괴로워하다가 폭군으로 생을 마감한 사나이에 관한 비극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맥베스를 단순히폭군이나 악인으로 치부하는 것은 극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방해한다. 맥베스의 판단과 행동에는그 나름대로 이유가 있었다. 그는 무능한 덩컨 왕을 대신해서 스코틀랜드의 질서유지와 외적 방어의임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선수를 친 것은 오히려 혈통이 아니라 추대에 의한 왕위 계승이라는 전통을 어긴 덩컨 왕 자신이었다. 그리고 맥베스가 보인 폭력성은 정치의 본래적 특성이지 그에게만 한정된 문제는 아니었다. 이렇게 맥베스에게 이해할만한 측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어쨌든 폭군이었다. 그가 뛰어난비르투를 가진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폭군으로서 비극의 주인공이 된 가장 큰 원인은 정치적 야심이었다. 그것은 자손을 통해서 권력을 계속 유지하려는 본능과 연결된 욕망이었다. 등장인물들 사이의갈등도 사실 이 문제를 두고 벌어졌다. 그러나 통제할 수 없는 미래의 일에 대한 맥베스의 지나친집착은 권력을 독점하고 불필요한 폭력을 사용하려는 욕구로 이어지며, 이것이 결국 몰락의 원인이되었다. 따라서 우리는 '맥베스'를 통해서 정치 앞에서, 그리고 삶 앞에서 겸손한 태도와 제도화가중요함을 배울 수 있다.

      • KCI등재

        마법, 정치, 정권: 현대의 맥베스와 같은 호스니 무바라크의 비교 분석

        모하메드엘아스카리 ( Mohamed Elaskary ) 한국중동학회 2015 韓國 中東 學會 論叢 Vol.36 No.2

        최근 수 십년을 뒤돌아볼 때, 주류 아프리카 문화에서 맥베스와 같은 사람을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 이 글은 최근 이집트에서 생긴 사건들에 의해 동기를 부여받았는데, 이 사건들은 마법과 영의 세계, 그리고 그들의 정치와 권력에서의 역할의 맥락 속에 있다. 이러한 시도에서, 이 글은 이집트 통치자였던 호스니 무바라크와 비교되는 맥베스를 주연으로 하는 셰익스피어 비극과 유사하다. 주 목표는 맥베스와 무바라크의 가족들 사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두 가족 사이에는 근본적인 공통점이 있다: 그들의 왕좌 세습과 그들의몰락, 그리고 비극적인 결말이 그것이다. 나는 무바라크가 포스트모던 시기의 새로운 역사의 관점에서 현대 비극의 영웅으로서 보여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맥베스와 무바라크 두 사람 모두 권력과 야망, 사기 그리고 살인과 같은 선행한 비극을 가져온다. 그들은 권력을 얻고 유지하고자 하는 시도에 의한 몰락을 경험한다. 이와 유사하게, 몇 세대 동안 모든 나라에 마녀들과 마법을 믿는 사람들이 존재해왔다. 셰익스피어의 영역에 있는 사람들도 다르지 않다. 그는 그의 시대에 있었던 대중적인 전통들을 끌어와 그의 목적을 위해 활용했다. 맥베스에서, 그는 마녀와 마법에 관한 대중적인 믿음을 사용했다. 이 글은 맥베스와 이집트 전 대통령인 호스니 무바라크 둘 다 권력을 획득하고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모든 일을 기꺼이 했다고 주장한다. 그 두 사람은 권력에 목말랐던 것이다. 두 리더 모두 그들의 커리어를 영웅으로서 시작했지만 나중에는 그들의 야망이 그들의 판단을 흐리게 만들었다.

      • KCI등재

        The Theatricality of Oh Taesok's Romeo and Juliet and Macbeth

        Young-Joo Choi(최영주)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09 셰익스피어 비평 Vol.45 No.4

        이 논문은 먼저 한국 현대 연극사에서 주요한 연출가이면 극작가인 오태석의 연극이 그간의 학문적, 비평론 담론에 갇혀 단순화되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한다. 즉, 오태석은 한국인의 근원적 심성을 탐색하여왔다거나, 전통문화를 현대화시키는 데 성공하였으며, 논리를 초월하고 있다는 점에서 포스트모던하기도 하고, 한국인의 생활 태도를 온전히 수용한 독자적인 연기법을 실천해왔다는 등의 몇 가지 특징을 통해 논의되어 왔다. 이에 본 논문은 극단 ‘목화’와 오태석의 셰익스피어의 희곡 『로미오와 줄리엣』과 『맥베스』를 통해 보여준 그만의 독자적인 공연 방식을 연극성의 개념과 결부하여 해석하고자 하였다. 즉, 연극성을 연출가가 원작을 해석하며 보여주고자 한 ‘가시적 행위’, ‘의도적인 행위’, ‘구현 행위’로 본 사우터의 개념에 기대어 오태석이 두 공연 작품을 분석하였다. 〈로미오와 줄리엣〉에서는 오태석이 한국의 전통 문화를 시노그라피에 적극 수용하여 새롭게 번안하는 면모를 주요 장면을 통해 살펴보았다. 파비스가 공연에서의 번역은 시각적인 문화 번역을 통해 비로소 완성된다고 말한 것처럼 오태석은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원전의 장면을 한국 전통 문화로 번안하여 새로운 시노그라피를 창출해낸다. 또한 칼슨이 공연은 원전을 완성하고 보완하여 새로운 의미를 성취한다고 주장한 것처럼 오태석은 〈로미오와 줄리엣〉을 통해 분단과 이데올로기의 갈등이라는 한국 사회의 정치 현실을 암시한다. 〈로미오와 줄리엣〉은 원전의 비극이 오태석의 연극성을 통해 즐거운 연극적 체험이자 지금 이곳의 체험으로 가시화되고, 의도되며, 구현된 무대라고 할 수 있다. 〈로미오와 줄리엣〉이 시노그라피에 전통 미학을 적극 수용하였다면, 〈맥베스〉에서는 한국이라는 지역을 너머 좀 더 동양적인 색과 이미지를 선호하는 한편 스페인의 투우 문화를 혼성하여 문화의 상호 소통을 시도한 공연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마구간을 연상시키는 무대, 의상의 붉은 색, 투우의 뿔로 만들어진 왕관은 맥베스의 야심과 그의 비극을 투우의 맹목적인 숙명성과 함께 패로디한다. 이처럼 오태석은 무대, 배우들의 의상의 색, 왕관을 통해 공연에 새로운 의미를 부연하는 동시에, 배우들의 일상적인 연기는 한국인의 일상적 몸짓과 유사하여 관객들은 맥베스와 레이드 맥베스의 비극을 지금 이곳의 필부필부의 이야기로 각성하게 된다. 셰익스피어의 『맥베스』가 한국 문화와 스페인의 문화를 가로질러 관객의 일상으로 제시되는 것이다. 요컨대, 〈로미오와 줄리엣〉과 〈맥베스〉를 통해 오태석은 문화 상호주의 공연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로미오와 줄리엣〉에서처럼 전통문화란 무릇 지역 역사를 통해 전승되어왔기에 의도와 그 형상화가 맥락 속에서 파악되지 않고 미학적인 면만 가시화될 경우 문화 소통의 장애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맥베스〉에서 배우들의 연기가 한국인의 삶의 일상적 제스처와 유사한 경우 문화의 경계를 넘어 그 의도가 소통되기에는 한계를 갖는다. 때문에 연극성의 요소로 ‘가시화된 행위’, ‘의도된 행위’, ‘형상화된 행위’가 충족되어야 하는 것이다. 때문에 연극성이란 특히 문화소통을 위한 공연에서 공연실천가들이 공연 속에서 성취해야 할 부분이며 동시에 관객과 소통되어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 KCI등재

        『맥베스』영상화에 따른 시각의 차이

        강석주(Seok-Ju Kang)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07 셰익스피어 비평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Orson Wells's film Macbeth with Roman Polanski's film Macbeth focusing on their different representation of the dual political aspects presented in the original Macbeth. Orson Wells takes notice of the typical morality pattern of good and evil in Shakespeare's original work. So he emphasizes the protagonist's evil deeds and their results based on Christian doctrine. It's political vision is that the absolute kingship tested by the villain like Macbeth is finally recovered by the legitimate heir. On the contrary, Roman Polanski discovers the corrupted and hypocritical human nature in the original work. He emphasizes the political reality dominated by violence, crime, and disorder, representing the skepticism and absurdity of the absolute power and justice. Because of these different viewpoints, the famous two directors show quite different film-making techniques and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major scenes. Orson Wells uses expressionistic technique in order to express Macbeth's painful and confused inner mind. Therefore, his work is full of surreal images and settings which represent the embodiment of the dark evil force based on Christianity. On the contrary, Roman Polanski uses realistic technique in order to show the wicked social reality which is full of violence and betrayal for one's desire. Polanski's protagonist Macbeth is portrayed not as a tragic hero but as a coward trickster, and we can find lots of characters like him in the play. His confession that "life is but a walking shadow" and "a tale told by an idiot full of sound and fury" becomes an effective way to present the absurd reality.

      • 맥베스의 비극성에 관한 연구

        류승희 대불대학교 1998 論文集 Vol.4 No.1

        Most critics focusing their criticism mainly on the heroes's character insist that the heroes' actions come from their characters. However, their criticisms are not completely reasonable statements of the cause of which Shakespeare's tragic heroes result in their tragic ends. That's why their tragedies would not happen if they were not in their particular reality--tragic reality. Their characters of the flaws of their characters can not be their entire causes, but just a part of them. Therefore, their tragic reality should also be examined as a cause of their tragic ends. From this point of view which their tragedies are resulted from the interaction of their characters and their tragic reality, Macbeth's tragedy is analyzed in this paper. In Macbeth, Macbeth has deep and strong ambition for kingship and powerful imagination. He is Duncan's cousin, a prominent general who has conquered rebels, so that he gets to subconsciously have ambition for kingship. He has powerful imagination unlike a warlike general. This characteristic plays and important role in leading him to tragic end. He has hallucinations before and after murdering Duncan and is led much more deeply into the evil world by his rich imagination although he knows the nature of his crime and its end. there are three witches and lady Macbeth in Macbeth's reality. The witches that symbolize disorder and evil externalize Macbeth's ambition latent in his inner mind by prophesying of his past, present, and futures. His ambition overpowers his reason, so his mental order gets destroyed rapidly. Bdsides, Lady Macbeth with strong evil-passion instigates Macbeth insistently and prudently, so he gets succumbed to murder Duncan. But they cause him to be a tyrant who dares to murder continually without any more hesitation in order to reduce his fear and terror. Finally he loses everything which had attained before murdering Duncan. He is entirely isolated from his world and even Lady Macbeth. Everything is meaningless to him. this is his tragic end. In conclusion, Macbeth meets his tragic end in his inner and outer conflicts cau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his tragic reality and his character or his tragic flaws.

      • KCI등재

        시대의 ‘불편한’ 초상, 므첸스크군의 맥베스 부인 : 레스코프의 소설 『므첸스크군(郡)의 맥베스 부인』, 쇼스타코비치의 오페라 『므첸스크군(郡)의 맥베스 부인』, 올드로이드의 영화 『레이디 맥베스』를 중심으로

        차지원 한국러시아문학회 2022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79 No.-

        This article studies on the context of the intertextuality of the image of Lady Macbeth around Leskov’s novel Lady Macbeth of Mtsensk District. The intertexual interpretation of Lady Macbeth produces the portrait of the era concerning the woman problem which has been raised as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of the society in the periods of new changes. The image of Lady Macbeth who has burned up as the incarnation of human desire and has fallen from the pang of conscience, from the novel Lady Macbeth of Mtsensk District (1864) of Nikolai Leskov, through the opera Lady Macbeth of Mtsensk District (1930) of Dmitri Shostakovich to the film Lady Macbeth (2017) of William Oldroyd, has been transformed in the new images of the women which were deeply saturated by the Weltanschauung of their eras. In the Leskov’s novel Lady Macbeth of Mtsensk District the emancipated sexuality and the free desire of Katerina Izmailova who represented the most oppressed social class, women in Russia of the 1860s, imply the awakening of the consciousness of the liberated people breaking the social oppression and moving forward to the liberation and the freedom. The opera Lady Macbeth of Mtsensk District of Shostakovich has changed Katerina from the portrait of the people who were destructively powerful but benighted into the portrait of the awakened modern woman of the 20th century. In the film Lady Macbeth (2017) the portrait of Lady Macbeth painted from the heroine Catherine projects the frustrating reality of the women suffering from the threat of the lie about the end of feminism in the era of the post-feminism. The portrait of each Lady Macbeth who has struggled for her own identity under the violence and oppression of her society shows the shape of the conflict between the social absurdities and the individual desire for the freedom in her era. In this respect interesting is the genealogy of all these Lady Macbeths who have been described by Leskov, Shostakovich and Oldroyd.

      • KCI등재

        맥베스와 자식의 부재: 〈맥베스〉 영화를 중심으로

        한영림(Younglim Han)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20 셰익스피어 비평 Vol.56 No.3

        The question ‘How Many Children Had Lady Macbeth?”, raised by L. C. Knights in 1932, was intended not to offer an answer but to express an opinion. It was demonstrative of the dismissal of reading Shakespeare as a creator of living characters and the necessity of reading Shakespeare plays as dramatic poems. The question worked as a pointer, thereby drawing attention to the significance of children in Macbeth. Along with Knights, A. C. Bradley and Cleanth Brooks measured the potential meanings of the play in accordance with the recurring images of children. Though the three critics left this question unanswered in the first part of the twentieth century.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answer to Knights’s question is provided by the film versions of the play in the early twenty-first century: Macbeth and Lady Macbeth are a childless couple. Illustrative cases are Mark Brozel’s Macbeth in 2005 and Justin Kurzel’s in 2015. Brozel and Kurzel portray the Macbeths as parents who lost a baby son. The grief for their lost child brings with it their corresponding capacity for power and to forward their ambition for the future. But they fail to find out how to go beyond the challenges of what was done in the past. As they build on the future, they destroy their friends’ homes by making them childless or their children fatherless. Brozel’s film and Kurzel’s end with the appearances of Duncan’s son and Banquo’s, thereby foretelling a future conflict between them, that is, a repetition of an unexpected twist of fate that the Macbeths have faced up to. Both films make childlessness a central theme and convey a sense of why this thing happens rather than what happens.

      • KCI등재

        최근 셰익스피어 영화의 흐름

        강석주(Seok Chu Kang)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13 셰익스피어 비평 Vol.49 No.3

        After 2000, three new adaptations of Shakespeare’s Macbeth incite our interests. Michael T. Starks from US, Geoffrey Wright from Australia, and Rupert Goold from England each directed quite different Macbeth films. In 2006, Starks created a typical American business man for Macbeth, and reinterpreted Macbeth’s behavior from American perspective, while Wright created a gangster for Macbeth and adapted him to a protagonist of an action movie in the same year. On the while, in 2010, Goold tried to create a modern Macbeth without damaging its original work of Shakespeare. Even though these three films were made in the same age, they show different attempts reflecting different interests and social backgrounds. When we consider the different adaptations of Macbeth, we can notice that these three movies all reflect their own nationalities and their own view of Shakespeare. The English director Goold is very careful to modernize the original work by keeping it’s dramatic tradition. On the while, Wright and Starks are free to change the original Macbeth into new figures in modern American and Australian societies, ignoring the political and moral complexity. It is noticeable that all these works have limitations as adaptation films. The primary cause seems to lie in the budget problem. In the fact that Starks and Goold produced their works for television movies, we can easily presume the limitations of the two works. Wright’s work seems to spend much money for the film and to use many movie techniques. But his work does not show the excellent quality as a modern movie and remain as a crime entertainment. The complicated meaning of Shakespeare’s work is changed into a Christian moralistic vision in this film. After all, despite their own different attempts, the common discomforts of the three films lie in the incomplete adaptations. The three new figures of Macbeth seem to be much more real to modern audience, for they are the figures of our contemporary. But the discomfort mainly comes from the unbalance between the modern situations and the original work. They don’t adapt Shakespeare to modern situations completely, and borrow the original dialogues from Shakespeare. Therefore, they become neither any representations of Shakespeare nor any modern reinterpre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