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맥락 및 운율에 따른 고기능 자폐아동의 정서 이해 특성

        김찬희(Chan-Hee Kim),김영태(Young Tae Kim),이수정(Su-Jeo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적 운율이해능력의 특성을 살펴보고, 다양한 맥락(문장내용, 얼굴표정, 그림상황)의 정서와 운율이 불일치하는 경우, 화자의 정서를 이해하기 위하여 운율에 의존하는 정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 9-12세의 고기능 자폐아동 15명, 일반아동 15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정서적 운율과제를 실시하였다. 과제는 운율 단독 제시상황에서 일치하는 정서를 판단하는 운율이해과제, 정서적 운율(정서 일치, 불일치)과 맥락(문장 내용, 얼굴표정, 그림상황)이 함께 제시되었을 때 정서를 판단하는 운율이해과제 및 운율의존도과제로 구성되었다. 결과는 집단을 집단간 요인으로, 정서 유형 및 맥락 유형을 집단 내 요인으로 하여 이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무의미 문장의 정서적 운율을 단독으로 제시하였을 때, 정서적 운율이해력에 있어서 집단 간이나 정서 유형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맥락의 정서와 일치하는 운율을 제시하였을 때에도 집단 및 맥락 유형 간 운율이해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맥락의 정서와 불일치한 운율을 제시하였을 때의 집단 및 맥락 유형 간 운율의존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고기능 자폐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하여, 맥락의 정서와 운율이 불일치할 때 운율에 의존하는 정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얼굴표정맥락에서의 운율의존도가 문장내용맥락, 그림상황맥락에서의 운율의존도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논의 및 결론: 고기능 자폐아동은 운율을 단독으로 제시하거나 정서가 일치하는 운율과 맥락을 동시에 제시하였을 때 비슷한 정서적 운율이해력을 보였다. 그러나, 정서가 불일치하는 운율과 맥락을 제시하였을때 고기능 자폐아동은 감정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일반아동보다 운율에 덜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text and affective prosody on emotional perception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HFA). Methods: Fifteen HFA children and 15 normal children who were matched on chronological age (range, 9 to 12 year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experiment was consisted of two different tasks, affective prosody perceptibility task and the extent of dependence on affective prosody task. Two way-mixed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the perceptibility of affective prosody, there was no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the groups and emotion types when prosody was given only. 2) For the perceptibility of affective prosody, there was no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the groups and contexts when prosody and contexts were given at the same time. 3) For the extent of dependence on affective prosody, there was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the groups. HFA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lower extent of dependence on affective prosody than normal children. There was also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contexts. The extent of dependence on affective prosod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 facial expression than in lexical content and situation picture. Conclu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HFA children were as capable as normal children in affective prosody perceptibility. However, HFA children were less dependent on affective prosody to infer the speaker’s emotion than normal children when the emotion in various contexts (lexical contents, facial expressions, and situation pictures) conflicts with affective prosody.

      • KCI등재

        구조화된 교실 맥락 상황에서 학령기 고기능자폐 아동과 단순언어장애아동의 화행 이해 능력과 마음이해, 구문이해 능력 간의 관계

        진연선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교실 맥락을 반영한 소집단 내에서 학령기 고기능자폐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화행 이해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화행 이해 능력이 마음이해와 구문이해 간 상관이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방법: 본 연구는 45명의 학령기 고기능자폐장애, 단순언어장애, 일반아동이 참여하였다. 화행 이해 능력을 살펴보기 위해 교실 맥락을 구조화하여 직접화행과 간접화행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음이해와 구문이해 능력을 살펴보았다. 통계분석은 반복측정 된 분산분석과 Pearson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화행 이해 능력은 고기능자폐아동과 단순언어장애아동 집단이 일반아동 집단 보다 낮은 수행을 보였다. 둘째, 화행 이해 유형 간에는 간접화행이 직접화행보다 낮은 수행을 보였다. 셋째, 집단과 화행 이해 유형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기능자폐아동은 모든 화행 이해에서 마음이해 점수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그리고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간접화행 이해와 마음이해, 구문이해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고기능자폐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교실 맥락을 반영한 소집단 내에서 일반아동보다 화행 이해에서 어려움을 보였다. 또한 고기능자폐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을 확인할 때 마음이해와 구문이해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학령기 아동의 평가 및 중재를 하는데 있어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한시 이해-감상 교육의 지평 확장을 위한 방법적 모색

        김창호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9 漢字 漢文敎育 Vol.46 No.-

        이 글은 중고등학교 ‘한시 이해-감상 교육’의 지평 확장에 필요한 다양한 접근 방법을 찾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과서 한시 이해-감상의 실제를 검토하고, 이해-감상 교육을 심화할 방법으로 전통 詩話 내용 요소와 한시 일반 이론의 참고, 작품 위계화, 사회문화적 맥락의 고려 등을 제시하였다. 교과서 이해-감상의 실제를 보면, 먼저 이해-감상의 대상인 교과서 한시의 수준별 위계에 대한 기준이 분명치 않았다. 이해-감상의 서술에 있어서는 일부 교과서가 불분명한 관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대부분은 무리가 없었다. 다만 학습활동까지 염두에 둘 때, 전통적인 해석 방식을 존중하는 한편 분명한 관점 아래 적확한 서술을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성취기준>에 의거해야 하는 집필상의 고충은 이해하나, 형식 요소의 제시나 시상전개 설명에 있어서의 경직성은 검토가 요구되는 부분이다. 교과서 한시 이해-감상 교육의 지평 확장 방법을 네 가지 방향에서 생각해 보았다. 첫째로 대상 작품 위계 기준 설정에 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향후 논의를 통해 수록 한시의 범위 설정, 범위 내에서의 위계화, 위계화의 기준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개략적인 위계화의 기준으로 주제, 제재에 있어서 생활 경험과 가까운 것으로부터 추상적, 관념적인 것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 원관념-보조관념의 관계가 명확한 것부터 교육해야 한다는 것, 시상전개의 흐름을 잘 보여주는 전형적인 작품부터 제시해야 한다는 것 등을 들었다. 둘째로 시화, 비평서 등에 나타난 시로서의 성립 요건, 언어예술적 특성 관련 요소를 이해-감상 교육에 적극 반영해야 함을 말하였다. 셋째로 교과서 이해-감상에서의 시상 전개의 일률화, 경직화의 경향을 지적하고, 다변화의 한 방법으로 현대 한시 이해-감상 이론의 하나를 소개하였다. 넷째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는 것, 시체, 압운, 대우 등 형식적 요소에 대한 선택적이고 신축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 현대 언어교육에 있어서의 전통적 대우 자료의 활용을 생각해 볼 수 있다는 것에 대해 언급하였다. 이상 제시한 몇 가지 방안이 진일보한 이해-감상 교육을 위한 논의의 출발점이 되기를 희망한다. This paper seeks to find various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expanding the horizon of 'Chinese poems understanding‐appreciation'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s. To do this, we examined the practice of understanding‐appreciation of Chinese poems in textbooks, and based on the contents of traditional talks on poetry (詩話) and the general theory of Chinese poems, we explored how to deepen the education of understandingappreciation of Chinese poem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four ways of expanding the horizon for the education of understanding‐appreciation of Chinese poems in textbooks. First, we presented suggestions on setting hierarchical criteria for the target works. The scope of Chinese poems to be included in future discussions, the hierarchy within the range, and the hierarchical criteria, etc. should be prepared. As a basis for approximate hierarchy, this study claims that in terms of subjects and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move from being close to life experience to abstract and conceptual ones, to be educated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pective and subordination is clear, and to provide typical works that show the flow of the development of the poetic sentiment. Second, the requirements for establishing poems in talks on poetry and criticism, etc., and the elements related to linguistic and artistic characteristics should be actively reflected in understanding‐appreciation education. Third, this study pointed out the tendency of uniformization and rigidity of development of poetic sentiment in understanding‐appreciation of textbooks, and introduced the general theory of understanding‐appreciation of Chinese poems as a method of diversification. Fourth, this study referred to rearing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works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the need for selective and flexible education of formal elements such as styles of poetry, rhyme, and contraposition, and considering the use of traditional contraposition data in modern language education. We hope that some of the above suggestions will be the starting point of discussion for the education of further understanding‐appreciation.

      • KCI등재

        역사맥락주의 방법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박성진,한찬희,이재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敎員敎育 Vol.37 No.4

        Historical contextual methodology is evaluated as an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s of textualism. Although researchers who study political philosophy or the history of ideas are interested in historicalcontextual methodology, this methodology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dealt with only in thatfield. From the researchers’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pay due attention to the significance ofhistorical contextualism and its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When the ‘context’ of the text isnot considered, the initiative in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the text falls entirely on the reader. However, understanding moral propositions means receiving the extensive self from the text, notforcing the text to follow the readers’ limited understanding. It can be said that the understandingof the socio-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 of the text and the reflection based on it have moral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it leads the reader to self-comprehension. Historical contextualmethodology emphasize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education that moral education should striveto understand the in-depth implications of the text beyond the surface meanings of the text, whileacknowledging that all understanding must be historical. 역사맥락주의 방법론은 기존의 문헌 중심적 텍스트 분석 방법론에 새로운 지평을 연 시도로 평가되고 있다. 역사맥락주의 방법론에 대한 관심이 주로 정치철학이나 사상사 분야에서 집중되고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 방법론이 정치철학과 사상사 분야에서만 취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연구자가 보기에는, 도덕적 명제나 언설에 대한 이해를 추구하는 도덕교육 분야에서도 역사맥락주의 방법론이 갖는 의의와 그것에 내포된 교육적 함의에 특별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텍스트의 ‘맥락(context)’에 대한 고려가 결여되거나 배제된 상태에서는 텍스트 이해와 해석의 주도권이 거의전적으로 독자에게 넘어가고 만다. 그러나 도덕적 명제나 언설을 이해한다는 것은 텍스트에게 독자의 제한된 이해능력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로부터 보다 넓은 자기를 수용하는 것이다. 텍스트가 가진 사회문화적·역사적 맥락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와 이에 바탕을 둔 반성적 사유는이해와 해석의 당사자를 자기이해의 상태로 이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미를 갖는다고 말할 수 있다. 역사맥락주의 방법론은, 모든 이해가 역사적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가운데, 도덕교육이 텍스트의 표면적 의미를 뛰어넘어 그것에 내포된 심층적 의미를 파악하는 데 힘써야 한다는교육의 기본 원리를 한껏 부각시키고 있다.

      • KCI등재

        자기이해로서의 고전시가 교육 ―「처용가」를 중심으로

        오수엽 ( O Suyeop ) 국어교육학회 2018 國語敎育學硏究 Vol.53 No.2

        자기이해 교육에서 고전시가의 타자성이 유의미한 요소가 되기 위해서는 타자의 자기화 과정으로서 현재적 재맥락화가 필요하다. 이때 현재적 재맥락화란 학습자가 텍스트의 심층적 맥락과 자신 사이에 존재하는 동질성을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을 성찰함으로써 새로운 자기이해를 구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처용가」의 표층적 맥락에는 ‘주술 이데올로기에 기반한 역병 퇴치’가, 심층적 맥락에는 ‘상징화를 통한 불안 의식의 극복’이 내재되어 있다. 학습자는 「처용가」의 맥락을 자신의 현재 맥락에 투영함으로써, 자신의 일상과 그 바탕에 깔려 있는 이데올로기의 실체를 성찰하고 확장적인 자기이해를 마련하게 된다. 이처럼 학습자가 과거의 맥락을 반추하여 이를 현재 맥락에 적극적으로 개입시킴으로써 새롭고 확장적인 자기이해를 형성하게 되었을 때, 고전시가 교육은 인간과 세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로 나아갈 수 있다. In the educational field of classical poetry, for the concept of otherness to be meaningful, it is necessary for it to be re-contextualized in the present aspect as a process of self-reflection. Here, the meaning of the re-contextualization is the active process of discovering the homogeneity between the in-depth context of the text and learners. Within this homogeneity, learners can build up a whole new self-understanding through self-reflection. The superficial context underlying ‘Cheoyongga’ is ‘the eradication of human plague based on shamanic ideology,’ and the in-depth context is ‘overcoming of anxiety through symbolization.’ By reflecting on the context of ‘Cheoyongga’ in their current context, learners can think about their daily lives and the reality of the underlying ideology of their lives to develop an expanded self-understanding. The active intervention of the context from classical poetry into learners’ current lives can help learners expand their self-understanding. Consequently, classical poetry education can lead learner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s.

      • KCI등재

        Comprehension of Speech Acts, Theory of Mind,and Syntax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Yeonsun Jin(진연선)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4

        본 연구는 교실 맥락을 반영한 소집단 내에서 학령기 고기능자폐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화행 이해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화행 이해 능력이 마음이해와 구문이해 간 상관이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방법: 본 연구는 45명의 학령기 고기능자폐장애, 단순언어장애, 일반아동이 참여하였다. 화행 이해 능력을 살펴보기 위해 교실 맥락을 구조화하여 직접화행과 간접화행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음이해와 구문이해 능력을 살펴보았다. 통계분석은 반복측정 된 분산분석과 Pearson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화행 이해 능력은 고기능자폐아동과 단순언어장애아동 집단이 일반아동 집단 보다 낮은 수행을 보였다. 둘째, 화행 이해 유형 간에는 간접화행이 직접화행보다 낮은 수행을 보였다. 셋째, 집단과 화행 이해 유형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기능자폐아동은 모든 화행 이해에서 마음이해 점수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그리고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간접화행 이해와 마음이해, 구문이해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고기능자폐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교실 맥락을 반영한 소집단 내에서 일반아동보다 화행 이해에서 어려움을 보였다. 또한 고기능자폐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을 확인할 때 마음이해와 구문이해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학령기 아동의 평가 및 중재를 하는데 있어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speech act comprehension, theory of mind (ToM), and sentence comprehension in school-aged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HFA) to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SLI) in an analogous classroom context.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chool-age children with HFA, SLI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To differentiate speech act comprehension behavioral observation was used in an analogous classroom context. The types of speech acts involved were direct and indirect. Also, this study measured ToM and syntax comprehension.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showing that the HFA group and SLI group had lower comprehension of speech acts than the TD group.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types of speech acts in which indirect speech acts had lower scores than the direct speech acts. Third, there was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s and types of speech act comprehension.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ll speech act comprehension and ToM scores in children with HFA. A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indirect speech acts scores, ToM, and sentence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SLI.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children with HFA and SLI have more difficulties with the comprehension of speech acts than children with TD in analogous classroom contexts. It seems necessary to consider ToM and sentence comprehension when identifying communication competence for children with HFA and SLI.

      • KCI등재

        구술성과 설화 교육의 새로운 방향 : 중고교 설화교육을 중심으로

        심우장(Sim, Woo Jang) 한국구비문학회 2020 口碑文學硏究 Vol.0 No.57

        중고등학교에서 설화를 배우는 이유는 설화를 통해서 서사에 대한 구비문학적 이해의 틀을 갖추고, 서사 갈래의 보편성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자는 것이다. 텍스트 중심의 이해가 갖는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구비서사의 특징적인 면과 연결시켜서 서사이해의 새로운 전형을 마련하자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교육 과정에서는 이러한 설화교육의 의의가 제대로 실현되고 있지 못하다. 여전히 문자문화적인 관점에서 온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설화의 구비문학적 특징에 대한 인식도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설화 교육의 방향을 새롭게 모색해야 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관점이나 방법론으로서의 구술성은 설화 교육과 관련하여 많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구비문학의 정체성을 새롭게 이해하려는 고민들이 구술성이라는 범주에 잘 녹아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우선 설화 갈래에 대한 구술문화적 이해를 심화시켜야 한다. 설화에 나타난 구술문화적인 표현의 특징, 패턴이나 이야기스키마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가 있어야만 소설과 견주지 않고 설화를 설화답게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맥락적 이해에 가장 적합한 갈래가 설화라는 점도 강조되어야 한다. 맥락과 결합하면서 다양한 의미를 생성해내는 역동적인 움직임을 설화를 통해서 이해한다면 문학에 대한 이해가 심화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설화를 통해 현실 담론을 만들어내는 작업도 무척 중요하다. 구술문화에서 설화가 담당했던 역할이 바로 이것이기 때문이다. 통념적 지식에 기대어 변화하는 현실을 포착하기 위해서는 설화를 활용하여 끊임없이 새로운 담론을 만들어내야만 한다. 설화는 특유의 붙임성으로 인해 다양한 맥락과 쉽게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문학의 담론 생성 역할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갈래이다. The reason for learning folktales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s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narrative through oral literature and to reconsider the universality of narrative. The subject aims to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text-based understanding, connect them with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oral narrative, and develop a new model of narrative understanding. However, in the actual curriculum, the significance of this folktale education is not properly realized. It has not yet completely escaped from the character-cultural point of view, and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about the oral literature characteristics of the folktal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find a new direction for folktale education. In this regard, we think that orality as a viewpoint or methodology has many possibilities in relation to folktale education. This is because the issue of trying to understand the identity of oral literature is well integrated in the category of orality.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deepen the oral cultural understanding of the genres of folktale. We need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patterns, or story schemata of oral cultural expressions in a folktale to understand the folktale as a folktale instead of as competition with a novel. Furthermore,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most suitable genre for contextual understanding is the folktale. The understanding of literature can be deepened if the dynamic movement that creates various meanings in combination with the context is understood through folktale. In addition, it is very important to create discourse through folktale. This is because this is the role that folktale played in the oral culture. In order to capture the changing reality leaning against conventional knowledge,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create new discourse using folktales. Folktale is the best genre to understand and apply the role of discourse creation in the literature because it can be easily combined with various contexts due to its unique attachment.

      • KCI등재

        2011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서 近代 資料의 수록 양상과 脈絡化의 실제

        김태웅 역사교육연구회 2019 역사교육 Vol.152 No.-

        This paper is a review of whether or not to implement contextualization by analyzing the modern historical data of ‘Korean History’ high school textbooks based on 2011 the education ministry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some items of exploration activity are seen,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ta and the data within the exploration activity, and the consistency between the data and the time-space background, which is weak in longitudinal causality and transverse connection. In particular, there was a considerable gap between data and exploratory questions. This characteristic of materials in textbooks not only constrains students’ contextual understanding, but can also significantly reduce the use of textbooks. It is not just a factor that hinders the growth of historical thought that counts in history education, but it can also disrupt the strategy of learning in contextualization. This is why the mutual infiltration of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to research activities and documents surrounding them is very urgent in the course of textbook writing. 역사 교과에서 자료를 활용한 탐구 활동 수업이 본격화된 계기는 제7차 교육과정과 함께 시행된 『한국 근·현대사』 검정 발행제였다. 특히 한국 근현대 부분에서는 이전 시기와 달리 다수의 자료가 수록됨으로써 교수학습상 그 의미가 적지 않았다. 그러나 정작 교과서를 활용한 맥락적 이해가 신장되었는가는 의문의 여지가 없지 않다. 무엇보다 교과서에 수록된 각종 자료들의 출처 정보가 제대로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자료의 생성 배경과 시점, 기록물 생산자, 아카이비스트 그리고 역사찬술자의 의도 등을 파악하지 못한 채 자료 자체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골몰하거나 탐구 문항과 연계하여 답안 추출에만 집중하였다. 그리하여 본고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여러 검정 교과서에서 볼 수 있듯이 집필진 구성에서 비롯된 편차는 보이지만 탐구 활동 내 자료와 자료의 관계성, 자료와 시공간 배경의 일치성 등 종적인 인과성과 횡적인 연계성이 미약한 탐구 활동 항목이 일부 보인다. 특히 자료와 탐구 문항의 괴리 현상도 적지 않았다. 교과서 수록 자료들의 이러한 특징은 학생들의 맥락적 이해를 제약할뿐더러 교과서의 활용도를 대폭 떨어뜨릴 수 있다. 그것은 역사교육에서 중시하는 역사적 사고의 신장을 가로막는 요인에 그치지 않고 맥락화 교수학습 전략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 교과서 집필 과정에서 탐구 활동 자료와 이를 둘러싼 탐구 문항에 대한 역사학적·역사교육적 접근의 상호 침투가 매우 절실한 것은 이 때문이다. 따라서 교과서를 활용한 맥락화 수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과서 탐구 활동 자료의 출처 정보가 정확해야 할 뿐만 아니라 맥락적 이해를 위한 정교한 절차와 구성 장치가 구비되어야 한다. 나아가 교과서 자체가 한정된 분량인 데다가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간결화된 교과서라는 점을 감안하여 수록 자료에 대한 출처 정보는 물론 저자(기록물 생산자, 아카이비스트, 역사 찬술자)의 의도, 자료 생성의 배경, 자료의 성격 등을 담은 정보는 교사용 지도서에 대폭 담을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정교화 유형과 자기맥락화가 텍스트 기억 및 이해에 미치는 영향

        이보람(Boram Lee),김종백(Jong Baeg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정보의 의미있는 처리를 돕는 정교화 방법으로 ``정서적 정교화 전략``을 제안하고 기존의 ``인지적 정교화 전략``과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또 학습자가 학습의 내용이 자기의 삶과 관련하여 의미 있다고 평가하도록 촉진하기 위하여 ``자기맥락화(self-contextualization)`` 수행을 처치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독립변인은 정교화 유형과 자기맥락화 수행 여부이며 종속변인은 텍스트 기억 및 이해 점수이다. 서울 소재의 H대학교 학생 9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2X2로 설계되어 인지적 정교화 텍스트로 학습하는 집단(CE), 인지적 정교화 텍스트로 학습하고 자기맥락화를 수행하는 집단(CESC), 정서적 정교화 텍스트로 학습하는 집단(EE), 정서적 정교화 텍스트로 학습하고 자기맥락화를 수행하는 집단(EESC)에 24명씩 배치되었다. 실험결과 텍스트 기억 및 이해에 있어서 정서적 정교화의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텍스트 이해 보다 텍스트 기억에서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반면, 자기맥락화 수행의 유의미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정서가(emotional value, affective value)가 기억 및 학습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학습자의 특질(traits)로서의 정서가 아닌 학습 재료의 정서 상태(affect) 차원에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 학습자의 실제 학습 맥락과 유사한 덩이글(discourses) 차원에서 학습에 대한 정서가의 효과를 밝혔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emotional elaboration strategy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emotional elaboration strategy and cognitive elaboration strategy. Also,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emotional elaboration strategy and self-contextualization for learners` text memory and comprehension. To conduct this study, a real story of one young lady`s life was chosen. A total of 96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four conditions; (1) cognitive elaboration with no self-contextualization, (2) cognitive elaboration with self-contextualization, (3) emotional elaboration with no self-contextualization, (4) emotional elaboration with self-contextualization. To examine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two way ANCOVA was utilized. Results from the data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otional elabor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cognitive elaboration in the test of text memory and comprehension. However, there was no meaningful effect of self-contextualization for text memory and comprehension. Secon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emotional elaboration was more influential in free recall task and cued recall task(text memory) than true of false task(text comprehension). Also, self-contextualization has no effect on students` text memory and comprehen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us with some important insights on emotional value of learning materials. Firstly,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to make students have emotional elaboration effect. Secondly, instructors should provide learners with meaningful learning materials with enough emotional content. Specially, this study underlined the importance of practical use of learning materials contained emotional value in class. Consequentl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emotion not as trait but as an affective value of learning materials. And we suggested utilization of affective value for discourse in actual learning context.

      • KCI등재

        통일 패러다임을 넘어서: ‘북한에 대한 인류학적 이해’ 대학 수업 사례 연구

        이수정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24 현대북한연구 Vol.27 No.2

        이 연구는 한 대학에서 진행된 ‘북한에 대한 인류학적 이해’ 수업 사례를 분석하여 북한 이해 교육의 새로운 시사점을 도출한다. 전통적으로 북한 이해 교육은 통일교육의 일환으로 ‘통일 역량’ 함양에 중점을 두었으나, 최근 대학생들의통일에 대한 무관심과 적대적 대북 의식을 고려할 때 그 효과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남한 사회에서 북한은 위협적인 적이자 통일의 대상인 한민족이라는 이중적 위치에 놓여 있어, 북한 이해 교육의 관점과 내용은 논쟁적인이슈이다. 이 연구는 북한 이해 교육의 목표, 관점, 내용, 방법의 다양화를제안하며, ‘타자’ 연구 및 교육 과정에서 축적된 인류학적 관점과 방법이 대학생 대상 북한 이해 교육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분석한다. 특히, 통일을중심 주제로 삼지 않고 분단문화 성찰을 기반으로 한 인류학적 북한 이해수업이 대학생들에게 북한 및 북한 사람들에 대한 다층적 이해와 비판적 성찰을 촉진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이를 통해 대학의 다양한 북한 이해 관련전공 및 교양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는 참조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Anthropological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course conducted at a university to explore new approaches in educating students about North Korea. Traditionally, education on this topic has centered on fostering “unification competency” within the unification education paradigm. However, given the growing indifference toward unification and hostile attitudes toward North Korea among university students, this approach appears increasingly ineffective. In South Korea, North Korea is seen both as a threatening enemy and as a partner for unification, rendering the content and methods of related education highly controversial. This study advocates for diversifying the objectives, perspectives, and methods of education in teaching about North Korea. By incorporating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and methods typically applied to the study of the ‘Other,’ the course presents a new approach that shifts the focus away from unification as the primary goal. Instead, it fosters a nuanced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and encourages students to critically reflect on division culture. The findings provide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integrating this approach across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and liberal arts courses, aiming to expand and deepen the educational impact of North Korea-related studies at the university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