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일본과의 매[鷹] 교역과 그 의미

        이승민(李承敏) 한일관계사학회 2013 한일관계사연구 Vol.45 No.-

        조선후기 조일교역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물품 중의 하나로 ‘매’가 있었다. 매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일본으로 지급되었다. 그런데 매는 살아있는 동물이기 때문에 교역에 많은 어려움이 뒤따랐지만, 조선정부는 일본과의 교린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매 교역을 이어갔다. 즉 경제적 차원보다는 정치 외교적인 실리의 차원에서 매 교역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조선후기 매의 교역을 살펴보는 것은 교역의 실태 뿐 아니라 나아가서는 양국 외교의 성격 및 의미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매의 교역은 크게 3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첫째는 通信使問慰行이 가져가는 예단품 중의 하나였으며, 둘째는 대마도 연례송사에게 回賜 · 求請으로 지급되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는 일본 측 필요에 의해 不時에 교역이 이루어지는 求貿를 통하는 방법이었다. 이러한 방법으로 교역되는 매는 鷹匠의 감독 아래 일본으로 수송되어 막부에 진상되거나 대마도주의 保身을 위한 선물용으로 사용되었다. 한편 조선에서는 교역을 위해 필요한 매를 各道에 분정해 조달하게 했다. 그런데 어디서나 쉽게 매를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어서 제때 이를 조달하지 못해 해당 지역의 수령이 문책되거나, 매의 지급이 늦어지면서 매를 수령하기 위한 일본 사자를 접대하는 데 필요 이상의 경비가 소모되기도 했다. 또한 일본으로의 수송을 기다리는 매의 사육을 위해 먹이를 잡는 과정에서 왜관 인근 조선 농민의 생활에 직접적인 피해가 가기도 했다. 그렇다면 매 교역을 바라보는 조선과 일본의 입장은 어떠했을까? 임진왜란 후 일본과 국교를 재개하고 交隣和好관계를 유지해야 했던 조선의 입장에서 매는 중요한 교역품으로 인식되었다. 매의 최종 소비자는 바로 쇼군을 비롯한 막부의 유력층이기 때문이다. 조선도 이러한 사실을 인지 하고 있었기 때문에 여러 부담에도 불구하고 매의 교역을 지속해나갔던 것이다. 이것은 일본, 특히 대마도의 입장에서 보아도 비슷한 측면에서 생각해볼 수 있다. 대마도는 조선과의 교역을 통해 얻은 매를 막부 쇼군과 관리, 유력 다이묘 등에게 진상하면서, 변방의 조그만 섬에 지나지 않는 대마도를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의 하나로 활용할 수 있었다. 즉 매의 교역은 조선의 입장에서나 대마도의 입장에서나 양국 이해관계를 잘 드러내주는 것으로, 경제적 차원보다는 정치 외교적인 성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보충 산란 유도와 대리모를 이용한 매 Falco peregrinus의 개체수 증식에 관한연구 : 매와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를 중심으로

        백충렬(Choong-Ryul Baek),조삼래(Sam-Rae Cho)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2004년 2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약 3년 7개월 동안 실시하였으며, 매목 매과 2종(매와 황조롱이)의 특성을 알아보고, 보충 산란 유도 및 대리모를 이용한 매의 개체수 증식과 대리모로서 황조롱이의 적합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야생 매의 보충산란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알을 채집하는 시기가 매우 중요하며, 마지막 알을 산란한 후 적어도 15일 이전에 알을 채집해야 보충산란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매의 대리모로서 황조롱이의 장점을 들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매와 비슷한 시기에 짝짓기 행동을 하고 산란을 한다. 둘째, 매의 알과 황조롱이의 알은 그 모양과 색깔이 비슷하다. 셋째, 황조롱이는 다른 맹금류에 비하여 그 개체수가 많고 번식력 또한 강하다. 넷째, 매의 유조를 육추하는 동안 사람에게 각인되지 않고 야생성을 살려 줄 수 있다. 증식된 매를 야생으로 되돌려 주는 재도입(Reintroduction)을 통하여 생태적인 균형유지와 생물종다양성 측면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안정적인 매의 공급은 최근 고급 레포츠로 각광 받고 있는 우리의 오랜 전통 문화인 매사냥의 발전에 기여 할 수도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매 이외에 다른 맹금류에도 적용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많은 절종위기에 처한 맹금류의 복원 및 보전에 기초자료로 이용되고, 자연을 알고자 하는 많은 학생들 및 일반인들에게 매를 좀 더 가까이 관찰 할 수 있는 학습장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We had surveyed about two species of Falconiformes Falconidae from February 2004 to July 2007. And available for surrogate mother of Common Kestrel Falco tinnunculus used method of clutch size control purposed to increase of individual number of Peregrine Falcon Falco peregrinus. 2) We think after collected the eggs Peregrine Falcon, to induce the additional egg-laying(clutch size control) egg gathering is very important, after the last egg-laying should be done at least within 15days. 3) Advantages of Common Kestrel as a surrogate mother of Peregrine Falcon. ① Peregrine Falcon and the same time, mating behavior and laying. ② Egg's shape and color are similar. ③ Compare to other birds of prey, Common Kestrel has a high population, and strong propagation power. ④ During raising the young falcon, it must not be tamed to people but keep its wild type. 4) Reintroduction of Peregrine Falcon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maintaining ecological balance and biodiversity. moreover, stable supply of Peregrine Falcon can give a contribution in development of hawking which is our traditional culture and come into the spotlight as a high a high quality leisure sports in today. 5) According to this study, the study can be adapted to other birds of prey, and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in restoration or conservation of birds of prey which is endangered. Moreover, this can provide an opportunity of observation and learning about Peregrine Falcon to people who want to know the environment.

      • KCI등재

        매산(梅山) 홍직필(洪直弼)의 심설(心說) 연구 ― 심체본선설(心體本善說)과 명덕설(明德說)을 중심으로 ―

        신상후 ( Shin Sang-who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7 漢文古典硏究 Vol.34 No.1

        梅山 洪直弼(1776~1852)은 19세기 전반기 洛論 학술계를 주도했던 학자이다. 그는 農巖 金昌協-渼湖 金元行-近齋 朴胤源으로 이어지는 낙론의 학맥을 계승한 학자로서, 당대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그 영향과 위상에 비해 매산 性理說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미미했다. 그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제시할 수 있는데, 첫째는 매산이 논쟁을 기피하는 태도를 지녔었기 때문이고 둘째는 조선조 유학사 연구에서 19세기 전반기 낙론에 대한 연구가 대체로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19세기 전반기 낙론 학술계의 지향을 살피고 18세기에서 19세기로 이어지는 조선조 유학사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매산 성리설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하겠다. 본고는 매산 성리설 연구의 기초 작업으로서, 매산 성리설의 핵심이 되는 心說을 고찰하였다. 매산이 속한 낙론은 栗谷 李珥를 宗師로 한다. 따라서 `모든 발생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氣發理乘一途說]`, `理로 인하여 본체의 근원적 동일성이 담보되고 氣로 인하여 현상적 차별성이 생겨난다[理通氣局]`라고 하는, 율곡의 宗旨를 계승한다. 율곡의 이러한 학설에서는 본체(理)의 온전한 실현 여부가 氣에 달려있게 되는바, 주자학의 용어로 말하면 `理의 온전한 실현은 理가 湛一精爽한 本然의 氣를 탔을 때에 가능하다`라는 것이다. 낙론에서는 이 本然의 氣를 心으로 보아 心을 본체 실현의 주체로 자리매김하도록 하는데, 이는 매산 역시 마찬가지로, 이 때문에 心說이 매산 성리설의 핵심이 되는 것이다. 매산은 心이 性만큼이나 근원적 동일성을 갖는다고 보았다. 매산에 있어서 心은 개체의 心이라는 점에서 개별자이지만 차별적 氣質과 구분된다는 점에서 보편자이다. 心의 근원적 동일성과 보편성을 定式화한 것이 心體本善說이며, 이 이론은 氣質의 氣와 心의 氣를 구분함으로써 성립한다. 또 매산은 『大學』의 明德에 대해서 明德主氣와 明德無分數를 주장하였는데, 이는 `명덕은 心을 가리킨 말이며[明德主氣] 그 心은 보편성을 갖는다[明德無分數]`는 것을 밝힌 이론으로, 이 역시 心의 근원적 동일성과 보편성에 대한 이론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심체본선설과 명덕설 두 가지 이론을 중심으로 매산의 心說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매산 심설에서의 심은 형이상과 형이하를 통섭하고 본체와 현상을 통일하는 주체로서 그 존재론적 위상을 정립함을 확인하였다. Maesan Hong Jik-pil(梅山 洪直弼, 1776~1852) is a leading scholar of the Nangnon(洛論) academic community in the early nineteenth-century. He followed after the Nangnon school scholars, such as Kim Chang-hyeob(農巖 金昌協, 1651~1708), Kim Won-haeng(渼湖 金元行, 1702~1772) and Park Yun-won(近齋 朴胤源, 1734~1799), and had great influence on the times. Yet despite his clout and prestige in academic field, Hong Jik-pil`s Seongli-seol(性理說) has not been fully evaluated. It is because Hong Jik-pil tended to evade academic arguments. Also, there has been a lack of study on the early nineteenth-century`s Nangnon in the history of Joseon Confucianism. Therefore, it is required to fully appreciate his Seongli-seol in order to examine academic tendency of Nangnon in the early nineteenth-century and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from the eighteenth to nineteenth-centuries. This paper, as a groundwork on Hong Jik-pil`s Seongli-seol, analyzes his Heart-Mind theory(心說). The Nangnon school that Hong Jik-pil belonged venerated Lee Yi(栗谷 李珥, 1536-1584) and thus followed his core idea that `Every occurance has the same structure[氣發理乘一途]; Li(理) secures fundamental sameness of the substance and qi(氣) arises phenomenal differentiation.[理通氣局]` Based on it, realization of the substance is depended on qi, responsible for specific action. In other words, the fulfillment of li is possible through pure and innate qi, according to the words of Zhu Xi(朱熹) Study. In Nagnon, innate qi is regarded as Heart-Mind(心), so Heart-Mind becomes the subject of fulfillment of the substance. As Hong Jik-pil accepted the idea, Heart-Mind theory became the core point of his Seongli-seol. According to Hong Jik-pil`s argument, Heart-Mind possesses the fundamental sameness, as much as Nature(性) has. Heart-Mind(心), as an individual being, is an independent entity, at the same time, is an universals that differs from differential disposition(氣質). The fundamental sameness and the universals of Heart-Mind are formalized as Simchebonsunseoul(心體本善說). The theory has been established by making a division between qi of disposition and qi of Heart-Mind. Moreover, in terms of Illuminating virtue(明德) from Great Learning(大學), he argued Myoungdukjuki(明德主氣) and Myoungdukmoobunsoo(明德無分數). It clarifies that `Illuminating virtue indicates Heart-Mind[明德主氣]; Heart-Mind possesses universality[明德無分數]`, also states fundamental sameness and universals of Heart-Mind. This paper attempts to analyse Hong Jik-pil`s Seongli-seol from the perspective of these two theories.

      • 고전문학에 나타난 매와 매사냥의 형상화 양상

        박진태 大邱大學校 師範大學 附設 敎育硏究所 2011 學校敎育硏究 Vol.7 No.1

        I analyzed the figuration of a hawk and falconry. In the oral literature and written literature, a hawk and falconry figured the dauntlessness and benevolence not only at the viewpoint of the myth and religion , but also the politics and military. Confucianists discovered the sense of justice and the heroic spirit of a classical scholar at the viewpoint of the politics and military and they regarded the falconry as the magnanimous and manly sports at the viewpoint of the taste. But they were cautious of avarice and cruelty at the viewpoint of the ethics. At the viewpoint of Buddhism a hawk and falconry figured the cruelty and mercy. And the people tried to protect themselves against the oppression of the strong by the dauntlessness of the hawk but they regarded the dauntlessness of a hawk in the same light with the violence of the strong. Dauntlessness and benevolence are the positive properties of a hawk and falconry. On the other hand, avarice and cruelty are the negative properties. The positive cognition originated in the agricultural people´s way of thinking and the negative cognition originated in the hunting people´s way of thinking. 매와 매사냥이 반영된 구비문학(신화, 전설, 인형극, 민요)과 기록문학(한문산문, 한시, 시조)의 작품들을 총망라하여 문학적 형상화 양상을 통하여 한민족과 매의 관계사를 문학사와 의식사의 측면에서 이해함으로써 자연에 대한 인문학적 상상력의 일면을 조명하려 하였다. 그리하여 매의 형상화를 신성이 부여된 매와 인성이 투사된 매로 구분하고, 매사냥의 형상화는 긍정적 시각으로 형상화된 경우와 부정적 시각으로 형상화된 경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성이 부여된 매는 용맹한 매와 인덕 의 매가 대립되고, 인성이 투사된 매는 강자의 미덕을 지닌 매와 강자의 악덕을 지닌 매가 대립되며, 매사냥은 강자에 대한 존경과 선망의 심리에 의하여 긍정적으로 형상화되거나 약자에 대한 동정심과 강자에 대한 저항정신으로 인하여 부정적으로 형상화되었음이 구명되었다.

      • KCI등재

        梅溪 曺偉의 記文에 대한 一考察

        이성형 근역한문학회 2023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6 No.-

        Volume 4 of 『Maegyejip(梅溪集)』 contains a total of 10 gimuns(記文) written by Maegye(梅溪) Jowi(曺偉)(1454-1503). Since they are all gimuns(記文) of buildings, they are classified as Nujeonggi(樓亭記). If we look at Maegye(梅溪)'s written records in general, we can see that Maegye(梅溪) was also skilled in written records. Additionally, the content structure generally shows a tendency to mix records, landscape descriptions, and arguments. Let’s look at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Maegye(梅溪)’s records. First, we can see the ‘objective records and emphasis on Neo-Confucian ideology.’ Maegye(梅溪)'s 'Dokseodanggi(讀書堂記)' and 'Haeinsajungchanggi(海印寺重創記)' show an objective writing and discussion-oriented narrative style that emphasizes Neo-Confucian ideology. What is noteworthy is that, unlike other records of Maegye(梅溪), honorification, baebigu(排比句), and a certain number of characters were effectively utilized. We can see ‘a commendation for the selection of Mokmingwan(牧民官) and an affirmation of the ceremonial value of the building’s architecture.’ The gimuns(記文) of public buildings in Maegye(梅溪) have a narrative structure that first commends the selection of Mokmingwan(牧民官) and then positively evaluates the ceremonial value of the building. Maegye(梅溪)'s spirit of love for the people and Neo-Confucian view of the people can be confirmed. You can see ‘a description of the scenery and an explanation of the meaning of the name of the pavilion.’ The gimuns(記文) related to the pavilion in Maegye(梅溪) not only describe the scenery but also contain Neo-Confucian discussions. In particular, the weight of discussion is high as Maegye(梅溪) gives a name to the pavilion and explains the meaning of the name. In addition, the pavilion-related gimuns(記文) written by Maegye(梅溪) are of high literary value as they reflect Maegye(梅溪)'s personality well.

      • KCI등재

        매와 매사냥의 역사와 어휘 연구

        이봉일(Lee, Bong-Il),김미경(Kim, Mi-Kyung) 한국비평문학회 2017 批評文學 Vol.- No.65

        매사냥은 지금으로부터 약 4,000~5,000년 전 중앙아시아의 평원에 살았던 유목민에 의해 시작되었고 점차 이란, 이라크 및 인도 등 중동지역으로 퍼져나갔다. 매는 동서양 모두 태양신으로 숭배되었다. 이후 매는 길들여져 사냥에 동원되었고, 점차 전쟁과 교역 그리고 스포츠 등 다양한 문화로 자리를 잡으면서 빠르게 발전해 나갔다. 우리의 경우 숙신족(肅愼族)으로부터 시작되어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를 거쳐 고려, 조선으로 계승되어 왔다. 16세기까지 중요한 민족 문화로 발전해 오던 매사냥은 주변국과의 관계, 소빙하기의 기후변화로 인한 기근과 전쟁 등으로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이제 매의 개체수는 환경오염과 기후변화 그리고 도시화 등 다양한 이유로 급격히 줄어들어 사라질 위기에 놓여 있다. 현재 매는 멸종 위기 1급으로 보호되고 있으며, 매사냥 역시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등재가 되어 보호를 받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많은 어휘의 어원이 우리 선조가 즐기던 매사냥에서 출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매와 관련된 언어가 우리 문학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그 문학적 상징성은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를 좀더 역사적 고증을 거쳐 깊이 있게 천착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될 때 우리가 매와 매사냥에 얽힌 역사 · 문화적 가치에 대한 민족적 자긍심을 드높일 수 있을 것이고, 한국인의 미적 정서를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언어는 계속 변화하지만, 뿌리로 전해지는 어원은 결코 사라지지 않기 때문이다. 말의 뿌리를 안다는 것은 우리 선조들이 지켜왔던 문화를 이해한다는 것이다. 지금 매와 매사냥이 사라져갈 위기에 처해 있다고는 하지만, 우리가 역사기록물을 확인하고 그것을 문학창작품 속에서 재창조하며, 그리고 일상생활 속에서 사용되는 말을 통해 매와 매사냥에서 출발한 어휘는 앞으로도 계속 사용될 것이다. 그 어원을 찾아 바르게 사용하는 것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의 노력과 후세대의 몫으로 남아 있다. A nomadic tribe began hawking in plain of Central Asia 4000 or 5000 years ago. Hawks hunting spread gradually to Middle East area of Iran, Iraq and India. Hawk was widely worshipped as the sun god in both East and West. After then, hawk has been used to hunting after being tamed. Hawking began to establish various culture including war, trade and sports. In korea, Hawks hunting has passed down to Chosun through Buyoe, Goguryeo, Baekje and Silla since Suksin tribe originated hawking. Korean hawking which has developed as significant national culture until the sixteenth century. began to decay slowly owing to relation with surrounding nations, famine caused by climatic change, and war.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hawk declines and is on the brink of extinction be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climatic change and rapid urbanization. Today hawk is preserves as the first class endangered species and hawking is protected as it was listed on the UNESCO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This study shows that origin of a many widely used words stems from hawks hunting our ancestor enjoyed. We need to scrutinize how words related to hawking has influenced Korean literature and how literary symbolism has developed through historical research. After this we can contribute to national pride about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related to hawk and hawking. We are able to understand Korean aesthetic sense. Though language has changed continuously. the origin of word whose root passed down never disappears. To know the root of word which has disappeared means that we know our culture ancestor has preserved. Though hawk and hawking is on the brink of extinction, we identify historical records, reinvent them into literary works and will continue to use words stemmed from hawk and hawking in everyday language. It is our effort and future generation’s duty that we should use a word and its origin correctly.

      • KCI등재후보

        우포늪 연안대에서 매자기의 화력학과 개체군 변화

        서혜란,박상용,오경환 한국습지학회 2009 한국습지학회지 Vol.11 No.3

        수생 정수식물인 매자기(Scirpus fluviatilis (Torr.) A. Gray)의 화력학과 개체군 변화를 규명하여 연안대 식생의 복원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경남 창녕군 우포늪에서 2006년 3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매자기의 계절에 따른 생장 특성 및 부위별 생물량을 조사하고 화분 재배 실험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매자기는 우 포늪의 우포, 목포, 사지포, 쪽지벌, 토평천 상하류 등에 고루 분포하는데, 특히 목포의 밀도가 높았다. 매자기의 생육이 왕성한 시기 중 5월 28일 조사에서 매자기의 분포 수심은 9~49㎝ 범위였는데, shoot 밀도는 수심 26~49㎝에서 높았고, ㎡당 shoot 밀도는 평균 119이며, 초장은 평균 122.3㎝이었다. 지하부의 괴경 밀도는 104.5개/0.25m2으로 생존 괴경은 84.2%이고 사망 괴경은 15.8%였다. 생존 괴경의 평균 생중량은 3.0g인데, 1~4g의 괴경이 57.9%로 가장 많았다. 생존 괴경 중 이미 발아한 괴경은 43.8%였으며, 새싹이 1개(29.0%)인 것이 가장 많았고, 7~9g 및 10g 이상의 괴경에서 발아율이 높았다. 재배 실험에서는 8월초에 shoot 밀도가 발아괴경과 휴면 괴경에서 각각 13.5 및 8.7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현지 조사에서는 매자기의 shoot 밀도가 태풍 피해 이전에는 대체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태풍 '에위니아(Ewiniar)'로 인한 침수 후 모두 고사하였고 11월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초장은 재배 실험에서 100∼116㎝ 및 현지 조사에서 60∼170㎝까지 생장하였다. 생육기 말에 화분에서 재배한 매자기의 생물량 분배 비율은 발아 괴경을 식재한 화분에서 줄기 8.9%, 잎 6.6%, 화서 0%, 지하부 84.5% 등이고, 휴면 괴경을 식재한 화분에서는 줄기 7.1%, 잎 7.1%, 화서 0%, 지하부 85.8% 등으로서 모두 지하부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생육기 말에 화분 속의 괴경 수가 1.4∼4.1배 증가한 것으로 보아 매자기는 영양생식으로 주로 번식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고려시기 매의 포획과 활용

        이병희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2 石堂論叢 Vol.- No.84

        The falcon is one of the important animals to examine for the understanding of Goryeo's ecological environment. In Goryeo, there were really many kinds of falcons, which inhabited around the state. The falcon was a bird of prey that other birds were terrified of. For its beauty, the falcon was raised and appreciated by many people. Even in ancient societies, people used a falcon to hunt according to records. Human beings were able to control falcons by regulating their hunger state. In many cases, falcons would flee instead of following humans when they were full. Tools were used to capture falcons, but it was a general practice to capture falcons with a net. During the interference period by Yuan, Goryeo needed many falcons to present to Yuan emperors and accordingly established a national agency called Eungbang to supervise the capture and management of falcons. Many people of the country was registered at Eungbang and capture falcons. Once a falcon was captured, it went through a series of training procedures. Large falcon farms would extort common people for their chickens and dogs to feed their falcons in many cases. During the interference period by Yuan, so many chickens and dogs were fed to falcons that people suffered a very unstable supply of protein. A falcon was utilized most widely during hunting. Falconry usually happened in autumn and winter. Falcons were starved to some degree before they were put in hunting. A hunter would ride on horseback with a falcon on his arm and go out in the field to hunt. Generally, several beaters were mobilized for this occasion. They would usually seek after the pheasant, rabbit, and fox in falconry. In Goryeo, almost all the social classes engaged in falconry. During the interference period by Yuan, falconry led by a king was prevalent. The falcon was widely utilized as a present of trust between countri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In early Goryeo, they presented falcons to the Kitans. During the interference period by Yuan, they sent a good number of falcons to Yuan. The number of falcons presented to Yuan during the period from King Chungryeol to King Chungsuk exceeded 1,000 easily. As a lot of falcons were leaked overseas, Goryeo must have suffered a sharp drop in the falcon population. In early Joseon, falcons were hardly captured in Hasam Provinces(Chungcheong, Gyeongsang, and Jeolla), which is estimated to have connections with the reduction of the falcon population. 매는 고려시기 생태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살펴야 할 중요한 동물의 하나이다. 매는 인간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고, 다른 야생동물과 긴장 관계에 있으며, 가축과도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조류였다. 고려시기 여러 종류의 매가 있었으며 전국 도처에서 서식하였다. 매는 다른 조류들이 두려워하는 맹금류(猛禽類)였다. 자체의 아름다움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매를 완상했다. 사람들은 매의 굶주림 상태를 조절해 매를 통제할 수 있었다. 매는 배가 부르면 종종 사람을 따르지 않고 달아나 버렸다. 매를 잡는 방법으로 가장 일반적인 것은 그물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매를 포획하면 일련의 조련 과정을 거쳤다. 원 간섭기에 고려는 원의 황제들에게 진헌하기 위해 많은 매를 필요로 했는데, 이때 매의 포획과 조련을 담당할 기구로 응방(鷹坊)을 설치했다. 많은 수의 매에게 먹이를 주기 위해 민인의 닭과 개를 탈취했다. 엄청난 닭과 개를 매의 먹이로 제공한 결과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단백질의 공급 부족을 초래했다. 매는 사냥에 널리 활용되었는데, 매 사냥은 통상 가을과 겨울에 행해졌다. 매 사냥에 앞서 어느 정도 매를 굶주린 상태로 만들어야 했다. 사냥꾼은 말을 타고 팔에 매를 얹고서 사냥에 나섰는데, 이때 여러 명의 몰이꾼이 동행했다. 매 사냥의 대상이 되는 야생동물은 꿩, 토끼, 여우였다. 고려에서 거의 모든 계층이 매 사냥에 종사했는데, 원 간섭기에는 국왕이 매 사냥에 나서는 일이 많았다. 매는 국제 관계에서 국신물(國信物)로 널리 활용되었다. 고려초에 매를 거란에 보낸 일이 있으며, 원 간섭기에는 다수의 매가 원에 진헌(進獻)되었는데, 충렬왕에서 충숙왕 사이에 진헌된 매는 1천 마리를 상회한 것으로 보인다. 다수의 매가 국외로 반출된 결과 고려에서는 매의 개체수가 감소한 것 같다. 조선초 매가 하삼도에서 많이 잡히지 않는다고 하는데, 이는 매 개체수의 감소와 관련된 것으로 추측된다.

      • KCI등재

        매사냥 관련 민속지식의 양상과 무형문화유산 가치

        김재호 국립무형유산원 2021 무형유산 Vol.- No.10

        매사냥은 야생의 매를 포획하는 방법에서부터 길들이기와 훈련하기 그리고 매사냥 실전에 이르기까지 전과정이 수많은 민속지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민속지식 대부분은 매에 관한 생태학적, 해부학적, 행동학적지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렇다고 하여 주류 과학인 조류학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 형성 과정은 대부분오랜 옛날부터 선배 매사냥꾼들로부터 전해져오는 전승지식들이 주를 이룬다. 매 관련 민속지식에는 야생 매를 포획하는 방법, 어떤 매가 사냥 능력이 뛰어난지를 판단하는 구분법, 매를 키우는 사육법, 훈련법 등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와 기술, 그리고 관련 지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밖에 매의 사육과 훈련에 필요한 도구 관련 지식, 기타 사냥의 대상인 꿩이나 자연환경 등에 관한 지식 등도 포함된다. 이렇듯 민속지식은 매의 포획과 사육, 훈련 등 매사냥 전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와 기술, 지식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래서 민속지식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매사냥이 어떤 방식과 원리에서 이루어지는지를 기초적인단계에서부터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핵심적 민속지식은 매사냥꾼의 독특한 민속어휘로 표현되는경우가 많다. 그리고 매사냥의 무형문화유산 가치는 민속지식과 밀접하게 관련되는데, 민속지식 중에서 매가 날아간 방향을 알기 위해 시치미를 사용하는 지식, 매의 행동학적 습관을 이용해 야생의 매를 포획하는 기술, 생물학적특성을 이용해 매 상태를 점검하는 지식, 매를 이듬해 자연으로 되돌려 보내는 관습 등은 우리나라 매사냥에서 볼 수 있는 고유한 전통이자 문화유산인 것으로 판단된다. Falconry consists of a lot of folk knowledge, from how to catch wild falcons to taming and training. Most of these folklore tales consists of ecological, anatomical, and behavioral knowledge of falcons, but this does not include mainstream ornithology. The formation process is largely based on the traditions passed down from the old falconers. The folk knowledge about falconry consists of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skills related to how to catch wild falcons, how to distinguish which one is good for hunting, how to raise hawks, and how to train them. Others include knowledge about the tools necessary for breeding and training falcons and other knowledge about pheasants that are the targets of hunting and the natural environment. As such, folk knowledge includes information, skills, and knowledge that are necessary in the process of falconry, such as catching, rearing, and training falcons. Thus, if we look into the contents of the folk knowledge, we can systematically understand from the basic stage how falconry is carried out. In particular, core folk knowledge is often expressed in the folk terms of falconer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value of falconry is closely related to the folk knowledge. The use of sichimi for seeing where the falcons fly toward, the method of capturing using behavioral habits of falcons, the status check using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eleasing the falcon to live in nature the following year are unique traditions and cultural heritage found in falconry of Korea.

      • KCI등재

        전통법상 부동산 매매(買賣)법리와 현행법상 부동산 매매(賣買)법리와의 비교

        손경찬(Kyoung Chan Son) 한국비교사법학회 2019 비교사법 Vol.26 No.2

        이 연구는 부동산의 매매(買賣)와 매매(賣買)를 비교한 연구이다. 부동산 매매(買賣)는 조선시대부터 1905년 ≪刑法大全≫까지 전통법에서 부동산의 유상거래행위를 지칭하는 용어였으며, 부동산 매매(賣買)는 1906년 통감부시대에 처음 법전에 명문화된 이래 현재까지 부동산의 유상거래행위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매매(Kauf, Sale)는 일방당사자가 어떤 재산권을 상대방에게 이전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은 이에 대해 대금을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서 성립되는 계약이며, 현행 민법에서는 이를 매매(賣買)라 명명하고 있다. 매매(賣買)는 ‘낙성’·유상·쌍무·‘불요식’계약이다. 그리고 재산권의 이전을 목적으로 하며, 매매의 목적인 재산권은 현재 매도인에게 귀속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장래 성립하는 재산권이라도 매매의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부동산의 이중매매도 제2매매계약이 반사회질서 법률행위에 따라 무효가 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원칙적으로 유효하다. 그리고 타인의 물건 또는 권리의 매매도 원칙적으로 유효하며, 다만 매도인에게 담보책임이 부과될 뿐이다(민법 제569조, 제570조). 반면 매매(買賣)는 중국의 고대 법전에 규정된 이래 조선시대 법전 및 1905년 ≪刑法大全≫에서까지 규정되었다. 조선시대 부동산 매매(買賣)는 ‘낙성’·유상·쌍무·‘요식’계약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다만 매매(買賣)는 요물계약에 가까운 낙성계약으로 평가하여야 한다. 특히 매매(買賣)에서 매도인은 매득인(買得人)[매수인]에게 물건의 인도와 함께 반드시 문서를 동시에 인도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요식계약으로 평가할 수 있다. 매매(買賣)는 매득(買得)과 방매(放賣)를 합한 용어이며, 매득(買得)에서는 채권계약(매수)과 물권행위(점득(占得)·깃득(衿得), 소유권의 취득)가 구분되지 않고 동시에 행하여지는 것이 특징이었다. 따라서 매득인(買得人)은 매득행위를 통해 소유권을 바로 취득하게 된다. 그러므로 매매(買賣)에서 이중매매(重複放賣)는 허용되지 않아 제2매매행위는 무효가 되었고, 매도인과 제2매수인은 형벌을 받았다. 또한 매매(買賣)에서는 타인권리매매가 허용되지 않았으며, 만약 타인권리매매를 행한 경우 법적 효력을 인정하지 않았다. 부동산 매매(賣買)와 매매(買賣)는 다른 제도이며, 매매(買賣)는 매매(賣買)와 비교하여 볼 때 물건의 인도와 문기의 이전이 성립요건인 점에서 엄격한 요식성을 갖추어야 하였다. 또한 매매(買賣)에서 매득인(買得人)이 매수계약과 동시에 소유권을 취득하게 되므로 이중매매 및 타인권리매매의 유효성을 인정할 여지가 없게 된 것이다. 그리고 매매(買賣)에서는 물권의 변동을 표상할 수 있는 공시제도가 없었던 반면, 매매(賣買)에서는 등기 등으로 공시되는 차이점이 있다. 무엇보다 매매(買賣)는 ‘진정한 당사자의 권리보호’를 ‘거래의 안전’보다 훨씬 더 중요하게 생각한 제도였던 반면, 매매(賣買)는 양자를 모두 추구하는 제도이다. The present research contains the comparison between real estate buying and selling(買賣) and selling and buying(賣買). The real estate buying and selling(買賣) had been the terminology for real estate trading practices for compensation in traditional law from Joseon dynasty to ≪刑法大全≫ in 1905 whereas the real estate selling and buying(賣買) indicates the real estate trading practices for compensation since 1906 when it was first stipulated during the Japanese Residency-General period up to now. Trade(Kauf, Sale) is a contract which is established by a party who “agrees” to transfer the property right to the other party and the existing civil law names this as selling and buying(賣買). Selling and buying(賣買) a consensual, onerous, bilateral, and informal contract. Its purpose is to transfer the property right and it is not required for the property right to be vested in the current seller. The property right which is planned to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may be the purpose of the sale. Therefore, a double selling of a real estate could be effective in principal as long as the 2nd sales contract does not become invalid according to the anti-social juristic act. Moreover, selling another person’s properties and rights is also effective if the seller holds the responsibility for security(Civil law article 569, article 570). In contrast, buying and selling(買賣) was first regulated in the Chinese ancient law and lasted until 1905 in ≪刑法大全≫. The real estate buying and selling(買賣) during Joseon dynasty may be classified as “consensual”·onerous·bilateral·“formal” contract but buying and selling(買賣) should be evaluated as a consensual contract which is closer to a substantial contract. In particular, buying and selling(買賣) can be evaluated as a formal contract since the seller must transfer a document along with the product. buying and selling(買賣) is a terminology that combines maedeuk (買得) and bangmae(放賣). In maedeuk(買得), one of the characteristics is that a contract that generates a claim(purchase) and the act of real rights(jeomdeuk(占得)· gitdeuk(衿得), acquisition of ownership) are not separated and conduct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buyer(purchaser) acquires the ownership right after the purchasing act. Consequently, a double selling is not allowed in buying and selling (買賣) which makes the 2nd trading act as invalid. The seller and the 2nd buyer received a criminal penalty. In addition, in buying and selling(買賣), trading another person’s right was not allowed and its legal force was not recognized. The real estate selling and buying(賣買) and buying and selling(買賣) are different regulations and when compared with selling and buying(賣買), buying and selling(買賣) should have strict formality since the requirement involves the delivery of the product as well as the transfer of the document. Furthermore, in buying and selling(買賣), a double selling and trading another person’s right cannot be effective since the buyer acquires the ownership at the same the purchase contract is established. In buying and selling(買賣), there is no system of public announcement that represents a change in real rights whereas in selling and buying(賣買), they are announced through registration. Most of all, buying and selling(買賣) prioritizes “protecting the rights of parties who are truly involved” over “transaction safety” whereas selling and buying(賣買) pursues both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