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학 : 터키 동부 흑해 트라브존 지역의 신랑 매달기 풍습에 관한 연구

        양민지 ( Min Ji Ya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0 No.48

        사람이 태어나서 죽기까지 반드시 거치는 인간의 성장 과정 중에서 그 사회의 지역적 특징, 자연환경, 민족성, 종교, 문화, 사상 등의 영향을 받아 생겨난 의식이나 의례를 통과의례라고 한다. 이러한 통과의례를 통하여 구성원들은 일정한 지위를 획득하게 되고 그에 따른 책임을 지니게 된다. 한 사회에 속한 어떠한 구성원이 특별한 시기에 들어서게 되면, 그 사회의 통과의례에서 정착 된 각종의 의식과 의례 등을 일반적으로 지키려고 하며, 다른 구성원들 또한 그 구성원이 풍습과 통과의례를 준수하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크게는 시대 환경의 변화 이를 테면 그 사회의 경제, 정치, 문화 등의 변화나 작게는 지역, 마을, 가족 내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사회가 일반적으로 정한 통과의례준칙이나 풍습 등은 사회 구성원이 행하는 실제의 관례와는 차이를 보이게 된다. 또한 이러한 변화들이 모여 또 다른 통과의례의 모습이 정착되는 것이다. 결혼의례는 이러한 변화요소들이 매우 높은 의례 중 하나이다. 결혼의례 외에 출생의례, 성년례(관례), 상장례 등은 대체적으로 그 사회의 기성세대에 의해 진행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일례로 아이가 태어나면 아이의 부모가 아이의 건강과 성장을 위해 혹은 아이의 탄생 축하를 위해 여러 민속행위와 의례를 행한다. 상장례 또한, 부모님께서 돌아가시면 자식들이 고인에 대해 공경과 예를 표하고 애도의 목적으로 전통에 의거하여 경건하게 치르는 것이 보통이다. 출생의례는 그 대상이 아이가 중심이지만 실제 행위자는 아이의 부모이다. 또한, 상장례의 행위자는 자식들이지만 고인을 중심으로 예를 표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돌아가신 부모님(혹은 어른)께 그 무게가 실린다. 그러나 결혼의례는 과거 집안끼리의 결합이라는 의식에서 출발하여 부모님의 의견과 가풍, 지역 문화적인 특징이 가장 크게 작용하였지만 근래에 들어서는 혼인 당사자들 간의 약속과 합의가 결혼의례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결혼의례는 전통의 변용과 새 문화의 흡수가 (일반적으로) 가장 쉽고 빠르다고 여겨지는 젊은이가 의례의 행위자임과 동시에 의례의 목적 또한 두 남녀에게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의례의 주도권이 부모님을 비롯한 기성세대에서 신랑 신부 즉 젊은 세대로 옮겨지고 있으며, 의례의 행위자임과 동시에 행위 목적의 대상자가 동일하다는 측면에서 결혼의 례는 많은 변화를 거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터키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이러한 사회적인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 가운데, 전통의례와 이와 관련된 풍습에 대한 연구는 문화적 가치뿐만 아니라 민속학적 가치를 보존할 수 있을 것이라생각된다. 본고는 튀르크 민속학 연구의 일원으로 튀르크 민족의 혼례풍습 중 동상례에 관한 연구임과 동시에, 동상례의 기원과 파생에 대한 연구의 기본적 틀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를 위해 터키 문화의 다양성, 혼례절차와 의미 및 흑해 지역의 독특한 혼례 풍습에 대해 알아보고 터키 동부 흑해 지역 트라브존주의 동상례 풍습의 의미와 절차에 대해 분석했다. 특히, 조선시대의 동상례 풍습이 터키 동부 흑해 지역 트라브존 주와 몇 몇의 지역에서도 나타난다는 점은 매우 흥미로운 사실이며,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두 지역에서 매우 흡사한 풍습이 보고된 원인을 규명하고 이 풍습의 기원과 파생에 대한 민속학적 연구는 다양한 인접학문과의 연계를 통해 앞으로 심화되어야 할 것이다. "Rite of Passage" refers to the ceremony or the rite developed by the influence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ety, natural environment, national traits, religion, and thoughts in the course of life that people undergo from birth to death. Members of a society acquire a certain status through the rite of passage and also take responsibilities accordingly. When a member of a society reaches a special period in life, she or he generally intends to observe various rites and rituals established in that society as the rite of passage, and other members also expect her or him to follow the custom and the right of passage. However, the rules for the right of passage or custom that the society generally established show differences from the actual custom that the members of the society actually practice due to the change of time and environment such as the changes in the economy, politics, and culture or even small changes taking place within the region, village, or family. Moreover, these changes collectively form another aspect of the rite of passage. The wedding rite is one of the rites that have many elements of change. Other than the weeding rite, the childbirth rite, coming of age rite (custom), and funeral rite are mostly led by the old generation of the society. For example, when a child is born, the parents of the child undergo various folklore actions and rites to pray for the health and growth of the child or to congratulate the birth of the child. Also, when parents pass away, their children usually hold the funeral rite devoutly based on the tradition in order to express their respect and also their sorrow. In other words, the actual doers of the childbirth rite are the parents while the rite centers on the child, and the funeral rite centers on the deceased parents (or elderly person) while the doers of the funeral rite are the children since its purpose is the show respect to the deceased. However, for the wedding rite, the opinions of the parents, family tradition, and reg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had strong influence over the rite due to the idea that the marriage is the integration of two families while the promise and agreement between the couple are considered more and more important in the wedding rite today. In other words, the young people who are considered to transform the tradition and absorb new cultures most quickly and easily (generally) are the doers of the rite while the purpose of the rite also focus on the couple. The wedding rite is undergoing many changes in the aspect that the authority over the rite was being transferred from the older generation including parents to the young generation such as the bride and groom, and the doer of rite are also the purpose of the rite. Such changes are also found in Turkey. Under such social changes, studies on the custom related with traditional rites would be able to preserve cultural values as well folklore values. This study is a part of Turkish folklore studies investi - gating into the wedding reception at the bride``s home among the wedding custom of Turkish people and also a part of the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a basic framework for the study on the origin and derivation of the custom of wedding reception at the bride``s home. For this, this study examined the diversity of Turkish culture, wedding procedure and meaning, and unique wedding custom of the Black Sea region and analyzed the meaning and procedure of the custom of wedding reception at the bride``s home in Trabzon in the eastern part of Turkey. Especially, it is quite interesting to find the custom similar to the Joseon Dynasty custom of wedding reception at the bride``s home in the Trabzon region in the eastern part of Turkey by the Black Sea andfew other regions, and the folklore studies on this custom shall be implemented through the association with a variety of related studies.

      • KCI등재후보

        엮기의 조형을 통한 "매달기" 설치오브제의 생명 개념에 관한 연구 - 박홍필의 작품을 중심으로

        박홍필 ( Hong Pil Park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5 예술과 미디어 Vol.14 No.3

        박홍필의 매달기의 조형개념은 설치미술의 영역을 확장하는 작업으로서 인체에서 벗어나 생물과 인간 사고의 대상인 사물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생명의 실체를 탐구하고 있다. 박홍필의 ‘엮기’는 들뢰즈의 리좀과 같이 인간과 자연의 생명들을 보이지 않게 연결시키는 망을 표현하고 있다. 엮기는 지속적인 반복을 통하여 형태를 만들어 내며, 형태는 원초적인 단순한 고리의 형태를 벗어나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형태는 들뢰즈의 리좀의 개념과 같이 형태와구조상에서 위계적이지 않고 어느 것이 먼저고 어느 것이 나중이라는 개념으로서 원초적인 단순한 고리의 형태를 벗어나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 낸다. 박홍필의 매달기의 조형 개념은 엮기의 오브제의 개념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박홍필의 조형 개념은 공산품보다는 자연 재료를 소재로 가느다란 그물망으로 제작한 엮기의 오브제에서 비롯된다. 박홍필의 엮기 오브제와 매달기의 조형 개념은 엮기의 형태가 끊임없이 반복되며, 바람에 흔들리는 순간 움직임이 있으며 관람자가 그 앞을 지나는 순간에도 움직임이 있다. 그렇기에 박홍필의 엮기의 오브제는 니코스 스탠코스가 현대미술의 특징이라고 말한 ‘우연’의 요소를 지니고 있다. 엮기 오브제의 매듭에 있는 원형의 사각형과 설치를 통해 생기는 그림자의 형태 또한 박홍필의 매달기의 조형 개념을 구성하는 주된 요소이다. 원형의 사각형은 생명체의 상징을 의미하며, 그물망은 생명체 간의 보이지 않게 연결되어 있는 유기적인 선들을 표현 한 것이다. 그림자는 생명체의 죽음 이후의 세계 이다. 이러한 조형의 상징은 들뢰즈의 개념을 수용하였으며, 살아있는 생명의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들뢰즈. 가타리의 생명의 개념을 차용한 것으로써 생명인 동시에 죽음으로써의, 생명의 실체라고 말할 수 있는 데, 들뢰즈의 의미에서 해석하자면 이 신체나 저 신체의 죽음은 전혀 부정적인 것이 아니며, 유기체의 죽음이 없다면 변화도 진정한 생명도 그 근본적인 의미에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박홍필의 매달기의 조형 개념은 인체에서 벗어나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생명의 실체를 엮기의 오브제를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현대 미술의 주된 주제가 되는 생명의 개념을 인간 중심에서 벗어나 생물을 비롯하여 인간사고의 대상인 사물과 죽음이후의 세계까지 확장하고 있는 것이다. Park Hong-pil, whose modeling conception of Hanging is the extending work for the installation art. I have made a study for the true of life on connecting to the organism with free to human``s body and the object on the subject with human``s thought.My ``weaving`` which is expressed as the net on connecting the human as like Gilles Deleuze’s ``rhizome`` to life of nature invisibly. ``Weaving`` has to create forms trough the repetition continuously and forms has to create another new forms departing from the form, that is basic and simple linked with. This form,as like the conception of rhizome by Deluze,is not hierarchical on the form and the structure as like the conception, also, that is creat to new form depart form the basic, simple link with as the concept what comes first or later. The modeling conception of ``hanging`` by Park Hong pil means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ion of ``weaving`` object. My modeling concept derived from the woven object with thin nets made of natural materials, not from any industrial products. I have incarnated both of my modeling concepts of hanging and weaving with recurring square nets. Moreover, there are the movent at the moment when the wind blows, also, they repetitively move back and forth and even when a viewer passes in front of thework, the square nets also move. This explains that my work depends on the element of ``contingency`` Nikos Stangos referred to as one of the hallmarks of Contemporary art. The shadows shifting every minute by the movement of woven and suspended squares and nets are also a primary element of shaping on Park’s modeling concept of hanging. The squares in my works stand for life while the nets stand for organic lines invisibly linking life forms to one another. The shadows are the world after death for life. These modeling symbols are founded on the notion Deleuze underlined, symbolically representing the image of living bodies. They are also based on the notion appropriated from Deleuze and Guattari’s concept of life, referring to the nature of life. In Deleuze’s view, the death of bodies is by no means negative: it means that in an elemental sense any change and life would not exist without the death of organisms. That is, Park’s modeling concept of hanging is to represent the true of life on connecting to the organism and the object on the subject with human``s thought and the world after death for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