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진로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

        김지훈,김형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4 實科敎育硏究 Vol.3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진로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서 사회적 지지가 갖는 매개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전국 17개 시·도 중 5개 지역(경 기, 충남, 대전, 세종, 대구)의 초등학교 5, 6학년으로 하였다. 총 48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최종적으 로 400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사용된 통계 프로그램은 SPSS ver 21.0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높은 집단이 진로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진로 자기효능감 이 높은 집단이 아버지의 사회적 지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이 아버 지의 역할수행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자녀의 진로 자기효능감 사이에 사회적 지지가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지 를 분석한 결과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역할수행과 진로 자기효능 감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사회적 지지를 통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진로 자기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자면, 첫째, 본 연구는 자녀가 지각하고 있는 아버지의 역할수 행만을 다루었는데, 연구의 타당성을 좀 더 높이기 위해 아버지를 함께 연구대상을 참여시켜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아버지의 실제 지지를 함께 살펴보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또한, 어머니의 역할수행에 대한 검사를 병행하여 종합적으로 검토, 비교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자녀의 아버지 역할수행에 대한 지각이 진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주는 데 사회적 지지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여러 변인에 대한 매개 효과 또는 조절 효과 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role performance and career self-efficacy perceived by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in 5 out of 17 cities and provinces (Gyeonggi, Chungnam, Daejeon, Sejong, and Daegu). A total of 48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400 copies were finally used for the study. The statistical program used was SPSS ver 21.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with high father's role performance showed high career self-efficacy. In addition, the group with high career self-efficacy showed high social support for the father, and the group with high social support for the father also showed high role performanc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social support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father's role performance and the child's career self-efficacy, the regression model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ocial support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performance and career self-efficacy. In other words, the father's role performance indirectly affects the career self-efficacy of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social support. To mak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is study only dealt with the role performance of the father perceived by the child, and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study, it will be necessary to examine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actual support of the father by participating the father together. It will also be meaningful to comprehensively review and compare the mother's role performance in parallel. Secon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influence of children's perception of the role of father on career self-efficac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r moderating effect on various variables.

      • KCI등재

        어머니의 아동기 수용경험, 부모성찰, 부모역할만족도가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에 미치는 영향: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오지현 ( Oh Ji Hyun ),최아영 ( Choi A Young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8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아동기 수용경험의 관계에서 부모역할만족도가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과 부모성찰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매개된 조절 모형을 설정하였고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만 3~6세 유아를 키우는 어머니 327명이 참여하였고, 아동기 수용경험 척도, 부모성찰 척도, 부모역할만족도 척도,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모델의 분석 결과는 첫째, 아동기 수용 경험과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에서 부모역할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어머니가 원부모의 양육방식을 수용적으로 지각할수록 부모역할만족도는 높아지고 이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아동기 수용 경험과 부모역할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성찰의 조절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아동기 수용 경험과 부모역할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어머니가 아동기 원부모에게 받은 양육경험을 거부적으로 지각하더라도 부모성찰 수준이 높을 경우에는 부모역할만족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동기 수용 경험, 부모성찰 그리고 아동기 수용 경험과 부모성찰의 상호작용 변수가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역할만족도가 매개변수로 투입된 매개된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어머니가 원부모와의 양육에서 수용 받는 경험이 적으면 자신의 자녀를 키우면서 부모역할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지만, 자녀에 대한 이해와 부모역할에 대한 이해가 높을 경우 부모역할 만족도를 높여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으로 이어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부모상담과 부모교육의 방향성 및 개입방안의 변화를 이끌기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을 시사하는 바이다. The study examined the mediated-moderation effect of parental reflection levels from maternal childhood experiences by the parents to mother’s reaction to negative emotions of their preschoolers by examining it through the lens of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27 mothers who and their infants aged 3-6 years.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on the maternal childhood experiences scale, parental reflection scale, parental role satisfaction scale and mother’s reaction to negative emotions of their preschoolers scale.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 mediating model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childhood experiences by parents and mother’s reactions to negative emotions of their preschoolers was mediated by parental role satisfaction. Second, the results revealed the moderation effect of parents reflection leve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childhood experiences by parents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Finally, parental reflection levels were also seen to have a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parental reflection level from maternal childhood experiences to mother’s reaction to negative emotions of their preschoolers through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parental reflection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 KCI등재

        청소년이 인식한 부성부재와 성역할 정체성 및 하나님 이미지의 구조적 관계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전요섭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3

        This research is to examin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mage of God, sex role identity, and fatherhood absence in adolescence's cognition centering around communication with father. Research object is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grade 1, 2 of high school students. Total 5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Gathered questionnaires were 426. Descriptive statistics test were conducted by utilizing SPSS WIN 12.0 and AMOS program. The researcher suggested information on descriptive statistics about God image and related factors, examined mediating effect among an adolescence's sex role identity, fatherhood absence, and image of God, and analyzed structural relationship image of God and it's related factors by genders and grade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there ar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atherhood absence and image of God. Second, Fatherhood absence i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image of God among fatherhood absence, sex role identity, and image of God in male student. In grades, fatherhood absence i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image of God. Third, structural relation between image of God and related variances is mediating effect with sex role identity in relation of fatherhood absence and image of God. Especially, fatherhood absence has a direct effect on sex role identity, and image of God, also, has mediating influence with sex role identity. Fourth, mediating effect of sex role identity has an effect on the fatherhood absence and image of God in more male student than female student When an adolescence has negative rela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 an adolescence recognizes negative image of God. Especially in male students, to experience relation with a father has an effect to establish image of God. Fatherhood absence is known important factor that an adolescent's recognizes image of God. Accordingly, an adolescence ought to establish their own sex role identity in order to form right faith. Also, father's role is very important to set up an adolescence's sex role identity. 본 연구는 청소년이 인식한 부성부재가 하나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성역할 정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이러한 관련 배경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전국(제주도 제외)에 소재한 중,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중학교 1, 2, 3학년생과 고등학교 1, 2학년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총 426부를 SPSS 12.0과 AMO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은 첫째, 하나님 이미지와 그 관련변인들의 기초통계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였고, 둘째, 청소년의 성역할 정체성은 청소년이 인식한 부성부재와 하나님 이미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가를 검증하고, 셋째, 이 구조모형을 통해 하나님 이미지와 그 관련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가 성별과 학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성부재와 하나님 이미지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성별과 학년에 따른 부성부재와 성역할 정체성, 하나님 이미지의 관계에서 남학생은 부성부재가 하나님 이미지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성립하였고, 여학생은 성역할 정체성이 하나님 이미지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 학년에 따라서는 부성부재가 하나님 이미지와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하나님 이미지와 관련변인 간 구조적 관계는 부성부재와 하나님 이미지 관계에서 성역할 정체성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성부재는 성역할 정체성에 직접 영향을 미쳤으며, 하나님 이미지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성역할 정체성을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넷째, 부성부재와 하나님 이미지 간에 성역할 정체성의 매개효과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년별 차이에서는 부성부재가 성역할 정체성으로 가는 경로에서 학년이 높을수록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부성부재가 하나님 이미지로 가는 경로와 성역할 정체성이 하나님 이미지로 가는 경로에서 학년이 낮을수록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이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이 부정적일수록 하나님 이미지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특히, 남학생이 경험한 아버지와의 관계경험이 하나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것을 의미한다. 또 부성부재는 성역할 정체성의 매개 여부에 상관없이 청소년이 하나님 이미지를 인식하는데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청소년이 자신의 성역할 정체성을 확립하고, 올바른 신앙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아버지의 역할이 핵심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만 7세 이하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전통적인 성역할태도와 우울이 부부가 인식한 어머니 문지기 역할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매개모형(APIMeM)의 적용

        이슬기 ( Seul-ki Lee ),유성경 ( Sung-kyung Yoo ) 한국가족관계학회 2022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7 No.3

        연구목적: 맞벌이 부부의 전통적인 성역할태도와 우울이 부부가 인식한 어머니 문지기 역할에 미치는 영향에서 남편과 아내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확인하고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다. 연구방법: 만 7세 이하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 351쌍을 대상으로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매개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 APIMeM)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남편의 성역할태도가 아내보다 전통적이었고, 아내의 우울이 남편보다 높았으며, 어머니 문지기 역할에 대한 아내의 보고가 남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성차가 확인되었다. 둘째, 남편의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일수록 부부의 우울이 증가하였고, 부부가 인식한 어머니 문열기가 감소하였으며, 남편이 인식한 어머니 문닫기가 증가하였다. 반면, 아내의 전통적인 성역할태도는 아내 자신의 어머니 문닫기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영향만을 설명하였다. 셋째, 남편의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일수록 남편의 우울이 부분 매개하여 남편이 인식한 어머니 문열기가 감소하고 남편이 인식한 어머니 문닫기가 증가하였다. 또한 남편의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일수록 아내의 우울이 부분 매개하여 아내가 인식한 어머니 문열기가 감소하였다. 넷째, 남편의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일수록 남편과 아내의 우울이 각각 완전 매개하여 아내가 인식한 어머니 문닫기가 증가하였다. 결론: 공동육아 문화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사회적 맥락에서 만 7세 이하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를 대상으로 쌍자료(dyadic data)를 수집하여 전통적인 성역할태도와 부부가 인식한 어머니 문지기 역할의 관계에서 우울이 매개효과를 갖는 상호적 경로에서 비대칭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actor-partner effects in the context of dual-earner couples’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and depression, specifically on the perceived maternal gatekeeping role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Method: A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 (APIMeM) among 351 dual-earner couples with children no more than 7 years old. Results: First, the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was more traditional than the wife’s, and the wife’s depression was higher than the husband’s. Similarly, the wife’s report on the perceived maternal gatekeeping rol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usband. Second, as the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became more traditional, the couple’s depression increased, their perceived maternal gate opening decreased, and the husband’s perceived maternal gate closing increased. Third, as the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became more traditional, his depression was partially mediated, perceived maternal gate opening decreased, and perceived maternal gate closing increased. In addition, the more traditional the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was, the more the wife’s depression was mediated, and her perceived maternal gate opening decreased. Fourth, the more traditional the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was, the more the couple’s depression was completely mediated, and the wife’s perceived maternal gate closing increased.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collects dyadic data from dual-earner couples with children no more than 7 years old. The data are also collected in the social context of active discussions on the co-parenting culture to confirm the asymmetrical effect between couples in the mutual effect of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and depression on the perceived maternal gatekeeping roles.

      • KCI등재후보

        상호매체적 공연에서 배우의 역할 구현의 문제 : 얀 라우어스의 < 이사벨라의 방 >을 중심으로

        이진아 ( Chin A Lee ) 한국드라마학회 2014 드라마연구 Vol.0 No.44

        Actors, roles and the imagery of roles are long lasting issues of actors`` arts. When creating a fictional character, actors utilize the personal life and experiences as a natural person and their own physical characteristics, whether in large or small amounts, or whether assertively or passively. Stanislavsky``s ``System``, which explored this and established psychological realism acting techniques, was challenged in the 20th century by the Epic Theatre of Brecht. His acting technique appeared to be a theory that stood at an antipole of Stanislavsky and they were deemed to be two different approaches to acting techniques. However, in the age of mixed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that breaks down the borders of the real and virtual, the clear division of these two realms also crumbled down. This is because theater in this age where the virtual reality made by digital technology and the actual reality that can be physically sensed by us cannot be explained simply by the dichotomy of the real(reality) and virtuality(imitation). Furthermore, the existence of actors on stage that are sometimes self-referencial or self-reflectional cannot be clearly defined as role(character) and role playe (actor). This issue becomes clearer in intermedial theater that mixes the virtual with the real, and especially in interactive performances made by different mediums revealing its media features in one performance to weave and collide with each other. In post-drama theater, sometimes physical bodies and heavy bodies as unclear mediums come to the forefront. This is when life, stage, reality and art loses their boundaries and phenomenologic bodies rather than semantic bodies, and physical bodies rather than cognitive bodies come to the forefront. If a traditional actor has a character of immediacy characterized by transparency that erases the actor as a medium, that actor will then have a character of hypermediacy characterized by opacity. And when existing on stage as a hypermediacy of opacity, the actor will be able to emphasize his personality or his body as it is. Character as immediacy and character as hypermediacy are not conflicting. The medium is continuously remediated. When performances today reveal their mediacy, it does not simply mean revealing the features and differences of the media. In performing arts, different media criticizes each other and remediate with each other. At the center of this issue is the body of the actor. In this study, these points are examined to research the following. First is the issue of the actor``s mediacy shown in performing arts in an age where recreation is impossible and an age of digital media. Second, this was reviewed in detail focusing on Jan Lauwers`` < Isabella’s room >. While examining the meaning of anti-narrative, anti-genre, anti-central features in < Isabella’s room > from a formative thematic view, the issues of configuring actors and roles in the age of the new media will be examined. 배우와 역할, 그리고 역할의 형상화는 배우예술의 오랜 문제이다. 허구의 인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배우는 많든 적든 적극적이든 소극적이든 간에 자연인으로서의 개인적 삶과 경험, 그리고 제 자신의 신체적 특징들을 활용한다. 이를 본격적으로 탐색하여 심리적 사실주의 연기술을 확립한 이가 스타니슬랍스키이다. 그러나 그의 시스템은 완성과 더불어 새로운 도전들을 받게 되는데 그중 하나가 브레히트의 서사극이다. 배우와 역할의 문제에 있어 스타니슬랍스키와 다른 관점을 지녔던 브레히트의 연기술은 시스템과 대척점에 선 이론으로 보였고 배우술에 접근하는 서로 다른 두 갈래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만들어내는 가상의 현실과, 우리가 감각할 수 있다고 여기는 실제 현실의 경계가 모호한 오늘의 연극에서 이 두 영역 간의 명확한 구분과경계는 사실상 불가능해 진다. 무대 위 세계가 단순히 실제(현실)와 가상(모방)의 이분법으로 설명되지 않기 때문이며, 자기참조적이고 자기반영적인 무대위 배우의 존재 또한 역할(캐릭터)과 역할 수행자(배우)로 명확히 구별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상호매체적 공연에서는 종종 배우의 몸성이 강조되는데, 삶과 무대, 현실과예술의 경계가 무너지면서 기호적 몸이 아닌 현상학적 몸, 인식론적 몸이 아닌물리물질적 몸이 전면에 나서기 시작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배우가 매체로서의 자신을 지우는 투명성을 특징으로 하는 비매개로서의 성격을 지녔다면 이제 배우는 불투명성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매개의 성격을 지니게 된다. 그런데 불투명성의 하이퍼매개로서 무대 위에 존재할수록 역설적으로 배우는 역할을 구현하는 제 자신, 즉 자신의 개성, 자신의 몸 그 자체를 드러내게 된다. 매개한다는 사실이 더 이상 은폐되지 않으며 나아가 그 과정 자체가 전면에 드러나는 것이다. 그렇다고 자신이 맡은 역할에 배우가 정서적으로 합일되지 않거나 관객이 적극적으로 감정이입 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오늘의 연극에서 배우와 역할의 정서적 동화와 매체로서의 배우 그 자신을 드러냄은 서로 모순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상호매체적 공연에서 배우의 매체성은 비매개로서의 성격과 하이퍼매개로서의 성격 사이를 끊임없이 진동하며 재매개되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의 상호매체적 공연이 매체성을 전면에 드러낸다는 것은 단순히 각매체의 특성과 서로 간의 차이를 드러낸다는 의미가 아니다. 공연예술 안에서 이질적 매체들은 서로를 논평하고 서로를 재매개한다. 그리고 이 문제의 중심에는 배우의 몸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들에 주목하면서 재현 불가능성의 시대이자 뉴미디어의 시대의 공연예술에서 제기되는 배우의 매체성 문제를 상호매체적 공연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그런 후 얀 라우어스의 < 이사벨라의 방 >을 대상으로 하여 이 작품에서 탈서사, 탈장르, 탈중심의 특징이 형식적주제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살핌으로써 상호매체적 공연에서 배우와 역할 구현의 문제를 고찰한다.

      • KCI등재

        유아의 아버지 원가족 부모애착 경험과 자녀양육참여의 관계에서 역할신념의 매개효과

        김기완,최지영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father's experience of attachment to his parents, their role commitment, and their participation in raisi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195 fathers of 3-5 years old infants enrolled in three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N district, Seou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Windows 20.0 and the Pearson's associat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used to analyzed the association among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general tendency in father's experience of attachment to his parents, their role commitment, and their participation in raising children, the attachment to their father was shown to be higher one to mother, the role commitment was relative lower. The subjects perceived their role as parent to be more important compared to one as worker and their participation level in rasing children was shown to be low. For the sub-factors, leisure activity was highest and was followed by life instruction, household activities, and learning instruction. Second, for the association among father's experiences of attachments to his father and mother, respectively, role commitment, and participation in raising children, it was shown that father's experiences of attachments to his parents had direct effects on participation in raising children where more secure attachment had association with more participation in raising children.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 father's experience of attachments to his parents and their participation in raising children, excluding household activities, had positive association. Third, it was shown that the father's attachments to his father had indirect effects on their participation in raising children through the importance of parents' role from role commitment, a mediating variable. and, it was shown that the father's attachments to his mother also had indirect effects on their participation in raising children through the importance of parents' role from role commitment, a mediating variable. The strength of this study is that the mediating role of father's experience of attachment to his parents in relationship between their role commitment, and their participation in raising children was investigated using associations among integrating variables.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at, in raising children, fathers education to inspire belief in their role as parents and efforts to build parents-children relationships are important. It is also hop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fathers' participation raising children and is used as a base information in developing various programs to increased their participation in raising children. 본 연구는 아버지의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경험과 역할신념, 자녀 양육참여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시 N구에 위치한 3개의 유아교육기관의 만 3세∼만 5세의 유아를 양육하는 아버지 195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방법은 SPSS Windows 20.0을 사용해 분석하였으며,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한 후,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경험이 역할신념을 통해 자녀 양육참여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이때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도는 Sobel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본 연구에서 일반적인 경향은 원가족 부애착보다 모애착이 높게 나타났고, 역할신념은 다소 낮았고 부모 역할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직업 역할 중요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양육참여는 다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요인으로 여가활동이 제일 높았고, 생활지도, 가사활동, 학습지도순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지도는 다른 하위요인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 원가족 부애착 경험, 아버지 원가족 모애착 경험, 역할신념, 자녀 양육참여간의 상관관계에서 아버지와 원가족 부모의 애착은 양육참여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원가족 부모에 대한 애착이 안정적인 경우의 아버지가 자녀양육에 더 많은 참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버지의 원가족 부모 애착과 양육참여 간에는 가사활동을 제외하고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원가족 부와의 애착은 매개변인인 아버지의 역할신념 중 부모 역할 중요도를 통해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원가족 모와의 애착은 매개변인인 아버지의 역할신념 중 부모 역할 중요도를 통해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 참여도가 아버지 원가족 애착과 역할신념간의 관계가 있음을 변인간의 관계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부모로서의 역할에 대한 신념을 고취시킬수 있는 아버지 교육의 필요성과 긍정적인 부모-자녀관계를 형성하려는 노력은 자녀양육에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 KCI등재

        호텔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친사회적 서비스 행동 간의 관계 : 역할명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민영,이형룡 대한관광경영학회 2017 觀光硏究 Vol.32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 hotel organization on role clarity and prosocial service behavior of hotel employees.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employees who work at a first class hotel in Seoul. We distributed 350 questionnaires from the beginning of October to the end of 2012, and 310 of them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Communication satisfaction was defined by four factors derived fro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upervisor communication, communication climate, formal co-worker communication, and informal co-worker communi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ommunication climate, formal co-worker communication, informal co-worker communi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role clarity. Second, among the subcomponents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communication climate and formal co-worker communic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social service behavior in the role. On the other hand, formal co-worker communi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extra-role prosocial service behavior. Third, role clarity has a positive effect on prosocial service behavior. Finally, the mediating effects of role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prosocial service behavior are as follows: role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limate, formal co-worker communication and prosocial service behavior in role, Role clarit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l co-worker communication and extra-role prosocial service behaviors. 본 연구는 호텔기업의 고객접점 직원들을 대상으로 호텔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호텔직원의 역할명확성 및 친사회적 서비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서울 시내 특1급 호텔에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2년 10월초부터 말까지 3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그 중 310부의 표본을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커뮤니케이션 만족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4가지 요인을 각각 상사와의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분위기, 동료간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동료간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으로 요인명을 정하였다. 연구결과, 커뮤니케이션 분위기, 동료간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동료간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은 역할명확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커뮤니케이션 만족의 하위 구성개념 중 커뮤니케이션 분위기와 동료간 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은 역할 내 친사회적 서비스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동료간 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은 역할 외 친사회적 서비스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명학성은 친사회적 서비스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친사회적 서비스 행동 간의 관계에서 역할명확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커뮤니케이션 분위기, 동료 간 공식적 커뮤니케이션과 역할 내 친사회적 서비스 행동 간의 영향관계에서 역할명확성은 부분매개효과를, 커뮤니케이션 분위기와 역할 외 친사회적 서비스 행동 간의 영향관계에서 역할명확성이 완전매개효과를, 동료 간 커뮤니케이션과 역할 외 친사회적 서비스 행동 간의 영향관계에서 역할명확성은 부분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부부의 성역할 인식과 가정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상호매개효과: APIMeM의 적용

        김효진 ( Kim Hyojin ),신현우 ( Shin Hyunwoo ),홍세희 ( Hong Sehe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3

        본 연구는 남편과 아내의 성역할 인식과 가정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어 커플자료의 특성을 반영하고, 각 변수들의 행위자 효과와 상대자 효과를 고려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 하에 APIMeM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한국복지패널 13차 자료의 3,294쌍의 부부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남편의 성역할 인식이 유연할수록 자신의 자아존중감은 높아졌지만 아내의 자아존중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아내의 경우, 성역할 인식과 자아존중감 사이의 행위자, 상대자 효과가 모두 유의하였다. 아내의 성역할 인식이 유연할수록 남편과 자신의 가정생활 만족도는 모두 높아졌지만, 남편의 성역할 인식은 부부의 가정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남편의 자아존중감은 부부의 성역할 인식이 부부의 가정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행위자 효과와 상대자 효과에 모두 순기능적으로 매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남편의 성역할 인식은 아내의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하여 아내의 자아존중감은 남편의 성역할 인식을 매개하여 가정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der role perception and the family life satisfaction of both husband and wife, considering the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of each variable from dyadic data. For this purpose, we applied the APIMeM model for analysis using the Korea Welfare Panel’s 13th wave dataset of 3,294 coupl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husband’s self-esteem tended to increase as his perception of gender roles became more flexible, but his gender awarenes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wife’s self-esteem. When it comes to wife, the effects of both actors and partn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wareness and self-esteem was significant. The more flexible the wife's perception of gender role, the higher the family life satisfaction level of both the husband’s and wife’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mediated effect of wife’s self-esteem between the husband’s perception of gender roles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for both because the husband’s perception of gender role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wife's self-esteem.

      • KCI등재

        역할 모호성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 비전 리더십과 학습민첩성의 직렬다중매개효과

        이진주,강현구,송지훈 한국인력개발학회 2023 HRD연구 Vol.25 No.1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 of visionary leadership and learning agility for employees to adapt to the environment and perform their tasks faithfully in a business environment with growing uncertainty.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503 employees four days from August 22, and 306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SPSS PROCESS macro model 6 was used to analyze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 in which visionary leadership and learning agility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ambiguity and adaptive performance.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role ambiguity negatively affects adaptive performance, but visionary leadership and learning agility positively affect adaptive performance. Second, although the mediation effect of visionary 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ambiguity and adaptive performanc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erial mediation effect of visionary leadership and learning agility is significant.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role of leaders and individuals, which prevent negative consequences of employees failing to faithfully perform a task or adapt to the organization due to role ambiguity and influenced them to achieve their required task performance in a new environment. This study identifi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using two or more variables'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 The study also provide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examines the role of individuals and leaders among various variables affecting adaptation performance. Finally, it also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naging employees' role ambiguity in the organizational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불확실성이 커지는 경영 환경 속에서 직원들이 환경에 적응하고 자신의 과업을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비전 리더십과 학습민첩성을 직렬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데이터 수집은 2022년 8월 22일부터 4일간 503명의 재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배포하여 최종 분석에 306부를 사용하였다.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SPSS PROCESS macro model 6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 모호성은 적응수행에 부적 영향을 주었고, 비전 리더십과 학습민첩성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역할 모호성과 적응수행의 관계에서 비전 리더십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학습민첩성은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전 리더십과 학습민첩성의 순차적인 매개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변동이 큰 환경 변화 속에서 직원들이 역할 모호성으로 인해 과업을 충실히 수행하지 못하거나 조직에 적응하지 못하는 부정적인 결과들을 방지하고, 새로운 환경에서 자신에게 요구되는 과업 성과를 달성하는 데 영향을 주는 리더와 개인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두 개 이상의 변인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사용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고, 적응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 중 개인과 리더의 역할을 동시에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며, 조직 현장에서 직원들의 역할 모호성을 관리하여 궁극적으로 적응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려할 수 있는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역할과부하가 스타트업 근로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의해 조절된 이직의도의 매개효과

        김혜인(Hae-in Kim),하정희(Jung-hee Ha) 한국기업교육학회 2024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스타트업 근로자의 역할과부하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이직의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역할과부하와 이직의도 관계에서조절된 매개효과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수도권 지역의 스타트업에 재직중인 근로자 198명을 대상으로 역할과부하, 심리적 안녕감, 이직의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를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과부하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조절했는데,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수준이 높을 때 역할과부하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증가하였다. 둘째,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역할과부하와 심리적 안녕감 간관계를 조절했는데,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수준이 높을 때, 역할과부하가 높을수록심리적 안녕감이 낮았다. 셋째, 역할과부하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이직의도가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넷째, 역할과부하가 이직의도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조절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urnover inten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overload of start-up employe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verify whether the stress coping style plays a controlle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overload and turnover inten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198 workers working at start-ups in Seoul, Gyeong-gi and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urnover intent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overload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passive stress coping styl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overload and turnover intention. Third, turnover inten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overload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 this process, the passive stress style showed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by contro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overload and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