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막스 베버의 사회과학적 역사학 : 시대를 앞선 역사가의 지적 투쟁

        임상우(Lim, Sang-Woo) 한국사학사학회 2014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9

        This article attempts to clarify that there is a theoretical unity in Max Weber's works, in contrast to the general evaluations of his works as denoting too diverse themes and fragmental subjects. One can find an unseen unity in Weber's diverse works, when one consider his aspiration for a universal and developmental analysis of world civilizations. It should be noted that he aspired to develop a unifying theory that is able to explain the general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and social institutions as well as the eventual motives for historical progress. With these objects, it first explores Weber's endeavor for an establishment of a new field of study, 'historical social science.' Then it maintains that his new social science was based essentially on his historical perspectives and methodology as well as his own philosophy of history. Lastly, it clarifies that his scientific achievements were focused on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a new characteristic of modern society that is ultimately susceptible to the dominance of rationalistic bureaucracy that was taking shape in his age. Through the above observations, it is to emphasize three following points. Although Weber has been frequently introduced as 'sociologist,' or 'social scientist,' (1) his scientific vision derived from his own pessimistic philosophy of history over the historical world, (2) his methodology of social science was based essentially on a historical approach, and (3) this methodology of historical approach has contributed decisively to the enrichment of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various social scientific histories in the 20th century. 본고는 막스 배버 저작들이 다양한 주제들과 그에 따른 산만한 편린적 저작들만 포함하고 있다는 일반적 평가에 반하여, 그의 저작들은 이론적 통일성이라는 시각에서 하나의 일관된 지향점이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세계문명에 대한 보편사적, 발달사의 해석을 향한 베버 자신의 열망을 숙고해보면 그 안에 보이지 않는 통일성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궁극적으로 변화의 진보적 계기뿐만 아니라 경제와 사회 제도간의 보편적 관계를 고려하는 설득력 있는 통일적 이론을 그 자신의 역사적 비전 아래서 만들어내길 열망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서 본고는 먼저, 베버가 하나의 새로운 학문적 영역 즉 '역사적 사회과학'을 확립하려 한 내용을 검토한다. 이어서 그 사회과학은 기본적으로 그의 역사학적 전망과 방법론 및 그 자신의 독특한 역사철학에 근거했다는 점을 규명한다. 마지막으로 베버의 학문적 업적이 결국은 당대에 있어 자리 잡아 가고 있던 합리적 관료주의의 지배라는 근대 사회의 새로운 성격을 분석하고 규명하는데 집중되어 있었다는 점을 밝힌다. 이와 같은 관찰을 통해, 베버가 '사회학자', '사회과학자'로 흔히 소개되고 있지만, 그의 학문적 비전은 역사 세계에 대한 자신의 독특한 역사철학적 관점에서 비롯했고, 그 사회과학의 방법론은 기본적으로 역사적 접근방법에 기초하였으며, 이러한 역사적 접근방법은 20세기 사회과학적 역사학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결정적 기여를 하였다는 점을 밝힌다.

      • KCI등재

        막스 베버와 해롤드 버만 - 몇 가지 관점

        김철 한국사회이론학회 2020 사회이론 Vol.- No.58

        This article is written in commemoration of the 100th year after Max Weber’s demise. In this article, Weber's some important views of point about the relation of law & economics, the relation of law & politics, Wertfreiheit Urteil(freedom from value-judgement), legal formalism caused by “logical formalism and nationality” are reviewed & re-evaluated through Harold Joseph Berman’s viewpoints. Berman is considered as a critical successor to M. Weber in the problem area, “modernity of law” by Guido Calabresi. Max Weber(1864-1920)’s period: unification of German empire(1871), Age of Bismark(1862-1890), the 1st World War(1914-1918), Declaration of German Republic(1918) and post-World WarⅠ Weimar Republic(1919-1920). Harold Joseph Berman’s period includes, the end of 1st World War(1918), Versailles Treaty(1919), the Great Depression(1929-1939), Hitler’s Invasion to Poland(1939), World War II in Europe(1939-1945), post-World War II world order(1945-1989), East European & Russian Revolution(1989), German reunification(1990), New Constitution of Russia(1993). The contents of this article are composed of 4 main parts. Part Ⅰ The difference of socio-economic history between Max Weber and Harold Joseph Berman. The emphasis is laid upon the prepositional question whether law is merely a function of economics or whether law is merely a function of politics. Part Ⅱ(2) The formation & procedure of Max Weber's “Wertfreiheit”. The dispute on “Wertfreiheit” during Bismark period(1861-1890) and after 1909. Part Ⅲ is about Harold J. Berman’s evaluation of Weber’s “Wertfreiheit”. Part Ⅳ deals with the criticism on the legal formalism caused by Weber’s “Logical Form in Rationality”. 이 글은 막스 베버의 100주기(週忌)를 기념해서 베버의 법학사상을 해롤드 버만의 법학적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버만은 세계 비교법학의 거장으로 역사 법학과 법철학에서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 그는 또한 베버의 법사상을 제대로 승계한 후계자로도 평가받고 있다. 이 논문은 베버와 버만의 사상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유사점과 차이점들을 규명하고 있다. 막스 베버는 도이치 통일(1870)을 기준으로 해서, 비스마르크 시대(1862-1890)와 1차 대전(1914-1918), 그리고 도이치 제국의 공화국 선포(1918)와 전후 바이마르 공화국(1919)의 초기(1919-1920)까지 활약하였던 인물이다. 해롤드 조셉 버만은, 세계 제1차 대전 종전(1918), 연합군의 베르사이유 체제(1919), 세계 대공황(1929-1939), 유럽에서의 세계 대전 발발(1939), 2차 대전(1939-1945)에 참전, 2차 대전 종전 후, 비교법학자로서 연합국 위주의 전후 세계 질서의 확립에 참여, 동유럽 및 러시아법 전문가로서 1989년 동유럽 혁명, 1990년 도이치 통일, 1991년 러시아 신 헌법을 경험하고, 공산주의가 물러난 중동 유럽과 러시아 지역의 새로운 법질서 창설에 참가하였다. 베버는 법학자로서 출발하였으나, 경제학과 사회학으로 뻗어 나갔다. 그는 법학자로서 현대 사회학의 아버지로 불리운다. 버만은 학제적 연구와 역사학으로 시작했으나, 주된 영역은 비교법학으로 확립되고, 이윽고 법과 종교 이론으로써 신학대학원에서 영향을 가지게 되었다. 베버의 대표적 영역인 “종교와 사회”와 “경제와 사회”를 버만이 비판적으로 계승하여 “법과 종교” 및 “법과 혁명” 연작으로 발전시켰다. 이 논문은 베버와 버만의 차이를 1) 사회 경제사에서의 차이, 2) 베버의 가치 자유(Wertfreiheit) 논쟁과 버만의 평가, 3) 베버의 “합리성에 있어서의 논리적 형식”에 대한 현대 법학의 비판적 발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 KCI등재후보

        교정공무원의 기능적 역할과 법적 지위에 대한 문제 : 막스 베버(Max Weber)의 ‘관료주의적 합리성’ 개념에 대한 비판적 담론을 중심으로

        전석환 아시아교정포럼 2011 교정담론 Vol.5 No.1

        본 논문은 교정공무원의 기능적 역할과 법적 지위에 대한 문제를 다룬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의식을 전제한 근로환경에 서구식 합리성의 무차별적 적용에서 비롯되는 부조화적 현상을 그 전제로 상정한다. 그러한 관점은 교정공무원의 근무 현황 및 그 처우에 관한 그간의 연구들이 대체로 부정적인 시각으로 그 결론을 맺고 있다는 사실에서도 확인된다. 또한 그 함의는 교도소 내의 직장노동의 강도와 교정 공무원으로서 갖는 법적 지위와의 불일치, 혹은 모순적 구조 안에서 연계되어 확인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는 막스 베버(M. Weber)의 관료주의적 합리성 개념과 그 해석의 문제로 거슬러 올라가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막스 베버의 ‘관료주의적 합리성’을 매개로 교정공무원의 법적 지위에 명시된 기능적 역할이 어떻게 연계되어 있고, 그 현황이 특히 교정공무원의 전문교육의 과정 안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를 고찰한다. 그러한 고찰을 전제로 막스 베버의 ‘관료주의적 합리성’ 개념 틀에 대한 비판적 대안을 시도한다.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이념형적 접근에 기초한 막스 베버 "국가관"의 이해

        류성희 ( Sung Hee Ru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人文論叢 Vol.27 No.-

        베버 국가론은 지금까지 수많은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베버 국가론에 대한 다양한 입장은 한편으로 베버 연구에 있어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인식관점을 제공했지만, 동시에 베버를 연구하는 자들로 하여금 굉장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본 연구는 기존 베버 국가관을 3가지 형태로 구분한 뒤, 각각이 가지는 의의와 한계를 해명하고자 한다. 이후에 3가지 관점을 넘어서, 베버 국가관을"이념형"으로서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내세우고자 한다. 지금까지 연구된 베버 국가관을 3가지로 나눈다 할 때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베버가 1) 국가를"민족문화의 대리물"로 보고 있는지? 2) 근대 국가의 형성과 실행에 중심을 두었는지?"3) 국가조직체를 국가의 집합적 힘보다는 개인의 의지실현으로 이해했는지?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베버"국가론"을 어떻게 이해할지를 제시하려 한다. 이럴 경우 베버 국가관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요구된다는 것인데, 본 논문에서는 그의 방법론적 도구인"이념형"을 통해 이해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념형으로 이해될 때 베버"국가관"은 그 자체로서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베버 당대에 처한 정치 현실을 이해하고 대안을 찾는 과정이었다. 마지막으로 베버의 기존 사고(어떻게 베버를 이해할 것인가)보다는 새로운 사고(베버의 논의를 통해 어떻게 독일 사회를 이해할 것인가)로 나아갈 수 있는 시발점이 되기를 희망한다. Today, there are a variety of Max Weber`s political studies. In the Weber`s political discourses, researchers who interested in Weber`s state`s view provided not only various discussions on Weber`s theory of the state but lots of confusion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study aims properly to interpret Weber`s theory of the state. In article, I divide three parts on previous studies of Weber`s theory of the state. Three parts is following that 1) interpreting Weber`s theory of the state as a volk-culture`s substitute, 2) focusing Weber`s theory of the state as a modern state`s formation and practices and 3) concentrating on individual`s volition than state`s collective power. After I review three parts`s importance and limits, I try to interpret Weber`s theory of the state with "ideal type". As Weber regards a nation-state as a means to realize ``real-politic``, his view on state was not understood as one dimension. Lastly, I suggest paradigm shift about Weber`s state`s view that understanding German society with weber`s various political views is more useful than arguing on how to interpret Weber`s political views.

      • KCI등재

        막스 베버의 사회학과 비인간들

        서이종(Suh, Yi-Jong) 한국이론사회학회 2011 사회와 이론 Vol.19 No.-

        본 논문은 현대사회학에 중요한 고전사회학자인 막스 베버의 사회학에서 오늘날 이론적 쟁점이 되고 있는 비인간(행위체)들을 어떻게 자리매김 하고 있는지를 밝히고 그 이론적 함의를 추적한 글이다. 2절에서 비인간의 문제 의식에서 비판적으로 주장되는 인간중심주의와 자연과학과 문화과학의 이분법을 서술하고, 3절에서는 베버의 주관적인 의미 이해의 강조가 어떻게 비인간 행위체를 논외로 만드는지 그리고 4절에서는 그의 자연과학적 방법론에 대한 경계와 문화학적 방법으로의 경도가 비인간 행위체를 어떻게 간과하게 하고 인간과 비인간의 상호작용을 무시하게 하는지를 밝히고 5절에서는 그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인간과 비인간의 상호작용으로서 사회현실을 설명할 때 기여할 수 있는 베버 사회학의 함의를 추론한다. This paper is aimed to explor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non-humans in sociological theory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Max Weber’s sociolog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current identity of sociology. Based on a review of non-human-based critical arguments about Max Weber’s Sociology in chapter 2, I examine how his focus on subjective meaning, his criticism on natural scientific methodology and his devotion to cultural science led to passing over the role of non-humans and ignoring the relation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in his theory in chapter 3 and 4. In chapter 5 I find out theoretical implications of Weber’s sociology in explaining the relations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despite the near or complete absence of theoretical position of non-humans in his sociology.

      • KCI등재

        하버마스의 막스 베버 합리성에 대한 오해 -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을 중심으로

        유성희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11 사회연구 Vol.1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하버마스의 베버 합리성에 대한 오해를 지적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하버마스의 베버 합리성 이해가 총괄적으로 나타나 있는《의사소통행위이론》을 중심으로 해명하고자 했다. 하버마스는 베버 합리성을 1) 목적합리적 이해 2) 진화론적 이해로 구분했다. 그러나 이렇게 해석되는 베버이해의 단순성은 하버마스가 가진 영향력만큼이나 베버이해에 많은 혼란을 가져다준다. 더구나 하버마스는 현대 이론가 가운데 국내 사회학계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학자 중의 한 사람이다. 그렇기에 하버마스의 논의는 보다 철저하게 규명될 필요가 있다. 베버 합리성이 하버마스의 주장처럼 일관된 입장을 견지하거나 혹은 특정 현상을 해명하기 위해 사용된 프로크루스테스 침대일 수 없다는 것이 이 연구가 밝히고자 하는 목적이기에 하버마스의 베버 합리성을 구체적으로 언급한 다음, 이후 베버 합리성을 해명하는 식으로 연구를 진행시켰다. 그 결과로서 하버마스의 베버 합리성 이해에서 ‘목적합리적 이해’는 베버가 해명한 수많은 ‘합리성의 다차원성’ 가운데 하나일 뿐이라는 것을 도출시킬 수 있었다. 또한 베버가 서구우월의 합리적 방식을 해명하는 것이 그의 합리성 연구목적이 아니었음을 이 연구에서 밝혀냈다. 그러나 하버마스의 전 저작을 소화하지 못한 상태에서 사회학에 크게 공헌을 한 바 있는 하버마스를 비판한 것에 무거운 책임이 있음을 공감한다. 그럼에도 굳이 이 연구의 의의를 해명하자면 외국 이론가들의 논의를 단순히 따라 읽고 해석하는 것을 넘어 국내 연구자가 중심이 되어 ‘이론적 논쟁’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학문적 토양을 만들었으면 하는 바람에서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하버마스와 베버의 이론을 보다 세심하게 읽어볼 필요가 있다는 예비적 조사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독일 불교 수용사 속에서 베버읽기: 막스 베버의 종교사회학과 불교이해

        박용희 한국독일사학회 2019 독일연구 Vol.- No.42

        A prominent pioneer in the field of a comparative study was Max Weber, whose sociology of religion mainly assumed comparative approach. His sociology of religion arose from an attempt to understand a series of innovation of what we are pleased to call modernity, which was emerging in European societies. In seeking to explain capitalist development in Europe he analysed the economic ethics of religion. Because he found it hard to comprehend the identity of such development due to its uniqueness, he delved into the European development in comparison with "the Buddhist way of development. Despite his enormous effort, the origins of modernity still remain mysterious. Furthermore his work on Buddhism is not without stereotypes and therefore misunderstanding of Buddhism. In his famous investigation of the influence of religion on the social development of various cultures, he described Buddhism as a world-renouncing and world-denying religion. Ignoring the powerful historical influence of Buddhism on the Asian culture, he even claimed that Buddhism failed to influence the lives of the laity. This study sets out its aim to explore the eurocentric way of engagement of Max Weber with the Buddhism. Furthermore it will try to demonstrate how his 독일 불교 수용사 속에서 베버읽기 : 막스 베버의 종교사회학과 불교이해 105 one side and negative view on Buddhism is influenced by inaccurate understanding of Buddhism by European Buddologists at that time like Hermann Oldenberg and Hendrik Kern etc. It also aims that his view on Buddhism was involved with the tendency in German-speaking Europe to see Buddhism mainly as a nihilistic, life-denying religion from the East. 독일의 사회학자 막스베버는 세계 주요종교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일환으로 불교에 관한 연구를 남겼다. 사실 그의 불교연구는 서구적 근대성의출현과 종교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 종교사회학이 비교연구의 차원에서 불교라는 연구대상으로 확장된 것이었다. 이 글은 이런 그의 불교연구가 근대성 창출을 위한 경제윤리 창출에 실패한 불교라는 결론으로 이어졌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이런 그의 결론이 도출되는 과정에는 그의불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깊숙이 작용하고 있었음에 틀림없다. 이 글은 이런 그의 불교에 대한 인식이 당시 불교연구자들의 불교이해를수용한 데 기인하며, 더욱이나 짧은 불교에 대한 연구사로 인해 불교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시대적 한계에 따른 것이었다는 사실을밝히고자 했다. 실제 그의 불교연구는 선행한 불교문헌학과 인도학에 주로의지하고 있었고, 따라서 당시 대부분의 불교전문가들이 가지고 있었던 불교에 대한 부정적 이해를 따르고 있었다. 그것은 바로 불교가 지식인의 종교이며, 이로 인해 평신도의 윤리가 발전할 여지를 갖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이었다. 물론 베버는 당시 독일 불교연구자들의 주된 관심분야였던 초기불교를넘어 세계종교로 발전한 불교를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다양한 발전을 이룬 불교의 문화적 측면을 밝혀내지 못했으며, 독일 불교 수용사 속에서 베버읽기 : 막스 베버의 종교사회학과 불교이해 101 불교는 세계 각지역으로의 포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지식인을 비롯한 종교적 엘리트의 현실탈피적 구원론으로 머물렀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사실이는 19세기 지식인으로 베버가 피할 수 없었던, 여전히 아시아의 불교문화권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인 시대적 한계에 따른 것이었음에 틀림없다. 그러나 오늘날 불교는 “하나의 문화체계”이기 때문에 세계의 방대한 지역에서 다양한 세속적, 정신적 영향을 미친 종교로 이해되고 있다. 베버의경우에서 드러나듯이 과거 서구인들이 동양의 종교를 대하는 데 있어 자기중심적인 타자인식의 한계로 인해 불교를 제한적으로 인식할 수밖에 없었다면 세계종교로 발전해 간 불교의 다양한 문화적 측면과 윤리적 역할을밝히는 것은 지금까지 베버연구로부터 도출해 낼 수 있는 새로운 과제임에틀림없다.

      • KCI등재

        막스 베버와 지배 정당성의 도덕적 근거 -정치 사회학에 미친 베버의 지적 파장을 중심으로

        박희 한국사회이론학회 2020 사회이론 Vol.- No.58

        Max Weber was a central figure in sociology, who was fiercely concerned about the fundamental problem of moral values and life orientation in the revolutionary change of modern Western Europe.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his influences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s of political sociology, which tried to establish the basis of legitimacy of political order in a special situation of Germany. In general, unlike most studies that evaluate the influence of Weber’s political sociology on German historical topography only in terms of historical performance and results, and unlike the studies that discuss it only in terms of the typology of political dominations(Herrschaft), this article focuses on the efforts he has shown to establish the basis of moral authority and legitimacy and to establish democratic social order. In addition, the interest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how Weber’s theoretical resources were utilized and reconstructed in the Talcott Parsons’ social action–domination typology, Wolfgang Schluchter’s developmental historical perspectives, and the Jürgen Habermas’ recent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Of course, after Weber’s death, the changes made in the political realm go beyond imagination. And, It is true that the bureaucracy continued to expand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spatial division of labor across the state and the welfare state intervention strategy, as Weber already predicted. However, from the end of the 1960s, the growing efforts to defend the life world, the growth of interest in everyday life, and the various attempts of modern society for the implementation of ‘equivalent chain strategy’ or life politics for democratic life raised by various civic groups are attempts to build a democratic social order, which is different from the measures of Weber, who expected the systematic operation of parliamentary democracy and charismatic leadership. And among the discussions to critically reconstruct Weber’s political sociology, Habermas’ discussions reflect such changing situations, in particular. Nevertheless, the fundamental question Weber asked, the task of building a moral basis for life-oriented and democratic political order, remained unchanged. As the result, Weber’s political sociology and his follower sociologists’ efforts to the critical reconstruction of Weber’s theory can be used as important materials in establishing the moral standards for all of us who are interested in th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morality, that is to say the moral basis of value orientation and democratic political order. 막스 베버는 근대 서구 유럽의 급격한 시대적 전환과정에서 도덕적 가치와 삶의 지향이라는 근원적 문제를 놓고 치열하게 고민했던 사회학의 중심 인물이었다. 이 글은 독일의 특수한 상황에서 정치 질서의 정당성의 근거를 확립하려 했던 그의 논의들이 사회학의 역사에 대해 미친 영향들에 대해 검토해보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연구들이 독일의 역사적 지형에 미친 베버의 정치 사회학의 영향을 결과론적으로 평가하거나 지배 유형론에 한정해서 논의를 하는 것과 달리, 이 글에서는 그가 도덕적 권위와 정당성의 근거를 마련하는 동시에 민주적 사회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보여주었던 노력들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이에 더하여 이 글의 관심은 그가 제공해준 이론적 자원들이 탤컷 파슨스의 행위-지배 유형론, 볼프강 슐룩터의 발전사적 연구, 그리고 최근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행위이론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여 그의 이론적 자원이 어떻게 활용되어 재구성되고 있는지를 살피려고 하였다. 물론 베버의 사후, 정치 영역에서 변화는 상상을 넘어선다. 국가를 넘나드는 공간적 분업의 확대와 복지국가적 개입 전략에 따라 관료제적 틀은 베버가 예견했듯이 계속 확장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렇지만, 1960년대 말을 기점으로 신사회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제기되고 있는 생활세계의 방어와 일상생활에 대한 관심의 성장, 그리고 다양한 시민단체에서 제기되는 민주적 삶을 위한 부문별 ‘등가의 연쇄전략’이나 생활정치의 구현을 위한 현대의 다양한 시도들은 의회 민주주의와 카리스마적 지도력에 기대했던 베버의 대책과는 다른, 민주적 사회질서의 구축을 위한 시도들이기도 하다. 그리고 베버 정치 사회학의 비판적 재구성 논의들 가운데 하버마스의 논의는 특히 그러한 변화 상황을 반영하고 있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버가 던진 근본적 물음, 곧 삶의 지향과 민주적 정치 질서의 도덕적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는 과제는 변하지 않았다. 결국 정치와 도덕의 관계를 놓고 고민하는 우리들 모두에게 베버의 논의와 그 재구성을 위한 노력들이 결국 도덕의 잣대 위에서 우리 사회를 비춰보기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합리성의 전문화와 융합 : 막스 베버 1913년 “이해사회학” 논문의 재해석

        한상진(Sang-Jin Han)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0 현상과 인식 Vol.44 No.4

        베버의 합리성 이론은 다양한 이념형 구성과 역사적 연구에서 위대한 업적을 거두었지만 서구 수단적 합리화의 미래에 관한 비관적 전망을 남겼다. 코로나19 유행병을 포함하여 오늘날 우리가 부딪치는 지구적 위험사회의 다양한 측면들이 그의 걱정을 잘 보여준다. 이런 배경에서 이 논문은 베버의 1913년 이해사회학 저술로 돌아가 베버 밖이 아니라 베버 안에서 비관적 전망의 탈출구를 모색한다. 베버가 합리성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았으나 뒤에 방기했던 Richtigkeitsrationalität 개념을 자세히 살핀다. 논의의 핵심은 공동체행위의 합리성은 행위자들이 상호기대를 사실적으로 따르는 것만이 아니고, 규범적 차원으로서, 기대의 타당성이 적어도 암묵적인 동의의 형태로 배후에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공동체 행위에 내포된 타당성의 유형으로서 인지적 합리성과 함께 정감적 합리성을 제시했지만 베버는 후자를 개념화하지 못했다. 오늘날 정감의 중요성과 영향력, 즉 타당성보다는 권력에 초점을 맞춘 논의들이 철학과 사회과학에 성행하고 있지만, 정감적 합리성을 정립하는 길은 아직 멀다. 베버의 비관주의에 대한 하나의 대안은 베버가 집착했던 합리성의 전문화를 벗어나 정감적이면서 이치에 맞는 합리성과 같은 합리성의 융합에 관심을 갖는 것이다. Weber’s theory of rationalities, despite its great success in constructing multiple ideal types and historical researches, gave rise to a pessimistic outlook of the future of the occidental instrumental rationalization. His worries may well be documented by the various aspects of global risk society we face today including COVID-19 pandemic. Against this historical backdrop, this paper goes back to Weber’s 1913 article on sociology of understanding in order to explore a possible way out of this pessimistic outlook, from within than without Weber, by paying attention to the concept of ‘Richtigkeitsrationalität’ that Weber took as the starting point of his inquiries of rationality and later abandoned. The crux of the argument presented is that the rationality of community action, according to Weber, lies not only in the factual compliance by actors with reciprocal expectations in everyday life, but also involves a normative dimension in that the validity of the expectation works at least implicitly in the background. Thus, an attempt was made to distinguish salient validity types built into community action, with an argument that affective rationality is, in principle, conceivable as cognitive rationality although Weber never attempted to formulate the former. However, there is a long way to go in that direction despite increasing number of research on the role of emotion and affect in philosophy and social science with focus on its importance and influence and, hence, power rather than its validity. As a plausible alternative to Weber’s pessimism, the paper suggests a shift of focus from a modern paradigm of specialization of rationalities with which Weber was preoccupied to a convergence of specialized rationalities as exemplified by the possibility of affective-reasonable rationality which combines affective resonance and rational discourse.

      • KCI등재

        막스 베버의 서구 프로테스탄트 자본주의 분석과 현대적 적용 논의

        강휘원(Hwi-Won Kang)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4 현상과 인식 Vol.38 No.3

        이 연구는 종교개혁 이후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발전과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한 막스베버(Max Weber)의 논의가 오늘날 현대 자본주의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가를 살펴본다. 즉, 프로테스탄트 중심의 서구 합리적 자본주의 발전에 대한 베버의 분석이 오늘날과 같은 종교적 및 금욕주의적 윤리의 쇠퇴, 전후(戰後) 사회문화 사조의 변화, 전세계적 영향을 미치는 글로벌 신자유주의 경제체제의 탈정치화 등과 같은 자본주의 변화 요인 및 신흥 아시아 발전국가나 탈사회주의 국가 등을 포함하여 베버 이후의 자본주의 체제에 어떤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시도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첫째, 종교개혁 이후의 자본주의 확대와 프로테스탄트 윤리와의 관계를 다룬다. 둘째, 오늘날의 자본주의 성격을 분석하기 위하여 자본주의의 진화단계를 추적한다. 셋째, 베버 논의 이후의 자본주의의 특성 변화를 다룬다. 넷째, 변화된 자본주의에 베버 모형의 적용성과 자본주의 윤리의 방향을 논의한다. 베버가 분석한 서구 자본주의 모형은 일을 소명으로 여기고 현세적 금욕적이며, 절약과 투자를 중심으로 하는 생산자본주의며 합리성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문제해결에 국가의 개입보다는 개인윤리를 강조하였다면, 세속주의, 인본주의로 변화된 자본주의는 일을 물질 취득의 수단으로 삼고 쾌락주의적이며, 소비자본주의이고 비합리적 자본주의 환경의 증가, 국가의 개입 확대 등의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베버의 모형은 이러한 변화된 환경에 직접적으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지만, 새로운 자본주의 제도 모색에서 합리적 자본주의와 관련된 본질적 문제를 제시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이 있다. The study examines the implications that Max Weber’s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testant ethics and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since the Reformation can give to contemporary discussions of modern capitalism. In other word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whether the Weberian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f Western rational capitalism based on the Protestant ethics can respond to changing factors such as the present decline of religious asceticism and ethics, the shift in the social and cultural currents after World War II, and the global impact of neoliberal economic system, and whether the analysis can be applied to other nations such as newly emerging capitalist countries in Asia and former socialist state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study first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testant ethics and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since the Reformation. Second, it traces the evolutionary stages of capitalism to analyze the nature of contemporary capitalism. Third, it addresses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capitalism after Weber’s analysis. Fourth, it discusses the applicability of Weber’s model to changed facets of capitalism and the direction of capitalist ethics. The Western capitalist model analyzed by Weber considers job(work) as a calling, emphasizes worldly asceticism and production-oriented capitalism with frugality and investment, bases itself on (formal) rationality, and highlights individual ethics rather than state intervention to solve capitalist problems. Meanwhile, contemporary capitalism which has shifted towards secularism and humanism considers work as a means of acquiring material goods, accepts hedonism and consumption-oriented capitalism, advocates the spread of the capitalist system into formerly irrational regions such as newly emerging countries in Asia and former socialist states, and expands state intervention. Although it is difficult to apply Weber’s model directly to such a changing environment, the model provides key implications for fundamental issues pertaining to rational capitalism in the process of seeking new capitalist instit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