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테오 리치와 대순사상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 대순사상의 기독교 종장에 대한 종교현상학적 해석

        안신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0 대순사상논총 Vol.36 No.-

        대순사상에서 마테오 리치는 기독교의 종장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본 논문은 종교적 인간으로서 리치의 삶과 사상이 지니는 의미를 종교현상학적 관점에서 탐색할 것이다. 리치가 살았던 시대적 배경과 그의 생애를 분석하고, 그의 신관과 인간관 및 구원관을 중심으로 탐구하여 리치가 대순사상에서 지닌 관계성을 재평가할 것이다.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리치는 예수회 선교사가 되어서 중국에 다양한 문물을 전하였다. 그는 예수회의 중국 친화적인 선교정책에 따라서 중국문화에 공감하며 언어를 배우고 중국인을 벗으로 삼아서 서양의 종교와 문화를 전달하였다. 그는 중국의 미래를 낙관하는 여덟 가지 이유를 제시하였고, 이해와 설득의 간접 선교의 방식으로 중국인들에게 기독교메시지를 가르쳤다. 예수회신부들은 중국에서 기독교의 신을 천주라고 불렀는데, 리치는 유교의 상제를 기독교의 천주와 동일하게 간주하였다. 유교경전의 번역과 해석을 토대로 원시유교의 유일신론을 기독교와 유교의 공통점으로 파악하였다. 불교와 도교의 신관을 비판하면서 유교의 신관을 통해 기독교의 신관을 정당화하였다. 리치의 인간관은 기독교의 창조신앙을 기초로 하였고 불교의 윤회를 비판하였다. 리치는 천국과 지옥의 개념을 사용하여 기독교의 윤리성과 구원관을 제시하였다. 대순사상과 리치의 관계성에 대해서는, 1) 동서양세계 간 상호교류에 대한 기여, 2) 대화와 설득에 기반을 둔 평화적 포교방식, 3) 기독교의 종장으로서의 다양한 활동, 4) 종교의 치유하는 기적에 대한 믿음과 조선으로의 유입 등의 차원에서 의미를 찾았다. 리치의 궁극적인 목적은 기독교와 유교의 신관이 지닌 공통점을 강조하면서 동서의 세계관을 교류하고 통합시키는 것이었다. In Daesoon Thought, Matteo Ricci is regarded highly as a Jongjang, ‘religious leader,’ (of Christianity). This paper deals with the life and philosophical/theological thought of Matteo Ricci as homo-religiosus from the perspective of phenomenology of religion. Examining his historical background and biographical sketch, I will analyze Ricci’s understanding of God, humanity, and salvation and re-evaluate his relationship with Daesoon Thought. Matteo Ricci, born in Italy, became a Jesuit missionary to China and transmitted various products of western civilization. Accepting the pro-cultural approach of Jesuit mission, he applied it to Chinese culture and language by learning the Chinese language and regarding Chinese people as his friends. This was a sympathetic way to transmit Western religion and culture while on Chinese soil. He suggested eight reasons to look towards the future of China with optimism and taught Chinese people his Christian message through his indirect means of understanding and persuasion. In China, Jesuit missionaries called the Christian God ‘Tianzhu (Cheonju in Sino-Korean),’ meaning Lord of Heaven. Ricci identified the Confucian notion of ‘Shangdi (Sangje in Sino-Korean),’ meaning Supreme Emperor (or God) with Tianzhu. While translating Confucian scriptures, he found the common ground between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to be the monotheism of ancient Confucianism. He criticized the concepts of God in Buddhism and Daoism, and justified the Christian doctrine of God by way of a Confucian understanding of deity. Ricci’s understanding of humanity was based on his Christian faith in creation, and he criticized the Buddhist concept of transmigration. He proposed Christian ethics and doctrine of salvation by using discourse on the afterlife and in particular, the concepts of heaven and hell.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aesoon Thought and Ricci, the following aspects should be examined: 1.) Ricci’s contribution to the cultural exchanges between East and West, 2.) his peaceful approach to his mission based on dialogue and persuasion, 3.) the various activities conducted by Ricci as a Christian leader, and 4.) his belief in miraculous healings. His influence on Korea will likewise be explored. Ricci’s ultimate aim was to communicate with Asian people and unify East and West under a singular worldview by emphasizing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Christian and Confucian concepts of God.

      • KCI등재

        17세기 초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와 19세기 제임스 레그의 중국유교경전 영어번역본에서 사용된 용어 '상제(上帝)'간의 신학적 연속성

        안성호(Ahn Sung-H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0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2 No.-

        기독교 선교역사에서 가장 논란이 되었던 문제 중에 하나는 성서를 선교지의 언어로 번역할 때 ‘God'을 어떻게 번역하느냐에 있었다. 왜냐하면 용어 ‘God'은 기독교와 성서의 핵심이며, ‘God’을 어떻게 번역하느냐에 따라 현지인들의 기독교에 대한 이해가 판이하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논쟁은 ‘용어 논쟁(Term Question)’이라고 불렸다. 중국에서 이 용어논쟁은 첫 번째로 16-17세기 명말청초 시대에 로마 가톨릭 선교사들 간에 발생했다. 1583년부터 중국선교를 시작한 예수회 선교사 마테오 리치는 1603년 보유론 선교방법(accommodation method)을 토대로 중국유학들의 관점에서 기독교를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천주실의』(天主實義)를 저술하고, 이 책에서 ‘Deus'를 중국고대유교의 지고신(Sovereign on High) ‘상제(上帝)’라고 번역한다. 왜냐하면 리치는 고대유교경전에 묘사된 유일신적 상제의 모습과 Deus의 모습은 유비적으로 대응함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리치는 上帝의 유일신 사상은 무신론적 불교, 범신론적 무교, 그리고 송명시대 철학적인 신유교 사상과 혼합되면서, 다신론적으로 하강되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리치와 예수회 선교사들은 중국의 조상제사를 우상숭배가 아닌 관습으로 간주하고 중국인 신자들에게 조상제사를 허용한다. 그러나 1633년부터 후발주자로 중국선교를 시작한 도미니칸 그리고 프란체스칸 선교회는 예수회 선교사들이 사용하는 용어 상제와 조상제사를 우상숭배로 간주하고 바티칸 교황청에 예수회 선교사들을 고소한다. 그리하여 두 선교회 간에 약 1세기 동안 용어논쟁(전례논쟁: Chinese Rites Controversy)이 발생한다. 그러나 교황청에서는 1704, 1710, 1715 그리고 1742년 칙령을 통해서 중국에서 용어 상제의 사용과 조상숭배를 금지시키고, 용어 상제 를 ‘천주(天主)’를 대체시킨다. 중국에서 용어논쟁은 두 번째로 19세기 중반에 개신교 선교사들 간에 발생했다. 1847년 중국어 대표자역본 번역위원회에서는 ‘상제’를 주장하는 런던선교회번역자들과 중국의 다신론적 상황에는 유일신 개념이 존재할 수 없다는 전제 하에 일반적 용어(a generic term for God)인 ‘신’(神)을 주장한 미국선교회 번역자들 간에 용어논쟁이 발생했다. 결국 양측은 타협점을 찾지 못했고, 1854년 런던선교회의 ‘대표자(上帝) 역본’을, 1863년 미국선교사들의 ‘브리지만-컬버트슨신(神) 역본’을 출판해서, 중국에서는 두 가지 역본이 공존하게 되었다. 이 용어 논쟁 당시 용어 上帝의 대변인 역할을 했던 런던선교회 선교사 제임스 레그(James Legge)는 1861년부터 사서오경 영어번역본을 만들면서, 중국고대유교경전에서 묘사하는 유일신적 상제의 모습은 God의 모습과 유비적인 관계이며, 원시유일신 개념(primitive monotheism)은 ‘상제'를 통해서 이미 중국고대부터 존재하고 있음을 확신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 유일신 개념은 불교, 도교, 송명시대신유교와 혼합되면서 다신론적 모습으로 하강했다고 레그는 주장했다. 그 결과 레그는 사서오경의 영어번역본과 다른 저술에서 ‘상제’를 ‘God’으로 번역하였고, 중국유교는 중국인들을 기독교로 인도하는 ‘몽학선생(schoolmaster)’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본 논문에서는 마테오 리치가 천주실의에서 번역한 상제와 제임스 레그가 번역한 상제 간에는 신학적 연속성이 있음을 논하였다. 그 이유는, 19세기 중반부터 중국 개신교 선교사들 간에 용어논쟁이 발생했을 때 레그는 명말청초 로마 가톨릭의 용어(전례)논쟁을 연구하였고, 이를 통해 예수회 선교사인 마테오 리치가 보유론적 선교방법에 입각하여 번역한 용어 상제가 중국유학들과 기독교 간에 가교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레그는 명백하게 리치를 지지하였고, 리치의 영향을 받아서 상제를 지지하였다. 또한 1861년부터 레그는 사서 오경의 영어번역본을 작성하면서, 중국고대유교경전에 묘사된 상제의 모습과 기독교의 ‘야훼’의 모습이 상호 유비론적인 관계임을 주장한 리치를 더욱 지지하게 되었다. 또한 리치와 레그가 주창한 용어 상제는 초기 한국 가톨릭과 개신교의 태동과 성장에도 직간접적으로 공헌하게 된다. 17세기부터 천주실의는 중국사절단과 신유교학자들에 의하여 한국으로 유입되고, 초기 한국 가톨릭 교회의 자생적인 태동에 초석의 역할을 한다. 스코틀랜드 연합장로교회 선교사 존 로스는 1877년 부터 1887년간 상제역본을 대본으로 한글신약성서를 번역하는데, 로스는 레그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서 상제와 유비적으로 대응하는 한국토속종교의 지고존재 하나님/하느님을 채택한다. 이 후 약 30여 년간 한국선교사들의 용어논쟁을 거친 후에, 1906년 공인역 구역 한글신약성서에서 하나님/하?님은 공식적인 용어로 채택된다. 또한 한자와 유교경전에 익숙한 한국인 지식인층을 위하여 한문성서와 국한문(國漢文)성서가 사용되는데, 여기서도 용어는 ‘상제’였다. 중국에서 상제가 중국인들과 기독교 간에 몽학선생 역할을 했던 것처럼, 한국에서는 하나님/하?님과 상제가 한국인들이 자신들의 지고신을 통해 야훼를 발견할 수 있는 거울 역할을 했다. 그러므로 리치가 천주실의에서 번역하고 레그가 주창한 중국고대유교의 유일신 샹띠(상제의 중국어 발음)는 한국에서는 ‘하나님/하?님’ 그리고 ‘샹데(상제의 19세기 후반 한국어 발음)’라는 토착화된 옷을 입고 초기 한국 가톨릭과 개신교의 태동과 성장에 직간접적인 공헌을 했음을 알 수 있다.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no other issue might have been more controversial in the history of Christian missions in China than translating the term for ‘God' into the vernacular language, known as the Term Question, in the Chinese polytheistic and pantheistic religious context, since the Christian mission doubtlessly depended on how the God of Christianity was acknowledged by the indigenous people. The Term Question (one of the two major issues of the Chinese Rites Controversy) first emerged among the Roman Catholic missions from the late 16th century(Ming dynasty) to the 18th century(Qing dynasty). Commencing their mission, based on the accommodation method, from the late 16th century onwards, the Jesuit Matteo Ricci(1553-1610) translated Deus into Shangti(上帝: the Sovereign on High) of the Chinese Confucianism in his books, specifically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天主實義), on the ground of the analogical monotheistic attributes of Shangti in the Confucian Classics with those of the Christian God. On the other hand, Ricci argued that as the personal monotheistic theism behind Shangti was mixed with atheistic Buddhism, pantheistic Taoism and philosophical Neo-Confucianism in the Song and Ming Dynasty, it degenerated into impersonal atheistic principle. However, as the Dominican and Franciscans started their mission enterprise in China, they accused the Jesuits of their use of Shangti and permitting the Chinese Christians to practice the ancestral rite. Lasting for one and half centuries, it was ended up by the papal decrees from Vatican in 1704, 1710, 1715, and lastly 1742, which prohibited the use of Shangti and the Chinese Christian's practice of the ancestral rites in favour of the Spaniard mission orders. However, the papal decrees caused the Chinese emperors to be furious due to the intervention of the Vatican to the Chinese imperial court. As a result, in reaction to the papal decrees, the Chinese emperors persecuted all Christian believers in China. In 1773, by another papal decree, the Jesuits were finally withdrawn from China. The Term Question secondly emerged among the Protestant missions in the mid-19th century. In the New Testament Translation Committee of the Delegates' Version(DV) in 1847, they began to debate how they should translate theos into Chinese. Whereas the London Missionary Society(LMS) translators argued Shangti, the American translators claimed Shen, a generic term for god or spirit. Despite missionaries' endeavors to produce the unified term for God, the Term Question consequently provoked the division among the Western missionaries into the Shangti party(British) and Shen party(Americans). As a result, the two editions were published; the Shangti edition published by the British and Foreign Bible Society(BFBS) and the Shen edition published by the American Bible Society(ABS). Following Ricci's theological position toward the use of Shangti, James Legge(LMS), the spokesmen of the Shangti party, advocated the use of Shangti due to the analogical monotheistic attributes of Shangti in the Confucian Classics with those of the Christian God. Composing the English-translation of all the Chinese Classics from 1861 onwards, Legge became more convinced of the analogical monotheistic attributes of Shangti with those of the Christian God, thereby becomding the most ardent advocator of the use of Shangtil. Legge also asserted that primitive monotheism behind Shangti became corrupt by the influence of Buddhism, Taoism and Neo-Confucianism, as Ricci did. This paper has shown that such similar theological position between Ricci and Legge, in regard to advocating the use of Shangti, can be attributed to the theological influence of Ricci upon Legge; Legge's intensive research on Ricci's treaties led him to conclude that Shangti can be the most suitable Chinese term for God because Legge recognized that the term Shangti, used by Ricci in the True Meaning of the Lor

      • KCI등재

        天主와 理氣의 관점에서 본 동학과 서학의 사상적 접변 양상

        엄연석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5 泰東古典硏究 Vol.34 No.-

        본 논문은 마테오 리치와 최제우의 사상에 내포되어 있는 사상적 연관관계를 동서사상의 만남과 충돌이라는 관점에서 마테오 리치의 천주 및 이기와 최제우의 천주 및 지기(至氣), 리의 의미 사이의 교착하는 양상을 해명하였다. 먼저 마테오 리치에서 천주는 사물의 궁극적 원인이 되는 자립적 존재로서 만물에 편재하면서도 능동인과 목적인으로서 사물을 초월하여 이들을 낳아 기르는 특성이 강조된다. 반면에 최제우가 말하는 천주는 지기의 영명성을 가지고 사물에 내재함으로써 기(氣)와 필연적인 내적 연관성을 가진다. 또한 마테오 리치에서 리(理)는 영명한 지각능력과 주재력을 가지지 못하는 단순한 속성으로서 실체로서 사물에 의지해 있는 의뢰자인 반면, 기는 사물을 이루는 질료적 특성을 가지고 속성으로서 의존적으로 생멸하는 존재이다. 이렇게 볼 때, 마테오 리치에서 천주와 이기 사이의 실체 속성 간의 관계는 어떤 필연적인 연관을 가지지 못하는 우연적인 관계에 지나지 않는다. 반면 최제우는 리에 대하여 인간의 도덕적 세계를 넘어서는 자연의 음양동정, 소식영허와 같은 자연세계에서의 법칙으로서 리를 강조하였다. 그러나 지기는 영명성과 함께 능동인 목적인으로써의 자율적인 운동성과 주재성을 가지는 것으로 천주의 내재적인 실체가 됨으로써 천주와 필연적 연관관계를 갖는다. 요컨대, 마테오 리치의 천주와 이기관은 불완전하고 우연적인 사물 세계가 은총을 매개로 하여 완전한 선의 이데아로서 천주를 지향하여 그것을 모방하고 닮음으로써 천상 세계의 완전성에 참여하는 상달(上達)의 방향을 강조하였다. 반면 최제우에서 천주는 지기가 영명성을 가지고 창창(蒼蒼)하게 사물에 내재하는데, 인간이 이를 모시는 ‘시천주(侍天主)’를 통하여 지기를 화기(和氣)로 현실에 화현(化現)하고자 한다. 이 점에서 그의 천주이기관은 시천주를 통하여 지기를 아래로 실현한다는 의미에서 하달(下達)의 방향을 강조하는 세계관이다. 이렇게 볼 때, 마테오 리치와 최제우의 천주이기관은 초월성과 내재성을 동시에 가진다는 기반 위에서 천주와 이기 개념을 중심으로 초월성과 내재성, 우연과 필연, 실체와 속성, 자립적 존재와 의존적 존재, 인격성과 비인격성 등의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런 기준에서 상대적인 강조점의 차이에 따라 상호간 의미 지평이 엇갈리면서 교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tried to clarify the stalemate aspect between the Lord of Heaven[天主] and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of Matteo Ricci and Choi, Jewoo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meeting and collision of eastern and western thought. First of all, Matteo Ricci emphasized characteristic being omnipresent in all things and simultaneously transcending and cultivating things as the efficient and final cause having the status of the self-reliant existence which becomes the ultimate cause of all things through the Lord of Heaven. On the other hand, the Lord of Heaven Choi, Jewoo said has a necessary connection with material force by being inherent in things with numen of supreme vitality[至氣]. Also, while principle in Matteo Ricci is relier which depends on the substantive thing as simple attribute doesn’t having numinous perception ability and control power, material force is existence produced and dissipated as attribute with material feature constituting thing. Summing up, in Matteo Ricci correlation between the Lord of Heaven and principle & material force is only an accidental relationship less any sort of necessary connection. Whereas in Choi, Jewoo principle means an immutable law such as movements of yin and yang and growth and extinction, filling and emptiness of nature transcending the moral world of man. But supreme vitality has autonomous motility and control including the efficient cause and the final cause and has necessary relationship with it by becoming the inherent substance of the Lord of Heaven. In brief, the theory of Matteo Ricci’s the Lord of Heaven and principle & material force emphasized direction of p​rogress upwards[上達] through which one participates in integrity of heaven world by defective and accidental things emulating the Lord of Heaven as idea of complete goodness carried by grace. While in Choi, Jewoo supreme vitality[至氣] as essence of the Lord of Heaven being brightly inherent in things, it can be embodied supreme vitality[至氣] as harmony vitality[和氣] through enshrinement of the Lord of Heaven[侍天主]. In this point, his theory of the Lord of Heaven and principle & material force is the world view that emphasizes p​rogress downwards[下達] at the meaning that the Lord of Heaven realizes supreme vitality through enshrinement of the Lord of Heaven. In this respect, Matteo Ricci and Choi, Jewoo’s the Lord of Heaven and principle & material force can be understood in an aspect of transcendence and immanence, coincidence and necessity, substance and attribute, independence and dependence, personality and impersonality. And in this standard world view of them can be ankylosed each other over alternation of mutual meaning horizon according to distinction of relative emphasis point.

      • 천주실의(天主實義) 에 나타난 불교사상에 대한 재고찰 – 제2편, 제5편을 중심으로

        최동석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18 가톨릭사상 Vol.- No.57

        1552년 이탈리아 마체레타(Macereta)에서 태어난 마테오 리치(Matteo Ricci)는 1583년 중국 조칭에 입국했다. 그리고 1603년 그의 대표작 천주 실의 를 출판하게 되었다. 천주실의 를 통해 중국경전 속에 등장하는‘상 제가 곧 천주’라는 사실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당시 중국 사상의 주류인 불교, 도교, 신유학적 관념의 문제점을 비판하면서, 자연스럽게 중국 선비를 설득하는 방식을 다루었다. 특별히 천주실의 2편과 5편은 불교의 ‘공’사상과 ‘윤회’사상에 대한 비판을 그 내용으로 삼았다. 첫째로, ‘공’과 관련된 비판의 내용을 살펴보면, 마테오 리치는 공은 아무 것도 없는 비어있는 것이므로 일체의 것을 창조할 수 없다고 한다. 더나아가, 공은 그 자체로 공허한 것이므로 운동을 일으키는 동력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이러한 관념의 근거는 서양 철학과 신학, 특히 아리스토텔레 스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영향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불교가 말하는 공의 관념은 ‘연기설’이 핵심이다. 둘째로, ‘윤회’에 대한 마테오 리치의 비판이다. 사실 불교가 말하는 윤회에 관해서는 몇 가지 학설들이 존재하지만, 마테오 리치가 이해한 윤회 설은 육신은 없어져도 영혼은 지속된다는 교리에 입각하여 윤회를 바라본 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적 영혼관으로 볼 때, 사람과 짐승은 서로 바뀔수 없음을 주장한다. 주체가 없이 과보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무아설을 주장하는 불교적 관점과 전혀 다름을 알 수 있다.본 논문을 통해 불교를 이해하는 천주실의 의 문제점을 지적하기 보다는 마테오 리치가 이해하는 불교적 관념과 실제 불교적 개념의 공과 윤회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검토해 보고 서로 대화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보기 위해 오늘날 관점에서 재고찰 해보고자 한 것이다. Matteo Ricci (1552-1610) was born in Macerata, Italy, entered southern China, Zhaoqing in 1583. Then, in 1603, he published his masterpiece,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He tried to find out that the Chinese scholar and the Western scholar were talking about the ‘Shang Di(上帝) to mean God’. He criticized Buddhism, Taoism and Neo-Confucianism, which were the pillars of Chinese thought, and persuaded Chinese scholar. In particular, the chapter 2 and chapter 5 of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contains criticisms of the ‘Śūnyatā(空)’ and ‘saṃsāra(輪迴)’ Buddhist concepts. First, looking at the content of the criticism related to the ‘Śūnyatā’, Matteo Ricci says that he cannot create anything because the Śūnyatā is an empty space. In addition, the ‘Śūnyatā’ itself is empty, so it does not becom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movement. The basis of this idea is the influence of Western philosophy and theology, especially Aristotle and Thomas Aquinas. In Buddhism, however the theory of dependent arising is a key principle of the Śūnyatā. Secondly, it is a criticism of the saṃsāra of Matteo Ricci. The theory that he understood is that although the body is gone, the soul continues. According to Aristotle, the realm of sublunary living creatures into three souls, for example vegetative soul, sensitive soul, rational soul. To each sub-realm he assigns a different soul-principle. Based on these claims, Matteo Ricci insists that humans and animals cannot be changed. This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Buddhist point of view. This paper is intended to review the differences between Buddhist ideas and actual Buddhist concepts understood by Matteo Ricci in today s view to provide a forum for dialogue.

      • KCI등재

        마테오 리치의 空과 無의 批判에 대한 硏究 - 『天主實義』를 중심으로 -

        정현수 한국유교학회 201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Matteo Ricci had approached logically from the two aspects, existence ground and cognition ground about ultimate reality, in order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the acceptance of Confucianism for God. In the aspect of the ground of the existence he has attempted to criticize the origin of the existence of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Neo-Confucianism). Ricci criticized Emptiness, Nothingness and the Great Absolute of the three religions on the basis of principle of existence which could be Metaphysical ground in Catholic studies. Ricci especially judged Emptiness and Nothingness as dependent·unsubstantial being for the reason that they could not satisfy the four factor theory of Scholasticism. Ricci, in this argument, judged Emptiness and Nothingness after he premised men's rational reasoning ability of front·rear and internal·external and then he divided the four factors as internal and external principle and applied them to the theory of front·rear and internal·external. In the aspect of the cognition of the existence he has attempted to apply Negative Theology. Negative Theology is a theological theory intending to negate the usage of the determination and limitation for God by pointing out the problems in the cognition and interpretation about God. Negative Theology has intention to overcome the determination of language and concept by releasing the limitation due to the affirmative determination of 'is' and 'exist' through the negative determination of 'is not' and 'not exist' on the premise that positive definition of God paradoxically limits the essence of God within the category of the definition so that it could be partial to understand God While Ricci argued about God and the Metaphysical existenc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order to establish Catholic studies, he interpreted Emptiness-Nothingness as 'non-existence' and he criticized that these could not become the first principle. This interpretation made it possible to judge that Ricci had overlooked Oriental style of expression and system of thinking structure about the cognition of the existence. However, Ricci's critique of Emptiness and Nothingness was whether Emptiness and Nothingness had Metaphysical character or not, so it was throughly compared with the principle of Being in Catholic studies. What Ricci has paid attention to was the meaning of non-existence of Emptiness·Nothingness as a Metaphysical condition. It seems unreasonable to conclude that these processes showed that Ricci's cognition of Emptiness and Nothingness was simply a level of literal understanding category. 마테오 리치는 천주에 대한 유학적 수용의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궁극적 실재에 대한 존재근거와 인식근거의 두 가지 측면에서 논리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존재근거의 측면에서는 불교와 도교, 유교(성리학)의 존재기원에 대한 비판을 시도하고 있다. 리치는 삼교의 공과 무, 태극에 대해 천주학의 형이상학의 근거가 되는 유(有)의 원리에 기초하여 비판했다. 리치는 특히 공과 무가 스콜라 철학의 형이상학 원리인 사원인설을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이유로 비자립적·비실체적 존재로 판단하고 있다. 리치는 이 논증에서 선후(先後)와 내외(內外)의 인간의 이성적 추론능력을 전제한 후 사원인(四原因)을 내재적·외재적 원리로 구분하여 선후와 내외의 이치에 적용시켜 공과 무를 비판하고 있다. 존재인식의 측면에서는 부정신학(否定神學)의 적용을 시도하고 있다. 부정신학은 신에 대한 인식과 해석의 문제점을 지적하여 신에 대한 규정과 제한의 용법을 부정하려는 신학이론이다. 부정신학은 신에 대한 긍정적 정의가 역설적으로 신의 본질을 정의 범주내로 제한시켜 신에 대한 이해가 부분적일 수 있다는 전제하에 신과 신성에 대한 ‘이다’와 ‘있다’의 긍정적 규정으로 인한 한정을 ‘아니다’와 ‘없다’의 부정적 규정을 통해 해제시켜 언어와 개념의 규정을 넘어서려는 의도를 가진다. 리치는 천주학을 정초시키기 위해 천주와 유불도의 형이상학적 존재에 대해 논증하면서 공·무를 ‘없음’으로 해석하여 제1원리가 될 수 없다고 비판한다. 이러한 해석은 리치가 존재의 인식에 대한 동양적 표현양식과 사유구조의 체계를 간과하였다는 평가를 받게 한다. 그러나 공·무에 대한 리치의 비판은 공·무의 형이상학적 성격의 유무에 관한 것으로 천주학의 형이상학적 유의 원리와 철저하게 비교되고 있다. 리치가 주목하고 있는 것은 공·무의 형이상학적 조건으로서의 없음의 의미이다. 이러한 과정들은 리치의 공·무에 대한 인식이 단순히 문자적 이해범주의 차원이라고 단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 KCI등재

        마테오 리치의 天學과 性理學의 修養論 硏究 ─『天主實義』를 중심으로─

        정현수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6 No.-

        마테오 리치는 『천주실의』에서 天主를 중심으로 하는 천학의 윤리관을 소개하고 있다. 리치는 유학의 事天에 대비되는 새로운 수양의 개념으로 事天主를 제시하고 있다. 리치는 이러한 사천주의 수양론을 통해 천학적 신학체계에 근거한 새로운 수양의 주체와 방법, 목적을 제시해가고 있다. 리치는 유학의 심에 비견되는 영혼을 수양의 주체로 제시하여, 心․性 - 仁 - 爲己, 靈魂 - 사랑 - 爲天主로 구분되는 유학과 천학의 수양체계를 도식화시켜가고 있다. 리치는 이러한 유학과 천학의 수양론 구도를 배경으로 유학과 천학의 수양의 특징을 현세지향과 내세지향, 자아완성과 자아극복, 도덕실천과 천주공경, 본성회복과 습성훈련 등의 수양으로 규정하면서 차별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리치의 수양론에 대한 논증에서 핵심논점은 유학과 천학의 수양원리로 제시된 인과 사랑의 보유론적 관계이다. 리치는 유학의 인을 천학의 사랑으로 해석하여 유학과 천학의 수양론에 있어서 사상적 접점 기반으로 삼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론 인의 개념을 원시유학과 성리학의 관점으로 차별화하여 원시유학의 인을 愛人으로 파악하여 천주사랑으로 해석하지만 성리학의 인에 대해서는 만물일체설을 근거로 비판하고 있다. 리치에게 인은 유학과 천학의 윤리관을 접합시키는 매개이면서 동시에 유학적 수양개념에서 천학적 수양개념으로의 사상적 변용을 시도하여 천학의 신학적 기반을 담보해주는 통섭의 개념이다. 리치가 제시한 수양론은 천에 대한 공경이나 도리의 실현에서는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본성에 대해 회복과 습성을 중시하는 방법상의 차이에서 볼 수 있듯이 사천과 사천주는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자아완성, 천․천주의 개념에 대한 이해와 경천․경천주 의식 등에서 뚜렷한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Mateo Ricci has introduced the ethics of the science of Heaven centering on the Deus in『De Deo Verax Disputatio』. Ricci has presented serving Deus as a new concept of cultivation compared with serving Heaven of Confucianism. Ricci has presented a new subject and methods, and aim for cultivation on the basis of the science of Heaven-oriented theological system through the self-cultivation of serving Deus. Ricci presented the spirit which was compared with the mind of Confucianism as the subject of cultivation, Ricci has schematized the cultivation system of Confucianism and the science of Heaven differentiated as mind·nature - mercy - for self, spirit - love - for Deus. In the background of these structures of the self-cultivation of Confucianism and science of Heaven,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fucianism and cultivation of science of Heaven as present-inclination and future-inclination, self-completion and self-overcome, moral-practice and Deus-respect, recovery of real nature and training of nature studied, he has highlighted the distintion. In the argument for Ricci's self-cultivation, core point of self-cultivation is the Accommodationism-oriented relationship between mercy and love which were presented as the cultivation principle of Confucianism and science of Heaven. Ricci interpreted mercy in Confucianism as love in science of Heaven, then he has adopted it as the base of ideological contact point in self-cultivation of Confucianism and science of Heaven. However, on the one hand, differentiating the concept of mercy as the viewpoint of original Confucianism and Neo-Confucianism, Ricci has interpreted mercy as Deus-loving by understanding it as man-loving, on the other hand, he has criticized mercy of Neo-Confucianism on the basis of the theory that all things are one body. For Ricci, mercy is the mediation which joints the ethics of Confucianism and science of Heaven, it is also the comprizing concept securing the theological foundation of science of Heaven by trying the ideological transforming from the concept of cultivation of Confucianism to that of science of Heaven. Self-cultivation which Ricci has presented could be regarded as to be similar in respecting the Heaven and realizing the principle. However, as shown in the difference of methods in attaching more importance to the recovery or to the study in regard to the real nature, serving heaven and serving Deus has made a great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of the real nature of man and self-completion, i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Heaven·Deus, and in the ceremony of respecting Heaven·respecting Deus.

      • KCI등재

        마테오 리치(Matteo Ricci) 의 적응주의 도입과 그 발전 과정에 대한 신학적 고찰

        이규성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2 가톨릭신학 Vol.0 No.21

        1790년에 내려진 ‘조상 제사 금령’사건은 단순히 우상숭배 금지를 위한 결정만이 아니었다. 그것은 그때까지 중국에서 시도되어 왔던 예수회 선교사들 적응주의적 선교방법에 대한 부정이자, 새로운 통합적 세계관을 만드는 시도를 거부한 사건이며 나아가서 ‘유럽중심주의적 사고방식’을 선교지역에 일방적으로 이식하고자 하는 사건이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의미를 부각시키기 위하여 마테오 리치가 이루어놓은 적응주의적 선교 방식이 어떠한 것인지를 고찰하였다. 이 논문의 방법론은 먼저 역사적 차원에서 고찰하고 그 다음에 신학적 차원에서 고찰하여 결론에서 체계적으로 숙고하고 그의 업적에 대한 평가를 내리는 것이다. 마테오 리치의 적응주의적 선교 방법에는 신론적ㆍ창조론적ㆍ인간학적 숙고가 있었으며, 무엇보다도 마테오 리치의 적응주의에는 이냐시오 로욜라의 영성이 배후에 있었다고 사료된다. ‘조상 제사 금령’사건은 따라서 이러한 영성적 작업과 더불어 쌍방 통교의 개방적 선교 방법을 거부하고 일방적 선교 방법론을 확고히 한 사건이라고 평가된다. The decree of 1790 prohibiting ancestral sacrifices, which was issued by Bishop Gouvea from Peking was not simply a prohibition against idolatry. It amounted to a rejection of the accommodative attempts of the Jesuit Missionaries in China, who had been working until that time to forge a new, integrated world view in missionary activity. The decree was a decision to transplant unilaterally the eurocentric way of thinking in mission area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ccommodation method of Matteo Ricci S.J. in order to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this inappropriate decision. It first examines the missionary method of Matteo Ricci S.J. in its historical and theological dimensions and then reflects on and evaluates his achievements. His accommodation method was based on a theology of creation on the one hand and anthropology on the other, with a background of Ignatian spirituality. The prohibition decree amounted to a decision to disaffirm Ignatian spirituality in missionary activity. It closed the door to an open approach to missionary activity and affirmed a unilateral methodology.

      • KCI등재

        특집 : 동서(東西)의 만남과 실학: 동아시아 지식세계와 마테오리치 ; 마테오 리치(利瑪竇) 이후 서양 수학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반응

        구만옥 ( Mhan Ock Koo ) 한국실학학회 2010 한국실학연구 Vol.0 No.20

        서학(西學)이 조선후기 사상사에 끼친 영향은 심대하며, 서학의 전파를 주도했던 예수회와 그 대표적 인물 가운데 하나인 마테오 리치의 역사적 역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는 중국 선교 과정에서 적응주의 노선과 과학선교 방식을 채택했다. 이와 같은 선교 노선에 따라 르네상스기 유럽의 과학과 기술이 동아시아 사회에 전파되었다. 마테오 리치의 학문 체계에서 수리과학을 포함한 철학은 신학과 일체화되어 있었는데, 이것이 그가 과학선교 방식을 채택한 이론적 배경이 되었다. 바로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 하에서 『기하원본(幾何原本)』이 번역되었던 것이다. 한편 청(淸)의 강희제(康熙帝) 때에는 서양 과학의 ``중국원류설``을 사상적 기반으로 하여 중서산학(中西算學)의 회통을 표방하는 『수리정온(數理精蘊)』이 편찬·간행되기에 이르렀다. 18세기 후반 조선사회에서 『기하원본』과 『수리정온』으로 대변되는 서양 수학서는 ``리수(理數)를 크게 밝힌 책``, ``고산가(古算家)의 제일대전서(第一大全書)``로 높이 평가되었다. 그것은 천문역산의 실무를 담당하는 관상감 관원들이 반드시 익혀야 할 책이었다. 이처럼 『기하원본』과 『수리정온』은 서양 수학 전공자들 사이에서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얻었지만 『수리정온』의 경우에는 그 미비점을 지적하는 견해도 적지 않았다. 이는 마테오 리치의 『기하원본』과 청조(淸朝)에서 간행된 『수리정온』에 대한 미묘한 입장 차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서양 수학에 대한 일부 지식인들의 긍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기하원본』과 『수리정온』이 조선후기 지식인 사회에 끼친 영향이 광범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것은 당시 사회에서 ``기하지학(幾何之學)``, ``도수지학(度數之學)``을 바라보는 일반적 태도와 무관하지 않다. 당시에는 도(道)를 담론하는 형이상(形而上)의 학문이 군자들이 추구해야 하는 ``큰 학문``으로 인정되었고, 수학과 같은 ``예술(藝術)``은 형이하(形而下)의 학문으로서 ``작은 기술``에 불과한 것으로 취급되었기 때문이다. 그 배후에는 수학을 독립적인 가치를 지닌 개별 학문 분야로 인정하기 보다는 리학(理學)의 보조 수단 내지 하위 범주로 간주했던 전통적인 리수관(理數觀)이 작동하고 있었다. 서양 수학을 포함한 산학(算學) 일반을 소기(小技)로 여기는 조선후기의 학문 풍토 속에서 열정적으로 서양 수학을 탐구한 일군의 학자들이 있었다. 이익(李瀷)을 필두로 이용휴(李用休)-이가환(李家煥)을 거쳐 이벽(李檗)-정약전(丁若銓)·정약용(丁若鏞)으로 이어지는 ``근기남인계(近畿南人系) 성호학파(星湖學派)``, 서명응(徐命膺)-서호수(徐浩修)-서유구(徐有구)로 이어지는 달성(達城) 서씨가(徐氏家), 노론(老論)-낙론계(洛論系)의 황윤석(黃胤錫)·홍대용(洪大容)과 홍계희(洪啓禧), 이가환·홍대용과 밀접한 학문적 교유 관계를 형성하고 있던 정철조(鄭喆祚), 노론(老論)-호론계(湖論系)에 속하는 홍양해(洪量海), 그리고 관상감의 실무를 담당했던 이태창(李泰昌), 문광도(文光道), 김영(金泳)과 같은 관리들이 그들이었다. 이들이 서양 수학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 동기와 경로, 서양 수학을 탐구한 목적은 동일하지 않았다. 서양 수학의 연원과 가치에 대해서도 통일된 관점을 보였던 것은 아니다. 대체적으로 이들이 서양 수학을 포함한 수학 일반에 주목했던 이유는 세 가지 정도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는 사대부 교양으로서의 필요성이었다. 전통적으로 ``수(數)``는 ``육예(六藝)``의 하나로 중시되었는데, 조선의 지식인들은 심성(心性) 수양의 효율적인 수단으로서 수학의 가치를 인정하였다. 둘째는 실무적 필요성이었다. 천문역법의 추산(推算)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재정·회계, 양전(量田) 등의 국가적 사업을 위해서도 정밀한 수학 계산이 항상적으로 요구되었다. 셋째는 상수학(象數學) 내지 율력산수지학(律曆算數之學)에 입문하기 위한 필수적 절차였다. ``수(數)``에 대한 탐구를 통해 ``리(理)``에 도달하고자 했던 것이다. 조선후기 서양 수학을 열정적으로 탐구했던 사람들의 학문적 지향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들의 연구가 기존의 학문 체계에 균열을 일으키고 새로운 지향점을 모색했다는 점에서는 어느 정도의 공통성을 찾을 수 있다. 먼저 그들은 도학(道學) 위주의 학문 풍토를 비판하면서 수학의 학문적 가치를 나름대로 수립하고자 노력했다. 아울러 그들은 ``후출유공(後出愈工)``의 관점에서 서양 수학의 우수성을 인정함으로써 서학 수용의 논리적 근거를 마련했다. 그들이 추구한 수학이 기존의 상수학적 틀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전통적 리수관(理數觀)에서 벗어나 새로운 수학의 세계를 개척하고 있었던 것이다. Western learning had enormous influence on the history of thought of the late Choson dynasty. It cannot be emphasized enough that how important the historical roles of both the Jesus society which led the spread of Western learning, and Matteo Ricci who was one of leaders of the society were. In his missionary work, Ricci adopted a way of accommodation and science propagation. Following these directions, the European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Renaissance were diffused in East Asia. Jiheyuanben(幾何原本) translated by Ricci and Shulijingyun(數理精蘊)compiled by Qing China were the most famous books that introduced Western mathematics in the late Choson. Some Western mathematics books represented by Jiheyuanben and Shulijingyun were appreciated highly as clarifying li-shu(理數) in the late 18th century of Choson Dynasty. Those books were required readings for officers in the Office for Observance of Natural Phenomena who were in charge of works of astronomy and calendrical science. Whereas specialists in Western mathematics positively valuated Jiheyuanben and Shulijingyun, there was controversy over the imperfection of Shulijingyun, which is notable because this controversy shows subtle differences in position between Ricci`s Jiheyuanben and Qing Dynasty`s compilation of Shulijingyun. Despite some intellectuals` positive evaluation about Western mathematics, it is hard to say that Jiheyuanben and Shulijingyun had extensive influence on the intellectual society of the late Choson. It was related to society`s view on mathematics. At that time, metaphysical studies was regarded as "great studies" which was pursued by a man of virtue while physical studies such as mathematics was just as "trivial skills." The background of this society`s attitude toward mathematics was the great impact of the traditional view of li-shu which regards the independent value of mathematics not as an individual study, but as supplementary or subordinate to Neo-Confucianism(the study of the nature and principle). There were a group of scholars who enthusiastically studied Western mathematics even in this negative academic climate which regarded mathematics including Western mathematics as trivial skills. Those were sadaebu(yangban literati) such as Yi, Ga-hwan(李家煥), Seo, Ho-Su(徐浩修), Hwang, Yun-seok(黃胤錫), Hong, Dae-yong(洪大容), Jeong, Cheol-jo(鄭喆祚), and Hong, Yang-hae(洪量海) as well as officers for Observance of Natural Phenomena such as Moon, Gwang-do(文光道) and Kim, Yeong(金泳). There are three reasons why they focused on mathematics including Western one. First of all, mathematics was needed for cultural education of sadaebu(yangban literati). In tradition, "numbers" was put emphasis on as one of yugye(六藝, six arts). Choson intellectuals considered mathematics` value as one of efficient means for cultivating mind. Second, a practical purpose required mathematics. Precise mathematical calculation was constantly demanded in order to calculate both calendrical science and to propel national undertaking such as finance and accounting, and land surveying. Lastly, mathematics was an indispensable step to enter xiang-shu-xue(象數學). Scholars tried to reach "li(理)" by studying "numbers." We can find that there were commonalities among their studies in that their studies had shaken the existing academic system and sought new orientation although ardent scholars of studying Western mathematics did not always have similar academic orientation. They criticized the dohak(道學)-centered academic climate and sought to establish learning value of mathematics. In addition, they found grounds to accept Western learning by admitting the superiority of Western mathematics. It is worth noticing that the mathematics that they pursued went beyond the boundary of xiang-shu-xue. They opened up a new mathematical world diverged from the traditional view of li-shu.

      • KCI등재

        개혁주의신학 관점에서의 마테오 리치(Matteo Ricci)의 『天主實義』 분석

        안수강 ( Ahn Su-kang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21 역사신학 논총 Vol.39 No.-

        이 연구에서는 마테오 리치(利馬竇)의 역작 『天主實義』(T'ien-chu Shih-i)를 개혁주의신학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이 저작은 조선 중후기 천주교의 사상을 분석해볼 수 있는 가장 소중한 초기 문헌들 중의 하나로 꼽힌다. 마테오 리치의 『天主實義』에 적용된 논증 양상은 보유론(補儒論)에 바탕을 두어 방법론적인 면에서 세 방면으로 전개되어 있으며 중국 유학자(서광계)의 다양한 질문 내용들, 서광계의 질문에 서양 학자(마테오 리치)가 논리적으로 답변한 내용들과 담론들, 그리고 질의응답한 핵심들을 간추려 정리한 내용들이 기술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마테오 리치가 『天主實義』에 논증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 문헌의 각 편(篇/章)에 진술된 요지들과 신학적 의미들, 그의 보유론 관점 등에 주안점을 두어 고찰했다. 마테오 리치의 『天主實義』에 편성되어 있는 여덟 가지의 핵심적인 주제들을 간추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천주가 만유를 창조하여 주재하시며 안량(安養)하심을 논함; 세상 사람들이 천주에 대해 곡해하고 있는 점을 설명함; 인간의 영혼불멸을 논하고 영혼이 동물의 각혼(覺魂)과 다름을 설명함; 귀신과 사람의 혼에 대한 이론점(異論點)을 설명하고 만유를 한 몸으로 볼 수 없다는 점을 논함; 윤회(輪回)의 여섯 방도와 살생을 금하는 오류를 논박하며 재계(齋戒)와 소식(素食)을 올리는 올바른 뜻을 설명함; 의지가 소멸되지 않음을 설명하고 사후 반드시 천당과 지옥의 상벌로 세인들이 행한 선악에 응보(應報)가 있음을 밝힘; 인간본성의 본래적인 선을 논하고 천주신자의 바른 배움을 서술함; 서양풍속이 숭상하는 바를 일괄하고 성직자의 독신생활이 갖는 의미를 논하며 천주께서 강생(降生)하심을 밝힘.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Matteo Ricci’s masterpiece T'ien-chu Shih-i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formed Theology. T'ien-chu Shih-i is one of the most precious literature sources for the analysis of the early doctrinal thought of Catholicism in the middle and late Joseon. The methodology of arguments in Matteo Ricci’s T'ien-chu Shih-i was found to consist of three parts, founded on Fu-ru-lun such as various questions of the Chinese scholar(Xu Guangqi), logical answers and discourses of the Western scholar(Matteo Ricci), and core summary of questions and answers. On the basis of Matteo Ricci’s arguments, I focused on the major themes in eight chapters and theological meanings, his views of Fu-ru-lun, and so on. The eight key themes of Matteo Ricci’s T'ien-chu Shih-i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a discussion on the creation of heaven, and on the way He exercises authority and sustains them; an explanation of mistaken views concerning the Lord of Heaven current among men; the human soul is not extinguished and is greatly different from the souls of birds and beasts; a discussion on spiritual beings and the soul of man and an explanation as to why the phenomena of the world cannot be described as forming an organic unity; refutation of false teachings concerning reincarnation in the Six Directions and the taking of life, and an explanation of the true meaning of fasting; an explanation as to why man cannot be free of motives, and discussion of why the good and evil done on earth by man must be rewarded or punished in Heaven and Hell; a discussion on the Confucian teaching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and an exposition of the orthodox Way of learning of those who adhere to the religion of the Lord of Heaven; a summary of Western customs, a discussion on the meaning and history of celibacy among the clergy, and an explanation of the reason why the Lord of Heaven was born in the West.

      • KCI등재

        마테오 리치의 공(空)과 무(無)의 비판(批判)에 대한 연구(硏究) - 『천주실의(天主實義)』를 중심으로 -

        鄭賢洙 ( Jung Hyun-soo ) 한국유교학회 201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60 No.-

        마테오 리치는 천주에 대한 유학적 수용의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궁극적 실재에 대한 존재근거와 인식근거의 두 가지 측면에서 논리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존재근거의 측면에서는 불교와 도교, 유교(성리학)의 존재기원에 대한 비판을 시도하고 있다. 리치는 삼교의 공과 무, 태극에 대해 천주학의 형이상학의 근거가 되는 유(有)의 원리에 기초하여 비판했다. 리치는 특히 공과 무가 스콜라 철학의 형이상학 원리인 사원인설을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이유로 비자립적·비실체적 존재로 판단하고 있다. 리치는 이 논증에서 선후(先後)와 내외(內外)의 인간의 이성적 추론능력을 전제한 후 사원인(四原因)을 내재적·외재적 원리로 구분하여 선후와 내외의 이치에 적용시켜 공과 무를 비판하고 있다. 존재인식의 측면에서는 부정신학(否定神學)의 적용을 시도하고 있다. 부정신학은 신에 대한 인식과 해석의 문제점을 지적하여 신에 대한 규정과 제한의 용법을 부정하려는 신학이론이다. 부정신학은 신에 대한 긍정적 정의가 역설적으로 신의 본질을 정의 범주내로 제한시켜 신에 대한 이해가 부분적일 수 있다는 전제하에 신과 신성에 대한 ‘이다’와 ‘있다’의 긍정적 규정으로 인한 한정을 ‘아니다’와 ‘없다’의 부정적 규정을 통해 해제시켜 언어와 개념의 규정을 넘어서려는 의도를 가진다. 리치는 천주학을 정초시키기 위해 천주와 유불도의 형이상학적 존재에 대해 논증하면서 공·무를 ‘없음’으로 해석하여 제1원리가 될 수 없다고 비판한다. 이러한 해석은 리치가 존재의 인식에 대한 동양적 표현양식과 사유구조의 체계를 간과하였다는 평가를 받게 한다. 그러나 공·무에 대한 리치의 비판은 공·무의 형이상학적 성격의 유무에 관한 것으로 천주학의 형이상학적 유의 원리와 철저하게 비교되고 있다. 리치가 주목하고 있는 것은 공·무의 형이상학적 조건으로서의 없음의 의미이다. 이러한 과정들은 리치의 공·무에 대한 인식이 단순히 문자적 이해범주의 차원이라고 단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Matteo Ricci had approached logically from the two aspects, existence ground and cognition ground about ultimate reality, in order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the acceptance of Confucianism for God. In the aspect of the ground of the existence he has attempted to criticize the origin of the existence of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Neo-Confucianism). Ricci criticized Emptiness, Nothingness and the Great Absolute of the three religions on the basis of principle of existence which could be Metaphysical ground in Catholic studies. Ricci especially judged Emptiness and Nothingness as dependent·unsubstantial being for the reason that they could not satisfy the four factor theory of Scholasticism. Ricci, in this argument, judged Emptiness and Nothingness after he premised men's rational reasoning ability of front·rear and internal·external and then he divided the four factors as internal and external principle and applied them to the theory of front·rear and internal·external. In the aspect of the cognition of the existence he has attempted to apply Negative Theology. Negative Theology is a theological theory intending to negate the usage of the determination and limitation for God by pointing out the problems in the cognition and interpretation about God. Negative Theology has intention to overcome the determination of language and concept by releasing the limitation due to the affirmative determination of 'is' and 'exist' through the negative determination of 'is not' and 'not exist' on the premise that positive definition of God paradoxically limits the essence of God within the category of the definition so that it could be partial to understand God While Ricci argued about God and the Metaphysical existenc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order to establish Catholic studies, he interpreted Emptiness-Nothingness as 'non-existence' and he criticized that these could not become the first principle. This interpretation made it possible to judge that Ricci had overlooked Oriental style of expression and system of thinking structure about the cognition of the existence. However, Ricci's critique of Emptiness and Nothingness was whether Emptiness and Nothingness had Metaphysical character or not, so it was throughly compared with the principle of Being in Catholic studies. What Ricci has paid attention to was the meaning of non-existence of Emptiness·Nothingness as a Metaphysical condition. It seems unreasonable to conclude that these processes showed that Ricci's cognition of Emptiness and Nothingness was simply a level of literal understanding categ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