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공동체운동을 통한 농촌교회 활성화 방안–마을기업을 중심으로

        조용훈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7 장신논단 Vol.49 No.4

        The structural poverty and speedy aging in rural areas have become one of the hottest issues in the Korean church today. The rural churches have to endeavor to develop the local communities because church and society share a common destiny. The invigoration of‘community business’ in rural areas not only benefits the local economy but also has a positive impact on church mini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rural churches can contribute to the rural community development by way of community business activities. This paper examines the ideas and practices of the four well known Christian community business models, the ‘Solhyangdamun Jangmaul’ (the Village of the Fermented Foods with aroma of the Pine Tree), ‘Healing Altos Hyupdongjohab’ (the Healing Altos Cooperative), ‘Ggumi iknun Youngnongjohab’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with Vision) and ‘Jangshin Youngnongjohab’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of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order to promote the community business by rural churches, it is crucial to have a solid theological foundation and practical management strategies. The rural churches should have the missional theology based on locality and communality, the ministerial theology of local community, life-oriented ministry and agriculture, a positive attitude towards business activities of the churches and the win-win program through resource exchange between urban and rural churches. Also, the rural churches should have the stable supply of raw materials, sales networks, core technologies and a competent Christian entrepreneur who has a vision and the management know-how. 구조화된 경제적 가난과 인구감소, 고령화로 인해 농촌사회가 급격하게 해체 되면서 거기에 터하고 있는 농촌교회의 생존도 어려워지고 있다. 각 교단에서 농촌의 미자립 교회를 돕고 있지만 상황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 지역사회와 분리된 교회중심의 전통적 목회관과 선교전략으로 지금의 농촌교회 문제를 해결하기란 불가능해 보인다. 그런 상황에서 최근 들어 농촌교회의 새로운 목회적, 선교적 대안으로 마을공동체운동이 부각되고 있다. 다양한 마을공동체운동 가운데서도 교회의 마을기업 활동이 주목할 만한데 이는 교회의 마을기업은 목회자의 자비량 목회를 가능하게 하며, 지역경제를 도와서 마을공동체를 활성화시키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인식에 기초하여 이 연구는 농촌교회의 마을기업 활동의 성공적 운영에 필요한 신학적이고 실천적인 과제가 무엇인지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먼저, 마을기업이 무엇이며, 유형별로 어떻게 구분할 수 있으며, 마을기업의 의의와 가치가 무엇인지 탐색한다. 이어서 현재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기독교 마을기업 네 군데의 사례를 유형별(지역자원형, 틈새시장형, 도농교류형, 농촌 공동체형)로 나누어 분석한다. 곧 경남 거창의 대산교회의 ‘솔향 담은 장마을’, 전남 화순의 신실한교회의 ‘힐링알토스 협동조합’, 충남 예산의 광시송림교회의 ‘꿈이 익는 영농조합’ 그리고 예장통합 농촌목회자들 여덟 명이 결성한 ‘장신영농조 합’이다. 마을기업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는 일은 매우 어렵다. 교회 마을기업이 성공적 으로 운영되려면 마을기업에 대한 신학적 토대만 아니라 실천적 노하우를 갖추어야 한다. 신학적으로는 지역성과 공동체성에 기초한 선교적 교회론, 마을공동체에 대한 마을목회론, 생명목회와 생명농업, 기업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그리고 농촌교회와 도시교회의 교류와 협력을 내용으로 하는 상생목회론을 정립해야 한다. 그 외에도 마을기업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각종 경영상 노하우를 갖추어야 한다. 여기에는 원재료의 공급과 핵심기술, 안정된 판매망만 아니라 유능한 기독 경영자나 지도자와 네트워킹 능력이 포함된다.

      • KCI등재

        마을만들기를 통한 지역교회 활성화 방안

        조용훈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2 기독교사회윤리 Vol.24 No.-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village community have caused many kinds of mental, social and ministerial problems. To face these problems the movement of the making village(community building) is regarded as the good alternative.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the local churches should respond to this issues of the movement of the making village on the basis of case study of the Saerom Church in Gyunggi province. For the motivating and developing of the making village by the local churches,it is important to have a solid theological foundation and solve the practical problems. In this paper, we will presen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tasks of the local churches in four ways. Firstly, the minister of the local church have the ministerial theology as the mistry for the local community not only for the church itself and as the minister for the local residents not only for the church members. Secondly, we should theorize the theology of community including the local community. Thirdly, it is necessary to develope the networking including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non-profit organization and churches in the local community. Lastly, we need to developing the strategy such as vision for the village, seeking the resources, building up the workers, seeking the communal work, making close relationships, training the root democracy and distributing the outcome fairy. 전통적 촌락공동체의 붕괴로 인해 개인적, 사회적, 교회적으로 수많은 문제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있어 마을만들기 운동은 사회와 교회에 좋은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마을만들기를 활성화하는데 있어 지역교회의 역할과 책임이 무엇인지 살펴보는데 있다. 경기도 부천의 새롬교회가 하나의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마을만들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추진하고 이를 통해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교회가 되기 위해 무엇보다 먼저 요청되는 것은 지역사회와 교회 관계에 대한 목회철학이다. 앞으로의 목회는 교회목회가 아니라 지역목회여야 하며, 목사는 지역교회의 목사가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의 목사가 되어야 한다. 둘째, 마을전체를 하나의 공동체로 만들 수 있는 공동체신학이 필요하다. 개교회중심주의를 벗어나 마을과 함께 성장하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셋째, 마을만들기에 관심하는 모든 개인이나 단체들과의 연대와 협력을 가능케 하는 에큐메니칼 신학이다. 마을 만들기에 성공하려면 지역교회가 지자체, 시민단체, 타교단 교회들과 협력할 수 있도록 개방적이어야 하며, 효과적인 네트워킹을 실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구체적 실천 전략으로 일곱 가지가 고려되어야 하는바, 여기에는 살기좋은 마을에 대한 꿈을 그리고, 자원을 찾으며, 일꾼을 세우고, 공동의 일감을 찾으며,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험하며, 성과물을 공평하게 나누는 일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살기좋은 마을이 되고, 지역교회는 고립과 소외로부터 벗어나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교회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마을교육공동체를 위한 지역교회의 역할

        류은정(Eun Jeong Ryu)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8 선교와 신학 Vol.44 No.-

        한국교회는 자타가 공인하는 눈부신 열매, 부흥성장에 집중하는 동안 자신이 자리하는 지역사회로부터 고립되고 분리되는 서글픈 현실에 갇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심화되어 가는 인구절벽으로 인한 주일학교의 감소가 단지 교회안의 문제가 아니라 교회 밖 지역사회의 외면으로 인하여 더욱더 가속화 되어가는 시점에 놓여있게 되었다. 이런 모습을 극복하기 위해서 교회의 본질적인 모습을 성찰하고, 지역사회 속의 교회를 선교론적인 입장에서 정리하며 지역사회를 마을 공동체로 세우고 나아가 교육공동체로 자리매김하도록 하는 지역교회의 역할을 정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과거의 전통과 현재의 기회와 미래의 가능성을 연결하여 지역교회의 교육목적과 교육방법들을 이론적으로 정립하고, 그리고 마을사람들과 삶을 나누는 마당, 플랫폼으로써의 교회의 모습을 세운다. 18세기 산업혁명당시 지역교회는 마을공동체에서 교육을 책임지는 중요한 역할을 상실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 ‘주일학교운동(Sunday School Movement)’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러한 기독교 교육의 역사적 장면을 성찰하며, 오늘날 교회 안으로 밀려오고 있는 거대한 물결, 4차 산업혁명에 대하여 마을교육공동체로서 교회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하나님나라 운동으로서의 마을목회를 성찰하며 교회가 자리하고 있는 지역사회를 마을 교육공동체로 가꾸기 위하여 이루어야 할 교육목회와 교육사역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While the Protestant churches in Korea have reached amazing heights of quantitative growth and therefore enjoyed recognition around the world for their developments, the irony is that most of the Korean churches have become isolated and irrelevant in their local communities. The decline of Sunday school program in Korea is further escalated by the local community’s neglect toward its local churches. This study, therefore, seeks to reflect church’s missiological role - nurturing a local community and empowering the community’s formation as an educational community - in order to overcome the current schism between the church and the community. Connecting the past traditions, present opportunities, and future possibilities together, this article will theoretically formulate purpose and method for the educational role of a local church in Korea. Ecclesiastically, a vision of the church as Madang - a shared space and platform in which people may come together - will be explored. In the 18th century, Sunday school movement was conceived as an alternative answer to the church’s role in providing education to the local community. The aforementioned historical scene would be further scrutinized to bring an insight to the present in whic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flooding into the contemporary society, including the Christian church. To fulfill the ecclesiastical role of the church as a locus of educational community, this article will investigate local ministries as the Kingdom of God movement and attempt to provide a timely manual for educational ministry and program.

      • KCI등재

        마을목회를 위한 기독교윤리적인 근거와 과제의 모색

        정종훈 한국대학선교학회 2017 대학과 선교 Vol.35 No.-

        The modern Korean society confronts with the perils caused by in- dividualization and neo-liberalism. In the challenges of globalization, church-in-mission needs to focus on taking care of local issues and communities. This practical effort is undisputed to enliven local community ministry. The research seeks for Christian ethical foundations in the re- flection of Jesus’ teaching, discipleship, the essence of a church, the vocation of the members, and several theories of Christian ethics. I propose four precepts for promoting local community ministry; 1. Jesus serves in a local community in the direction of God. The Holy Spirit leads the people of God to serve a local community. 2. God prefers marginalized people in a local community and asks to pursue humanization of every member. 3. Three classical missions of church, Kerygma, Koinonia and Diakonia, are not limited in a church community, but extended to a local community. 4. We as the people of God, savor the proleptic anticipation of the kingdom of God in our local community. Lastly, the research presents three realms of church mission in building up local church ministry, such as localized, nationalized, and globalized mission. Marking 500th anniversary of the Reformation, I suggest that Korean churches repent of their isolation, indifference and negligence of a local community, and participate in proliferation of community well-being. 오늘 우리 사회는 매우 개별화되고 있다. 신자유주의의 양극화는 위험한 사회를 조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회가 서로 관심을 갖고 서로 돌보 는 마을공동체를 목회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매우 절실하고 자연스럽다. 연구자는 마을목회의 기독교윤리적인 근거를 예수의 가르침과 제자의 사 명, 교회의 본질과 구성원의 사명, 기독교윤리학의 이론들에서 찾는다. 연구자는 마을목회를 적극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네 가지 윤리적 지침 을 제안한다. 첫째, 마을은 하나님의 방향이자 예수님의 섬김의 대상이며, 성령의 인도하심 가운데 교회와 기독교인들이 살아야 할 자리임을 직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마을의 주변부에 있는 지극히 작은 자들에 대해서 우 선적인 관심을 갖고, 모두의 인간화를 회복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교회의 케리그마와 코이노니아와 디아코니아가 교회 안으로 만 제한될 것이 아니라 마을공동체로 확장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지금 여기 마을공동체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선취하고 현재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끝으로 연구자는 마을목회의 과제를 지역마을 공동체를 향한 교회의 목 회, 국가마을 공동체를 향한 교회의 목회, 지구마을 공동체를 향한 교회의목회로 구분해서 제시한다. 올해는 교회개혁 500주년을 맞이하는 해이다. 한국교회는 그동안 마을공동체와 격리되었던 것, 마을공동체에 관심을 주지 못했던 것, 마을공동체의 일원으로서 풍성한 삶을 함께 살도록 더불어 노력하지 않았던 것을 회개하 고, 이제라도 우리가 거주하고 속해있는 마을에서 공동체를 함께 만들어가 는 일에 동참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회의 마을목회 전환과 마을공동체 교육에 있어서의 활동유형 연구

        고성휘 한국종교교육학회 2021 宗敎敎育學硏究 Vol.66 No.-

        본 연구는 교회의 마을목회로의 전환 뿐 아니라 마을공동체에서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회의 여러 사례를 중심으로 교 회의 공공성 회복을 위한 마을교육활동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유형을 통해 살펴보고 각각의 상호맥락에 따라 달라지 는교회의 두드러진 활동유형을 통해 교회가 지향해야 할가치와 목회자들의 자세, 그리고 방향성 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한다. 총 6개 교회 7명의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네 개의 마을목회유형을 분석하였다. 교회역할별 차원에서 본 마을목회 유형으로서는 교회공동체에서 마을로의 확산유형, 지역교육공동체와의 연대교육 유형, 교회의 마을공동체 교육 지원유형, 마중물 역할을 통한 연대교육유형으로 나누었다. 또한 마을공동체 교육활동 유형으로서는 교육활동 목표지향 의 차원에서 민주시민교육유형과 마을중심 돌봄 교육 유형으로 나누었다. 이들 유형분석으로 추출된 공통된 가치와 방향 으로서는 헌신을 바탕으로 한 마을주민들과의 함께 살아내는 일, 마을공동체 안에서의 상호존중과 소통, 관계적 평등성에 기초한 친밀성의 문제, 그리고 마을공동체 활동 안에서의 교회의 공공성과 영성의 문제 등이 공통적으로 고민하고 지향해 야할요소로서 정리될 수있다.

      • KCI등재

        마을목회, 마을학교에 관한 기독교교육적 고찰

        김도일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9 기독교교육논총 Vol.0 No.59

        Korean education ha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modernization and high level of knowledge society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has help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However, the process of cramming or indoctrinating and transmissive education resulted in a decrease in the happiness of life and beared success oriented lifestyle and inhumanity.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change this kind of social pathology and improve the life of Korean people through village(maeul) ministry and village school as alternatives. The ministry of the village can be carried out only after the complete ecclesiastical conversion, the formation of the learning ecosystem and the expansion of social capital. The church is not merely constrained to be a building and yet a people of the kingdom of God, and it extends to the expansion of the kingdom of God in the towns, not the narrow concept of the ark of salvation. Every person needs a whole village to grow healthy and become a member of society. Therefore, the village church should be the center point of the church so that the family, the church, and the village form a healthy learning ecosystem so that children and adults of all villages can establish mutual connection, mutual communication and mutual solidarity. The village church should run the village school so that the kingdom of God can be realized in the whole life by communicating and participating in the general life of the village people. It is necessary for the village church to take the initiative in finding out what can be done through communal meals, co-parenting, and joint labor. It is important to communicate, collaborate and cooperate closely with the villagers.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gain trust and respect, which is called social capital. In addition, the core role of the village church is to have a pastor who is devoted to evangelism and to be a village person, as God loves the world and has given his son a life of sacrifice and love do. The church in village eventually has to live a healthy, passionate, biblical community of faith in the church and live a life of evangelical and missional life in harmony with the village community as a community of living that practices the truths taught through the Word and study outside the church. And the ministry in the village is not only useful for rural villages but also for the urban cities that have lots of apartments as well. The ministry of the Hannam First Church, Hongdong Village, Baleunnuri, and Grace Community were introduced and evaluated as illustrations. Village ministry and village school are the main alternatives for the problems of Korean society and that they will contribute to the vacant space of Korean education through warm communication, love, caring and caring, and help people who are in desperate needs. 한국교육은 짧은 시간에 현대화와 지식사회를 이루는 데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고 국민 삶의 질을 높이는데 일조하였다. 그러나 숙고의 과정과 개성을 무시한 주입식/전달주의식 교육은 삶의 전반에 대한 행복감 저하를 야기했고 인간성을 상실한 성공지상주의를 낳았다. 이러한 사회병리현상의 변화와 개선을 위하여 본 연구는 마을목회와 마을학교를 대안으로 제시한다. 마을목회는 온전한 교회론적 회심, 학습생태계 형성과 신뢰, 상호성, 호혜성, 공유, 헌신과 같은 사회적 자본의 확충이 근간이 되어야 수행할 수 있다. 교회는 하나님나라의 백성이며 마을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해나가야 하며 결코 구원의 방주라는 축소적 개념에 머물러서는 안됨을 다루었다. 한 사람이 건강하게 성장하여 사회의 일원이 되려면 온 마을사람이 필요하다. 그러기에 가정, 교회, 마을이 건강한 학습생태계를 이루어 모든 마을사람들의 어린이와 어른이 상호연결, 상호소통, 상호연대하는 구조가 될 수 있도록 마을교회가 구심점이 되어 사역해야 한다. 무엇보다 마을교회는 마을사람들의 전반적인 삶에 관심을 갖고 소통하고 참여함으로써 삶 전체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가 구현될 수 있도록 마을학교를 운영해야 할 것이다. 공동식사, 공동육아, 공동노동 등을 통하여 더불어 할 수 있는 일들을 찾아내고 마을교회가 마을목회를 통해 이를 솔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마을사람들과 긴밀히 사귀고, 소통하고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원활한 소통을 통해 마을사람들의 신뢰와 존경을 얻을 필요가 있으며 이를 사회적 자본이라 부른다. 또한 마을교회의 핵심적 역할은 담임목사에게 있으며 마을사람들을 전도의 대상으로만 보는 것에서 벗어나 자신도 마을사람이 되어 하나님이 세상을 사랑하시어 아들을 주신 것처럼, 마을로 들어가 희생과 사랑의 삶을 살아가야 한다. 교회는 결국 교회당 안에서는 건강하고 열정적이며 성경적인 신앙공동체가 되고 교회당 밖에서는 말씀과 공부를 통하여 배운 진리를 실천하는 생활공동체로서 마을사람과 어우러져 복음적 삶, 선교적 삶을 추구해야 한다. 그리고 마을목회는 농어산촌에서만 유용한 목회가 아니라 아파트가 즐비한 도시에서도 가능하며 필요한 것임을 다루었고 한남제일교회, 홍동마을, 밝은누리, 은혜공동체 등과 같은 실례를 살펴보았다. 마을목회와 마을학교는 한국교육의 빈공간 즉 따뜻한 소통과 사랑과 배려와 보살핌과 같은 필요를 채워주며 공교육에서 다하기 모든 사람이 살만한 마을을 만드는 데에 일조할 것이라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이다.

      • KCI등재

        가정, 교회, 마을의 생명망 조성을 통한 교육공동체 형성에 관한 연구

        김도일(Doil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7 선교와 신학 Vol.41 No.-

        본 논문은 단절되고 소망을 잃은 현대 사회에서 가정, 교회, 마을의 생명망 조성을 통하여 교육공동체를 형성함으로써 이 땅 위에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해 나가는 건강한 생태계를 만들어 가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하여 현대사회의 문제인 단절에 대하여 다루고 이 문제를 풀어나갈 단초로서 생명망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생명망에 대하여 다룬다. 또한 종교개혁 500주년을 앞두고 발표된 생명망 조성을 위한 “생명살리기 10년 선언문”을 분석하고 평가한다. 다음으로 가정을 살리고 가정들을 생명망으로 연결하는 교회의 역할에 대하여 다룬다. 이때 가정에서 하나님의 교육이 일어나게 해야 함을 다루고, 유기체적 성도와 유기체적 가정을 만들어야 하는 이론적 배경과 실제적인 방법을 노스포인트 커뮤니티 교회와 사랑방교회의 예를 들어 다룬다. 그리고 나서 마을 교육공동체 형성에 관하여 다루면서 왜 그리고 어떻게 교회가 가정과 마을의 연결 고리가 되고 마당(플랫폼)이 되어야 하는지를 다룬다. 마치 삼위일체 페리 코레시스 하나님이 상호내주, 상호침투, 상호의존하시는 것처럼 가정과 교회와 마을은 서로 생명망으로 얽혀있음을 밝힌다. 이 논리를 펼 때 도심리교회와 새롬교회와 사랑방교회의 실례를 통하여 어떻게 교회가 실생활에서 마을의 마당이 되고 보살핌의 공동체가 되었는지를 살핀다. 마지막으로 가정과 교회와 마을을 살리는 일은 하나님이 본래 의도하셨던 순환적이고 생태적인 생명망으로 묶여진 세상이며 이를 회복하는 것이 교회의 사명임을 밝힌다. 이를 감당하는 하나님의 백성은 사명감과 희생정신을 바탕으로 하는 진정성을 갖고 임해야 함을 밝힌다. This paper seeks to establish a healthy educational ecosystem that will enhance and expand the Kingdom of God through establishing the web of life among family, church, and the local community (마을: maeul) in a society that has lost hope and connectivity. In order to restore hope and solve this problem of severance, the concept of a ‘web of life’ is suggested, analyzing the “10 Year Life Saving Plan” of the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the plan being declared in 2016 following the 500th anniversary of the Reformation. Following this, it is proposed that it is the church’s role to revive and connect families to this web of life. In this process it is emphasized that the so called educatio Dei (education of God) must take place alongside proposed practical steps in order to help form organic believers and families. For example, the ministry of both Northpoint Community Church (Atlanta, USA) and Sarangbang Church (Korea) are examined in search for the solution of making an organic church. This paper then deals with why we should form an educational community in the local area and how church can be a platform among families and the local community. An analogy which describes this relationship is perichoresis (περιχώρησις), meaning the triune God (Father, Son, and Holy Spirit) whose each person is mutually penetrating, dwelling, and depending on each other. In the same way family, church, and the local community are internally and extern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web of life. In developing this logic, three churches’ cases such as Doshimri Church of Kangwondo Hongchun Province, Saerom Church of Buchun, and Sarangbang Church of Pochun are introduced in order to determine how these churches have become platforms and caring agents for their own local communities. This paper concludes that restoring the world through the web of life among families, church, and the local community is the mission of the church. And the people of God who carry out this mission must work with an authentic spirit which bears the sense of duty, call, and the utmost sacrificial attitude.

      •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선교적 교회의 원리와 과제

        정봉현(Bonghyun Jeong)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22 종교문화학보 Vol.19 No.1

        이본 논문은 지역사회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선교적 교회의 실천원리와 당면과제를 다루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선교적 교회 및 지역교회와 마을만들기 관계를 이론적으로 고찰한 다음에, 지역교회의 마을만들기 실제 사례를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마을만들기 사업으로 지역사회를 발전시키기 위한 선교적 교회의 실천원리를 규명하고 당면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는 관련 문헌의 이론적 고찰, 연구자료의 정리와 전문가 조언을 참고하여 수행되었다. 선교적 교회는 세상 속으로 파송되어 불신자들 가운데 나아가는 교회를 의미한다. 마을만들기는 선교적 교회를 실천하기 위한 하나의 사례 모델이며 실천방안이다. 지역사회에서 선교적 교회가 마을만들기 사업으로 지역사회를 변화하고 발전시킨 사례들이 있다. 선교적 교회의 실천 사례에는 경기도 양평군의 국수교회, 충남 아산시의 송악교회, 경기도 부천시의 새롬교회, 서울 은평구의 성암교회 등이 있다. 이러한 교회들은 지역사회를 동반성장의 대상으로 여기고 지역사회를 연구하여 교회와 지역사회의 접촉점을 찾았다. 교회의 인적, 물적 자원을 지역사회발전을 위하여 사용하고 평신도 역량을 발전시켰다. 교회구조를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선교적 구조로 변화하고 목회자가 지역사회에 열려있는 자세로 소통했다. 마을만들기를 위한 선교적 교회가 우선 선행할 원리들이 있다. 그것들은 지역사회와 지역교회의 선교 현장 및 선교적 교회 인식, 교회의 지역사회와 협력, 교회 재직의 지역사회지도자 육성, 교회 조직구조의 선교적 전환 등으로 제시된다. 마지막으로 선교적 교회가 당면한 과제들은 지역사회와 교회에 대한 목회철학, 지역사회 마을공동체의 신학 정립, 지역사회와 연대협력 및 네트워킹 형성, 구체적인 마을만들기 전략의 마련 등이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practical principles and challenges of missional church to promote community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actical principles of the missionary church to develop and to suggest the church’s current tasks for the community development through the community building business. A missionary church is a church that is sent out into the world and goes out among unbelievers. Community building business is a case model and action plan for practicing a missionary church. There are cases in which a missionary church in the local community has developed a community through a community building business. Examples of missionary churches in practice include Gusu Church in Yangpyeong, Gyeonggi-do, Songak Church in Asan, Chungnam, Saerom Church in Bucheoni, Gyeonggi-do, and Seongam Church in Eunpyeong-gu, Seoul. These churches regard the community as an object of shared growth and researched the community to find a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church and the community. The church's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were used for community development, and the lay faithful were regarded as a bridge between the local community and the church, and the layperson's capabilities were developed. The church structure was changed to a missional structure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the pastor communicated with the local community with an open attitude. There are principles that the missionary church for community building should take precedence. The principles are presented as mission field and missionary awareness of the church in the community and local church, coope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of the church, nurturing as a community leader in church service, and missionary transformation of the church organizational structure. The tasks facing the missionary church are the pastoral philosophy of the community and the church, the theology of community building in the community, the formation of solidarity cooperation and networking with community, and the preparation of specific community building strategies.

      • KCI등재

        하나님나라 운동으로서의 마을목회

        정원범(Won Bum Chu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7 선교와 신학 Vol.43 No.-

        본 논문의 목적은 교회의 위기와 목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하나님나라 운동으로서의 마을목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2장에서는 마을목회의 필요성을 두 가지로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로 마을목회는 시대적 요청이다. 우리는 폭력의 위기, 생태계의 위기, 빈곤의 위기, 먹거리 위기, 공동체 해체의 위기 등 전 지구적이고 총체적인 생명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생명위기의 상황은 우리에게 생명을 살리고 마을을 공동체로 살려내는 마을목회를 요청한다. 둘째로, 마을목회는 선교적 교회론의 근본적 요청이다. 선교적 교회론에 있어서 교회의 존재 이유와 목적은 하나님의 선교이고, 그것은 세상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선교는 본질적으로 마을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선교적 교회론은 근본적으로 마을목회를 요청한다. 3장에서는 마을목회의 신학적 근거와 목표가 하나님나라라는 사실을 논구한다. 이것은 교회목회의 모델이신 예수의 사역 핵심이 바로 하나님나라였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그리고 교회의 목회가 마을목회이어야 한다는 사실은 예수의 하나님나라 운동이 교회뿐만 아니라 지역 마을, 지구마을을 아름다운 샬롬의 공동체로 회복하는 운동이었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이 장에서는 하나님나라 운동의 역사적 배경, 구약적 배경을 통해 ① 하나님의 나라는 미래적 완성을 기다리는 나라이기는 하지만 동시에 그것은 이 땅위에 현존하는 실제였다는 사실과 ② 그것은 구체적으로 이 땅 위에서의 자유, 해방, 치유, 회복, 기쁨, 정의와 평화가 이루어지는 새로운 마을 만들기 운동이었다는 사실과 ③ 예수의 하나님나라 운동은 로마제국의 억압과 착취로 인해 해체되어가는 마을 공동체를 새롭게 갱신하시는 혁명적인 마을변혁 운동이었다는 사실을 규명한다. 4장에서는 하나님나라 운동으로서의 마을목회의 과제를 여덟 가지로 제시한다. ① 마을목회는 마을 속에서 하나님나라의 실현을 꿈꾸는 영성목회의 과제를 가진다. ② 마을목회는 마을을 행복하게 만드는 행복목회의 과제를 가진다. ③ 마을목회는 마을의 고통당하는 사람들을 온갖 억압과 착취와 불의에서 자유롭게 하는 해방목회의 과제를 가진다. ④ 마을목회는 마을을 정의로운 공동체와 평화로운 공동체로 만드는 평화목회의 과제를 가진다. ⑤ 마을목회는 치유와 화해를 이루어가는 사랑목회의 과제를 가진다. ⑥ 마을목회는 마을의 가난한 자들을 살리고 돌보는 복지목회의 과제를 가진다. ⑦ 마을목회는 마을의 생태계를 살리는 생태목회의 과제를 가진다. ⑧ 마을목회는 마을 속에 생명과 평화의 문화를 꽃피우는 문화목회의 과제를 가진다. 이제 한국교회는 교회와 목회의 위기 상황 속에서 교회중심, 성장중심의 목회 패러다임으로부터 지역사회 중심의 마을목회, 하나님나라 목회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의 과제를 긴급하게 수행해야 한다. 왜냐하면 과거의 목회 패러다임은 예수의 하나님나라 운동의 관점에서 많이 벗어났기 때문이며, 동시에 그것은 혁명적으로 변하고 있는 오늘의 상황에도 부합되지 않기 때문이다.

      • KCI등재

        기독교의 공공성과 마을목회의 기독교교육적 함의

        김도일 한국종교교육학회 2022 宗敎敎育學硏究 Vol.70 No.-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본래 공공성을 추구하던 기독교의 제 자리를 찾는 것이다. 오늘날 사사화된 기독교의 현실에 대한 통렬한 반성과 함께 기독교의 공공성에 대한 신학적 근거를 살펴보았다. 그 리고 선교적 교회론을 토대로 한 마을목회가 기독교의 신뢰회복에 기여할 수 있을지에 대하여 다 루고, 이를 위해 기독교교육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마을목회의 기독교교 육적 함의를 논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교회의 본질이 건물이 아니라 하나님을 삶의 주인으로 섬기고 예수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믿는 하나님의 백성임을 신학적으로 밝혔다. 하나님은 온 세상을 사랑하여 자기 아들을 십자가에 내어주기까지 그 사랑을 입증하였다. 이것이 바로 공공 신학적 선교학의 핵심 토대가 되며, 기독교교육학도 역시 개인의 회심과 양육 사이의 긴장관계 속 에 세워진 학문이다. 한 영혼의 구원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사회변혁을 위한 공공신학적 긴장관계 가 오늘의 기독교교육학을 이루게 된 흐름도 더불어 살펴보았다. 마을목회는 선교신학과 기독교교 육학의 조화로운 협력사역이다. 교회의 사역 대상은 온 마을이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마을 에서 마을 사람들과 함께 공존하며 존재로 삶으로 사랑을 전할 수 있을지를 모색하기 위해, 기독교 교육적 함의 세 가지를 밝혔다. 첫째, 마을목회는 경계넘기. 둘째, 마을목회는 행동과 묵상이 조화 된 영성. 셋째, 마을목회는 제자직과 시민직을 수행하며 주변인들을 섬겨야 한다. 결론 연구의 결론은 복음의 본질을 가르치던 공공의 기독교의 모습은 어느덧 사라지고, 교회는 오랜세월 성장주의와 자본주의에 매몰되었기에 기독교의 교회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더불어 기 독교에 대한 냉혹한 평가를 겸허하게 수용하고 진정성있는 교회론적 회심의 필요성이 필요하다. 선 교적 교회론을 실천하는 마을목회가 잃었던 흩어지는 교회의 회복, 세상 속에서 소망이 되는 교회, 신뢰를 회복하는 교회가 될 것이다. 사회 속에서 건강한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여 기독교의 공공성 을 다시금 인식하고 마을목회를 실천하는 기독교가 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