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마애불에 나타난 미의식 연구

        이성도(Yi, Sungdo)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3

        이 연구는 우리나라 각 시대의 마애불 속에 표현된 조형성의 공통성과 차별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미의식을 도출하는 과제이다. 마애불에 나타난 미학이나 미의식은 불교조각이 갖는 불교미학인 원융(圖融)과 장엄(莊嚴) 그리고 한국미술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자연주의 미학을 가진다.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 조선시대 마애불의 조형성과 그 속에 내재된 조형의식과 미의식을 살펴보았다. 시대와 지역마다 다른 모습이 듯 드러난 조형성과 미의식은 같기도 하고 다르기도 하였다. 이는 연연히 이어지는 전통미술문화 속에 많은 공통성과 또 다른 차별성올 갖는다. 마애불에는 불교미학의 한 축인 장엄의 비중이 두드러지지 않는다. 원융은 모든 중생의 귀의처인 부처를 이상화하는 것에 핵심이 있다면, 이는 시대마다 이상적인 인물유형으로 부처를 형상화하였다. 마애불 조성 그 내면에 관류하는 조형정신이나 미의식의 공통성은 종교적 이상의 원만한 상호(相好) 를 가진 불상 조성과 전통적인 미술문화에서 추구되어진 미의식인 자연주의 미학이 공존한다. 백제마애불에서는 맑은 미소 속에 지극히 인간적인 얼굴, 신라마애불에서는 고졸한 미소 속에 소박한 얼굴 통일신라마애불에서는 이상적인 신체 추구 속에 권위주의적인 얼굴, 고려시대 마애불에서는 절대자 모습으로 신이한 힘을 가진 신상 같은 얼굴 그리고 조선마애불에서는 나약한 선비의 인간적인 얼굴을 본다. 한국미술의 자연주의 성격인 무작위성, 비균제성, 해학성, 세부 표현에 무관심, 자연을 닮은 형상성, 자연환경과의 조화 동의 미학이 마애불에도 공통적으로 내재되어 있다. 또 한 시대와 지역에 따라 차별성을 갖기도 한다. 각 시대마다 조형적 특성이 다르지만 자연주의 미학과 절제되고 함축적인 표현 속에 균제와 조화를 가진 인간적인 모습의 부처를 추구하였다. 이는 마애불에서만 보는 미의식이나 조형의식이 아니라 한국미술의 보편적 미의식과 조형의식에 수렴하고 있다. 이는 불교적 이상인 원융을 추구하면서 자연에 순응하는 자연주의 미학의 모습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artistic expressions embedded in the rock-cut sculptures of Buddha created each era in order to determine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sculptures. The aesthetics and aesthetic consciousness contained in the rock-cut sculptures of Buddha are based on both Buddhist aesthetics, emphasizing reasonable harmony and magnificence, and the naturalistic aesthetics which commonly appear in Korean art. This paper explores the artistic expression of the rock-cut Buddhist sculptures created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Korea, the Unified Silla Kingdom, and Chosen Dynasty. Then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ar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nherent in the sculptures. It discern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 sculptures created in the different times and locations.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exist throughout all traditional Korean art and culture. Relative importance of magnificence, which is one of the axes of Buddhist aesthetics, is not notable on the rock-cut sculptures of Buddha. The sense of reasonable harmony mainly idealizes the Buddhist, so the shapes of the Buddhist sculptures trace the idealized shapes of humans imitated in each time period. The converging point of the artistic spiri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penetrating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sculptures is the coexistence of the harmonized reciprocity reOecting the religious ideal and naturalistic aesthetics all traditional Korean art and culture pursue. The rock-cut sculptures of Buddha from the Baekie Kingdom is reminiscent of a typical human face wearing a pure smile. whereas the rock-cut sculptures of Buddha from Silla Kingdom reflects a very artless face dominated by a plain smile. The rock-cut sculptures of Buddha from the Unified Silla Kingdom shows a face with authority as part of an ideal body shape. The rock-cut sculptures of Buddha from the Goryeo Dynasty era reveals the mysterious face of God. the absolute being. The rock-cut sculptures of Buddha from the Chosen Dynasty represents an image of a feeble scholar.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rock-cut sculptures of Buddha include naturalistic aesthetics such as randomness. asymmetry. humor. disinterest in detail expression. shapes resembling nature. harmony with nature. etc. However. the time and locations in which each are created are factors that produce evident differences among the sculptures. Despite these differences in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 sculptures. naturalistic aesthetics and humanistic shapes in balance and harmony seem to be universal in Buddha sculptures. This implies that it is not only rock-cut sculptures of Buddha. but also all Korean art that shows this artistic spirit and consciousness as well as naturalistic aesthetics targeting infinite interpenetration as ideal in Buddhism.

      • KCI등재

        願堂 사찰, 제천 덕주사의 마애여래입상

        임영애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9 한국고대사탐구 Vol.33 No.-

        고려시대 마애불은 전국적으로 대략 100여기가 알려져 있다. 이는 우리나라 마애불 200여기 가운데 절반에 해당하는 수량이다. 하지만, 고려시대 마애불 가운데 명문이나 관련 기록이 있어 정확한 제작 시기를 파악할 수 있는 예는 극히 적다. 이곳 제천 덕주사 마애불입상도 고려 전기 크게 유행했던 대형 마애불 가운데 하나이지만, 역시 정확한 제작 시기는 알 수 없다. 덕주사 마애불의 양식을 고려하면, 11세기 전-중반 무렵 조성한 것으로 판단된다. 덕주사 마애불입상의 얼굴 모습은 이전 시기에는 찾아볼 수 없던 새로운 미감이다. 이러한 모습은 불상의 크기가 크다는 점과 함께 중부지역 불상의 특징으로 알려졌지만, 최근 경남 고성 거류산에서 동일한 양식의 마애불이 알려지면서, 지역 구분없이 전국적으로 유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덕주사 마애불이 위치한 월악산 인근은 영남에서 각 지역으로 이르는 길목에 있는데다가, 남한강 수로의 출발지였다. 덕주사 마애불입상과 유사한 양식의 마애불을 전국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도 이런 이유일 것이다. 한편, 1158년 작성한 觀奧(1096~1158)의 묘지명을 통해 덕주사가 12세기 전반에는 법상종 사찰이며, 원당 사찰이었음도 알게 됐다. 관오는 그의 묘지명이 작성됐다는 사실만으로도, 그가 중앙 교단에서 활동했던 중요한 승려였음을 알려준다. 관오는 법상종 승려였다. 관오가 법상종 승려였음은 그가 출가한 승려 상지가 고려 최고의 법상종 사찰인 현화사의 승통이었으며, 관오 자신이 법상종 대표 사찰 가운데 하나인 법천사 주지를 지냈다는 사실을 통해 확인된다. 그런 그가 덕주사가 願堂이라고 밝혔다는 점, 그리고 덕주사의 승려를 불러 왕을 위한 축성도량을 열었다는 점에서 당시 덕주사의 사세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덕주사 역시 법상종 사찰이었을 가능성이 매우 크며, 덕주사 마애불의 존명은 이 시기 법상종 승려와 미륵불의 관계, 13m에 이르는 덕주사 마애불의 크기로 미뤄 볼 때 미륵불로 볼 수 있다. 덕주사는 교통이 사방으로 열린 월악산에 거대한 마애불을 새기고, 나라의 안녕을 빌었던 고려 전기 대표 호국도량 가운데 하나였다. About 100 rock-carved Buddha statues of Goryeo era are known nationwide. This is about half of 200 rock-carved Buddha statues in Korea. However, there are very few examples of Goryeo era rock-carved Buddha statues tha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exact time of production due to the inscription or related records. The rock-carved standing Buddha statue at Deokjusa temple in Jecheon is one of the large rock-carved Buddha statues that were very popular in the early Goryeo era, but the exact time of production is also unknown. The rock-carved Buddha statue at Deokjusa temple was considered to have been created in the first half of the 11th century, considering its style. The face of the rock-carved standing Buddha statue at Deokjusa temple is a new aesthetic not found in previous periods. This figure is known as a feature of the central region, mainly Chungcheong, along with the large sized Buddha statue, but recently, the same style of rock-carved Buddha statues are known at Mt. Georyu, Goseong, Gyeongnam, confirming that they were popular nationwide. In particular, the region around Mt. Worak where the Deokjusa temple rock-carved Buddha statue is located is on the way from Yeongnam to various regions, and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Namhan River channel. This is why the rock-carved Buddha statue, which is similar in style to the Deokjusa temple rock-carved standing Buddha statue, can be found all over the country. The grave name of Gwanoh (觀奧, 1096~1158), written in 1158, also revealed that the Deokjusa temple was one of the Fa-xiang (法相) temples, and the Memorial Temple as well in the first half of the 12th century. Just the fact that there is his grave name written tells us that Gwanoh was an important monk in the central Order. Gwanoh was a Fa-xiang School monk. The monk sanctuary he was in was Seungtong of Hyeonhwasa temple which is Koryo's best Fa-xiang temple, and This is confirmed by the fact that Gwanoh himself was the head of Beopcheonsa temple, one of the representative temples of Fa-xiang. In that sense that he said Deokjusa temple was a Memorial Temple (願堂), and in that the monks of the Deokjusa temple were called to open fortification Doryang for the king, it is possible to presume the status of the Deokjusa temple at that time. It is very likely that the Deokjusa temple was also one of Fa-xiang temples, an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name of the Deokjusa temple rock-carved Buddha statue at this time is the Maitreya in the light of gu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xiang monks and the Maitreya and the size of the Deokjusa temple rock-carved Buddha statue reaching 13m. Deokjusa temple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nation-defending Doryang in the early Goryeo era who carved a giant rock-carved Buddha statue at Mt. Worak where traffic is open everywhere and wished the country tranquility.

      • KCI등재

        高敞 禪雲寺 兜率庵 磨崖佛의 編年과 造成背景

        陳政煥 동악미술사학회 2015 東岳美術史學 Vol.0 No.17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에 있는 선운사에서 약 2.5㎞ 떨어진 곳에 있는 도솔암 마 애불은 이규보의 「남행월일기」에 등장하는 유서 깊은 불상으로 크기가 15.5m에 이른다. 이 마애불은 1969년 5월에 학계에 알려졌으나, 지금까지 단편적으로만 다루어져 왔을 뿐 종합적 인 고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에서 필자는 고창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좌상의 현상 및 도상 특징과 함께 양식 비교 및 문헌·고고학적 자료의 검토를 바탕으로 조성시기를 규명하였으며, 존명 추론을 통한 조 성배경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도솔암 마애불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마애불이지만, 거대함에 치중한 나머지 세부 형식 의 생략과 도상의 변형이 심화되었다. 형식의 생략과 도상의 변형은 필연적으로 토속성이 두 드러지게 하였다. 도솔암 마애불처럼 세부 표현의 치밀함보다 규모의 거대함에 치중하는 경 향은 고려 전기 국가비보사상에 의해 불상들이 일시에 많이 조성되었기 때문에 나타났던 현 상 가운데 하나이다. 도솔암 마애불은 괴체감과 세장함이 공존하는데, 고려 전기 불상에서 살펴볼 수 있는 특징 이다. 한편, 도솔암 마애불에서 살펴볼 수 있는 비례, 즉 신체에 비해 머리가 작아진 비례는 11세기 이후의 특징이라는 점과 요대 불상의 전형적인 착의법을 보이는 점으로 보아, 도솔암 마애불의 조성시기는 11세기 중엽으로 판단된다. 도솔암 마애불의 존명은 태현계 법상종 사원의 미륵불과 유사한 수인을 취하고 있는 점과 이규보의 「남행월일기」에 미륵불이라고 언급되어 있는 점, 사명이 ‘도솔사’라는 점을 종합해 볼 때 미륵불로 추정할 수 있다. 11세기 중엽에 이처럼 거대한 磨崖彌勒佛이 조성된 배경에 는 현종 즉위 이후 불교계를 주도한 태현계 법상종단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12세기 이후 법상종이 쇠퇴하는 한편, 원 간섭기 이후 태현계의 미륵·미타신앙이 진표계의 미륵·지장신앙으로 변모하면서, 도솔암에 금동지장보살좌상이 봉안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본고는 도솔암 마애불을 통해 고려 전기 불상 양식의 변화상과 11세기 중엽 불상의 특징을 파악해볼 수 있으며, 법상종의 宗勢 확대 양상과 법상종단의 변화 추이까지도 살펴볼 수 있다 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This 15-meter-tall Buddhist image is carved on a rock cliff 2.5 kilometers away from Seonunsa Temple in Samin-ri of Asan-myeon, Gochang-gun, Jeollabuk-do, a historic Buddhist heritage mentioned in The Diary of a Journey to the South (Namhaeng Worilgi) written by Yi Gyu-bo(1168-1241), a renowned writer and statesman of mid-Goryeo (918-1392). The existence of the image was first reported to the Korean community of historians in May 1969, but no comprehensive academic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o far. Conceived from the situation, this study aimed to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the rock-carved seated Buddha of Dosoram Hermitage of Seonunsa Temple in Gochang ― including its artistic style, origin, and background ― based on archaeological evidences and historical documents as well as the name of the Buddha. Known as the largest of its kind in Korea, the Dosoram Rock-carved Buddha is characterized by the lack of detailed expression and deformation probably caused by its large size. The omission of details and irregularity in form have the effect of highlighting the aspects of folk art. The tendency of giving more value to the size of the images rather than detailed expressions as represented by the Dosoram Rock-carved Buddha is said to be attributable to the widespread effort to "reinforce the land" by building Buddhist temples and pagodas at its vulnerable locations during the early Goryeo Period. The Dosoram Rock-carved Buddha has a sense of both heaviness and slenderness characteristic of the Buddhist images of early Goryeo. Its body proportion of having a much smaller head than that of earlier images and clothes showing the influence of the Yao Buddhist images of the Yao Dynasty(916-1125) suggest that the Dosoram Rock-carved Buddha was made during the mid-11th century. The Dosoram Rock-carved Buddha is generally believed to be a Maitreya since it makes a mudra similar to that of Maitreya Buddha images developed by the Beopsang School of the Taehyeon Sect, referred to as a Maitreya in Yi Gyu-bo's Diary of a Journey to the South, and enshrined in a temple named Dosoram or Temple of Tusita Heaven ruled by Amitabha Buddha. One can also conclude that the image was made under the influence of the Beopsang School of the Taehyeon Sect, which dominated Goryeo Buddhism after the enthronement of King Hyeonjong(r. 1009-1031). The decline of the Beopsang School in the 12th century resulted in the gradual decrease of the Maitreya worship developed by the Taehyeon Sect, replaced by the Ksitigarbha worship promoted by the Jinpyo Sect. The change led to the enshrinement of a Gilt-bronze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in the temple. In conclusion, this study on the Dosoram Rock-carved Buddha provides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the changes made on the Buddhist images during early Goryeo and characteristic elements of Goryeo Buddhist images in the 11th century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the Beopsang School in Goryeo.

      • KCI등재

        골굴석굴과 공현석굴 제 1굴의 비교연구

        주수완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20 강좌미술사 Vol.54 No.-

        Gongxian Cave is characterized by the construction of a rock-carved Buddha along with a cave shrine. In Korea, rock-carving Buddha is one of the most common methods, but in China, most Buddhist statues are enshrined inside a cave or nich, and it is very rare that they were built in the form of field exposed rock carving statue like as Gongxian Caves. A similar example of rock carving Buddha is the Fanhe Buddha statue in Gansu area, which is said to have been predicted by Liushalha, a Buddhist monk in the Northern Wei Dynasty, 87 years later, in the first year of Zhengguang(正光, 520), a Buddha statue actually showed itself on the cliff. That year was similar to the date of the beginning of Gongxian cave’s excavation, so I inferred that the reason for the formation of the rock carving Buddha in Gongxian Cave was also meant of the appearance of an auspicious image.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note the similarity between Golgulsa and Gongxian Caves because such cases are not common in Korea as Golgulsa temple is also a combination of cave shrine and rock-carving Buddha.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order. In terms of sculpture style, it seems that the Han(漢) stylization of the Buddha style on Gongxian caves, the statues of central stele inside the cave are more advanced than the rock carving Buddha in outside, so the rock caving Buddha was constructed before the statues of the inside. The other hand, while the Golgul temple was already known as the Hole temple(穴寺) by Monk Wonhyo, who was believed to have stayed and died at this temple during the late Three Kingdoms Period to early Unified Silla Period, but the rock carving Buddha had been dated far later. However, as like the auspicious image of Fanhe Buddha appeared 87 years after its prediction, it is possible that the natural rock was worshiped as a sacred place, a place of ascetic was formed around this rock, and later a Buddha image was carved on the rock, so such a difference may be possible in its order. The rock carving Buddha is assumed to be constructed at the latter part of the Unified Silla Period. Perhaps the rock carving Buddha at the top of Golgulsa and the stone cave at the base of the rock below it were examples of the actual realization of the image combination of Buddha and the Five hundred Arahats in the rock, as if it were a same scene of the Buddhist painting of the Goryeo Dynasty. 공현석굴은 석굴과 함께 마애불이 함께 조성된 특징을 지니고 있다. 한국에서 마애불은 보편적인 불상조성방식의 하나이지만, 중국에서는 대부분 석굴사원 내지 감실 내부에 불상이 봉안되는 방식이며, 공현석굴의 마애불처럼 완전한 마애불 형식으로 조성된 사례는 매우 드물다. 그런데 이와 유사한 마애불의 사례로서 감숙성 번화현 서상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북위시대에 사문 류살하가 그 출현을 예언한 바 있고, 그로부터 87년 뒤인 정광 원년(520년)에 실제로 불상이 절벽에서 스스로 모습을 드러내었다고 전해졌다. 정광원년이면 공현석굴의 개착 연대와도 유사한 시기여서, 공현석굴에서 이처럼 마애불이 조성된 이유 역시 서상의 출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었을까 추론을 해보았다. 나아가 골굴사 석굴 역시 석굴과 마애불이 결합된 형태로서 한국에서도 이러한 사례는 흔치 않기 때문에 공현석굴과의 유사성이 주목된다. 다만 그 순서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다. 조각양식적으로 보면 공현석굴에서는 마애불보다 석굴 내부의 중심석주에 조성된 불상들의 한화가 더 진전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마애불이 먼저 조성되고, 이어 석굴사원이 개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골굴사 석굴의 경우는 이미 혈사(穴寺) 즉 석굴이 삼국말~통일신라초기에 활동했던 원효스님이 머물렀고 입적한 장소로 추정되고 있는데 반해 마애불은 통일신라 후기로 편년되고 있기 때문에 석굴이 먼저 운영되고 있었고, 마애불이 나중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번화현 서상도 불상의 출현이 예견된 이후 87년이 지나서 마애불이 출현한 예에서처럼 자연암반이 신성한 곳으로 숭상되고, 주변에 수행공간이 형성된 다음, 나중에 마애불이 조성되었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그 순서에 있어서는 다소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예상된다. 아마도 골굴사 정상부의 마애불과 그 아래 기암괴석의 석굴은 마치 고려시대 오백나한도의 장면처럼 바위에 현현한 부처와 그 주변에서 수행하는 오백나한의 이미지를 실제로 수행공간에 실현한 사례였을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백제ㆍ신라 마애불의 조형성 연구

        이성도(Yi Sung-Do)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3

          마애불은 전국 곳곳의 화강암 절벽에 조각한 불상으로 매우 견고하여 한번 조성되어지면 오랫동안 변함없는 모습으로 예경의 대상이 되고 있다. 마애불은 천연의 바위 면에 고부조에서 중부조, 저부조, 선각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표현기법으로 조성되었다. 백제와 신라 마애불은 고대 우리 조각의 원류로서 이후 조각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백제 마애불과 신라 마애불의 조형성은 차이점보다 공통점이 많이 가지고 있는데, 그 공통점은 자연주의 기조 아래 균제된 사실주의를 보이면서 절제되고 함축적인 표현을 하고 있다. 또한 마애불의 표현은 얼굴 중심의 정면성 표현이 강조되고 있으며, 도상의 구성은 비대칭이며 회화성이 강하다. 또한 선, 면, 양감, 공간 등 여러 조형요소를 아우르면서 절제된 양감과 면 그리고 선적인 표현을 하고 있다. 양국 마애불의 차이점은 백제는 구체적 인체 표현을 능숙하게 구사하는 가운데 사실성이 강하고 보다 인간적인 표현을 하는 반면 신라 마애불은 비사실적이면서 경직한 가운데 추상성과 정신성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The rock-cut Buddhist sculptures, carved in relief on vertical cliffs of granite, are so solid that have nearly been damaged since built once and have regarded as a monumental statue of Buddha for worship so long in Korea. They were created by various techniques from high relief, middle relief and low relief, till linear relief. In Baekje and Silla, the rock-cut Buddhist sculptures have particularly influenced in the history of sculpture in Korea as its origin.<BR>  The spirit and features of plastic arts in the rock-cut Buddhist sculptures have more similarities than differences between the Baekje and Silla dynasties. It can be found the similarities in the expressive style with great restraint and implication, revealing symmetrical realism based on naturalism. In the way of expression, they focus on frontality centralizing Buddhist"s face; their composition is asymmetric and quite pictorial; it used with restraint in its volume, surface and linear expression, including various plastic elements, line, side, mass, and space, etc. On the other hand, it i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dynasties that, while the Baekje"s shows realistic and humanistic aspects depicting perfectly embodied body figures, the Silla"s emphases on abstractivity and spirituality on the unrealistic and stiff aspects.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 사학(史學) ; 월출산 용암사지 마애불의 사적 해석

        이경화 ( Kyung Hwa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7 韓國思想과 文化 Vol.40 No.-

        월출산의 능선에 위치한 용암사지 마애불은 8m 규모의 한국 大佛이다. 고대문화의 통구가 된 영산강이 바다와 만나는 영암의 포구를 응시하며, 그 주제는 고전적인 偏斷右肩의 항마촉지인좌상이다. 석굴암 본존이 대표하는 한국에서의 편단우견 항마촉지인상은 8세기 이래 풍미하였다. 그러나 용암사지 마애불의 신체비례는 그 원형이 석굴암 본존과 다르며, 중국화 된 불상이기 보다 비례에 따른 헬레니즘계 미술양식의 영향이 더 컸다고 판단된다. 마애불 좌우에 산지의 경사면을 살려 배치한 쌍 탑은 한국마애불에서 흔히 보이지 않는 형식이지만 동일한 패턴이 인근의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불에 보인다. 형식은 기능을 따르고 동일 패턴은 지향하는 바가 유사할 것이다. 신라하대 정치 경제의 패권을 쥔 지역에 마애불과 더불어 쌍탑을 배치하면서 새 패턴을 만든 것은 새로운 불국토를 상기시킨다. 이는 경주를 응시하는 신라 통일 직후의 마애불 유형을 통해 그곳을 불국토로 만들었던 관념을 확장한 것이다. 나아가 신라하대 영암출신의 禪僧도 선국사가 선종과 풍수지리를 종합하여 경주가 아니지만 비보사찰을 만들면 吉地가 된다는, 호족이 선호한 裨補思想을 영향력 있게 펼쳤던 점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용암사지 마애불은 확립된 전통에 관한 새로운 국면을 만들고 예술적 변화를 명시한 의미 있는 형식이다. 9세기에 크게 성장한 호족은 경주 중심이 아닌 자신의 거주지가 불국토가 되리라는 희망을 가지고 있었고, 용암사지 마애불은 그들의 의지를 예술로 현실화한 한국의 大佛이다. 따라서 용암사지 마애불은 이들의 기존의 보수적 가치관을 벗어난 세계관을 암시하며 한국 마애불에 대한 신앙을 확산시킨 의미 있는 마애불이다. Occupying a position on the ridge of the Wolchul Mountain, Yong-Am-Sa-Ji Maebul is an 8m-high image of Buddha which is one the largest in Korea. The Maebul gazes at the Young-Am port, a foreign trading port situat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Young-San River and the sea. The shape of the Maebul which has widely been adopted since the 8th century AD is similar to that of the Buddhist image of Seok-Gul-Am, hence ``traditional``. However, it differs from the Seok-Gul-Am Buddha image in terms of its body parts ratios and surface texture. These features suggest that there might be some Western influences (Greco-Buddhism), instead of those of Chinese. The Maebul has a pagoda on each side, which is rarely found in Korea. However, a similar Maebul can be found in a nearby temple, Dae-Heung-Sa, Haenam. This arrangement indicates that the ruling class of the late Unified Silla might have desired a new Buddhist city (an ideal place in terms of Buddhism) in the region, similar to that they built in Kyung-Ju, the capital city during the period. This was consistent with an ideology developed by Doseon, an esteemed Buddhist priest that the existence of a Buddhist temple denotes an ideal place. This suggests that one might build an ideal place anywhere, even further away from the capital city. This ideology combines the theory of geomancy with Buddhism, which was supported by powerful families in the provinces. In summary, Yong-Am-Sa-Ji Maebul represents a change that is artistically and more importantly politically meaningful. Growing powerful families in the provinces in the 9th century wished for their land to be an ideal place, which was associated with Yong-Am-Sa-Ji Maebul.

      • KCI등재

        고려시대 마애불의 조형성 연구

        이성도(Yi, Sung Do) 한국미술교육학회 2010 美術敎育論叢 Vol.24 No.3

        이 연구는 고려시대 마애불의 조형적 특성을 밝힌 것이다. 삼국시대에 시작한 마애불은 통일신라 말과 고려 초를 지나면서 전국적으로 확산이 되었으며, 철불(鐵佛) 유행과 함께 지방의 특유한 개성적인 표현으로 다양한 불상의 모습으로 조성되었다. 대부분의 고려 마애불은 예배대상으로 전통적인 바위신앙, 풍수사상 같은 민속신앙이 결합된 모습으로 마을 가까이나 마을에서 멀어진 깊은 산속이나 산 정상에 이르는 여러 장소에 다양한 모습으로 조성되었다. 그 표현방식은 고부조, 중부조, 저부조, 선각(線刻) 그리고 불신(佛身)은 바위면에 부조로 새기고 불두(佛頭)는 별석(別石)으로 만들어 올리는 방법 등 더욱 다양해졌다. 고려 초에 만들어진 다수의 거대한 마애불들은 강한 매스와 양감을 가진 개성적인 불상들이다. 이는 지방색과 함께 강한 조형의지와 대담한 표현력을 추구하고 있지만, 주변의 자연 환경과는 전반적으로는 잘 어우러지는 자연주의 조형성을 지닌다. 이 시대 마애불들은 거대한 크기와 개성적인 불안(佛顔)을 통해 신통력과 이적(異蹟)을 일으키는 부처상으로 표현하고 있다. 대부분의 초기 마애불들은 비례를 통한 균형 잡힌 불신과 사실적인 표현이 무시되고 장대한 크기의 불신을 통해 매스가 강조되는 괴체 중심의 괴기스러운 위엄을 실은 모습으로 만들어 졌다. 또 다른 한편 권위나 괴력에서 벗어나 종교적인 자애심이 가득하거나,지극히 인간적인 상이 만들어 지기도 한다. 종합하면 여러 지역의 많은 숫자만큼 조성되어진 마애불은 그 지역적인 특성과 함께 독특한 개성적인 불상들이다. 구체적 조형표현에서는 전반적으로 삼국시대 이래 전통적 조형의식과 조형성을 계승하면서 얼굴 중심의 정면성의 표현을 강조하고 있다. 도상의 구성 또한 비대칭적이며 자유롭다. 또한 선, 면, 양감, 공간 등 여러 조형요소를 아우르면서 절제된 양감과 면, 그리고 선적인 구성을 하고 있다. 고려시대 마애불의 조형성은 이 시대 마애불만의 특유한 것이 아닌 한국적 보편적 조형성에 수렴하고 있다. 이것은 자연에 순응하는 자연주의 미학의 모습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ck-cut Buddha Relief in Goryeo Dynasty. This relief appeared first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spreaded out all of the country around the end of the Unified Silla Kingdom and the beginning of Goryeo Dynasty. The Rock-cut Buddha Relief shows unique and idiosyncratic local characteristics. Most of the Rock-cut Buddha Relief which had been worship monument like totemism for rock, Feng Shui Thought, and folk religion was manufactured from around village to remote area such as mountain or mountaintop. It has variety in type such as high relief, middle relief, low relief, and linear relief with specialty using rock for body and isolated stone for head. Many of the Rock-cut Buddha Relief made in the early of Goryeo Dynasty which have powerful mass and volume are idiosyncratic. It has local characteristics and contains strong artistic will of creator, however, it has natural characteristics of art. Through gigantic scale and unique character of Buddha Rock-cut Buddha Relief of this era, it contains Buddha's image with supernatural power and performance of miracles. Most of the early Rock-cut Buddha Relief shows grotesque dignity through gigantic scale and powerful mass ignoring proportion and realistic image. On the other hand, it also shows religious love or perfectly human image. To summary, the Rock-cut Buddha Relief carved as many as villages has its local characteristics and uniqueness Its way of expression focuses on frontality of Buddha's face centered, its composition is asymmetric and quite free. It shows its restrained volume, plane and linear expression harmonizing various elements of design, such as line, plane, mass, and space, etc.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ck-cut Buddha Relief of Goryeo Dynasty has not its own characteristic but universality come from tradition. It is a naturalistic aesthetics adjusted to the mother of nature.

      • KCI등재

        경주 남산 열암곡 마애불입상의 한국 불교조각사적 의의

        하정민(Jung-min Ha)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3 한국고대사탐구 Vol.44 No.-

        경주 남산 列岩谷 磨崖佛立像은 2007년 5월 22일 말 그대로 ‘우연히’ 발견되었다. 불입상은 외부의 힘에 의해 암괴가 전도된 후 약 35도 산의 경사면에 불상이 새겨진 면이 바닥면을 향한 채 엎어져 고꾸라진 모습으로 오랜 세월을 견뎠다. 열암곡 마애불입상의 발견 이후, 우리나라 불교미술사 학계에서는 주로 이 불상의 특이한 손의 모양, 즉 手印에 대한 논의가 활발했다. 한 손을 가슴 위에 올리고 다른 한 손은 내려서 몸에 붙인 이러한 수인은 물론 특기할 만하지만, 이 불상의 또 다른 형식적 특징인 착의 형식, 즉 왼쪽 어깨에만 법의를 걸치고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는 偏袒右肩 착의법에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편단우견식 착의법에 주목함으로써 현재 학계의 통일신라 불교미술의 흐름을 새롭게 서술해야 할 필요를 인식하게 되었다. 열암곡 마애불입상은 통일신라시대의 편단우견 불입상의 성행을 웅변하는 중요한 상으로 당시 통일신라에서 성행한 여러 불교조각의 시각적 특징들을 창의적으로 조합해가며 완성되었다. 열암곡 마애불입상과 조각 양식 및 신체 모델링이 가장 유사한 조각 예로 입실리사지 동탑 서면 불입상을 제시하였고, 이 상과의 비교를 통해 열암곡 마애불입상의 제작 시기를 9세기 전반으로 보았다. 열암곡 마애불입상의 가능한 존명으로는 석가모니불, 미륵불과 함께 입실리사지 석탑 및 탑신 사면불들과의 비교를 통해 아미타불일 가능성을 제시한다. Discovered unexpectedly on May 22, 2007, the Yeoramgok Standing Rock-carved Buddha statue at Mount Namsan in Gyeongju holds profound historical significance. Displaced by external forces, the statue reclines at a 35-degree angle on the mountain slope, with its carved side facing downward and inverted. Subsequent to its unearthing, the Korean Buddhist art history community has actively engaged in scholarly discourse, centering on the statue's distinctive mudrā-an expressive hand gesture marked by one hand raised to the chest and the other lowered to the abdomen. This paper further highlights another visually conspicuous feature of the Buddha: the exposed right shoulder, which contrasts the robe draped exclusively over the left shoulder. Contrary to prior assumptions that the exposure of the right shoulder in Buddha sculptures was confined to the seventh century Silla period within the context of the Three Kingdoms era, the Yeoramgok Rock-carved Standing Buddha from the Unified Silla epoch stands as compelling counter-evidence. This particular statue plays a pivotal role, effectively illustrating the prevalence of the robe-wearing configuration observed in Buddha sculptures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hrough meticulous examination of its sculptural forms and stylistic trai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Yeoramgok Rock-carved Buddha likely originated in the early ninth century. It also proposes that the Yeoramgok Standing Buddha potentially represents either Maitreya Buddha or Amitābha Buddha.

      • 중원 봉황리 마애불상군의 재검토

        김창호 위덕대학교 박물관 2006 佛敎考古學 Vol.- No.6

        한국 고대~고려까지의 미술사 연구대상은 불교 미술이 그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필자는 이전부터 불교 미술사 또는 불교 고고학에 대한 올바른 접근을 위해서는 불교사·기와·토기·도자기 등에 대한 기초공부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왔다. 그리나 실제로는 위와 같은 기본적인 훈련을 도외시하고 석사과정에서부터 조각·공예·건축·회화사로 나누어 연구하는 것은 득보다 실이 많다고 본다. 본고도 위와 같은 견지에서 중원 봉황리 마애불상군을 재검토한 것이며, 연구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이제까지 봉황리 마애불상군은 고구려불상으로 알려져 왔으나, 이는 어디에서도 근거를 찾을 수 없는 견해이다. 왜냐하면 현재까지 고구려의 마애불상이라고 하는 것을 이곳 봉황리 마애불상군을 제외하면 그 어디에서도 찾아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화강암에 정으로 쪼아 마애불을 조성한 기술의 시작은 서산마애불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에 봉황리 마애불싱군을 고구려에 귀속시키기 어렵다. 이에 따라 봉황리 마애불상군을 서산마애불의 조성시기로 추정되는 서기 600년 이 후에 두게 되면 그 위치로 볼 때 당연히 신라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거하여 필자는 봉황리 마애불상군은 어디까지나 7세기 중엽경에 신라의 중앙정부가 중원지역의 이데올로기 지배를 위하여 제작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The Study of Buddhist art has been played as an important role for the study of the history of ancient Korean art. I think the history of Buddhism, roof tiles, earthenware and china are more important than the history of art, sculpture, craft and construction in the history of Buddhist art or Buddhist archaeolog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Buddha images carved on rock surface of Bonghwangri, Jungwon from these points. In conclusion, Buddha images carved on rock surface of Bonghwangri, Jungwon were constructed by not Goguryeo but Silla in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A Study of the Introduction of Buddhist Sarira into Korea.

      • 삼국,통일신라 마애불의 변화양상과 성격

        박윤희 단국사학회 2016 史學志 Vol.52 No.-

        마애불은 지역적인 불교조형의 특징을 알 수 있고, 시대적 조류와 맥을 함께 하기 때문에 중요한 자료이다. 이제까지 연구된 삼국·통일신라 마애불의 수는 각각 15구 39구로 보고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보고된 마애불을 토대로 마애불의 특성을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삼국·통일신라 마애불의 양식을 검토한 결과 동시대의 불상들과 양식적으로 친연성을 갖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한편 마애불의 조각형식이 시대가 지남에 따라 다채로워 지는 것을 통해 조각적 편의성을 따랐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둘째, 신앙의 변화에 따라 마애불의 조성 형태도 바뀌었다. 특히 수인에서 나타나는 복합적 양상은 당대 사람들이 하나의 불상에 다양한 신앙적 가치를 새기고자 했음을 의미한다. 셋째, 마애불들은 대체로 교통로에 위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9C에 들어 경주에 밀집되어 있던 문화들이 전 지역으로 확산될 때 나타나는 문화이동 경로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성세력을 추론하였는데, 7-8C에는 주로 왕실·귀족과 연관된 석조물들이나 불상들이 주를 이룬 것에서 점차 조성세력의 저변이 확대되었다. 이는 9C에 조성된 마애불의 명문에서 호족을 비롯한 다양한 계층의 참여가 가속화 된 것을 확인하였다. There are 15 and 39 images of The Rock-carved Buddhaon Rock in the Three Kingdoms and the Unified Sylla Dynasty. Based on thereported The Rock-carved Buddha was trying to look at the attributes of a different view. As a result, the following can check some things. Frist, The Rock-carved Buddha in the Three kinggoms and the Unified Silla succeeded contemporary art trying to explore various type with temperance and suggestiveness considering whole picture. The Rock-cut Buddha spread out its style which has variety in type such as high relief, middle relief, low relief, and others. Second, Depending on the timing of the religion is changing and this emerges from the Buddhist sculpture. With such The Rock-carved Buddha, as well. This suggests that representing Buddha in the place which people regard as sanctuary had been more important than the iconic norm which each Buddha has. Also, one means that contain a variety of religious values in Buddha. Third, The Rock-Carved Buddha was made along the road though the Capital city. Most of Buddha images which were made in 9century are located near the main traffic route. The main traffic routes in the Unified Sylla were made by using of existing route. Finally, Inferred the composition force. 7-8century mainly in the royal and stone structures were statues of Buddha is the main related to noble blood. But spread Buddha died down in the composition was the 9century. And such The Rock-Carved Buddha.The locations of The Rock-Carved Buddha are kind of clue to understand powerful family in nine century. Because they were the sponsor when rock cliff Buddha images were m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