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ehicle Manufacturers Decisions on Recall Timing: a Synthetic Panel Data Model

        배용균(Yong-Kyun Bae) 한국경제통상학회 2019 경제연구 Vol.37 No.3

        본 논문은 자동차 제조사들이 언제 리콜을 하느냐에 관한 리콜 시기 결정에 대해 연구하였다. 특히, 본 논문은 어떤 제조사들은 리콜을 신속히 결정하는데 비해, 왜 다른 제조사들은 리콜 결정을 지체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리콜에 대응하는 기업들의 상이한 반응에 대한 그 이유를 답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 미국의 자동차 리콜 자료와 유도 패널 데이터 모형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우리는 기업들의 자발적 리콜은 상대적으로 짧은 “사전 리콜 기간”을 보여 주는데 반해, 규제당국의 강제적 리콜은 긴 “사전 리콜 기간”을 보여 주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동차 제조사들은 리콜결정을 하는 데에 있어서, 결함이 있는 자동차들의 위험도, 예상 배상책임, 그리고 리콜 비용을 중요하게 고려한다는 것도 밝혔다. 이 외에 제조사와 자동차 모델들의 특성이 리콜 시기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아울러 밝혔다. 특히, 미국의 제조사들에 비해, 한국과 일본의 제조사들이 상대적으로 긴 “사전 리콜 기간”을 보여 주었다. 유럽의 자동차 제조사들과 미국의 제조사들 사이에는 “사전 리콜 기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timing decisions of manufacturers recall issuance. In particular, it identifies why some manufacturers are slow to issue recalls, while others are quicker. To answer why firms behave differently in responding to recalls, we use the US recall data from year 2008 to year 2017 and synthetic panel regression models. Our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voluntary recalls usually have shorter pre-recall periods, while government mandated recalls have much longer pre-recall periods. We also find that vehicle manufacturers make recall issuance decisions based on the degree of risk, expected liability, and recall costs from defective vehicles. Furthermore, manufacturer and vehicle characteristics affect the timing of recall issuance. In particular, Japanese and Korean manufacturers are slow to issue recalls compared to U.S. manufacturers. The pre-recall periods of European manufacturers a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U.S. manufacturers.

      • KCI등재

        AHP 분석을 활용한 수입 자동차 리콜부품의 수요 예측 요인에 관한 연구

        정상천(Jung, Sang Chun),김승철(Kim, Seoung Chul),이태원(Lee, Tae Won) 글로벌경영학회 2020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국내 자동차 리콜의 부품 수요 예측을 위하여 고려해야 할 요인들에 대해서 그 중요도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리콜 부품 수요는 리콜의 타입에 따라서 수요 패턴이 달라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콜 타입을 분류하는 기준으로서 리콜 관련 요인들의 종류와 그 중요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자동차 부품 수요 예측을 위한 요인들은 선행 연구 검토와 델파이 조사를 통한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대상 차종의 특성, 리콜 관련 규모, 리콜의 발생 원인, 외부 환경 요인 등 4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의 유형 분류와 도출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연구 방법을 수행하였고 추출된 리콜 수요 결정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을 위하여 AHP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AHP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분류의 속성 중요도 검증 결과 리콜 발생 원인이 리콜 수요 예측에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은 리콜 관련 규모, 외부 환경 요인, 대상 차종특성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분류 속성 항목들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리콜 발생 원인중 3개 항목이 1~3위의 순위를 보여주고 있다. 치명성은 전체 중분류 항목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환경 요인중 정부의 리콜 관련 정책강도를 제외하고는 대상 차량의 판매가격과 함께 전반적으로 상대적 중요도가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나 리콜 수요를 결정하는 요인으로서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은 딜러사 와 비딜러 두 집단 간 상대적 중요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딜러사와 비딜러의 경우 모두 전체 결과와 마찬가지로 리콜 발생 원인의 상대적 중요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상 차종 특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집단에 대한 분석 결과에서는 리콜관련 규모의 가중치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는 두 집단간 업무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로서 자동차 리콜 수요를 결정하는 요인들은 리콜의 주요 원인, 리콜 차종의 주력 차종 여부, 리콜 대상 수량, 리콜 유형(자발적 리콜/강제적 리콜), 경쟁사 리콜 여부, 기간별 리콜율, 경기 상황 등과 같은 요인들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요인들은 리콜의 타입 별 부품 수요 예측 모형을 추정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리콜 수요 요인들을 토대로 다양한 리콜 타입을 분류하고 각 타입 별 부품 수요의 패턴을 추정할 경우 좀 더 정교한 리콜 부품 수요 예측 모형을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priority among factors to consider in predicting the demand for parts for automobile recalls in Korea. The pattern of demand for recall parts depends on the type of recall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various factors behind recall as the basis of classification of recall types, and their relative priority. Researchers reviewed the prior study and used the Delphi method to seek industry experts’ opinions, and classified the factors for predicting demand for automobile parts into four main categories: properties of target vehicle models, size of recalls, cause of recalls, and external factors. We used the Delphi technique to identify the categories of factors, and applied AHP to analyze the relative priorities of identified factors. The process and the result of the AHP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among the four main categories, the cause of recalls was found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the size of recalls, external factors, and properties of target vehicle models. Analysis of sub-categories showed the three items under the main category “cause of recalls” ranked the 1st,2nd, and 3rd in terms of importance, on the list of all factors. Fatality is found to be the most critical factor among all sub-category items. Except for the strength of the government’s recall policy, external factors are found less important, along with the sales price of target vehicles, in determining recall demand. Different perception of priorities between dealers and non-dealers was also analyzed. The analysis showed that both dealers and non-dealers find the cause of recalls as the most important, and properties of target models as the least important, which is in line with the overall survey result. However, the two groups apply different weights to the size of recalls, probably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what they do.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determinants of recall demand include major reasons for recall, whether the recalled vehicle is a flagship model, the number of recall vehicles, type of recall (voluntary or mandatory), whether competitors are doing a recall, the rate of recall by period, and economic situation. These factors will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on estimating the prediction model for part demand by type of recalls. If recall types are classified and the demand pattern per type is estimated based on the various factors identified through this research, a more accurate model of recall part demand will become possible.

      • KCI등재

        Do Foreign Vehicle Manufacturers Delay Recalls? The Case of the Korean Car Market

        Yong-Kyun Bae 한국응용경제학회 2018 응용경제 Vol.20 No.4

        본 논문은 한국 자동차 시장에서의 자동차 제조회사들의 리콜결정과 그 요인 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자동차 결함이 확실시될 때, 어떤 회사들은 신속히 리콜 을 결정하는데 반해 왜 다른 회사들은 리콜을 지연시키는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우리는 자동차 제조회사들이 리콜을 결정하는 데에 있어 결함의 심각성, 결함에 따른 예상책임비용, 그리고 리콜 비용이 중요한 요인들임을 밝혔다. 또한 한국 자동차 시장에서 외국자동차 제조회사들의 사전 리콜기간이 국내 제조사의 그 것보다 더 길다는 점도 아울러 밝혔다. 이들의 리콜은 한국 자동차 리콜에 비해 서 보통 1년에서 4년 정도 지체되었다. 유럽 자동차 제조회사들의 리콜은 미국 시장에서는 지체되지 않았으나 한국시장에서는 지체되었다. 한국 자동차 제조사 들의 리콜은 미국시장에서 지체되지 않았으나 반대로 미국 자동차 제조사들의 리콜은 한국에서 지체되었다. 일본의 제조사들은 한국과 미국시장에서 동일한 사전 리콜기간을 보여 주었다. 배출가스 관련 리콜의 사전 리콜기간이 안전 관 련 리콜의 그것보다 긴 것은 기업들이 가급적 리콜을 피하려고 한다는 사실과 무관해 보이지 않았다. This paper investigates vehicle manufacturers' recall decisions, and their determinants in Korea. In particular, it identifies why some manufacturers are slow to issue recalls, while others are quicker. We find that vehicle manufacturers make recall decisions based on the degree of risk, expected liability, and recall costs from defective vehicles. We also find that all foreign manufacturers have longer pre-recall periods in the Korean market. They delay their recalls for about one to four years, compared to Korean manufacturers' faster-recalls. European manufacturers do not show any procrastination in the US market, but do in the Korean one; US manufacturers show the same pattern. Korean exporters do not procrastinate in the US market; however, US exporters do in the Korean one, and Japanese manufacturers have longer pre-recall periods in both markets. The fact that emission-related recalls have longer pre-recall periods than safety-related recalls could be indirect evidence on manufacturers' reluctance in recall issuance whenever possible.

      • KCI등재

        Do Foreign Vehicle Manufacturers Delay Recalls? The Case of the Korean Car Market

        배용균 한국응용경제학회 2018 응용경제 Vol.20 No.4

        This paper investigates vehicle manufacturers' recall decisions, and their determinants in Korea. In particular, it identifies why some manufacturers are slow to issue recalls, while others are quicker. We find that vehicle manufacturers make recall decisions based on the degree of risk, expected liability, and recall costs from defective vehicles. We also find that all foreign manufacturers have longer pre-recall periods in the Korean market. They delay their recalls for about one to four years, compared to Korean manufacturers' faster-recalls. European manufacturers do not show any procrastination in the US market, but do in the Korean one; US manufacturers show the same pattern. Korean exporters do not procrastinate in the US market; however, US exporters do in the Korean one, and Japanese manufacturers have longer pre-recall periods in both markets. The fact that emission-related recalls have longer pre-recall periods than safety-related recalls could be indirect evidence on manufacturers' reluctance in recall issuance whenever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