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텔레비전 리얼리티 게임쇼의 게임성과 실재성

        강보라(Bo-ra Kang),공다솜(Da-som Gong),윤태진(Tae-Jin Yoon) 한국언론정보학회 201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2 No.4

        본 연구는 tvN의 예능오락 프로그램인 <더 지니어스>의 분석을 통해 리얼리티 게임쇼라는 비교적 새롭고 융합적인 장르가 ‘게임성’과 ‘실재성’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그리고 어떤 새로운 성격의 리얼리티를 만들어내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먼저 리얼리티 게임쇼로서의 <더 지니어스>가 가진 특성들을 개략적으로 소개하고, 이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세트)공간’과 ‘(출연진)캐릭터’의 분석을 통해 리얼리티 게임쇼의 장르적 특질들을 정리했다. 이 과정에서 ‘게임적 요소’와 ‘리얼리티 요소’가 핵심어로 간주되었다. 마지막으로 <더 지니어스>가 구성하는 리얼리티가 기존의 리얼리티쇼의 그것과 어떤 차별성이 있는지 생산과 수용의 두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리얼리티 게임쇼의 리얼리티가단순한 게임의 현실 모방을 넘어 게임과 현실 사이에 개별적으로 존재했던 인식의 영역을 변증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동시에 수용자는 ‘병행적 시점’을 유지하면서 게이머의 눈과 관찰자의 눈, 그리고 전지적 눈을 동원하여 리얼리티를 이해하고 해석한다. 리얼리티 게임쇼는 가상성(게임)과 실재성(리얼리티)이 만나는 지점이면서 동시에 텔레비전과 게임이 만나고, 시청행위와 게임 플레이가 만나는 지점이다. 이 혼란스러운 예능오락 프로그램 장르는 새로운 성격의 리얼리티를 만들어내기도 하지만 리얼리티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안하기도 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비교적 주목을 덜 받아왔던 리얼리티 게임쇼가 만들어내는 장르적 지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reality game shows, the relatively new television genre, produce a sense of reality and what differences we can find from the reality they produce in compared to that of traditional reality television shows. The researchers anaylized 〈The Genius〉, aired in 2013and 2014 by tvN, with focus on the show’s studio setting and characters in the show. During this process, the ‘game elements’ and ‘reality factor’ were considered to be the key words. Finally, the reality 〈The Genius〉 produces was examined from two aspects: the production and recept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reality it produces is more than just a imitation of the real world. It shuttles between the game world and real world, and encourages audiences to recognize the plural realities in our postmodern society. We hope this study stimulates further researches on reality game show genre, which had rarely gained academic attention.

      • KCI등재

        시각적 재현에 있어서 리얼리티의 의미와 의의 - 퍼스의 기호사상을 중심으로

        이용수,서정의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5

        리얼리티는 일반적으로 실제 세계를 있는 그대로 모사하는 그럴듯함으로 간주된다. 사전적으로 리얼리티는 원본이라는 의미를 포함하면서 착각, 환상, 허구 등과 반대되는 의미로 쓰인다. 그래서 대체적으로 리얼리티의 의의는 진짜 현실에 대한 대리 경험의 제공에서 찾아진다. 하지만 이런 리얼리티에 관한 일반적 정의는 학문적으로는 근거가 모자란 선입견이기도 하다. 본고는 퍼스의 기호사상을 통해서 리얼리티의 정의를 재고한다. 퍼스의 기호사상은 지각의 수동성을 기초로 한다. 즉 우리가 기호를 능동적으로 선택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기호에 이끌려서 지각을 하게 되는 수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각의 수동성이 지각의 주체로부터 지각의 대상으로 권력을 이양하게 된다. 그래서 대상의 본질만큼이나 대상의 양태, 즉 대상의 표현성이 매우 중요하게 포착된다. 퍼스 입장에서는 표현주의적 새로움이 리얼리티의 본질이 되는 것이다. 지각의 수동성이라는 전제는 우리로 하여금 리얼리티의 본질을 전혀 다르게 재고해 볼 수 있게 한다. 표현은 차이의 가치를 가진다. 퍼스의 용어로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리얼리티는 유사성을 기반으로는 하지만 그것의 핵심은 차이에 있다. 사실상 리얼리티는 유사하지 않고 다르기 때문에 느껴지는 것이다. 그리고 그 차이가 우리로 하여금 세계에 대한 사유를 이끈다. 그래서 리얼리티의 의의는 현실감과 같은 체험의 가치라기보다는, 좀 더 정확히 말하면 그것은 깨달음의 가치에 있는 것이다. Generally, reality has been regarded as a type of plausibility, i.e., mimicry of the real world. In the dictionary, it is defined as having an opposite meaning to illusion, hallucination, and fiction, while also including the meaning of meaning to Thus, we often seek its significance at the point that it offers us an indirect experience of the actual world. However, this notion of reality is actually proved to a stereotype which does not have an academic background. This paper rethinks the definition of reality based on Peirce's semiotics. Peirce's semiotics utilizes the concept of passive perception as its background, meaning that we cognize a sign by attraction rather than through our active choice. With the concept of passive perception, the power of the perceptional subject is handed over to the object. Consequently, the matter of the expression of an object in a context comes to us as more important as the essence of the object. In Peirce's opinion, expressional newness is the essence of reality. In other words, the premise of passive perception makes us completely reconsider the essence of reality. Expression is a thing that has value through difference, which may correspond to the term 'index' by Peirce. The core concept of reality is based on difference, though its background is likeness. In fact, we can say that we feel reality when a thing appears different from the appearance as it must be. This difference introduces us to the thinking process of the world. Therefore, to be exact, the significance of reality is based on its enlightenment value rather than its experiential value, as in the feeling of presence.

      • KCI등재

        대중 매체 텍스트의 리얼리티 문제 연구

        최성민(Choi Sung-Min)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8

        텔레비전은 기본적으로 ‘리얼리티’ 효과가 뛰어난 대중 매체이다. 텔레비전의 리얼리티는 테크놀로지에 의해서만 획득되었던 것은 아니다. 텔레비전과 같은 대중매체는 대중들이 실제의 삶에서 느끼는 감정과 이성적 체험을 재현하고 인식시킴으로써, 대중들에게 텍스트의 ‘리얼리티’를 안겨줄 수 있다. 최근 텔레비전 방송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예능 프로그램들 가운데에는 ‘리얼 버라이어티’라 불리는 장르의 프로그램들이 있다. 그 가운데 〈무한도전〉은 가장 먼저 ‘리얼 버라이어티’를 표방했을 뿐만 아니라, 가장 다양한 방법으로 ‘리얼리티’를 확보하고 구성하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본고는 〈무한도전〉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대중매체 텍스트에서 리얼리티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살펴보고, 실제 수용자들이 리얼리티를 느끼도록 만드는 세 가지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첫째로는 매체를 감추고 현실을 투명하게 담아내는 방법이고, 두 번째로는 자기반영적으로 매체를 드러내는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다. 마지막 세 번째는 현실세계를 향해 발언하고 풍자함으로써 현실을 재구성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세 가지 방법을 활용하여 〈무한도전〉은 리얼리티를 다양하게 확보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대중 매체의 리얼리티의 문제는 현실을 얼마나 흡사하게 모방하고 있느냐에 대한 논의에 그친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회화 예술이나 문학예술의 리얼리티가 훨씬 복잡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이 밝혀져 왔던 방식처럼, TV 프로그램과 같은 대중 매체 텍스트의 경우에도 리얼리티의 확보와 구성방식이 다차원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본 연구는 밝히고자 한 것이다. Naturally the television has great effect of ‘reality’ as mass-media. The ‘reality’ of TV is not only just a reflection or representation of ‘real life’ but also productive technology; TV can reconstruct and create the ‘real life’ ‘Real Variety’ is a sort of genre of TV programs. And also it is a sort of hybrid. First it shows public interest on TV’s intrinsic feature; entertainment. At the same time, ‘Real Variety’ has public concern about some narrative genre that puts emphasis upon ‘reality’. This study inspected some forms that construct and confirm ‘reality’ for TV text by means of 〈Infinite Challenge〉 in the spotlight. Fisrt, 〈Infinite Challenge〉 makes reality by catching and delivering people the reality that exists out of TV cameras. Second the reality can be guaranteed paradoxically by revealing intervention of production and editing. Third, realistic significance is emphasized by bald speaking and satire about real world. Modern narrative literature has developed on constant conflict between reality and fictitiousness, Mass-media text in TV also has the same conflict and more; conflict between public interest and commercial entertainment. 〈Infinite Challenge〉 is one of the weekend entertainment-in other words, most fictitious and commercial- programs. But its constant changes and variations shows us self-constructing reality and consideration for real world and public interest. The process of 〈Infinite Challenge〉’s development is another ‘reality show’ and ‘drama of growth’ in itself. And the growth is not over yet, Reality in narrative text should be inquired continually.

      • KCI등재

        리얼리티, 리얼리티쇼, 그리고 일상의 테크놀로지로서의 리얼리티

        이희은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3 언론과 사회 Vol.31 No.3

        Originally started as a genre in the television industry, reality shows are now expanding to various media platforms as well as television. This paper reviews the flow of academic discussion on reality shows and the concept of reality while summarizing research on reality shows over the past 20 years. Studies on reality shows have mainly focused on case studies on texts and analysis on production and audiences. However, the diversified expansion of media technology and platforms suggest the need to study reality shows in a wider media environment and everyday context. The three-layered reality concept of entertainment emotion, absence of narrative, and idealized fantasy constituted a reality show as a genre. The paper critically examines that reality as a realistic composition has operated in a way that hides reality while reproducing everyday reality. Therefore, it argues that reality should be understood not as a concept referring to a single program or genre, but as a technology operating within our everyday life. ‘Reality as technology’ refers to the experience and use of media technology that is the most attractive and empathetic and free to reconstruct and reprocess that can be realized using available technology. This suggests the need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beyond television to various media and everyday reality technologies 텔레비전 산업의 한 장르로 출발했던 리얼리티쇼는 이제 텔레비전뿐 아니라 여러 미디어 플랫폼으로 확장해 나가고 있다. 이 글은 지난 20여 년 동안의 리얼리티쇼 연구를 개괄하면서 리얼리티쇼와 리얼리티의 개념에 대한 학술적 논의의흐름을 검토한다. 리얼리티쇼에 대한 연구는 주로 텍스트 사례 분석과 생산 과정 및 수용방식에 대한 분석에 집중되어왔다. 그러나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플랫폼의 확장은 리얼리티쇼를 더 넓은 미디어와 일상의 맥락에서 연구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오락적 감정, 서사의 부재, 이상화된 환상이라는 세 층위의 리얼리티 개념이 장르로서의 리얼리티쇼를 구성했다면, 사실적 구성으로서의 리얼리티는 실제를 재현하면서 실재는 감추는 방식으로 작동해왔음을 비판적으로 살핀다. 하나의 프로그램이나 장르에만 적용되는 개념으로서의 리얼리티가 아니라, 오늘날의 일상에 작동하는 테크놀로지로서 리얼리티를 이해해야 할 필요가있다. ‘테크놀로지로서의 리얼리티’는 가용한 기술을 활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가장 매력적이고 공감 가능성이 크며 재구성과 재가공이 자유로운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경험과 활용을 의미하며, 이는 텔레비전을 넘어서 여러 미디어와 일상의 리얼리티 기술로 연구의 범위를 확장할 필요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 KCI등재

        현실을 연행하기: 리얼리티 TV <정글의 법칙>의리얼리티 효과

        주현식 대중서사학회 2013 대중서사연구 Vol.- No.30

        본 논의의 목적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인 <정글의 법칙>의 리얼리티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조작 논란이 불거진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정글의 법칙>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접근하는 데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큰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겠다. 특히나 본고에서 논의하려는 리얼리티 효과는 프랑스의 기호학자 롤랑 바르트가 정의한 상세하고도 긴 묘사가 제공하는 사실주의적 동기보다는 좀 더 넓은 의미를 지칭한다. 이 글에서 다루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리얼리티 효과란 리얼함의 환각을 구성하고 재현하는 텔레비전의 장치들이 수용자에게 발생시키는 몰입의 시청 경험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정글의 법칙>에서 리얼한 환각을 주기 위해 어떠한 재현의 구조와 시청각적 스타일이 활용되고 있는가? 그리고 그와 연관되어 드러난 다른 사람의 실제 삶에 대해 다양한 층위에서 접근하고 있는 시청자의 보기 행위는 어떤 리얼함의 감각을 지니는가? 등의 질문들이 본 논문에서 논의하려는 핵심적 실체다. 다종다양한 리얼리즘의 스펙트럼이 존재하지만 본고는 시청자의 시공간에로의 몰입, 등장인물에로의 몰입과 관련된 환각주의의 모델을 따라 리얼함의 감각을 리얼리티 프로그램 <정글의 법칙 : 아프리카 편>에서 섬세하게 재구해 볼 것이다. <정글의 법칙> 같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리얼함의 잣대는 현전의 아우라, 믿을만한 자율적인 독립적 리얼리티를 얼마만큼 화면 속에 창조할 수 있는가에 달렸다. 하여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리얼함의 환각주의적 모델은 관객과 배우의 관습적 약속에 의해 실제 무대 위 시공간과 인물을 드라마 속 시공간과 인물로 믿어버리는 연극적 환각과 너무나도 닮아 있다. 이 논문에서 리얼리티 텔레비전 <정글의 법칙 : 아프리카 편>의 재현적 현실을 연행되는(performing) 현실로서 전제하고 그것의 오락적, 다큐적 기능에 관한 논의를 전개한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다. 결과적으로 <정글의 법칙 : 아프리카 편>의 리얼리티 효과를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본고의 논의는 리얼리티 TV 속 연행되는 현실에 관한 논의의 하나의 사례로서 리얼리티 텔레비전 연구에 기여할 것이라 본다. 더 나아가 허구적 텔레비전 드라마에 초점을 맞추어왔던 영상 문학 연구 경향에도 텔레비전 문화 연구에 대한 학문적 자극을 제공할 것이라는 점에서 본고는 의의를 가질 것이다.

      • KCI등재

        ‘픽션’의 관점에서 본 리얼리티 프로그램과 재난영화의 유사성 비교연구 - 서사구조와 리얼리티 생성방식을 중심으로

        김민오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5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사실’을 기반으로 하거나 ‘사실적인 느낌을 주는’ 여러 가지 기제들을 활용하여 진정성과 극의 재미를 유발하는 방식으로 대중의 인기를 끌고 있다. 재난영화 또한 현실에서 일어날법한 서사를 차용하여 긴장감과 현실감을 유발한다. 본 연구는 두 장르가 서사구조와 인물 설정, 장르의 관습적 요소와 리얼리티를 유발하는 요소들에 있어서 상당히 유사한 면을 가지고 있음을 분석한다.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현실감을 주기 위한 기제들을 활용, 현실을 재구성하는 ‘유사-리얼리티’ 장르이며, 분류기준에 따라 여러 하위 장르로 나뉜다. 재난영화는 인위적, 자연적 재앙에 맞선다는 기본 서사를 가지고 있으며, 21세기 이후 재난영화들은 현실에서 빈번해진 대형재난들의 서사를 차용, 묵시록적 분위기를 조성하며 리얼리티를 확보한다. 두 장르 모두 ‘안정-불안정-새로운 안정’의 기본 서사 구조를 바탕으로 주인공(영웅 혹은 우승자)과 대립자(이기적인 인물, 무능한 동료, 사악한 권력 혹은 엄격함 심사위원)의 인물구조를 가진다. 장르의 관습적 요소는 위협대상, 플롯위주의 서사구성, 계급구조형성, 도박요소, 고립된 배경, 내부 분열, 로맨스 플롯, 주인공의 전문성 혹은 의외성 등 여덟 가지 항목의 공통점을 보인다. 또한 주인공과 우승자에 가려진 재난희생자와 탈락자의 스펙터클을 어떻게 재현하는가에 대한 문제의식도 동일하게 공유한다. 리얼리티 생성방식에 있어서 두 장르는 당대사회상 반영과 다큐멘터리 요소의 활용, 진정성과 불신의 서사, 일반인 출연, 경쟁 기제의 활용 등 동일한 요소들을 활용한다. Reality programs are among the most popular media genres, inducing pleasure and sincerity with various narrative mechanisms based on reality or on fictitious elements which are fabricated as real. Disaster films also induce a sense of intensity as well as a sense of the real by adopting narratives that mirror disastrous events in real life. This study analyzes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narrative structures, characters, genre conventions and reality-inducing elements of the two genres. Reality programs can be categorized as a type of pseudo-realism fiction and can be divided into several sub-genres through various standards. Disaster films utilize the basic narrative convention of a man or group against natural disasters, or natural disasters caused by other men or entities. Disaster films of the new millennium ensure an apocalyptic reality by adopting narratives of real-life massive disasters. Both genres have identical character structures of hero/winner vs antagonists (selfish and/or incompetent peers, evil force/rigid judges) within the basic narrative structure of stability followed by instability followed by new stability. Both genres also share similar genre conventions, such as a threat target, a plot-oriented narrative composition, hierarchies among the characters, gambling, isolated locations, ruptures among peers, romance and professionalism, or some form of unexpectedness of a hero/winner. They also share the same critical mindset about how to represent the spectacle of casualties/dropouts. Regarding the mechanism which induces reality, both utilize identical elements, such as reflections on social aspects, documentary elements, narratives of sincerity and distrust, the appearance of a non-celebrity or a public figure, and survival elements.

      • KCI등재

        리얼리티의 혼재 혹은 분화: 드라마 생산과 수용 과정에서 살펴본 드라마 리얼리티의 역학

        강보라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3 언론과 사회 Vol.31 No.3

        This article explores the background context and meaning behind the recent intensification of the blurring or divergence between reality in dramas and reality outside of them. Considering the controversy of actors appearing in dramas as a phenomenon that changes reality, this article sought to multifacetedly identify specific aspects of the perception of reality at this point. To this end, it posed two main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media environment and socio-cultural backgrounds that make it seem like reality is blurring or diverging, and second, what common mechanisms can be found in cases where reality outside the drama affects the drama itself, such as boycotts of dramas, and what are the contexts?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the context in which the reality of the drama is accepted has changed along with the change in the genre expression of the drama, and that various paratexts created as a strategy to attract audiences to the drama in a multimedia environment are intertextually accepted. Under the above media environment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the boundary between the reality inside and outside the drama has become more blurred. In addition, the norms of the audience culture, which have gained more power as the concept of consumption and privatization has expanded around media reception, have meshed with specific phases such as the drama producer controversy, and consumer activism and moral economy have emerged as a reaction to this. 이 글은 최근 드라마의 리얼리티와 그 외부의 리얼리티가 혼재 또는 분화되는양상이 심화된 것으로 보고 그 뒤에 놓인 배경적 맥락과 의미를 탐색한다. 드라마에 출연하는 배우의 논란을 리얼리티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국면으로 간주해, 이 지점에서 리얼리티가 수용되는 특정 양상을 다면적으로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첫째, 리얼리티가 혼재 또는 분화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미디어환경과 사회문화적 배경은 무엇인지 보고자했다. 둘째로 드라마에 대한보이콧과 같이 드라마 외부의 리얼리티가 드라마 자체에 영향을 주는 사례에서어떤 공통기제를 발견할 수 있는지, 또 그 맥락은 무엇인지 질문했다. 그 결과, 드라마의 리얼리티가 장르적 표현에서 변화를 겪으며 이것이 수용되는 양상이함께 변화했다는 점과 다중미디어환경에서 드라마로 수용자를 유입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만들어진 다양한 파생텍스트와 그를 통한 상호텍스트적 수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발견했다. 이 같은 미디어환경 및 사회문화적 배경하에서 드라마 안과 밖의 리얼리티를 가르는 경계는 한층 흐려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수용을 중심으로 소비 및 사사화 개념이 확대되는 가운데 한층 강력한 힘을 얻은 수용자문화의 규범이 드라마 생산자 논란과 같은 특정한 국면과 맞물리면서 소비자행동주의와 도덕경제가 부상했다고 결론지었다.

      • KCI등재

        지역방송 리얼리티 프로그램 제작자 연구

        이희승(Hee-Seung Lee)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2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6 No.1

        최근 국내 지상파 및 케이블 TV에는 오디션, 서바이벌, 리얼 버라이어티 등 리얼리티 프로그램들이 범람하고 있다.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제작자 중심에서 벗어나 수용자의 참여와 소통을 이끌어낼 수 있는 프로그램 포맷으로서, 지역사회의 문화와 목소리를 반영하면서 지역성을 구현하고자 하는 지역방송의 목적에 부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 지상파 3사의 PD와 작가들을 대상으로 제작자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제작주체의 인식과 지역방송이라는 지형에서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전유되는 방식을 고찰해보았다. 먼저, 지역방송 제작주체들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을 느슨한 사전기획과 현장의 즉흥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재연 장치의 활용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로, 지역방송의 리얼리티 프로그램 제작에 있어 프로그램 포맷 설정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에도 불구하고, 제작 현실에서는 포맷 개발에 대한 노력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한정된 제작비, 인력의 한계, 동기부여 부족 등 열악한 프로그램 제작 환경에 기인하고 있었다. 셋째로, 지역방송의 리얼리티 프로그램에서도 시청자의 출연자와의 유대감과 일상과 유사한 사건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라는 국내 방송 고유의 특성이 드러났으며, 제작주체들은 출연자들의 캐릭터라이징을 통해 리얼리티나 재미를 이끌어 내기 위해 고민하고 있었다. 반면, 중앙방송과 차별화된 지역성의 구현에 대한 명확한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제작자 심층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향후 지역사 간 공동기획 활성화, 일반인의 참여와 관심을 높이고 기업이나 관공서의 협찬을 도모할 수 있는 프로그램 포맷의 개발, 그리고 지역성을 공익성으로 환원하는 대신 오락적 가치를 지역성의 중심축으로 받아들이는 제작주체의 인식 전환을 제언하였다. Recently, there is a flood of reality programs such as auditions, survivals, and real varieties on the domestic terrestrial channels and cables. The reality program has a program format that can elicit recipients’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departing from the producers, and can tailor to the aim of the local broadcasting, which is to conceptualize the locality reflecting the culture and the voice of the local society. This study examined how reality programs are appropriated in the context of local broadcasting station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 with producers and writers in three local broadcasting stations in Busan to ask their perceptions on the reality program. First, the production agents perceived loose prior planning and spontaneity as the generic characteristics of the reality program, but they showed passive attitudes toward the use of reconstitution apparatus. Second, despite their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the program format setting in producing the reality program of the local broadcasting station, the effort devoted to the format development was reported to be lacking in reality. This was ascribed to poor production environments such as limited production cost, human resources, and lack of motivation. Third, the unique traits of domestic broadcasting, the bond with audience casts and sympathy on events similar to daily life, were also found in the reality program of the local broadcasting station. Further, the production agents were concerned to elicit reality and pleasure through characterizing casts. On the other hand, they did not suggest any clear direction for conceptualization of locality differentiated from central broadcasting. This study further suggested vitalizing co-planing among local broadcasting stations in the future and developing a program format that can enhance audience’s participation and interest and can facilitate sponsoring from companies and public offices. It was also suggested that production agents change their perception to accept entertainment value as the primary axis instead of turning locality to publicity.

      • KCI등재

        인공지능과 ‘리얼리티’의 경계: 고 박윤배 복원 에피소드에 나타난 리얼리티 구성을 중심으로

        이정현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3 언론과 사회 Vol.31 No.3

        Artificial intelligence impacts on the broadcasting production in multiple ways. This paper examines ‘reality,’ which has been a traditional topic in media studies, with a special emphasis on how the new AI technologies and the old broadcasting technologies have coexisted in composing reality. After 2020, several television programs have restored the deceased ones through AI technologies. Those programs reveal two aspects of reality that have not been discussed in the previous research. First, the networks of technologies compose the ‘reality’ about something that doesn’t exist in reality. Second, by bringing the deceased one back through the familiar media and genre, the reality of ‘new’ technology and machine is created. This paper conducts case studies on one episode of tvN STORY reality show <The President’s People>, which restores the deceased actor Yoonbae Park into a digital human, and articulates two aspects of reality as ‘the border of reality’: an experience of reality generated by machinic networks, and a sense of reality about the new media and machine. This paper contributes not only to comprehending how broadcasting media adapt to and co-evolve with new technologies but also to demonstrate how we experience and sense new technologies through television shows.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은 방송 환경에 다방면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이라는 새로운 기술과 텔레비전으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방송 매체및 관련 기술들이 공존하는 방식에 주목하여 ‘리얼리티’라는 방송연구의 오래된주제를 탐구한다. 2020년 이후 인공지능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기술의 복합체를이용해 고인(故人)의 목소리나 외형을 복원하는 방송 콘텐츠가 증가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함께 등장한 이 같은 프로그램에서 지금까지 방송연구에서 논의해 온 것과 결이 다른 리얼리티를 두 가지 층위에서 발견할 수 있다. 첫번째는 ‘실재’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것의 리얼리티가 인공지능과 텔레비전 등기계들의 연결망에 의해 구성되는 과정이고, 두 번째는 고인복원이라는 소재를통해 인공지능이라는 새로운 기술이 리얼리티 프로그램이라는 친숙한 방송 장르를 통해 매개됨으로써 획득하는 생소한 기술과 기계에 대한 리얼리티다. 이연구는 tvN STORY 예능 프로그램 <회장님네 사람들> 중 2023년 1월 23일 방영된 고(故) 박윤배 복원 에피소드를 사례로 탐구하고, 사례에 나타난 ‘기계들의연결망이 만들어내는 리얼리티 경험’과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통해 구성하는(새로운) 기계에 대한 리얼리티 감각’을 인공지능 기술과 함께 논의해야 할 리얼리티의 경계로서 서술한다. 인공지능이라는 새로운 기술 환경 안에서 방송 매체가 적응하고 진화하는 방식과 그 과정에서 구성되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감각을사례를 통해 가시화하는 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리얼리티프로그램 ‘꽃보다 할배’의 시청동기가 TV프로그램에 대한 가치, 관여도, 만족도 및 해외여행의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분석

        가정혜 한국관광연구학회 2019 관광연구저널 Vol.33 No.6

        한국사회에서 TV시청은 여가활동 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특히 최근 큰 인기를 끌고 있는 TV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개인 또는 집단적 생활 속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변화과정을 기록하거나 사실적인 재연은 아닐지라도 현실효과를 노리기 위한 실화를 재구성 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지극히 일상적인 생활을 소재로 하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성격 상 새로운 소재를 끊임없이 발굴하며 참신한 요소들을 도입한 결과 대중적 성공을 거두었을 뿐 아니라질적 및 양적 성장을 이루어 냈다. 다채널시대에 여행관련 리얼리티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고, 리얼리티프로그램을 통해 노출된 장소가 인기 있는 관광지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광관련 리얼리티프로그램의 시청동기가 만족을 통해서 해외여행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 서는 할당추출법을이용하여 총 530개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402개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리얼리티프로그램 시청동기는 가치와 관여도에 영향을 미치고, 가치와 관여도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청 동기는 관여도보다 가치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관여도보다 가치가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광관련 리얼리티프로그램 만족은 해외여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해외여행의도에서 관광관련 리얼리티프로그램의 가치와 만족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관광관련 리얼리티프로그램을 소비하는 동안 느끼는 가치가 해외여행으로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