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very Inch a King”

        Woong-Jae Shin(신웅재)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12 셰익스피어 비평 Vol.48 No.4

        리어왕의 대사 중 자신을 “완벽한 왕”(every inch a king)이라고 묘사하는 대목은 단순한 자화자찬이 아니라, 왕가의 고귀한 혈통의 절대적 가치를 강조하던 르네상스시대 영국의 신분의식을 반영한다. 셰익스피어는『리어왕』에서 자신이 사용한 두 개의 주요 원전?작자 미상의『리어왕 연대기』와 필립 시드니의『아카디아』?의 내용을 왕가의 혈통의 우수성을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바꿔놓는다. 셰익스피어의 리어왕은『리어왕 연대기』의 리어왕보다 훨씬 더 왕다운 왕으로 그려지는데, 이는 혈통에 의해 인간의 자질과 능력이 결정된다는 르네상스 시대의 생리학적 신분의식을 드러낸다. 원전의 소심하고 나약한 왕과 달리, 셰익스피어의 리어왕은 왕가의 우수한 혈통에 힘입어 강인한 신체, 용맹한 성격, 열정적 기질, 위엄 있는 풍모를 보여준다. 미천한 자객에게 비굴한 모습을 보이는 원전의 왕과 달리, 셰익스피어의 리어는 팔순의 고령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죽이러 온 장교를 오히려 살해하는 놀라운 무용을 보인다. 원전의 왕이 딸들의 배은망덕한 행위에 수동적인 반응을 보이는데 비해, 셰익스피어의 리어는 그 딸들을 격렬하게 꾸짖을 뿐 아니라 배은망덕한 인간을 만들어낸 대자연과 신들을 향해 울분을 토하며 장엄하게 호령하는 위풍당당한 모습을 보인다. 『리어왕』에서 리어왕이 죽은 후에 차기 왕으로 지목되는 에드가와 켄트도 원전의 해당 인물들?각각『아카디아』의 레오나터스와『리어왕 연대기』의 페릴러스?에 비해 월등히 뛰어난, 즉 “완벽한 왕”에 근접한 인물들로 등장한다. 에드가는 귀족가문의 적자답게 준수한 외모, 예리한 판단력, 불굴의 인내심,(서자 에드먼드를 능가하는) 출중한 무예, 그리고 뛰어난 효심을 지님으로써 레오나터스보다 훨씬 더 왕이 될 자격을 갖춘 모습을 보인다. 켄트 역시 훌륭한 귀족으로서 원전에는 나오지 않는 비굴한 하인 오즈왈드와의 대립관계 설정 등을 통해 페릴러스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용기 있고 열정적이며 신의 있는 고결한 인물로 묘사된다. 셰익스피어의 혈통의식에 의거한 원전 변경은 현대인의 시각에서 볼 때 전근대적 신분주의를 노출하는 문제점을 지님에도 불구하고『리어왕』을 여러 면에서 그의 원전들보다 더욱 흥미롭고 극적 가치가 높은 작품으로 만든다. 리어는 원전의 무기력한 왕에 비해 강인하고 패기와 위엄이 넘치는 역동적 인물로 발전한다. 켄트도 원전의 ‘충직한 신하’에 불과한 단순한 유형 인물(페릴러스)에서 독립적 판단에 의해 용기 있게 행동하는 개성 넘치는 인물로 변모한다. 더 나아가『리어왕』에 내재한 혈통의식은 이 작품의 다양한 관심사?인간의 본성, 군신 관계, 부모자식 관계, 서출 문제 등?를 포괄하여 조명함으로써 주제적 통일성을 제고해준다.

      • KCI등재

        보통법 무대 위의 리어 왕

        하재홍,박미경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서울법학 Vol.27 No.4

        In The Tragedy of King Lear, William Shakespeare foregrounds the common law, in particular, regarding a patriarch’s support of families and their obedience, inheritance and oaths, contract and considerations, the poor and vagrants. Act 1, Scene 1 of the play opens with Lear’s controversial proposal of distributing his territory to three daughters through a love test and ends with the king’s rejection of Cordelia as a consequence of the youngest daughter’s unkind response to the father’s question. In the very beginning, Act 1, Scene 1 projects all the sufferings that Lear will go through afterwards. On the one hand, critics of King Lear have failed to note the common law as a dominant aspect of the tragedy. Cordelia’s reply to Lear’s question has been interpreted as a kind of persistent truth-telling or subjectivist attitude, while his reaction to her defiant answer has been understood as a symptom of senility. This perspective is indicative of a failure to distinguish the meaning of Cordelia’s answer from her ensuing attitude in the scene. This paper proposes the common law as a crucial lens through which it is possible to read Cordelia’s answer as her insight into Lear’s hidden intention to depend upon her after his abdication. Furthermore, Cordelia makes it clear that she will marry and receive a third of the territory only insofar as she shares the responsibility of taking care of Lear with Goneril and Regan, and yet she will support her father in return for her duty alone. According to the common law regarding family support in Renaissance England, Cordelia’s answer turns out to be most just and right as Gloucester points out. Lear distributes his territory to his two elder daughters as a gift without expecting anything like support. In this precise sense, Lear hands over his territory to Goneril and Regan, and yet he is not supposed to demand anything in return from both of them. Moreover, Lear can stay with his two elder daughters only insofar as he follows their directions. Denied a shelter by both Goneril and Regan, Lear wanders in the wilderness; nonetheless, the common law does not require grown-up children to take care of their aged parent. Exposed to the elements in the wasteland, Lear finds himself suffering from plebian destitution and the merciless punishment to which poor vagrants are subject but he disregarded as a monarch, thus resonating with the Poor Law and its dark sides. Such characters as Lear, Gloucester, Edgar, and Cordelia all are determined to endure inexorable suffering. Last but not least, the common law urges one to bear affliction that she or he has preferred to undergo instead of pitying the sufferer. Therefore, King Lear testifies to the fact that actors and audience are familiar with the common law, which explains their life stories and reflects their position either as parents or as children. 리어 왕 에는 셰익스피어의 시대 가장의 부양과 가족의 복종, 상속과 서약, 계약과 약인, 빈자와 유랑인 등에 관한 보통법의 법리가 잘 나타나 있다. 리어 왕 의 1막1장은 리어 왕이 세 딸에 사랑경연을 통해 토지를 분할해 주겠다는 제안으로 시작해 가장 큰 몫을 앞둔 코딜리아가 쌀쌀맞은 답변을 하고, 격분한 리어 왕이 코딜리아를 내쫓는 것으로 전개된다. 이 1막1장은 극의 출발점이자 배경으로서 리어 왕이 겪게 되는 모든 고난들은 여기서 필연적으로 파생되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리어 왕 의 해석에 있어 보통법이 극의 전체 흐름을 장악하고 있는 면이 간과되어 왔다. 이 글에서는 코딜리아가 리어 왕이 자신에 부양을 기대한다는 의도가 아직 드러나지 않은 상태에서 그의 의도를 정확히 간파했고, 리어 왕에게 자신은 결혼할 것이며, 고너릴 및 리건과 리어 왕의 부양에 대한 책임을 함께 나누는 조건으로만 토지를 받겠다, 또 그 경우에도 보통법에 따른 최소한의 의무로서만 리어 왕을 부양하겠다고 답변한 것으로 해석한다. 셰익스피어 시대의 부양에 관한 보통법의 태도에 비추어보면, 코딜리아의 답변은 글로스터 공의 말처럼 가장 정의롭고 또 옳은 것이다. 리어 왕은 고너릴과 리건에게 받을 대가를 고려하지 않고 토지를 나누어주었으므로 두 딸들에게 그것은 선물이다. 리어 왕은 두 딸에게 부양에 대한 권리나 기대를 가질 수 없으며, 두 딸의 지시를 잘 따르는 조건으로만 보호를 받을 수 있다. 리어 왕은 이를 거부하고 황야로 나갔으나, 보통법은 자녀에게 노년의 부모에 대한 직접적인 부양책임을 지우지 않는다. 리어 왕이 유랑걸식을 면하지 못하는 처지가 되고서야 발견한 것은 셰익스피어 시대의 걸인과 이들을 처벌하는 구빈법이었다. 끝으로 리어 왕과 글로스터 공, 에드가와 코딜리아는 모두 고난에 처하고서도 이를 회피하지 않고 견뎌내겠다고 한다. 보통법은 자신의 선택한 바로서 고난을 겪는 사람을 일절 동정하지 않으며 그 고난을 견뎌내도록 이끌어준다. 이처럼 극의 전개를 통해 보통법은 등장인물들의 선택과 행동의 이유를 설명하며, 관객들에게는 자녀로서 또 연로한 부모로서 살아가야 하는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게 한다.

      • KCI등재

        키츠의 시를 통해 보는 『리어왕』: 「다시 한 번 『리어왕』을 읽으려고 앉아서」

        이민영 한국영미어문학회 2020 영미어문학 Vol.- No.137

        존 키츠는 셰익스피어의 열정적인 독자 중 한 사람이다. 그는 특별히 “다시 한 번 『리어왕』을 읽으려고 앉아서”라는 소네트를 통해 셰익스피어와 『리어왕』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보여주고 있다. 키츠는 부정적 수용능력이 뛰어난 시인으로 셰익스피어를 예로 들었고 그러한 셰익스피어에 의해 탄생한 『리어왕』이 위대한 작품이라고 말한다. 그러므로 키츠는 『리어왕』을 반복해서 읽었으며 『리어왕』 읽기와 『리어왕』 자체에 대한 감상, 그리고 그로 인해 형성한 자신의 주요개념을 이 소네트에서 보여주고 있다. 먼저 이탈리아 소네트 형식으로 시작하던 소네트가 후반부는 셰익스피어 소네트 형식을 따르고 로맨스에게 안녕을 고하면서 셰익스피어를 따르려는 자신의 의지를 드러낸다. 셰익스피어와 같은 불사조 같은 위대한 시인의 반열에 오르기를 소망한다. 키츠가 보기에 『리어왕』의 주제는 고통 가운데 있는 흙과 같은 인간의 존재에 대한 질문이다. 이 의문을 해결하는 핵심으로 bitter-sweet 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키츠는 『리어왕』 감상을 통해 얻은 이러한 깨달음을 삶과 문학에 대한 자신의 생각에 접목시켰다. 자신의 정체성이 없는 카멜레온 같은 시인은 뛰어난 부정적 수용능력으로 삶의 극단을 수용한다. 연약한 흙에 불과한 인간이 결국 겸손히 필멸의 인간 운명을 받아들이는 과정은 그 영혼의 진정한 정체성을 빚어가는 과정이 된다. 그러므로 키츠에게 있어서 삶은 “영혼을 만드는 골짜기”이다. 그뿐만 아니라 부정적 수용능력이 있는 능동적인 독자 키츠에게 『리어왕』은 그가 반복해서 읽을 때마다 그 자체로 “영혼을 만드는 골짜기”가 된다.

      • KCI등재

        부산시립극단의 <리어왕> 공연과 연기자 전성환 역할

        김남석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2 철학·사상·문화 Vol.- No.39

        The third regular performance of Boosansiribgeukdan(Busan Municipal Performing Art Company) was <King Lear>. Founded in 1998, Boosansiribgeukdan(Busan Municipal Performing Art Company) announced the possibility of its existence through <King Lear>, and even the legitimacy of its establishment was recognized through subsequent re-performing performances. So even in the 2020s, <King Lear> is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work of Boosansiribgeukdan(Busan Municipal Performing Art Company). However, since no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this performance has been attempted, the discussion about this performance so far has been treated as a sad story circulated by people‘s mouth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problems, this study attempts to approach the production process of <King Lear> analytically. In particular, actor Jeon Seonghwan appeared in this performance, and because of Jeon Seonghwan's performance, the <King Lear> performance was able to find a realistic way. Jeon Seong-hwan’s appearance did not stop with the recruitment of an actor who could play the role of King Lear, but was responsible for establishing a medium that could build a channel to graft the classic <King Lear> with the audience at the level of reality at the time. The position of Jeon Seonghwan, who performed such a mediating role, can be an important reminder of the actor‘s role. 부산시립극단의 세 번째 정기공연은 <리어왕>이었다. 1998년에 창립된 부산시립극단은 <리어왕>을 통해 그 존재 가능성을 알렸고, 계속되는 재공연을 통해 설립의 정당성마저 인정받을 수 있었다. 그래서 2020년대까지도 <리어왕>은 부산시립극단 공연을 대표하는 공연으로 인정되고 있다. 하지만 이 공연의 특질과 위상에 대한 연구는 시도된 바 없기 때문에, 지금까지 이 공연에 대한 평가는 인구에 회자되는 사담 정도에 불과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리어왕> 공연의 제작 과정에 대해 접근하고자 한다. 특히 이 공연에는 배우 전성환이 출연했고, 전성환의 연기 덕분에 <리어왕>의 공연이 현실감을 갖춘 공연으로 다듬어질 수 있었다. 전성환의 출연은 비단 리어왕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배우 한 사람의 영입으로 그친 것이 아니라, 고전 <리어왕>을 당시 현실의 층위에서 관객 대중과 접목시킬 통로를 구축할 수 있는 매개체 구축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매개 역할을 수행한 전성환의 위치는 배우의 역할을 상기시키는 중요한 사례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일본 영화 <란>과 『리어왕』에 나타난 비극성 고찰

        강준수 한국일본근대학회 2024 일본근대학연구 Vol.- No.83

        본 연구의 목적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리어왕 을 원작으로 하는 일본 영화 <란>을 통해서 고귀한 인물이 지닌 비극성이 재현되는 방식이 지닌 유사성과 차이점을 논의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은 일본 영화 <란>을 프랑스와 합작하여 1985년 개봉하였다. 구로사와 감독은 리어왕 을 토대로 한 영화 <란>의 각색이 원작의 재현보다는 새롭게 창조된 모습을 보여준다. 구로사와 감독의 이러한 시도는 영화 <란>에서 보여지는 시대변화, 스토리의 일부 변형, 그리고 영화라고 하는 장르적 차이로 표현할 수 있는 영상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리어왕이 경험하는 비극의 핵심 요인은 그가 지닌 성격적 결함에서 기인한다. 리어왕은 오랜 시간 동안의 권력을 통해서 상대방에 대한 이해보다는 오만, 주관성, 그리고 쉽게 현혹되는 어리석음을 갖추고 있다. 또한 리어왕의 비극은 두 명의 딸들이 지닌 물질적 탐욕과 함께 전개된다. 그러나 리어왕이 지닌 비극적 요인 중 딸들과의 갈등과 배신은 보편적인 성격의 것이란 점에서 관객들의 몰입력을 약화시킨다. 그리고 리어왕의 비극성은 개인의 결함과 혈육의 배신에 한정된다는 점에서 비극적 타당성 효과가 약하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영화 <란>의 비극적 주인공인 히데토라도 역시 개인적 오만, 권위, 어리석음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이것 외에도 히데토라는 권력을 획득하기 위해서 주변 영지의 침략과 정복된 사람들의 살해를 통한 잔인한 면모로 인해서 분노, 적개심, 그리고 복수심의 대상이 된다. 이것은 리어왕보다 상대적으로 히데토라가 상대적으로 비극적 결말의 우위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구로사와 감독은 주인공이 맞이하는 비극성의 원인을 다양하고 복잡하게 연계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구로사와 감독의 시도는 비극적 타당성에 대한 관객들의 몰입을 확장시키고 있다. 다시 말해서, 구로사와 감독의 연출은 관객에게 비극성에 대한 이해와 설득력을 충분히 확보해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way the tragedy of a noble character is represented through the Japanese movie <Ran>, which is based on William Shakespeare’s play King Lear. Director Akira Kurosawa collaborated with France on the Japanese movie <Ran>, which was released in 1985. Director Kurosawa’s adaptation of the film <Ran> based on King Lear shows a new creation rather than a reproduction of the original. Director Kurosawa’s attempt can be said to be a visual technique that can express the changes in the times, some transformations of the story, and differences in the genre of movies shown in the movie <Ran>. The key factor in the tragedy that King Lear experiences stems from his character flaws. King Lear, through his long time in power, is characterized by arrogance, subjectivity, and foolishness rather than understanding of others. Additionally, the tragedy of King Lear unfolds along with the material greed of his two daughters. However, among the tragic elements of King Lear, the conflict and betrayal with his daughters are universal in nature, which weakens the audience’s immersion. And the tragic validity effect of King Lear can be said to be weak in that it is limited to individual flaws and betrayal of flesh and blood. On the other hand, Hidetora, the tragic protagonist of the movie <Ran>, also has personal arrogance, authority, and foolishness. However, in addition to this, Hidetora becomes the target of anger, hostility, and revenge due to his cruelty through invading surrounding territories and murdering conquered people in order to gain power. This means that Hidetora has a relatively superior tragic ending over King Lear. Director Kurosawa links the causes of the tragedy that the main character faces in a variety of complex ways. And director Kurosawa’s attempt is expanding the audience’s immersion in the tragic validity. In other words, director Kurosawa’s direction serves as a basis for ensuring sufficient understanding and persuasion of the tragedy for the audience.

      • KCI등재

        윌리엄 셰익스피어의『리어왕』에 나타나는 교육적 가치

        박주은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리어왕』에 나타나는 교육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윤리적 관점, 교육적 가치, 그리고 토의적 가치에 초점을 두었다. 첫째, 리어왕 가족과 주위에 있는 인물들에 초점을 두고 그들의 도덕적 수준과 그들이 인식하는 도덕적 가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리어왕의 어리석음과 잘못된 결정에 대해 충고하는 윤리 교사의 역할을 맡은 광대는 대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둘째, 토의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이 가치는 학생들로 하여금 이 작품 속에 나오는 이슈를 토의 주제로서 생각하게 하고 더 나아가 이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게 한다. 엘리자베스 시대의 작품 중 하나인 『리어왕』을 재조명한 이유는 이 작품이 자식의 의무, 외양과 실제의 차이, 리더십의 덕목, 도덕적 부패, 사회적 무질서, 그리고 윤리적 부패와 같은 현대 사회가 직면한 문제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작품은 다른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모든 사람들 에게 감동을 주는 보편적 문제들을 다루어서 교육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examine the educational value in Shakespeare’s King Lear. I focused on an ethical perspective, the educational value, and the value of discussion. First, centered on King Lear’s family and the characters surrounding him, their moral level is observed and how they perceive moral value from an ethical perspective. In particular, the role of the clown, who takes on a role of an ethical teacher by providing advice on King Lear’s foolishness and wrong decisions, is observed focusing on the dialogues. Second, the value of discussion is observed. This value is to enable the students to think about the issues in this work as a topic of discussion, and furthermore, find ways to resolve the issues. The reason for re-examining one of the works during the British Elizabethan era, King Lear, is because the work deals with challenges faced by the current society such as social issues, filial duty, difference between outward appearance and reality, virtues of a leader, moral decay, anomy, and ethical corruption. As such, this work has educational value and cultural values by dealing with universal problems that touch everyone despite the different times.

      • KCI등재

        <가믄장아기>와 <리어왕>의 주제적 비교연구

        이인경 한국구비문학회 2008 口碑文學硏究 Vol.0 No.27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themes of Korean folktale <Kamoonjang-ahgi> and Shakespeare's <King Lear> by the comparative metho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an find that <Kamoonjang-ahgi> differs with <King Lear> on the thematic point of view. <Kamoonjang-ahgi> depicts the competent woman's active and subjective personality as it is very positive and good. But <King Lear> does it as very negative and bad. what is more, <King Lear> is based on a patriarchal value and male chauvinism. By contrast, <Kamoonjang-ahgi> opposes against them, and admires the women's superiority and subjectivity. <King Lear> takes the focus on not Cordelia's good character but King Lear's anguish and agony caused by his arrogance and ignorance in the respect of Christianity. In contrast, <Kamoonjang-ahgi> puts a high value on so great woman-power superior to man's as the heroine Kamoonjang-ahgi has proved. 이 연구는 제주도에서 전승되는 무속신화인 <가믄장아기>와 셰익스피어의 희곡 <리어왕>을 주제적인 측면에서 비교 연구한 것이다. 그 결과, <리어왕>은 여성의 주체적 삶이나 우월한 능력을 조명하는 것이 아니라, 리어왕이라는 한 인간이 지닌 오만과 독선 그리고 무지가 불러온 파멸과 고통이라는 실존적 고뇌를 처절하게 그려내는 것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성의 순종적 태도가 절대적으로 긍정되고 남성을 압도하는 여성의 강한 능력을 경계하는 <리어왕>의 가치관에 반해, <가믄장아기>는 여성의 우월한 생산성을 적극적으로 찬양하면서 유교적 가족주의에 큰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즉, <리어왕>이 여성인물들을 철저히 가부장제적인 가치관에 따라 형상화한 반면, <가믄장아기>는 남성 중심의 지배이데올로기를 극복하고 가믄장아기라는 주체적 여성인물을 긍정적으로 조명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The play-within-a-play and Its Transformed Form in King Lear

        Dohyun Rim(임도현)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09 셰익스피어 비평 Vol.45 No.4

        이 논문은 셰익스피어의 대표적 극적 장치들 중의 하나인 극중극에 대한 연구이다. 우선 이 논문은 기본적인 극중극 장치의 개념에 대한 탐구로 시작을 한다. 셰익스피어가 사용한 다양한 형태의 극중극을 분석하는 기본적 토대로서 『드라마의 이론과 분석』(The Theory and Analysis of Drama)의 저자인 만프레드 피스터(Manfred Pfister)의 극중극 장치이론이 사용된다. 극중극에 대한 정의를 확고히 한 후에 이 논문은 변형된 극중극의 형태의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를 한다. 그 한 예로서 『리어왕』(King Lear) 3막 6장의 리어왕의 모의재판 장면이 변형된 극중극의 형태로 고려될 만큼 충분한 극중극의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이 분석은 보다 분명한 형태의 극중극을 포함하고 있는 『햄릿』(Hamlet)과 『한 여름 밤의 꿈』(A Midsummer Night's Dream)과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논의되어진다. 리어의 모의재판 장면은 에드거(Edgar)가 재판장 역을 맡고 광대(the Fool)와 켄트(Kent)가 배심원의 역할을 할당받아서 리어의 비극적 상황을 보다 객관적인 시각으로 판단하게 한다. 이러한 효과는 실제 관객에게도 적용이 되는 것이어서 이 모의재판을 계기로 실제 관객들도 리어의 법정의 청중이 되어 리어의 상황을 다시 생각해보도록 유도한다. 그러므로 이 장면은 이중적 연극효과를 연출하는 고도의 인위적 장치라고 주장한다. 결론으로서 이 논문은 리어왕의 모의재판 장면이 비록 『햄릿』과 『한 여름밤의 꿈』에서 발견되어 지는 명확한 형태의 극중극은 아니라 할지라도 피스터가 주장하고 있는 극중극의 기능 및 역할을 수행할 충분한 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

      • KCI우수등재

        셰익스피어 <리어왕>의 ‘코딜리아’ 연기 접근 방법 연구 : 리 스트라스버그의 메소드 활용을 중심으로

        지주연,신영섭 인문콘텐츠학회 2024 인문콘텐츠 Vol.- No.72

        Shakespeare’s <King Lear> is a classic that leads to fundamental reflection on life through the endless conflict created by the gaps between lies and truth, hatred and love, desire and transcendence, and the ‘words’ that express them that humans experience. The youngest daughter, Cordelia, who can be said to be a spiritual throughline of <King Lear>, occupies the least physical proportion even though she is the main character, her language is concise and direct, and the subtext is simple and clear. So her goals and actions are clear without hesitation.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e special symbolism of her Cordelia was derived and the application of Lee Strasberg’s ‘method’, which makes it possible to embody the character by evoking the actor's inner impulse as a means of believing in the actor’s personal experience, was used to build the role. It was thought to be suitable for. In general, classical drama deals with characters in depth and diversity, so it is common to approach it with Stanislavsky’s system of creating emotions based on rational analysis or using the body first. However, in the case of Cordelia,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special symbolism were judged to be points where the character could be sufficiently embodied with internal justification based on the actor’s individual experience, and the character creation was conducted through existential personaliz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 We approached it to make it happen. Among the training methods presented by Lee Strasberg, this researcher used sensory memory and emotional memory as tools for internal impulse, and concretely demonstrated the method of creating the character of Cordelia through this. Ultimately,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method in classics by judging that a character like Cordelia, who can be improvised through the actor’s inner experience, can fully express presence through personalization through the method. 셰익스피어 <리어왕>은 인간이 경험하는 거짓과 진실, 증오와 사랑, 욕망과 초월, 그리고 이를 표현하는 ‘말’ 사이의 틈이 빚어내는 끝없는 갈등을 통해 인생 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을 이끌어내는 고전이다. <리어왕>의 정신적 관통선이라 할 수 있는 막내딸 코딜리아는 주인공임에도 가장 적은 물리적 비중을 차지하며 언어 또한 간결하고 직접적이고, 서브 텍스트도 단순명료하다. 그래서 그녀의 목 표와 행위는 주저함 없이 분명하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코딜리아의 특수적 상징성을 도출하여 배우의 개인적 경험을 믿음의 수단으로 내적 충동을 불러일 으켜 인물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리 스트라스버그의 ‘메소드’ 적용이 배역 구축 에 적합하다고 사료되었다. 보통 고전극은 인물을 다루는 폭이 심층적이고 다양하므로 이성적 분석을 근 간하여 감정을 만들어내거나 신체를 먼저 활용해서 감정을 만들어내는 스타니슬 랍스키의 시스템으로 접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코딜리아의 경우 그 언 어적 특성과 특수적 상징성이 배우 개인의 경험에 의한 내적 정당성으로 충분히 인물을 구현할 수 있는 지점들로 판단하여, 메소드의 적용을 통한 현존적 자기화 에 의한 방식으로 인물 창조가 이루어지도록 접근하였다. 본 연구자는 리 스트라 스버그가 제시한 훈련법 가운데, 감각기억과 정서기억을 내적 충동의 도구로 사 용했으며, 이를 통한 코딜리아 역의 인물 창조 방식을 구체적으로 예증하였다. 궁극적으로 본고는 코딜리아처럼 배우의 내적 경험에 의한 즉흥적 구현이 가 능한 인물은 메소드의 방식으로 자기화를 통한 현존을 발현할 수 있다고 판단하 여 고전극에서의 메소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셰익스피어의『리어왕』을 활용한 노인연극 질적 사례연구

        김은영(Eun-Young, Kim)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리어왕』텍스트를 활용한 노인연극이 연구 참여자들에게 어떠한 반응과변화가 관찰되는지 분석함으로써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reswell(2018)의 연구방법에 따라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나’가 아닌 ‘다른 사람’이 되어보는 연극체험을 통해 나와 타자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었다. 둘째, 참여자들은 ‘능동적 행위자’ 로서 자기성찰과 통찰을 체험할 수 있었다. 셋째, 참여자들은 ‘가족관’에 대한 사고방식의 변화를 체험할 수 있었다. 넷째, 참여자들은 ‘공동체에 대한 유대감’을 성공적 노년기의 젓요한요소로 인식하게 되었다. 다섯째, 참여자들은 리어왕을 활용한 창의적 연극 만들기 과정을 통해‘심미적 체험’으로서의 연극예술을 경험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리어왕』 텍스트를 활용한 노인연극은 노년기의 삶에 대한 방향을 설교나 감상보다는 행위화를 통해 자기경험의 재구성과정을 거침으로써 성찰적 사고와 긍정적 인식의 변화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by analyzing how the reactions and changes are observed by the senior theatre using the text of “King Lear”. For this study, it was analyzed as case-in-case and case-of-case according to Creswell s research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could understand ‘me and others’ deeply and better through the theatrical experience of becoming not ‘me’ but ‘someone else’. Second, the participants could experience self-reflection and self-insight as ‘active actors’. Third, the participants could experience mind-set changing on their family consciousness. Fourth, the participants perceived ‘a sense of community bond’ as an important aspect for the successful life of old ages. Fifth, the participants could experience the theatrical art as the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the creative process of making a play using the text of “King Lear”. Consequently, it can be seen that the senior theatre using the text of King Lear helps the reflection of thoughts and positive perceptions through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self-experience through acting rather than preaching or appreciating the direction of life in old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