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천 삼거리에서 발견된 르발루아 몸돌의 연구 예보

        한창균 ( Han Chang Gyun ),서인선 ( Seo In Sun ),김경진 ( Kim Kyung Jin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21 學林 Vol.47 No.-

        최근 발굴된 연천 삼거리 유적의 하부 구석기 문화층(44.6~40.4 ka cal BP, AMS)에서는 중기 구석기 늦은 시기로 편년되는 르발루아 몸돌이 발견되어 주목된다. 몸돌의 몸집 구조와 형태-기술적 속성에 의하여 이 유물은 반복적 중심 방향 떼기의 르발루아 몸돌(Levallois recurrent centripetal core)로 분류된다. 1960년대 초반, 굴포리와 석장리에서 구석기 유적이 발굴된 이래 한국에서는 수백 군데가 넘는 곳에서 구석기시대의 석제품이 출토되었다. 지금까지 조사된 유적 가운데 르발루아 몸돌의 존재가 확인된 곳은 삼거리 구석기 유적의 경우가 처음이라 말할 수 있다. 여기서 얻은 고고학적성과는 그동안 논란의 대상이었던 한국 구석기시대의 시기 구분 체계를 정립하는 데 이바지할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지리적 배경에서 구석기시대 중기에서 후기로의 전이 과정을 새로운 시각에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 Levallois core was unearthed at the lower Paleolithic level of the Samgeo-ri site in Yeoncheon which was recently excavated. The cultural layer dated at 44.6-40.4 ka cal BP belongs to the late Middle Paleolithic period. This core was classified as Levallois recurrent centripetal core according to the Levallois concept criteria and the morpho-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re. After the Paleolithic sites were discovered in Gulpo-ri and Seokjang-ni in the early 1960s, the Levallois core, which was the first of its kind to be identified in South Korea, will contribute to the systematic division of the Paleolithic period and allow for the transition from the middle to the late Paleolithic period to be viewed from a new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유라시아 지역의 인류 진화와 구석기문화- 이동, 적응 그리고 지역 진화

        배기동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4 유라시아문화 Vol.11 No.-

        인간이 유라시아 지역에 거주하기 시작한 것은 약 200만 년 전, 초기 플라이스토세에 확인됐다. 그 이후로 유라시아 대륙은 지속해 호모 진화의 주요 무대가 되었고, 새로운 종의 인간이 들어와 출현하면서 오늘날의 현생인류 진화의 무대가 됐다. 현생인류는 약 20만 년 전 동아프리카에서 출현하여 약 5∼6만 년 전에 동아시아로 퍼졌지만, 오늘날의 유전학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현생인류는 하이델베르크인과 네안데르탈인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에서 출현했을 가능성이 큰 데니소바인과도 유전자 교환을 통해 미시진화를 거쳤다. 유라시아 대륙의 구석기문화 진화는 광대한 지역에 걸쳐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우선 초기 시기에 해당하는 아슐리안이나 아슐리안형의 주먹도끼는 시베리아나 동남아시아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르발루아 기법은 유럽과 알타이-몽골 시베리아 지역에서 발견되지만, 극동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석인과 세석인 기술은 유럽에서 시베리아, 심지어 일본을 포함한 극동까지 널리 퍼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석기 기술의 진화는 동남아시아에서는 두드러지지 않다. 이러한 석기 기술의 분포 현상은 인류의 확산 및 적응과정의 혼합 요인으로 인한 다양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동안 서구 고고학의 패러다임과 방법론의 틀을 가지고 접근되었던 아시아 고고학의 가장 큰 과제는 생태환경과 인간 간의 관계와 그 과정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류의 보편적 진화 과정의 틀 내에서 지역문화의 특수성을 해석하는 것이다. It is confirmed that humans began to inhabit the Eurasian region around 2 million years ago, in the early Pleistocene. Since then, the Eurasian continent has continuously been the main stage for the evolution of Homo, and new species of humans have entered and emerged, becoming the stage for the evolution of modern humans today. Modern humans originated in East Africa around 200,000 years ago and spread to East Asia around 5-60,000 years ago, but based on the results of genetic research today, modern humans have undergone micro-evolution through genetic exchange with existing hominins in the region, not only the Heidelberg Man and the Neanderthals, but also the Denisovans, who are likely to have emerged in East Asia. The Paleolithic cultural evolution of the Eurasian continent appears in various aspects across a vast area. First of all, the Acheulian or Acheulian-type stone tools that correspond to the early period are not seen in Siberia or Southeast Asia, but they appear in various forms in other regions. The Levallois technique is seen in Europe and the Altai-Mongolian Siberia region, but not in the Far East. It can be seen that the blade and microblade technologies are widely spread from Europe to Siberia and even to the Far East including Japan. However, the evolution of stone tooltechnology is not prominent in Southeast Asia. This phenomenon of the distribution of stone tool technology can be understood as a diversity due to the mixed factors of the diffusion and adaptation processes of mankind. The biggest challenge for Asian archaeology is to interpret the specificity of regional culture within the framework of the universal evolutionary process of mankind 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humans and the changes in the process.

      • KCI등재

        라샨하드 유적과 몽골 동부의 이른 시기 돌날석기 공작

        이선복(Seon-bok Yi) 한국구석기학회 2013 한국구석기학보 Vol.- No.28

        라샨하드 유적은 몽골 동부지역의 대표적 구석기시대 유적이다. 이곳에서는 특히 1980년을 전후해 그 주요 부분이 조사되었으나, 조사 결과에 대해서는 지극히 간략한 내용만이 알려졌다. 따라서 몽골 동부지역의 구석기에 대한 정보는 거의 알려진 것이 없는 형편이다. 서울대학교 박물관과 몽골 과학원 고고학연구소가 합동으로 2010년과 2011년에 실시한 조사에서는 퇴적층의 상당한 부분이 동물에 의한 굴 파기 등의 생물학적 요인으로 심하게 교란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수습 유물의 특징으로 미루 어볼 때 퇴적층이 긴 시간에 걸쳐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지만, 이러한 교란으로 인해 문화층의 구별이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유물의 변화 양상은 판단하기 어렵다. 발굴은 지표에서 1.5m 내외까지 이루어졌고 퇴적층은 그 아래로도 이어지는데, 발굴 부분의 가장 아래에서는 낙반으로 후대에 동물이 훼손하지 못한 구역이 확인되었다. 이 파괴를 면한 퇴적층에서는 돌날 석기 공작의 특징을 보여주는 석기가 수습되었 고, 함께 발견된 동물 뼈에서는 약 4만 년 전의 방사성탄소연대가 얻어졌다. 이와 유사한 석기공작은 몽골 서북부 오르혼 강 유역 및 중국 내몽고와 영하에서도 발견되고 있는바, MIS 3 단계에 동북아시아 내륙 지방에서는 돌날석기 공작이 광범위하게 분포하였음을 시사해준다. Rashaan Khad is perhaps the only palaeolithic site so far known in eastern Mongolia, but we know little about its stratigraphy and lithic industry. In 2011 and 2012, a joint Mongolian-Korean team from the Institute of Archaeology, Mongolian Academy of Sciences and the Seoul Natonal University tested the site. It was revealed that the bulk of the deposit had been destroyed by various biological agents, particularly by burrowing animals. Only the small portion of the lowermost part of the excavated deposit escaped such wholesale destruction where stone tools made on blades were recovered. C-14 dates obtained from faunal remains suggest an age of ca. 40 ka. Artifacts of similar nature are known from the Orkhon River basin in northwestern Mongolia. Also, it may well be that the sites of Jinsitai in Inner Mongolia and Shuidonggou in Ningxia, China, also share similar materials. Reduction sequence related to blade production at these sites is not clear yet. However, when taken together, it appears that blade production had been widely adopted in inner parts of Northeast Asia prior to ca. 30 k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