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팝'과 아트 사이

        이지은(Rhee Jieun),고동연(토론자) 서양미술사학회 2010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32 No.-

        In 1981, performance artist Laurie Anderson’s single “O Superman” hit number two on British Pop chart, an event that took everyone by surprise, as no avant-garde artist before her had ever gained such a recognition in the industry of commercial arts and entertainment. The initial waves of criticism and scorn expressed by other avant-garde artists soon gave way to an era of creative explosion when they increasingly found in the cutting edge of music and film industries an innovative means of expression and gaining populist appeal. On the one hand, Anderson’s popularity throws lights on the way in which the demarcating line between art and popular entertainments has become increasingly blurred. How does one draw distinction between high-brow arts and forms of popular entertainment as they both try to merge into our everyday life as the field of practice and popular appreciation? More important is how such a fusion facilitates a unique strategy of making her art more readily available, one that greatly expands her audiences for her critical practice. Using Anderson’s performance works such as 〈United States〉 and 〈Home of the Brave〉, this paper delves into the terrain of convergence between high-arts and popular entertainment as an important backdrop to bold artistic strategies that avant-garde art uses to get the broader public attention.

      • KCI등재

        페미닌 보이스: 여성 퍼포먼스 아트에서 목소리의 수행성과 젠더 롤 해체하기

        김경화 ( Kim¸ Kyoung Hwa )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音樂論壇 Vol.46 No.-

        현대 퍼포먼스 아티스트의 대다수가 여성이라는 것은 우연일까? 예술 창작 주체의 몸과 목소리, 퍼포먼스 하는 육체성을 강조하는 퍼포먼스 아트가 여성창작자에 의해 주도된 창작 음악 씬이라는 사실은 우연의 결과로 보기 어렵다. 전통적으로 여성은 예술 창작의 주체자이기보다는 수행적 역할을 하는 존재였다. 서양 음악 문화에서 음악 창작과 그것을 수행하는 연주 영역은 이분법의 젠더 카테고리에 의해 남성과 여성의 영역으로 철저히 분리되어 왔다. 무대 위에서 노래하고, 음악을 연주하는 행위는 육체성을 디스플레이하는, 여성의 영역으로 오랫동안 간주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예술가 자신의 몸이 곧 표현 재료이자 수단인 현대의 퍼포먼스 아트는 젠더 통념에 따라, 남성 창작자보다는 여성 예술가들의 접근성이 높은 분야일 수 있다. 그러나 퍼포먼스 아트에서 여성 예술가는 단순히 누군가가 창작한 예술 작품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수행하는 존재가 아니라 자신의 몸과 목소리를 재료로 직접 작업하는 창작자로서 존재한다. 퍼포먼스 아트에서 여성 창작자들은 자신의 몸을 드러내며, 스스로가 만들어내는 소리를 통해 그들에게 부여된 젠더통념과 역할에 질문을 던진다. 이 연구는 여성 퍼포먼스 아티스트가 예술 창작의 재료로서 자신의 몸과 목소리를 사용하는 방식에 주목한다. 특히 몸을 통해 만들어내는 특별한 소리인 목소리에 집중해 본다. 이 연구는 발화된, 혹은 노래 불린 목소리의 소리적, 재료적(material) 특성과 함께 단순히 표현의 개념을 넘어 ‘목소리 내기’를 통해 드러나는 목소리의 수행적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이를 위해 독특한 보컬 사운드를 매개로 고유의 예술 세계를 구축한 메러디스 멍크(Meredith Monk, 1942-)와 로리 앤더슨(Laurie Anderson, 1947-)의 퍼포먼스를 분석한다. Would it be just a coincidence that most of the modern performance artists are female? It is not just mere chance that performance art is a creative musical scene which is dominated by female artists. This performance art insists the performing body including one’s voice. Traditionally, women have just played a performing role given by male artist instead of being an agent in art. In the Western music culture, creating art and being the objects of display have been separated by gender binary. Displaying corporeality such as singing a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on the stage has been considered as a women’s role for many decades. In this sense, according to the stereotypical notion of gender, modern performance art where artists become the material and the means of expressing art can be something that a female artist can approach easily compared to male artists. However in performance art, a female artist is not just an object of display. Instead, they exist as an agent of art who creates themselves as an artist using their body and voice. Eventually, this makes the female artists to challenge gender binary by exposing their body and voice. This study focuses on the way of using female performance artists’ body and voice as musical materials for self-representation, especially the vocality. In this study, along with the sonic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uttered or sung voice, the performative meaning of the voice revealed through ‘voicing’ is considered. This study analyzes the performance of Meredith Monk and Laurie Anderson who created their own artistic world using their body and vo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